KR100816172B1 -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6172B1 KR100816172B1 KR1020067014430A KR20067014430A KR100816172B1 KR 100816172 B1 KR100816172 B1 KR 100816172B1 KR 1020067014430 A KR1020067014430 A KR 1020067014430A KR 20067014430 A KR20067014430 A KR 20067014430A KR 100816172 B1 KR100816172 B1 KR 100816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ave
- governor
- sheave shaft
- respect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받침대에는, 쉬브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조속기 쉬브가 지지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에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통행 위치에서 여행 위치로 변위되는 플라이 웨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쉬브축에는, 조속기 쉬브의 원주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조정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플라이 웨이트와 조정 레버 사이에는 원심력에 거역할 방향으로 플라이 웨이트를 가압하는 평형 용수철을 가지는 연결체가 접속되어 있다. 쉬브축에는, 쉬브축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 가능한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조정 레버는 쉬브축의 축선 방향으로의 조작부재의 변위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 위치의 여행 위치에 대한 거리의 조정은 조정 레버의 회동에 의해 행해지게 되어 있다.A governor sheave which is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sheave shaft is supported by the pedestal. The governor sheave is provided with a fly weight which is displaced from the passage position to the travel position by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governor sheave. The sheave shaft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lever that can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overnor sheave. A connecting body having a balanced spring for pressing the fly weight in a direction against the centrifugal force is connected between the fly weight and the adjustment lever. The sheave shaft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member which can be displac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eave shaft. The adjustment lever is rotatable by the displac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eave shaft. Therefore, adjustment of th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travel position of a normal position is performed by rotation of an adjustment le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vernor of an elevator having a governor sheave rotated with movement of a car.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른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 조속기 쉬브에 설치된 플라이 웨이트(flyweight)가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되어 있는 일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한 비상 멈춤 장치가 탑재(搭載)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에는, 비상 멈춤 장치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가 감겨져 있다. 따라서, 조속기 쉬브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에 대응한 속도로 회전된다.In a conventional elevator governor, the flyweight provided in the governor sheave may be rot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by the rotation of the governor sheave in order to detect that the speed of the car has reached a predetermined overspeed. An emergency stop device for preventing the car from falling is mounted on the car. The governor rope is wound around the governor sheave connected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Thus, the governor sheave is rotated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speed of the car.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서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속도가 제 1과속도가 되면, 플라이 웨이트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가 작동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의 전원이 차단되고, 구동장치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된다. 또, 조속기 쉬브의 회전속도가 제 2과속도가 되면, 플라이 웨이트가 더 회동되고, 조속기 로프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기구가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제동기구의 동작에 의해, 조속기 로프가 제동되고, 조속기 로프의 제동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된다(특허문헌 1 참조). In this conventional elevator governor,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governor sheave becomes the first overspeed, the car stop switch is activated by the rotation of the fly weight. By the operation of the car stop switch, the power supply of the drive device of the elevator is cut off, and the car is stopped by the brake device of the drive device.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governor sheave reaches the second overspeed, the fly weight is further rotated, and the braking mechanism for braking the governor rope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mechanism, the governor rope is braked,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is operated by braking the governor rope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특개 2001-10645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06454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중에 제 1 및 제 2과속도의 설정을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조속기에 설정되는 과속도는,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통상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저속이 되는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를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되고 있을 때이어도,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극단적으로 고속으로 될 때까지 조속기를 동작시킬 수 없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기의 소형화를 도모하지 못하고, 완충기가 설치된 승강로의 피트(pit)부의 깊이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없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지나침이나 뛰어오름을 허용하기 위한 오버헤드(overhead) 치수도 커져 버려, 오버헤드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하는 것도 할 수 없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elevator governor, the setting of the first and second overspeeds cannot be adjusted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refore, the overspeed set in the governor becomes constan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car. As a result, the governor cannot normally be operated until the speed of the car becomes extremely high even when the car is moving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istway where the speed of the car becomes low.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shock absorber for cushioning the impact on the car and to reduce the depth dimension of the pit portion of the hoistway provided with the shock absorber. Moreover, the overhead dimension for allowing the car to pass or jump also becomes large, and the overhead dimension cannot be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설정 과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speed governor of an elevator which can easily adjust the set overspeed for making emergency stop of a car.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는, 받침대에 회전 자재로 지지된 쉬브축, 엘리베이터 칸과 함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가 감기고 쉬브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조속기 쉬브, 조속기 쉬브에 설치되고 한편 통상 위치와 통상 위치보다 조속기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여행 위치 사이를 조속기 쉬브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고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통상 위치에서 여행 위치로 변위되는 플라이 웨이트(flyweight), 플라이 웨이트의 여행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동작되어 조속기 로프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 쉬브축에 대해 조속기 쉬브의 원주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조정 레버,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플라이 웨이트를 가압하는 평형 용수철을 가지고, 플라이 웨이트 및 조정 레버 사이에 접속된 연결체, 쉬브축에 설치되고 쉬브축의 축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조작 부재, 및 조작 부재와 조정 레버를 서로 연동시키는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조정 레버는 쉬브축의 축선 방향으로의 조작 부재의 변위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통상 위치의 여행 위치에 대한 거리의 조정은, 조정 레버의 회동에 의해 행해지게 되어 있다.The governor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 governor sheave, a governor sheave which is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sheave shaft, and is provided with a sheave shaft supported by a rotating material on a pedestal, an elevator car, and integrally rotated with the sheave shaft. The travel position of the flyweight and flyweight which is displaceable between the travel positions located radially outward of the governor sheave and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travel position by centrifugal force by the rotation of the governor sheave. Brake mechanism which is operated by displacement of and gives brake force to governor rope, adjustment lever which can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governor sheave with respect to sheave shaft, and balance spring which presses fly weight in the direction counter to centrifugal force by rotation of governor sheave Has, between the fly weight and the adjusting lever And a linkage mechanism for interlocking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adjustment lever with each other, the adjustment lever being attached to the sheave shaft and displac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eave shaft, wherein the adjustment lever is moved by displac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eave shaft. It is rotatable and adjustment of th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travel position of a normal position is performed by rotation of an adjustment lever.
[도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도 2] 도 1의 조속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governor of FIG. 1. FIG.
[도 3] 도 2의 조속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FIG. 3 is a rear view of the governor of FIG. 2.
[도 4] 도 3의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governor of FIG. 3.
[도 5] 도 3의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governor of Fig. 3.
[도 6]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전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제 1과속도 및 제 2과속도와 최하단에서 엘리베이터 칸까지의 거리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ed of the car, the first overspeed and the second overspeed, and the distance from the lowest end to the car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of FIG.
[도 7]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 governor of an elevator according to
[도 8] 도 7의 조속기 쉬브의 지름 방향에 따라 볼 때의 조속기를 도시한 요부구성도이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 governor as view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overnor sheave of FIG. 7;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구동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2)의 쉬브(2a)에는 메인 로프(3)가 감겨져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가 메인 로프(3)에 의해 감겨 내려져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이 설치되고, 균형추(5)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비상 멈춤 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의 상부에는 조속기 지지부재(8)가 고정되어 있다. 조속기 지지부재(8) 상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과속도를 검출하여 비상 멈춤 장치(7)를 동작시키는 조속기(9)가 지지되어 있다.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승강로(1)의 저부 근방에는 회전 자재의 텐션 풀리(tension pulley, 10)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9) 및 텐션 풀리(10)에는 조속기 로프(11)가 감겨 매달려 있다. 조속기 로프(11)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레버(12)를 통해 비상 멈춤 장치(7)에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11)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에 수반하여 순환이동된다.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of the
도 2는 도 1의 조속기(9)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조속기 지지부재(8) 상에는 받침대(13)가 고정되어 있다. 받침대(13)에는 수평으로 연장한 쉬브축(14)이 회전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쉬브축(14)에는 조속기 로프(11)가 감겨 매달려 있는 조속기 쉬브(15)가 고정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5)는 쉬브축(14)과 일체로 회전된다.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조속기 쉬브(15)의 측면에는 핀(1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플라이 웨이트(flyweight, 17)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플라이 웨이트(17)는 핀(16)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통상 위치와 통상 위치보다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여행 위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플라이 웨이트(17)는,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통상 위치로부터 여행 위치로 회동된다. 각 플라이 웨이트(17)는 링크(1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A side of the governor sheave 15 is provided with a pair of
한쪽의 플라이 웨이트(17)의 일단부에는 작동 갈고리(19)가 고정되어 있다.작동 갈고리(19)는 플라이 웨이트(17)의 통상 위치에서 여행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변위된다.An
받침대(13)에는 구동장치(2)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한편 구동장치(2)의 브레이크 장치(미도시)를 동작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20)가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20)는 스위치 본체(21)와, 스위치 본 체(21)에 설치되고 작동 갈고리(19)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레버(22)를 가지고 있다. 스위치 레버(22)는, 플라이 웨이트(17)가 통상 위치와 여행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정지 동작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작동 갈고리(19)에 의해 조작된다. 덧붙여 플라이 웨이트(17)는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제 1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3배 정도)에 이르렀을 때에 정지 동작 위치로 회동되고,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제 2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4배 정도)에 이르렀을 때에 여행 위치로 회동된다.The
조속기 쉬브(15)에는 핀(16)과 평행한 축(2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여행 레버(24)가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플라이 웨이트(17)에는 여행 레버(24)의 일부가 맞닿음 되어 있다. 여행 레버(24)는 플라이 웨이트(17)의 회동에 의해 축(23)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축(23)에는 여행 레버(24)를 플라이 웨이트(17)에 맞닿음 시킬 방향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용수철(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The governor sheave 15 is provided with a
받침대(13)에는 쉬브축(1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래칫(25)이 설치되어 있다. 래칫(25)은 쉬브축(14)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래칫(25)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치(齒)가 설치되고 있다.The
한쪽의 핀(16)에는 여행 레버(24)와 래칫(25)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림하는 맞물림 갈고리(2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 갈고리(26)는 도시하지 않은 텐션 스프링에 의해 래칫(25)에 맞물림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맞물림 갈고리(26)는 플라이 웨이트(17)가 통상 위치에 있을 때에는 여행 레버(24)와 맞물림하여 래칫(25)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 맞물림 갈고리(26)는 플라이 웨이트(17)가 여행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는, 여행 레버(24)와의 맞물림이 빗나가 텐션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동되어 래칫(25)에 맞물림 한다.One of the
또, 받침대(13)에는 암(27)이 회동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암(27)에는 조속기 로프(11)를 통해 조속기 쉬브(15)에 가압된 슈(shoe, 28)가 회동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암(27)의 선단부(27a)에는 용수철 축(29)이 변위 가능하게 통해져 있다. 용수철 축(29)의 일단부에는 래칫(25)에 회동 자재로 접속된 접속 링크(30)가 고정되어 있다. 용수철 축(29)의 타단부에는 스프링 베어링(spring bearing) 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암(27)의 선단부(27a)와 스프링 베어링부재(31) 사이에는, 슈(28)를 조속기 로프(11)에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32)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래칫(25)은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시에서의 맞물림 갈고리(26)의 맞물림에 의해 조속기 쉬브(15)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암(27)은 슈(28)가 조속기 쉬브(15)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조속기 로프(11)의 이동은 슈(28)가 조속기 로프(11)를 통해 조속기 쉬브(15)에 가압된 것에 의해 제동된다. The
덧붙여, 조속기 로프(11)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기구(33)는 여행 레버(24), 래칫(25), 맞물림 갈고리(26), 암(27), 슈(28), 용수철 축(29), 접속 링크(30), 스프링 베어링(spring bearing) 부재(31) 및 가압 용수철(32)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도 3은 도 2의 조속기(9)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면에서, 쉬브축(14)에는 쉬브축(14)에 대해서 조속기 쉬브(15)의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조정 레버(34)가 설치되어 있다. 조정 레버(34)는 쉬브축(14)이 내측에 통과되는 원통부(35a)를 포함한 레버 본체(35)와, 레버 본체(35)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조속기 쉬브(15)의 원주방향으로 연장한 긴 구멍(36)이 설치된 회동 규제부(37)와, 레버 본체(35)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레버 본체(35)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레버편(38)을 가지고 있다.3 is a rear view of the
조속기 쉬브(15)의 측면에는 긴 구멍(36)으로 통과된 핀(39)이 고정되어 있다. 핀(39)은 긴 구멍(36)의 길이 방향으로 긴 구멍(36)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동 규제부(37)는 조정 레버(34)의 쉬브축(14)에 대한 회동에 의해 핀(39)에 대해서 슬라이드 된다. 이것에 의해, 조정 레버(34)의 회동량은 규제된다.The
레버편(38)은 레버 본체(35)의 회동에 의해 조속기 쉬브(15)의 원주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플라이 웨이트(17)의 타단부와 레버편(38) 사이에는 플라이 웨이트(17)와 조정 레버(34)를 연결하는 연결체(40)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체(40)는 플라이 웨이트(17) 및 레버편(38) 사이에 접속된 신축 가능한 신축봉(41)과, 신축봉(41)에 설치되고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거역하는 방향으로 플라이 웨이트(17)를 가압하는 평형 용수철(42)을 가지고 있다.The
플라이 웨이트(17) 및 조정 레버(34)는 연결체(40)에 의해 서로 연동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플라이 웨이트(17)의 통상 위치는 조정 레버(34)의 회동에 의해 여행 위치에 근접하는 방향 혹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통상 위치에서 여행 위치로 변위될 때까지의 플라이 웨이트(17)의 회동 각도(회동 거리)는 조정 레버(34)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과속도의 크기는 조정 레버(34)의 회동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도 4는 도 3의 조속기(9)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3의 조속기(9)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쉬브축(14)에는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조작 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43)는 쉬브축(14)을 둘러싸는 관부(管部, 44)와, 관부(44)의 외주부에 설치된 판상의 디스크부(45)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부(45)는 쉬브축(14)에 축선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 되어 있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쉬브축(14)과 레버 본체(35) 사이에는 조작 부재(43)와 조정 레버(34)를 연동시키는 연동기구(46)가 설치되어 있다. 연동기구(46)는 조작 부재(43)의 쉬브축(14)에 대한 변위를 조정 레버(34)의 쉬브축(14)에 대한 회동으로 변환하게 되어 있다.An
연동기구(46)는 조작 부재(43)와 일체로 된 변위체(47)와, 쉬브축(14)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변위체(47)가 쉬브축(14)에 대해 변위되었을 때에 변위체(47)를 쉬브축(14)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 1안내부인 쉬브축측 스플라인부(spline portion, 48)와, 원통부(35a)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변위체(47)가 쉬브축(14)에 대해 변위되었을 때에 쉬브축 측 스플라인부(48)에 의한 변위체(47)의 회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원통부(35a)를 변위체(47)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레버측 스플라인(49)을 가지고 있다.The
변위체(47)의 내주면에는 쉬브축측 스플라인부(48)에 끼워 맞춰진 내부 기어 스플라인부(50)가 설치되고, 변위체(47)의 외주면에는 레버측 스플라인부(49)에 끼워 맞춰진 외부 기어 스플라인부(51)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변위체(47)는 레버 본체(35) 및 쉬브축(14)의 각각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변위체(47)는 쉬브축(14)및 원통부(35a)에 대해 쉬브축(14)의 축선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An inner
쉬브축측 스플라인부(48) 및 레버측 스플라인부(49)의 각각의 이빨 흔적(tooth trace)은, 쉬브축(14)의 축선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즉, 쉬브축측 스플라인부(48) 및 레버측 스플라인부(49)는 경사 이빨의 스플라인부로 되어 있다. 또, 쉬브축측 스플라인부(48)의 이빨 흔적의 경사 방향(비틀림 방향)은, 레버측 스플라인부(49)의 이빨 흔적의 경사 방향(비틀림 방향)과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더욱, 쉬브축측 스플라인부(48)의 이빨 흔적의 경사 각도(비틀림각)는, 레버측 스플라인부(49)의 이빨 흔적의 경사 각도(비틀림각)와 다르게 되어 있다. Tooth traces of the sheave shaft
변위체(47)가 쉬브축(14)에 대하여 쉬브축(14)의 축선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 변위체(47)의 쉬브축(14)에 대한 회동과 원통부(35a)의 변위체(47)에 대한 회동이 동시에 행해진다. 변위체(47)의 쉬브축(14)에 대한 회동 방향과 원통부(35a)의 변위체(47)에 대한 회동 방향은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 레버(34)는 변위체(47)가 쉬브축(14)의 축선방향으로 변위될 때 변위체(47)의 쉬브축(14)에 대한 회동 각도와, 원통부(35a)의 변위체에 대한 회동 각도의 각도 차분(差分)만큼 쉬브축(14)에 대해서 회동된다.When the
받침대(13)에는, 조작 부재(43)를 쉬브축(14)의 축선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 한 액츄에이터 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있다. 액츄에이터 장치는, 디스크부(45)에 접촉해 조작 부재(43)를 변위시키는 암부를 가지고 있다. 또, 쉬브축(14)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인 엔코더(encoder, 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엔코더는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대응한 신호를 발생해, 발생한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미도시)로 발송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엔코더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해 엑츄에이터 장치를 제어하게 되어 있다.The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 제 1과속도 및 제 2과속도와 최하층에서 엘리베이터 칸(4) 까지의 거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에는, 최하층 및 최상층(한쪽 및 다른쪽의 종단층) 근방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가감속되는 가감속 구간과 각 가감속 구간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정속 구간이 설치되어 있다.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ed of the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인 통상 속도 패턴(55)과, 통상 속도 패턴(55)보다 큰 값이 되는 제 1과속도 패턴(56)과, 제 1과속도 패턴(56) 보다 큰 값으로 되는 제 2과속도 패턴(57)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대응시켜 설정되어 있다.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통상 속도 패턴(55), 제 1과속도 패턴(56) 및 제 2과속도 패턴(57)은, 정속 구간에서는 일정치가 되도록, 가감속 구간에서는 종단층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The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제 1 및 제 2과속도 각각의 크기가 제 1 및 제 2과 속도 패턴(56, 57)에 따라 조정되도록 액츄에이터 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즉,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가감속 구간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가 최하층 혹은 최상층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제 1 및 제 2과속도 각각의 크기가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액츄에이터 장치를 제어하게 되어 있다.The elevator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ctuator device such that the magnitu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verspeeds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and second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가감속 구간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 혹은 최상층에 가까워질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플라이 웨이트(17)의 통상 위치와 여행 위치 사이의 회동 거리가 작아질 방향으로 조작 부재(43)를 변위시키도록 액츄에이터 장치를 제어하게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가감속 구간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 혹은 최상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플라이 웨이트(17)의 통상 위치와 여행 위치 사이의 회동 거리가 커질 방향으로 조작 부재(43)를 변위시키도록 액츄에이터 장치를 제어하게 되어 있다.In this exampl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s such that the rotation distance between the normal position and the travel position of the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는, 엔코더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해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상시 요구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이 정속 구간 내를 이동되고 있을 때는, 조작 부재(43)가 액츄에이터 장치에 의해 변위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위치에 정치(定置)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과속도 각각의 크기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엘리베이터 칸(4)이 가감속 구간 내를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액츄에이터 장치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고, 조작 부재(43)가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플라이 웨이트(17)의 통상 위치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가 최하층 혹은 최상층에 가까워지는 만큼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고,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가 최하층 혹은 최상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만큼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도록 조정된다.When the
즉, 제 1 및 제 2과속도 각각의 크기는,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 혹은 최상층에 가까워지는 만큼 연속적으로 작게 되고, 최하층 혹은 최상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만큼 연속적으로 크게 된다. That is, the magnitude | size of each of the 1st and 2nd overspeeds becomes continuously small so that the cage | basket |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4)은 통상 속도 패턴(55)에 따라 승강로(1) 내를 이동된다. 이 때, 플라이 웨이트(17)는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에 대응한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회동되고 있다.In normal operation, the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더욱 상승해,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제 1과속도 패턴(56)의 값에 이르렀을 때에는, 플라이 웨이트(17)가 정지 동작 위치까지 회동되고 스위치 레버(22)가 작동 갈고리(19)에 의해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장치(2)로의 전기 공급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정지되고,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되어 엘리베이터 칸(4)이 정지된다.For some reason, when the speed of the
예를 들면 메인 로프(3)가 파단했을 경우 등, 구동장치(2)가 정지해도, 엘리베이터 칸(4)이 정지하는 일 없이 이동되고,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2 과속도 패턴(57)의 값에 이르렀을 때에는, 플라이 웨이트(17)가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더욱 회동되어 여행 위치에 도달한다. 이것에 의해, 맞물림 갈 고리(26)는 여행 레버(24)와의 맞물림이 빗나가 회동되어 래칫(25)에 맞물림 된다. 이것에 의해, 래칫(25)이 조속기 쉬브(15)의 회전 방향으로 겨우 회동된다.For example, even if the
래칫(25)의 회전력은 접속 링크(30), 용수철 축(29), 스프링 베어링 부재(31) 및 가압 스프링(32)을 통해 암(27)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암(27)이 회동되고, 슈(28)는 조속기 로프(11)에 접촉한 후에, 가압 스프링(32)에 의해 조속기 로프(11)에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11)는 제동된다.The rotational force of the
조속기 로프(11)의 이동이 정지되면, 엘리베이터 칸(4)이 이동되어 계속되는 것에 의해 , 레버(12)가 조작되고 비상 멈춤 장치(7)가 동작한다.Whe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11 is stopped,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조속기(9)에서는, 조속기 쉬브(15)의 원주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조정 레버(34)와, 쉬브축(14)의 축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조작 부재(43)가 연동기구(46)를 통해 연동되도록 되어 있고, 플라이 웨이트(17)가 조정 레버(34)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쉬브(15)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도, 조작 부재(43)를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플라이 웨이트(17)의 통상 위치에서 여행 위치까지의 회동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과속도의 크기를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대응시켜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In such an
이것에 의해, 종단층 근방에 설치된 가감속 구간에서는, 제 1 및 제 2과속도의 크기를 종단층으로 향해 작게할 수 있고, 각 가감속 구간 사이에 설치된 정속 구간에서는, 제 1 및 제 2과속도의 크기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단층 근방에서는 정속 구간보다 제 1 및 제 2과속도를 작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4)의 비상 정지 때의 제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의 피트부에 설치된 완충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피트부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4)의 지나침이나 뛰어오름을 허용하기 위한 오버헤드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즉,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ection provided near the terminal layer,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overspeeds can be reduced toward the terminal layer. In the constant speed section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ections, the first and second overspeeds The magnitude of the degree can be made constant. Therefore,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layer, the first and second overspeeds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constant speed section, and the braking distance at the time of emergency stop of the
또, 연동기구(46)는 조작부재(43)와 일체로 된 변위체(47)와, 쉬브축(14)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변위체(47)가 쉬브축(14)에 대해 변위되었을 때에, 변위체(47)를 쉬브축(14)에 대해 회동시키는 쉬브축측 스플라인부(48)와 조정 레버(34)의 원통부(35a)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변위체(47)가 쉬브축(14)에 대해서 변위되었을 때에, 쉬브축측 스플라인부(48)에 의한 변위체(47)의 회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원통부(35a)를 변위체(47)에 대해 회동시키는 레버측 스플라인부(49)를 가지고 있으므로,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체(47)의 변위에 대해서 쉬브축측 스플라인부(48)및 레버측 스플라인부(49)에 의해 소정의 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나 진동에 의해 변위체(47)의 쉬브축(14)에 대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when the
또, 변위체(47)는 이빨 흔적이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쉬브측 스플라인부(48)에 의해 쉬브축(14)에 대하여 스플라인 결합되고, 이빨 흔적이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레버측 스플라인부(49)에 의해 원통부(35a)에 대하여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으므로,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체(47)의 변위에 의해 변위체(47)를 쉬브축(14)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회동시 킬 수 있고, 원통부(35a)를 변위체(47)에 대하여 보다 확실히 회동시킬 수 있다. Moreover, the
또, 상기 예에서는, 변위체(47)의 원통부(35a) 및 쉬브축(14)에 대한 결합은 함께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으나,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체(47)의 변위에 의해 변위체(47)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결합이라면 스플라인 결합에 한정되지 않아도 좋다. 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coupling to the
실시의 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을 따라 본 것의 조속기(9)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변위체(47)에는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한 슬라이드핀(61)이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핀(61)은 변위체(47)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제1돌출부(61a)와, 변위체(47)의 외주면에서 돌출한 제2돌출부(61b)를 가진다.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쉬브축(14)의 외주면에는 제1돌출부(61a)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쉬브축측 홈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쉬브축측 홈부(62)는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제1돌출부(61a)는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체(47)의 변위에 의해, 쉬브축측 홈부(62)를 따라 안내된다. 이에 의해, 변위체(47)는 쉬브축(14)에 대해서 회동되면서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원통부(35a)의 내주면에는 제2돌출부(61b)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레버측 홈부(63)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측 홈부(63)는 쉬브축측 홈부(62)의 경사 방향인 역방향으로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제2돌출부(61b)는 쉬 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체(47)의 변위에 의해 레버측 홈부(63)를 따라 안내된다. 원통부(35a)는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쉬브축측 홈부(62)에 의한 변위체(47)의 회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체(47)에 대해 회동된다.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한 쉬브축측 홈부(62)의 경사 각도는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한 레버측 홈부(63)의 경사 각도와 다르게 되어 있다. 변위체(47)가 쉬브축(14)에 대해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된 때, 변위체(47)의 쉬브축(14)에 대한 회동과 원통부(35a)의 변위체(47)에 대한 회동이 동시에 행해진다. 변위체(47)의 쉬브축(14)에 대한 회동 방향과 원통부(35a)의 변위체(47)에 대한 회동 방향과는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 레버(34)는 변위체(47)가 쉬브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된 때, 변위체(47)의 쉬브축(14)에 대한 회동 각도와 원통부(35a)의 변위체에 대한 회동 각도와의 각도 차분만큼 쉬브축(14) 및 조정기 쉬브(15)에 대해 회동된다.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heave shaft
또한, 조작부재(43)와 조정 레버(34)를 서로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64)와, 변위체(47), 슬라이드 핀(61), 쉬브축측 홈부(62) 및 레버측 홈부(63)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변위체(47)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돌출부(61a)를 안내하는 것에 의해 변위체(47)를 쉬브축(14)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쉬브축측 홈부(62)가 쉬브축(14)에 설치되고, 변위체(47)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2돌출부(61b)를 안내하는 것에 의해 원통부(35a)를 변위체(47)에 대해 회동시키는 레버측 홈부(63)가 원통부(35a)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있으므로, 연동기구(64)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sheave shaft
덧붙여, 상기의 예에서는, 쉬브축측 홈부(62)가 쉬브축(14)에 설치되고 있지만, 쉬브축측 홈부(62)를 긴 구멍이어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레버측 홈부(63)가 원통부(35a)에 설치되고 있지만, 레버측 홈부(63)를 긴 구멍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sheave shaf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설정 과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에 유용하다. Thus,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useful for being able to easily adjust the setting overspeed for making an emergency stop of a ca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14430A KR100816172B1 (en) | 2006-07-18 | 2004-10-07 | Elevator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14430A KR100816172B1 (en) | 2006-07-18 | 2004-10-07 | Elevator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3994A KR20060113994A (en) | 2006-11-03 |
KR100816172B1 true KR100816172B1 (en) | 2008-03-21 |
Family
ID=3765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14430A KR100816172B1 (en) | 2006-07-18 | 2004-10-07 | Elevator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617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6576B1 (en) | 2010-04-01 | 2011-05-24 | (주) 태두 | Rope brake system for elevat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13388A (en) * | 1987-07-06 | 1989-01-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Governor for elevator |
WO2003029123A1 (en) * | 2001-09-28 | 2003-04-1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device |
WO2003091142A1 (en) * | 2002-04-24 | 2003-11-06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Overspeed governor apparatus for elevator system |
-
2004
- 2004-10-07 KR KR1020067014430A patent/KR10081617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13388A (en) * | 1987-07-06 | 1989-01-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Governor for elevator |
WO2003029123A1 (en) * | 2001-09-28 | 2003-04-1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device |
WO2003091142A1 (en) * | 2002-04-24 | 2003-11-06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Overspeed governor apparatus for elevator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6576B1 (en) | 2010-04-01 | 2011-05-24 | (주) 태두 | Rope brake system for ele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3994A (en) | 2006-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50554B2 (en) | Elevator governor | |
US6360847B1 (en) | Elevator system and speed governing apparatus | |
JP5287859B2 (en) | Elevator governor | |
JP5735504B2 (en) | Elevator governor | |
KR101398725B1 (en) | Speed governor for elevator | |
WO2012086026A1 (en) | Speed governing device of elevator | |
EP3150537B1 (en) | Elevator overspeed governor | |
JP6395922B2 (en) |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and elevator system | |
JP4292215B2 (en) | Elevator governor device | |
EP1798183B1 (en) | Elevator apparatus | |
US7607518B2 (en) | Emergency brake of elevator | |
US7137484B2 (en) |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 |
EP2490971B1 (en) | Unintended movement governor and elevator | |
KR100816172B1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0881503B1 (en) | Speed governor device of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