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261B1 -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0261B1 KR100810261B1 KR1020070031472A KR20070031472A KR100810261B1 KR 100810261 B1 KR100810261 B1 KR 100810261B1 KR 1020070031472 A KR1020070031472 A KR 1020070031472A KR 20070031472 A KR20070031472 A KR 20070031472A KR 100810261 B1 KR100810261 B1 KR 1008102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portable terminal
- charging
- terminal
- volt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은 일반적인 TTA 충전 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TTA charging device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2A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의 구성도2b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충전 거치시키는 충전 거치대의 블록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가 휴대 단말기를 충전 거치 중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 단말기의 on/off 상태와 상관없이 휴대 단말기를 인식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enables the portable terminal to be recognized regardless of the on / off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harging cradle.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각종 정보의 저장, 저장된 정보의 가공 및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로서,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있다. 최근에는 노트북 컴퓨터가 소형화되면서 휴대성이 더욱 향상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무선 통신기술의 발달로, 노트북 컴퓨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어디서나 영화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거나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is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arry, store, process and output stored information, and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to the user. Such portable terminals include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erminal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ecently, as the notebook computer becomes smaller, portability is further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 environment in which a portable computer can be used to acces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watching movies or access the Internet anywhere is carried out.
최근 휴대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 능이 추가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메일, 인터넷, 게임 등과 같 은 기능을 비롯하여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데이터 및 화상까지 전달하는 멀티 미디어 기능도 계속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Recently,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portable terminal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users. In particular, multimedia functions that deliver data and images that are most frequently used, as well as functions such as e-mail, the Internet, and games using a mobile terminal are continuously being added.
한편, 휴대 단말기들을 이용함에 있어서, 이동 중에도 안정적인 전원을 확보하는 것은 휴대 단말기의 선택에 주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한국 정보통신기술협회(TTA :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에서는 동일한 규격 또는 방식의 충전기 표준안을 제정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using mobile terminals, securing a stable power supply on the go has become a major criterion for the selection of mobile terminals. Accordingly, the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TTA) proposes a charger standard of the same standard or method. Was established.
TTA 충전기의 표준안은 단말기에 장착된 데이터 통신용 잭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단말기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표준화가 추진되었다.Standardization of the TTA charger has been standardized in such a way that the terminal can be charged anytime and anywhere by connecting a power supply to a data communication jack mounted on the terminal.
TTA 충전기 표준안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입출력 커넥터를 이용한 여행형 충전기 방식으로 통일하고, 입출력 커넥터의 외형적인 공통규격 커넥터 핀수를 24핀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TTA 충전기 표준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삽입식 입출력단자를 24핀으로 만들어 배터리 충전용 7핀, 핸즈프리용 5핀, 데이터통신용 8핀을 각각 할당하고 나머지 4개 핀을 여유선택용으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4개의 여유핀은 단말기 제품별 고유기능 구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The TTA charger standard unifies the charger for a mobile terminal into a travel charger method using an input / output connector, and defines the common common connector pin number of the input / output connector as 24 pins. In other words, the TTA charger standard uses 24 pins of plug-in I / O terminals commonly adopt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allocate 7 pins for battery charging, 5 pins for handsfree, and 8 pins for data communication, and freely select the remaining four pins. It is prescribed for use. In particular, four spare pins can be used to implement unique functions for each terminal product.
도1은 일반적인 TTA 충전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TTA charging apparatu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TTA 충전 장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삽입식 단자(112)가 연결된 TTA 충전기(110)와, 휴대 단말기(130)를 연결하여 TTA 충전기(110)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130)의 배터리(131)에 공급하는 충전 거치대(1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typical TTA charging device includes a
상기 TTA 충전기(110)는 충전기 본체(111)와, 이 충전기 본체(111)에 연결된 삽입식 단자(112)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식 단자(112)는 상기 충전기 본체(111)에서의 충전 전원 공급을 알리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113)가 장착되어 구성된다.The
상기 충전식 거치대(120)는 TTA 충전기(110)의 삽입식 단자(112)와 삽탈 가능한 커넥터(121)와, 휴대 단말기(130)가 인식 가능한 인식 단자(122)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121)와 인식 단자(122) 간은 1:1 방식으로 라인이 연결되어 구성된다.The
이와 같은 일반적인 TTA 충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TTA charging device as follows.
TTA 충전기(110)는 삽입식 단자(112)를 충전 거치대(120)의 커넥터(121)에 삽입 연결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30)를 상기 충전식 거치대(120)의 인식 단자(122)에 삽입하여 연결하면 충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
이후, TTA 충전기(110)는 충전기 본체(111)를 전원 단자에 연결하면 상기 충전기 본체(111)에서 휴대 단말기(130)에 장착된 배터리(131)에 충전할 전원을 삽입식 단자(112)를 통해 충전 거치대(120)에 공급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이에 따라, TTA 충전기(110)는 충전 거치대(120)의 인식 단자(122)에 삽입 연결된 휴대 단말기(130)로 충전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30)에 장착된 배터리(131)를 충전시키게 된다. Accordingly, the
이때, TTA 충전기(110)는 휴대 단말기(130)의 전원이 on 상태에서만 휴대 단말기(130)의 장착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삽입식 단자(112)에 장착된 발광 다이오드(113)를 점등시켜 충전 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일반적인 TTA 충전 장치는 휴대 단말기(130)의 전원을 충전식 배터리(131)로 이용하여 제공되는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off 상태인 경우, 인식 단자(122)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지 못하여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Such a general TTA charging apparatus is provided by using the power of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 단말기의 on/off 상태와 상관없이 휴대 단말기를 인식 가능하도록 하며, 충전식 배터리 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portable terminal regardless of the on / off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harging cradle, to secure th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sufficiently.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원의 on/off와 상관없이 일정값이상의 전압을 유지하여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인식 여부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charging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to maintain and output a voltage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regardless of power on / off;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the battery depending on whether the recognition using the voltage.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전원의 on/off와 상관없이 인식 단자를 통해 일정값이상으로 전압을 유지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와 충전 거치대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 단말기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으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charging system of a mobile terminal, the process of maintaining and outputting a voltage above a predetermined value through a recognition terminal irrespective of the on / off of the power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arging cradle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charging cradle using the connection proces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recognizing the mobile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and And a step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re is power supply, and detec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to indicate that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확인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2A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는 키입력부(210), 표시부(220), 오디오 처리부(225), 인터페이스부(230), 배터리(240), 전원 공급부(250), 배터리 관리부(260), 메모리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A, the
키입력부(210)는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280)로 출력한다.The
표시부(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22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The
오디오처리부(225)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The
또한, 오디오처리부(225)는 무선송수신부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되며, 코덱들은 별도로 구비하거나 제어부(280)에 포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의 구성도이다.2B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페이스부(230)는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로 구성된다. The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와 충전 거치대(30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인터페이스부(230)는 배터리(240)의 +단자와 연결되어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또는 전류)을 배터리(2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B, the
또한, 인터페이스부(230)는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의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와,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와 배터리(240) 사이에 분압저항(R1, R2)으로 연결된 인식 단자(235)를 포함하며, 인식 단자(235)는 휴대 단말기(200)의 on/off와 상관없이 배터리(240)의 전압을 일정값(예를 들면, 1.5V)이상으로 유지하여 출력하며, 충전 거치대(300)를 제어하기 위한 핀으로 사용한다. In addition, the
배터리(240)는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충전 거치대(300)와 연결되어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충전되는 전압을 전원 공급부(250)로 인가한다.The
전원 공급부(250)는 배터리(24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적정한 레벨로 조정한 후 직류전압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The
배터리 관리부(260)는 배터리(240)의 전압 및 상태에 대한 정보(배터리 모니터링 데이터)를 소정 시간 주기로 측정하여 제어부(280)에 출력하며, 배터리 관리부(260)는 제어부(280)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또한, 배터리 관리부(260)는 배터리(240)와 휴대 단말기(200)의 충전 및 방전 전류, 배터리의 잔존 용량, 배터리팩의 온도, 만 충전되었을 때 배터리의 충전 량, 초기 배터리의 디자인 용량 등의 정보와 함께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메모리부(270)는 롬, 램, 플래쉬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롬(ROM : Read Only Memory)은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량과 상태에 대한 정보 검출 및 표시에 따른 동작 수행 프로그램 등을 코드화하여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은 제어부(28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 램(flash memory)은 전화번호부(phone book)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In particular, an operation execu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detection and display of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an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ncoded and stored. Random Access Memory (RAM) is a working memory of the
메모리부(27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배터리 관리부(260)로부터 측정된 배터리 전압(데이터)과 배터리 전압에 대응하는 배터리 사용시간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메모리부(270)는 배터리 관리부(260)로부터 측정된 배터리 전압과 배터리 전압에 대응하는 배터리 사용시간 테이블,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 세기, 수신신호 세기에 대응하는 수신전계 강도, 수신전계 강도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소모 전압, 배터리의 잔량 전압,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따른 배터리의 사용시간 등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제어부(2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배터리 관리부(260)로부터 측정된 배터리(240)의 전압을 확인하여 충전상태 및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산출한 후,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280)는 상기 충전 상태 및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음성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The
한편, 제어부(280)는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테이블들을 이용하여 배터리(240)의 예상 통화시간 및 예상 사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충전 거치시키는 충전 거치대의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 탈착 인식기능을 갖는 충전 거치대(300)는, 커넥터(310), 충전부(320), 보조 배터리(330), 전원 관리부(340), 표시부(350), 메인 프로세서(360), 오디오 처리부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charging
커넥터(310)는 휴대 단말기(200)의 인터페이스부(+단자, 인식 단자, 그라운드 단자)와의 접속 기능을 제공한다.The
충전부(320)는 커넥터(31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또는 전압)을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와 보조 배터리(330)에 공급한다.The charging
보조 배터리(330)는 충전부(320)에서 전원 공급이 없으면 충전 전원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에 공급한다. 또한, 보조 배터리(330)는 항상 충전 상태일 것이므로 휴대 단말기(200)가 연결되면 우선적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If there is no power supply from the charging
전원 관리부(340)는 휴대 단말기(200) 장착 시에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예를 들면, 2.85V)을 메인 프로세서(360)로 공급 하며, 전원 관리부(340)는 메인 프로세서(360)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이때, 전원 관리부(340)는 충전부(320)로부터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표시부(350)에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가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하도록 한다. 즉, 충전 거치대(300)에 보조 배터리(330)를 내장하여 전원이 없는 장소이거나 정전이 된 상태에서도 보조 배터리(330)의 충전 전원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킴으로써 배터리 확장 팩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전원 관리부(340)는 충전부(320)에서 보조 배터리(330)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표시부(350)에서 보조 배터리(330)가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메인 프로세서(360)는 커넥터(310)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여부에 따라 충전부(320)의 전원 공급으로 배터리(240)를 충전시키거나 표시부(350)에서 휴대 단말기(200)의 탈착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즉, 메인 프로세서(360)는 커넥터(310)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된 전압과 전원 관리부(340)로부터 출력된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고,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충전부(320)의 전원 공급으로 보조 배터리(330)를 충전시킨다.The
메인 프로세서(360)는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된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 공 급이 있는지 확인하여 전원 공급이 있으면 충전부(320)의 전원 공급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키며,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없으면 보조 배터리(330)의 충전 전원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킨다.When the
오디오처리부(370)는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된 경우 휴대 단말기(200)에서 인식 단자(235)를 통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통화 연결되는 상대방의 음성이나 휴대 단말기(200)의 각종 동영상과 관련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며, 이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가 휴대 단말기를 충전 거치 중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거치대(300)는 거치 몸체(400)와, 거치 몸체(40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누름 여부에 따라서 거치 몸체(400) 상면에서 잠입되거나 돌출형으로 배치되는 푸쉬 업 타입 거치대로 구성된다. 거치 몸체(400)는 박스 형상으로, 그의 상면 중간 영역에 상기 푸쉬 업 타입 거치대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As shown in FIG. 4, the charging
거치 몸체(400)는 스테레오 사운드를 발산하는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을 구비하는 바, 거치 몸체(400)의 상면에 각각 스피커(410, 42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이 거치 몸체(400) 상면에 장착되어짐으로서, 휴대 단말기(200)의 충전 거치 중, 각종 동영상과 관련된 모드에서 청취감을 향상시킨다. The mounting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harg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휴대 단말기(200)에서 전원의 on/off 상태와 상관없이 인식 단자(235)를 통해 일정값이상으로 배터리(240)의 전압을 유지하여 출력한다(S500).As shown in FIG. 5, first, the
충전 거치대(300)는 커넥터(310)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된 후(S510),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20). 즉, 충전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된 전압과 전원 관리부(340)로부터 출력된 휴대 단말기(200) 인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한다.After the charging
충전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전원 관리부(340)로부터 출력된 기준 전압보다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기(200)를 인식하지 못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탈착 상태를 표시부(350)에 표시하며, 이를 휴대 단말기(200)로 통보한다(S530). 이후 충전부(320)의 전원 공급으로 보조 배터리(330)를 충전시킨다. The charging
충전 거치대(300)는 충전부(320)에서 보조 배터리(330)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보조 배터리(330)가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한다.The charging
충전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되는 전 압이 전원 관리부(340)로부터 출력된 기준 전압보다 이하인 경우, 휴대 단말기(200)를 인식하여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는지 확인한다(S540).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이후 충전 거치대(300)는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으면 충전부(320)의 전원 공급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키며, 외부에서 전원 공급이 없으면 보조 배터리(330)의 충전 전원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킨다(S550). Then, the charging
충전 거치대(300)는 충전부(320)에서 배터리(330)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가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한다(S560). The charging
또한, 충전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200)를 인식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200)에서 인식 단자(235)를 통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통화 연결되는 상대방의 음성이나 휴대 단말기(200)의 각종 동영상과 관련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며, 이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이 때, 휴대 단말기(200)는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배터리(240)의 충전 시작을 표시부(220) 또는 오디오처리부(225)를 통해 문자 및 음성으로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휴대 단말기(200)는 표시부(220)를 통해 배터리(240)의 충전 시작을 알린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부(220) 구동을 중지하여 불필요한 소모전류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휴대 단말기(200)는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충전 전원이 입력되면 배터리(240)의 전압을 검사하며(S570), 배터리(240)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전 완료 예상 시간 및 충전 상태를 출력한 다(S580). 즉, 휴대 단말기(200)는 배터리(240)의 현재 전압과 충전 완료시의 배터리(240) 전압을 비교하여 충전 상태 및 충전 완료 시간을 산출한 후,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문자 및 음성을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When the charging power is input from the charging
이후 휴대 단말기(200)는 배터리(240)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S590).Thereafter, the
휴대 단말기(200)는 확인결과 배터리(240) 충전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배터리(240)의 전압을 재검사하고, 배터리(240) 충전이 완료되었으면 즉, 만 충전 상태이면 충전 완료를 충전 거치대(300)로 통보하며, 문자 또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고 종료한다(S600).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Meanwhile,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 단말기의 on/off 상태와 상관없이 휴대 단말기를 인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be sufficiently secured by enabling the portable terminal to be recognized regardless of the on / off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harging cradle.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1472A KR100810261B1 (en) | 2007-03-30 | 2007-03-30 |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1472A KR100810261B1 (en) | 2007-03-30 | 2007-03-30 |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0261B1 true KR100810261B1 (en) | 2008-03-06 |
Family
ID=3939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1472A KR100810261B1 (en) | 2007-03-30 | 2007-03-30 |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026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53847A3 (en) * | 2010-10-21 | 2012-07-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rength of power and expected charge completion time during wireless charg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4765A (en) * | 2003-12-06 | 2005-06-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attery charger for handheld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KR20060002289A (en) * | 2004-07-01 | 2006-0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wer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2007
- 2007-03-30 KR KR1020070031472A patent/KR10081026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4765A (en) * | 2003-12-06 | 2005-06-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attery charger for handheld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KR20060002289A (en) * | 2004-07-01 | 2006-0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wer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53847A3 (en) * | 2010-10-21 | 2012-07-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rength of power and expected charge completion time during wireless charging |
US9160188B2 (en) | 2010-10-21 | 2015-10-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rength of power and expected charge completion time during wireless charg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1946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B switching circuit in portable terminal | |
US7770036B2 (en) | Power management in a portable media delivery system | |
US20120319487A1 (en) | Integrated Battery Backup and Charging for Mobile Devices | |
KR101427267B1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displaying method of charging thereof | |
CN111864287B (en) | Lithium battery activation charging method and device and lithium battery activation charger | |
EP1686780B1 (en) | Battery detection circuit for cordless telephones | |
CN112688373A (en) | Charging method and device and data line | |
US9807483B1 (en) |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 |
US8200198B2 (en) | Power outlet apparatus with message leaving capability and message leaving method thereof | |
KR10081924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external device in mobile phone | |
KR10087125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recharging and discharging in mobile terminal | |
KR10081026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 |
KR101162362B1 (en) | Battery pack with solar cell charger for portable device | |
KR100677397B1 (en) | A mobile terminal having a support power pack | |
KR101516321B1 (en) | Power supply apparatus for smartphone | |
KR101330263B1 (en) | Main Terminal including Sub Terminal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Sub Terminal in Main Terminal | |
KR101126615B1 (en) |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 |
KR101024677B1 (en) | Headset for portable device | |
JP2008166066A (en) | Complex contact terminal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
KR20110100078A (en) | Speaker and battery pack for portable device | |
KR100753654B1 (en) | Charging Condition Display Device Using Voice | |
KR101561050B1 (en) | Combine the spare battery charging cradle | |
KR101466772B1 (en) | Smart phone comprising auxiliary battery | |
JP2009207347A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ger,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system | |
KR20090086696A (en) | Assistance battery including addition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