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261B1 -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261B1
KR100810261B1 KR1020070031472A KR20070031472A KR100810261B1 KR 100810261 B1 KR100810261 B1 KR 100810261B1 KR 1020070031472 A KR1020070031472 A KR 1020070031472A KR 20070031472 A KR20070031472 A KR 20070031472A KR 100810261 B1 KR100810261 B1 KR 10081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rtable terminal
charging
termina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한우
장환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2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2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battery charging system in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ufficiently secure the capacity of a rechargeable battery by enabling a portable terminal to be recognized at a charging cradle, regardless of the power-on/off states of the portable terminal. A battery charging system consists of a portable terminal(200) and a charging cradle. The portable terminal(200), connected with a battery(240), regularly outputs voltage at more than an appointed value, regardless of power-on/off states. Using the voltage outpu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200), the charging cradle charges the battery(240) according to a recognition state for the portable terminal(200). The portable terminal(200) comprises a "+"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n interface(230). The "+"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re provided to charge the battery(240). The interface(230) comprises a diode and a recognition terminal. The diode is provided to prevent the current inputted from the charging cradle from flowing backward. The recognition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voltage-dividing resistors between the diode and the "+" terminal of the battery(240).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도1은 일반적인 TTA 충전 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TTA charging device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2A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의 구성도2b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충전 거치시키는 충전 거치대의 블록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가 휴대 단말기를 충전 거치 중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 단말기의 on/off 상태와 상관없이 휴대 단말기를 인식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enables the portable terminal to be recognized regardless of the on / off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harging cradle.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각종 정보의 저장, 저장된 정보의 가공 및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로서,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있다. 최근에는 노트북 컴퓨터가 소형화되면서 휴대성이 더욱 향상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무선 통신기술의 발달로, 노트북 컴퓨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어디서나 영화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거나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is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arry, store, process and output stored information, and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to the user. Such portable terminals include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erminal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ecently, as the notebook computer becomes smaller, portability is further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 environment in which a portable computer can be used to acces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watching movies or access the Internet anywhere is carried out.

최근 휴대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 능이 추가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메일, 인터넷, 게임 등과 같 은 기능을 비롯하여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데이터 및 화상까지 전달하는 멀티 미디어 기능도 계속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Recently,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portable terminal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users. In particular, multimedia functions that deliver data and images that are most frequently used, as well as functions such as e-mail, the Internet, and games using a mobile terminal are continuously being added.

한편, 휴대 단말기들을 이용함에 있어서, 이동 중에도 안정적인 전원을 확보하는 것은 휴대 단말기의 선택에 주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한국 정보통신기술협회(TTA :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에서는 동일한 규격 또는 방식의 충전기 표준안을 제정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using mobile terminals, securing a stable power supply on the go has become a major criterion for the selection of mobile terminals. Accordingly, the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TTA) proposes a charger standard of the same standard or method. Was established.

TTA 충전기의 표준안은 단말기에 장착된 데이터 통신용 잭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단말기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표준화가 추진되었다.Standardization of the TTA charger has been standardized in such a way that the terminal can be charged anytime and anywhere by connecting a power supply to a data communication jack mounted on the terminal.

TTA 충전기 표준안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입출력 커넥터를 이용한 여행형 충전기 방식으로 통일하고, 입출력 커넥터의 외형적인 공통규격 커넥터 핀수를 24핀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TTA 충전기 표준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삽입식 입출력단자를 24핀으로 만들어 배터리 충전용 7핀, 핸즈프리용 5핀, 데이터통신용 8핀을 각각 할당하고 나머지 4개 핀을 여유선택용으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4개의 여유핀은 단말기 제품별 고유기능 구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The TTA charger standard unifies the charger for a mobile terminal into a travel charger method using an input / output connector, and defines the common common connector pin number of the input / output connector as 24 pins. In other words, the TTA charger standard uses 24 pins of plug-in I / O terminals commonly adopt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allocate 7 pins for battery charging, 5 pins for handsfree, and 8 pins for data communication, and freely select the remaining four pins. It is prescribed for use. In particular, four spare pins can be used to implement unique functions for each terminal product.

도1은 일반적인 TTA 충전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TTA charging apparatu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TTA 충전 장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삽입식 단자(112)가 연결된 TTA 충전기(110)와, 휴대 단말기(130)를 연결하여 TTA 충전기(110)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130)의 배터리(131)에 공급하는 충전 거치대(1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typical TTA charging device includes a TTA charger 110 connected to an insert terminal 112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and a portable terminal 130 to connect the portable TTA charger from the TTA charger 110. The charging cradle 120 is supplied to the battery 131 of the terminal 130.

상기 TTA 충전기(110)는 충전기 본체(111)와, 이 충전기 본체(111)에 연결된 삽입식 단자(112)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식 단자(112)는 상기 충전기 본체(111)에서의 충전 전원 공급을 알리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113)가 장착되어 구성된다.The TTA charger 110 is composed of a charger body 111, and the plug-in terminal 112 connected to the charger body 111, the plug-in terminal 112 is a charging power source in the charger body 111 A light emitting diode (LED) 113 for informing supply is mounted.

상기 충전식 거치대(120)는 TTA 충전기(110)의 삽입식 단자(112)와 삽탈 가능한 커넥터(121)와, 휴대 단말기(130)가 인식 가능한 인식 단자(122)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121)와 인식 단자(122) 간은 1:1 방식으로 라인이 연결되어 구성된다.The rechargeable holder 120 includes an insertable terminal 112 of the TTA charger 110, a removable connector 121, and a recognition terminal 122 recognizable by the portable terminal 130, and the connector 121. The line is connected between the recognition terminal 122 in a 1: 1 manner.

이와 같은 일반적인 TTA 충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TTA charging device as follows.

TTA 충전기(110)는 삽입식 단자(112)를 충전 거치대(120)의 커넥터(121)에 삽입 연결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30)를 상기 충전식 거치대(120)의 인식 단자(122)에 삽입하여 연결하면 충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 TTA charger 110 inserts the portable terminal 130 into the recognition terminal 122 of the rechargeable cradle 120 in a state where the pluggable terminal 112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121 of the charging cradle 120. When plugged in, it becomes ready to charge.

이후, TTA 충전기(110)는 충전기 본체(111)를 전원 단자에 연결하면 상기 충전기 본체(111)에서 휴대 단말기(130)에 장착된 배터리(131)에 충전할 전원을 삽입식 단자(112)를 통해 충전 거치대(120)에 공급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TTA charger 110 connects the charger body 111 to a power terminal, the TTA charger 110 inserts power to be charged from the charger body 111 into the battery 131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30. Through the charging cradle 120 is supplied.

이에 따라, TTA 충전기(110)는 충전 거치대(120)의 인식 단자(122)에 삽입 연결된 휴대 단말기(130)로 충전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30)에 장착된 배터리(131)를 충전시키게 된다. Accordingly, the TTA charger 110 is supplied with charg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30 inserted into the recognition terminal 122 of the charging cradle 120 to charge the battery 131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130. do.

이때, TTA 충전기(110)는 휴대 단말기(130)의 전원이 on 상태에서만 휴대 단말기(130)의 장착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삽입식 단자(112)에 장착된 발광 다이오드(113)를 점등시켜 충전 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TA charger 110 recognizes the mount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30 only when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130 is turned on, and turns on the light emitting diode 113 mounted in the plug-in terminal 112 to charge it. It will indicate status.

이러한 일반적인 TTA 충전 장치는 휴대 단말기(130)의 전원을 충전식 배터리(131)로 이용하여 제공되는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off 상태인 경우, 인식 단자(122)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지 못하여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Such a general TTA charging apparatus is provided by using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130 as the rechargeable battery 131. When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f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recognize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122.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ecuring sufficient capacit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 단말기의 on/off 상태와 상관없이 휴대 단말기를 인식 가능하도록 하며, 충전식 배터리 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portable terminal regardless of the on / off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harging cradle, to secure th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sufficiently.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원의 on/off와 상관없이 일정값이상의 전압을 유지하여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인식 여부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charging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to maintain and output a voltage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regardless of power on / off;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the battery depending on whether the recognition using the voltage.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전원의 on/off와 상관없이 인식 단자를 통해 일정값이상으로 전압을 유지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와 충전 거치대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 단말기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으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charging system of a mobile terminal, the process of maintaining and outputting a voltage above a predetermined value through a recognition terminal irrespective of the on / off of the power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arging cradle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charging cradle using the connection proces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recognizing the mobile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and And a step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re is power supply, and detec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to indicate that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확인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2A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는 키입력부(210), 표시부(220), 오디오 처리부(225), 인터페이스부(230), 배터리(240), 전원 공급부(250), 배터리 관리부(260), 메모리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A, the portable terminal 200 includes a key input unit 210, a display unit 220, an audio processor 225, an interface unit 230, a battery 240, a power supply unit 250, and a battery manager. 260, a memory 270, and a controller 280.

키입력부(210)는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280)로 출력한다.The key input unit 210 includes a character key, a numeric key, various function keys, and an external volume key to output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to the controller 280.

표시부(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22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22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outputs various display data generated by the portable terminal 200.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display unit 220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오디오처리부(225)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225 modulates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a microphone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voice data. The audio processor 225 demodulates the encoded voice data input from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not shown)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a speaker. do.

또한, 오디오처리부(225)는 무선송수신부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되며, 코덱들은 별도로 구비하거나 제어부(280)에 포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ing unit 225 preferably includes a codec for converting and reproducing the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into an analog signal or converting an analog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into a digital audio signal. The codec consists of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Codecs may be separately provided or included in the controller 280.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의 구성도이다.2B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페이스부(230)는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로 구성된다. The interface unit 230 includes a +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from the charging cradle 300.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와 충전 거치대(30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인터페이스부(230)는 배터리(240)의 +단자와 연결되어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또는 전류)을 배터리(2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B,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charging cradle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terface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 terminal of the battery 240 to receive the voltage input from the charging cradle 300 ( Or current) to the battery 240.

또한, 인터페이스부(230)는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의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와,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와 배터리(240) 사이에 분압저항(R1, R2)으로 연결된 인식 단자(235)를 포함하며, 인식 단자(235)는 휴대 단말기(200)의 on/off와 상관없이 배터리(240)의 전압을 일정값(예를 들면, 1.5V)이상으로 유지하여 출력하며, 충전 거치대(300)를 제어하기 위한 핀으로 사용한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230 is a recogni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D1) of the current input from the charging cradle 300,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D1) and the battery 240 by the voltage divider (R1, R2). 235, and the recognition terminal 235 maintains and outputs a voltage of the battery 240 at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1.5V) or more regardless of on / off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charges the battery. Used as a pin for controlling the cradle 300.

배터리(240)는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충전 거치대(300)와 연결되어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충전되는 전압을 전원 공급부(250)로 인가한다.The battery 24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radle 3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30 and applies a voltage charged from the charging cradle 300 to the power supply 250.

전원 공급부(250)는 배터리(24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적정한 레벨로 조정한 후 직류전압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adjusts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battery 240 to an appropriate level, and then supplies the DC voltage to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배터리 관리부(260)는 배터리(240)의 전압 및 상태에 대한 정보(배터리 모니터링 데이터)를 소정 시간 주기로 측정하여 제어부(280)에 출력하며, 배터리 관리부(260)는 제어부(280)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battery manager 260 measures the voltage and state of the battery 240 (battery monitoring data)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output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80, and the battery manager 26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280. .

또한, 배터리 관리부(260)는 배터리(240)와 휴대 단말기(200)의 충전 및 방전 전류, 배터리의 잔존 용량, 배터리팩의 온도, 만 충전되었을 때 배터리의 충전 량, 초기 배터리의 디자인 용량 등의 정보와 함께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battery manager 260 may include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s of the battery 24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attery when fully charged, the design capacity of the initial battery,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120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메모리부(270)는 롬, 램, 플래쉬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롬(ROM : Read Only Memory)은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270 may be configured as a ROM, a RAM, a flash RAM, and the like. A read only memory (ROM) stores microcode and reference data of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280.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량과 상태에 대한 정보 검출 및 표시에 따른 동작 수행 프로그램 등을 코드화하여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은 제어부(28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 램(flash memory)은 전화번호부(phone book)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In particular, an operation execu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detection and display of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an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ncoded and stored. Random Access Memory (RAM) i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ler 280 that stores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various program executions. Flash memory stores various updatable archiving data such as phone books.

메모리부(27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배터리 관리부(260)로부터 측정된 배터리 전압(데이터)과 배터리 전압에 대응하는 배터리 사용시간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270 stores a battery voltage (data) measured by the battery manager 260 and a battery usage time tabl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voltage.

또한, 메모리부(270)는 배터리 관리부(260)로부터 측정된 배터리 전압과 배터리 전압에 대응하는 배터리 사용시간 테이블,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 세기, 수신신호 세기에 대응하는 수신전계 강도, 수신전계 강도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소모 전압, 배터리의 잔량 전압,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따른 배터리의 사용시간 등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unit 270 may include a battery voltage measured by the battery manager 260, a battery usage time tabl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voltage,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put from an antenna (not shown), and a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 addition, the battery consumption voltage, the remaining voltage of the battery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and the battery usage time according to the remaining voltage of the battery are stored in a table.

제어부(2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배터리 관리부(260)로부터 측정된 배터리(240)의 전압을 확인하여 충전상태 및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산출한 후,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280)는 상기 충전 상태 및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음성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heck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40 measured by the battery manager 260 to calculate the state of charge and the estimated time for completion of charging. And then prin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80 may output the charging state and the estimated charging completion time using at least one of a voice and a text.

한편, 제어부(280)는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테이블들을 이용하여 배터리(240)의 예상 통화시간 및 예상 사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calculate an estimated talk time and an estimated usage time of the battery 240 using the tables stored in the memory 27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충전 거치시키는 충전 거치대의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 탈착 인식기능을 갖는 충전 거치대(300)는, 커넥터(310), 충전부(320), 보조 배터리(330), 전원 관리부(340), 표시부(350), 메인 프로세서(360), 오디오 처리부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charging cradle 300 having the mobile terminal 200 detachable recogni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310, a charging unit 320, an auxiliary battery 330, a power management unit 340, The display unit 350 includes a main processor 360 and an audio processor.

커넥터(310)는 휴대 단말기(200)의 인터페이스부(+단자, 인식 단자, 그라운드 단자)와의 접속 기능을 제공한다.The connector 310 provides a connection function with an interface unit (+ terminal, recognition terminal, ground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충전부(320)는 커넥터(31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또는 전압)을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와 보조 배터리(330)에 공급한다.The charging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connector 310 and supplies power (or voltage)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battery 240 and the auxiliary battery 330 of the mobile terminal 200.

보조 배터리(330)는 충전부(320)에서 전원 공급이 없으면 충전 전원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에 공급한다. 또한, 보조 배터리(330)는 항상 충전 상태일 것이므로 휴대 단말기(200)가 연결되면 우선적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If there is no power supply from the charging unit 320, the auxiliary battery 330 is supplied to the battery 240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s charging power.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battery 330 will always be in a charged state, it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240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first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connected.

전원 관리부(340)는 휴대 단말기(200) 장착 시에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예를 들면, 2.85V)을 메인 프로세서(360)로 공급 하며, 전원 관리부(340)는 메인 프로세서(360)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power manager 340 supplies a reference voltage (for example, 2.85V) to the main processor 360 to detect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recogniz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mounted, and the power manager 340. ) May be included in the main processor 360.

이때, 전원 관리부(340)는 충전부(320)로부터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표시부(350)에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가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하도록 한다. 즉, 충전 거치대(300)에 보조 배터리(330)를 내장하여 전원이 없는 장소이거나 정전이 된 상태에서도 보조 배터리(330)의 충전 전원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킴으로써 배터리 확장 팩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ower management unit 340 detec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unit 320 to the battery 240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display unit 350 indicates that the battery 240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being charged. To display. That is, the built-in auxiliary battery 330 in the charging cradle 300 to expand the battery by charging the battery 240 of the mobile terminal 200 with the charging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330 even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power or a power failure It will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pack.

또한, 전원 관리부(340)는 충전부(320)에서 보조 배터리(330)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표시부(350)에서 보조 배터리(330)가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ower manager 340 detec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unit 320 to the auxiliary battery 330 and displays the auxiliary battery 330 in the charging state on the display unit 350.

메인 프로세서(360)는 커넥터(310)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여부에 따라 충전부(320)의 전원 공급으로 배터리(240)를 충전시키거나 표시부(350)에서 휴대 단말기(200)의 탈착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즉, 메인 프로세서(360)는 커넥터(310)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된 전압과 전원 관리부(340)로부터 출력된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고,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충전부(320)의 전원 공급으로 보조 배터리(330)를 충전시킨다.The main processor 360 determines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recognized us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235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the connector 310, and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recognized. As a result, the battery 240 is charged by the power supply of the charging unit 320 or the display unit 350 displays the detach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hat is, the main processor 360 detects whether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235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output from the power manager 340 are recognized through the connector 310. The reference voltage is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recognized,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not recognized, the auxiliary battery 330 is charged by the power supply of the charging unit 320.

메인 프로세서(360)는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된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 공 급이 있는지 확인하여 전원 공급이 있으면 충전부(320)의 전원 공급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키며,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없으면 보조 배터리(330)의 충전 전원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킨다.When the mobile terminal 200 is recognized, the main processor 360 checks whether there is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and if there is power supply, charges the battery 240 of the mobile terminal 200 with the power supply of the charging unit 320. When there is no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the battery 240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charged by the charging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330.

오디오처리부(370)는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된 경우 휴대 단말기(200)에서 인식 단자(235)를 통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통화 연결되는 상대방의 음성이나 휴대 단말기(200)의 각종 동영상과 관련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며, 이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recognized, the audio processor 370 may include a voice of the other party or various videos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cal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the recognition terminal 235. The related data is converted into an audio signal and reproduced, and the output is made through a speaker.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가 휴대 단말기를 충전 거치 중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거치대(300)는 거치 몸체(400)와, 거치 몸체(40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누름 여부에 따라서 거치 몸체(400) 상면에서 잠입되거나 돌출형으로 배치되는 푸쉬 업 타입 거치대로 구성된다. 거치 몸체(400)는 박스 형상으로, 그의 상면 중간 영역에 상기 푸쉬 업 타입 거치대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As shown in FIG. 4, the charging crad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radle body 400 and the cradle body 400 to be infiltrated or protrud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400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s pressed. It consists of a push-up type cradle that is placed. The mounting body 400 has a box shape, and the push-up type mounting stand is rotatably mounted about the rotation axis A in an upper middle region thereof.

거치 몸체(400)는 스테레오 사운드를 발산하는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을 구비하는 바, 거치 몸체(400)의 상면에 각각 스피커(410, 42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이 거치 몸체(400) 상면에 장착되어짐으로서, 휴대 단말기(200)의 충전 거치 중, 각종 동영상과 관련된 모드에서 청취감을 향상시킨다. The mounting body 400 is provided with a stereo sound system that emits stereo sound, and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peakers 410 and 420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400,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stereo sound system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400, thereby improving listening feeling in various video-related modes during charging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200.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harg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휴대 단말기(200)에서 전원의 on/off 상태와 상관없이 인식 단자(235)를 통해 일정값이상으로 배터리(240)의 전압을 유지하여 출력한다(S500).As shown in FIG. 5, first, the portable terminal 200 maintains and output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40 above a predetermined value through the recognition terminal 235 regardless of the on / off state of the power supply (S500). .

충전 거치대(300)는 커넥터(310)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된 후(S510),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20). 즉, 충전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된 전압과 전원 관리부(340)로부터 출력된 휴대 단말기(200) 인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휴대 단말기(200)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한다.After the charging cradle 3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connector 310 (S510), the mobile terminal 200 is recognized us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235 of the mobile terminal 200. Determine (S520). That is, the charging cradle 30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detect whether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235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output from the power manager 340 are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recognized by comparing the reference voltages.

충전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전원 관리부(340)로부터 출력된 기준 전압보다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기(200)를 인식하지 못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탈착 상태를 표시부(350)에 표시하며, 이를 휴대 단말기(200)로 통보한다(S530). 이후 충전부(320)의 전원 공급으로 보조 배터리(330)를 충전시킨다. The charging cradle 300 does not recognize the mobile terminal 200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235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management unit 340. The detached state of the display unit 350 is displayed 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notified of this (S530). Thereafter, the auxiliary battery 330 is charged by the power supply of the charging unit 320.

충전 거치대(300)는 충전부(320)에서 보조 배터리(330)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보조 배터리(330)가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한다.The charging cradle 300 detects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unit 320 to the auxiliary battery 330 and indicates that the auxiliary battery 330 is being charged.

충전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200)의 인식 단자(235)로부터 출력되는 전 압이 전원 관리부(340)로부터 출력된 기준 전압보다 이하인 경우, 휴대 단말기(200)를 인식하여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는지 확인한다(S540).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235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management unit 340, the charging cradle 300 recognizes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supply power from the outside. Check whether there is (S540).

이후 충전 거치대(300)는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으면 충전부(320)의 전원 공급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키며, 외부에서 전원 공급이 없으면 보조 배터리(330)의 충전 전원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킨다(S550). Then, the charging cradle 300 charges the battery 240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the power supply of the charging unit 320 when there is a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and the charging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330 when there is no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The battery 240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charged (S550).

충전 거치대(300)는 충전부(320)에서 배터리(330)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240)가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한다(S560). The charging cradle 300 detec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unit 320 to the battery 330 and indicates that the battery 240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being charged (S560).

또한, 충전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200)를 인식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200)에서 인식 단자(235)를 통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통화 연결되는 상대방의 음성이나 휴대 단말기(200)의 각종 동영상과 관련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며, 이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cradle 300 recognizes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or the portable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cal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the recognition terminal 235. It converts and plays various video and related data into audio signal and outputs it through speaker.

이 때, 휴대 단말기(200)는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배터리(240)의 충전 시작을 표시부(220) 또는 오디오처리부(225)를 통해 문자 및 음성으로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휴대 단말기(200)는 표시부(220)를 통해 배터리(240)의 충전 시작을 알린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부(220) 구동을 중지하여 불필요한 소모전류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200 preferably notifies the start of charging of the battery 240 from the charging cradle 300 by text and voice through the display unit 220 or the audio processor 225. 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stop the driving of the display unit 220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notifying the start of charging the battery 240 through the display unit 220 to reduce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휴대 단말기(200)는 충전 거치대(300)로부터 충전 전원이 입력되면 배터리(240)의 전압을 검사하며(S570), 배터리(240)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전 완료 예상 시간 및 충전 상태를 출력한 다(S580). 즉, 휴대 단말기(200)는 배터리(240)의 현재 전압과 충전 완료시의 배터리(240) 전압을 비교하여 충전 상태 및 충전 완료 시간을 산출한 후,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문자 및 음성을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When the charging power is input from the charging cradle 300, the mobile terminal 200 check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40 (S570), calculates an estimated time for completion of charging using the current voltage of the battery 240,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power. Outputs the estimated time of completion of charging and the state of charge (S580). That is, the mobile terminal 200 compares the current voltage of the battery 240 with the voltage of the battery 240 at the completion of the charge to calculate the state of charge and the completion time of the charge, and then outputs the text or voice or simultaneously outputs the text and the voice. You may.

이후 휴대 단말기(200)는 배터리(240)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S590).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200 checks whether the charging of the battery 240 is completed (S590).

휴대 단말기(200)는 확인결과 배터리(240) 충전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배터리(240)의 전압을 재검사하고, 배터리(240) 충전이 완료되었으면 즉, 만 충전 상태이면 충전 완료를 충전 거치대(300)로 통보하며, 문자 또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고 종료한다(S600).The mobile terminal 200 check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40 when the battery 240 is not completely charged as a result of the check, and if the battery 240 is fully charged, that is, when the battery 240 is fully charged, the charging cradle 300 is completed. Notify, and outputs at least one of the text or voice and ends (S6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Meanwhile,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 단말기의 on/off 상태와 상관없이 휴대 단말기를 인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be sufficiently secured by enabling the portable terminal to be recognized regardless of the on / off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harging cradle.

Claims (15)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battery charging system of a mobile terminal,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원의 on/off와 상관없이 일정값이상의 전압을 유지하여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와,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to maintain and output a voltag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regardless of power on / off;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인식 여부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And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the batter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is recognized us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와;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for charging a battery; 상기 충전 거치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의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와 배터리의 +단자 사이에 분압저항으로 연결되는 인식 단자가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And an interface having a recognition terminal connected between the reverse current preventing diode of the current input from the charging cradle, the reverse current preventing diode, and a + terminal of the battery with a voltage dividing resis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적정한 레벨로 조정한 후 직류전압으로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3.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ach component to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DC voltage after adjusting a voltage applied from a battery to an appropriate level; 상기 배터리의 전압 및 상태를 소정 시간 주기로 측정하는 배터리 관리부와;A battery manager which measures the voltage and state of the battery at predetermined time periods;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과 배터리 전압에 대응하는 배터리 사용시간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measured battery voltage and a battery usage time tabl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voltage;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을 확인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And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alculates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nd an estimated time of completion of charging by checking the measured voltage of the batter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테이블들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예상 통화시간 및 예상 사용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The battery charging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calculates an estimated talk time and an estimated usage time of a battery using tables stored in the memor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와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커넥터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cradle is a connector for providing a connection function with the interfac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커넥터를 통해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에 공급하는 충전부와;A charging unit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or to supply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충전부에서 전원 공급이 없는 경우, 충전 전원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에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와;An auxiliary battery that supplies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charging power when there is no power supply from the charging unit; 상기 휴대 단말기 장착 시에 인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공급하 는 전원 관리부와;A power management unit for supplying a reference voltage for detecting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r not;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비교하여 인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부의 전원 공급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휴대 단말기의 탈착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And a main processor comparing the reference voltage with the voltage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o recognize the battery and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or displaying a detach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supplying power to the charging unit. Battery charging system of a mobile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인식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인식 단자를 통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통화 연결되는 상대방의 음성이나 휴대 단말기의 각종 동영상과 관련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The mobile terminal of claim 5, wherei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recognized, the charging cradle is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or various video and related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cal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through the recognition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n audio signal. The battery charg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dio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and play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충전부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나 보조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표시부에서 배터리가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The battery charging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power manager detects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unit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auxiliary battery, and displays the battery in a charging state on the display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전압보다 상기 휴대 단말 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지 못하여 휴대 단말기의 탈착 상태를 표시 및 휴대 단말기로 통보하며, 상기 충전부의 전원 공급으로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5, wherein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main processor does not recognize the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s a detachm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notifies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charging unit. The battery charging system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by a power supp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전압보다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이하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여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의 확인에 따라 충전부 또는 보조 배터리의 전원 공급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8, wherein the main processor recognizes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supplies power to the charging unit or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of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A battery charging system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rging the battery.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In the battery charg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전원의 on/off와 상관없이 인식 단자를 통해 일정값이상으로 전압을 유지하여 출력하는 과정과;Maintaining and outputting a voltage at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rough a recognition terminal regardless of power on / off 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와 충전 거치대를 연결하는 과정과;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arging cradle;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 단말기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charging cradle us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상기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으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과정과;Charging a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re is a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충전 중 상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And detec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to indicate that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은 상기 충전 거치대의 기준 전압보다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지 못하는 과정과;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termining comprises: not recognizing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charging cradle; 상기 충전 거치대의 기준 전압보다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이하인 경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If the voltage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charging cradle, the method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ognizing the portable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지 못하는 과정은 휴대 단말기의 탈착 상태를 표시 및 휴대 단말기로 통보하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not recognizing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es displaying a detach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notify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서 인식 단자를 통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통화 연결되는 상대방의 음성이나 휴대 단말기의 각종 동영상과 관련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 및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ecognizing of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converting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connected to the call or various video and related data of the mobile terminal into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A battery charg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playing and outputt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없으면 보조 배터리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hecking further comprises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an auxiliary battery when there is no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충전 거치대로부터 충전 전원이 입력되면 배터리의 전압을 검사하는 과정과;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checking a voltage of a battery when charging power is input from a charging cradle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전 완료 예상 시간 및 충전 상태를 출력하는 과정과;Calculating an estimated charge completion time using the current voltage of the battery and outputting the calculated estimated charge completion time and state of charge;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확인한 결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A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s completed, end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KR1020070031472A 2007-03-30 2007-03-30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KR1008102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472A KR100810261B1 (en) 2007-03-30 2007-03-30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472A KR100810261B1 (en) 2007-03-30 2007-03-30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261B1 true KR100810261B1 (en) 2008-03-06

Family

ID=3939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472A KR100810261B1 (en) 2007-03-30 2007-03-30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2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3847A3 (en) * 2010-10-21 201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rength of power and expected charge completion time during wireless charg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765A (en) * 2003-12-06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charger for handheld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060002289A (en) * 2004-07-01 2006-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Power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765A (en) * 2003-12-06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charger for handheld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060002289A (en) * 2004-07-01 2006-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Power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3847A3 (en) * 2010-10-21 201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rength of power and expected charge completion time during wireless charging
US9160188B2 (en) 2010-10-21 2015-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rength of power and expected charge completion time during wireless charg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94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B switching circuit in portable terminal
US7770036B2 (en) Power management in a portable media delivery system
US20120319487A1 (en) Integrated Battery Backup and Charging for Mobile Devices
KR101427267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displaying method of charging thereof
CN111864287B (en) Lithium battery activation charging method and device and lithium battery activation charger
EP1686780B1 (en) Battery detection circuit for cordless telephones
CN112688373A (en) Charging method and device and data line
US9807483B1 (en)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KR1008192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external device in mobile phone
KR1008102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in mobile phone
US8200198B2 (en) Power outlet apparatus with message leaving capability and message leaving method thereof
KR1008712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recharging and discharging in mobile terminal
KR101162362B1 (en) Battery pack with solar cell charger for portable device
KR100677397B1 (en) A mobile terminal having a support power pack
KR101516321B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smartphone
KR101330263B1 (en) Main Terminal including Sub Terminal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Sub Terminal in Main Terminal
KR101126615B1 (en)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JP2008166066A (en) Complex contact terminal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110100078A (en) Speaker and battery pack for portable device
KR100753654B1 (en) Charging Condition Display Device Using Voice
KR101561050B1 (en) Combine the spare battery charging cradle
KR101466772B1 (en) Smart phone comprising auxiliary battery
JP2009207347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ger,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system
KR200210712Y1 (en) charger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with sound output function
KR20090086696A (en) Assistance battery including addi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