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647B1 - 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647B1
KR100798647B1 KR1020070059016A KR20070059016A KR100798647B1 KR 100798647 B1 KR100798647 B1 KR 100798647B1 KR 1020070059016 A KR1020070059016 A KR 1020070059016A KR 20070059016 A KR20070059016 A KR 20070059016A KR 100798647 B1 KR100798647 B1 KR 10079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plate
side plate
steel pipe
e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교 탁 부
상 운 이
최승선
Original Assignee
교 탁 부
상 운 이
최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 탁 부, 상 운 이, 최승선 filed Critical 교 탁 부
Priority to KR102007005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6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6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A pile connecting device is provided to increase construction quality, to reinforce a structure and to shorten a period of construction by connecting a concrete pile and a steel pipe pile without welding. A pile connecting device(100) for connecting a steel pipe pile and a concrete pile includes a first joint unit coupled to the steel pipe pile, a second joint unit coupled to the concrete pile and a connecting plate(130) connecting the first joint unit and the second joint unit. The first joint unit includes a first side plate(112) supporting the vertical load of the steel pipe pile and having a concave portion to couple the steel pipe pile and plural first fastening holes to couple fastening members(136) such as bolts or rivets, a first single plate(114)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coupled with the steel pipe pile and provided with a first projection, and plural stiffening plates(116) contac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teel pipe pile, the second joint unit includes a second side plate coupled to the border of a second single plate and provided with second fastening holes, a second single plate contacted and coupled to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and provided with a second projection and a mounting hole to couple the end of a stiffening member inserted to the concrete pile for flexural reinforcement, and a stiffening band(126) fixed to a joining groove retre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ide plate to the inside and provided with a rib to increase internal stress against deformation of the concrete pile and to increase coupling strength with the concrete pile, and the connecting plate includes a housing to house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to couple the first joint unit and the second joint unit strongly and plural passing holes to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holes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s to couple the fastening members, thereby to couple the steel pipe pile and the concrete pile.

Description

말뚝 이음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Pile Fittings {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

도 1의 종래의 말뚝 이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Side view of a conventional pile joint of FIG.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f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말뚝 이음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le fitting of FIG.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측단면도;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2;

도 5는 도 2의 말뚝 이음장치가 말뚝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le fitting of Figure 2 coupled to the pile.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를 말뚝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6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pile j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il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joi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말뚝 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le joint of FIG. 7;

도 9는 도 7의 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측단면도;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7;

도 10은 도 7의 말뚝 이음장치가 말뚝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le fitting of Figure 7 is coupled to the pile;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를 말뚝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11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pile joi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il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0: 말뚝 이음장치 110: 제1 조인트부100: pile joint 110: the first joint portion

112: 제1 측판 112a: 오목부112: first side plate 112a: recessed portion

112b: 제1 체결홀 114: 제1 단판112b: first fastening hole 114: first end plate

114a: 제1 돌출부 116: 보강판114a: first protrusion 116: reinforcing plate

120: 제2 조인트부 122: 제2 측판120: second joint portion 122: second side plate

122a: 제2 체결홀 122b: 접속홈122a: second fastening hole 122b: connection groove

124: 제2 단판 124a: 제2돌출부124: second end plate 124a: second projection

126: 보강밴드 126a: 리브126: reinforcing band 126a: rib

130: 연결판 132: 수용부130: connecting plate 132: receiving portion

200: 말뚝 이음장치 210: 제1 조인트부200: pile fitting device 210: first joint portion

212: 제1 측판 212a: 제1 오목부212: first side plate 212a: first recessed portion

212b: 제1 체결홀 214: 제1 단판212b: first fastening hole 214: first end plate

214a: 제1 돌출부 216: 제1 보강판214a: first protrusion 216: first reinforcing plate

220: 제2 조인트부 222: 제2 측판220: second joint portion 222: second side plate

222a: 제2 오목부 222b: 제2 체결홀222a: second recess 222b: second fastening hole

224: 제2 단판 224a: 제1 돌출부224: second end plate 224a: first protrusion

226: 제2 보강판 230: 연결판226: second reinforcing plate 230: connecting plate

232: 수용부 234: 통과홀232: receiving portion 234: through hole

본 발명은 말뚝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목 구조물 및 상기 건축물의 기초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두 개의 말뚝을 무용접 공법으로 이음으로써, 구조를 보강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말뚝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joi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joining two piles used for foundation reinforcement of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the building by a non-welding method, a pile joint which can reinforce a structure and shorten a construction time.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지반의 상부에 소정의 상재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지반이 상재 구조물의 하중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반 조건이나 상재 구조물의 하중 조건에 대응하여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지 않는 지반을 연약지반이라 한다.In general, in order to install a predetermined floor structure on top of the ground, the ground must have sufficient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the floor structure. Soft ground is a ground that does not have sufficient bearing capacity in response to such ground conditions or load conditions of the flooring structure.

연약지반은 상재 구조물의 안정성과 침하 문제에 대한 대책이 상재 구조물 설치 이전에 마련되어야 하며, 이러한 사전 대책 중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써, 향후 예측되는 상재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층에 균등하고 안전하게 도달시키고자 선 시공하는 말뚝공법이 있다.The soft ground should be prepared b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al structure, and the countermeasures for stability and settlement of the structural material should be prepared befor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al material. There is a piling method for charity construction.

말뚝공법은 미리 공장에서 생산된 기성의 콘크리트 말뚝이나 강관 말뚝을 디젤해머 또는 유압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시공하거나, 지반을 천공한 후 매입 시공한 방법을 말한다.The pile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concrete pile or a steel pipe pile produced in a factory by hitting it with a diesel hammer or a hydraulic hammer, or by installing a drill after drilling a ground.

말뚝공법에 사용되는 말뚝의 종류는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조건과 내진설계 여부, 기타 충격응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게 되는데, 현재 건축현장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 산업규격(KS)따르면, 원심력을 응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가 78.5N/㎟(800㎏f/㎠) 이상의 프리텐션 방식에 의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이하, “콘크리트 말뚝”이라 함)이라 규 정하고 있다.The type of pile used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condition applied to the structure, seismic design, and other impact stress.In the current construction site,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are commonly used, and according to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In addi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manufactured by applying centrifugal force is defined as high-strength concrete pi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crete pile”) by a pretension method of 78.5 N / mm 2 (800 kgf / cm 2) or more.

한편, 도로 및 상기 교량 등 토목현장에서는 건축물에 비하여 하중조건이 복잡하고 다양하여 콘크리트 말뚝으로는 설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대신 강관 말뚝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 강관 말뚝에 대해서도 그 규격이 한국 산업규격(KS)에 규정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civil engineering sites such as roads and bridges, load conditions are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than buildings, and concrete piles often fail to satisfy design conditions. Instead, many steel pipe piles are used. It is prescribed in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또한 지지 지반의 깊이에 따라 시공되는 말뚝의 길이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 말뚝 및 강관 말뚝은 공장에서 기성제품으로 제작되며, 일정길이 이상의 제품은 운반이 곤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말뚝 및 강관 말뚝은 15m를 최대 길이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각종 시공현장에서는 지반조건에 따라 15m를 초과하여 수십m의 파일 길이를 요하는 경우도 잦으며, 그 일례로 르노 삼성자동차 공장이 위치한 부산의 신호공단의 경우 약 60m로 시공되기도 하였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ile can b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support ground, but concrete piles and steel pipe piles are made as ready-made products in the factory, and concrete piles and steel pipe piles are 15m because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products over a certain length. It is produced to the maximum length. However,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the pile length of more than 15m is often required depending on the ground conditions. For example, the signal complex in Busan, where Renault Samsung Motors Factory is located, has been constructed at about 60m.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시공하는 말뚝의 길이가 일정길이를 초과하는 경우2본 이상의 말뚝을 연결하여 시공하는 것은 필연적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ngth of the pile to be constructed exceeds a certain length, it is inevitable to connect two or more piles.

종래의 말뚝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말뚝을 연결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써, 콘크리트 말뚝의 경우 말뚝의 일단에 말뚝과 일체로 설치된 철제 조인트 판에 형성된 용접 홈을 이용하여 상, 하 말뚝을 맞이음 용접하는 시공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강관 말뚝의 경우 말뚝과 말뚝을 맞대어 말뚝의 단부에 형성된 용접 홈을 이용하여 상, 하 말뚝을 맞이음 용접한다.As a representative method of connecting two piles using a conventional pile joint device, in the case of concrete piles, the upper and lower piles are welded by welding the grooves formed in the steel joint plate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piles at one end of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is used. And, in the case of the steel pipe pile, butt welding the upper and lower piles by using a welding groove formed in the end of the pile to face the pile and the pile.

그런데, 상재 구조물에 의하여 말뚝에 가해지는 응력은 지표면으로부터 약 10m 이내에서 최대가 되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지지 지반까지의 깊이가 깊어서 말뚝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하는 경우에 말뚝의 아래 부분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콘크리트 말뚝으로도 충분한 내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반면, 지표면에 가까운 상부는 강관 말뚝을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내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By the way, the stress applied to the pile by the flooring structure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maximum within about 10m from the ground surface. Therefore, if the depth to the supporting ground is so long that the length of the pile is to be increased, the lower part of the pile can provide sufficient strength even with a relatively weak concrete pile, while the upper part near the ground surface is sufficient by using a steel pipe pile. Make it possible to exercise the strength.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두 개의 말뚝을 연결하기 위해 용접 이음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고, 근래에는 콘크리트 말뚝의 경우 용접 이음 외에 무용접 이음방법이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welding joint method has been used to connect two piles as described above, and recently, in the case of a concrete pile, a non-welding joint method is used in addition to a welding joint.

도 1은 무용접 이음방법을 통해 콘크리트 말뚝을 연결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pile connected by a non-welded joint method.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말뚝 이음장치(1)는 상부 말뚝(2)의 하단부에 장착하는 선단금구(10)와, 하부 말뚝(3)의 상단부에 장착하는 두부금구(20) 및 상기 선단금구(10)와 상기 두부금구(20)를 연결하는 연결구(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pile fitting device 1 includes a front end bracket 10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le 2, a head bracket 20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le 3, and the front end. It includes a connector 30 for connecting the bracket 10 and the tofu bracket 20.

상기 선단금구(10)는 상기 상부 말뚝(2)의 하단에 일측이 장착되는 선단단판(12)과, 상기 선단단판(12)의 일측에서 상기 선단단판(12)과 수직하게 결합하는 선단측판(14)으로 구성되며, 상기 선단단판(12)의 외주면은 제1 걸림턱(15)이 형성된다.The distal end bracket 10 has a distal end plate 12 on which one side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le 2, and a distal end plate that vertically engages with the distal end plate 12 at one side of the distal end plate 12. 14),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plate 12 is formed with a first locking step (15).

그리고, 상기 두부금구(20)는 상기 하부 말뚝(3)의 하단에 일측이 장착되는 두부단판(22)과, 상기 두부단판(22)의 일측에서 상기 두부단판(22)과 수직하게 결합하는 두부측판(2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걸림턱(15)과 유사한 제2 걸림턱(25)이 상기 두부측판(24)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And, the head bracket 20 is a head end plate 22, one side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lower pile (3), and the head to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head end plate 22 at one side of the head end plate 22 Consists of the side plate 24, the second locking step 25 similar to the first locking step 15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side plate (24).

또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선단금구(10)와 상기 두부금구(20)의 외측 을 둘러싸고, 내측면에는 상기 제1 걸림턱(15) 및 제2 걸림턱(25)을 수용하는 걸림홈(3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30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front end bracket 10 and the head bracket 20, the inner side of the engag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irst locking jaw 15 and the second locking jaw (25) 32 is formed.

한편, 상기 선단금구(10) 및 두부금구(20)와 상기 연결구(3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두부측판(24)과 상기 연결구(30)에는 체결 부재(36)를 결합을 위해 체결홀(34)이 형성된다.Meanwhile, in order to couple the front end bracket 10, the head bracket 20, and the connector 30 to the head side plate 24 and the connector 30, a fastening member 36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36. ) Is formed.

그러나 종래의 무용접 이음은 다음과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non-welded join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는, 상부말뚝의 선단금구와 하부말뚝의 두부금구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금구의 단판 두께가 두꺼워 질 시 연결구를 두부금구의 두부측판에 밀착시킬 수 없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연결을 어렵게 만든다.First, when foreign matter gets stuck between the tip bracket of the upper pile and the head bracket of the lower pile or when the end plate thickness of the bracket becomes thick, the connector cannot be closely attached to the head side plate of the head bracket, making it difficult to connect the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

둘째는, 상부말뚝의 선단금구와 하부말뚝의 두부금구의 두부단판이 얇아질 시 연결구의 조임효과가 없어져 연결구와 단판들의 구속력이 저하되어 이음부의 접합 품질이 떨어진다.Second, when the head end plate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pile and the head end of the lower pile becomes thinner, the tightening effect of the connector is lost, and the binding quality of the connector and the end plate is reduced, resulting in poor joint quality.

셋째는, 종래의 말뚝 이음장치는 두 개의 강관 말뚝을 연결할 수 없어 사용상의 제약이 따른다.Third, the conventional pile joints can not be connected to the two steel pipe piles are subject to restrictions on use.

따라서, 상기 종래의 말뚝 이음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강관 말뚝을 무용접으로 이을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Therefore, it is time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ile joint device, as well as the steel pipe pile by weld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무용접 이음장치보다 시공품질이 향상되며, 구조가 보강된 말뚝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improve the construction quality than the conventional non-welded joint apparatus, to provide a pile joint apparatus reinforced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말뚝과 강관 말뚝을 무용접 공법으로 이을 수 있는 말뚝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e join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ncrete pile and the steel pipe pile by a non-welding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강관 말뚝을 무용접 공법으로 이을 수 있는 말뚝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e fitting device that can connect two steel pipe piles by a non-welding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말뚝 이음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두 개의 말뚝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측판, 단판 및 상기 보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ile jo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nnecting two pile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pecifically comprising a side plate, end plate and the reinforcement plate.

상기 측판은 일측이 상기 말뚝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외면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판은 상기 측판의 타측에서 상기 측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측판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판 및 상기 단판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The side plate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le to support the load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er surface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The end plate may be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plate at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The reinforcement plate may be provided inside the side plate, and configured to contact the side plate and the end plate to reinforce the structure.

상기 측판의 외측 일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말뚝의 내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오목부의 상측과 상기 말뚝의 내면은 용접 공법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e outer portion of the side plate is formed with a recess recessed inward may be fit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e. The upper side of the reces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il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welding method.

그리고, 상기 보강판의 외측면은 상기 측판과, 상기 측판에 연결된 상기 말뚝의 내면 일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은 상기 측판과, 상기 단판 및 상기 말뚝의 내면 일부와 일체가 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용접 공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lat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plate and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pile connected to the side plate. The reinforcement plate may be coupled to be integral with the side plate, the end plate and the inner portion of the pile, it may be coupled through a welding method.

이러한 상기 보강판의 측면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보강판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각각의 상기 보강판은 상기 말뚝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side shape of the reinforcing plate may have a shape of at least one of a triangle, a quadrangle or a circle,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nd shapes for reinforcing th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ment plate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each of the reinforcement plate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le.

또한, 상기 단판의 원주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단판과 상기 측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late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in the outward direction. In addition, the end plate and the side plate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측판에서 상기 오목부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말뚝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말뚝이 상기 오목부에 결합시 말뚝의 외면과 상기 측판의 외면 사이에 단차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cessed depth of the recess in the side plate is preferab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pile, so that when the pile is coupled to the recess there is no ste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i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그리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측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상기 체결홀의 간격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좋다.And,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where the spacing of each of the fastening holes is preferably maintained the same.

본 발명의 말뚝 이음장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판, 측판 및 상기 보강판은 상하 방향으로 각각 구성되어 서로 대칭관계를 이룬다.The pile jo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a pair and symmetrical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end plate, the side plate and the reinforcing plate are respectively configu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symmetr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말뚝 이음장치는 한 쌍의 상기 단판 및 상기 측판을 외측에서 감싸며, 상기 측판에 형성된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통과홀이 형성된 연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은 복수 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le coupl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late surrounding the pair of end plates and the side plate from the outside, and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ide plate. Here, the connecting plate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본 발명의 상기 말뚝 이음장치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상기 말뚝은 강관 말 뚝일 수 있다.The pil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il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teel pipe pile.

또한, 본 발명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말뚝과 제2 말뚝을 연결하는 말뚝 이음장치는 일측이 상기 제1 말뚝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 하중을 지지하며, 원주면에 체결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의 타측에서 상기 측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단판, 상기 제1 측판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1 단판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구조를 보강하는 보강판, 일측에 상기 제2 말뚝의 일단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제2 단판, 상기 제2 단판의 타측에 상기 제2 단판의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고, 원주상에 체결부재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과, 상기 제1 단판 및 상기 제2 단판을 외측에서 감싸며,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구비된 체결홀에 대응된 통과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말뚝과 상기 제2 말뚝을 결합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ile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first pile and the second pil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pile to support the vertical load,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 first en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to be formed, a first end plate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plate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provided inside the first side plate, wherein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first side plate are provided. A reinforcing plat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nd plate to reinforce the structure, a second end pl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pile in contact with one end,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nd plate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end plate, and Fastening provided on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surrounding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first end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column. In the hall The eungdoen through holes are formed is configured by a connecting plate coupling the second pile to the first pile by a fastening member.

상기 제2 말뚝은 휨 보강을 위해 내부에 보강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제2 단판에는 상기 보강부재가 관통되어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ile has a reinforcing member embedded therein for bending reinforcement, and the second end plate may have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mounted.

그리고, 상기 제1 단판 및 상기 제2 단판의 원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판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end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in the outward direction, respectively. Correspondingly,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이러한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1 단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측판과 상기 제2 단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ide plate and the first end plate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may be integrally formed.

한편, 상기 제 2 측판에는 상기 제2 말뚝의 외측면을 일부 감싸는 보강밴 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밴드의 내면에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ide plate may be a reinforcing band may be formed to partially wrap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ile, a rib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nd.

여기서, 상기 제1 말뚝은 강관 말뚝이며, 상기 제2 말뚝은 콘크리트 말뚝일 수 있다.Here, the first pile may be a steel pipe pile, and the second pile may be a concrete pile.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상기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말뚝의 단면은 원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이나, 그 모양이나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사각형, 사다리꼴 형,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과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pile is general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but the shape or shape thereof is not limited, and in addition,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forms such as square, trapezoidal shape, and oval shap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말뚝 이음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말뚝 이음장치가 말뚝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한편, 제1 실시예서의 말뚝 이음장치는 하나의 콘크리트 말뚝과 다른 하나의 강관 말뚝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2 to 5, the configuration of the pile j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joi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joint of Figure 2, Figure 4 is cut along the line AA 'of Figure 2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le fitting of Figure 2 is coupled to the pile. On the other hand, the pile fit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connect one concrete pile and the other steel pipe pile.

본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100)는 강관 말뚝(50)과 콘크리트 말뚝(60)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강관 말뚝(50)에 결합하는 제1 조인트부(110),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에 결합하는 제2 조인트부(120) 및 상기 제1 조인트부(110) 와 상기 제2 조인트부(120)를 연결하는 연결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ile f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evice for connecting the steel pipe pile 50 and the concrete pile 60, and the first joint part 110 coupled to the steel pipe pile 50, the concrete pile ( It comprises a second joint portion 120 to be coupled to the 60 and the connecting plate 130 for connecting the first joint portion 110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120.

상기 제1 조인트부(110)는 제1 측판(112), 제1 단판(114) 및 상기 보강판(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측판(112)의 상면에는 상기 강관 말뚝(50)의 하단이 위치하고, 상기 제1 측판(112)에는 상기 강관 말뚝(50)의 자체 하중 및 상기 강관 말뚝(5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작용한다.The first joint part 110 includes a first side plate 112, a first end plate 114, and the reinforcement plate 116. A lower end of the steel pipe pile 50 i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a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steel pipe pile 50 and its own load to the first side plate 112. This works.

이러한 상기 제1 측판(112)은 상기 강관 말뚝(50)의 단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서는 원통형의 상기 강관 말뚝(50)에 대응되어 상기 제1 측판(112)도 원통형 모양으로 형성된다.The first side plate 11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pipe pile 50,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ing to the steel pipe pile 50 of the cylindrical shape, the first side plate 112 also has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상기 제1 측판(112)에는 상기 강관 말뚝(50)을 결합하기 위한 외주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1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측판(112)에서 상기 오목부(112a)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상기 강관 말뚝(50)과 상기 제1 측판(112) 사이의 결합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목부(112a)가 차지하는 부분이 클수록 상기 제1 측판(112)과 상기 강관 말뚝(50)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므로 접착력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The first side plate 112 is formed with a recess 112a in which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coupling the steel pipe pile 50 is recessed inward. The amount of coupling force between the steel pipe pile 50 and the first side plate 112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ratio of the recess 112a in the first side plate 112. For example, the larger the portion occupied by the concave portion 112a, the greate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steel pipe pile 50, and thus the greater the adhesive force.

이러한 상기 오목부(112a)의 외면과 상기 강관 말뚝(50)의 내면은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목부(112a)의 함몰 깊이는 상기 강관 말뚝(50)이 상기 오목부(112a)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강관 말뚝(50)의 외면이 상기 제1 측판(112)의 외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즉 상기 강관 말뚝(50)의 외면과 상기 제1 측판(112)의 외면 사이에 서로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surface of the recess 112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50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each other. At this time,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recess 112a is the sam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50 in a state where the steel pipe pile 50 is in contact with the recess 112a. In order to be located at, ie, the ste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5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is preferably set so as not to occur.

여기서, 상기 제1 측판(112)과 상기 강관 말뚝(50)을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강관 말뚝(50)을 상기 오목부(112a)에 끼운 후 상기 오목부(112a)의 외면과 상기 강관 말뚝(50)의 내면을 용접한다.Here, as a method of coupling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steel pipe pile 50, the steel pipe pile 50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12a and the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ss 112a and the steel pipe pile. The inner surface of 50 is welded.

한편, 상기 제1 측판(112)의 외면에는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부재(136)가 결합되기 위한 구멍인, 제1 체결홀(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체결홀(112b)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측판(112)의 외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the first fastening hole 112b, which is a hole for coupling the fastening member 136, such as bolts or rivets may be formed. The first fastening holes 112b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and the first fastening holes 112b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상기 제1 단판(114)은 중공형의 얇은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강관 말뚝(50)이 결합된 상기 제1 측판(112)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측판(112)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rst end plate 114 is formed in a hollow thin plate shape,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plate 112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to which the steel pipe pile 50 is coupled. do.

상기 제1 단판(114)은 그 원주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114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돌출부(114a)의 단면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이외에도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아치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end plate 114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14a protruding outward.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14a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 rectangular, or arch.

상기 제1 단판(114)과 상기 제1 측판(11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용접 이음을 통해 형성되거나, 주조 및 단조 등을 통해 한번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first side plate 112 may be integrally formed. Specifically, 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first side plate 112 may be formed through welding joints, or may be formed at once through casting and forging.

한편, 상기 제1 단판(114)과 상기 제1 측판(112)이 결합된 후, 상기 제1 측판(112)의 외면과 상기 제1 단판(114)의 외면은 단차가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first side plate 112 is coup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nd plate 114 is configured so that there is no step. .

상기 보강판(116)의 외측면은 상기 제1 측판(112) 및 상기 제1 측판(112)에 연결된 상기 강관 말뚝(50)의 내면 일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판(116)은 상기 제1 측판(112)과 상기 강관 말뚝(5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측판(112)의 내면과 및 상기 강관 말뚝(50)의 내면과 서로 접촉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116)의 하면은 상기 제1 단판(114)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보강판(116)의 상면은 상기 제1 측판(112)의 상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6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50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first side plate 112. That is, the reinforcing plate 116 is located inside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steel pipe pile 50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50. Are combined.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6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6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여기서, 상기 보강판(116)이 상기 제1 측판(112)의 상면을 접촉하면서 상기 강관 말뚝(50)의 내면과 접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측판(112)의 상면에 오는 상기 보강판(116)의 외면은 상기 오목부(112a)의 외면과 단차가 없도록 형성된다.Here, in order for the reinforcement plate 116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50 while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the reinforcement plate 116 com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2. ) Is formed such that there is no step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ss 112a.

이러한 상기 보강판(116)의 측면 형상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ide shape of the reinforcing plate 116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addition to that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square, round.

상기 보강판(116)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강관 말뚝(50)의 내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이러한 상기 보강판(116)이 8 개로 구성되나, 그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조인트부(110)의 구조 보강, 시공시간 및 상기 시공단가를 고려하여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The reinforcing plate 116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50). In the drawing, the reinforcing plate 116 is composed of eight,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and may be arranged in various numbers in consideration of structural reinforcement, construc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 of the first joint part 110. There will be.

상기 제2 조인트부(120)는 제2 측판(122), 제2 단판(124) 및 보강밴드(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joint part 120 includes a second side plate 122, a second end plate 124, and a reinforcing band 126.

상기 제2 단판(124)은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의 상면에 접촉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의 내부에는 휨 보강을 위해 길이방향 으로 길게 형성된 보강부재(62)가 삽입된다. 상기 보강부재(62)는 PC 강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PC 강재는 인장강도, 연성 및 인성이 크며,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가 양호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end plate 124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pile 60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60 is coupled. Here, the reinforcing member 62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concrete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pile (60). The reinforcing member 62 may be used as a PC steel, the PC steel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ensile strength, ductility and toughness, good adhesion strength with concrete.

그리고, 상기 제2 단판(124)에는 상기 보강부재(62)의 단부가 결합되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홀(124b)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62 is coupled to the second end plate 124, and a mounting hole 124b is formed.

상기 제2 측판(122)은 상기 제2 단판(124)에서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이 결합된 방향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2 측판(122)은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이 결합된 후 남게 되는 상기 제2 단판(124)의 테두리부에 결합된 형태이다.The second side plate 122 is coupl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crete pile 60 is coupled to the second end plate 124. That is, the second side plate 122 is coupl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end plate 124 remaining after the concrete pile 60 is coupled.

여기서, 일반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말뚝(60)과 상기 제2 조인트부(120)의 결합은 상기 콘크리트 말뚝용 제조몰드에 상기 제2 측판(122), 제2 단판(124) 및 보강 밴드(126)로 구성된 상기 제2 조인트부(120)를 배치하고, 상기 보강부재(62)의 단부를 상기 제2 단판(124)에 가공된 상기 장착홀(124b)에 삽입 장착시킨 후, 상기 제조몰드의 마구리판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로 볼트를 관통시켜 상기 제2 단판(124)에 형성된 볼트 TAP에 결합 조립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상기 제2 단판(124)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의 끝단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의 측부는 상기 제2 측판(122) 및 보강밴드(126)를 제외한 부분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제조될 수 있다.Here, in general, the coupling of the concrete pile 60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120 is to the second side plate 122, the second end plate 124 and the reinforcing band 126 in the manufacturing mold for the concrete pile The second joint part 120 is arranged, the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62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24b processed in the second end plate 124, and then mounted on the curling plate of the manufacturing mold. The bolt is penetrated through the formed bolt through-hole to use the method of 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bolt TAP formed in the second end plate 124. That is, an end of the concrete pile 60 is formed by the second end plate 124, and the side portion of the concrete pile 60 is concrete at portions except the second side plate 122 and the reinforcing band 126. Can be prepared by filling.

그리고, 상기 제2단판(124)의 원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1 돌출부(114a)와 유사한 모양의 제2 돌출부(124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돌출부(114a)는 상기 제1 단판(114)의 원주면에서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124a)는 상기 제2 단판(124)의 원주면에서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단판(114)과 상기 제2 단판(124)을 접촉시 하나의 돌기부 모양을 형성한다.In addition, a second protrusion 124a having a shape similar to the first protrusion 114a is formed outwardly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end plate 124. The first protrusion 114a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second protrusion 124a is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end plate 124, thereby When 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second end plate 12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one protrusion shape.

상기 제2 측판(122)에는 상기1 측판(112)에 형성된 상기 제1 체결홀(112b)과 유사한 제2 체결홀(122a)이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다.The second side plate 122 has a second fastening hole 122a similar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12b formed in the first side plate 112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그리고, 상기 제2 측판(122)의 하부측에는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의 외면의 일부를 감싸기 위한 상기 보강밴드(126)가 결합된다.The reinforcing band 126 is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122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60.

이러한 상기 보강밴드(126)는 상기 제2 측판(122)의 하부에서 내부로 함몰된 접속홈(122b)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보강밴드(126)는 상기 제2 측판(122)과의 높은 결합력으로 상호 결합되기 위해 상기 제2 측판(122)의 상기 접속홈(122b)에 용접 결합된다.The reinforcing band 126 may be fitted into a connection groove 122b recessed i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side plate 122. The reinforcing band 126 is welded to the connection groove 122b of the second side plate 122 to be mutually coupled with a high coupling force with the second side plate 122.

상기 보강밴드(126)는 상기 큰크리트 말뚝(60)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는데, 상측은 상기 제2 측판(122)에 형성된 상기 접속홈(122b)의 외면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나머지는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다.The reinforcing band 126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arge concrete pile 60, the upper sid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groove 122b formed in the second side plate 122 and the rest It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60).

이러한 상기 보강밴드(126)는 상기 말뚝(50, 60)을 타격시 압축에 의한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의 외형의 변형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이 좋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좋으며, 일례로 철판을 사용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nd 126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using a good rigidity that can withstand deformation of the concrete pile 60 by compression when hitting the pile (50, 60), for example iron plate Can be used.

한편, 상기 콘크리트 말뚝(60)의 변형에 대한 내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상기 콘크리트 말뚝(6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보강밴드(126)의 내면에는 리브(126a)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ribs 126a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nd 126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concrete pile 60 and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pile 60.

상기 연결판(130)은 상기 제1 조인트부(110) 및 상기 제2 조인트부(120)의 외측부를 감싸며, 상기 제1 체결홀(112b) 및 상기 제2 체결홀(122a)에 대응되는 통과홀(134)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판(130)은 얇은 두께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분리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판(130)이 3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연결판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성된다.The connecting plate 130 surrounds the outer parts of the first joint part 110 and the second joint part 120 and pass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12b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2a. Holes 134 are formed. The connecting plate 1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thin thickness, it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plate 13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hree, each connecting plate is configured to the same size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연결판(130)에는 상기 제1 돌출부(114a) 및 상기 제2 돌출부(124a)를 수용할 있는 수용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2)는 상기 제1 돌출부(114a) 및 상기 제2 돌출부(124a)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조인트부(110)와 상기 제2 조인트부(120)가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late 13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art 132 for accommodating the first protrusion 114a and the second protrusion 124a. The receiving portion 13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protrusion 114a and the second protrusion 124a so that the first joint part 110 and the second joint part 120 are structurally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You can do that.

여기서, 분리된 각각의 상기 연결판(130)에는 상기 통과홀(134)이 복수 개로 배분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된 각각의 연결판에 상기 통과홀이 각각 4개씩 구성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결판(130)을 상기 제1 조인트부(110) 및 상기 제2 조인트부(12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1 체결홀(112b) 및 상기 제2 체결홀(122a)과 상기 통과홀(134)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조절해야 하며, 이후 서로 일치된 상기 홀들에 상기 체결부재(136)를 결합한다.Here, each of the separated connecting plates 130 is formed by distributing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134.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four through-holes are arranged in each of the separated connecting plates. In order to couple the connecting plate 130 to the first joint part 110 and the second joint part 120, first, the first fastening hole 112b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2a are passed through the first joint part 110 and the second joint part 120a. The centers of the holes 134 must be adjust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fastening member 136 is coupled to the holes coinciding with each other.

상기 연결판(130)의 외면은 상기 체결부재(136)를 결합 시, 상기 체결부재(136)의 체결의 용이성 및 상기 체결 후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재(136)의 머리부분이 접촉하는 면이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13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136, the head of the fastening member 136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member 136 and the phenomenon of loosening after the fastening. The surface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한편, 상기 연결판(130)을 상기 제1 조인트부(110) 및 상기 제2 조인트부(120)에 결합 시 상기 제1 체결홀(112b)과 상기 제2 체결홀(122a) 및 상기 통과홀(134)의 중심을 용이하게 맞추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단판(114) 및 상기 제2 단판(124)의 면에는 가이드 돌기(124c) 및 상기 가이드 돌기(124c)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114b)이 형성된다.Meanwhile, when the connecting plate 130 is coupled to the first joint part 110 and the second joint part 120, the first fastening hole 112b, the second fastening hole 122a, and the through hole are provided. Guide holes 114b into which guide protrusions 124c and guide protrusions 124c are inserted into surfaces of 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second end plate 124 facing each other to easily center the center 134. ) Is formed.

즉, 상기 제1 단판(114) 및 상기 제2 단판(124)의 어느 하나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124c)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24c)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114b)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24c) 및 상기 가이드 홀(114b)은 최초 설계 시 상기 제1 체결홀(112b) 및 상기 제2 체결홀(122a)의 위치를 고려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 가이드 홀(114b)은 상기 제1 단판(114) 및 상기 제2 단판(124)을 완전히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단판(114) 및 상기 제2 단판(124) 두께의 일부만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124c are formed in one of 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second end plate 124, and a guide hole 114b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124c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other of 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second end plate 124. Is formed. The guide protrusion 124c and the guide hole 114b ar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hole 112b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2a during initial design. In addition, the guide hole 114b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second end plate 124 completely, or the thickness of the first end plate 114 and the second end plate 124. It may be formed through only a part.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연결판(130)을 상기 제1 조인트부(110) 및 상기 제2 조인트부(120)를 결합할 때 상기 제1 체결홀(112b) 및 상기 제2 체결홀(122a)과 상기 통과홀(134)을 맞추기 위해 일일이 홀의 중심을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된다.In this way, when the connecting plate 130 is coupled to the first joint part 110 and the second joint part 120, the first fastening hole 112b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2a and the The hassle of having to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hole in order to fit the passage hole 134 is eliminated.

이러한 상기 체결 부재(136)는 고장력용 볼트, 와샤 등일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136 may be a high tension bolt, washer or the like.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말뚝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를 말뚝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Referring to Figure 6 describes a method for connecting two piles using the pile j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pile j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a pile.

먼저, 제2 단판과, 제2 측판 및 보강밴드로 이루어진 제2 조인트부를 콘크리트 말뚝용 제조몰드에 장착한 후 상기 제조몰드에 콘크리트를 채워 상기 제2 조 인트부가 결합된 콘크리트 말뚝을 제조한다(S10). 여기서, 상기 제2 단판, 제2 측판 및 보강밴드로 이루어진 상기 제2 조인트부는 주조, 단조 또는 용접이음을 통해 일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형성될 수 있다.First, after mounting the second joint part consisting of the second end plate,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reinforcing band in the manufacturing mold for concrete piles, and then filling the concrete in the manufacturing mold to produce a concrete pile combined with the second joint part (S10 ). Here, the second joint part consisting of the second end plate,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reinforcing band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or formed through casting, forging or welding joints.

다음, 강관 말뚝 및 상기 제1 조인트부를 제공한다(S20).Next, to provide a steel pipe pile and the first joint portion (S20).

다음, 상기 콘크리트 말뚝과 연결하기 위한 강관 말뚝에 제1 측판, 제1 단판 및 보강판으로 이루어진 제1 조인트부를 장착한다(S30). 여기서, 상기 강관 말뚝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측판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1 단판은 서로 수직한 상태를 이루며 용접 등을 통해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Next, a first joint part consisting of a first side plate, a first end plate and a reinforcement plate is mounted on the steel pipe pile for connecting with the concrete pile (S30). Here, one end side of the steel pipe pile is mounted to a reces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first end plate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may be integrally coupled through welding or the like.

다음, 상기 제1 조인트부가 결합된 상기 강관 말뚝을 상기 제2 조인트부가 장착된 콘크리트 말뚝으로 접근한다(S40). 여기서, 상기 제1 단판 및 상기 제2 단판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홀을 서로 일치시킨다.Next, the steel pipe pile coupled to the first joint portion approaches the concrete pile equipped with the second joint portion (S40). Here, the guide protrusions and the guide holes formed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first end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coincide with each other.

다음, 상기 제1 조인트부 및 상기 제2 조인트부에 연결판을 결합한다(S50). 여기서, 제1 단판 및 상기 제2 단판의 외면에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연결판에 형성된 수용부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측판과 상기 제1 측판의 원주상에는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홀과 상기 통과홀을 일치시킨 후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관통 결합한다.Next, the connecting plate is coupled to the first joint part and the second joint part (S50). Here,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end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in the outward direction are fit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first side plat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Aft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도 7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말뚝 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도 7의 말뚝 이음장치가 말뚝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서의 말뚝 이음장치의 구성요소 중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 2 실시예서의 말뚝 이음장치는 두 개의 강관 말뚝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7 to 10 will be described the pi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joi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le joint of Figure 7, Figure 9 is cut along BB 'of Figure 7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le joint of FIG. 7 is coupled to a pile.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ile joi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the pile fitting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connect two steel pipe piles.

본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200)는 제1 조인트부(210), 제2 조인트부(220) 및 상기 연결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ile fit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joint part 210, a second joint part 220, and the connecting plate 230.

여기서, 상기 제1 조인트부(210)는 제1 강관 말뚝(8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조인트부(220)는 상기 제1 강관 말뚝(80)과 연결되는 제2 강관 말뚝(70)의 일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230)은 상기 제1 조인트부(210) 및 상기 제2 조인트부(220)의 외측에서 상기 제1 강관 말뚝(80)과 상기 제2 강관 말뚝(70)을 연결한다.Here, the first joint portion 21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steel pipe pile 80, the second joint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pipe pile 80, the second steel pipe pile 70 ) Is coupled to one end. In addition, the connecting plate 230 connects the first steel pipe pile 80 and the second steel pipe pile 70 to the outside of the first joint portion 210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220.

상기 제1 조인트부(210)는 제1 측판(212) 및 상기 제1 단판(214)과, 상기 측판(212)의 내면과 상기 제1 강관 말뚝(80)의 내면에 외측면이 접하는 제1 보강판(216)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조인트부(220)는 상기 제2 측판(222) 및 상기 제2 단판(224)과, 상기 제2 측판(222)의 내면과 상기 제2 강관 말뚝(70)의 내면에 외측면이 접하는 제2 보강판(226)을 포함한다.The first joint part 210 may include a first side plate 212 and a first end plate 214, and a first side surface of which the out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212 and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ile 80. The reinforcement plate 216 is included. The second joint part 22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side plate 222 and the second end plate 224,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2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pile 70 so as to correspond thereto.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226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상기 제1 단판(214) 및 상기 제2 단판(224)의 외면에는 각각 외측방향으로 제1 돌출부(214a) 및 상기 제2 돌출부(224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230)의 내면에는 상기 제1 돌출부(214a) 및 상기 제2 돌출부(224b)의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부(232)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230)을 상기 제1 조인트부(210) 및 상기 제2 조인트부(220)에 결합할 때 상기 수용부(232)에 상기 제1 돌출부(214a) 및 상기 제2 돌출부(224a)가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강관 말뚝(80)과 상기 제2 강관 말뚝(7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First and second protrusions 214a and 224a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end plate 214 and the second end plate 224, respectively, an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plate 230. Receiving portions 232 having corresponding shapes of the first protrusion 214a and the second protrusion 224b are formed to connect the connecting plate 230 to the first joint part 210 and the second joint part 220.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pile 80 and the second steel pipe pile 70 by allowing the first protrusion 214a and the second protrusion 224a to be seated on the receiving portion 232. Can be increased.

그리고, 상기 제1 측판(212)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측판(212)의 다른 부분보다 축소된 직경을 갖는 1 오목부(212a)가 형성되어 제1 강관 말뚝(80)이 장착되고, 상기 제2 측판(222)의 하부에는 상기 제2 측판(222)의 다른 부분보다 축소된 직경을 갖는 제2 오목부(222a)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강관 말뚝(70)이 장착된다.In addition, a first concave portion 212a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of the first side plate 21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212 to mount the first steel pipe pile 80. A second concave portion 222a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of the second side plate 222 is formed below the second side plate 222 so that the second steel pipe pile 70 is mounted.

또한, 상기 제1 측판(212) 및 상기 제2 측판(222)에는 상기 연결판(230)을 결합하기 위해 제1 체결홀(212b) 및 상기 제2 체결홀(22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230)에는 상기 제1 체결홀(212b) 및 상기 제2 체결홀(222b)에 대응되어 통과홀(234)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판(230)은 상기 제1 체결홀(212b), 제2 체결홀(222b) 및 통과홀(234)의 중심을 일치신 후 결합하기 위해 체결부재(236)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first fastening hole 212b and a second fastening hole 222b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side plate 212 and the second side plate 222 to couple the connecting plate 230. The connection plate 230 has a through hole 234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212b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22b. The connecting plate 230 includes a fastening member 236 for coupling after matching the centers of the first fastening hole 212b, the second fastening hole 222b, and the through hole 234.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판(230)은3 등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분리된 각각의 연결판에는 상기 통과홀(234)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균등하게 배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된 각각의 연결판에 통과홀이 각각 4개씩 구성되어 배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plate 230 is formed to be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and each of the separated connecting plates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234 and is evenly distributed. In this embodiment, four through holes are arranged and arranged in each of the separated connecting plates.

한편, 상기 제1 보강판(216) 및 상기 제2 보강판(226)은 복수 개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서는 각각 8개씩 구성되어 상기 제1 강관 말뚝(80) 및 상기 제2 강관 말뚝(70)의 내측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216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226 is formed in plural,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eight each, the first steel pipe pile 80 and the second steel pipe pile 70 It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서는 상기 제1 보강판(216) 및 상기 제2 보강판(226) 측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조를 보강할 수 있는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삼각형 모양이나 원형 모양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216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226 side of the shape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other forms that can reinforce the structure, for example, triangular shape Of course,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the like.

상기 제1 보강판(216) 및 상기 제2 보강판(226)의 상부는 각각 상기 제1 측판(212) 및 상기 제2 측판(222)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보강판(216) 및 상기 제 2보강판(226)의 돌출된 부위가 각각 상기 제1 강관 말뚝(80) 및 상기 제2 강관 말뚝(70)의 내면과 접촉되며,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Upper portions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216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226 are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212 and the second side plate 222, respectively.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216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226 are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steel pipe pile 80 and the second steel pipe pile 70, respectively. It can be combined by welding or the like.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말뚝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를 말뚝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Referring to FIG. 11, a method of connecting two piles using a pile f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Here, Figure 11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pile joi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ile.

먼저, 강관 말뚝 및 상기 제1 조인트부를 제공한다(S100)First, to provide a steel pipe pile and the first joint portion (S100)

다음, 제1 강관 말뚝에 제1 측판, 제1 단판 및 상기 제1 보강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조인트부를 장착한다(S200). 여기서, 상기 제1 강관 말뚝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측판의 상부측에 형성된 제1 오목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은 용접 이음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first joint portion consisting of the first side plate, the first end plate and the first reinforcement plate is mounted on the first steel pipe pile (S200). Here, one end of the first steel pipe pile may be mounted to the first reces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the mounting may be made through a welding joint.

한편,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1 단판은 서로 수직한 상태를 이루며,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주조 및 단조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측판에는 체결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보강판은 상기 제1 강관 내면의 일부와 상기 제1 측판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단판의 상면에 접촉하여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first end plate form a stat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an be integrally coupled by welding or manufactured by casting and forging. In addition, a first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in the first side pl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ere, the first reinforcing plate is coupled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nd plate.

다음, 상기 제1 강관 말뚝과 연결되기 위한 제2 강관 말뚝과, 제2 조인트부를 제공한다(S300)Next, a second steel pipe pile and a second joint part for connecting with the first steel pipe pile are provided (S300).

다음, 상기 제2 강관 말뚝에 제2 측판, 제2 단판 및 상기 제2 보강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 조인트부를 장착한다(S400). 여기서, 상기 제2 강관 말뚝의 일단측은 상기 제2 측판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2 오목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은 용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측판 및 상기 제2 단판은 서로 수직한 상태를 이루며,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주조 및 단조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측판에는 체결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보강판은 상기 제2 강관 내면의 일부와 상기 제2 측판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단판의 상면에 접촉하여 결합된다.Next, the second joint part consisting of a second side plate, a second end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plate is mounted on the second steel pipe pile (S400). Here, one end side of the second steel pipe pile may be mounted to the second recessed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the mounting may be made by welding.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form a stat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an be integrally coupled through welding or manufactured by casting and forging. In addition, a second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in the second side pl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ere,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is coupled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nd plate.

다음, 상기 제1 조인트부 및 상기 제2 조인트부가 각각 장착된 상기 제1 강관 말뚝과 상기 제2 강관 말뚝을 서로 근접시킨다(S600). 여기서, 상기 제1 단판 및 상기 제2 단판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홀을 서로 일치시켜 연결판의 결합을 위한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의 위치를 조절한다.Next, the first steel pipe pile and the second steel pipe pile in which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re mounted are close to each other (S600). Here, the guide protrusion and the guide hole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the first end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for coupling the connecting plate.

다음, 상기 제1 조인트부 및 상기 제2 조인트부에 연결판을 접촉하여 결합한다(S600). 여기서 상기 제1 단판 및 상기 제2 단판의 외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연결판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에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에 대응되도록 연결판에 형성된 통과홀들의 중심을 일치시키고, 이어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결합한다.Next, the connecting plate is contacted and coupled to the first joint part and the second joint part (S600). Herein, the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end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may be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Then, the center of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to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to fasten the fastening member 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then insert the fastening member To combine.

따라서, 본 발명의 말뚝 이음장치를 통해 서로 연결된 말뚝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으며, 또한 강관 말뚝과 콘크리트 말뚝뿐만 아니라 강관 말뚝끼리도 서로 결합할 수 있어 시공이 보다 더 자유롭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tructure of the pil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ile jo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so the steel pipe piles as well as steel pipe piles and concrete pile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more free constru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Having described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it.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상기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Pil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강관 말뚝을 장착하기 위해 강관 말뚝의 일측단과 결합하는 측판과, 측판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단판 및 상기 측판, 단판 그리고 강관 말뚝 내면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보강판을 구성하여 말뚝의 이음시 구조가 보강되고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First, in order to mount the steel pipe pile, the side plat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teel pipe pile, the end plate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ide plate and the side plate, the end plate and the reinforcement plate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to form a joint when the structure of the joint It is reinforced and easy to construct.

둘째, 두 개의 말뚝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기상 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고, 시공 품질을 저하시키는 용접 방법을 사용하는 대신 무용접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기상과 같은 외부 환경의 제약을 받지 않고, 또한 시공후에도 말뚝의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by combining two piles, they are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s, and instead of using welding methods that reduce construction quality, they are not subject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weather by using a welding metho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intain the quality of.

셋째, 두 개의 말뚝을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하고 두 말뚝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two piles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so the construction is convenient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wo piles.

넷째, 강관 말뚝의 결합시 말뚝의 내측면으로 여러 개의 보강판을 배치하여 타 말뚝과의 결합을 위해 장착되는 조인트부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으며, 말뚝 결합 시에도 보다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말뚝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when joining steel pipe piles,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tructure of the joint part mounted for joining with other piles by arranging several reinforcement plates on the inner side of the pile, and connect the piles in a more structurally stable state when the piles are joined. It can be effective.

다섯째, 단판의 원주면에 연결판과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돌출부를 형성하여 연결판 결합시 볼트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Fifth, by forming a protrusion for assisting the coupling with the connecting plat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late to facilitate the fastening of the bolt when connecting the connecting plate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여섯째, 서로 다른 두 개의 강관 말뚝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말뚝과 강관 말뚝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어 시공이 폭이 보다 더 넓히는 효과가 있다.Sixth,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concrete piles and steel pipe piles as well as two different steel pipe pil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struction is wider than the width.

Claims (2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긴 강관 말뚝의 끝단부에 끼워져 상기 강관 말뚝의 수직 방향 하중을 지지하며, 외면에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된 제1측판;A first side plate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an end portion of the long steel pipe pi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a vertical load of the steel pipe pile, and having one or more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to an outer surface thereof; 상기 제1 측판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측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단판;A first end plate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plate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상기 제1 측판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1 단판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구조를 보강하는 보강판;A reinforc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first side plate and configured to contact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first end plate to reinforce a structure;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긴 콘크리트 말뚝의 일단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제2 단판;A second end pl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long concrete pi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thereof; 상기 제2 단판의 일측에 상기 제2 단판의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고, 원주상에 체결부재가 통과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된 제2 측판; 및A second side plat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end plate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end plate and having at least one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passes; And 상기 제1 단판 및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단판 및 상기 제2 측판을 외측에서 감싸며,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구비된 체결홀에 대응된 통과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강관 말뚝과 상기 콘크리트 말뚝을 결합하는 연결판;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end plate and the first side plate, the second end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from the outside, and correspond to the fastening holes provided in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Connecting plate for coupling the steel pipe pile and the concrete pile by;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말뚝 이음장치.Pile fittings configured to includ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콘크리트 말뚝은 휨 보강을 위해 내부에 보강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제2 단판에는 상기 보강부재가 관통되어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이음장치.The concrete pile is a pi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member is built in for th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the second end plate i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penetrated.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단판 및 상기 제2 단판의 원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이음장치.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end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outward direction.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연결판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이음장치.Pile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surface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연결판은 복수 개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이음장치.Pil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late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단판과 상기 제2 단판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서 어느 하나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이음장치.On one side of the first end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the one side is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and the other one of the pile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hol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 is formed .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1 단판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이음장치.And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first end plate are integrally formed.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2 측판과 상기 제2 단판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이음장치.And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second end plate are integrally formed.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 2 측판에는 상기 콘크리트 말뚝의 외측면을 일부 감싸는 보강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이음장치.The second side plate is a pile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nd is formed to partially wrap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보강밴드의 내면에는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이음장치.Pile joi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b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nd.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제2 측판에는 상기 보강밴드에 끼워지는 접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이음장치.The second side plate is a pile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groove is fitted to the reinforcing band. 삭제delete
KR1020070059016A 2007-06-15 2007-06-15 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 KR1007986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16A KR100798647B1 (en) 2007-06-15 2007-06-15 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16A KR100798647B1 (en) 2007-06-15 2007-06-15 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647B1 true KR100798647B1 (en) 2008-01-28

Family

ID=3921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016A KR100798647B1 (en) 2007-06-15 2007-06-15 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647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621B1 (en) 2008-09-19 2009-01-21 이동훈 Basement reinforcing and structure restoration method using piling appratus
CN101769011A (en) * 2010-03-09 2010-07-07 河海大学 Circular steel tube concrete column and beam node connecting structure
KR101075178B1 (en) * 2009-04-22 2011-10-21 (주)전호 Joint for connecting a Complex pile
KR101148307B1 (en) * 2011-03-10 2012-05-21 김정희 Foundation pile
KR101194382B1 (en) 2010-02-26 2012-10-24 최승선 Concrete Pile, Device of Manufactu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or the Same
KR101274380B1 (en) * 2010-07-15 2013-06-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ehavior-analysis method for mechanical joint composite pile and mechanical joint composite pile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872482B1 (en) * 2017-12-05 2018-06-28 주식회사 포유엔지니어링 non-welding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pile using pile jointer
KR102128820B1 (en) 2019-04-01 2020-07-01 김기웅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ile
KR102170104B1 (en) 2019-06-26 2020-10-27 김기웅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i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8810A (en) 1977-12-06 1979-06-23 Ujigawa Shiyouten Kk Pc pile* to which head portion steel pipe is connected* and its preparation
JPH09125376A (en) * 1995-08-28 1997-05-13 Asahi Chem Ind Co Ltd Joint structure of pile
JP2000328556A (en) 1999-05-18 2000-11-28 Asahi Kasei Kenzai Kk Joint structure for pile
KR200298689Y1 (en) 2002-09-13 2002-12-27 백규호 Coupler with hoop stress for connecting PHC piles
KR20040078957A (en) * 2003-03-05 2004-09-14 남광토건 주식회사 End Tip Apparatus for Reducing Opening Cross Section of Steel Pipe Pi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8810A (en) 1977-12-06 1979-06-23 Ujigawa Shiyouten Kk Pc pile* to which head portion steel pipe is connected* and its preparation
JPH09125376A (en) * 1995-08-28 1997-05-13 Asahi Chem Ind Co Ltd Joint structure of pile
JP2000328556A (en) 1999-05-18 2000-11-28 Asahi Kasei Kenzai Kk Joint structure for pile
KR200298689Y1 (en) 2002-09-13 2002-12-27 백규호 Coupler with hoop stress for connecting PHC piles
KR20040078957A (en) * 2003-03-05 2004-09-14 남광토건 주식회사 End Tip Apparatus for Reducing Opening Cross Section of Steel Pipe Pil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621B1 (en) 2008-09-19 2009-01-21 이동훈 Basement reinforcing and structure restoration method using piling appratus
KR101075178B1 (en) * 2009-04-22 2011-10-21 (주)전호 Joint for connecting a Complex pile
KR101194382B1 (en) 2010-02-26 2012-10-24 최승선 Concrete Pile, Device of Manufactu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or the Same
CN101769011A (en) * 2010-03-09 2010-07-07 河海大学 Circular steel tube concrete column and beam node connecting structure
KR101274380B1 (en) * 2010-07-15 2013-06-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ehavior-analysis method for mechanical joint composite pile and mechanical joint composite pile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148307B1 (en) * 2011-03-10 2012-05-21 김정희 Foundation pile
KR101872482B1 (en) * 2017-12-05 2018-06-28 주식회사 포유엔지니어링 non-welding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pile using pile jointer
KR102128820B1 (en) 2019-04-01 2020-07-01 김기웅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ile
KR102170104B1 (en) 2019-06-26 2020-10-27 김기웅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647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
KR101058540B1 (en) Development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Beam Dry Connection by Reinforced Bolt Joint
KR100546941B1 (en) A connection device to connect concrete piles
JP3284110B2 (en) Cover plate for steel pipe pile
KR101203627B1 (en) Composite pile connected inner connecting member and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23174870A (en) road structure
KR100660522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CFT column and beam setting flat bar in steel pipe
KR102069419B1 (en) Composite pile internally reinforced by steel tube
JP4771244B2 (en) Connection joint between steel pipe pile and concrete pile, connection pile structure between steel pipe pile and concrete pile, construction method of connection pile between steel pipe pile and concrete pile
KR20100052847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
KR101448145B1 (en) Column Integrated Footing
JPH07292783A (en) Connective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JP3978642B2 (en) Combined pile and girder structure
KR101773434B1 (en)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and steel File
KR200233313Y1 (en) a bolt coupling method of th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for H-pile
KR20080037436A (en) Concrete filled steel column connected interior diaphram with shear hole
JP4447632B2 (en) Beam and beam-column joint structure and method of joining the same
JP2004124495A (en) Pile head structure of prefabricated pile
KR101124203B1 (en) Pile structure
KR20160012670A (en) Rebar connecting implement and concrete embed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207194B1 (en) A joint apparatus of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KR200387926Y1 (en) Dry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Beam and Column Unit with Bolt Connector
KR20120006896U (en) Easily Assembly Composit Pile
KR20050082325A (en) Space frame truss
JP3771177B2 (en) Joining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column, and join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