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379B1 -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379B1
KR100804379B1 KR1020060132585A KR20060132585A KR100804379B1 KR 100804379 B1 KR100804379 B1 KR 100804379B1 KR 1020060132585 A KR1020060132585 A KR 1020060132585A KR 20060132585 A KR20060132585 A KR 20060132585A KR 100804379 B1 KR100804379 B1 KR 10080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uide
tube
guide tube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송본
한동훈
이근동
Original Assignee
한송본
한동훈
이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송본, 한동훈, 이근동 filed Critical 한송본
Priority to KR102006013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는 지하수 집배수관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기의 성형헤드에 연결되어 압출되는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성형 안내관과; 상기 성형 안내관에 설치되어 상기 소관체의 주벽 내측부에 다수개의 유출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유출공 천공수단과; 상기 성형 안내관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유출공 천공수단을 통과한 지하수 집배수관의 이동을 안내하는 배출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압출성형기에서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를 성형하면서 성형헤드에 조립된 소관체 천공부의 회전칼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출공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제조장치가 간소화되고, 설치 비용과 공간 활용이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며, 연속 공정에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에 유리한 이점과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HALL CUTTING APPARATUS FOR SMALL INNER PIPE OF UNDERGROUND WATER COLLECTING PIPE}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에 관한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은 압출성형기에 소관체 천공장치가 조립된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소관체 천공장치와 지하수 집배수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도 3은 소관체 천공장치와 지하수 집배수관의 구성을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도 4는 소관체 천공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를 각각 보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소관체 천공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 5는 소관체 천공장치의 회전칼이 천공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소관체 천공장치의 회전칼이 천공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하수 집배수관 11 : 주관체
12 : 소관체 13 : 유입공
14 : 유출공 100 : 압출성형기
110 : 성형헤드 200 : 소관체 천공부
210 : 성형 안내관 211 : 통로
212 : 외측 안내관 213 : 내측 안내관
213b : 중공부 213b,213c : 가이드
213d : 요입부 214 : 소관 내측 안내부
214a : 연결부 220 : 유출공 천공수단
221 : 회전칼 221a : 칼날
222 : 회전축 223 : 구동수단
230 : 배출 안내부 231 : 통로
232 : 외측 환형 안내링 233 : 내측 테이퍼형 가이드
233 : 원판형 소관 내측 안내부 233a : 연결부
240 : 냉각수단 241 : 냉각수 통로
241a : 유입구 241b : 유출구
본 발명은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수 집배수관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기의 성형헤드에 일연체로 조립되어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를 압출 성형하면서 내측 소관체의 주벽에 유출공을 연속 공정에 의해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설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며, 생산 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한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집속관의 경우 배수의 능력은 좋으나 집수면적의 부족으로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었으며 다발로 사용할 경우 외피로 부직포를 사용하므로 사실상 집수관 내부로 집수되기 보다는 아래 부분으로 누수되는 현상과, 연결 장치가 없는 등 이로 인한 문제점이 많았으며, 설치된 현장에서 많은 문제 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원통형 주관체의 상부와 그 양측에 주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공이 길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소관체 내측에 주관체 내공과 통하는 통공을 천공하여 되는 지하수 집배수관을 개발하고, 이를 선출원한 바 있으며, 이 지하수 집배수관의 내용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에 실1993-0004682호로 공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하수 집배수관은 주관체를 골프장, 운동장등 지하에 매설하고 그 양측에 집수포를 설치하여 폭넓은 범위로 집수할 수 있으며, 주관체와 소관체가 원통형이어서 주관체의 지지력이 매우 강인하고 압출성형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양측방향으로 폭넓게 집배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하수 집배수관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압출성형기에서 소관체가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주관체를 압출 성형하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 압출성형기와 별개로 설치된 천공기에 주관체를 투입하여 소관체의 주벽에 주관체의 내공과 통하는 통공을 천공하였으므로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압출성형기에서 성형되는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를 회수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작업과, 절단된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를 천공기에 투입하는 작업이 별도로 요구되고, 천공장치를 압출성형기와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도 비용이 더 요구될 뿐 아니라 설치 공간도 더 요구하는 것이어서 불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지하수 집배수관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기의 성형헤드에 일연체로 조립되어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를 압출 성형하면서 내측 소관체의 주벽에 유출공을 연속 공정에 의해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는 지하수 집배수관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기의 성형헤드에 연결되어 압출되는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성형 안내관과; 상기 성형 안내관에 설치되어 상기 소관체의 주벽 내측부에 다수개의 유출공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유출공 천공수단과; 상기 성형 안내관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유출공 천공수단을 통과한 지하수 집배수관의 이동을 안내하는 배출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성형 안내관은 상기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주벽 외측을 가이드 하는 외측 안내관과, 상기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주벽 내측을 가이드하는 내측 안내관과, 상기 소관체의 주벽 내측을 가이드하는 소관 내측 안내부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안내관, 내측 안내관 및 소관 내측 안내부의 사이에 상기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를 안내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안내관과 내측 안내관의 후단부가 상기 성형헤드에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출공 천공수단은 상기 성형 안내관의 중공부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소관체의 주벽 내측부에 유출공을 형성하는 칼날을 갖는 회전칼과, 상기 회전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성형 안내관의 중공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성형 안내관에는 상기 소관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성형 안내관의 소관 내측 안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 안내관의 외측 안내관과 소관 내측 안내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상기 냉각수 통로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에 관한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에는 압출성형기에 소관체 천공장치가 조립된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소관체 천공장치와 지하수 집배수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도 3에는 소관체 천공장치와 지하수 집수관의 구성을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소관체 천공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소관체 천공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 5에는 소관체 천공장치의 회전칼이 천공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소관체 천공장치의 회전칼이 천공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에서 도 1을 먼저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는 지하수 집수관(10)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기(100)의 성형헤드(110)에 소관체 천공부(200)를 일연체로 조립하여 압출 성형 작업과 천공 작업이 연속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조되는 지하수 집배수관(10)은 주관체(11)의 내주면에 소관체(12)의 주벽이 이어지는 형태로 복수개의 소관체(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주관체(11)의 주벽에는 각 소관체(12)와 통하도록 유입공(13)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각 소관체(12)의 주벽 내측부에는 주관체(11)의 내공과 통하도록 다수개의 유출공(14)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하수 집배수관(10)은 플라스틱재로 성형된다.
도 1에서 120은 수조를 보인 것이고, 130은 성형되는 지하수 집배수관(10)의 배출을 안내하는 컨베어 벨트를 보인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소관체 천공부(200)는 압출성형기(100)의 성형헤드(성형 다이)(110)에 연결되어 압출되는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성형 안내관(210)과, 상기 성형 안내관(210)에 설치되어 상기 소관체(12)의 주벽 내측부에 다수개의 유출공(14)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유출공 천공수단(220)과,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유출공 천공수단(220)을 통과한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배출 안내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 안내관(210)은 압출성형기(100)의 성형헤드(110)에서 성형, 배출되는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가 이동되는 통로(211)가 성형헤드(110)측 후단부에서 반대측 선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 안내관(210)은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주벽 외측을 가이드하는 외측 안내관(212)과,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주벽 내측을 가이드하는 내측 안내관(213)과, 소관체(12)의 주벽 내측을 가이드하는 소관 내측 안내부(214)로 구성되며,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통로(211)는 외측 안내관(212), 내측 안내관(213) 및 소관 내측 안내부(214)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내측 안내관(213)은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13a)가 형성되고, 3개의 소관체(12), 즉 중간 소관체(12)와 좌측 소관체(12)의 사이, 중간 소관체(12)와 우측 소관체(12)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2개의 작은 가이드(213b)와, 좌측 소관체(12)와 우측 소관체(12)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큰 가이드(213c)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소관 내측 안내부(214)는 원봉형이고 그 상단부가 상기 외측 안내관(212)의 내주면에 연결부(214a)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외측 안내관(212)과 내측 안내관(213)은 각각의 후단부가 압출성형기(100)의 성형헤드(110)에 볼트 채움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배출 안내부(230)는 상기 유출공 천공수단(220)을 통과한 지하수 집수관(10)의 배출을 안내하는 통로(231)가 외측 환형 안내링(232)과, 내측 테이퍼형 가이드(233)와 원판형 소관 내측 안내부(234)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원판형 소관 내측 안내부(234)는 외측 환형 안내링(232)에 연결부(234a)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 테이퍼형 가이드(233)는 가이드(233a),(213b)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배출 안내부(230)의 외측 환형 안내링(232)과 내측 테이퍼형 가이드(233)는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외측 안내관(212)과 내측 안내관(213)에 볼트 채움 등으로 체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유출공 천공수단(220)은 성형 안내관(210)의 중공부(213a) 선단에 설치되어 소관체(12)의 주벽 내측부에 유출공(14)을 형성하는 칼날(221a)을 갖는 회전칼(221)과, 상기 회전칼(221)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성형 안내관(210)의 중공부(213a)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축봉(222)과, 상기 축봉(222)을 회전시키는 스텝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2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내측 안내관(213)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칼(221)의 칼날(221a)이 회전하면서 소관체(12)에 유출공(14)을 형성할 수 있도록 원봉형 몸체의 하측부에 요입부(21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소관 내측 안내부(214)에는 소관체(12)를 냉 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2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냉각수단(240)은 소관 내측 안내부(214)에 길이방향으로 냉각수 통로(241)가 형성되고, 외측 안내관(212)과 소관 내측 안내부(214)를 연결하는 연결부(214a)에는 유입구(241a)와 유출구(241b)가 상기 냉각수 통로(24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출성형기(100)에서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가 성형되면 성형헤드(110)에 결합된 소관체 천공부(200)의 성형 안내관(210)의 외측 안내관(212)과 내측 안내관(213) 및 소관 내측 안내부(214) 사이에 형성된 통로(211)를 통하여 이동하고, 성형 안내관(210)의 중공부(213a) 선단부에 설치된 회전칼(221)이 스텝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223)에 의해 주기적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칼(221)의 칼날(221a)이 각 소관체(12)의 주벽 내측부를 절단함에 의해 다수개의 유출공(14)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소관체(12)의 유출공(14)은 회전칼(221)이 도 5와 같이 천공구간에서 회전할 때는 형성되고, 도 6과 같이 대기 구간에 있을 때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는 직선방향으로 이동되고, 회전칼(221)은 회전하면서 유출공(14)을 형성하므로 유출공(14)은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며, 유출공(14)의 각도와 유출공(14) 사이의 간격은 회전칼(221)의 회전 속도와 회전 주기에 의해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칼(221)이 유출공(14)을 형성하여 배출되는 칩은 배출 안내부(230)의 중공부에 떨어져 모이게 된다.
위와 같이 하여 압출성형기(100)에서 성형된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가 소관체 천공부(200)를 통과하면서 소관체(12)의 주벽에 다수개의 유출공(14)이 천공되어 형성된 지하수 집수관(10)은 출하 사양에 따라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고 보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는 압출성형기에서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를 성형하면서 성형헤드에 조립된 소관체 천공부의 회전칼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출공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제조장치가 간소화되고, 설치 비용과 공간 활용이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며, 연속 공정에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에 유리한 이점과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지하수 집배수관(10)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기(100)의 성형헤드(110)에 연결되어 압출되는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성형 안내관(210)과;
    상기 성형 안내관(210)에 설치되어 상기 소관체(12)의 주벽 내측부에 다수개의 유출공(14)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유출공 천공수단(220)과;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유출공 천공수단(220)을 통과한 지하수 집배수관(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배출 안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집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안내관(210)은 상기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주벽 외측을 가이드하는 외측 안내관(212)과, 상기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의 주벽 내측을 가이드하는 내측 안내관(213)과, 상기 소관체(12)의 주벽 내측을 가이드하는 소관 내측 안내부(214)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안내관(212), 내측 안내관(213) 및 소관 내측 안내부(214)의 사이에 상기 소관체 일체형 주관체를 안내하는 통로(211)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안내관(213)과 내측 안내관(213)의 후단부가 상기 성형헤드(110)에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내측 안내관(213)은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13a)가 형성되고, 3개의 소관체(12), 즉 중간 소관체(12)와 좌측 소관체(12)의 사이, 중간 소관체(12)와 우측 소관체(12)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2개의 작은 가이드(213b)와, 좌측 소관체(12)와 우측 소관체(12)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큰 가이드(213c)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관 내측 안내부(214)는 원봉형이고 그 상단부가 상기 외측 안내관(212)의 내주면에 연결부(214a)로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안내부(230)는 상기 유출공 천공수단(220)을 통과한 지하수 집배수관(10)의 배출을 안내하는 통로(231)가 외측 환형 안내링(232)과 내측 테이퍼형 가이드(233)와, 상기 외측 환형 안내링(232)에 연결부(234a)로 이어지는 원판형 소관 내측 안내부(234)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 환형 안내링(232)과 내측 테이퍼형 가이드(233)는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외측 안내관(213)과 내측 안내관(213) 선단부에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 천공수단(220)은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중공부(213a)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소관체(12)의 주벽 내측부에 유출공(14)을 형 성하는 칼날(221a)을 갖는 회전칼(221)과, 상기 회전칼(221)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중공부(213a)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축봉(222)과, 상기 축봉(222)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안내관(210)에는 상기 소관체(12)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240)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240)은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소관 내측 안내부(214)에 길이방향으로 냉각수 통로(241)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 안내관(210)의 외측 안내관(212)과 소관 내측 안내부(214)를 연결하는 연결부(214a)에는 유입구(241a)와 유출구(241b)가 상기 냉각수 통로(24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KR1020060132585A 2006-12-22 2006-12-22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KR10080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585A KR100804379B1 (ko) 2006-12-22 2006-12-22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585A KR100804379B1 (ko) 2006-12-22 2006-12-22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379B1 true KR100804379B1 (ko) 2008-02-15

Family

ID=3934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585A KR100804379B1 (ko) 2006-12-22 2006-12-22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3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662Y1 (ko) * 1991-01-22 1993-06-21 이주형 지중매설용 유공 배수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662Y1 (ko) * 1991-01-22 1993-06-21 이주형 지중매설용 유공 배수관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6553C (zh) 用于滴灌管的喷射器、滴灌管及其生产方法和挤出设备
CN108274718B (zh) 一种吸管的自动化高效生产设备
CN112318187A (zh) 一种防止碎屑飞溅的打孔装置
KR100804379B1 (ko) 지하수 집배수관의 소관체 천공장치
CN106393233A (zh) 塑料泡沫打孔装置
KR100454590B1 (ko) 유공관의 천공장치
KR101089884B1 (ko) 유공관과 그 제조 방법
CN103568263A (zh) 双平壁螺旋中空结构壁管的制造装置
US7270532B2 (en) Skimmer tab former
KR100539686B1 (ko) 비대칭 천공 주름 나선 유공 관
KR100590824B1 (ko)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의 제조방법과 장치
CN202480144U (zh) 一种用于复卷分切机的薄膜废边自动收集装置
KR100703634B1 (ko) 형상변형 방지용 보강 홈을 가진 비대칭 나선형 주름 유공 배수관 코로게이트 성형 제조공법
KR200349619Y1 (ko)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 및 그 제조장치
KR200351329Y1 (ko) 나선형 유공관 성형기
KR100556070B1 (ko)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KR200415327Y1 (ko) 형상 변형 방지용 나선 보강 홈을 가진 비대칭 나선형 주름유공관 및 다중 분할 금형(코로게이트 성형방법) 제조공법
KR200382593Y1 (ko) 연약지반 탈수용 합성수지재 2단주름관의 탈수구멍뚫음장치 및 연약지반탈수용 합성수지재 2단유공주름관
KR100306896B1 (ko) 이중벽체나선관성형장치
KR200420789Y1 (ko) 자체 회전에 의한 유공관 천공장치(천공뭉치)
KR102552898B1 (ko) 돌출부와 날개를 갖는 프로파일을 이용한 강성 향상형 후렉시블 유공관과 그 성형장치
JPS5845337B2 (ja) 暗渠排水管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0324904Y1 (ko) 나선형 유공관 성형기
KR100708395B1 (ko) 합성수지재 유공관 및 이 유공관 성형장치
CN220763616U (zh) 一种便于废料收集的排水管制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