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571B1 -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571B1
KR100801571B1 KR1020070104430A KR20070104430A KR100801571B1 KR 100801571 B1 KR100801571 B1 KR 100801571B1 KR 1020070104430 A KR1020070104430 A KR 1020070104430A KR 20070104430 A KR20070104430 A KR 20070104430A KR 100801571 B1 KR100801571 B1 KR 10080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auge
lower plate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951A (ko
Inventor
전봉희
Original Assignee
웅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웅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7010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57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으로 인한 파손위험성도 없고, 교량 설치된 시점에는 게이지의 중심이 반드시 하부 프레이트 또는 탄성 완충장치의 중심과 일치하게 하며, 설치 및 수정, 관측이 용이한 교량 받침용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받침 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상부구조(1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10); 교량의 하부 구조(1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20);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서 하부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11)의 압축 하중을 흡수하는 탄성 완충 장치(130); 상부구조(11)의 교량 방향의 신축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1)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장치(160);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 또는 탄성 완충장치(130)에서 연장되어 하부 플레이트(120)의 측면 중간 지점을 나타내는 지시침(300); 외측면에 척도가 인쇄되고, 상기 지시침(300)이 상기 인쇄된 척도의 중심 지점을 가리키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측면 금속 부분에 부착되는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교량설치시의 마지막 단계에서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의 중심점이 지시침에 오도록 부착하면 되므로, 상부구조에 상부 플레 이트를 부착하기 위한 용접시의 게이지의 파손을 방지하고, 교량설치시의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오프세트가 전혀 없도록 게이지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교량, 받침장치, 게이지, 플라스틱 자석, 지시침

Description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Bridge Support Apparatus Having Plastic Magnet Gauge}
본 발명은 교량용 받침 장치의 이동량을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받침장치의 설치시에 간편하게 설치하고 추후 이동량 계측시에도 용이하게 관측이 가능하게 하는 교량 받침 장치용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도1에서와 같이, 교량 받침 장치(100)는, 교량의 상부구조(11)와 하부구조(12)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부구조(11)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구조(12)에 충격 없이 전달하고 지진, 바람, 온도 변화 등에 안전하게 적응하도록 하는 중간 윤활작용을 한다.
그래서 교량 받침장치(100)는 교량하중에 적응하고 신축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교량의 변위를 교각이나 교대에 직접 전달하지 않게 하게 위하여 도2에서와 같이 탄성 완충장치(130)를 가지고 있으며, 온도변화, 건조수축, 통과 차량 등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구조(11)의 교량 방향의 신축에 따른 미끄럼 신축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장치(160)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구조(11)는 온도변화, 건조수축, 통과 차량 등에 따라서 교량 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이 상부구조(11)에 고정되는 금속성 상부 플레이트(110)가 이 슬라이딩 장치(160)의 가이드에 따라 교량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된다.
그런데, 교량의 안전 점검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이러한 슬라이딩 정도(이동량)를 측정하여, 과도한 정도로 이동량이 많거나 과도한 진행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관측되면 교량의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리나 교체를 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서는 도3에서와 같이, 교량 받침 장치(100)를 제작시에 교량 받침 장치(100)의 금속성 상부 플레이트(110)의 측면에 나사용 천공을 하여 플라스틱 게이지(150)를 나사(140)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프라스틱 게이지(150)는 상부 구조(11)와 상부 플레이트(110)를 용접시켜 고정하려 할 때에, 용접 열과 불꽃으로 인하여 녹아버리기 쉬워서, 용점시 파손되는 플라스틱 게이지(150)는 용접 후에 나사(140)를 풀고 교체를 해야 한다. 또한, 장시간이 경과하면 나사(140)를 위한 천공구멍에 습기가 침투하여 상부 플레이트(110)를 부식시켜서 결과적으로 상부 플레이트(110)의 강도를 약화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나사용 천공은 도3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게이지(150)가 상부 플레이트(110)의 중심에 오도록 천공되기 때문에, 교량 설치시에 상부 플레이트(110)의 중심과 하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게이지(150)의 중심, 즉 상부 플레이트(110)의 중심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에 위 치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교량 설치시의 오차, 예를들면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부 구조(11)에 용접/모르타르 고정시의 오차 또는 하부구조(12)의 모르타르 몰딩시의 오차로 인하여 교량 설치 후에는 프라스틱 게이지(150)의 중심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중심 또는 탄성 완충장치(130)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고 수mm 이상, 심지에서는 10mm 이상 일치하지 않는 오프세트 값이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교량 설치시부터 프라스틱 게이지(150)의 중심이 하부 프레이트(120) 또는 탄성 완충장치(130)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게 오프세트 값이 존재하게 설치되고, 이 교량설치시의 오프세트 값이 정확히 기록되고 유지되지 않는다면 추후 유지 보수를 위한 점검시에는 정확한 교량의 슬라이딩 정도(이동량)을 파악하지 못하여 적절한 유지보수를 수행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고, 때로는 당초의 오프 세트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중심에 일치하게 되면 실제적으로는 이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동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심각한 위험 상황에 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용접으로 인한 파손도 방지하고, 교량 설치된 시점에는 반드시 게이지(150)의 중심이 하부 플레이트(120) 또는 탄성 완충장치(130)의 중심과 일치하게 하는 편리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에는 이 게이지(150)에서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관측자가 이동량을 관측하도록 교량의 난간쪽으로 관측자 접근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각 게이지의 측정시간이 상당히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용접으로 인한 파손위험성도 없고, 교량 설치된 시점에는 반드시 게이지의 중심이 하부 프레이트 또는 탄성 완충장치의 중심과 일치하게 하며, 설치 및 수정, 관측이 용이한 교량 받침용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받침 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상부구조(1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10); 교량의 하부 구조(1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20);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서 하부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11)의 압축 하중을 흡수하는 탄성 완충 장치(130); 상부구조(11)의 교량 방향의 신축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1)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장치(160);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 또는 탄성 완충장치(130)에서 연장되어 하부 플레이트(120)의 측면 중간 지점을 나타내는 지시침(300); 외측면에 척도가 인쇄되고, 상기 지시침(300)이 상기 인쇄된 척도의 중심 지점을 가리키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측면 금속 부분에 부착되는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교량설치시의 마지막 단계에서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의 중심점이 지시침에 오도록 부착하면 되므로, 상부구조에 상부 플레이트를 부착하기 위한 용접시의 게이지의 파손을 방지하고, 교량설치시의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오프세트가 전혀 없도록 게이지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게이지에 척도를 인접 부분과 구별되는 색상의 칼라띠 형식으로 인쇄하면 원격지에서도 이동량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교량 받침용 게이지(200)는 도4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자석 형태이고 하나의 면에 게이지용 척도 인쇄가 나타나 있고 , 도5에서와 같이 탄성 완충장치(130)의 중심(하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에 고정되어 돌출된 지시침(300)이 설치된다.
여기서 도4의 상부 도면에서는 일반적인 눈금 방식의 척도가 인쇄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4의 하부 도면에서는 원거리 인식이 용이한 새로운 눈금 방식의 척도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도5에서는 지시침(300)이 탄성 완충 장치(130)에서 연장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장치(160)가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의 점선 부분에 교량방향으로 형성된 요철홈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종래기술인 제2도와 같은 구조에서는 하부 플레이트(120)의 측면에서 지시침(300)이 연장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러한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200)를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교량 받침 장치(100)는 도5에서와 같이 나사용 천공도 없고 게이지가 설치되지 않는 상태로 제작되고, 이렇게 제작된 교량 받침 장치(100)의 상부 플레이트(110)는 교량의 상부 구조에 용점 등으로 고정되고, 하부 플레이트(120)는 교량의 하부 구조에 고정된다.
이때에 상기에서 언급한 설치시의 오프세트로 인하여 상부 플레이트(110)의 중심은 하부 플레이트(120)(또는 탄성 완충장치(130))의 중심과 일반적으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제, 작업자는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프라스틱 자석 게이지(200)의 중심(0인 지점)이 지시침(30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도6에서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20)의 측면에 이 프라스틱 자석 게이지(200)를 부착하면 자석 성질에 의해 금속성의 상부 플레이트(120)에 반영구적으로 부착되게 된다.
이때, 이러한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200)의 자성은 바람직하게는 교량의 수명(수십년) 동안 금속성의 상부 플레이트(110)의 측면의 부착위치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자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필요시에는 플라스틱 자석 게이 지(200)의 제작시에 강자성체 자석(예를들면, NdFe계열 자석)의 분말을 혼합하거나 강자석체 자석들을 프라스틱 자석(20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유지 보수를 위한 점검시에 mm 단위의 정밀한 계측이 불필요하고 cm단위의 계측만으로도 충분한 경우에는, 교량 받침장치(100)에 근접하지 않고도 계측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그래서, 수십 미터 떨어진 위치에서도 필요하면 조명을 비추면서 망원경 등으로 관측하더라도 이동량이 cm단위로 관측이 가능한 프라스틱 자석 게이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프라스틱 자석 게이지(200)는 도4의 하단도면과 유사한 방식으로 매 cm마다 인접 부분과 명확히 구별되는 칼라띠(바람직하게는 야광 칼라띠)를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수십 미터 떨어진 위치에서 조명을 비추면서 망원경 등으로 이 칼라띠를 관측하면 지시침(300)이 위치하는 특정 띠의 색깔만 알아내면 이동량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200)의 상부 플레이트(120)와의 접촉면에 스틱커 방식으로 접착면을 형성하면 좀 더 부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은 교량 받침 장치가 설치된 일반적인 교량을 도시함.
도2는 일반적인 교량 받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함.
도3은 종래기술에서 이동량 측정 게이지가 설치된 교량 받침 장치를 도시함.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들을 도시함.
도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시침이 설치된 교량 받침 장치를 도시함.
도6는 도5의 지시침이 설치된 교량 받침 장치에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를 부착한 것을 도시함.

Claims (5)

  1. 교량의 받침 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상부구조(1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10);
    교량의 하부 구조(1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20);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서 하부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11)의 압축 하중을 흡수하는 탄성 완충 장치(130);
    상부구조(11)의 교량 방향의 신축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1)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장치(160);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 또는 탄성 완충장치(130)에서 연장되어 하부 플레이트(120)의 측면 중간 지점을 나타내는 지시침(300);
    외측면에 척도가 인쇄되고, 상기 지시침(300)이 상기 인쇄된 척도의 중심 지점을 가리키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측면 금속 부분에 부착되는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200)는 강자성체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스틱 자석 게이지(200)는 강자성체 자석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스틱 자석 게이지(200)의 척도는 인접 부분과 인식력이 높은 칼라띠 형태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200)의 상부 플레이트(120)와의 접촉면에 스틱커 방식으로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장치.
KR1020070104430A 2007-10-17 2007-10-17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 KR10080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430A KR100801571B1 (ko) 2007-10-17 2007-10-17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430A KR100801571B1 (ko) 2007-10-17 2007-10-17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951A KR20070106951A (ko) 2007-11-06
KR100801571B1 true KR100801571B1 (ko) 2008-02-05

Family

ID=3906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430A KR100801571B1 (ko) 2007-10-17 2007-10-17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5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41B1 (ko) 2010-05-20 2011-05-16 산이건설 주식회사 수평이동가능한 모멘트전달교좌장치
KR102025139B1 (ko) 2018-07-03 2019-11-04 유철희 전단변형 게이지가 구비된 교량받침장치
KR102523632B1 (ko) * 2023-01-05 2023-04-19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간격조절 및 변위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전단키
KR102525039B1 (ko) * 2023-01-17 2023-04-24 주식회사 씨엔알 부반력저항 및 변위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전단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3388B (zh) * 2022-01-19 2024-01-23 福州大学 测力桥梁支座及测力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47A (ko) * 1999-10-13 2000-01-15 배석동 교량받침 신축 측정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47A (ko) * 1999-10-13 2000-01-15 배석동 교량받침 신축 측정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41B1 (ko) 2010-05-20 2011-05-16 산이건설 주식회사 수평이동가능한 모멘트전달교좌장치
KR102025139B1 (ko) 2018-07-03 2019-11-04 유철희 전단변형 게이지가 구비된 교량받침장치
KR102523632B1 (ko) * 2023-01-05 2023-04-19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간격조절 및 변위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전단키
KR102525039B1 (ko) * 2023-01-17 2023-04-24 주식회사 씨엔알 부반력저항 및 변위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전단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951A (ko) 200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571B1 (ko) 플라스틱 자석 게이지를 가진 교량 받침 장치
CN101348213B (zh) 厂房内行车滑触线安装方法
CN102240680B (zh) 轧机垂直度调整方法
KR100784985B1 (ko) 구조물 경사측정용 센서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거동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7492B1 (ko) 디지털 이동량 게이지가 적용된 교량 받침
KR102025139B1 (ko) 전단변형 게이지가 구비된 교량받침장치
WO20080186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vergence us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
CN102768003A (zh) 一种龙门加工中心滚珠丝杆与导轨平行度检验工装
KR20000000347A (ko) 교량받침 신축 측정계
JP2014227818A (ja) 構造物の水平変位計測装置
CN102889875B (zh) 一种隧道收敛变形监测用的传感系统
KR102176449B1 (ko) 안전진단시 박막자석을 이용한 휴대용 교량 받침장치 가동량 측정기
CN103528494A (zh) 一种电涡流徐变变形量测量装置
CN109751944B (zh) 隧道管片用的预埋滑槽的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203586996U (zh) 一种桥梁梁体纵向位移观测装置
CN214407460U (zh) 一种适用于不同角度的桥梁墩身测斜测量装置
CZ2006783A3 (cs) Zarízení pro merení deformací a vzájemných posuvukontrolovaných míst konstrukcí, zejména stavebních
CN208238733U (zh) 一种钢轨位移电子观测系统
CN210234985U (zh) 铁路钢轨下沉测量装置
ES2243836T3 (es) Dispositivo para el control de un mastil.
KR102478447B1 (ko) 이동량 측정기가 구비된 고무받침
JP5952641B2 (ja) 歪センサ及び歪センサシステム
CN217460119U (zh) 一种置于浮置板隔振器内测试钢轨绝对位移的工装
JPH03274410A (ja) 傾斜角センサ
KR102408223B1 (ko) 이동량 측정기가 구비된 고무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