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332B1 - 개펄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개펄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332B1
KR100814332B1 KR1020060118343A KR20060118343A KR100814332B1 KR 100814332 B1 KR100814332 B1 KR 100814332B1 KR 1020060118343 A KR1020060118343 A KR 1020060118343A KR 20060118343 A KR20060118343 A KR 20060118343A KR 100814332 B1 KR100814332 B1 KR 100814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drying
installing
supplying
reclaimed 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광호
Original Assignee
(유) 강원건설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강원건설중기 filed Critical (유) 강원건설중기
Priority to KR1020060118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펄(진흙)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펄을 자동차로 운반하여 한 곳에 모아 적재하여 매립할 때 개펄에 공기를 공급하여 빠르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개펄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간격 유지핀(14)에 의하여 간격(A)을 유지하는 통기 공간(16)을 갖고 하측면이 바닥면(30)에 박힐 수 있도록 깊이(B)를 갖는 파일부(11)가 형성되고 이 파일부(11)의 상측면에 공기가 접촉하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다수의 수분 배출홀(13)이 노출부(12)가 높이(C)를 갖도록 형성하는 분리판(10)이 용접선(15)을 따라 연속해서 연결되어 개펄(31)을 매립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개펄, 분리판, 통기 공간, 보일러

Description

개펄 건조장치{A desiccator of mud}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분리판에 대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분리판에 대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분리판을 설치하여 개펄을 공급한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분리판을 조립하기 이전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분리판을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분리판이 설치된 장소에 개펄을 공급하는 설치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분리판에 보일러를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분리판에 보일러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리판 11 : 파일부
12 : 노출부 13 : 수분 배출홀
14 : 간격 유지핀 15 : 용접선
16 : 통기 공간 20 : 배수관
22 : 보일러실 23 : 보일러 파이프
30 : 바닥면 31 : 개펄
32 : 받침판
본 발명은 개펄(진흙)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펄을 자동차로 운반하여 한 곳에 모아 적재하여 매립할 때 개펄에 공기를 공급하여 빠르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개펄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연안국가들이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해안이나 논 등과 같은 연약지반을 매립하여 지반을 견고하게 다진 후 그 위에 공단 등을 조성하는 사례가 많았다. 상기와 같은 많은 예 중에서 해안매립지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해안매립시의 과정은 먼저 바다에 제방이나 물막이 공사를 한 후 호수를 만든 다음 바다 쪽의 흙을 물과 함께 슬러지 상태로 만들어서 호수로 퍼 올리는 물다짐 공법을 한 다음 지반에 남아 있는 물을 배수시킨 후 흙을 메워서 지반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약지반에 남아있는 물을 배수시키면 지표면에 개펄이 형성되어 나타 나게 된다. 이때 지표면에 모래 등을 깔아서 지반을 견고하게 다진다. 그런 다음 지하 깊숙이 남아 있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서 연약지반에 장비가 투입하여 수직 배수재를 다량 수직으로 심어주게 되면, 연약지반에 남아 있는 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직배수재의 코어를 감싸고 있는 부직포로 스며들어 코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부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승하는 물은 매립지 밖으로 배수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모세관 작용에 의해 연약지반의 깊숙이 고여있는 물이 외부로 배수되면 연약지반은 침하하면서 단계 성토하여 지반을 안정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수직배수재의 사용은 지하 깊숙이 남아 있는 물이 자연적인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게 하여 지표를 안정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방치하여야만 지반을 안정화하는데, 이때 상기 매립지로 장비가 투입될 때까지 매립지반의 물이 배수되어 다져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려서 매립조성이 늦게 이루어지는 불편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매립지에는 물이 없는 상태 즉 지반이 견고해진 상태에서 장비가 투입되어 수직 배수재를 지하로 삽입하게 되는 데, 공기를 단축하기 위해서 물이 있는 상태에서도 장비를 투입하여야만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매립지에 흙이나 모래 등을 반입하여 지반을 돋아야 하므로 많은 양의 흙과 모래를 필요로 하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수직 배수재는 코어의 배수 단면적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지하에 남아 있는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승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야기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개펄을 자동차로 옮겨서 지면에 공급하는 방법으로 매립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나 개펄이 바닥에 공급된 후 다음 자동차의 바퀴가 빠져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으며, 받침판(32)과 같은 것으로 이동로를 확보하여 개펄로 채운다 해도 개펄의 수분이 쉽게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건조되기까지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개펄이 발생하지만 이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재활용할 수 있지만 많은 면적을 필요로 하고, 건조한 후 재활용하는 것이 경제적이지 못하여 시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닥면에서 지하에 일정한 깊이로 박혀 세워지는 분리판을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하여 개펄을 높이 쌓아 분리판의 사이로 공기가 공급되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펄을 매립지에 공급하여 건조한 후 사용하거나, 건조한 개펄을 공급하여 일반 흙과 같이 매립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개펄 건조장치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의 갯벌이나 개펄은 60∼70%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자동차(33)에 적재하여 운반한 후 공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공간을 이루는 분리판(10)은 하측으로 아무런 모양이 없는 파일부(11)를 두고 이 파일부(11)의 상측에 수분 배출홀(13)을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노출부(12)를 설치하며, 이 노출부(12)를 양측에 세워 간격 유지핀(14)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통기 공간(16)이 제공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파일부(11)는 바닥면(30)의 속으로 박히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대략 깊이(B)는 50∼150cm 가 적합하고, 노출부(12)의 간격(A)은 20∼50cm, 노출부(12)의 높이(C)는 2∼20m 가 바람직하며, 노출부(12)에 형성한 수분 배출홀(13)은 1∼5mm 가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판(10)은 금속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토압을 견딜 수 있는 FRP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류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 분리판(10)의 길이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성형성 및 이동성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닥면(30)에 파일부(11)를 박아 설치하되, 용접선(15)과 같이 분리판(10)을 서로 맞대기 용접하는 방법으로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판(10)의 저면 한 부분에는 필요한 경우 배수관(20)을 서로 연결하여 개펄(31)에서 발생하는 물을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분리판(10)을 설치하는 간격은 2∼12m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분리판(10)이 연속해서 설치함으로써 통기 공간(16)이 확보되어 공기가 충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통기 공간(16)에는 필요한 경우 보일러 파이프(23)를 설치하여 보일러실(22)에 연결함으로써 더운 바람을 공급하여 개펄(31)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개펄(31)이나 진흙을 매립 또는 보관할 수 있는 면적이 설정되면, 노출부(12)가 양쪽에서 간격 유지핀(14)으로 연결된 분리판(10)을 바닥면(30)에 박아 고정하는 것이다.
분리판(10)을 바닥면(30)에 박아 고정하는 경우에는 노출부(12)의 높이에 따라서 바닥면(30)에 박히는 깊이(B)는 50∼150cm 의 범위에서 결정하여 박으면 노출부(12)가 20∼50cm의 간격(A)을 두고 박히며, 노출부(12)는 2∼20m의 높이(C)를 갖고 노출된다.
여기서 분리판(10)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하는 간격은 2∼12m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일렬로 설치하되, 분리판(10)은 용접선(15)을 따라서 일체형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판(10)은 추후에 분리하지 않을 것이므로 용접선(15)을 따라 용접한 것이며, 필요한 경우 요철을 두어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펄(31)을 매립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후에는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펄(31)을 자동차(33)로 옮겨와 일정한 높이로 매립하는 것이며, 개펄(31)을 매립할 때 자동차(33)의 바퀴가 빠져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번호 제10-525504호(중장비용 습지작업 장치, 2005. 10. 25. 등록)인 받침판(32)을 설치하여 자동차(33) 및 중장비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여 제공한다.
그리하여,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판(10)으로 인하여 형성한 공간에 개펄(31)을 매립한 후에는 노출부(12)의 간격(A)이 간격 유지핀(14)에 의하여 유지되므로 이 통기 공간(16)에 공기가 충분하게 이동하면서 수분 배출홀(13)을 통하여 개펄(31)과 접촉하면서 건조하게 되며, 통기 공간(16)은 외부에서 공기가 항상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개펄(31)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펄(31)이 매립된 후에는 개펄(31)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수분 배출홀(13)을 통하여 통기 공간(16)으로 배출하고, 배출하는 수분은 하측으로 흘러내려 바닥에 모여지게 된다.
바닥에 모여진 수분은 분리판(10)의 한 부분에 배수관(20)을 연결하여 배수관(20)의 어느 한 부분에서 외부로 펌핑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노출부(12)에 형성한 수분 배출홀(13)은 1∼5mm 가 바람직하며, 개펄(31)은 상호간에 점착력이 있으므로 수분 배출홀(13)로 배출하지 않고 분리판(10)의 내부에서 매립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건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통기 공간(16)으로 공기가 충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개 펄(31)의 매립상태에서 상측은 물론 내부 깊숙한 부분까지도 동일하게 공기가 접촉하면서 건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개펄(31)을 더욱 신속하게 건조하기 위해서는 도 8 과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일러실(22)에서 보일러를 가동하여 통기 공간(16)에 연결한 보일러 파이프(23)를 통하여 온수나 스팀과 같은 난방류를 순환시켜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분리판(10)의 전체면을 가열(난방)하여 개펄(31)이 더욱 빨리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펄(31)이 건조되면 통기공간(16)에도 개펄(31)을 채워 매립한 후 공장대지 또는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건조한 개펄(31)을 다시 자동차(33)에 적재하여 매립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공급하여 재활용과 함께 이로 인한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면에서 지하에 일정한 깊이로 박혀 세워지는 분리판을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하여 개펄을 높이 쌓아 매립한 후 분리판의 사이인 통기 공간으로 공기가 공급되어 신속하게 자연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노출부에 다수의 수분 배출홀을 형성하여 공기가 개펄과 접촉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개펄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리판이 용접선을 따라서 연속해서 연결이 가능하므로 개펄의 양 이나 매립지의 면적에 따라서 건조할 수 있는 양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개펄을 매립지에 공급하여 건조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한 개펄을 공급하여 일반 흙과 같이 매립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3)

  1. 개펄(31)을 매립하여 건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간격 유지핀(14)에 의하여 20∼50cm의 간격(A)을 유지하는 통기 공간(16)을 갖고 하측면이 바닥면(30)에 박힐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B)를 갖는 파일부(11)가 형성되고 이 파일부(11)의 상측면에 공기가 접촉하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다수의 수분 배출홀(13)을 형성한 노출부(12)가 소정의 높이(C)를 갖도록 형성하는 분리판(10)이 용접선(15)을 따라 연속해서 연결되어 개펄(31)을 매립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펄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60118343A 2006-11-28 2006-11-28 개펄 건조장치 KR100814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43A KR100814332B1 (ko) 2006-11-28 2006-11-28 개펄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43A KR100814332B1 (ko) 2006-11-28 2006-11-28 개펄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332B1 true KR100814332B1 (ko) 2008-03-18

Family

ID=3941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343A KR100814332B1 (ko) 2006-11-28 2006-11-28 개펄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3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3896A (zh) * 2020-06-10 2020-09-18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一种带孔固沙板的制作系统、制作方法及带孔固沙板
KR102408485B1 (ko) 2021-08-31 2022-06-13 주식회사 강원건설 개펄 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394B1 (ko) 1997-03-24 2000-03-15 김종천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연약지반의 고화구조
KR20050102265A (ko) * 2004-04-21 2005-10-26 주식회사 준건설 연약지반의 강화장치 및 연약지반 강화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394B1 (ko) 1997-03-24 2000-03-15 김종천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연약지반의 고화구조
KR20050102265A (ko) * 2004-04-21 2005-10-26 주식회사 준건설 연약지반의 강화장치 및 연약지반 강화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3896A (zh) * 2020-06-10 2020-09-18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一种带孔固沙板的制作系统、制作方法及带孔固沙板
KR102408485B1 (ko) 2021-08-31 2022-06-13 주식회사 강원건설 개펄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6336C (en) Subsurface fluid drainage and storage systems
US7909535B2 (en) Soil drainage system
CA2509740C (en) Multi-planar gas recovery bioreactor
US588502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ing leachate using submerged counterflow sink
US20070048088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withdrawing or supplying substances from/to a soil body
KR100814332B1 (ko) 개펄 건조장치
US8292543B2 (en) Multi-planar gas recovery bioreactor
US119879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derground storage of storm and other water sources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JP3243501B2 (ja) 地下水位低下装置、地盤改良方法およびストレーナ装置
JP2012255250A (ja) 雨水処理施設
JP6037770B2 (ja) 排水システムおよび排水方法
US5163780A (en) Method of modifying the soil permeability for septic systems
KR101374622B1 (ko)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100635927B1 (ko) 건축물 경사면 보강 공법
KR101080088B1 (ko) 생태환경을 고려한 저류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2408485B1 (ko) 개펄 건조장치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1194052B1 (ko) 우기시의 도로 오염수 정화용 보강토옹벽구조물
KR101577187B1 (ko) 상하수도관로 침하방지구조
EP0910709B1 (en) Method of consolidating watery ground
JP2003293437A (ja) 雨水地下浸透設備及び雨水地下浸透工法
RU2396430C1 (ru) Способ рекультивации секции гидроотвала, заполненной зернистыми отходами промышленных предприятий
KR20020020008A (ko) 부력방지와 안정적 담수위를 유지하는 수자원 지하비축시설의 시공방법
JP2022000560A (ja) 凍上防止システムおよび凍上防止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