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958B1 -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958B1
KR100805958B1 KR1020070057361A KR20070057361A KR100805958B1 KR 100805958 B1 KR100805958 B1 KR 100805958B1 KR 1020070057361 A KR1020070057361 A KR 1020070057361A KR 20070057361 A KR20070057361 A KR 20070057361A KR 100805958 B1 KR100805958 B1 KR 100805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electrode
paste
nano
coate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기
박성우
김현용
Original Assignee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filed Critical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5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06Nano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금속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은 지중에 매설되어 접지장치에 사용되는 접지전극에 있어서, 용매와 상기 용매에 혼합된 전도성 금속의 나노 사이즈 입자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로 상기 접지전극의 표면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은 접지전극의 표면에 금속나노 코팅을 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뇌운의 전기적 성격(즉, 극성)이 변하는 경우에도 이에 따라 접지전극 주변의 전하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낙뢰 등으로 접지전극 및 그 주변 대지의 전하 분포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접지전극이 매설된 토양의 물리적 훼손 없이 신속하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접지전극, 나노 코팅

Description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Grounding Electrode Coated with Nano Met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은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은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은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라 접지전극에 은 나노 코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접지전극 20, 120 : 탄소 저저항체
30, 130 : 심봉 40, 140 : 코팅막
본 발명은 접지장치에 사용되는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전도성 페이스트로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장치(ground device)라 함은 통신장비, 전자계측장비, 피뢰장비 및 전력장비 등을 전기적으로 대지와 연결시켜 장비에 작용하는 과부하나 낙뢰 등에 의한 서지전압을 지상으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는 피뢰침(lightening rod)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접지장치(이하에서는 피뢰침을 일예로 설명한다.)는 돌침부, 피뢰도선 및 접지전극의 세 부분으로 크게 구성되며, 외부에 설치된 상기 돌침부와 지중에 매설된 상기 접지전극을 피뢰도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접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지전극은 돌침부에 작용하는 전기적 부하를 신속하게 대지로 방전하기 위하여 항상 낮은 저항을 유지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6106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흑연 등의 탄소계 비금속광물과 전해질로 구성된 저저항체(이하, '탄소계 저저항체'라 한다.) 내부에 금속재 심봉이 매입된 형태의 접지전극을 사용하였다.
한편, 낙뢰를 형성하는 뇌운의 경우 계절의 따라 (-)전하를 과도하게 포함하거나(예를 들면, 하절기) (+)전하를 과도하게 포함하게 되는데(예를 들면, 동절기), 낙뢰가 발생할 경우 종래의 접지전극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하절기에는 뇌운의 (-)전하를 급격하게 대지로 유입시키고 동절기에는 대지의 (-)전하를 뇌 운으로 급격하게 유출시키게 된다.
이때, 종래의 접지전극이 매설된 대지의 토양에서는 낙뢰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일반적으로 전하 분포가 거의 균일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전하가 대지로 급격하게 유입되거나 대지로부터 유출되는 경우 급격한 전하량 변동에 따른 전기력(전기적 인력 및 척력)의 영향으로 접지전극이 매설된 토양이 패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접지장치의 접지기능이 저하되어 소중한 재산이나 인명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접지전극의 경우 낮은 저항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낙뢰와 같은 서지전압을 신속하게 대지로 전달할 수는 있으나, 접지전극과 상기 접지전극이 매설된 대지의 전하 분포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급격한 방전으로 전하 분포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뇌운의 전기적 성격에 따라 접지전극 및 접지전극이 매설된 주변 대지의 전하 분포를 변화시킴으로써 낙뢰 등으로 인해 전하량이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에도 접지전극이 매입된 대지의 훼손을 방지함으로써 접지장치의 접지기능을 온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접극은 지중에 매설되어 접지장치에 사용되는 접지전극에 있어서, 용매와 상기 용매에 혼합된 전도성 금속의 나노 사이즈 입자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로 상기 접지전극의 표면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전극은 탄소를 포함하는 저저항체와, 상기 저저항체의 중앙에 매입되고 일단이 상기 접지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금속재의 긴 심봉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이며, 상기 저저항체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페이스트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체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골이 형성된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전도성 금속의 나노 입자는 그 입경이 20 내지 30nm인 은(Ag)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는 전체 중량의 20 내지 70 중량%의 은 분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는 용매 내에서 상기 은 분말의 응집이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요변제, 상기 페이스트를 접지전극에 부착시키기 위한 바인더 성분,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 및 상기 은 분말의 분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로 코팅된 막의 두께는 50 내지 2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제조방법은 지중에 매설되어 접지장치에 사용되는 접지전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도성 금속의 나노 사이즈 입자를 포함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페이스트 제조단계와 상기 페이스트 제조단계에서 제조한 페이스트로 상기 접지전극을 코팅하는 접지전극 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 제조단계는 용매에 금속 입자의 응집이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요변제, 상기 페이스트를 접지전극에 부착시키기 위한 바인더 성분을 첨가하여 교반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한 혼합 용액에 나노 사이즈의 금속 분말을 첨가하여 상기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은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접지전극(10)은 둘레 방향으로 일예로서 3개의 골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의 탄소계 저저항체(20)의 중앙에 금속재의 심봉(30)이 박혀 있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심봉(30)은 그 일단이 피뢰도선(미도시)에 의해 돌침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리와 같은 고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계 저저항체(20)의 성분 및 조성비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10604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소계 저저항체(20)의 골을 제외한 표면에는 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페이스트(paste)로 코팅된 코팅막(40)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금, 백금 또는 구리 등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의 나노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코팅방법은 공지된 딥 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또는 브러쉬 코팅(brush coating)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골에는 코팅이 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표면 전체에 코팅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은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1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은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10)은 금속의 정전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도2와 같이 뇌운이 (-)전하로 하전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옥외의 돌침부(50)와 대향하는 뇌운이 (-)전하를 과다하게 포함하고 있는 경우 뇌운과 대향하는 돌침부(50)의 단부는 (+)전하로 대전되고 돌침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전극(구체적으로는 탄소계 저저항체(20)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막(40)을 구성하는 은 나노입자들)은 (-)전하로 대전된다.
그 결과 접지전극(10)이 매입된 주변의 토양에서는 전기적 인력으로 인해 (+)전하의 분포가 많아지게 되고 그 중 일부는 전기적 인력에 의해 탄소계 저저항체(20)에 코팅된 은 나노입자에 포집된다. 따라서, 낙뢰가 발생할 경우 급격하게 대지로 유입되는 (-)전하는 상기 은 나노입자 및 접지전극 주변의 (+)전하와의 결합에 의해 대지에 신속하게 수용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은 나노 입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도전체의 표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킴은 물론, 뇌운에 포함된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의 포집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뇌운이 (+)전하로 하전된 경우는 상기 예로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원리로 인해 접지전극(10) 및 그 주위에는 (-)전하의 분포가 많아지게 되고, 그 결과 낙뢰가 발생할 경우 접지전극(10)에 포집되거나 접지전극(10) 주변에 분포되어 있던 (-)전하가 신속하게 방출됨으로써 접지전극(10)이 매설된 토양이 물리적으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은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한 접지전극(110)은 일예로서 육각 기둥 형상이며, 그 둘레 방향에서 등 간격으로 그 단면이 반원형을 가진 6개의 골이 형성된 탄소계 저저항체(120)와 그 중앙부에 박힌 금속재의 심봉(1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소계 저저항체(120)에는 심봉(130) 주위에 등간격으로 세 개의 관통구멍(13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지중에 매립되었을 때 수분 흡수력과 습도 유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형상적인 특징 이외에 탄소계 저저항체(120)의 성분 및 조성비, 그리고 탄소계 저저항체(120)의 표면 일부 또는 전부에 은 나노입자를 포함한 페이스트로 코팅된 코팅막(140)이 형성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탄소계 저저항체(12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골은 은 나노입자가 코팅되는 표면적을 더욱 증가시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전도도와 전하 포집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라 접지전극(10, 110)에 은 나노 코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용매로 사용되는 증류수에 은 나노 입자의 응집 및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요변제(thixotropic agent)를 첨가하여 서로 균일하게 섞이도록 교반(agitation)한다(S100).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매로서 증류수를 일예로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수용성 우레탄 디스퍼젼과 상용성이 있는 저급 알코올(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매의 함량은 페이스트 전체 중량 중 10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용매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점도 증가로 인한 조막 형성을 돕지 못하여 코팅 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함량이 40중량%를 초과할 경우 코팅 품질이 저하되고 도막의 건조가 지연되며 코팅막(40, 140)의 전도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요변제로서 지방산 변성 폴리아미드 계열의 폴리머 페이스트를 사용하는데(예로서, 한익산업의 EPLYD-3030, 테디의 TEDIGEL 등), 요변제를 사용할 경우 무기 은 분말의 응집 및 침전을 방지하여 코팅액의 균일 분산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요변제의 함량은 전체 중량 중 5.0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요변제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은 나노 입자의 침강 방지 효과가 미미하여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침강 방지 효과는 좋지만 코팅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 코팅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교반 과정은 교반기를 이용한 통상의 교반 과정으로 교반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교반 조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1000 rpm의 속도로 약 30분간 교반작업을 수행하였다.
S100 단계가 완료되면, 용매와 요변제의 혼합물에 바인더 성분을 첨가하여 서로 균일하게 섞이도록 교반(agitation)한다(S200).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인더 성분은 코팅액이 소재에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기재 밀착성, 연신율, 내수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수용성 우레탄 디스퍼젼을 사용하는데, 이는 지방족계열로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며 일예로서 (주)이앤비코리아의 ENB-PUD 601, ENB-PUD 701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성분의 함량은 전체 중량 중 10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용성 우레탄 디스퍼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소재에 대한 부착력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고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잉의 바인더 성분으로 인한 저항이 지나치게 상승하여 코팅막(40, 140)의 전도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교반 과정은 교반기를 이용한 통상의 교반 과정으로 교반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교반 조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1000 rpm의 속도로 약 30분간 교반작업을 수행하였다.
S200 단계가 완료되면 생성된 혼합물에 은 나노 입자로 된 은 분말을 첨가하고, 그 외 분산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다(S300).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분말로 전기 전도 특성이 뛰어난 무기 은 나노 입자를 사용하였는데, 상기 은 분말은 한국공개특허 제2006-0038834호에 개시된 금속 나노 분말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것으로서 입자크기는 약 20 내지 30 nm이다.
또한, 은 분말의 함량은 전체 중량 중 20 내지 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은 분말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코팅막(40, 140)의 저항값이 상승하여 도전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고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안료 대비 바인더 및 침강방지제의 함량이 부족하게 되어 부착성 저하 및 침전 발생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은 분말 이외에 은 분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교반 과정에서 생성된 기포를 저감시키기 위해 분산제와 소포제를 첨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이들의 함량은 전체 중량 중 2.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30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조성물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페이스트(이하, '은 나노 페이스트'라 한다.)를 제조하게 된다(S400).
상기 은 나노 페이스트의 제조장치로는 볼밀(ball mill), 3상 롤믹서(three phase roll mixer), 어트리터(attrito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볼밀장치를 사용하였다. 즉, 밀링(milling) 용기에 지르코니아 비드(size=1mm)를 용기 부피의 약 50%로 충진한 후, 상기 언급된 혼합 물질을 용기 부피의 30 내지 40% 정도로 투입하여 400 내지 500 rpm에서 1일 동안 분산 가동하였다.
S400 단계에서 은나노 페이스트가 완성되면 접지전극(10, 110)의 탄소계 저저항체(20, 120) 표면을 상기 페이스트로 코팅한다(S500).
상기 탄소계 저저항체(20, 120)를 코팅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딥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브러쉬 코팅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코팅이 완료된 후 상온 경화형태로 12시간 경과 시 적정한 코팅막(40, 140) 경도와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코팅막(40, 140) 경도의 형성을 빨리 원할 경우 열처리를 할 수 있으며, 열처리 조건은 약 80 내지 90℃에서 1 내지 2시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은 나노 코팅막(40, 140)의 두께는 약 50 내지 200μm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코팅막(40, 140) 두께가 50μm 미만이면 코팅막(40, 140)의 전도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고 200μm를 초과할 경우 코팅막(40, 140)의 박리현상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제품 생산시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아래의 표1은 각 조성물의 조성비를 변화시켜가며 제조한 4가지 종류의 은 나노 페이스트로 코팅된 코팅막의 물성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각각의 경우에 단계별로 조성물을 사전혼합(Pre-mixing)한 후 최종적으로 볼밀에서 밀링하여 제조한 페이스트를 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바코터(Bar coater)를 이용하여 슬라이드글라스 시편에 코팅한 후, 멀티메타를 사용하여 단위면적당 표면저항 및 KS D6711, 1992의 기준에 따라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은 분말이 약 70 중량% 함유된 경우(실험예 #4)에 전기 전도도와 표면 접착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조성 성분 실험예
#1(g) #2(g) #3(g) #4(g)
은 분말 30.0 45.0 60.0 70.0
용매(증류수) 50.0 35.0 20.0 8.0
요변제 10.0 10.0 5.0 7.0
폴리우레탄 수지 10.0 10.0 15.0 15.0
소포제 0.5 0.5 0.5 0.5
표면 저항 0.120 0.083 0.054 0.021
접착력 2B 2B HB HB
-은분말: (주)이앤비코리아 은분말(1차 입경 20 내지 30nm)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 (주)이앤비코리아 ENB-PUD 701 -침강방지제: 한익산업 EPLYD-3030 -소포제: BYK-Chemie BYK-019
이상에서는 접지전극(10, 110)의 심봉(30, 130)이 탄소계 저저항체(20, 120)에 매입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심봉(30, 130)을 둘러싸는 물질이 탄소계 재질이 아닌 경우 또는 접지전극(10, 110)이 금속봉으로만 된 경우에도 이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은 접지전극의 표면에 금속 나노 코팅을 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뇌운의 전기적 성격(즉, 극성)이 변하는 경우에도 이에 따라 접지전극 주변의 전하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낙뢰 등으로 접지전극 및 그 주변 대지의 전하 분포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접지전극이 매설된 토양의 물리적 훼손 없이 신속하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지중에 매설되어 접지장치에 사용되는 접지전극에 있어서,
    용매, 전도성 금속의 나노 사이즈 입자, 상기 나노 사이즈 입자의 응집이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요변제, 바인더 성분,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 및 상기 나노 사이즈 입자의 분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분산제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로 상기 접지전극의 표면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극은 탄소를 포함하는 저저항체와, 상기 저저항체의 중앙에 매입되고 일단이 상기 접지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금속재의 긴 심봉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이며,
    상기 저저항체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페이스트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체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골이 형성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전도성 금속의 나노 사이즈 입자는 그 입경이 20 내지 30nm인 은(Ag)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는 전체 중량의 20 내지 70 중량%의 은 분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수용성 우레탄 디스퍼젼, 알콜 또는 증류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요변제는 지방산 변성 폴리아미드 계열의 폴리머 페이스트이며, 상기 바인더 성분은 수용성 폴리우레탄 계열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로 코팅된 막의 두께는 50 내지 2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9. 지중에 매설되어 접지장치에 사용되는 접지전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용매, 전도성 금속의 나노 사이즈 입자, 상기 나노 사이즈 입자의 응집이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요변제 및 바인더 성분을 포함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페이스트 제조단계;와
    상기 페이스트 제조단계에서 제조한 페이스트로 상기 접지전극을 코팅하는 접지전극 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제조단계는,
    상기 용매에 요변제와 바인더 성분을 첨가 및 교반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한 혼합 용액에 상기 나노 사이즈의 입자를 첨가하여 상기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용매에 요변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중간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혼합 용액에 바인더 성분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상기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볼밀, 롤믹서 또는 어트리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와 상기 나노 사이즈 입자의 분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분산제를 더 첨가하여 상기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제조방법.
  15. 제9항 내지 제11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는 코팅막의 두께를 50 내지 200μm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의 제조방법.
KR1020070057361A 2007-06-12 2007-06-12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100805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361A KR100805958B1 (ko) 2007-06-12 2007-06-12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361A KR100805958B1 (ko) 2007-06-12 2007-06-12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958B1 true KR100805958B1 (ko) 2008-02-21

Family

ID=3938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361A KR100805958B1 (ko) 2007-06-12 2007-06-12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9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04B1 (ko) * 2008-07-25 2008-12-26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퍼라이트 탄소 접지 모듈
KR100962244B1 (ko) * 2009-12-11 2010-06-11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코팅 흑연 접지 저항체 및 그 코팅방법
KR101400200B1 (ko) * 2013-06-12 2014-05-28 선광엘티아이(주) 이온을 방사하는 낙뢰유도부를 갖는 피뢰도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64B1 (ko) 1997-03-03 1999-06-15 이재복 시멘트계 재료를 이용한 접지극의 제작방법
KR20020019941A (ko) * 2002-01-28 2002-03-13 조옥현 접지장치
JP2006004847A (ja) 2004-06-21 2006-01-05 Sankosha Corp 接地導体
KR20060002315A (ko) * 2004-07-01 2006-01-09 장정오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접지봉
KR100610604B1 (ko) 2005-02-04 2006-08-09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탄소 저저항 접지 모듈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64B1 (ko) 1997-03-03 1999-06-15 이재복 시멘트계 재료를 이용한 접지극의 제작방법
KR20020019941A (ko) * 2002-01-28 2002-03-13 조옥현 접지장치
JP2006004847A (ja) 2004-06-21 2006-01-05 Sankosha Corp 接地導体
KR20060002315A (ko) * 2004-07-01 2006-01-09 장정오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접지봉
KR100610604B1 (ko) 2005-02-04 2006-08-09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탄소 저저항 접지 모듈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04B1 (ko) * 2008-07-25 2008-12-26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퍼라이트 탄소 접지 모듈
KR100962244B1 (ko) * 2009-12-11 2010-06-11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코팅 흑연 접지 저항체 및 그 코팅방법
KR101400200B1 (ko) * 2013-06-12 2014-05-28 선광엘티아이(주) 이온을 방사하는 낙뢰유도부를 갖는 피뢰도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9420B (zh) 具有樹枝狀結晶之銅粉
KR101099237B1 (ko) 전도성 페이스트와 이를 이용한 전도성 기판
EP2124233B1 (en) Zno varistor powder
Prasse et al. In situ observation of electric field induced agglomeration of carbon black in epoxy resin
CN106128555B (zh) 一种高导电晶硅太阳能电池正面电极银浆及其制备方法
CN109467931B (zh) 一种基于纳米液态金属的柔性介电弹性体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250844A (zh) 一种水性石墨烯高导电油墨的制备方法
TWI622998B (zh) 導電性組成物及使用其之硬化物
WO2017154251A1 (ja) 導電性ペースト
MX2008002344A (es) Materiales conductores.
KR102284027B1 (ko) 코어쉘형 금속 미립자의 제조방법, 코어쉘형 금속 미립자, 도전성 잉크 및 기판의 제조방법
JP2013053347A (ja) デンドライト状銅粉
CN110099963B (zh) 树脂组合物、固化物、导电性膜、导电性图案和衣服
EP3278423B1 (de) Widerstandsbelag für einen glimmschutz einer elektrischen maschine
KR100805958B1 (ko) 금속 나노 코팅된 접지전극 및 그 제조방법
CN107405683A (zh) 铜粉及使用该铜粉的铜膏、导电性涂料、导电性片
JP2013136818A (ja) 銅粉
CN113831134A (zh) 一种各向异性的碳化硅导电陶瓷及其制备方法
EP3642923A1 (de) Kabelgarnitur für hgü-kabel
CN104036875B (zh) 石墨烯结构的碳层包覆的铜复合导电粉体及其制备方法
EP3296041A1 (en) Copper powder, copper paste using same, conductive coating material, conduc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copper powder
CN110998750B (zh) 柔软电极用浆料以及使用了其的柔软电极
CN107910102A (zh) 一种简易高效导电膏及其制备方法
JP2013168375A (ja) デンドライト状銅粉
Yuan et al. Non‐linearly conductive ZnO microvaristors/epoxy resin composite prepared by wet winding with polyester fibre clo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