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106B1 -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106B1
KR100806106B1 KR1020060029924A KR20060029924A KR100806106B1 KR 100806106 B1 KR100806106 B1 KR 100806106B1 KR 1020060029924 A KR1020060029924 A KR 1020060029924A KR 20060029924 A KR20060029924 A KR 20060029924A KR 100806106 B1 KR100806106 B1 KR 100806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m
identifier
url
rights
exhau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368A (ko
Inventor
이승제
김태현
케이 키란 쿠마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106B1/ko
Publication of KR20070098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 DRM 콘텐츠(DRM contents)의 사용권리(Rights Object : RO)가 소진 시, 그 소진된 사용권리를 자동을 갱신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사용자가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최초 구매 시, RI가 DRM 에이전트에게 해당 사용권리와 함께 부가정보(즉, 사용권리 갱신을 위한 정보)를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전달받은 상기 부가정보를 향후 사용을 위해 저장한 후, 상기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가 소진한 때에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저장한 부가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소진한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재구매(갱신)하는 것이다.
DRM, 사용권리, 갱신, 단말기, 디지털 저작권 관리, DRM 에이전트, RI, CI

Description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METHOD AND SYSTEM FOR RENEWAL OF RIGHTS OBJECT IN DRM, AND ITS TERMINAL}
도 1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DRM 콘텐츠 사용권리를 갱신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절차를 도시한 일련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ROAP세션 전에 사용자에게 보여줄 정보가 포함된 엘리먼트가 ROAP 트리거에 적용된 실시 예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renewalInfo 익스텐션이 포함된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의 실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구매정보가 포함된 ROAP 트리거의 실시 예이다.
도 7은 DRM 에이전트가 RI로 전달하는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의 실시 예로서, renewalInfo 익스텐션이 포함된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 이하 DRM이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 DRM 콘텐츠(DRM contents)의 사용권리(Rights Object : RO)가 소진 시, 그 소진된 사용권리를 자동을 갱신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RM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리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기술로서, 콘텐츠의 불법복제 방지 및 콘텐츠 사용권리의 획득, 콘텐츠의 생성 및 유통, 사용 과정에 대한 일련의 보호 및 관리 체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DRM은 여러 어플리케이션 즉,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오디오 플레이어(Audio Player), 또는 이미지 뷰어(Image Viewer) 등에 적용된다.
도 1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전달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부여한 사용권리만큼만 사용하도록 통제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제공자는 콘텐츠 발급자(Content Issuer : CI) 및/또는 사용권리 발급자(Rights Issuer : RI)에 해당하는 엔티티(Entity)이다.
상기 콘텐츠 발급자(CI)는 접근 권한을 갖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도록 특정 암호화 키를 사용해 보호된 콘텐츠(즉, DRM 콘텐츠)를 발급하고,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RI)는 상기 보호된 콘텐츠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사용권 리(Rights Object : RO)를 발급한다.
DRM 에이전트는, 단말에 탑재되어 상기 보호된 콘텐츠와 사용권리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권리에 포함된 허가(License)를 해석하여 상기 보호된 콘텐츠를 해당 단말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콘텐츠의 사용을 통제한다.
여기서, DRM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는 해당 DRM 콘텐츠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여러 종류의 제약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횟수 또는 시간 또는 기간 또는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권리를 소진(exhaust)할 정도로 해당 DRM 콘텐츠를 사용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소진된 DRM 콘텐츠의 계속 사용을 위해서는 해당 사용권리를 다시 구매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는 단말을 통하여 사용권리 발급자 포털(RI portal) 서버에 접속하여 그 사용권리 발급자 포털을 브라우져(즉, 이를 브라우징 세션<browsing session>이라 한다)한 후, 상기 사용권리가 소진된 DRM 콘텐츠에 해당하는 사용권리를 구매한 다음 DRM ROAP(Rights Object Acquisi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상기 구매한 사용권리를 DRM 에이전트로 다운로드 받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권리를 재구매하기 위하여 해당 사용권리 발급자 포털에 접속한 후, 상기 사용권리 포털이 제공하는 여러 가지 사용권리를 검색하여야 한다는 것은, 상기 소진한 DRM 컨테츠를 계속하여 사용하려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번거롭고 불편한 점이다. 즉, 종래의 DRM 시스템에서, 사용권리가 소진한 해당 DRM 콘텐츠를 계속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해당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가 소진할 때마다 매번 브라우징 세션을 거쳐서 상기 소진한 해당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재구매하여야 하는 DRM 콘텐츠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RM 콘텐츠 사용권리 소진 시, 브라우징 세션을 거치지 않고 사용권리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은, DRM 에이전트가 RI(Right Issuer)로부터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상기 RI가 상기 RI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상기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가 소진 시,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RI에 접속하여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저장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RI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RI로부터 ROAP 트리거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RI로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RI가 상기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DRM 에이전트로 상기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고, 상기 다운로드 받은 사용권리의 갱신에 대한 부가정보가 포함된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의 갱신에 이용될 RI의 URL과 RI를 위한 식별자를 RI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권리가 소진 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를 상기 RI로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RI로부터 ROAP 트리거 및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는 DRM 에이전트와; 상기 RI로부터 수신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사용권리 갱신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권리 갱신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또한 상기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DRM 에이전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DRM 시스템은,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티티를 포함하는 DRM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 갱신에 이용되는 부가정보 및 구매정보를 전달하는 RI와;
상기 부가정보와 구매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가 소진 시 상기 부가정보와 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를 갱신하는 DRM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RI가 DRM 에이전트에게 소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와 함께 그 사용권리에 대한 소정 정보를 부가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권리가 소진 시 상기 소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권리를 갱신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최초 구매 시, RI가 DRM 에이전트에게 해당 사용권리와 함께 부가정보(즉, 사용권리 갱신을 위한 정보)를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전달받은 상기 부가정보를 향후 사용을 위해 저장한 후, 상기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가 소진한 때에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저장한 부가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소진한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재구매(갱신)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사용권리를 갱신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와, DRM 에이전트와, RI 포털(즉, RI 서버에 해당한다)와, CI 포털(즉, CI 서버에 해당한다)를 포함하여 구성된 엔티티들 간에 이루어지는 신호 흐름도이다. 다만, 도 2에서 상기 사용자는 물리적 엔티티는 아니지만, 사용자와 DRM 에이전트 간의 이루어지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가 특정 DRM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S10)와, 상기 다운로드 받은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와 함께 향후 갱신에 사용될 부가정보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S20)와, 상기 다운로드 받은 사용권리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DRM 콘텐츠를 사용하는 단계(S30)와, 그리 고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가 소진되었을 때, 그 사용권리를 다시 갱신하는 단계(S40)로 구성된다.
이하, 도 2 및 첨부된 기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DRM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S10). 즉, 사용자가 단말기에 장착된 DRM 에이전트를 통하여 CI 포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콘텐츠를 브라우즈(browse)하여 다운로드 받는다(S10).
상기 단계(S10)에서 다운로드 받은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와 함께 향후 사용권리 갱신에 사용될 부가정보(제1 부가정보)를 다운로드 받는다(S20). 상기 단계(S2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특정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구매하기 위하여 DRM 에이전트를 통하여 RI 포털에 접속한다(S21 및 S22). RI 포털은 DRM 에이전트에게 사용권리 자동갱신 옵션을 추가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신호(즉, 사용자가 구매하려는 상기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가 소진 시, 자동으로 재구매할 것인지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23). 사용자는 단말기의 표시장치(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사용권리 자동갱신 옵션(예를 들면, "사용권리를 갱신할 것인가?" 등등)을 확인하고 사용권리 갱신의사를 표시(즉, 도 2에서 "Yes"로 표시됨. 예를 들면, 단말기의 특정키를 눌러서 사용권리 갱신에 동의하는 의사를 표시한다)하면(S24), DRM 에이전트가 RI 포털로부터 사용권리 자동갱신 옵션을 포함하는 사용권리를 구매한다(S25). DRM 에이전트은 RI 포털로부터 상기 구매한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ROAP 트리거를 다운로드 받는다(S26). 그리고 DRM 에이전트가 RI 포털에 사용권리 요청(즉, RO Request) 메시지(또는 신호)를 전달하고, RI 포털로부터 상기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상기 ROAP를 이용하여 획득한다(S27). 상기 단계(S27)에서 DRM 에이전트가 RI 포털로부터 상기 사용권리를 획득(즉, 다운로드)하는 동안, RI 포털은 사용권리 응답(즉, RO Response) 메시지(또는 신호)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DRM 에이전트에 전달한다(S28). 이때, 부가정보는 RO 내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RO와 함께 전달하되 RO와 구별되도록 분리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정보(즉, 제1 부가정보)란, 상기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 갱신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사용권리가 있는 RI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RI를 위한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부가정보의 상세한 설명은 차후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DRM 에이전트는 상기 부가정보를 향후 사용을 위해 소정 저장부에 저장한다(S29).
이상, 상기 단계(S10 및 S20)를 통하여 사용자는 특정 DRM 콘텐츠와 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은 후, 상기 사용권리가 소진할 때까지 상기 DRM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S30).
상기 단계(S30)를 통하여,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가 소진되었을 때, 그 사용권리를 갱신한다(S40). 즉, 상기 사용권리가 소진된 경우에, DRM 에이전트는 예를 들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권리가 소진된 사실과 사용권리를 자동갱신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S41). 이때, 사용자가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를 갱신하려고 하면(S42), DRM 에이전트는 앞선 ROAP세션(즉, S25~S29)에서 저장된 상기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가 있는 UR(일명, "triggerURL"이라 한다)로 접속한다(Get on triggerURL)(S43). 즉,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사용권리가 위치한 RI 포털의 주소(즉, URL)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 갱신을 하면, DRM 에이전트가 상기 부가정보의 URL을 이용하여 RI 포털에 접속하여(즉, 예를 들어 HTTP Get on the URL을 수행한다) 그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는다(또는, 독출한다).
DRM 에이전트는 RI 포털로부터 ROAP 트리거를 다운로드 받는다(S44). 이때, 상기 단계(S44)에서 RI 포털은 ROAP 트리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정보를 함께 DRM 에이전트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정보는 상기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 소진 시, 그 동일한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에 대한 구매정보와 그 사용권리의 가격정보를 포함한다. 즉, DRM 에이전트가 RI 포털로부터 ROAP 트리거를 다운로드 받을 때, 상기 구매정보 및 가격정보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면(S45) 사용자가 그 사용권리의 구매정보 및 가격정보를 보고 그 사용권리를 구매할 수 있다(S46).
DRM 에이전트는 RI 포털 서버로 상기 사용권리 요청(즉, RO Request) 메시지를 전달하고(S47), RI 포털 서버는 상기 사용권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권리를 DRM 에이전트에 전달한다(S48). 이때, 상기 단계(S48)에서 RI 포털은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즉, RO Response message)에 부가정보(제2 부가정보)를 포함시켜 DRM 에이전트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제2 부가정보)는 상기 단계(S29)와 마찬가지로 소정 저장부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부가정보(제2 부가정보)는 상기 갱신한 사용권리가 또 다시 소진된 경우에 재갱신을 위한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서, 상기 단계(S28)에서 설명한 부가정보(즉, 제1 부가정보)와 그 성격이 동일하다. 또한, 상기 단계(S40)를 통하여, 사용자 상기 사용권리를 갱신하면 자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비용이 과금될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S42)에서 사용자가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의 갱신을 원하지 않는다면, 상기 사용권리 갱신 절차(즉, S42~S48)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다만, DRM 에이전트는 사용자에게 RI 포털에서 특정 DRM 콘텐츠의 소진된 사용권리를 구매할 것인지를 문의할 것이고, 사용자가 동의하면 브라우징 세션이 수행될 것이다.
이상, 도 2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DRM 콘텐츠 사용권리의 갱신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신호 흐름도를,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단말기의 각 디스플레이 화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절차를 도시한 일련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다만,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은 소정 DRM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 뷰어(Image Viewer)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지 뷰어(Image Viewer) 화면으로 진입하여 소정 DRM 콘텐츠(예를 들면, 도 3a에서 두개의 DRM 콘텐츠 중에서 DRM 콘텐츠 1)를 이용하려는 경우, DRM 에이전트는 상기 콘텐츠(즉, DRM 콘텐츠 1)의 사용권리가 소진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이는 도 2에서 S41에 해당함).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DRM 콘텐츠 1의 사용권리를 소진된 사실을 확인하고 그 사용권리 갱신한다(이는 도 2에서 S42 및 S43에 해당함).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M 에이전트는 구매정보(즉, DRM 콘텐츠 1에 해당하는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ROAP 트리거를 다운로드 받는다(이는 도 2에서 S44에 해당함). 그리고 사용자는 단말기의 이미지 뷰어 화면을 통하여 DRM 콘텐츠 1의 구매정보(즉, 사용권리 갱신 가격이 $10)를 보고 상기 사용권리를 구매한다(즉, 갱신한다)(이는 도 2에서 S46에 해당함).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권리 갱신을 동의하면, 상기 DRM 콘텐츠 1의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는다(또는, 사용권리가 독취된다)(이는 도 2에서 S47에 해당함).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DRM 에이전트가 상기 사용권리를 획득(또는, 갱신)한 후, 상기 DRM 콘텐츠 1의 표시 준비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상, 상술한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절차는 도 2의 S40 단계와 관련된 것으로서, 단말기와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적 수단을 설명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DRM 콘텐츠의 갱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권리 요청(RO Request) 메시지 및 사용권리 응답(RO Response) 메시지에 새로운 익스텐션(extension)이 필요하다. 상기 익스텐션은 일명 "renewalInfo" 익스텐션이라 하고, 일종의 파라미터이다.
상기 익스텐션(즉, renewalInfo)는 2개의 엘리먼트(element) 즉, "tiggerURL" 과 "idCode"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tiggerURL" 는 일종의 URL이다. 사용자가 소정 사용권리 자동갱신에 동의하면, RI가 DRM 에이전트로 상기 URL(즉, tirggerURL)을 보낸다. 다음, 상기 "idCode"는 스트링 형(string type) 엘리먼트이다. 이와 같은 엘리먼트의 값(즉, idCode의 값)은 RI를 위한 식별자(identifier for RI)로서, 즉 사용자가 앞선 트랜젝션(previous transaction)에서 다운로드 받았던 이전 사용권리(즉, 현재 소진된 사용권리)의 식별자로서 동작한다. 즉, 상기 엘리먼트(즉, idCode)는 RI에 의하여 사용자가 이전 트렌잭션에서 구매하였던 사용권리(즉, 소진된 사용권리)와 동일한 사용권리를 매핑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그 사용권리가 소진된 후에 그 사용권리의 재구매 시, DRM 에이전트가 RI로 상기 엘리먼트(즉, idCode)를 사용권리 요청(RO Request)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달한다. 그러면, RI가 상기 엘리먼트(즉, idCod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갱신하고자 하는 사용권리를 매핑한다.
한편, 상술한 상기 2개의 엘리먼트(즉, 익스텐션)는 도 2의 상기단계(즉, 도 2에서 S28 및 S48)에서 사용권리 응답(RO Response) 메시지에 부가되는 부가정보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만약 RI가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에 상기 익스텐션를 포함시켜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면, DRM 에이전트는 이러한 정보(즉, 상기 익스텐션)를 향후 사용을 위해 저장하여야 한다(즉, 예를 들어 도 2에서 S29에 해당함). 상기 정보(즉, 상기 익스텐션으로서 2개의 엘리먼트)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 DRM 에이전트는 이전 트렌잭션 시에 저장된 "renewalInfo" 익스텐션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을 한다. 그리고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가 소진된 때, DRM 에이전트는 상기 정보(즉, renewalInfo 익스텐션)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DRM 에이전트는 그 소진된 사용권리의 갱신을 원하는지 사용자에게 문의한다(즉, 도 2에서 S41에 해당함).
만약 사용자가 사용권리 갱신에 동의하면, DRM 에이전트는 이전 트렌잭션으로부터 저장된 tiggerURL(즉, RI 서버의 주소에 해당함)로 소정 요청(예를 들어, HTTP GET request)을 전달한다(즉, 도 2에서 S43에 해당함). 그 다음, RI 서버는 ROAP 트리거를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여, DRM 에이전트가 ROAP 트리거를 사용하여 소진된 특정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즉, 도 2에서 S44에 해당함). 이때, RI 서버는 상기 ROAP 트리거와 함께 상기 사용권리 갱신과 관련된 구매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구매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권리 갱신에 동의한다면, DRM 에이전트는 renewalInfo 익스텐션을 사용권리 요청(RO Request) 메시지에 포함시켜 RI 서버로 전달한다(즉, 도 2에서 S47에 해당함). 그리고, RI는 DRM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renewalInfo 익스텐션을 수신한 후,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권리 갱신에 대하여 과금(charge)을 하고 DRM 에이전트로 상기 사용권리를 전달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익스텐션이 실제 메시지에 적용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새로이 정의된 태그(new tag)는 모든 등록(all registration)과, 사용권리 획득(RO Acquisition)과, 도메인 가입 트리거 및 도메인 탈퇴 트리거(Join Domain and Leave Domain Trigger schema's)에 부가된다. 이와 같은 새로이 정의된 엘리먼트(즉, new tag)를 사용하여, RI가 DRM 에이전트로 소정 정보 즉, DRM 에이전트가 ROAP 세션 진행 전에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정보(예를 들면, 사용권리의 갱신 가격 등등)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엘리먼트(element schema)는 다음과 같다.
<element name="userAlert" type="string" minOccurs="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와 같이 새로이(신규) 정의된 엘리먼트(즉, 태그)가 ROAP 트리거에 적용된 실시 예이다. 다만, 도 4에서 및줄 그어진 부분이 새로이 추가된 태그에 해당한다.
한편,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 및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에 추가되는 새로운된 익스텐션은 다음과 같다.
<complexType name="roRenewalInfo">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roap:Extensions>
<element name="triggerURL"type="anyURL"minOccurs="0">
<element name="idCode"type="string">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상기와 같은 새로이 정의된 익스텐션은, 일명 "roRenewalInfo"라 정의하고, ROAP에 부가된다.
한편,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에 적용되는 ROAP 익스텐션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extension xsi:type="roap:roRenewalInfo">
<triggerURL>http://riurl.com/renewalTrigger?id=100</triggerURL>
<idCode>roid-123456</ idCode >
</extens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renewalInfo 익스텐션이 포함된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의 실시 예이다. 다만, 도 5a 및 도 5b는 한개의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이며, 밑줄 그어진 부분이 새로운 익스테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구매정보가 포함된 ROAP 트리거의 실시 예이다. 다만, 도 5에서 밑줄 그어진 부분이 새로이 부가된 태그(new addition tag)이다. 도 6에 도시된 메시지는 도 2의 상기 단계(S44)와 관련된다.
도 7은 DRM 에이전트가 RI로 전달하는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의 실시 예로서, renewalInfo 익스텐션이 포함된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이다. 다만, 도 5에서 밑줄 그어진 부분이 새로운 익스테션(또는 테그)이다. 도 7에 도시된 메시지는 도 2의 상기 단계(S47)와 관련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80)는, DRM 에이전트(81)와, 저장부(82)와, 디스플레이(83)와, 제어부(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80)는 단말기(80)의 주요 기술적 특징이 있는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통상적인 단말기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80)는 DRM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유무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기(80)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MP3와, 노트북와, 데스크 탑 PC와, 게임기와, 그 밖에 가전 제품 등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단말기(80)의 기능 및 동작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 설명의 간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80)의 각 구성요소의 주요 기술적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DRM 에이전트(8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제어부(84)의 소정 제어신호에 의하여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의 갱신에 이용될 부가정보를 RI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권리가 소진 시 상기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를 상기 RI로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RI로부터 ROAP 트리거 및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는다.
상기 저장부(82)는 상기 제어부(84)의 소정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RI로부터 수신한 부가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83)는 상기 제어부(84)의 소정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권리 갱신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갱신하려는 사용권리의 구매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8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저장부(82)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권리 갱신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83)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DRM 에이전트(81)가 상기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또한 상기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DRM 에이전트(81) 를 제어한다.
이상,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는 소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가 소진하더라도 RI의 포털에 방문하여 해당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 즉, 소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 소진하는 경우 그 소진된 사용권리를 구매하기 위하여 번거롭게 브라우징 세션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소진된 사용권리를 자동으로 갱신한 후 상기 DRM 콘텐츠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DRM 콘텐츠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0)

  1. DRM 에이전트가 RI(Right Issuer)로부터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상기 RI가 상기 RI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상기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가 소진 시,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RI에 접속하여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I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는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I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는
    상기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 내에 포함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I의 URL(Uniform Resouce Location)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는
    상기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와 구별되도록 별개로 하여 그 사용권리와 함께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의 식별자는
    각각을 가리키는 엘리먼트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I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는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 내에 새로이 정의된 익스텐션 또는 새로이 정의된 태그에 포함되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으려고 할 때,
    상기 RI가 그 사용권리 소진 시 갱신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옵션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저장된 RI의 URL(Uniform Resouce Location)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RI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RI로부터 ROAP 트리거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RI로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RI가 상기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DRM 에이전트로 상기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고,
    상기 다운로드 받은 사용권리의 갱신에 관한 부가정보가 포함된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사용자에게 상기 특정 DRM 에이전트의 사용권리가 소진된 사실을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OAP 트리거는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는
    상기 DRM 에이전트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는
    상기 갱신하려는 사용권리의 갱신 가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는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가리키는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가리키는 엘리먼트는,
    이전 트렌잭션에서 구매하였던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를 매핑하기 위하여, 상기 RI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갱신한 사용권리가 다시 소진된 경우에, 그 재소진된 사용권리를 재갱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 방법.
  21.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의 갱신에 이용될 RI의 URL과 RI를 위한 식별자를 RI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권리가 소진 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를 상기 RI로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RI로부터 ROAP 트리거 및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는 DRM 에이전트와;
    상기 RI로부터 수신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사용권리 갱신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권리 갱신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권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또한 상기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DRM 에이전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는
    상기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는
    상기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 내에 포함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는
    상기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와 구별되도록 별개로 하여 그 사용권리와 함께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는
    각각을 가리키는 엘리먼트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6. 삭제
  27. 삭제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RI의 URL과 상기 RI를 위한 식별자는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 내에 새로이 정의된 익스텐션 또는 새로이 정의된 태그에 포함되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권리에 대한 구매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는
    상기 ROAP 트리거에 포함되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티티를 포함하는 DRM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 갱신에 이용되는 부가정보 및 구매정보를 전달하는 RI와;
    상기 부가정보와 구매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가 소진 시 상기 부가정보와 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진된 사용권리를 갱신하는 DRM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RI는
    상기 구매정보를 ROAP 트리거에 포함시켜 상기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RI는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특정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다운로드 받으려고 할 때, 상기 사용권리 소진 시 상기 사용권리를 갱신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옵션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RI는
    상기 부가정보를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DRM 시스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RI는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 내에 포함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시스템.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RI는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특정 DRM 콘텐츠 사용권리와 구별되도록 별개로 하여 그 사용권리와 함께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시스템.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RI는
    상기 부가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에 포함시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시스템.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RI는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RI의 URL을 가리키는 엘리먼트와,
    상기 RI의 식별자를 가리키는 엘리먼트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시스템.
  39. 삭제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RI는
    상기 부가정보를 사용권리 응답 메시지 내에 새로이 정의된 익스텐션 또는 새로이 정의된 태그에 포함시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시스템.
KR1020060029924A 2006-03-31 2006-03-31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KR100806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924A KR100806106B1 (ko) 2006-03-31 2006-03-31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924A KR100806106B1 (ko) 2006-03-31 2006-03-31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368A KR20070098368A (ko) 2007-10-05
KR100806106B1 true KR100806106B1 (ko) 2008-02-21

Family

ID=3880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924A KR100806106B1 (ko) 2006-03-31 2006-03-31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9838B2 (en) * 2008-01-25 2014-08-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iracy prevention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
KR101649528B1 (ko) 2009-06-17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권리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868A (ko) * 2000-08-16 2002-06-07 요트.게.아. 롤페즈 디지털 저작물의 배포 및 사용을 규제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2207600A (ja) 2001-01-12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著作権保護システムの自動更新方法
US20030115069A1 (en) * 2001-12-14 2003-06-19 Duet General Partnership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enewability of content
US20050044016A1 (en) * 2002-03-27 2005-02-24 Convergys Information Management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content
KR20050114442A (ko) * 2004-06-01 2005-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저장장치와 디바이스간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이용한 콘텐츠 재생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휴대형저장장치
KR20060126117A (ko) * 2005-06-03 2006-12-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디.알.엠 기반의 기간 정액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868A (ko) * 2000-08-16 2002-06-07 요트.게.아. 롤페즈 디지털 저작물의 배포 및 사용을 규제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2207600A (ja) 2001-01-12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著作権保護システムの自動更新方法
US20030115069A1 (en) * 2001-12-14 2003-06-19 Duet General Partnership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enewability of content
US20050044016A1 (en) * 2002-03-27 2005-02-24 Convergys Information Management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content
KR20050114442A (ko) * 2004-06-01 2005-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저장장치와 디바이스간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이용한 콘텐츠 재생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휴대형저장장치
KR20060126117A (ko) * 2005-06-03 2006-12-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디.알.엠 기반의 기간 정액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368A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6072B2 (en) Method for providing of content data to a client
JP4786222B2 (ja) ディジタル権利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
US20090203364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20060136548A1 (en) Method for managing use of storage region by application
KR20120037903A (ko) Drm 모듈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WO2006025308A1 (ja) コンテンツ購入処理端末と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3174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113121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70143441A1 (en) Content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TW200413985A (en) Content delivery system and content delivery apparatus
US20090064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rights objects
KR100806106B1 (ko) Drm 콘텐츠 사용권리 갱신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JP4653403B2 (ja) プログラム配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の使用を許可する方法
US9355225B2 (en) Smart super-distribution of rights-protected digital content
KR100830941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 사용권리 전달방법 및 장치
US7450929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odule
JP6495477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表示装置
KR20100051035A (ko) 위젯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US20030126190A1 (en) Service providing software system storage medium, service providing program storage medium,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EP2034420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right
JP2005159930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処理装置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供給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336291B2 (ja) 受信端末装置
KR101728482B1 (ko) 양심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EP3570161B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6574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