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211B1 -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211B1
KR100815211B1 KR1020070106114A KR20070106114A KR100815211B1 KR 100815211 B1 KR100815211 B1 KR 100815211B1 KR 1020070106114 A KR1020070106114 A KR 1020070106114A KR 20070106114 A KR20070106114 A KR 20070106114A KR 100815211 B1 KR100815211 B1 KR 10081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onveyor
camera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일재
이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Priority to KR1020070106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6Holders for crayons or 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 체인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체인의 성형 상태, 체인의 치수 변화, 체인의 파손 유무 등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컨베이어 체인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이상이 발생된 체인에 인식마크를 표시하는 마킹수단; 상기 체인의 촬영 신호를 전달받도록 상기 촬영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영상 정보와 이미 입력된 상기 컨베이어 체인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비교, 검토하여 이상이 발생된 체인에 마킹하도록 상기 마킹수단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비젼컨트롤러; 상기 비젼컨트롤러에 연결되어서 체인 검사시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비젼컨트롤러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컨베이어제어판넬;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각각의 단위체인들의 성형 상태 및 손상 상태를 검사할 수 있고, 이상이 발생된 단위체인에 직접 마킹할 수 있으며, 체인에 대한 검사결과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체인의 변화 추이와 성형 이상에 따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106114
카메라, 마킹부재, 크레용, 비젼컨트롤러, 컨베이어제어판넬

Description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conveyor chain vision}
본 발명은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생산 현장이나 기계장치의 이송 및 동력전달 시 체인의 이상 상태를 영상으로 검사 및 측정하여서 체인 이상으로 제품 및 기계에 발생되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신속히 조치할 수 있는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도화 되고 있는 산업사회에서 각종 생산설비와 기계장치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제품의 이송 및 기기 동력 전달의 한가지 방법으로 체인이 사용되고 있다.
체인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특정한 위치로 가공된 제품을 이송하거나 각종 기계 장치의 동력을 전달함에 있어 여러 가지 재질과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형태와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체인은 장시간 사용되거나 강한 인장력으로 인해 늘어지거나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제품이 정해진 위치로 이송되지 못하거나 동력 전달이 끊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장치로는, 체인의 전체길이에 대한 인장을 측정하여서 그 변위값을 전달받아서 경보 처리하는 장치와, 각 체인의 길이를 측정하여 그 값이 허용 범위를 초과할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체인 측정장치는 체인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인장(늘어난 길이) 값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실제 이상이 생긴 체인의 위치파악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체인이 끊어지지는 않았으나 허용 범위 이상 인장된 경우에는 체인 전체를 교체하거나, 가장 많이 늘어난 체인의 위치를 찾은 후 그 부위를 교환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체인 측정장치는 체인의 인장된 길이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체인의 외관 이상 및 균열, 끊어짐, 파손 등에 대한 성형 이상 상태는 검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체인들을 하나씩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단위체인들의 성형 상태 및 손상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상이 발생된 단위체인에 직접 마킹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인에 대한 검사결과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체인의 변화 추이와 성형 이상에 따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는, 컨베이어 체인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체인의 성형 상태, 체인의 치수 변화, 체인의 파손 유무 등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컨베이어 체인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이상이 발생된 체인에 인식마크를 표시하는 마킹수단; 상기 체인의 촬영 신호를 전달받도록 상기 촬영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영상 정보와 이미 입력된 상기 컨베이어 체인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비교, 검토하여 이상이 발생된 체인에 마킹하도록 상기 마킹수단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비젼컨트롤러; 상기 비젼컨트롤러에 연결되어서 체인 검사시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비젼컨트롤러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컨베이어제어판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체인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그 측면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와, 상기 체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서 그 평면 또는 저면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와, 상기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온/오프키시는 촬영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마킹수단은, 컨베이어 체인의 일측에 설치되며 비젼컨트롤러에 연결되어서 상기 비젼컨트롤러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실린더밸브와, 상기 실린더밸브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제어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서 왕복이송되는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이와 함께 왕복이송되는 마킹홀더와, 상기 마킹홀더에 결합되어서 이상이 발생된 체인에 마킹하는 마킹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마킹부재는, 크레용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컨베이어 체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되는 체인을 조명하여서 상기 체인 주변의 조도를 높이는 카메라 조명수단이 더 설치된다.
본 발명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카메라 조명 수단은, 상기 체인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카메라가 촬영하는 체인의 측면을 조명하는 제1조명등과, 상기 체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카메라가 촬영하는 체인의 평면 또는 저면을 조명하는 제2조명등과, 상기 제1조명등 및 제2조명등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조명등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비젼컨트롤러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서 이에 정보를 입력, 수정, 삭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입력부와, 상기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제1카메라영상입력부 및 제2카메라영상입력부와, 상기 제1카메라영상입력부, 제2카메라영상입력부 및 제어부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1카메라영상입력부, 제2카메라영상입력부에 전달된 영상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전달된 영상 신호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와, 촬영스위치와 제어부에 연결되어서 촬영스위치의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카메라촬영부와, 상기 마킹수단과 제어부에 연결되어서 제어부에서 판독된 영상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마킹수단에 신호를 전달하여서 이를 제어하는 마킹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컨베이어제어판넬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판독된 영상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컨베이어제어판넬에 신호를 전달하여서 이를 제어하는 제어판넬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와 컨베이어제어판넬에 연결되어서 상기 컨베이어제어판넬에서 처리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판넬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와 외부의 호스트컴퓨터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어부의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서 제어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방법은, 검사할 체인을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체인에 대한 검사, 각종 설정값을 비젼컨트롤러에 입력하는 기준 데이터 입력단계; 컨베이어 체인이 구동되면 촬영수단에 의해 체인의 성형 상태, 체인의 치수 변화, 체인의 파손 유무 등을 촬영하는 체인촬영단계; 상기 체인촬영단계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상기 비젼컨트롤러에 전달받아서 이미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독하는 데이터비교단계; 상기 데이터비교단계에서 촬영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와 다르면 마킹수단을 구동시켜서 해당 체인에 마킹을 하는 마킹단계; 촬영된 데이터값과 기준 데이터값의 차이가 허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컨베이어제어판넬을 작동시켜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체인구동제어단계; 측정된 데이터를 비젼컨트롤러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에 의해 단위 체인들의 측면들 및 평면 또는 저면을 하나씩 촬영하면서 각각의 단위 체인들의 성형 상태, 인장상태, 손상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체인의 전체 인장 길이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체인의 외관 이상 및 균열, 끊어짐, 파손 등에 대한 중요한 성형 이상 상태를 검사할 수 없었던 종래의 문제가 해결되며 단위 체인들 각각의 상태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체인들을 촬영하여 검사하다가 이상이 발생된 단위 체인이 검사되면 이에 마킹수단으로 직접 마킹한다. 따라서 연속 배열된 긴 길이의 단위 체인들 중에서 실제 이상이 발생된 단위 체인만을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체인을 찾아서 보수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마킹부재로 고체의 크레용이 사용되며 이 크레용이 장착되도록 마킹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크레용의 특성상 시간이 경과하여도 마킹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초래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크레용이 다 소모될 때까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체인에 대한 검사결과가 비젼컨트롤에 저장되므로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체인의 변화를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인의 변화 추이와 성형 이상에 따른 분석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촬영수단 및 카메라 조명수단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3은 비젼컨트롤러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들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4는 비젼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마킹수단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5는 비젼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는, 촬영수단(10), 마킹수단(20), 카메라 조명수단(30), 비젼컨트롤러(40), 컨베이어제어판넬(6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에는 호스트컴퓨터(70)가 연결된다.
촬영수단(10)은, 컨베이어 체인(1)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체인(1)의 성형 상태, 체인(1)의 치수 변화, 체인(1)의 파손 유무 등을 촬영한다.
이러한 촬영수단(10)은 제1카메라(11), 제2카메라(12), 촬영스위치(13)로 이루어진다. 제1카메라(11)는 체인(1)의 측면에 설치되어서 그 측면을 촬영한다. 이러한 제1카메라(11)는 체인(1)의 일측면에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양측면에 각각 촬영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는 체인(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서 그 평면 또는 저면을 촬영한다. 이러한 제2카메라(12)는 체인(1)의 그 평면 또는 저면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평면과 저면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촬영스위치(13)는 전원에 연결되고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온/오프시킨다.
여기서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는 CCD 카메라(charge-coupled device camera, CCD camera)로 구비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CCD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의 하나로, 전하 결합 소자(CCD)를 사용하여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로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수단(10)은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에 의해 단위 체인(1)들의 측면들 및 평면 또는 저면을 하나씩 촬영하면서 각각의 단위 체인(1)들의 성형 상태, 인장상태, 손상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체인(1)의 전체 인장 길이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체인(1)의 외관 이상 및 균열, 끊어짐, 파손 등에 대한 중요한 성형 이상 상태를 검사할 수 없었던 종래의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단위 체인(1)들 각각의 상태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설치 장소 및 제품의 형태에 따라 카메라 대수가 최소 1대에서 최대 4대까지 늘어날 수 있다. 즉, 체인의 측면 또는 상면(또는 하면)에 대해서만 검사가 진행되는 경우 1대의 카메라가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 체인의 네면 모두를 검사할 경우 4대의 카메라가 필요할 것이다.
마킹수단(20)은, 컨베이어 체인(1)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이상이 발생된 체인(1)에 인식마크를 표시한다.
이러한 마킹수단(20)은, 실린더밸브(21), 실린더(22), 마킹홀더(24), 마킹부재(25)로 이루어진다. 실린더밸브(21)는 컨베이어 체인(1)의 일측에 설치되며 비젼컨트롤러(40)에 연결되어서 비젼컨트롤러(40)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실린더(22)는 실린더밸브(21)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제어된다. 실린더(22)에는 실린더로드(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22)의 구동시 이를 따라 왕복이송된다. 이 실린더로드(23)의 단부에 이와 함께 왕복이송되도록 마킹홀더(24)가 설치되어 있다.
마킹부재(25)는 마킹홀더(24)에 결합되어서 이상이 발생된 체인에 마킹한다. 이러한 마킹부재(25)는 크레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킹부재(25)는 크레용의 특성상 시간이 경과하여도 마킹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초래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크레용이 다 소모될 때까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마킹부재가 잉크일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잉크가 굳으면서 잉크 배출구가 막히게 된다. 이에 반해 크레용 재의 마킹부재(25)는 장시간 경과하여도 마킹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초래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킹부재(25)를 마킹홀더(24)에 한번 장착시키면 크레용이 다 소모될 때까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체인(1)들을 촬영하여 검사하다가 이상이 발생된 단위 체인(1)이 검사되면 이에 마킹수단(20)의 마킹부재(25)로 직접 마킹한다. 따라서 연속 배열된 긴 길이의 단위 체인(1)들 중에서 실제 이상이 발생된 단위 체인(1)만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체인(1)을 찾아서 보수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여기서 마킹부재(25)는, 크레용 외에 파스텔, 분필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조명수단(30)은, 컨베이어 체인(1)의 일측에 설치되며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되는 체인(1)을 조명하여서 체인(1) 주변의 조도를 높인다. 이러한 카메라 조명수단(30)은, 체인(1)의 측면에 설치되어서 제1카메라(11)가 촬영하는 체인(1)의 측면을 조명하는 제1조명등(31)과, 체인(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서 제2카메라(12)가 촬영하는 체인(1)의 평면 또는 저면을 조명하는 제2조명등(32)과, 제1조명등(31) 및 제2조명등(32)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조명등제어부(3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카메라 조명수단(30)은 촬영시 체인(1)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카메라 조명수단(30)의 조명시 그 반대측에서 비치는 빛에 의해 체 인(1)에 발생된 균열과 성형 상태에 대한 보다 확실한 명암을 얻기 위한 목적도 있다.
비젼컨트롤러(40)는, 체인(1)의 촬영 신호를 전달받도록 촬영수단(10)에 연결되고, 촬영수단(10)으로부터 전달된 영상 정보와 이미 입력된 컨베이어 체인(1)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비교, 검토하여 이상이 발생된 체인(1)에 마킹하도록 마킹수단(20)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한다.
이러한 비젼컨트롤러(40)는, 제어부(41)와, 제어부(41)에 연결된 메모리부(42)와, 제어부(41)에 연결되어서 이에 정보를 입력, 수정, 삭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입력부(43)가 구비된다.
또한,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제1카메라영상입력부(44) 및 제2카메라영상입력부(45)와, 이 제1카메라영상입력부(44), 제2카메라영상입력부(45) 및 제어부(41)에 연결되어서 제1카메라영상입력부(44), 제2카메라영상입력부(45)에 전달된 영상 신호를 제어부(41)에 전달하는 영상처리부(46)와, 제어부(41)에 연결되며 제어부(41)에 전달된 영상 신호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47)가 구비된다.
촬영스위치(13)와 제어부(41)에는 촬영스위치(13)의 신호를 제어부(41)에 전달하는 카메라촬영부(48)가 연결되어 있다. 마킹수단(20)과 제어부(41)에는 제어부(41)에서 판독된 영상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마킹수단(20)에 신호를 전달하여서 이를 제어하도록 마킹제어부(49)가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41)와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는 제어부(41)에서 판독된 영상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신호를 전달하여서 이를 제어하도록 제어판넬출력부(5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41)와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는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서 처리한 정보를 제어부(41)에 전달하도록 제어판넬입력부(51)가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41)와 외부의 호스트컴퓨터(70)에는 제어부(41)의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52)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41)에는 제어부(41)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53)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비젼컨트롤러(40)에는 컨베이어제어판넬(60)이 연결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제어판넬(60)은, 비젼컨트롤러(40)에 연결되어서 체인(1) 검사시 이상이 발생되면 비젼컨트롤러(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컨베이어 체인(1)의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의한 컨베이어 체인(1)의 제어방법은, 수동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의해 컨베이어 체인(1)이 수동으로 제어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체인(1)에서 이상이 발생되어서 비젼컨트롤러(40)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면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설치된 경고등이 울리게 할 수 있다. 경고등을 본 작업자는 컨베이어 체인(1) 구동장치의 온/오프스위치를 오프시켜서 체인(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의해 컨베이어 체인(1)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 체인(1) 구동장치의 구동모터(미도시)는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의해 제어되도록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체인(1)에서 이상이 발생되어서 비젼컨트롤러(40)로부터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신호가 전달되면 컨베이어제어판넬(60)은 컨베이어 체인(1) 구동장치의 구동모터를 정지시킨다. 구동모터가 정지되면 이에 의해 제어되는 컨베이어 체인(1)도 정지된다.
호스트컴퓨터(70)는, 비젼컨트롤러(40)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다. 호스트컴퓨터(70)와 비젼컨트롤러(40)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서 비젼컨트롤러(40)의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는,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에 의해 단위 체인(1)들의 측면들 및 평면 또는 저면을 하나씩 촬영하면서 각각의 단위 체인(1)들의 성형 상태, 인장 상태, 손상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종래에는 체인(1)의 전체 인장 길이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단위 체인(1)들의 외관 이상 및 균열, 끊어짐, 파손 등에 대한 중요한 성형 이상 상태를 검사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와 같이 각각의 단위 체인(1)들의 성형 상태, 인장 상태, 손상 상태를 촬영하여 검사할 수 있으므로 체인(1)의 손상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는, 컨베이어 체인(1)들을 촬영하여 검사하다가 이상이 발생된 단위 체인(1)이 검사되면 이에 마킹수단(20)으로 직접 마킹한다. 따라서 연속 배열된 긴 길이의 단위 체인(1)들 중에서 실제 이상이 발생된 단위 체인(1)만을 정확하고 쉽게 식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체인(1)을 찾아서 보수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는, 마킹부재(25)로 고체의 크레용이 사용되며 이 크레용이 장착되도록 마킹수단(20)이 구비된다. 마킹부재가 잉크일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잉크가 굳으면서 잉크 배출구가 막히게 되는 문제가 있는 반면에, 크레용 재질의 마킹부재(25)는 장시간 경과하여도 마킹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초래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킹부재(25)를 마킹홀더(24)에 한번 장착시키면 크레용이 다 소모될 때까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는, 체인(1)에 대한 검사결과가 비젼컨트롤러(40)에 저장되고 호스트컴퓨터(70)에 전달되므로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체인(1)의 변화를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인의 변화 추이와 성형 이상에 따른 분석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는 이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킨 후 재설치하여서 원하는 부분을 검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방법을 보인 순서로로써, 이를 참조하여서 본 발명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검사할 체인(1)을 선택한 후 선택된 체인(1)에 대한 검사, 각종 설정 값을 비젼컨트롤러(40)에 입력하는 기준 데이터 입력단계(S10)를 갖는다.
기준 데이터 입력단계(S10) 후, 컨베이어 체인(1)을 구동시키며 구동되는 컨베이어 체인(1)을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로 촬영하여서 체인(1)의 성형 상태, 체인의 치수 변화, 체인의 파손 유무 등의 정보를 얻는 체인촬영단계(S20)를 갖는다.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제1카메라영상입력부(44) 및 제2카메라영상입력부를 통해 영상처리부(46)에 전달되며, 영상처리부(46)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제어부(41)에 전달된다.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가 체인(1)의 측면과 저면 또는 평면을 촬열할 때에 제1조명등(31) 및 제2조명등(32)을 조절하여서 촬영 주변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체인촬영단계(S20)에서 촬영된 데이터는 비젼컨트롤러(40)에 전달되며, 비젼컨트롤러(40)의 영상판독부(47)에서 이미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촬영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판독하는 데이터비교단계(S30)를 갖는다.
데이터비교단계(S30)에서 촬영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와 다르면 마킹수단(20)을 구동시켜서 해당 체인(1)에 마킹을 하는 마킹단계(S40)를 갖는다. 이 마킹단계(S40)에서, 마킹제어부(49)를 통해 실린더밸브(21)에 신호가 전달되며 실린더밸브(21)는 실린더(22)를 구동시켜서 실린더로드(23), 마킹홀더(24), 마킹부재(25)를 전진시킨다. 전진되는 마킹부재(25)는 해당 체인(1)에 인식마크를 찍게 된다.
촬영된 데이터값과 기준 데이터값의 차이가 허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컨베이어제어판넬(60)을 작동시켜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체인구동제어단계(S50)를 갖는다.
체인구동제어단계(S50)에서, 제어부(41)의 신호는 제어판넬출력부(50)를 통해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비젼컨트롤러(40)의 제어부(41)에서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신호가 전달되면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설치된 경고등이 울린다. 경고등을 본 작업자는 컨베이어 체인(1) 구동장치의 온/오프스위치를 오프시켜서 체인(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컨베이어제어판넬(60)이 컨베이어 체인(1) 구동장치의 구동모터에 직접 연결된 경우, 체인(1)에서 이상이 발생되어서 비젼컨트롤러(40)로부터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신호가 전달되면 컨베이어제어판넬(60)은 구동모터를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구동모터가 정지되면 이에 의해 제어되는 컨베이어 체인(1)도 자동 정지된다.
이와 같이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정보는 데이터저장단계(S60)에서 비젼컨트롤러(40)에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된 정보는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체인의 변화를 데이터 베이스화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며, 축적된 정보에 의해 체인의 변화 추이와 성형 이상에 따른 분석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촬영수단 및 카메라 조명수단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비젼컨트롤러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들을 보인 개략도
도 4는 비젼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마킹수단을 보인 개략도
도 5는 비젼컨트롤러의 구성도
도 6은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인 10 : 촬영수단
11 : 제1카메라 12 : 제2카메라
13 : 촬영스위치 20 : 마킹수단
21 : 실린더밸브 22 : 실린더
23 : 실린더로드 24 : 마킹홀더
25 : 마킹부재 30 : 카메라 조명수단
31 : 제1조명등 32 : 제2조명등
33 : 조명등제어부 40 : 비젼컨트롤러
41 : 제어부 42 : 메모리부
43 : 제어부입력부 44 : 제1카메라영상입력부
45 : 제2카메라영상입력부 46 : 영상처리부
47 : 영상판독부 48 : 카메라촬영부
49 : 마킹제어부 50 : 제어판넬출력부
51 : 제어판넬입력부 52 : 통신부
53 : 디스플레이부 60 : 컨베이어제어판넬
70 : 호스트컴퓨터

Claims (8)

  1. 컨베이어 체인(1)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체인의 성형 상태, 체인의 치수 변화, 체인의 파손 유무 등을 촬영하는 촬영수단(10);
    상기 컨베이어 체인(1)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이상이 발생된 체인에 인식마크를 표시하는 마킹수단(20);
    상기 체인(1)의 촬영 신호를 전달받도록 상기 촬영수단(10)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수단(10)으로부터 전달된 영상 정보와 이미 입력된 상기 컨베이어 체인(1)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비교, 검토하여 이상이 발생된 체인(1)에 마킹하도록 상기 마킹수단(20)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비젼컨트롤러(40);
    상기 비젼컨트롤러(40)에 연결되어서 체인(1) 검사시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비젼컨트롤러(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1)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컨베이어제어판넬(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10)은,
    상기 체인(1)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그 측면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11)와,
    상기 체인(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서 그 평면 또는 저면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12)와,
    상기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온/오프키시는 촬영스위치(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수단(20)은,
    컨베이어 체인(1)의 일측에 설치되며 비젼컨트롤러(40)에 연결되어서 상기 비젼컨트롤러(40)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실린더밸브(21)와,
    상기 실린더밸브(21)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제어되는 실린더(22)와,
    상기 실린더(22)에 설치되어서 왕복이송되는 실린더로드(23)와,
    상기 실린더로드(23)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이와 함께 왕복이송되는 마킹홀더(24)와,
    상기 마킹홀더(24)에 결합되어서 이상이 발생된 체인에 마킹하는 마킹부재(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재(25)는,
    크레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되는 체인(1)을 조명하여서 상기 체인(1) 주변의 조도를 높이는 카메라 조명수단(3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조명수단(30)은,
    상기 체인(1)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카메라(11)가 촬영하는 체인(1)의 측면을 조명하는 제1조명등(31)과,
    상기 체인(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카메라(12)가 촬영하는 체인(1)의 평면 또는 저면을 조명하는 제2조명등(32)과,
    상기 제1조명등(31) 및 제2조명등(32)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조명등제어부(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컨트롤러(40)는,
    제어부(41)와,
    상기 제어부(41)에 연결된 메모리부(42)와,
    상기 제어부(41)에 연결되어서 이에 정보를 입력, 수정, 삭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입력부(43)와,
    상기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제1카메라영상입력부(44) 및 제2카메라영상입력부(45)와,
    상기 제1카메라영상입력부(44), 제2카메라영상입력부(45) 및 제어부(41)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1카메라영상입력부(44), 제2카메라영상입력부(45)에 전달된 영상 신호를 제어부(41)에 전달하는 영상처리부(46)와,
    상기 제어부(41)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41)에 전달된 영상 신호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47)와,
    촬영스위치(13)와 제어부(41)에 연결되어서 촬영스위치(13)의 신호를 제어부(41)에 전달하는 카메라촬영부(48)와,
    상기 마킹수단(20)과 제어부(41)에 연결되어서 제어부(41)에서 판독된 영상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마킹수단(20)에 신호를 전달하여서 이를 제어하는 마킹제어부(49)와,
    상기 제어부(41)와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어부(41)에서 판독된 영상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신호를 전달하여서 이를 제어하는 제어판넬출력부(50)와,
    상기 제어부(41)와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 연결되어서 상기 컨베이어제어판넬(60)에서 처리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41)에 전달하는 제어판넬입력부(51)와,
    상기 제어부(41)와 외부의 호스트컴퓨터(70)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어부(41)의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52)와,
    상기 제어부(41)에 연결되어서 제어부(41)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체인 비젼 검사장치.
  8. 검사할 체인(1)을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체인(1)에 대한 검사, 각종 설정값을 비젼컨트롤러(40)에 입력하는 기준 데이터 입력단계(S10);
    컨베이어 체인(1)이 구동되면 촬영수단(10)에 의해 체인(1)의 성형 상태, 체인의 치수 변화, 체인의 파손 유무 등을 촬영하는 체인촬영단계(S20);
    상기 체인촬영단계(S20)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상기 비젼컨트롤러(40)에 전달 받아서 이미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독하는 데이터비교단계(S30);
    상기 데이터비교단계(S30)에서 촬영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와 다르면 마킹수단(20)을 구동시켜서 해당 체인(1)에 마킹을 하는 마킹단계(S40);
    촬영된 데이터값과 기준 데이터값의 차이가 허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컨베이어제어판넬(60)을 작동시켜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체인구동제어단계(S50);
    측정된 데이터를 비젼컨트롤러(40)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방법.
KR1020070106114A 2007-10-22 2007-10-22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10081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114A KR100815211B1 (ko) 2007-10-22 2007-10-22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114A KR100815211B1 (ko) 2007-10-22 2007-10-22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211B1 true KR100815211B1 (ko) 2008-03-19

Family

ID=3941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114A KR100815211B1 (ko) 2007-10-22 2007-10-22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2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93B1 (ko) 2016-04-22 2016-06-2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롱피치형 롤러체인 어셈블리용 마모시험장치
KR101647333B1 (ko) 2016-04-20 2016-08-1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롱피치형 롤러체인 어셈블리의 마모시험장치
CN116697941A (zh) * 2023-06-25 2023-09-05 安徽黄山中友链条制造有限公司 一种平顶链平面度光学检测设备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3316A (ja) 1996-08-08 1998-02-24 Fanuc Ltd コンベアの滑り量計測方法並びにロボットのトラッキング動作補正方法
KR19980042497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컨베이어 벨트용 손상부 검출 장치
KR19990050911A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부검출방법
KR20010060715A (ko) * 1999-12-27 2001-07-07 이구택 벨트콘베이어 결함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3316A (ja) 1996-08-08 1998-02-24 Fanuc Ltd コンベアの滑り量計測方法並びにロボットのトラッキング動作補正方法
KR19980042497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컨베이어 벨트용 손상부 검출 장치
KR19990050911A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부검출방법
KR20010060715A (ko) * 1999-12-27 2001-07-07 이구택 벨트콘베이어 결함검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333B1 (ko) 2016-04-20 2016-08-1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롱피치형 롤러체인 어셈블리의 마모시험장치
KR101631693B1 (ko) 2016-04-22 2016-06-2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롱피치형 롤러체인 어셈블리용 마모시험장치
CN116697941A (zh) * 2023-06-25 2023-09-05 安徽黄山中友链条制造有限公司 一种平顶链平面度光学检测设备及方法
CN116697941B (zh) * 2023-06-25 2024-02-20 安徽黄山中友链条制造有限公司 一种平顶链平面度光学检测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1563B (zh) 一种pcb电路板缺陷自动检查设备
US7518632B2 (en) Endoscope device
US80592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ng tire surface
KR101067647B1 (ko) 정밀나사용 헤드 측면부의 크랙검사장치
KR100815211B1 (ko) 컨베이어 체인 비젼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20190024750A (ko) 나사 연결부의 문서화된 조임 또는 꽉 조임 방법
KR100814062B1 (ko)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투과 가능한 판재의 자동 결함 검사시스템 및 자동 결함 검사방법
CN104697750B (zh) 一种led光源板的测试机
KR20070098189A (ko) 미세공구의 검사방법
CN116258688A (zh) 一种啤酒空瓶检测方法及装置
KR100550289B1 (ko) 디더블류티티 연성 및 취성 파단면 검출용 조명장치
KR100564259B1 (ko) 영상처리방법을 이용한 온라인 봉강재 표면시험검사장치
KR20100019656A (ko) 코일 스프링 권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763240B1 (ko) 액정 모니터용 내부케이스의 나사홀 불량검사방법
KR100506590B1 (ko) 배면 광원을 구비한 키패드 검사장치
CN114798501B (zh) 一种电子产品外观检查装置
JP2005283199A (ja) センサーユニットおよび該センサーユニットを用いた印刷状態検査装置
KR100206365B1 (ko) 스크류 자동 불량 판별기
KR20190009487A (ko) 오일 필터용 보강판 불량 검사 시스템
KR101041537B1 (ko) 반도체 소자 영상 검사 시스템의 반도체 소자 고정용 디바이스 클램핑 장치
CN219292098U (zh) 一种啤酒空瓶检测图像获取装置
KR102549486B1 (ko) Pcb 재활용을 위한 pcb 검사 및 수리장치
JP2011123056A (ja) 製品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220526012U (zh) 一种螺纹孔入胶检验装置
CN216310290U (zh) 一种销子漏装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