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226B1 -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226B1
KR100810226B1 KR1020070007492A KR20070007492A KR100810226B1 KR 100810226 B1 KR100810226 B1 KR 100810226B1 KR 1020070007492 A KR1020070007492 A KR 1020070007492A KR 20070007492 A KR20070007492 A KR 20070007492A KR 100810226 B1 KR100810226 B1 KR 100810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video recording
siz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중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를 변경할 시 레코딩 동작을 멈추지 않고 이전에 레코딩된 영상과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비디오 레코딩 수행 중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 변경으로 인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 사이즈와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 사이즈가 다른 경우 이전에 레코딩된 영상과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이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처리하고 인코딩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가 변경되어도 현재 수행 중인 레코딩 동작은 종료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할 수 있게 된다.
2개 이상의 카메라, 비디오 레코딩, 카메라 종류, 영상 사이즈

Description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RECORDING I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 1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 2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중에 레코딩 동작 을 멈추지 않고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발달로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의 기능 외에 고속으로 화상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카메라 모듈을 채용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한 일명 카메라 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폰은 특정 장면이나 동영상 등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비디오 레코딩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카메라 폰은 기지국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무선으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등 그 활용 분야가 다양하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카메라 폰을 이용한 화상 통화 기능도 구현되어 점차 그 서비스 범위가 늘고 있다.
이러한 화상 통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인 듀얼 카메라 단말기가 개발되었고, 이때 2개의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최대 사이즈가 640 픽셀(pixel)x 480 픽셀(pixel)인 저화소(VGA) 카메라와 최대 사이즈가 1메가 픽셀(pixel) 이상인 고화소(MEGA) 카메라가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 장착된 저화소 카메라는 화상 통화를 위해 사용되고, 고화소 카메라는 배경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폴더형 카메라 단말기인 경우에는 안쪽 에 저화소 카메라가 장착되고, 바깥쪽에 고화소 카메라가 장착된다. 또한 슬라이드형 카메라 단말기인 경우에는 앞면에 저화소 카메라가 장착되고, 뒷면에 고화소 카메라가 장착된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듀얼 카메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레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2개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고,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 사이즈를 설정해야 한다. 그 후에 사용자는 듀얼 카메라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설정된 영상 사이즈로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중에 카메라 종류나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려면 듀얼 카메라 단말기를 통해 비디오 레코딩 동작을 종료하기 위한 키를 입력한 후 카메라 종류나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여 새로운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때, 듀얼 카메라 단말기는 비디오 레코딩 동작을 종료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기 전까지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레코딩하여 하나의 비디오 파일을 생성한다. 이후 듀얼 카메라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 또는 변경된 영상 사이즈로 새로운 비디오 레코딩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중 사용자가 카메라 종류나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려면 우선 현재 동작중인 비디오 레코딩 동작을 종료하여야 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카메라 종류 또는 영상 사이즈를 이용하여 새로운 비디오 레코딩 동작을 수행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중에 카메라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파일로 레코딩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현재에는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중 비디오 레코딩 동작을 종료하지 않고 카메라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수행 중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는 선택이 있더라도 레코딩 동작을 종료하지 않고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중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가 변경되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이 입력되더라도 이전에 레코딩 된 영상과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에 있어서, 키 입력이 있으면 키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처리하여 인코딩한 후 출력하는 비디오 인코더와, 상기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비디오 레코딩 수행 중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서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처리하여 인코딩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 인코더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레코딩 수행을 위한 비디오 레코딩을 시작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 레코딩 수행 중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선택이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비디오 레코딩 중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선택이 있으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중에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를 변경할 경우 현재 수행 중인 레코딩 동작을 종료하지 않고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디오 레코딩 중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가 변경되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이 입력되더라도 이전에 레코 딩되던 영상과 현재 입력되는 영상이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레코딩 동작 제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그러면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비디오 레코딩 중 카메라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를 변경을 위한 입력이 있는 경우 비디오 레코딩 동작을 종료하지 않고 비디오 레코딩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는 듀얼 카메라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00)는 일반적으로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카메라 촬영 등의 기능을 처리 및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비디오 레코딩 중에 키 입력부(104)에서 카메라 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카메라 구동부(114)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변경된 카메라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비디오 레코딩 중에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가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비디오 레코딩 시 사용자에 의해 영상 사이즈의 변경이 입력되면 이전에 레코딩되던 영상과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 사이즈는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 이외에 카메라 종류 변경으로도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 사이즈와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 사이즈가 다르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처리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디오 인코더(128)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실시 예는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를 설정하여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이 기준 영상 사이즈를 갖도록 스케일링하는 방법이다.
제 1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0)는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를 설정하여 비디오 인코더(128)가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이 기준 영상 사이즈를 갖도록 스케일링하여 인코딩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보다 작은 영상 사이즈가 입력되면 작은 영상을 기준 영상 사이즈로 늘리고,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보다 큰 영상 사이즈가 입력되면 큰 영상을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로 줄인다.
제 2실시 예는 카메라에서 지원하는 최대 영상 사이즈를 기준 사이즈로 설정하여 그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보다 작은 영상이 입력되면 최대 기준 영상 프레임에서 작은 영상의 프레임만큼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더미 픽셀로 채우는 방법이다.
제 2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0)는 카메라에서 지원하는 최대 영상 사이즈를 기준 사이즈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그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보다 작은 영상사이즈를 갖는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비디오 인코더(128)가 최대 기준 영상 프레임에서 작은 영상 프레임만큼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더미(dummy) 픽셀로 채워서 인코딩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코딩된 비디오 파일이 재생될 때는 최대 기준 영상 사이즈로 재생되다가 최대 기준 영상보다 작은 영상의 사이즈를 갖는 영상으로 레코딩 된 부분에서는 작은 영상 사이즈외의 영역은 빈 영역으로 보이게 된다.
제 3실시 예는 영상 사이즈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비디오 인코더(Video Encoder)(128) 및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도시되지 않음)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제 3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0)는 현재 입력되는 영상의 사이즈에 따라 비디오 인코더(128)가 헤더(Header)를 변경하고 인코딩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코딩하고 있는 영상의 사이즈를 A라고 하고, 인코딩 중 A와 다른 영상 사이즈를 갖는 영상의 사이즈를 B라고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가 A 사이즈의 영상을 인코딩하다가 B 사이즈의 영상이 입력될 경우 B 사이즈의 영상에 맞는 헤더를 구성하고 인코딩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가 B 사이즈의 영상을 인코딩하기 위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상관 관계가 없도록 현재 영상의 정보만으로 인코딩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레코딩 된 비디오파일을 재생할 경우 제어부(100)는 비디오 디코더가 현재 영상의 헤더를 통해서 영상 사이즈의 변화를 판단하고 현재 영상의 정보를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에 넘겨주어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가 사이즈의 변화에 맞는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의 3가지 방법은 레코딩 하기 위한 영상 사이즈가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경우일지라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영상이 처리된 후 레코딩 되기 때문에 레코딩 된 비디오 파일 재생 시 정상적으로 재생 가능하다. 메모리부(102)는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로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메모리부(102)는 카메라 종류나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비디오 파일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02)는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키 입력부(104)는 0 ~ 9의 숫자 키들과 *, #키, 그리고 해당 듀얼 카메라 단말이 구비하는 여러 가지 기능에 대응되게 메뉴(Menu), 선택, 통화, 지움, 전원/종료, 볼륨(Volume), 촬영 등 다수의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값의 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키 입력부(104)는 촬영 중에 카메라의 종류나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키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부(104)는 비디오 레코딩 모드에서 사용하지 않는 키 중에서 카메라의 종류나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기능들을 특정 키에 부여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에 연결된 오디오부(106)와, 오디오부(106)에 접속된 마이크(108) 및 스피커(110)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부(106)는 비디오 레코딩 중 마이크(108)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여 오디오 버퍼(112)에 전송한다. 또한 스피커(110)는 비디오 레코딩으로 생성된 비디오 파일을 메모리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를 통해서 재생할 때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버퍼(Audio Buffer)(112)는 오디오부(106)에서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하여 오디오 인코더(Audio Encoder)(130)로 전송한다. 또한 오디오 인코더(130)는 버퍼링된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Encoding)하여 멀티플렉서(130)로 전송한다. 그리고 RF(Radio Frequence)부(132)는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 수신한다.
카메라부(105)는 카메라 구동부(116)와 제 1 카메라(118)와 제 2 카메라(120)와, 제 1 카메라(118)에 연결된 제 1 버퍼(122)와 제 2 카메라(120)와 연결된 제 2 버퍼(124)와 스위치부(126)와 카메라 모듈(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 구동부(116)는 제어부(100)로부터 제 1 카메라(118) 또는 제 2 카메라(120) 중에서 하나의 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제 1 카메라(118) 또는 제 2 카메라(120)를 구동한다. 그리고 제 1 카메라(118) 또는 제 2 카메라(120)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서 입력된 광 신호를 각각의 카메라에 연결된 제 1 버퍼(122) 및 제 2 버퍼(124)로 전송한다. 또한 제 1 버퍼(122) 또는 제 2 버퍼(124)는 제 1 또는 제 2 카메라에서 전송된 광 신호를 버퍼링하여 스위치부(126)로 전송한다.
또한 스위치부(126)는 제어부(100)로부터 제 1 버퍼(122) 또는 제 2 버퍼(124)를 카메라 모듈(127)과 연결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제 1 버퍼(122) 및 제 2 버퍼(124)를 카메라 모듈(127)과 스위칭한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127)은 카메라를 통해서 출력된 광 신호를 스위치부(126)를 통해서 전송받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표시부(134)로 전송되거나 비디오 인코더(128)로 전송된다.
비디오 인코더(128)는 카메라 모듈(127)을 통해서 전송된 영상을 인코딩하여 멀티플렉서(130)로 전송한다. 또한 비디오 인코더(128)는 제어부(100)로부터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을 제어신호에 따라 이전에 레코딩되던 영상과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처리하여 인코딩한다. 이때 비디오 인코더(128)에서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부(100)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 영상 처리방법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플렉서(130)는 비디오 인코더(128)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인코더(106)에서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여 출력한다.
또한 표시부(134)는 각종 영상 정보와 카메라 모듈(127)에 의해 얻어지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또는 메모리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34)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카메라 모듈(127)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나 메모리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재생된 비디오 파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이제 상기의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를 설정하여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여기서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는 최초로 비디오 레코딩을 할 때 입력되었던 영상 사이즈로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비디오 레코딩을 위해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를 최초로 비디오 레코딩 할 때 입력되었던 영상 사이즈로 설정하여 비디오 레코딩 중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 변경에 따라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이 최초로 비디오 레코딩 할 때 입력되었던 영상 사이즈를 갖도록 스케일링하여 레코딩 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영상 사이즈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사이즈로 설정하여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중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 변경에 따라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사이즈를 갖도록 스케일링하여 레코딩 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도 2를 살펴보면, 2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202단계에서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비디오 레코딩을 위해 카메라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카메라 종류를 선택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204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00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제어부(100)는 204단계에서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비디오 레코딩을 위한 영상 사이즈를 설정하는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204단계 검사 결과 영상 사이즈를 설정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06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단계는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 도 2 및 도 3의 설명에서는 202단계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위한 카메라 종류가 제 1 카메라로 선택된 경우임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206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카메라 구동부(116)를 통해서 제 1 카메라(118)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제 1 카메라(118)에서 출력된 광 신호가 카메라 모듈(128)로 전송되도록 제 1 버퍼(122)와 카메라 모듈(129)을 연결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치부(126)에 전송한다. 그리하여 제어부(100)는 카메라 모듈(127)이 제 1 버퍼에서 전송받은 광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고,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34)로 전송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206단계에서 208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비디오 레코 딩모드를 시작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시작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210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08단계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시작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검사한다.
그리고 208단계에서 210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카메라 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카메라 종류를 변경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21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12단계를 수행하여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의 설명에서는 210단계에서 변경 선택된 카메라 종류가 제 2카메라로 선택된 경우임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만약 212단계 검사 결과,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218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2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을 비디오 인코더(128)에서 인코딩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오디오부(106)의 마이크(108)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112)에서 버퍼링 되어 오디오 인코더(114)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와 인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멀티플렉서(130)에서 멀티플렉싱 되도록 한 후, 멀티플렉싱 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218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가 제 1 카메라(118)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의 사이즈가 최초로 비디오 레코딩 할 때 입력되었던 영상의 사이즈로 스케일링 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2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를 통해서 스케일링 된 영상을 인코딩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오디오부(106)의 마이크(108)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112)를 통해서 버퍼링 되어 오디오 인코더(114)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인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멀티플렉서(130)에서 멀티플렉싱 되도록 한 후, 멀티플렉싱 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210단계에서 214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0)는 제 2 카메라(12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카메라 구동부(116)로 전송하여 제 2 카메라(12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스위치부(126)에게 제 1 버퍼(122)의 연결 을 끊고 제 2 버퍼(124)를 연결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 2 버퍼(124)와 카메라 모듈(127)을 연결시킨다. 이때 제어부(100)는 표시부(134)가 제 1 카메라(118)를 통해서 입력되었던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다가 제 2 카메라(120)로 변경되면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부(134)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214단계에서 216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가 제 2 카메라(120)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제 1 카메라(110)를 통해서 입력되었던 영상의 사이즈로 스케일링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216단계에서 220단계를 진행하여 비디오 인코더를 통해서 스케일링 된 영상이 인코딩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오디오부(106)의 마이크(108)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112)를 통해서 버퍼링 되어 오디오 인코더(114)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와 인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멀티플렉서(130)에서 멀티플렉싱 되도록 한 후, 멀티플렉싱 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저장되도록 한다.
220단계와 222단계에서 진행한 224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224단계 검사 결과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208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204단계에서 진행한 ⓐ 이후 단계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서 진행한 3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카메라 구동부(116)를 통해서 선택된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의 사이즈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사이즈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후 도 3에서 제어부(100)가 수행하는 302단계와 304단계, 306단계, 308단계, 318단계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208단계, 210단계, 212단계, 214단계, 224단계와 각각 대응되어 동일한 과정을 수행한다.
300단계에서 302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비디오 레코딩을 시작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시작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304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2단계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시작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검사한다.
그리고 302단계에서 304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카메라 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카메라 종류를 변경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306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8단계를 진행하여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308단계 검사 결과,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312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1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을 비디오 인코더(128)에서 인코딩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오디오부(106)의 마이크(108)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112)를 통해서 버퍼링 되어 오디오 인코더(114)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인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멀티플렉 서(130)에서 멀티플렉싱 되도록 한 후, 멀티플렉싱 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312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를 통해서 현재 카메라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의 사이즈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사이즈로 스케일링 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314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를 통해서 스케일링 된 영상이 인코딩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오디오부(106)의 마이크(108)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112)를 통해서 버퍼링 되어 오디오 인코더(114)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와 인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멀티플렉서(130)에서 멀티플렉싱 한 후, 멀티플렉싱 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저장한다.
한편 304단계에서 306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카메라 구동부(116)를 통해서 변경 선택된 카메라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306단계에서 310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가 변경 선택된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사이즈로 스케일링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310단계에서 314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를 통해서 스케일링 된 영상이 인코딩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오디오부(106)의 마이크(108)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112)를 통해서 버퍼링되어 오디오 인코더(114)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와 인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멀티플렉서(130)에서 멀티플렉싱 되도록 한 후, 멀티플렉싱 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저장되도록 한다.
314단계와 316단계에서 진행한 318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318단계 검사 결과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302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에서 지원하는 최대 기준 영상 사이즈를 설정하여 비디오 레코딩 중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의 변경에 따라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2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최대 기준 영상 사이즈보다 작은 영상 사이즈를 갖는 영상의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최대 기준 영상 사이즈는 사용자가 비디오 레코딩을 위해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설정 없이 카메라에서 지원하는 최대 영상 사이즈가 될 수 있다.
402단계 검사 결과, 최대 기준 영상 사이즈보다 작은 영상 사이즈를 갖는 영상의 입력이 있으면 404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2단계에서 입력이 있는지 계속 검사한다.
그리고 404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가 최대 기준 영상 프레임에서 작은 영상 프레임만큼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더미 픽셀로 채우 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가 처리된 영상을 인코딩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오디오부(106)의 마이크(108)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112)를 통해서 버퍼링 되어 오디오 인코더(114)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와 인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멀티플렉서(130)에서 멀티플렉싱 되도록 한 후, 멀티플렉싱 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저장되도록 한다.
404단계에서 406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비디오 레코딩을 종료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406단계 검사 결과, 제어부(100)는 키 입력이 있으면 비디오 레코딩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402단계로 진행하여 최대 기준 영상 사이즈 보다 작은 영상 사이즈의 입력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검사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라 비디오 레코딩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단말기에 있어서 비디오 레코딩 중 카메라 종류 및 영상 사이즈의 변경에 따라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이 상관 관계가 없도록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을 해당 영상의 정보만으로 레코딩 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2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영상의 사이즈가 변경되었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영상의 사이즈는 카메라 종류 또는 영상 사이즈의 변경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502단계 검사 결과, 제어부(100)는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의 사이즈가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영상의 사이즈를 갖는다면 504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02단계에서 영상 사이즈가 변경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검사한다.
502단계에서 504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비디오 인코더(128)가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이 상관 관계가 없도록 현재 레코딩 중인 영상을 해당 영상의 정보만으로 인코딩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오디오부(106)의 마이크(108)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112)를 통해서 버퍼링 되어 오디오 인코더(114)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와 인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멀티플렉서(130)에서 멀티플렉싱 되도록 한 후, 멀티플렉싱 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저장되도록 한다.
504단계에서 506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4)를 통해서 비디오 레코딩을 종료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506단계 검사 결과, 제어부(100)는 키 입력이 있으면 비디오 레코딩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502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사이즈 변경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검사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2개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도 상기 비디오 레코딩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중에 카메라 종류나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여도 비디오 레코딩 모드가 종료되지 않고 계속 유지되며, 비디오 레코딩을 통해서 생성된 비디오 파일이 끊김 없이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서 생성된 비디오 파일은 일반적인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를 통해서 정상적인 재생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비디오 레코딩 할 때 보다 다양한 비디오 파일을 저장할 수 있고, UI(User Interface)가 단순하게 되어 비디오 레코딩의 제약이 없어지므로 보다 편리하게 비디오 레코딩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에 있어서,
    키 입력이 있으면 키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처리하여 인코딩한 후 출력하는 비디오 인코더와,
    상기 인코딩 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비디오 레코딩 수행 중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서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처리하여 인코딩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 인코더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준 영상 사이즈를 설정해 놓고, 상기 비디오 레코딩 수행 중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서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상기 기준 영상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상기 기준 영상 사이즈로 스케일링하여 인코딩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 인코더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서 지원하는 최대 영상 사이즈를 기준 영상 사이즈로 설정해 놓고, 상기 비디오 레코딩 수행 중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서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상기 최대 영상의 기준 영상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에 대하여 최대 기준 영상 프레임에서 작은 영상 프레임만큼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더미(dummy)픽셀로 채움으로써 인코딩 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비디오 인코더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레코딩 수행 중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서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상관 관계 없이 자체의 영상 정보만을 이용하여 인코딩 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 인코더 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5.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레코딩 수행을 위한 비디오 레코딩을 시작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제1과정과,
    상기 비디오 레코딩 수행 중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선택이 있는지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비디오 레코딩 중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선택이 있으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레코딩 되도록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제3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딩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비디오 레코딩 중 카메라 종료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선택이 있으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기준 영상 사이즈로 스케일링하여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딩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 사이즈는,
    최초로 비디오 레코딩 시 입력된 영상 사이즈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딩 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비디오 레코딩 중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선택이 있으면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으로 인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에 대하여 최대 기준 영상 사이즈의 프레임에서 작은 영상 사이즈만큼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더미(dummy)픽셀로 채움으로써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딩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기준 영상 사이즈는,
    카메라에서 지원하는 최대 영상 사이즈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딩 제어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비디오 레코딩 중 카메라 종류 변경 또는 영상 사이즈 변경을 위한 선택이 있으면 카메라 종류 변경 도는 영상 사이즈 변경으로 인해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의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를 갖는 영상을 이전에 레코딩 되던 영상과 상관 관계 없이 자체의 영상 정보만을 이용하여 비디오 레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딩 제어 방법.
KR1020070007492A 2007-01-24 2007-01-24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1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492A KR100810226B1 (ko) 2007-01-24 2007-01-24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492A KR100810226B1 (ko) 2007-01-24 2007-01-24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226B1 true KR100810226B1 (ko) 2008-03-06

Family

ID=3939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492A KR100810226B1 (ko) 2007-01-24 2007-01-24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2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7017A (ja) * 2001-03-28 2002-10-03 Fuji Photo Optical Co Ltd 撮影レンズのピント状態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7017A (ja) * 2001-03-28 2002-10-03 Fuji Photo Optical Co Ltd 撮影レンズのピント状態検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60606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66253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
EP1773054A2 (en)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76526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 moving picture
KR100575924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
KR100689419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촬영 이미지 합성 장치 및방법
KR1008261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630182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녹화수행방법
KR20100104013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70044021A1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810226B1 (ko) 카메라 단말기에서 비디오 레코딩 제어 장치 및 방법
JP4269153B2 (ja) 情報機器およびデータ表示方法
KR20020014251A (ko) 화상 통신 휴대폰
KR20070009888A (ko)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7564B1 (ko) 이동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방법
KR20110093362A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112998A (ko) 연속 촬영 영상의 선택 저장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91849B1 (ko) 카메라폰에서 대표이미지 선택을 통한 동영상 앨범 제작방법
KR20050041589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JP4293464B2 (ja) 情報機器
KR20080106710A (ko) 화상 통신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방법
KR100620689B1 (ko) 고속으로 연속 촬영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57094B1 (ko) 영상표시장치의 역상조정 방법
JP2021061542A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