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168B1 - 그룹 토크를 큐잉하고 중재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그룹 토크를 큐잉하고 중재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168B1
KR100807168B1 KR1020067015740A KR20067015740A KR100807168B1 KR 100807168 B1 KR100807168 B1 KR 100807168B1 KR 1020067015740 A KR1020067015740 A KR 1020067015740A KR 20067015740 A KR20067015740 A KR 20067015740A KR 100807168 B1 KR100807168 B1 KR 100807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lk
group
wireless device
network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948A (ko
Inventor
트레버 플레스티드
루이스 파블로 이스터블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2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반이중 통신 토크 그룹 세션이 제공된 시스템 특징 네트워크 내에서 큐잉되고 중재된 토크 그룹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큐잉을 위해서, 청취 중인 사용자로부터의 토크 요구를 무시하기 보다는, 이 요구가 네트워크로 전송되어 토크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수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스트에 유지된다. 중재된 토크 그룹을 위해서, 무선 장치는 중재자 네트워크 장치가 되도록 지정된다. 토크 채널에 대한 요구는 그 다음에 중재자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된다. 중재자 네트워크 장치는 장치에 토크 채널을 수여하는 순서를 장치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 설비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메타 그룹이 제공되고, 토크 그룹 세션용의 순서의 규칙이 구현된다.

Description

그룹 토크를 큐잉하고 중재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QUEUEING AND MODERATING GROUP TALK}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이중(half-duplex)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 토크(group talk)에 관한 것이다.
디스패치를 통한 PTT™(push-to-talk™) 서비스 형태, 셀룰러를 통한 PTT™(PTT™ over cellular; PoC) 서비스(OMA 표준의 일부임) 형태, 또는 기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워키토키형 기능(walkie-talkie-like functionality) 또는 유사한 반이중 음성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이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워키토키형 기능 및 반이중 음성 기능은 임의의 한 시점에서 토킹(talking)측 또는 송신측 장치로부터 청취(listening)측 또는 수신측 장치로 음성 통신을 송신할 수 있지만, 토킹측 장치가 음성을 수신측 장치로 송신하는 동안 수신측 장치로부터 토킹측 장치로 음성 통신을 동시에 송신하지 못하는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되는 임의의 음성 통신 기능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장치는 전형적으로, 사실상 PoC 세션(session) 중에 허용되는 OMA 스펙의 일부로서 규정된, 무선을 통한 순간 메시징(Instant Messaging)(채팅)과 같은 데이 터 통신의 다른 수단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active) PTT™ 세션 또는 디스패치 콜 세션 중에, 그 세션에 참가하는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장치("토커"(talker) 장치)만이 임의의 한 시점에서 송신 장치 또는 토킹 장치로서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토크/송신 채널을 요구함으로써 및 네트워크에 의해 토크/송신 채널을 수여받음으로써 송신 장치의 임무를 얻는다. 토커의 장치가 송신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동안(토크 기간 동안), 활성 디스패치 콜 세션에 있는 모든 다른 장치(청취자의 장치)들은 청취자 모드에 있고 송신 장치가 네트워크에 토크 기간을 종료하고 토크/송신 채널을 해방(release)시킬 것을 요구할 때까지는 음성을 송신할 수 없다. 토크/송신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동안의 시간은 유휴 기간(idle period)이다. PTT™의 표준적 구현에 있어서, 예컨대 무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토크/송신 채널의 획득 및 해방에 대한 요구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PTT™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요구는 논리 제어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에 보내진다.
워키토키형 서비스의 일부로서 PTT™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예로는 모토롤라(Motorola™)의 iDEN™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예의 시스템으로는 1xRTT CDMA, UMTS, GSM/GPRS, TDMA, 및 802.11계 표준형이 있다. 푸시 투 토크(Push-to-talk™) 서비스는 전이중(full duplex) 통신도 또한 제공하는 기존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선택적 반이중 서비스로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반이중 통신만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넓은 태양(aspect)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토크 그룹 내에서 하나의 장치에 송신 능력이 주어지고 모든 다른 장치에 수신 능력이 주어지도록 토크 그룹 장치 내에서 워키토키형 통신 능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토크 순서 제어기를 제공하는데, 이 토크 순서 제어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고 미해결 요구의 기록을 유지하며; 상기 미해결 요구의 기록에 기초하여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를 수여함으로써 토크 순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네트워크와 결합되고, 복수의 토크 그룹 각각에 대해 토크 순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워키토키형 통신은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인 장치에 전달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미해결 요구의 기록은 요구가 수신된 순서로 배열된 미해결 요구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능력의 요구는 최고의 것으로부터 최신의 것으로 수여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송신 능력이 포기되었다는 표시를 검출 또는 수신하고, 포기된 송신 능력에 응답하여 다음에 송신 능력이 수여될 장치에 토크를 위한 소거 메시지를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더 이상 장치가 송신 능력을 기 다리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도록 요구하는 요구를 그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는 토크 그룹과 관련하여 송신되고, 이 메시지는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로 토크 해방 메시지(release of talk message); 네트워크로부터 장치로의 토크 메시지에 대한 소거; 네트워크로부터 장치로의 인터럽트(interrupt) 메시지;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장치로의 뮤트 오더(mute order)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각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구의 수를 카운트하고 각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구의 수에 기초해서 송신 특권 수여를 재우선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복수의 무선 장치 그룹과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장치 그룹의 중재(moderation)을 수행하고, 그 그룹용의 중재자(moderator) 장치로 지정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장치 그룹 내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 장치들 중 하나와 결합한다.
다른 하나의 넓은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각각의 토크 그룹 내에서 하나의 장치에 송신 능력이 주어지고 모든 다른 장치에 수신 능력이 주어지도록 토크 그룹 장치 내에서 각각의 토크 그룹에 대해서 위에서 요약한 바와 같은 토크 순서 제어기와 함께 워키토키형 통신 능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데, 이 네트워크는, 각 그룹에 대해, 그룹의 중재자 장치가 되도록 특수 장치의 지정을 유지하고; 송신 능력 요구의 수신 및 그 요구를 중재자 장치에 전송하며; 중재자 장치로부터 송신 능력의 수여를 수신 및 상기 각각의 수여를 적어도 각각의 피수여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각각의 토크 그룹 장치에 대한 특권 정보를 유지하고; 무선 장치로부터 토크 그룹 제어 메시지를 수신 및 특권 정보에 따라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특권 정보는, 중재자 능력; 중재자 메타 그룹 능력; 그룹 내 사설 메시징; 방송 메시징; 토크 채널 요구 액세스; 청취 전용(listen-only) 액세스의 특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주어진 무선 장치와 조화하는 지에 관한 표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장치 그룹과 결합하고, 각 장치 그룹의 토크 순서 제어기는 그 그룹의 장치들 중 하나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중재자 장치는 송신 능력에 대한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구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중재자 장치는 송신 능력이 선택 및 수여되도록 송신 능력의 요구가 수신되어지는 장치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중재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송신 능력을 수여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순서 제어기가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 네트워크와 결합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토크 그룹에 대한 한 세트의 순서의 규칙을 유지하고; 이 순서의 규칙에 따라서 토크 그룹간의 상호 작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순서의 규칙은 활동을 행할 권리(rights to make motions); 활동의 선행 순서(order of precedence of motions); 활동에 관한 규칙(rules respecting motions)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위에서 요약된 토크 순서 제어기는 CDMA 기반 통신, 802.11 기반 통신, iDEN, GPRS, 블루투스, UMTS, PoC(push to talk over cellualr) 중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는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워키토키형 통신은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인 장치에 전달된다.
다른 하나의 넓은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무선 장치들 간에 워키토키형 통신 세션을 전달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와; 송신 능력을 하나의 무선 장치에 수여하고 청취 특권을 나머지 무선 장치에 수여하는 단계와; 청취 특권을 가진 무선 장치로부터 송신 능력의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송신 능력의 요구에 응답하여 송신 능력을 수여하는 단계를 순서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 능력의 요구에 응답하여 송신 능력을 수여하는 단계는 요구가 수신되는 순서대로 행하여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 능력의 요구에 응답하여 송신 능력을 수여하는 단계는 중재자의 제어하에 행하여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 능력의 요구에 응답하여 송신 능력을 수여하는 단계는 정의된 세트의 순서 규칙에 따라 행하여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위에서 요약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또다른 넓은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요구가 특수 사용자에 의해 행하여졌음을 중재자 무선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로부터의 동작인 발언권 중재 요구와; 사용자 무선 장치에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네트워크에 요구하기 위한 중재자 무선 장치로부터의 동작인 발언권 중재 응답을 통하여, 중재된 토크 제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PoC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무선 장치의 예시적 구현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활성 반이중 세션에서 큐된(queued) 송신 채널 요구 메시징의 예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우선화 토크 순서 큐잉의 예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터럽트 토크 순서 제어의 예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중재된 토크 순서 제어의 예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PoC 구현예에서 중재된 토크 그룹 접속의 예시적 구현예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규칙화한 중재된 토크 순서 제어의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처리 활동의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특수한 예에서, 워키토키형 능력은 PTT 능력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기에서의 예인 PTT 능력으로 제한되지 않고 네트워크 전달식 워키토키형 능력을 제공하는 임의의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공지 시스템에서 유지된 그룹 토크 세션의 수신단에 있는 사용자는 토크/송신 채널이 해방되기 전에는 송신 장치에 의해 점유되기 때문에 송신 장치의 사용자에게 통신할 방법이 없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장치가 청취 모드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채널을 요구하기 위해 "토크 버튼"을 누를 때, 장치는 요구를 네트워크에 전송하지 않고 요구를 단순히 무시(drop)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가 청취 모드에 있는 경우에도 요구를 무시하지 않고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메시지는 채널이 이용가능한 동안에 토크 버튼이 활성화된 때 발생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것일 수 있고, 또는 새로운 메시지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메시지는 여기에서 송신 채널 요구 메시지(transmit channel request message), 또는 TCRM이라고 언급될 것이다. 이것은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로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이것은 별도의 제어 채널을 통해 또는 통상적으로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교통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모토롤라의 iDEN™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에서, TCRM 36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호한 논리 제어 채널은 가끔 제2층이라고 부르는 데이터 연결층이다. TCRM은 L2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전용 제어 채널(DCCH) 또는 제휴 제어 채널(A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CRM이 장치 특정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채널로부터 어떤 장치가 TCRM을 전송하였는지를 네트워크가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TCRM에 장치 식별자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다. iDEN은 SIP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 네트워크 전달식 워키토키형 능력의 예로서 알려져 있다. SIP 기반 시스템에서는 바람직하게 IP 메시지를 통한 SIP가 TCRM용으로 사용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PTT 가능 무선 장치(300)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설명한다. 이것은 토크 그룹 요구 처리의 큐잉 및/또는 중재된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장치의 일 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하여야 한다.
실제의 무선 장치에서는 전형적으로 많은 다른 특징들이 포함될 것임을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이 특징들은 명확성을 위해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300)는 키패드(312) 형식의 토크 요구 인터페이스 및 터치스크린(340)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로컬 입력/출력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토크 요구 인터페이스는 처리 요소(320)에 결합된다. 처리 요소(320)는 메시지 송신 요소(332)에 결합된다. 메시지 송신 요소(332)는 리소스를 메시지 수신 요소(334)와 공유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요소(334)는 처리 요소(320)에 결합된다. 요소(332, 334)들은 바람직하게 무선 장치에서 표준 수신 및 송신 능력의 일부를 형성한다.
처리 요소(320)는 TCRM의 발생을 취급하기 위해, 및 뒤에서 설명하는 "토크를 위한 소거"(clear-to-talk) 메시지(CTTM)를 포함하는 다른 메시지의 수신을 취급하기 위해 무선 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임의의 적당한 처리 능력을 나타낸다. 이 요소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중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처리 요소(320)는 기존의 무선 장치에 이미 제공된 소프트웨어 능력에 추가적인 요소로서 포함된다.
동작시에, 도 1의 무선 장치(300)는 네트워크 제공식 워키토키형 반이중 통신 능력에서 THD(반이중 송신) 모드 및 RHD(반이중 수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RHD 모드에 있는 동안, 무선 장치는 토크 요구 인터페이스(312)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에 의해 유지되는 리스트에 추가되도록 네트워크에 TCRM의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일단 요구가 입력되면, 처리 요소(320)는 아마도 무선 장치(300)의 식별 표식(identification)을 포함하는 TCRM을 발생하고, 이 TCRM을 적당한 송신 리소스 상의 메시지 송신 요소(332)를 통해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무선 장치가 그 TCRM(또는 임의의 메시지)이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었음을 통보받을 수 있도록 수신 통지 능력(acknowledgement capability)이 제공된다.
RHD 모드에 있는 동안, 무선 장치는 메시지 수신 요소(334)를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CTTM을 수신할 수 있다. CTTM은 처리 요소(320)에 대한 입력이고, 여기에서 CTTM임을 인식하는 데 필요한 정도로 CTTM이 처리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 검출가능 표시가 무선 장치에서 발생되어 예를 들면 가청 음색(audible tone), 가시 신호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표시 형태로 CTTM의 수신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는 CTTM의 수신 후에 토크 버튼을 누르지 않는 한 실제로 토크 채널을 취하지 않는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채널 요구 메시지 큐잉의 예를 반이중 그룹 호출시 무선 장치 그룹용의 활성 워키토키형 호출 세션의 개념에서 설명하겠다.
도면에는 각각의 장치 식별자 무선 장치_1, 무선 장치_2, 무선 장치_3 및 무선 장치_4를 가진 무선 장치(30, 32, 34, 36) 그룹으로 구성된 토크 그룹이 도시되어 있다. 각 무선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일 수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토크 채널"(37)로 표시된 바와 같이 무선 장치(36)가 소유한 송신 채널과 함께 활성 세션에 참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표시된 특수 시점에서, 무선 장치(36)는 이 무선 장치(36)가 토크/송신 모드에 있고 송신 채널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THD 모드에 있다. 나머지 무선 장치(30, 32, 34)는 RHD 모드, 즉 청취 모드에 있고, 각각 "청취 채널"(31, 33, 35)을 통해 그룹 토크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더 일반적으로 말해서, 임의 수의 무선 장치를 수반하는 그룹 호출 세션에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설명 을 간단히 하기 위해, THD 모드 또는 RHD 모드에 있는 장치는 각각 THD 장치 또는 RHD 장치라고 부르겠다. 그러나, 이들은 임의의 특정 시점에서 장치의 특수한 동작 모드를 임시로 지정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활성 세션 중에, RHD 장치(30, 32, 34)의 사용자는 청취자라고 부르고, THD 장치(36)의 사용자는 토커라고 부른다. 도 1에 도시된 특정 예의 각 장치는 임의의 특수한 활성 세션 중에 어느 장치가 토크/송신 모드에 있고 어느 장치가 청취 모드에 있는지에 따라서 THD 장치로서 또는 RHD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각 장치는 "토크" 버튼, 또는 이후 반이중 채널에서의 송신을 위한 액세스를 요구하는 "토크 요구 인터페이스"라고 부르게 될 다른 적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상기 토크 요구 인터페이스는 종래의 워키토키형이 가능한 무선 장치의 "토크" 버튼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토크" 버튼에 추가적인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 사이의 물리적 연결의 확립, 음성 데이터 패킷의 라우팅 및 청취 모드에 있는 각 장치에 대한 음성 데이터 패킷의 이중화(duplication)는 PTT™ 또는 유사한 반이중 음성 통신 시스템의 각 구현예마다 특정된다. 이 기능들은 연결부(37)를 통해 THD 장치(36)에 의해 보내진 음성 데이터를 연결부(31, 33, 35)를 통해 모든 RHD 장치(30, 32, 34)에 통신하기 위한 반이중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시스템 성분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활성 세션의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25)에 의해 관념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들의 상세는 여기에서 중요하지 않다. 활성 세션 중에 THD 장치(36)는 채널 해방 또는 호출 종료를 요구하기 전까지 토크/송신 채널을 소유한다.
도면에는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토크 순서 제어기(40)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네트워크(25)의 일부로서 구현된다. 토크 순서 제어기(40)는 네트워크(25)에 의해 제공된 기존 처리 능력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의 확장으로서 바람직하게 구현되지만, 보다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중의 하나 이상의 임의의 적당한 조합일 수 있다. 토크 순서 제어기는 TCRM을 수신하고, 뒤에서 설명하는 큐잉 동작(queuing operation)을 수행한다. TCRM을 수신하는 것 외에, 토크 순서 제어기(40)는 "토크를 위한 소거"(clear-to-talk) 메시지(CTTM)를 발생하며, 이 메시지는 다음에 특정 무선 장치에 송신 반이중 채널을 사용할 기회가 주어졌음을 표시하기 위해 특정 무선 장치에 각각 송신된다. TCRM과 마찬가지로, CTTM은 임의의 적당한 채널을 통해 무선 장치로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되고 임의의 형태로 올 수 있으며, 유일하게 필요로 하는 것은 청취 모드에 있는 무선 장치가 메시지를 어떤 용도의 것인지 인식하는 것뿐이다. PoC 구현예에서, PoC는 예를 들면 토크 순서 제어기를 내장할 것이다. TCRM 메시지의 예로는 PoC 명세서의 "발언권 요구"(floor request) 메시지가 있고, CTTM 메시지의 예로는 PoC 명세서의 "발언권 수여"(floor grant) 메시지가 있다.
토크 순서 제어기(40)는 TCRM을 수신하고, 최고(oldest) TCRM으로부터 최신(newest) TCRM까지의 순서가 공지되도록 관련된 장치 식별자를 차례대로 유지한다. 예를 들어서 이전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놓아줌으로써 송신 채널이 이용가능하게 되었을 때, 토크 순서 제어기는 식별자가 리스트에서 가장 오래된 무선 장치에 CTTM을 전송한다. 무선 장치 식별자를 FIFO(선입선출) 버퍼에 저장함으로써 이 기능이 달성된다. 일단 무선 장치에 토크 채널이 주어지면, 토크 순서 제어기(40)에 의해 유지된 리스트로부터 관련 식별자가 제거된다. 대안적으로, 식별자는 특정 장치가 송신 채널을 갖고 있음을 표시하는 상태와 관련하여 유지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활성 세션 중에, 청취 모드에 있는 청취자 장치(30)는 청취자로부터의 외부 입력에 응답하여 토크 요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 채널 요구 메시지(TCRM)(41)를 전송한다. TCRM(41)은 네트워크(25)에 의해 수신되고 토크 순서 제어기(40)에 전송된다. 그러나 도면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토크 순서 제어기(40)에 의해 직접 수신되는 메시지를 단순히 도시하였다. 토크 순서 제어기(40)는 TCRM 메시지가 송신되는 사용자의 장치 식별자 리스트(46)를 유지한다. 그래서, 무선 장치(30)로부터 TCRM(41)을 수신하면, 장치 식별자 무선 장치_1이 리스트(46)에 추가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잠시 후, 무선 장치(34)가 TCRM(42)을 발생하고, 이 TCRM(42)은 역시 토크 순서 제어기(40)에 전송되어 리스트(46)에 추가된다. 그 다음에, 무선 장치(32)가 TCRM(44)을 발생하고, 이 TCRM(44)이 또한 토크 순서 제어기(40)에 전송되어 리스트(46)에 추가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스트(46)는 TCRM(41, 42, 44)이 수신된 순서대로 3개의 무선 장치(30, 34, 32)의 무선 장치_1, 무선 장치_3 및 무선 장치_2의 엔트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무선 장치_4의 엔트리는 현재 토크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이동 장치(36)로서 또한 도시되어 있다.
리스트(46)는 TCRM을 전송한 무선 장치의 새로운 엔트리를 추가하기 위해 진행형 방식(ongoing basis)으로 유지된다. 각 무선 장치의 엔트리는 TCRM을 송신한 무선 장치와 유일하게 관련될 수 있는 임의의 엔트리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무선 장치 식별자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스트(46) 내에 있는 각 엔트리는 또한 관련된 상태를 갖는다. 무선 장치_4(36)의 상태는 "토크중"이고, 무선 장치_1(30)의 상태는 "첫번째 토크"이고, 무선 장치_3(34)의 상태는 "두번째 토크"이며, 무선 장치_2(32)의 상태는 "세번째 토크"이다. 추가적인 상태는 그 아래에 도입된다. 단지 큐잉만이 수행되는 단순한 구현예에서는 필요한 시퀀스 정보가 리스트로부터 완전하게 추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태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도 2의 구성 상태는 나중 시간에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된다. 이제 토크 채널을 사용하였던 무선 장치, 즉, 도 2의 예에서 무선 장치(36)는 채널을 포기하고 청취 채널(49)을 통해 청취한다. 토크 순서 제어기(40)는 리스트(46)를 참조함으로써 채널을 취득할 기회가 주어지는 다음 무선 장치를 결정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무선 장치(30)의 식별자인 무선 장치_1이 리스트 상에서 다음이다. 토크 순서 제어기(40)는 CTTM(45)을 송신한다. 무선 장치(30)가 CTTM을 수신한 후, 무선 장치(30)는 무선 장치(30)로부터 네트워크(25)로 반이중 채널(47)을 전송하는 통신이 자유로워진다. CTTM이 장치 특정 채널을 통해 전송된 경우에, 무선 장치(30)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유일한 장치가 되고, 따라서 장치 식별자가 CTTM에 포함될 필요가 없다. 만일 CTTM을 송신하기 위해 방송 채널이 사용되면 그 방송 채널은 장치 식별자를 수반하거나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의 구성 상태는 나중 시간에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된다. 여기에서, 무선 장치(30)는 도면 부호 5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토크 버튼(또는 다른 토크 요구 인터페이스)를 놓아주어서 토크 채널을 해방한다. 토크 순서 제어기(40)는 무선 장치(34)의 무선 장치_3이 리스트(46)에서 다음이고, 토크 채널(51)에 대한 액세스를 수여하기 위해 그 무선 장치에 CTTM(52)을 보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토크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요구한 무선 장치의 리스트의 순서를 수정하는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도 5에 예로서 도시된 상기 특징의 제1 구현예에서, 토크 순서 제어기(46)는 각 사용자가 TCRM을 보낸 횟수를 유지한다. 이 예에서, 횟수는 열(column)(60)에 유지되고, 그 열은 어느 주어진 시점에서 무선 장치(30)가 하나의 요구를 발생하였고 사실상 현재 토크 채널을 소유하고 있으며, 무선 장치(32)가 하나의 요구를 발생하였고, 무선 장치(34)가 2개의 요구를 발생하였음을 보여주며, 두번째의 상기 요구는 도면 부호 62로 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토크 순서 제어기(40)는 수신된 TCRM의 횟수를 감시하고, 더 많은 TCRM을 송신한 사용자가 더 적은 TCRM을 송신한 사용자들보다 우선화되도록 리스트를 재배열한다. 도시된 예에서, 이것은 도면 부호 63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무선 장치_2와 무선 장치_3의 재배열로 나타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추가적인 특징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토크 순서 제어기(40)로부터 현재 토크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무선 장치를 인터럽트할 수 있는 무선 장치로의 추가적인 메시징 능력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인터럽트 메시지(80)는 토크 순서 제어기(40)로부터 무선 장치(30)로 송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무선 장치(30)는 이것에 응답해서 도면 부호 82로 표시한 바와 같이 토크 버튼을 놓아줌으로써 토크 채널(47)을 포기한다.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30)는 인터럽트 메시지(80)를 수신한 때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토크 버튼의 어떠한 입력/해방도 없이 토크 채널을 자동으로 포기하고, 포기자(revokee)에게 선택적인 통지를 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럽트 메시지(80)는 토크 채널을 취득하기 위해 인터럽트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자극으로서 사용된다. 인터럽트된 무선 장치는 토크 채널에 대한 액세스 생각을 완전히 버리거나 또는 토크 채널을 액세스하기 위해 차례로 무선 장치의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장치는 예를 들면 리스트의 맨끝에 추가되거나 또는 리스트의 맨위에 추가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는 인터럽트 메시지(80)를 수신하고, 주어진 구현예에 따라서 인터럽트를 처리하여 사용자에 대한 표시를 발생하거나 또는 토크 채널로부터 단순히 분리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도 6의 예는 잠시 후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이제, 무선 장치(32)는 CTTM(72)이 보내져서 인터럽트하고 있는 상태이고 토크 채널(70)에 대한 액세스를 가지며; 무선 장치(30)는 인터럽트된 상태이고, 무선 장치(34)는 리스트(46)의 바닥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무선 장치(34)는 무선 장치(32)가 토크 채널을 해방하고 그 후 토크 채널이 무선 장치(30)로 복귀될 때까지 인터럽트된 채 유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토크 채널 액세스를 기다리는 리스트상에 있는 무선 장치는 그 자신을 리스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무선 장치를 리스트로부터 제거하라는 요구로 토크 순서 제어기(40)에 의해 해석되는 추가의 TCRM을 보내도록 토크 요구 인터페이스를 단순히 재활성화함으로써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를 리스트로부터 제거하라는 요구로 토크 순서 제어기에 의해 해석되는 다른 메시지를 활성화 시에 네트워크에 보내게 하는 다른 인터페이스가 무선 장치에 제공된다.
토크 순서 제어기는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그룹 내 장치 중 하나의 일부로서, 또는 몇몇 다른 장치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될 다른 실시예에서, 중재자(moderator) 기능 요소를 통하여 중재 능력(moderation capability)이 제공된다. 중재자 기능 요소는 토크 순서 제어기의 특정 예로 간주될 수 있다.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또다른 실시예에서, 토크 순서 제어기는 한 세트의 순서의 규칙을 시행할 책임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 TCRM의 큐잉은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토크 순서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크 채널에 대한 제어가 네트워크로부터 활동성 중재자 기능 요소를 가진 하나 이상의 무선 장치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 이 실시예에서, 모든 무선 장치는 중재자 기능 요소에 의해 구현되지만, 그 능력은 주어진 순간에 선택된 무선 장치(들)에서만 활성화된다. 이 능력은 예를 들면 장치가 활성화하는 그룹 리스트에 기초해서 중재 메시징 제어기에 의해 수여될 수 있다. 활성 중재자 기능 요소를 가진 무선 장치는 중재자 무선 장치라고 부르겠다. 이 실시예에서, 중재 메시징 제어기는 토크 그룹 참가자들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부속된다. 바람직하게, 이 메시지들은 중재 메시징 제어기에 의해 수신되고 적당한 중재자 무선 장치에 전송되는 앞에서 소개한 TCRM을 포함하고, 또한 적당한 중재자 무선 장치에 의해 발생되고 토크 채널에 대한 액세스가 수여될 무선 장치에 송신되는 CTTM을 포함한다.
중재된 그룹 토크의 일 예에서, 이전 실시예의 리스트(46)와 유사한 리스트가 중재 메시징 제어기에 의한 통신시 중재자 무선 장치에 의해 유지되고, 중재자 무선 장치는 토크 채널을 요구한 무선 장치에 액세스가 수여되는 순서를 제어할 능력이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 중재자 무선 장치는 주어진 무선 장치에 액세스를 수여하는 시간 길이에 대한 제어 기능을 또한 갖는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중재 능력이 있는 네트워크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네트워크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토크 순서 제어기와 같이, 바람직하게 네트워크(25)의 일부로서 구현되는 중재 메시지 제어기(100)가 있다. 예를 들면, 중재 메시지 제어기는 네트워크 내 그룹 리스트 관리 기능의 일부로서 또는 GLMS 및 PoC 서버의 논리 조합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중재 메시지 제어기(100)는 만일 그룹 리스트가 중재되어야 한다면 그룹 리스트간 그룹 토크를 중재할 책임이 있는 무선 장치의 각 그룹 리스트의 식별자를 유지한다. 이것은 리스트 설정 중에 구성된 그룹 리스트의 정적 특성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재자가 되려는 무선 장치는 실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룹 리스트는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규정되고, 그룹 생성기는 중재자를 선택하는 특권이 주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무선 장치(30, 32, 34, 36)는 중재자로 지정되면 주어진 장치에 대해서 활성화하는 각각의 MFE(중재자 기능 요소)(90, 92, 94, 96)를 각각 갖는다.
중재 메시지 제어기(100)는 중재자 특권 및 중재자 장치 없이 장치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중계기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면, 무선 장치를 청취함으로서 발생된 TCRM은 중재 메시지 제어기(100)에 의해 그 그룹용의 중재자 무선 장치에 전송된다. 중재자 무선 장치는 토크 채널이 주어질 특정 무선 장치를 표시하는 CTTM을 발생한다. 이러한 CTTM은 특정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중재 메시지 제어기(100)는 이 메시지를 특정 무선 장치에 전송한다. 중재 메시지 제어기(100)에 의해 유지된 데이터 구조의 예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구조는 그룹 리스트 식별자용의 열(102)과, 열(102)에서 식별된 각 그룹 리스트의 그룹 리스트 멤버용 열(104)과, 중재자 무선 장치(만일 있다면)의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열(106)을 구비한다. 이 구조는 TCRM을 어느 장치에서 수신하는지 및 수신된 TCRM을 어느 장치에 전송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중재자 무선 장치의 MFE는 네트워크(25)를 통해 다른 무선 장치로부터 TCRM을 수신하고, TCRM을 송신한 무선 장치의 식별자 리스트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이 리스트는 예를 들면 텍스트 또는 그래픽 디스플레이에서 중재자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가 토크 채널을 해방할 때 토크 해방 메시지가 중재자 메시지 제어기에 또한 전송된다. 이것은 토크 채널이 해방된 때 무선 장치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채널이 해방되었음을 검출한 또는 통보받은 중재자 메시지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FE는 다음에 토크 채널을 수신하도록 계획된 또는 선택된 장치에 CTTM을 보냄으로써 토크 해방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단 토크 해방 메시지가 수신되면, MFE는 장치 사용자가 토크 채널이 주어질 다음 무선 장치를 선택하도록 촉진하기 위해 중재자 무선 장치에 대한 표시를 발생한다. 그러한 선택에 응답하여 그 장치에 대한 CTTM이 발생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중재의 계층(hierarchy of moderation)이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복수의 장치 서브그룹들은 예를 들면 단일 중재 그룹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는 각각의 중재자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중재된다. 그러나, 하나의 중재된 서브그룹 또는 다른 서브그룹에 의한 토크 채널에의 액세스는 더 높은 레벨의 중재에 의해, 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큐잉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 더 높은 레벨의 중재은 단일 중재 그룹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지만, 개개의 무선 장치가 토크 채널에 대하여 경쟁하는 대신에 중재된 서브그룹이 채널에 대하여 경쟁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특권들이 정의된다. 각 무선 장치는 필요로 하는 특권들을 갖도록 분류된다. 특권들의 예로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하의 것들이 있다.
중재자 능력 - 장치에 활성 중재자 상태가 주어진다.
중재자 메타 그룹 능력 - 몇몇의 그룹 중재자들은 '메타 그룹'을 형성하고, 그 메타 그룹에 대한 메타 그룹 중재자 없이, 메타 그룹에 대한 표준 토크 그룹 특징들을 구현한다.
서브그룹 내에서의 사설 메시징(private messaging) - 토크 그룹 내에서 장 치에 사설 메시지를 보낼 권리가 수여된다.
공중 메시징(public messaging) - 토크 그룹 내에서 장치에 방송 메시지를 보낼 권리가 주어진다.
토크 채널 요구 액세스 - 장치는 TCRM을 송신하도록 허용되고, 중재자의 제어하에 토크 채널이 수여될 것이다.
청취 전용 액세스(listen-only access) - 장치는 토크 채널이 수여되지 않고 단지 청취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 특권들은 예를 들면 웹 기반일 수 있는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재 메시지 제어기에 의해 유지된다. 그 다음에 중재 메시지 제어기는 무선 장치가 갖는 특권에 따라서 토크 그룹 멤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처리한다.
DTMF 실시예
큐잉 또는 중재을 위해 PoC 응용(제한적인 것은 아님)에 특히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각종 장치들 간의 시그널링은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DTMF는 전형적인
키패드 상의 12개 및 전형적으로 발생될 수는 있지만 사용되지는 않는 4개의 추가적인 코드 A, B, C 및 D를 포함해서 16개의 코드를 갖는다. 무선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로 보내진 DTMF 코드들은 이들이 오디오 채널에서 나타나지 않도록 네트워크에서 바람직하게 필터링된다. 유사하게, 만일 임의의 DTMF 코드가 무선 장치에 보내지면, 바람직하게, 무선 장치는 그 코드들을 필터링하고 그에 따라서 코드들을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DTMF 톤(tones)은 이하의 것들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무선 장치들 사이에서 시그널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토크 버튼 해방(release of talk button);
토크를 위한 소거 메시지(clear to talk message);
인터럽트 메시지(interrupt message);
뮤트 오더(mute order).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상기 요구된 토크 및 청취 채널을 설정하는 데 참가한다. 예를 들면, 큐잉 실시예에서, 다음 사용자에게 송신 채널이 주어져야 할 때, 예전의 송신 채널은 만일 이미 불활성으로 되지 않았으면 불활성으로 되고, 만일 필요하다면 새로운 송신 채널이 활성화되며, 예전의 활성 무선 장치에 대한 새로운 청취 채널이 설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송신 및 수신 채널은 각각의 무선 장치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진행형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지만, 시스템은 워키토키형 기능을 전달하기 위해 이 명세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반이중 방식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할 뿐이다.
이와 유사하게, 중재자 실시예에 있어서, 수여가 중재자 무선 장치로부터 수신된 때, 그 수여는 적절한 무선 장치로 전송되지만, 네트워크는 만일 그 채널이 이미 이용가능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무선 장치로부터 요구된 송신 채널을 또한 설정해야 한다. 기존의 워키토키형 시스템이 잘 확립되어 있고 필요할 때 토크 및 청취 채널을 이동시킬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상세는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겠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2003년 10월 6일자 PoC의 산업 명세서(Industry Specification for PoC)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PoC에 대한 일련의 변화로서 구현된다. 상기 산업 명세서의 전체 내용은 인용에 의해 여기에 통합된다. 중재된 그룹 토크 PoC 명세서는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1) 위에서 언급한 서류에 정의된 PoC-리스트 관리 기능을 하는 GLMS 그룹 리스트 관리에 "사용자 클래스" 및, 일부 구현예에서는 추가적으로, "메타 그룹"을 추가한다.
2) PoC 서버에서 구현되고, 전술한 서류에서 GLMS 그룹의 새로운 능력과 관련되는 2개의 새로운 발언권(floor) 제어 메시지를 제공한다.
기존의 PoC 서버 발언권 제어 능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발언권 요구: 토크에 대한 허가를 문의하기 위해 토크 세션의 참가자에게 능력을 제공하는 동작.
발언권 해방: 토크에 대한 허용을 해방하기 위해 피수여 사용자(granted user)가 취하는 동작.
발언권 수여: 발언권이 수여되었음을 요구 참가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네트워크로부터의 동작.
발언권 유휴 표시: 발언권이 유휴 상태임을 참가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네트워크로부터의 동작.
발언권 거부: 발언권 요구가 거부되었음을 요구 참가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네트워크로부터의 동작.
발언권 취득: 발언권이 표시된 사용자에게 수여되었음을 모든 참가자에게 통 보하기 위한 네트워크로부터의 동작.
발언권 취소: 예전에 발언권이 수여되었던 사용자로부터 토크 허용을 제거하기 위한 네트워크로부터의 동작.
중재된 그룹 토크를 촉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추가되는 새로운 PoC 서버 발언권 제어 능력은 다음과 같다.
발언권 중재 요구: 특수 사용자에 의해 요구가 행하여졌음을 UE에게 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로부터의 동작.
발언권 중재 응답: 사용자에게 커맨드를 보내거나 커맨드를 토크 그룹 전체에 보내도록 네트워크에 요구하기 위한 UE(중재자)로부터의 동작. 발언권 중재 응답은 발언권 취소, 발언권 수여 등과 같이 임의의 표준 발언권 제어 능력을 내포하도록 의도된다. 이 경우의 UE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자동 또는 수동 큐잉 요구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능력에 의해, RTCP(실시간 제어 프로토콜)의 사용을 통해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토커 중재 기능(talker arbitration functionality)은 그룹 중재자에게 포기된다. 메타 그룹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에, 메타 그룹 자신은 RTCP를 통해 계속하여 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 그룹은 발언권 취소, 발언권 수여 등과 같이, 그러나 중재자들 사이에서만, 표준 발언권 제어 능력을 가진 별개의 토크 그룹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일단 '메타 발언권'이 특정 중재자에 수여되면, 그 중재자는 다음에 자신의 그룹의 어느 멤버에게 발언권을 수여한다. '메타 발언권'이 유휴 상태인 동안에, 그룹 토크는 단일 그룹으로 제한된다. '메타 발언권'이 수여된 동안에, 메타 그룹을 포함한 모든 토크 그룹은 대화를 들을 수 있다.
종래의 GLMS 리스트 관리 기능은 이하의 것을 포함한다.
GLMS 서버에서 콘택트 엔트리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택트 리스트 기억 장치.(POC 서버 및 UE)
그룹 리스트는 PoC 특정 그룹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POC 서버 및 UE)
추가적인 GLMS 리스트 관리 기능은 이하의 것을 포함한 본 발명의 상기 특정 실시예에서 구현된다.
사용자 클래스 - 다음과 같은 발언권 요구의 면에서 그룹 리스트의 멤버들에게 특수한 프로파일을 인가한다.
● 청취 액세스
● 청취 및 발언권 요구 액세스
● 청취 및 발언권 요구 및 발언권 중재 응답 액세스(단지 토크 그룹의 단일 중재자용임)
메타 그룹 - 'n'개의 별도의 중재된 토크 그룹 간 중재된 그룹 토크를 위한 것. 전체 발언권은 특정 시간에 메타 그룹 발언권을 유지하는 그룹의 그룹 멤버에 속한다. 단지 중재된 그룹만이 메타 그룹에 추가될 수 있다.
액세스 리스트는 액세스 규칙, 즉 PoC를 통해 특정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것이 누구에게 허용되고 누구에게 허용되지 않는지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재된 그룹 토크의 기본 구조에는 그룹 내 멤버들에게 및/또는 그룹 내 사설 채팅 그룹에게 경고하는 순간 메시지 텍스트/MMS와 같은 표준 특징들이 오버레이된다.
이제, PoC 구현예에서 중재된 그룹 토크의 예시적 구현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호출 흐름도를 보이고 있는 도 9a,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한다. 이 예시적인 설명을 위해, 각각의 그룹 중재자에 의해 중재되는 2개의 별도의 그룹이 있다고 가정한다. 2개의 그룹 사이에서 발언권에 대한 액세스는 표준 PoC 방법과 같이 RTCP에 의해 수행된다. 도면에는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 PoC 서버(204), PoC 클라이언트 그룹 A(206) 및 PoC 클라이언트 그룹 B(208) 사이의 시그널링이 도시되어 있다. PoC 클라이언트 그룹 A(206)는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에 의해 중재되는 그룹의 멤버들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PoC 클라이언트 그룹 B(208)는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에 의해 사회되는 클라이언트들을 나타낸다.
도 9a에서 시작해서, 세션은 PoC 버튼을 눌러서 도면에 21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룹 A의 모든 UE들 사이에 SIP 세션을 확립하는 그룹 A의 멤버에서 시작한다. 모든 자세한 PoC 메시지는 명확성을 위해 도시하지 않았다. 그 다음에,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는 그룹 A용의 발언권 요구(212)를 PoC 서버(204)에 보낸다. 발언권 취득은 214에서 그룹 A의 PoC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진다. 215에서,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는 토의가 시작하였음을 그룹 A의 멤버들에게 구두로(또는 대안적으로 IM과 같은 메시지 포맷을 통해) 말한다. 그 다음에,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는 216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발언권을 해방하고, 그 후 발언권은 21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유휴 상태로 된다. 이 시점까지, 비록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는 중재자로서 행동하지만, 중재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20에서,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는 메타 그룹 PoC 버튼을 누른다. 더 일반적으로, 임의의 적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PoC 클라이언트 그릅 A 중재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 및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에 의해 촉진될 메타 중재자 그룹을 확립한다. 단계 222에서,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는 발언권 요구/수여 메타 그룹(222)을 가진 발언권을 요구하고 단계 224에서 발언권이 취득된다. '발언권 취득' 메시지(224)는 PoC 서버가 발언권을 취득하였음을 중재자 B에게 통보함을 의미한다. 이 시점에서, 중재자 A는 중재자 B에게 도면 부호 225로 표시한 바와 같이 토의가 시작하였음을 통보한다. 그 다음에,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는 226에서 발언권을 해방하고, PoC 서버(204)는 발언권 유휴 메타 그룹(228)으로 응답한다.
계속해서, PoC 그룹 B 중재자(202)는 그 PoC 버튼을 눌러서 23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룹 B의 멤버들 사이에 그룹 토크 세션을 확립한다.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는 23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발언권을 요구하고, 그 후 발언권이 23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취득된다. 그 다음에, 그룹 B 중재자는 235로 표시된 바와 같이 토의가 시작하였음을 그 그룹에 말한다. 메타 발언권은 이 시점에서 유휴상태이고, 이는 그룹 B 중재자가 그룹 B와 함께하는 대화에 그룹 A가 관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 다음에,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는 236에서 발언권을 해방하고, 그 후 발언권은 23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유휴 상태로 된다.
도 9b로 이어져서, 240에서,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는 발언권 수여 메타 그룹(242)이 PoC 서버(204)로부터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로 보내진 것에 응답하여 발언권 요구 메타 그룹을 PoC 서버(204)에 보낸다. 이 시점에서 24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발언권이 취득된다. 이 시점에서, 중재자 B는 발언권을 요구하고, 그 다음에 그룹 A 및 그룹 B 둘 다에 대하여 토킹이 가능하게 되어 모든 그룹에 토의가 시작되었음을 표시한다. 상기 2개의 그룹은 이 시점에서 온라인(online) 상태로 된다. 그 후,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는 248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발언권을 해방하고, 그 후 발언권은 발언권 유휴 메타 그룹(25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유휴 상태로 된다. 이 시점에서, 모든 발언권은 메타 그룹 발언권을 유지하는 중재자 그룹의 멤버에 속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RCP는 표준 PoC 명세서마다 메타 발언권을 중재할 수 있다.
다음에, 그룹 A 사용자 "죠"(JOE)가 발언권을 요구한다(252). 이 요구는 새로운 메시지인 "발언권 중재 요구"로서 PoC 서버(204)에 의해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에 전송된다(254). 이것에 응답해서,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는 발언권을 요구하고(256), 발언권이 수여되며(258), 그 후 발언권 취득 표시(260)가 PoC 서버(204)에 의해 발생된다. 그 다음에,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는 (내포된 "발언권 수여" 메시지와 함께) 발언권 중재 응답(262)을 PoC 서버(204)에 보내고, 그 결과 "죠"에게 발언권을 주기 위해 발언권 수여(264)가 PoC 서버에 의해 사용자 "죠"에게 보내진다. 그 다음에, 265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룹 A 사용자 "죠"는 그룹 A 및 그룹 B의 모든 멤버에게 말할 위치에 있다. 잠시 후, 그룹 A 사용자 "프레드"(FRED)가 발언권을 요구한다(266). 그러나, 여기에서는 예를 설명하므로, 사용자 "프레드"는 GLMS와 함께 단지 "청취만"의 특권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고, 그래서 그룹 A 중재자와의 어떠한 상호작용도 요구함이 없이 요구(266)에 응답해서 발언권 거부 메시지(268)가 PoC 서버(204)에 의해 발생된다.
잠시 후, 그룹 B 사용자 "개비"(GABBY)가 발언권을 요구한다(270). 발언권 중재 요구(272)는 PoC 서버(204)에 의해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에게 전송된다. 이것에 응답해서, 예를 설명하는 목적상,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가 "개비"에 대한 발언권을 거부하는 발언권 중재 응답(274)(내포된 "발언권 거부" 메시지와 함께)을 발생한다. 이것에 응답해서, PoC 서버(204)는 그룹 B 사용자 "개비"에게 발언권 거부 메시지(276)를 보낸다.
도 9c로 이어져서, 잠시 후, 그룹 B 사용자 "메리"(MARY)가 발언권을 요구한다(278). PoC 서버(204)는 발언권 중재 요구를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에게 전송한다(280).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는 발언권 요구 메타 그룹 메시지(282)를 PoC 서버(204)에 보내어 발언권을 요구한다.
이 특정 예에서, 요구는 나중 시간에 "메타 그룹"(288)을 통해 자동으로 서비스되기 때문에, 함축된 구현예는 메타 그룹에서 순서정해진 큐잉의 구현예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타 그룹 중재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메타 발언권 수여가 메타 발언권 유휴 기간 동안에만 허용됨을 의미하는 메타 발언권 수여에 대해서 전혀 순서 정함이 없을 수 있다.
그룹 A의 사용자 "죠"가 발언권 해방(284)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종료할 때,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는 발언권 해방 메타 그룹(286)을 또한 보내서 발언권을 액세스할 다음 그룹을 위해서 발언권을 소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언권 해방 메타 그룹"은 그룹 중재자를 수반하는 대신에 PoC 서버에 의해 자동으로 보내질 수 있다. 발언권 수여 메타 그룹 메시지(288)는, 큐된 요구가 발언권 요구 메타 그룹(282)으로부터 아직 미해결중이기 때문에, PoC 서버(204)에 의해 발생되고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에게 보내진다. 그 다음에, 발언권이 취득된다(290). 이 시점에서,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는 (내포된 "발언권 수여" 메시지와 함께) 발언권 중재 응답(292)를 발생하여 PoC 서버(204)에 보낸다. 이것에 응답해서, PoC 서버(204)는 발언권 수여 메시지(294)를 발생하고, 이 메시지는 이제 295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발언권을 액세스할 위치에 있는 그룹 B 사용자 "메리"에게 보내진다.
잠시 후, 그룹 A 사용자 "알렉스"(ALEX)가 발언권을 요구한다(296). 이것은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에게 발언권 중재 요구로서 전송된다. 300에서,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200)는 그가 메타 발언권을 원한다는 것을 중재자 B에게 경고하기 위해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에게 경고(300)를 발생한다. 이 경고는 예를 들면 PoC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도 9C에서는 도시생략됨). 대안적으로, 임의 시점에서 그룹 B로부터의 발언권을 자동으로 취소하기 위해 타이머가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정된 메타 중재자가 사용자 "메리"에 대해 취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응답해서,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는 사용자 "메리"를 취소시키기 위해 (내포된 "발언권 취소" 메시지와 함께) 발언권 중재 응답을 PoC 서버(204)에 보낸다. 이것은 발언권 취소 메시지(304)로서 그룹 B 사용자 "메리"에게 전송된다. 그 후,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202)는 발언권을 해방하기 위해 발언권 해방 메타 그룹 메시지(306)를 보낸다. 그 다음에,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는 발언권 요구 메타 그룹 메시지(308)를 PoC 서버(204)에 보내고, 이것에 응답해서 발언권이 수여된다(310). 발언권 취득 메시지는 312에서 발생되어 PoC 클라이언트 그룹 B 중재자에게 보내진다. 이 때 발언권 중재 응답(내포된 "발언권 수여" 메시지와 함께)(314)가 PoC 클라이언트 그룹 A 중재자에 의해 발생되어 사용자 "알렉스"에게 발언권이 수여된다. 이것에 응답해서, PoC 서버(204)는 발언권 수여 메시지(316)를 사용자 "알렉스"에게 보낸다. 317에서, 그룹 A 사용자 "알렉스"는 이제 발언권을 점유한 위치에 있다.
상기 소개한 실시예들은 "순서정해진 토크" 및 "중재된 토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비즈니스를 실행하기 위해 고객을 지원하고 더 구조화한 토크를 규율하기 위해 "규율화 토크"(ruled talk)의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규율화 토크에서, "순서" 및 "중재"의 개념은 PTT형 세션용의 한 세트의 "순서의 규칙"에 통합된다. "순서의 규칙"이 활성화 한 때, 이들은 몇가지 가능한 활동들(motions) 중의 하나의 일부가 되는 세션 내의 모든 통신을 제한한다. 활동들은 서로에 대해 활동의 우선순위의 서열을 매기는 테이블 내에 요약되어 순서없이 활동이 이루어질 수 없게 한다. 더욱이, 참가자들은 하나 이상의 활동의 결과로서 그들에게 추가의 권리와 의무를 지우는 임무를 가정할 수 있다. 테이블은 각 참가자에게 배정된 임무의 행로(track)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임명 활동(nomination motion)은 궁극적으로 특정의 참가자가 "의장" 임무 및 그 임무와 관련된 권리와 의무를 얻게 하고, 한편 다른 참가자는 비슷한 방식으로 "비서" 임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특징들은 결합하여 PTT 세션이 참가자의 집회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집회의 예로는 주주 총회, 이사회 회의, 위원회 회의 등을 포함한다.
"규율화 토크" 특징들은 임시 세션(ad-hoc session)을 정기 집회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PTT 세션은 비공식 토론으로서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참가자가 순서의 규칙을 부과하도록 선택하면, 불이행(default) 세트의 규칙들이 제공되고 임시 참가자들은 예를 들면 집회 멤버들의 희망을 반영하여 사회(society)를 형성하도록 불이행 규칙들을 변경할 수 있다. 유사하게, "규율화 토크" 집회 내로부터, 비공식 토론이 생성되거나, 또는 "규율화 토크" 소집회(sub-assembly) 또는 위원회가 보고서의 준비와 같이 유한 및 무한 목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운영시, 하나 이상의 테이블이 "순서의 규칙"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활동 선행 순서(order of precedence of motions; OPM) 테이블 및 활동 관련 규칙(rules relating to motions; RRM) 테이블이 "순서의 규칙"을 유지한다. OPM 및 RRM 테이블은 초기의 활동 및 규칙 세트를 정의한다. OPM과 RRM 테이블은 "순서의 규칙"을 채택하는 활동과 같은 활동을 통해 그 자신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이 명세서에서 하나의 예시적인 세트의 OPM 및 RRM 테이블이 제공되지만, 이 테이블들을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션 중에 특정 참가자 그룹 의 특수한 필요성에 적합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OPM 및 RRM 테이블은 원래 저작권 1915인 로버트의 순서의 규칙으로부터 개작되고 각종 형태로 공개된다.
하기의 RRO는 http://www.constitution.org/rror/rror--00.htm으로부터 개작된다.
예시적인 로버트의 순서의 규칙(RRO) 활동의 선행 순서(OPM) 테이블:
1 2 3 4 5 활동
- X a X - 폐회할 시간 고정
- X b - - 폐회
- X c X - 휴회함
- X - - - 특권의 문제 상정
- X - - - 날짜의 순서 호출
- - - - - 테이블에 놓음
- - - - X 예전의 문제
- - - - X 토론의 제한 또는 확장된 제한
X - - X - 특정 시간까지 연기
X - - X - 위임 또는 인용
X - - X - 수정
X - - - - 무한정 연기
X - - X - 주요 활동
RRO OPM 열의 예시적 설명
1 - 토론 가능
2 - 일반적으로 특권이 있음
3 - 항상 특권이 있는 것이 아님
a - 다른 문제가 계류중인 동안, 및 같은 날 또는 다음 날에 다른 회의에 대한 규정이 없는 집회에서 만들어진 때만 특권이 있음
b - 그 특권 특성을 잃고, 이것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자격이 주어지면, 또는 그 효과이면, 채택되면, 그 회의에 대한 임의의 규정없이 다시 집회를 해산하기 위한 것임
c - 다른 비즈니스가 계류 중인 동안 만들어질 때만 특권이 있음
4 - 수정 가능함
5 - 그들의 채택을 위해 2/3의 득표가 필요함. 기타는 다수(majority)만을 필요로 함.
활동 - 활동의 간단한 설명.
예시적인 활동 관련 규칙(RRM) 테이블:
1 2 3 4 5 6 7 8 N 활동
* - * * * - - - 1 폐회(특권이 있을 때)
- - - - - - - - - 보고서 채택(수용 또는 동의)
- - - - 2 - - - - 조직, 조례, 순서의 규칙 채택
- - - - - - - - - 정관 채택
4 - - - - - - - 3 수정
4 - * - - - - - - 수정안 수정
- - - - 2 5 - - - 조직, 조례, 순서의 규칙 수정
- - - - - 6 - - - 정관 수정
* - * - - - - * 7 무례(indecorum) 등에 관한 항고(appeal)
- - * - - - - * - 모든 다른 케이스 항고
- - * - - - * - - 공백 채움
- - - - 8 - - - - 위임 또는 인용, 또는 재위임
* - - - - * - - 9 폐쇄, 제한 또는 확장에 대해 토의
* - * * * - * * - 집회의 분할
* - - - * -10 10- 문제의 분할
11- - - - - - - 1 폐회까지의 시간 고정
- - * - 2 - - - - 문제의 비공식 심의
* - * * * - - - - 테이블에 놓음
* - * * - - - - - 무례 후에 계속 말하도록 남겨둠
- - - - - - - - - 주요 활동 또는 문제
- - * - * - * - - 만들기 위한 임명
* - - - * * - - - 폐쇄를 위한 임명
* - - - 2 - - - - 재개방을 위한 임명
* - * * 2 12* * - 문제의 심의에 대한 거절
* - * * * - * * - 문제의 순서
- - - - - * - - - 특별품(special)을 만들기 위한 순서
* - * * * - * * - 호출을 위한 날짜의 순서
- - - - - - - - - 계류중일 때 날짜의 순서
* - * * * - * * - 의회의 질의
- - - - - - - - - 무한정 또는 특정 시간까지 연기
- * * - 13- - - - 무한정 연기
* - * * 15* - - 14 예전 문제
* - * * * - * * - 문제 상정을 위한 특권
- - - - - - - - - 계류중일 때 문제의 특권
* - * * - - - - - 자료 판독
11- - - * - - - 1 (특권이 있을 때) 취득을 위한 휴회
4 17* - * - - * 16 재심의
- * - - 2 18- - - 폐지 또는 항고
- - - - - - - - - 대체(수정과 같음)
* - * * * * - - - 규칙 중지
* - * * * - - - - 테이블로부터 취득
* - * * * * - - - 그 적당한 순서없이 문제 취득
* - - - - - - - - 투표, 관련 활동
* - * * 2 - * - - 활동 철회, 남겨둠
RRO RRM 열에 대한 예시적 설명
1 - 토론 가능함
2 - 계류중인 문제에 한정된 토론
3 - 수정 가능함
4 - 보조 활동 적용 가능함
5 - 재심의 가능함
6 - 다수 득표만 필요로 함
7 - 2번째로 되어야 함
8 - 다른 사람이 발언권을 가질 때 무순서
N - 아래 참조
활동 - 활동의 간단한 설명
8열의 헤드에 있는 규칙들은 원래의 모든 주요 활동에 적용되고, 또한 활동이 이들 규칙에 예외임을 별표(*) 또는 숫자가 표시하는 것을 제외한 모든 다른 경우에 적용된다. 별표는 열의 헤드에서 정확히 반대쪽이 활동에 적용되고, 숫자는 예외의 정도를 설명하는 주(note)를 인용한다. 예를 들면, "테이블에 놓음"에서 테이블은 그것이 "토론 불능" 및 "수정 불가"임을 나타내고; 그것에 "보조 활동이 적용될 수 없음"을 나타내며; 또한 "재심의될 수 없음"을 나타낸다. 4개의 다른 열이 별표 또는 숫자가 없다는 사실은 이 열들의 헤드에 있는 규칙들이 이 활동에, 테이블에 놓음에 적용됨을 나타내고, 원래의 주요 활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RRO RRM 테이블에 대한 주(note)
1. 폐회시까지의 시간을 고정하기 위해, 다른 문제가 계류중에 있는 동안에 만들어진 때만, 및 같은 날 또는 다음 날의 다른 집회에 대하여 규정이 만들어지지 않은 집회에서만 특권이 주어진다. 폐회 손실에 대해서 그 특권이 있는 특성은 만일 어떤 방법으로든 자격이 주어지면, 또는 만일 그 효과이면, 만일 채택되면 주요 활동이고, 그 회의에 대해 어떠한 규정도 없이 집회를 다시 해산하기 위한 것이다. 휴회(recess)를 취득하는 것은 다른 비즈니스가 계류중인 동안에 만들어진 때에만 특권이 있다.
2. 이 활동에 대한 찬성 투표는 재심의될 수 없다.
3. 수정안은 (a)단어 또는 단락(paragraph)을 삽입(또는 추가)함으로써; (b)단어 또는 단락을 삭제함으로써; (c)특정 단어를 삭제하고 다른 단어를 삽입함으로써; (d)동일 주제의 다른 것의 하나 이상의 단락, 또는 다른 것의 전체 결의안(resolution)을 교체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4. 수정될 또는 재심의될 활동이 토론 불능일 때 토론 불능이다.
5. 채택 전의 조직, 조례 및 순서의 규칙은 매 경우마다 주요 활동이고 다수 득표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채택 후에 이들은 수정을 위해 예전의 통지 및 2/3의 득표를 필요로 한다.
6. 고정 규칙은 만일 예전에 통지가 주어졌다면 다수 득표에 의해, 또는 통 지없이 2/3 득표에 의해 언제든지 수정될 수 있다.
7. 항고는 토론 불능인 의제가 계류 중인 동안에, 또는 무례함, 또는 발언 순서의 어김, 또는 비즈니스의 우선순위에 관련된 때에만 토론 불능이다. 토론 가능일 때 각 멤버로부터의 단지 하나의 발언만이 허용된다. 득표수가 같을 때 의장의 결정이 유지된다.
8. 위원회가 주제를 채택한 후에 재심의될 수 없지만, 2/3 득표에 의해 위원회는 언제든지 의제의 추가 심의로부터 면제될 수 있다.
9. 이 활동들은 당면한 계류 중인 의제가 토론가능하게 될 때마다 이동될 수 있고, 활동은 다른 방식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그 의제에만 전념한다.
10. 만일 결의안 또는 제안이 서로 독립적인 다른 주제에 관한 것이면, 그 결의안 또는 제안은 단일 멤버의 요구로 분할되어야 하고, 이것은 다른 사람이 발언권을 가질 때 행하여질 수 있다. 만일 결의안 또는 제안이 동일 주제에 관한 것이고 또한 각 파트가 독립적이면, 결의암 및 제안은 정규 활동 및 투표로만 분할될 수 있다.
11. 다른 의제가 집회 전(before)에 있을 때 만들어지면 토론 불능이다.
12. 의제가 토론 전에 최초로 도입되었을 때만 거부될 수 있다. 거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2/3 득표가 심의에 반대하여야 한다.
13. 이 활동에 대한 반대 투표는 재심의될 수 없다.
14. 당면한 계류중인 의제가 토론가능하거나 수정가능하게 될 때마다 예전의 의제는 이동될 수 있다. 이동되는 의제는 특정되어야 하고, 만일 특정되지 않으면 이것은 당면한 계류중인 의제에만 적용한다. 만일 채택되면 토론을 중단하고, 집회에서 즉시 당면한 계류중인 의제에 대해 투표를 실시하며, 기타 사항은 활동에서 특정된다.
15. 투표가 행하여진 뒤에는 심의될 수 없다.
16. 재심의 활동은 임의의 다른 의제가 집회 전에 있는 동안 행하여질 수 있고, 다른 사람이 발언권이 있거나 또는 폐회하기로 투표된 후에도 집회는 폐회가 선언되지 않는다. 활동은 그 날짜에 또는 그 다음 날짜에만 이동될 수 있고, 재심의하기로 제안된 투표는 우세측에 투표한 사람에 의해 취해진다. 그 심의는 재심의될 활동이 당면한 계류중인 이제의 전례를 취하지 않는 한 비즈니스를 방해할 수 없다. 그 순위는 그들의 심의가 실제로 시작되지 않았으면, 활동이 일반 순서의 선행 또는 재심의될 활동과 동일한 순위의 활동의 선행을 취하는 것을 제외하고 재심의될 활동의 순위와 같다.
17. 나중에 토론가능할 때 주요 의제를 토론하기 위해 개방함.
18. 폐지는 이미 채택한 어떤 것을 수정하기 위해 동일 규칙 하에서 이루어진다. 위의 주 2, 5 및 6을 참조하라.
추가적인 RRO 규칙
부차적 활동. 계류중인 활동에 부차적인 활동은 그들의 전례를 취하고, 최초로 동작하여야 한다. 이들 활동의 리스트에 대해서 아래의 분류를 참조한다.
보조 활동의 비특권은 테이블에 놓여지거나, 유한적으로 또는 무한적으로 연 기되거나 또는 위임될 수 있다. 주요 의제가 테이블에 놓여질 때 등의 경우, 모든 부수하는 보조물들이 그것과 함께 간다.
RRO 활동의 분류
부차적 주요 활동
위원회에 회부된 주제의 보고서 수령 또는 채택
미래의 시간에 또는 미래의 시간으로 이월(adjourn)
어떠한 방식으로든 자격이 주어지면 이월함. 또는 효과가 그 재소집의 규정없이 집회를 해산해야 할 때 이월함
계류중인 비즈니스가 없을 때 도입되면 다음 미팅을 위한 시간과 장소를 지명함
이미 채택된 조직, 조례, 고정 규칙, 또는 결의안 등을 수정함
취득한 동작을 비준 또는 확인함
취득한 동작을 폐지 또는 철회함
보조 활동
테이블에 놓음
예전 의제
토론의 제한 또는 확장된 제한
명확히, 즉 특정 시간까지 연기
위임 또는 회부 또는 재위임
수정
불명확하게 연기
부차적 활동
순서 및 항고의 이제
규칙의 중지
의제의 심의 거무
의제의 분할, 및 단략에 의해 또는 순차로 심의
집회의 분할, 및 투표의 방법에 관한, 또는 투표소의 폐쇄 또는 재개방에 관한 활동
제작 방법에 관한, 또는 지명의 폐쇄 또는 재개방에 관한 활동
계류중인 또는 방금 계류상태로 된 비즈니스의 성장 요구, 의회 질의, 요구
정보용, 활동 철회를 위한 남김용, 자료 판독용, 의무로부터의 해명용, 또는 임의의 다른 특권용
특권 활동
이월할 시간 고정(다른 의제가 계류중인 동안 만들어진 경우)
이월(자격이 없고 집회를 해산할 효과가 없는 경우)
휴회 취득(다른 의제가 계류중인 때 만들어진 경우)
특권 의제 상정
날짜의 순서 호출
주요 또는 미분류 활동
테이블로부터 취득
재심의
폐지
활동의 갱신
비준
활동의 지연, 불합리, 또는 하찮음
하우스의 호출
로버트의 순서의 규칙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는 로버트의 순서의 규칙의 많은 공개된 버젼 중의 임의의 하나를 직접 참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규칙들은 OPM 테이블 및 RRM 테이블과 같은 명확한 테이블 예를 들기 위해 여기에서 설명하였다.
OPM 및 RRM 테이블에 추가하여, 참가자에 대한 임무를 설명하고, 세션 내에 참가자가 특정 활동들을 해야 수 있는 권리들(the RIGHTS that participants may have to MAKE specific MOTIONS; RMM)을 정의하기 위해 선택적 임무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순서정해진" 및 "중재된" 토크의 변형예인 "규율화 토크"의 방법의 예시적인 단계들을 가진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 1010에서, 집회는 순서가 정해진다. 예를 들면, 이동 장치의 사용자는 자신이 집회 식별자 또는 AID를 특정하는 그룹 PTT형 세션을 개시한다.
단계 1020에서, 순서의 규칙(rules of order; ROO)은 공유된 ROO 기억장치(1025)로부터 검색된다. 적어도 중재자는 ROO를 검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든 참가자가 이 단계에서 순서의 규칙을 검색한다.
단계 1030에서, 순서의 규칙(ROO)은 참가자와 공유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단계는 선택적이다.
단계 1040에서, ROO에 따라서 활동이 처리된다. 이 단계의 추가적인 상세는 도 11에 나타나 있다.
단계 1050에서, ROO는 활동의 처리에서 발생된 임의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저장된다.
단계 1060에서, 집회가 해산된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의 활동 처리 단계의 더 구체적인 사항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1110에서, 활동 처리가 시작된다.
단계 11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예를 들면 중재자가 활동을 기다린다. 활동은 집회의 다른 참가자로부터, 또는 중재자로부터 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참가자들이 활동을 기다린다.
단계 1130에서, 활동을 한 참가자가 활동을 할 권리를 갖고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비록 많은 참가자가 사회를 위한 집회의 일부일 수 있지만, 회비(due)를 지불한 참가자만이 활동을 하도록 허용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ROO의 활동을 할 권리(Rights to Make Motions; RMM)(1135) 테이블에서 참가자를 조사함으로써 결정된다.
단계 1140에서, 활동이 순서대로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날짜의 순서 호출에 관한 활동은 만일 활동 후에 휴회를 취득해야 한다면 무순서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활동의 선행 순서(Order of Precedence of Motions; OPM)(1145)에서 활동을 조사함으로써 결정된다.
단계 1150에서, 활동이 활동에 관한 규칙을 따르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일부 활동은 당면한 계류중인 의제가 토론가능하고, 그 활동들이 다른 방식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그것에만 적용될 때마다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활동에 관한 규칙(Rules Relating to Motions; RRM)(1155)에서 활동을 조사함으로써 결정된다.
단계 1160에서, 만일 활동이 활동을 행할 권리가 있는 참가자에 의해 이동되었다고 결정되고, 활동이 순서대로 되었다고 결정되며, 활동이 활동에 관한 규칙에 따른다고 결정되면, 이 경우에만 활동이 작용한다. 작용은 토크 채널 획득, 투표 요구 및 수행, "테이블에 놓음"에 대한 보고서와 같은 문서 공유, 활동 수정, 또는 보조 집회(sub-assembly) 및 위원회 생성을 비롯해서 집회가 소집되는 목적의 진보를 효과로서 갖는 임의의 다른 통신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단계 1170에서, 만일 활동이 단계 1140, 1150 또는 1160 중의 어느 하나에서 실패로 결정되면 활동이 거부된다.
단계 1180에서, 단계 1170에서 작용된 활동이 이월되었으면 방법은 단계 1190으로 진행하여 활동 처리가 종료한다. 다른 모든 활동에 대해서 단계 1130에서 방법이 계속되고, 새로운 활동을 기다린다.
상기 방법의 결정 단계들은 집회 참가자의 이동 통신 장치에 있는 사용자 인 터페이스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참가자가 활동을 행하기를 희망할 때, 그 참가자가 행할 권리가 있고, 순서대로이며, 순서의 규칙에 따르는 그러한 활동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 시스템 및 장치는 비록 장치들이 무선 네트워크 내에 없더라도 장치들이 마치 네트워크 내에 참가하고 또한 네트워크 내에 참가할 수 있는 것처럼 되도록, 네트워크 상호작용 기능을 통해 무선 호출에 참가하도록 유선 장치에 대한 주변 지원을 제공하게끔 개작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 따르면, PTT™ 그룹 내에서 모두가 아닌, 즉 필요한 임의의 장치들이 무선이고, 하나 이상의 장치가 고정식 또는 다른 방식으로 비무선 유선 장치(non-wireless wired device)인 PTT™ 그룹에서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발생한 채널 메시징을 송신한다. 그러므로, 무선 PTT™ 세션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TT™ 세션에 참가하는 유선 또는 통신선(landline) 기반 장치를 가질 수 있고, 송신 채널 요구 메시징용의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개작된다.
상기 설명에 비추어 많은 수정예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상기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7)

  1. 토크 그룹 내에서 하나의 장치에 송신 능력이 주어지고 모든 다른 장치에 수신 능력이 주어지도록 장치들의 토크 그룹 내에서 워키토키형 통신 능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토크 순서 제어기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고 미해결 요구의 기록을 유지하며;
    상기 미해결 요구의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를 수여함으로써 토크 순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토크 순서 제어기는 상기 토크 그룹 장치 내에서 상기 장치들 중 하나의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장치들 중 하나의 장치와 결합되는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키토키형 통신은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인 장치에 전달되는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해결 요구의 기록은 요구가 수신된 순서로 배열된 미해결 요구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능력의 요구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부터 최신의 것으로 수여되는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4. 제1항에 있어서, 송신 능력이 포기되었다는 표시를 검출 또는 수신하고, 상기 포기된 송신 능력에 응답하여 다음에 송신 능력이 수여될 장치에 토크를 위한 소거 메시지(clear-to-talk message)를 송신하는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5. 제1항에 있어서, 장치가 더 이상 송신 능력을 기다리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도록 하는 요구를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메시지는 상기 토크 그룹과 관련되고, 상기 메시지는,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로의 토크 해방 메시지로서, 상기 장치가 토크 채널을 해방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인 상기 토크 해방 메시지(release of talk message);
    네트워크로부터 장치로의 토크를 위한 소거 메시지로서, 상기 장치가 상기 토크 채널을 사용하는 다음 기회가 주어질 것을 나타내는 것인 상기 토크를 위한 소거 메시지(clear to talk message);
    네트워크로부터 장치로의 인터럽트 메시지로서, 송신 능력을 가지는 장치로 하여금 상기 송신 능력을 포기하도록 자극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상기 인터럽트 메시지(interrupt message);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장치로의 뮤트 오더(mute ord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7. 제1항에 있어서, 각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구의 수를 카운트하고 각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구의 수에 기초해서 송신 특권 수여를 재우선화(re-prioritize)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 특권은 상기 송신 능력이 수여될 권리인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의 토크 그룹과 결합된 토크 순서 제어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그룹에 대한 순서의 규칙의 세트를 유지하고;
    상기 순서의 규칙에 따라서 상기 토크 그룹간의 상호 작용을 허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의 규칙은,
    활동을 행할 권리들(rights to make motions);
    활동의 선행 순서(order of precedence of motions); 또는
    활동에 관한 규칙(rules respecting motions)
    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MA 기반 통신, 802.11 기반 통신, iDEN, GPRS, 블루투스, UMTS, 또는 PoC 중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들은 DTMF 신호들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키토키형 통신은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장치에 전달되며, 상기 장치는 무선 장치인 것인, 토크 순서 제어기.
  14. 장치들의 토크 그룹 내에서 하나의 장치에 송신 능력이 주어지고 모든 다른 장치에 수신 능력이 주어지도록, 상기 토크 그룹 내에서 워키토키형 통신 능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요구가 행하여졌음을 상기 장치들의 토크 그룹의 중재자 무선 장치 - 상기 중재자 무선 장치는 토크 채널을 요구한 무선 장치들에 그 토크 채널에 대한 액세스가 수여되는 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능력을 가짐 - 에게 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로부터의 동작인 발언권 중재 요구(floor moderation requests)와;
    사용자의 무선 장치에 상기 토크 채널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구와 관련된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에 요구하기 위한 상기 중재자 무선 장치로부터의 동작인 발언권 중재 응답(floor moderation responses)
    을 통하여 중재된 토크 제어(moderated talk control)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네트워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셀룰러 (PoC) 네트워크를 통한 푸시 투 토크(Push-to-talk)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각 토크 그룹용의 토크 순서 제어기를 포함하고, 이 네트워크는 각 그룹에 대해,
    상기 그룹을 위한 중재자 무선 장치가 되도록 특정 장치의 지정을 유지하고;
    송신 능력 요구을 수신하고, 상기 요구를 상기 중재자 무선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중재자 무선 장치로부터 송신 능력의 수여를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수여를 적어도 각각의 피수여자 장치(respective grantee device)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인 네트워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의 토크 그룹들 각각에 대한 특권 정보를 유지하고;
    무선 장치들로부터 토크 그룹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특권 정보에 따라 상기 토크 그룹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네트워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권 정보는,
    토크 그룹을 중재하는 능력인 중재자 능력(moderator capability);
    복수의 별개의 중재된 토크 그룹들을 중재하는 능력인 중재자 메타 그룹 능력(moderator meta-group capability);
    그룹 내 사설 메시징(private messaging);
    방송 메시징(broadcast messaging);
    토크 채널 요구 액세스(talk channel request access); 또는
    청취 전용 액세스(listen-only access)
    의 특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주어진 무선 장치에 수여되는지 여부에 관한 표시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들의 각 그룹을 위한 토크 순서 제어기는 그 그룹의 장치들 중 한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인, 네트워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재자 무선 장치는 다른 장치들로부터의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재자 무선 장치는, 송신 능력이 선택되고 수여되기 위해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가 그 장치로부터 수신되어지는 장치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중재자 무선 장치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송신 능력을 수여하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네트워크.
  21. 복수의 무선 장치들 간에 워키토키형 통신 세션이 전달되는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장치들 중 하나에 송신 능력을 수여하고 나머지 무선 장치들에 수신 능력을 수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능력을 가진 무선 장치들로부터 상기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능력을 수여하는 단계
    를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에 응답하여 송신 능력을 수여하는 단계는, 지정된 중재자 장치의 제어하에 행하여지고, 상기 지정된 중재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장치들 중 하나의 무선 장치인 것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에 응답하여 송신 능력을 수여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들이 수신되는 순서대로 행하여지는 것인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능력에 대한 요구에 응답하여 송신 능력을 수여하는 단계는 정의된 순서 규칙의 세트에 따라 행하여지는 것인 방법.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무선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 수단들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067015740A 2004-09-16 2005-09-15 그룹 토크를 큐잉하고 중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807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4498.3 2004-09-16
EP04104498A EP1638354B1 (en) 2004-09-16 2004-09-16 Apparatuses and method for queueing and moderating group tal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948A KR20060121948A (ko) 2006-11-29
KR100807168B1 true KR100807168B1 (ko) 2008-02-27

Family

ID=3492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740A KR100807168B1 (ko) 2004-09-16 2005-09-15 그룹 토크를 큐잉하고 중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2) EP2265071B1 (ko)
JP (2) JP2007520958A (ko)
KR (1) KR100807168B1 (ko)
CN (2) CN101951562A (ko)
AT (2) ATE545309T1 (ko)
AU (1) AU2005284567B2 (ko)
CA (2) CA2555387C (ko)
ES (1) ES2377120T3 (ko)
HK (1) HK1088489A1 (ko)
SG (1) SG155904A1 (ko)
WO (1) WO2006029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6588B2 (en) * 2006-08-31 2009-10-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ierarchical point-to-multipoint group communications between multiple active communication groups
US8447340B2 (en) * 2007-04-04 2013-05-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cast push to talk groups, apparatus, and methods
EP2066092A1 (en) * 2007-11-30 2009-06-03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DE102008044752A1 (de) * 2008-08-28 2010-03-04 Rohde & Schwarz Gmbh & Co. Kg System und Verfahren zum Umschalten einer Übertragungsrichtung in einer Funkverbindung und Funkgerät
CN102572614A (zh) * 2010-12-31 2012-07-11 上海可鲁系统软件有限公司 一种对讲机远程通信方法及对讲机
US9900172B2 (en) * 2013-04-25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resource sharing i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using a network-based group management and floor control mechanism
US9107130B2 (en) 2013-06-18 2015-08-1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offloading procedure management in a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KR102540311B1 (ko) 2015-12-08 2023-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38683B1 (ko) 2017-12-18 2022-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Mcptt 서비스에 기초하여 설정된 그룹 콜에 참여하는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7136A1 (en) * 2000-03-03 2002-06-20 Mark Maggenti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rbitration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CA2464114A1 (en) * 2001-10-22 2003-05-01 Qualcomm Incorporated Queuing talk requests in a wireless group dispatch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4109A (en) * 1988-12-20 1991-10-01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Trunked radio system having fleet queue alert
JPH0698029A (ja) * 1992-09-10 1994-04-08 Toshiba Corp 電子会議システム
US5457735A (en) * 1994-02-01 1995-10-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queuing radio telephone service requests
US5537684A (en) * 1994-07-29 1996-07-16 Motorola, Inc. Method for a communication unit to influence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US6151514A (en) * 1998-04-22 2000-11-21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ormalizing DTMF messages from a cellular mobile station
US6295284B1 (en) * 1998-12-23 2001-09-25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ir access in a group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7136A1 (en) * 2000-03-03 2002-06-20 Mark Maggenti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rbitration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CA2464114A1 (en) * 2001-10-22 2003-05-01 Qualcomm Incorporated Queuing talk requests in a wireless group dispatch system
KR20040045898A (ko) * 2001-10-22 2004-06-0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디스패치 시스템에서 발언 요청을 큐잉 하는 시스템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84567B2 (en) 2007-08-09
CN1918819A (zh) 2007-02-21
CN101951562A (zh) 2011-01-19
AU2005284567A1 (en) 2006-03-23
JP2011082997A (ja) 2011-04-21
ES2377120T3 (es) 2012-03-22
CA2717261C (en) 2014-07-08
WO2006029526A1 (en) 2006-03-23
CA2555387C (en) 2010-11-23
EP2265071B1 (en) 2012-02-08
KR20060121948A (ko) 2006-11-29
JP2007520958A (ja) 2007-07-26
EP1638354A1 (en) 2006-03-22
EP2265071A1 (en) 2010-12-22
CA2555387A1 (en) 2006-03-23
SG155904A1 (en) 2009-10-29
ATE545309T1 (de) 2012-02-15
EP1638354B1 (en) 2011-11-09
CA2717261A1 (en) 2006-03-23
ATE533327T1 (de) 2011-11-15
HK1088489A1 (en) 200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0237B2 (en) System and methods for queueing and moderating group talk
US77611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anting transmit capability in a push to communicate system
KR100807168B1 (ko) 그룹 토크를 큐잉하고 중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79626A1 (en) Collaborative group communication method involving a context aware call jockey
KR100945696B1 (ko) 애드 혹 위치 기반 멀티캐스트 그룹을 형성하는 시스템 및방법
US20120077536A1 (en) Collaborative group communication method involving a context aware call jockey
KR101288156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들의 우선순위화
US84167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loor in push to service
US202203857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group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