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194B1 -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194B1
KR100814194B1 KR1020070018215A KR20070018215A KR100814194B1 KR 100814194 B1 KR100814194 B1 KR 100814194B1 KR 1020070018215 A KR1020070018215 A KR 1020070018215A KR 20070018215 A KR20070018215 A KR 20070018215A KR 100814194 B1 KR100814194 B1 KR 100814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air suction
tank
dissolved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대
Original Assignee
박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대 filed Critical 박용대
Priority to KR1020070018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내부에 저장하고 내부에 산소용해부가 설치된 탱크; 상기 탱크의 측면으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기흡입구; 상기 탱크의 상부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흡입구; 상기 탱크의 외부에 설치된 고압펌프에 의해 상기 탱크의 내부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고압라인; 상기 고압라인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흡입구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물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고압노즐; 상기 제2공기흡입구의 아래에 0.2~0.3mm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공기흡입분출구; 상기 고압노즐, 상기 제2공기흡입구 및 상기 제1공기흡입구의 단부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흡입분출구가 설치된 흡입공기분사통; 및 상기 흡입공기분사통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분출구를 통해 분사된 공기 및 물을 튀게 하는 세라믹충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에 의하면,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수중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 용존산소, 공기, 분사, 펌프

Description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AN APPARATUS FOR INCREASING DISSOLVED OXYGEN IN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의 산소용해부 및 흡입공기분사통 부근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압펌프 11 : 고압라인
12 : 고압노즐 12r : 오목부
20 : 다단펌프 21 : 순환라인
22 : 순환노즐
30 : 제1공기흡입기 31 : 철망
32 : 제1필터 33 : 제2필터
34 : 세라믹판 35 : 열판
36 : 온도조절판 37 : 제1공기흡입구
40 : 제2공기흡입기 47 : 제2공기흡입구
47a : 분사압력구
50 : 산소용해부 51 : 원형수막판
52 : 원형수막돌출부 53 : 이중담수통
54 : 사선유입구 55 : 원형수막층
56 : 흡입공기분사통 57 : 공기흡입분출구
57a : 공기흡입압력구 57b : 분사배출구
58 : 세라믹충돌판 59 : 지지대
70 : 세라믹부산물 제거장치
80 : 수량조절장치
90 : 탱크
본 발명은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속에 용해되는 산소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수질오염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수중 용존산소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즉, 수중 용존산소 가 많을수록 깨끗한 물로 인식되고, 생물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존산소(溶存酸素, dissolved oxygen: DO)라 함은 물 또는 용액 속에 녹아 있는 분자상태의 산소를 말하는 것이다. 20℃, 1atm의 대기하에서 순수(純水)의 DO는 9ppm에서 포화상태에 이르는데, 이 값은 온도가 오르면 감소하고, 대기압이 오르면 증가한다. 또 다른 용해 성분의 영향도 받는다.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데는 윙클러법·미러법 등의 적정법(滴定法), 특수한 전극을 이용한 전기적 측정법 등이 있다.
물속에서 생활하는 어패류(魚貝類)·호기성(好氣性) 미생물은 용존산소를 호흡하며, 물속에 있는 유기물은 이것에 의해서 산화분해되기 때문에, 용존산소의 부족은 단지 어패류의 사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유기물 등이 잔류하여 물의 오탁을 가져오게 된다. 이렇게 수중 용존산소는 물속에 있는 생명체뿐만 아니라, 물이 필수적인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생체의 약 70%가 물로 이루어진 인간뿐만 아니라, 인간의 식량이 되는 식물 또는 동물의 재배나 생육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다.
이렇듯 중요한 수중 용존산소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종래부터 다양한 기술이 소개되어 왔다. 그 일례는 어항 속의 물에 공기를 계속 공급함으로써 그 기포 중의 일부가 물에 용해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어항 속의 용존산소를 일정농도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수중 산소농도를 자연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는 있어도, 고농도의 용존산소를 가진 물을 제조할 수는 없었다.
최근에는, 오염된 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정화하는 산소용해장치나 용존산소농도가 높은 음료를 제조하는 산소발생장치로서, 긴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에 산소를 직접 공급함으로써 용존산소를 증가시키는 장치가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공기로부터 산소를 분리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장치가 복잡해져서 큰 공간을 차지하며, 직접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일반 물에 비해 산소농도증가의 양이 그리 크지 않고 효율면에서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수중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내부에 저장하고 내부에 산소용해부가 설치된 탱크; 상기 탱크의 측면으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기흡입구; 상기 탱크의 상부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흡입구; 상기 탱크의 외부에 설치된 고압펌프에 의해 상기 탱크의 내부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고압라인; 상기 고압라인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흡입구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물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고압노즐; 상기 제2공기흡입구의 아래에 0.2~0.3mm의 간격을 두 고 설치된 공기흡입분출구; 상기 고압노즐, 상기 제2공기흡입구 및 상기 제1공기흡입구의 단부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흡입분출구가 설치된 흡입공기분사통; 및 상기 흡입공기분사통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분출구를 통해 분사된 공기 및 물을 튀게 하는 세라믹충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는, 상기 탱크 내부의 물을 상기 탱크 외부에 설치된 다단펌프를 통해 순환시키는 순환라인; 및 상기 흡입공기분사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라인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이 흘러내리면서 원형수막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원형수막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압노즐은 그 단부 가까이에 지름이 줄었다 늘어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공기흡입구의 단부 부근에서는 상기 오목부 지점에서부터 하단의 분사압력구까지 지름이 점점 작아지며, 상기 공기흡입분출구는 상단에 상기 제2공기흡입구의 분사압력구 지름보다 약간 더 큰 지름을 갖는 공기흡입압력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흡입압력구로부터 지름이 점점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흡입구 및 제2공기흡입구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기 및 제2공기흡입기는, 각각 내부에 철망, 다수의 필터 및 다수의 세라믹판이 공기흡입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세라믹판 사이에는 다수의 열판이 배치되어 세라믹판을 통과하는 공기에 열을 공급하며, 상기 열판에 공급되는 열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의 산소용해부 및 흡입공기분사통 부근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산소용해부(50)가 설치되고 용존산소가 증가된 물이 저장되는 탱크(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탱크(90)의 외부에는 탱크(9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미도시)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탱크(90)의 외부에는 후술하는 고압펌프(10), 고압라인(11), 다단펌프(20), 순환라인(21), 제1공기흡입기(30) 및 제2공기흡입기(40) 등이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탱크(90)에 저장되어 있는 물로서 용존산소가 증가된 물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구도 탱크(90)에 연결되어 있다.
제1공기흡입구(37)는 탱크(90)의 측면에 설치되어 흡입공기분사통(56)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한다. 제2공기흡입구(47)는 탱크(90)의 상면에 설치되어 고압노즐(12)을 통해 분사되는 물과 함께 흡입공기분사통(56) 내에 있는 공기흡입분출구(57)의 공기흡입압력구(57a)로 유입된다.
고압노즐(12)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탱크(90)의 외부에 설치된 고압펌프(10)에 의해 고압라인(11)을 통해 탱크(90) 내부로 고압으로 공급되고 제2공기흡입구의 하단부의 내부에서 제2공기흡입기(40)에 의해 공급된 공기와 함께 분사되는 것이다. 제2공기흡입구(47)의 아래에 설치된 공기흡입분출구(57)는, 분사압력구(47a)와 공기흡입압력구(57a) 사이에 0.2~0.3mm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공기분사통(56)으로는 상면에서 제2공기흡입구(47)와 고압노즐(12)이 연결되어 있고, 측면에서는 제1공기흡입구(37)가 연결되어 있으며, 분사 또는 유입된 물과 공기는 공기흡입분출구(57)의 분사배출구(57b)를 통해 아래로 배출된다.
흡입공기분사통(56)의 아래에는 세라믹충돌판(58)이 지지대(59)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서, 공기흡입분출구(57)를 통해 분사된 공기 및 물을 튀게 해서 원형수막층(55)을 이루는 물과 다시 접촉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압라인(11)과는 별도로 탱크(90) 내부의 물을 상기 탱크(90) 외부에 설치된 다단펌프(20)를 통해 순환시키는 순환라인(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순환라인(21)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은 흡입공기분사통(56)의 상부에 설치된 원형수막판(51)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원형수막층을 형성한다. 원형수막판(51)은 중앙부에 제2공기흡입구(47)가 통과하고 이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이중담수통(53)이 원형수막판(5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순환라인(21)의 순환노즐(22)을 통해 계속 공급되는 물은 이중담수통(53)을 채우게 되고, 원형수막판(51)의 최상부의 원형 테두리인 원형수막돌출부(52)를 흘러넘쳐서 자연히 원형수막판(51)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흘러내리는 물은 원형수막층(55)을 형성하게 되고, 세 라믹충돌판(58)에서 되튀는 물과 다시 접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산소용해부(50)에서, 상기 고압노즐(12)은 그 단부 가까이에 지름이 줄었다 늘어나는 오목부(12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파이프 형상은, 고압의 물이 고압노즐(12)을 통해 분사될 때, 유체역학적으로 그 분사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2공기흡입구(47)의 단부도 오목부(12r)를 둘러싸는 지점에서부터 분사압력구(47a)까지 그 지름이 점점 줄어들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흡입분출구(57) 상단에 있는 공기흡입압력구(57a)는, 분사되는 물과 공기가 유입될 수 있을 정도로 분사압력구(47a)의 지름보다 약간 더 큰 지름을 갖는 공기흡입압력구(57a)가 형성되어 있고, 이로부터 공기흡입분출구(57)의 전체 높이 중 중간 높이까지 그 지름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공기흡입구(37) 및 제2공기흡입구(47)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기(30) 및 제2공기흡입기(40)는, 각각 내부에 철망(31), 다수의 필터(32, 33) 및 다수의 세라믹판(34)이 공기흡입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제1공기흡입기(30)의 내부 단면도만을 확대하여 도시하였지만, 제2공기흡입기(40)의 내부에도 제1공기흡입기(30)의 내부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다수의 세라믹판(34) 사이에는 다수의 열판(35)이 배치되어 세라믹판(34)을 통과하는 공기에 열을 공급하고, 제1공기흡입기(30)의 외면에는 온도조절판(36)이 설치되어 있어서 열판(35)에 공급되는 열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탱크(90)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고압펌프(10)에 의해 압력이 증가된 상태에서 고압라인(1)을 따라 고압노즐(12)로 이동된다. 이 고압노즐(12)은 설치환경에 따라 압력을 조절한다. 분사되는 물은 압력의 정도에 따라 농도의 차이를 보여 용존산소의 함유상태는 달라진다.
고압노즐(12)로부터 분사되는 물은, 제1공기흡입기(30)에 의해 흡입되어 제1공기흡입구(37)를 통해 흡입공기분사통(56) 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분사된다. 여기서, 제1공기흡입기(3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련의 필터와 열판 등이 구비된다. 공기흡입측에서부터 철망(31)은 큰 이물질을 제거하는 첫번째 철망과 이보다 작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두번째 철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세먼지는 제1필터(32)에 의해 일차적으로 제거되고 더욱 미세한 먼지는 제2필터에 의해 이차적으로 제거된다. 이렇게 불순물이 제거된 공기는 세라믹판(34)을 통과하게 되면서 분사되는 물의 활성도가 높아진다. 이 세라믹판은 열판(35)으로 가열함으로써 공기의 온도를 높여준다. 온도조절판(36)은 열판(35)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통과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고 용도에 따라 자동설정을 한다. 따뜻한 공기는 분사되는 물과 혼합되어 활성도를 높여 산소가 많이 녹게 한다.
흡입된 공기는 흡입공기분사통(56)으로 유입되어 골고루 분산되면서 들어간다. 한편 고압노즐(12)에서 분사되는 물은 제2공기흡입구 파이프라인의 끝부분에 의해 압력이 증가된다. 제2공기흡입구 파이프라인의 끝부분은 원뿔형으로 되어 있어 끝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데, 그 단부에 있는 분사압력구(47a)로 가면서 압력이 증가되어 속도를 높임과 동시에 분사되는 물의 각도를 조절하여 아래에 있는 공기흡입압력구(57a)로 유입된다. 공기흡입압력구(57a)는 분사압력구(47a)보다 입구가 넓은데, 이는 분사압력구(47a)에서 분사되는 물을 용이하게 흡입시킴과 동시에 각도의 차이에 의해 공기를 강력하게 흡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물은 공기의 회전 저항에 의해 물입자와 공기입자가 충돌하면서 산소가 일차적으로 용해되기 시작한다. 산소가 일차적으로 용해된 물은 공기흡입분출구(57)를 통해 분사배출구(57b)로 가서 배출된다.
이렇게 분출된 물은 세라믹충돌판(58)에 부딪혀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안개모양으로 형성되어 산소와 더 잘 결합된다. 세라믹충돌판(58)은 표면이 거칠어 물입자가 불규칙적으로 반사되게 하여 물입자간의 부딪힘을 증대시키고, 또 흩어진 물입자는 원형수막층(55)과 부딪혀 산소를 머금은 상태에서 밑으로 떨어지게 되며, 물입자로부터 산소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라믹충돌판(58)은 지지대(59)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중담수통(53)과 결합되어 있어서 교환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탱크(90) 내부에 있는 물은 다단펌프(20)를 통해 순환라인(21)으로 가서 이중담수통(53)으로 들어간다. 이중담수통(53)에 들어간 물 중 일부는 이중담수통(53)을 통과하는 제2공기흡입구(47)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사선유입구(54)를 통해 제2공기흡입구(47)의 통로로 유입되고, 밑으로 미끄러지듯 내려가 서 고압노즐(12)에서 분사된 물과 합쳐져 내려간다. 이중담수통(53)의 다른 일부의 물은 원형수막돌출부(52)를 흘러넘쳐서 원형수막판(51)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이 물은 우산모양의 원형수막층(55)을 만들게 되므로, 넓게 펼쳐진 원형수막층(55)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고압노즐(12)에서 분사된 물을 일정범위 안에서 혼합되게 하여 물속의 산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원형수막돌출부(52)는 물의 표면장력을 높여 원형수막판(51)에서 가능한 한 빈 공간이 없도록 우산모양으로 펼치는 역할을 한다.
내부에 떨어진 물은 수량조절장치(80)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량이 조절되며, 탱크 내부에 고인 물은 세라믹부산물제거장치(70)를 통해 불순물을 거른 상태에서 다단펌프(20)로 유입되어 순환라인(21)을 통해 이중담수통(53)으로 공급된다. 고압펌프(10)에 의해 고압라인(11)을 따라 순환되는 물도 이 세라믹부산물제거장치(70)를 통과함으로써 불순물을 거르고 물의 활성도를 높인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한다. 이렇게 산소용해부를 계속해서 순환되는 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존산소량이 많아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에 의하면,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수중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중 용존산소는 7ppm 정도이지만, 본 발명의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에 의하면 용존산소가 30ppm 이상의 고농도로 용해된 산소수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산소수는 음료수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친환경 내지 유기농 재배 및 농작물 저장 또는 관리에 이용할 수 있으며, 수족관에 공급되는 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내부에 저장하고 내부에 산소용해부(50)가 설치된 탱크(90);
    상기 탱크(90)의 측면으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기흡입구(37);
    상기 탱크(90)의 상부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흡입구(47);
    상기 탱크(90)의 외부에 설치된 고압펌프(10)에 의해 상기 탱크(90)의 내부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고압라인(11);
    상기 고압라인(11)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흡입구(47)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물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고압노즐(12);
    상기 제2공기흡입구(47)의 아래에 0.2~0.3mm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공기흡입분출구(57);
    상기 고압노즐(12), 상기 제2공기흡입구(47) 및 상기 제1공기흡입구(37)의 단부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흡입분출구(57)가 설치된 흡입공기분사통(56); 및
    상기 흡입공기분사통(56)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분출구(57)를 통해 분사된 공기 및 물을 튀게 하는 세라믹충돌판(58);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는,
    상기 탱크(90) 내부의 물을 상기 탱크(90) 외부에 설치된 다단펌프(20)를 통해 순환시키는 순환라인(21); 및
    상기 흡입공기분사통(56)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라인(21)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이 흘러내리면서 원형수막층(55)을 형성하도록 하는 원형수막판(51);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노즐(12)은 그 단부 가까이에 지름이 줄었다 늘어나는 오목부(12r)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공기흡입구(47)의 단부 부근에서는 상기 오목부(12r) 지점에서부터 하단의 분사압력구(47a)까지 지름이 점점 작아지며,
    상기 공기흡입분출구(57)는 상단에 상기 제2공기흡입구(47)의 분사압력구(47a) 지름보다 약간 더 큰 지름을 갖는 공기흡입압력구(57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흡입압력구(57a)로부터 지름이 점점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흡입구(37) 및 제2공기흡입구(47)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기(30) 및 제2공기흡입기(40)는, 각각 내부에 철망(31), 다수의 필터(32, 33) 및 다수의 세라믹판(34)이 공기흡입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세라믹판(34) 사이에는 다수의 열판(35)이 배치되어 세라믹판(34)을 통과하는 공기에 열을 공급하며,
    상기 열판(35)에 공급되는 열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판(3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KR1020070018215A 2007-02-23 2007-02-23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KR100814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215A KR100814194B1 (ko) 2007-02-23 2007-02-23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215A KR100814194B1 (ko) 2007-02-23 2007-02-23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194B1 true KR100814194B1 (ko) 2008-03-17

Family

ID=3941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215A KR100814194B1 (ko) 2007-02-23 2007-02-23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1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116B1 (ko) 2010-12-31 2013-01-11 주식회사 글로벌유니언 분수가 구비된 방사형 폭기 장치
KR101562708B1 (ko) * 2013-10-23 2015-10-22 오승환 Mnb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활용한 포장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36623A (ko) * 2015-05-20 2016-11-30 (주)웰니스앤 미세조류 배양장치
KR20200082890A (ko) * 2018-12-31 2020-07-08 김주래 솔향을 함유한 식용버섯 자동 재배시스템 및 재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973A (ko) * 1998-06-05 2000-01-15 정진도 고농도 폐수 처리 시스템
KR20030059749A (ko) * 2003-05-07 2003-07-10 한상배 교반, 포기, 간헐포기 기능이 구비된 포기장치와 이를이용한 하수고도처리방법
KR200345133Y1 (ko) 2003-09-20 2004-03-18 바이오닉스(주) 산소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973A (ko) * 1998-06-05 2000-01-15 정진도 고농도 폐수 처리 시스템
KR20030059749A (ko) * 2003-05-07 2003-07-10 한상배 교반, 포기, 간헐포기 기능이 구비된 포기장치와 이를이용한 하수고도처리방법
KR200345133Y1 (ko) 2003-09-20 2004-03-18 바이오닉스(주) 산소수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116B1 (ko) 2010-12-31 2013-01-11 주식회사 글로벌유니언 분수가 구비된 방사형 폭기 장치
KR101562708B1 (ko) * 2013-10-23 2015-10-22 오승환 Mnb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활용한 포장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36623A (ko) * 2015-05-20 2016-11-30 (주)웰니스앤 미세조류 배양장치
KR101721448B1 (ko) 2015-05-20 2017-03-30 한국바이오에너지 주식회사 미세조류 배양장치
KR20200082890A (ko) * 2018-12-31 2020-07-08 김주래 솔향을 함유한 식용버섯 자동 재배시스템 및 재배방법
KR102285251B1 (ko) * 2018-12-31 2021-08-04 김주래 솔향을 함유한 식용버섯 자동 재배시스템 및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194B1 (ko) 수중 용존산소 증가장치
WO2012132596A1 (ja) プラズマ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浄化装置
US6808625B1 (en) Aquarium protein skimmer
US20010000601A1 (en) Protein skimmer
KR101507052B1 (ko)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JP6460912B2 (ja) 船舶内で植物を育成する植物育成装置および植物育成方法
JP2006180829A (ja) 魚介類の収容装置
JP2012091098A (ja) 酸性ミストの除去処理方法、及びその除去処理装置
ES2399844T3 (es) Unidad de flotación de aire disuelto
CN109069683A (zh) 空气净化系统
JP2017099331A (ja) 鮮度維持装置及び鮮度維持方法
JP2017035275A (ja) 空気清浄装置
US7997232B2 (en) Aquarium
KR101783260B1 (ko) 초미세기포(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양식장
KR101691638B1 (ko) 습식공기청정기
KR102239314B1 (ko) 해수어 수족관용 스키머
KR20090072295A (ko) 수족관 정수장치
JP3762771B2 (ja) 曝気槽の消泡装置及び消泡方法
JP7384387B2 (ja) 排ガス処理装置
JP6850537B2 (ja) 空気清浄装置
KR200294611Y1 (ko) 수조의 산소공급시스템
JP3237572U (ja) 気体溶解装置
CN204918312U (zh) 一种脱氮脱气装置
KR101604462B1 (ko) 산소 용해기
CN212629797U (zh) 一种食品鼓泡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