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483B1 -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 - Google Patents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483B1
KR100808483B1 KR1020070114888A KR20070114888A KR100808483B1 KR 100808483 B1 KR100808483 B1 KR 100808483B1 KR 1020070114888 A KR1020070114888 A KR 1020070114888A KR 20070114888 A KR20070114888 A KR 20070114888A KR 100808483 B1 KR100808483 B1 KR 100808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earth plate
corner
lagg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규
Original Assignee
(주)전인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인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전인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11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글형토류판과 슬라이딩토류판에 의해 코너부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굴착지(20)의 코너부에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두 H파일(22)(24)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며, 양단에 사각안내구멍(32)(34)이 형성되고, 벽면에 장공(33)(35)이 형성된 앵글형토류판(30)과; 관통볼트(41)와 고정너트(42)에 의해 앵글형토류판(30)의 코너부위에 결합되고, 상·하단에 수직관통구멍(43)(44)이 형성된 코너보강앵글(40)과; 앵글형토류판(30)에 형성된 사각안내구멍(32)(34)으로 삽입되어 H파일(22)(24)을 향해 출몰되고 단부에 철(凸) 형태의 삽입부(52)가 형성되며, 벽면에 나사구멍(54)이 형성된 슬라이딩토류판(50)과; 슬라이딩토류판(5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52)에 결합되는 요(凹) 형태의 홈(61)이 일측에 형성되고, 삽입부(52)와 홈(61)이 이루는 요철(凹凸) 형태의 결합부(62)를 관통하는 볼트(63)에 의해 슬라이딩토류판(50)의 단부에 결합되며, H파일(22)(24)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65)(66)에 매설되는 "V"자 모양의 판스프링(67)(68)을 갖는 파일삽입블록(60)과; 앵글형토류판(30)에 형성된 장공(33)(35)을 통해 삽입되어 슬라이딩토류판(50)의 벽면에 형성된 나사구멍(54)에 결합되는 손잡이(70)와; 앵글형토류판(30)의 적층에 의해 상하방향 일직선으로 위치된 코너보강앵글(40)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43)(44)을 통해 모든 코너보강앵글(40)을 하나로 결속하는 앵글결속볼트(80)와 앵글결속너트(82)로 구성된 것이다.
토류판, H파일, 코너, 보강, 패킹

Description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Structure of earthy plate for corner using architecture}
본 발명은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앵글형토류판과 슬라이딩토류판에 의해 코너부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류벽은 본래 기초 터파기 공사 중의 토압, 수압 등의 측압에 대해 저항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공되는 가설 구조물이였으나 최근의 도심지 구간 굴착공사가 빈번해짐에 따라 주변 지반침하나 건물의 보호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등 그 이용목적이 다양화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굴착지의 코너부에 설치되는 토류벽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H파일(10)(12)을 이용해서 평면에서 볼 때 하나는 가로방향으로 나머지 하나는 세로방향으로 배치하여 밀착시킨 것으로, 시공오차에 의해 H파일(10)(12)을 항타할 때 약간씩 기울어진 경우 H파일(10)(12)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토사가 유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토사유출은 방지하고 배후토에 잔류하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으며, 굴착지의 토류벽을 구성할 때 시공이 간편한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굴착지의 코너부에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두 H파일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며, 양단에 사각안내구멍이 형성되고, 벽면에 장공이 형성된 앵글형토류판과; 관통볼트와 고정너트에 의해 앵글형토류판의 코너부위에 결합되고, 상·하단에 수직관통구멍이 형성된 코너보강앵글과; 앵글형토류판에 형성된 사각안내구멍으로 삽입되어 H파일을 향해 출몰되고 단부에 철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며, 벽면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딩토류판과; 슬라이딩토류판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에 결합되는 요(凹) 형태의 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삽입부와 홈이 이루는 요철 형태의 결합부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슬라이딩토류판의 단부에 결합되며, H파일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에 매설되는 "V"자 모양의 판스프링을 갖는 파일삽입블록과; 앵글형토류판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삽입되어 슬라이딩토류판의 벽면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앵글형토류판의 적층에 의해 상하방향 일직선으로 위치된 코너보강앵글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을 통해 모든 코너보강앵글을 하나로 결속하는 앵글결속볼트와 앵 글결속너트로 구성하여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굴착지의 코너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실시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앵글형토류판의 코너부에 설치된 코너보강앵글에 의해 앵글형토류판의 휨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토류벽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굴착지에 시공된 H파일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 슬라이딩토류판에 의해 길이를 가변하여 치수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H파일에 삽입되는 파일삽입블록이 날개부와 판스프링에 의해 H파일에 끼여서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토류벽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여러 개의 코너보강앵글을 앵글결속볼트와 앵글결속너트에 의해 하나로 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앵글형토류판의 연결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슬라이딩토류판에 결합되는 손잡이에 의해 슬라이딩토류판을 앵글형토류판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앵글형토류판의 안쪽으로 집어넣는 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지(20)의 코너부에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두 H파일(22)(24)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며, 양단에 사각안내구멍(32)(34)이 형성되고, 벽면에 장공(33)(35)이 형성된 앵글형토류판(30)과; 관통볼트(41)와 고정너트(42)에 의해 앵글형토류판(30)의 코너부위에 결합되고, 상·하단에 수직관통구멍(43)(44)이 형성된 코너보강앵글(40)과; 앵글형토류판(30)에 형성된 사각안내구멍(32)(34)으로 삽입되어 H파일(22)(24)을 향해 출몰되고 단부에 철(凸) 형태의 삽입부(52)가 형성되며, 벽면에 나사구멍(54)이 형성된 슬라이딩토류판(50)과; 슬라이딩토류판(5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52)에 결합되는 요(凹) 형태의 홈(61)이 일측에 형성되고, 삽입부(52)와 홈(61)이 이루는 요철(凹凸) 형태의 결합부(62)를 관통하는 볼트(63)에 의해 슬라이딩토류판(50)의 단부에 결합되며, H파일(22)(24)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65)(66)에 매설되는 "V"자 모양의 판스프링(67)(68)을 갖는 파일삽입블록(60)과; 앵글형토류판(30)에 형성된 장공(33)(35)을 통해 삽입되어 슬라이딩토류판(50)의 벽면에 형성된 나사구멍(54)에 결합되는 손잡이(70)와; 앵글형토류판(30)의 적층에 의해 상하방향 일직선으로 위치된 코너보강앵글(40)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43)(44)을 통해 모든 코너보강앵글(40)을 하나로 결속하는 앵글결속볼트(80)와 앵글결속너트(82)로 구성한다.
여기서 앵글형토류판(30)과 코너보강앵글(40)에는 구멍중심이 일치되는 체결공(39)(49)을 각각 형성하여 관통볼트(41)를 이들 체결공(39)(49)으로 삽입한 후 앵글형토류판(30)의 후면으로 돌출된 관통볼트(41)의 선단에 고정너트(42)를 결합하여 체결하도록 한다.
또한, 코너보강앵글(40)은 일예로 등변앵글의 양단에 직각삼각형 모양의 리브(46)를 용접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주물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한편, 앵글형토류판(30)과 슬라이딩토류판(50)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내식성이 뛰어난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섬유보강플라스틱(FRP)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 슬라이딩토류판(50)의 단부에 결합되는 파일삽입블록(60)에 매립된 판스프링(67)(68)은 파일삽입블록(60)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65)(66)의 탄성력을 증대시켜 H파일(22)(24)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슬라이딩토류판(50)에 결합되는 손잡이(70)는 슬라이딩토류판(5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손잡이(70)의 선단부에 수나사부(72)를 형성하여 슬라이딩토류판(50)에 형성된 나사구멍(54)에 결합하며, 앵글형토류판(30)에 형성된 장공(33)(35)의 폭은 손잡이(70)의 직경보다 약간 큰 폭을 갖도록 하여 손잡이(70)가 장공(33)(35)의 내측에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형토류판(30)의 코너부위에 코너보강앵글(4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코너보강앵글(40)에 형성된 체결공(49)과 앵글형토류판(30)에 형성된 체결공(39)의 구멍중심을 일치시킨 다음 코너보강앵글(40)에 형성된 체결공(49)을 통해 관통볼트(41)를 삽입하게 되면, 관통볼트(41)의 선단이 앵글형토류판(30)의 배후면으로 약간 돌출되는데, 이 돌출된 관통볼 트(41)의 선단부에 고정너트(42)를 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코너보강앵글(40)가 앵글형토류판(30)의 코너부위에 고정되어 앵글형토류판(30)의 휨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토류판(5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52)를 파일삽입블록(60)에 형성된 홈(61)에 삽입한 다음 볼트(63)를 이용 결합하게 되면, 파일삽입블록(60)이 슬라이딩토류판(50)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후 앵글형토류판(30)의 사각안내구멍(32)(34)에 슬라이딩토류판(50)을 삽입하게 되면, 슬라이딩토류판(50)의 벽면에 형성된 나사구멍(54)이 앵글형토류판(30)의 벽면에 형성된 장공(33)(35)을 통해 노출된다.
그 다음 장공(33)(35)으로 노출되어 있는 나사구멍(54)에 손잡이(70)에 형성된 수나사부(72)를 결합하게 되면, 손잡이(70)가 슬라이딩토류판(50)에 고정되며, 손잡이(70)는 주로 슬라이딩토류판(50)을 출몰시키는데 이용되지만 슬라이딩토류판(50)이 앵글형토류판(30)으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한다.
위와 같이 조립된 앵글형토류판(30)과 슬라이딩토류판(50)을 굴착지(20)의 코너부에 시공하는 과정은 슬라이딩토류판(50)을 앵글형토류판(30)의 안쪽으로 밀어 넣어서 길이를 짧게 한 상태에서 굴착지(20)의 코너부에 설치된 H파일(22)(24) 사이에 앵글형토류판(30)을 위치시킨 다음 손잡이(70)를 이용 슬라이딩토류판(50)을 앵글형토류판(30)으로부터 인출하여 H파일(22)(24)에 끼우게 되면, 슬라이딩토류판(50)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파일삽입블록(60)이 H파일(22)(24)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때 파일삽입블록(60)에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65)(66)는 파일삽입블록(60)이 H파일(22)(2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저항을 받아 휘면서 진입되며, 파일삽입블록(60)의 날개부(65)(66)에 매설되어 있는 판스프링(67)(6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날개부(65)(66)는 H파일(22)(24)의 플랜지 내측면에 밀착된다.
위와 같이 앵글형토류판(30)과 슬라이딩토류판(50)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적층하면서 H파일(22)(24)에 끼운 다음 앵글형토류판(30)의 코너부에 결합되어 있는 코너보강앵글(40)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43)(44)으로 앵글결속볼트(80)를 삽입하게 되면, 앵글결속볼트(80)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고 있는 코너보강앵글(40)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43)(44)을 관통하여 최하단에 위치한 코너보강앵글(40)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되는데, 이때 돌출된 앵글결속볼트(80)의 나사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바닥의 흙을 대략 주먹만한 크기로 제거한 다음 앵글결속볼트(80)의 나사부에 앵글결속너트(82)를 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코너보강앵글(40)가 하나로 결합되어 앵글형토류판(30)은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갖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토류판(50)이 앵글형토류판(30)에 형성된 사각안내구멍(32)(34)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앵글형토류판(30)의 높이보다 슬라이딩토류판(50)의 높이가 작게 되어 적층시 슬라이딩토류판(50) 사이에 약간의 틈이 발생되는데, 이는 매우 작은 크기를 갖기 때문에 토사의 유출은 방지하고, 배후토에 잔류하는 수분을 굴착지(20) 안쪽으로 배수하여 토질을 더욱 단단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 구조를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굴착지 22,24 : H파일
30 : 앵글형토류판 32,34 : 사각안내구멍
33,35 : 장공 40 : 코너보강앵글
41 : 관통볼트 42 : 고정너트
43,44 : 수직관통구멍 50 : 슬라이딩토류판
52 : 삽입부 54 : 나사구멍
60 : 파일삽입블록 61 : 홈
62 : 결합부 63 : 볼트
65,66 : 날개부 67,68 : 판스프링
70 : 손잡이 80 : 앵글결속볼트
82 : 앵글결속너트

Claims (1)

  1. 굴착지(20)의 코너부에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두 H파일(22)(24)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며, 양단에 사각안내구멍(32)(34)이 형성되고, 벽면에 장공(33)(35)이 형성된 앵글형토류판(30)과;
    관통볼트(41)와 고정너트(42)에 의해 앵글형토류판(30)의 코너부위에 결합되고, 상·하단에 수직관통구멍(43)(44)이 형성된 코너보강앵글(40)과;
    앵글형토류판(30)에 형성된 사각안내구멍(32)(34)으로 삽입되어 H파일(22)(24)을 향해 출몰되고 단부에 철(凸) 형태의 삽입부(52)가 형성되며, 벽면에 나사구멍(54)이 형성된 슬라이딩토류판(50)과;
    슬라이딩토류판(5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52)에 결합되는 요(凹) 형태의 홈(61)이 일측에 형성되고, 삽입부(52)와 홈(61)이 이루는 요철(凹凸) 형태의 결합부(62)를 관통하는 볼트(63)에 의해 슬라이딩토류판(50)의 단부에 결합되며, H파일(22)(24)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65)(66)에 매설되는 "V"자 모양의 판스프링(67)(68)을 갖는 파일삽입블록(60)과;
    앵글형토류판(30)에 형성된 장공(33)(35)을 통해 삽입되어 슬라이딩토류판(50)의 벽면에 형성된 나사구멍(54)에 결합되는 손잡이(70)와;
    코너보강앵글(40)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43)(44)을 통해 모든 코너보강앵글(40)을 하나로 결속하는 앵글결속볼트(80)와 앵글결속너트(8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
KR1020070114888A 2007-11-12 2007-11-12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 KR10080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888A KR100808483B1 (ko) 2007-11-12 2007-11-12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888A KR100808483B1 (ko) 2007-11-12 2007-11-12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483B1 true KR100808483B1 (ko) 2008-03-03

Family

ID=3939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888A KR100808483B1 (ko) 2007-11-12 2007-11-12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4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582B1 (ko) 2008-07-22 2010-12-02 세이프이앤씨(주) 건축공사용 흙막이 시설
KR101094827B1 (ko) 2011-04-22 2011-12-16 주식회사 동림건설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CN105926583A (zh) * 2016-05-27 2016-09-07 福建工程学院 一种高强度预应力槽型板桩的转角桩
CN106759258A (zh) * 2016-12-09 2017-05-31 福建工程学院 一种用于高强预应力槽型板桩的转角桩
CN114164723A (zh) * 2021-11-19 2022-03-11 山东高速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渣土类建筑废弃物填筑高速公路路基及其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272B1 (ko) 2005-08-24 2006-03-27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 터파기 공사용 토류시설
KR100575420B1 (ko) 2005-09-05 2006-05-03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100584075B1 (ko) 2006-02-22 2006-05-29 주식회사 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기초 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KR100637711B1 (ko) 2006-07-25 2006-10-27 (주)기하동문기술사건축사사무소 폭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용 토류판
KR100659599B1 (ko) 2006-09-14 2006-12-20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폭 조절과 배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토류판
KR100712135B1 (ko) 2007-01-26 2007-04-27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토류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272B1 (ko) 2005-08-24 2006-03-27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 터파기 공사용 토류시설
KR100575420B1 (ko) 2005-09-05 2006-05-03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100584075B1 (ko) 2006-02-22 2006-05-29 주식회사 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기초 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KR100637711B1 (ko) 2006-07-25 2006-10-27 (주)기하동문기술사건축사사무소 폭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용 토류판
KR100659599B1 (ko) 2006-09-14 2006-12-20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폭 조절과 배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토류판
KR100712135B1 (ko) 2007-01-26 2007-04-27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토류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582B1 (ko) 2008-07-22 2010-12-02 세이프이앤씨(주) 건축공사용 흙막이 시설
KR101094827B1 (ko) 2011-04-22 2011-12-16 주식회사 동림건설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WO2012144699A1 (ko) * 2011-04-22 2012-10-26 (주)동림건설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CN105926583A (zh) * 2016-05-27 2016-09-07 福建工程学院 一种高强度预应力槽型板桩的转角桩
CN106759258A (zh) * 2016-12-09 2017-05-31 福建工程学院 一种用于高强预应力槽型板桩的转角桩
CN114164723A (zh) * 2021-11-19 2022-03-11 山东高速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渣土类建筑废弃物填筑高速公路路基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483B1 (ko) 굴착지의 코너부 흙막이를 위한 건축용 토류판 구조
KR100975824B1 (ko) 흙막이 판부재
KR101403350B1 (ko)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64526B1 (ko) 뒷길이 보강재 결속형 토낭 연결재
KR101232604B1 (ko) 강재토류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28578B1 (ko) 가설용 흙막이 및 그 설치방법
KR102112388B1 (ko)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KR102235837B1 (ko) 엄지말뚝을 이용한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102309753B1 (ko) 철판 벽체 차수 구조 및 시공방법
KR102259036B1 (ko) 토사 유입방지 및 시공 안정성이 확보된 건축물 기초흙막이 벽체 설치방법 및 그 기초흙막이 벽체 설치구조
CN209260694U (zh) 综合管廊用t型转角钢板桩
KR102092647B1 (ko) 조립성과 결합성이 우수한 직립형 결합구조를 갖는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1388478B1 (ko) 아치형 토류판
KR100696994B1 (ko) 균등침하를 유도할 수 있는 블럭식 보강토옹벽
CN214993822U (zh) 一种用于河道高分子板桩捶打的辅助装置
KR20110022956A (ko) 변단면 파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구조물
KR102142226B1 (ko) 단차 결합구조를 갖는 강재 토류판
KR20210123805A (ko) 흙막이용 차수 구조물
CN208933949U (zh) 一种综合管廊用异形转角钢板桩
KR200258921Y1 (ko)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KR101979895B1 (ko) 조립식 토류판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1804342B1 (ko) Pc파일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pc파일 구조물
KR100712135B1 (ko)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토류판
KR20210007412A (ko) 흙막이 공사용 마름모형 파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200328605Y1 (ko) 가설용 흙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