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297B1 -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 Google Patents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297B1
KR100798297B1 KR1020070045023A KR20070045023A KR100798297B1 KR 100798297 B1 KR100798297 B1 KR 100798297B1 KR 1020070045023 A KR1020070045023 A KR 1020070045023A KR 20070045023 A KR20070045023 A KR 20070045023A KR 100798297 B1 KR100798297 B1 KR 10079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advertising
column structure
shock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술 나
Original Assignee
재 술 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술 나 filed Critical 재 술 나
Priority to KR1020070045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01F15/0469Covers, e.g. of ground surface around the foo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나 가로등과 같이 도로변에 설치되는 각종 기둥구조물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둥구조물은 물론 충돌을 일으킨 보행자, 운전자 및 차량 등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광고시트를 부착하여 광고매체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주변 여건과 부착되는 광고시트의 크기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고, 야간의 광고효과 향상을 위해 조명을 할 수 있는,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보호대는,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다수의 제1 조립블록(11)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구조물(2)을 중앙에 두고 지면(3)에 설치되는 받침대(10), 및 상기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싸고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제2 조립블록(21)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10) 위에 적층 조립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층의 충격흡수대(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충격흡수대(20)의 상기 제2 조립블록(21)은 확장패널(60)을 매개하여 힌지축(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서, 상기 확장패널(6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대(20)의 면부(26)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힌지축(22)의 힌지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기둥구조물(2)로 접근 할 수 있으며; 상기 면부(26)에 광고시트(4)를 탈부착하기 위한 광고시트장착구(2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Protection Guard for Impact Absorption for Use in Post Structure Having Advertisement Function}
도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충격흡수 보호대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충격흡수 보호대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받침대의 상세도,
도4와 도5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충격흡수대의 사시도와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충격흡수 보호대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충격흡수 보호대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광고시트장착구의 분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충격흡수 보호대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충격흡수 보호대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의 보호대 2: 기둥구조물 3: 지면
4: 광고시트 5: 조화 10: 받침대
10a: 홀 11: 제1 조립블록 11a: 볼트공
12: 확장패널 12a: 볼트공 13a: 볼트
13b: 너트 14: 면부 15: 표지판장착구
16: 표지판 17: 경화제충전실 17a: 경화제
17b: 투입구 17c: 경화제충전용기 20: 충격흡수대
20a: 홀 21: 제2 조립블록 22: 힌지축
22a: 축공 23: 이중벽 23a: 내부중공부
23b: 외부중공부 24: 광고시트장착구 24a: 조명장착구
24b: 조명기구 25, 25a, 25b: 걸고리 25c: 스프링
25d: 와셔 26: 면부 27: 부착방지돌기
28: 걸고리장착브래킷 28a: 지지판부 28b: 스페이서부
28c: 장착공 28d: 세팅돌기 29a: 고정판
29b: 장식판 30: 화분대 30a: 홀
31: 제3 조립블록 31a: 축공 32: 화분
33: 확장패널 33a: 축공 34: 슬롯
35: 부착방지돌기 36: 세팅홈 40: 받침판
41: 제4 조립블록 42: 테두리 43: 실링돌기
50: 고정띠 60: 확장패널 61: 축공
62: 조명장착구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나 가로등과 같이 도로변에 설치되는 각종 기둥구조물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둥구조물은 물론 충돌을 일으킨 보행자, 운전자 및 차량 등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광고시트를 부착하여 광고매체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주변 여건과 부착되는 광고시트의 크기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고, 야간의 광고효과 향상을 위해 조명을 할 수 있는,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도로변의 차도와 인도의 경계에는 전주나 가로등과 같은 각종 기둥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런 도로변 기둥구조물들은 통행하는 보행자나 차량과 충돌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기둥구조물과의 충돌이 발생할 경우 기둥구조물 자체가 손상될 수 있음은 물론, 보행자와 운전자의 부상과 차량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런 배경에서 몇몇 종류의 기둥구조물 보호대가 제안되었으며, 그 예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01560호(2004. 01. 07. 공개)의 '전주 보호용 보호대와 보호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가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560호 등을 포함한 종래 기둥구조물 보호대들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기둥구조물을 보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기 때문에 기둥구조물에 충돌한 사람이나 차량 등을 보호하는 것에는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기둥구조물에 장착된 보호대가 도로미관이 손상시키는 문제점 등도 있었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99539호(2006. 10. 12 출원)와 특허출원 제10-2006-0116600호(2006. 11. 23)를 통해, 충돌을 일으킨 보행자, 운전자 및 차량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 식물 식생을 통해 도로미관도 개선할 수 있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를 제안한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주나 가로등과 같이 도로변에 설치되는 각종 기둥구조물에 장착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둥구조물은 물론 충돌을 일으킨 보행자, 운전자 및 차량 등을 보호할 수 있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시트를 탈착식으로 다양하게 부착할 수 있어 광고매체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로의 주변 여건과 부착할 광고시트의 크기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고 야간에는 조명을 사용하여 광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둥구조물에 장착되어 충격흡수와 도로미관개선의 기능을 가지면서도, 기둥구조물에 설치된 단자함 등에의 접근성이 용이한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미관과 잘 조화될 수 있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기둥구조물의 둘레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다수의 제1 조립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구조물을 중앙에 두고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기둥구조물의 둘레를 감싸고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제2 조립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 위에 적층 조립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층의 충격흡수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충격흡수대의 상기 제2 조립블록은 확장패널을 매개하여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확장패널의 크기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대의 면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힌지축의 힌지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기둥구조물로 접근 할 수 있는,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면부에 광고시트를 탈부착하기 위한 광고시트장착구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고시트장착구는 탄성 걸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시트는 상기 걸고리에 탄성적으로 걸려 상기 면부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평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기둥구조물의 둘레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다 수의 제1 조립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구조물을 중앙에 두고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기둥구조물의 둘레를 감싸고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제2 조립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 위에 적층 조립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층의 충격흡수대, 및 상기 충격흡수대의 면부에 광고시트를 탈부착하기 위한 탄성 걸고리를 구비하는 광고시트장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시트는 상기 걸고리에 탄성적으로 걸려 상기 면부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평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고시트장착구에 부착된 상기 광고시트의 조명을 위한 조명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조명장착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보호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보호대(1)는 도로변이나 중앙분리대 등에 설치되는 전주나 가로등의 기둥구조물(2)의 하측 둘레에 설치되며, 보행자나 차량 등이 기둥구조물(2)에 충돌할 경우에 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보행자, 운전자, 차량 및 기둥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이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는,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받침대(10)와 그 위에 적층되는 다수의 충격흡수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는 기둥구조물(2)의 둘레에 다수의 충격흡수대(20)를 적층하기 위해 기둥구조물(2) 둘레의 지면(3: 도6)에 설치되는 받침용 부재로서,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받침대(10)는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싸도록 다수의 제1 조립블록(11)을 조립하여 형성하며, 형성된 받침대(10)는 기둥구조물(2)을 중앙에 두고 지면(3)에 설치된다.
도시된 구체예의 받침대(10)는 그 평면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3개의 제1 조립블록(11)을 조립함으로써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나, 예를 들어 받침대(10)의 평면 형상을, 마름모형, 정사각형, 원형 등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이나, 제1 조립블록(11)의 수를 2개 내지 4개 등으로 하는 것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조립된 받침대(10)의 중심에는 기둥구조물(2)이 수용될 수 있도록 홀(10a)이 형성된다. 상기 홀(10a)은 하나의 규격화된 충격흡수 보호대(1)를 다양한 사이즈의 여러 기둥구조물(2)에 적용할 수 있도록 큰 사이즈의 기둥구조물(2)의 직경에 대응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조립블록(11)의 상호 조립은, 예를 들어 상호 접하는 제1 조립블록(11)의 접면에 단차를 두고 단차에 형성된 볼트공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는 제1 조립블록(11)들을 직접 연결하여 받침대(10)를 형성하 지 아니하고, 확장패널(12)을 매개하여 제1 조립블록(11)을 조립함으로써, 이후에서 설명하는 확장패널(60)을 매개하여 제2 조립블록(21)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충격흡수대(20)의 사이즈에 부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받침대(10)의 사이즈를 확장패널(60)을 적용한 충격흡수대(20)의 사이즈에 맞도록 형성하면, 확장패널(12)의 적용하지 아니하고 제1 조립블록(11)만으로 받침대(10)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확장패널(12)은 판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1 조립블록(11)과 확장패널(12)에 단차를 두어 각각 볼트공(11a, 12a)을 형성하고, 여기에 볼트(13a)와 너트(13b)를 체결하여 3개의 제1 조립블록(11)과 3개의 확장패널(12)을 조립함으로써 받침대(10)를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받침대(10)의 면부(14)에는 표지판장착구(15)를 형성함으로써, 반사체 등으로 형성된 각종 표지판(16)을 탈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표지판(16)에는 광고주의 회사명 또는 로고 등이나 차량유도표시(예, <<<<<< )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의 수평유지를 위해, 받침대(10)의 코너들에는 경화제(17a)가 투입되는 경화제충전실(17)을 형성할 수 있다. 경화제충전실(17)에 충전되는 경화제(17a)는 지면(3)에 수평으로 정치된 받침대(10)를 수평상태로 견고하게 유지하여 주는 작용을 한다.
도2, 도3 및 도6에 구체예에 있어서 삼각 형상의 받침대(10)의 각 3개의 코너의 표면 아래에는 시멘트 모르타르 등과 같은 경화제(17a)가 수용될 수 있는 경 화제충전실(17)이 아래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10)의 측면에는 경화제충전실(17)로 경화제(17a)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17b)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화제충전실(17)의 내부에는 경화제충전실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경화제충전용기(17c)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화제충전실(17)의 구조에 따라, 받침대(10)를 기둥구조물(2)의 둘레에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조립한 후에, 투입구(17b)를 통해 경화제(17a)를 충전하면, 경화제충전실(17)과 경화제충전용기(17c)에 경화제(17a)가 채워지면서 지면(3)의 굴곡에 맞게 경화제충전용기(17c)가 경화제충전실(17)로부터 적정 길이 인출되면서 받침대(10)와 지면(3) 사이의 공간을 받쳐주게 되고, 이런 상태로 경화제(17a)가 경화되면 지면(3)의 경사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는 수평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충격흡수대(20)는 받침대(10) 위에 적층 조립되어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쌈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서,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충격흡수대(20)는 받침대(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이므로, 그 형상은 받침대(10)의 둘레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받침대(10)의 평면 형상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음에 따라, 충격흡수대(20)의 평면 형상도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마름모형, 정사각형, 원형 등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각각의 충격흡수대(20)는 규격화하여 상하로 적층 조립할 수 있고, 조립된 전체의 충격흡수대(20)는 소정의 높이까지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싸게 되며, 따라서 조립된 각각의 충격흡수대(20)의 중심에는 받침대(10)와 마찬가지로 기둥구조물(2)이 수용될 수 있도록 홀(20a)이 형성된다. 충격흡수대(20)의 홀(20a)도 하나의 규격화된 충격흡수 보호대(1)를 다양한 사이즈의 여러 기둥구조물(2)에 적용할 수 있도록 큰 사이즈의 기둥구조물(2)의 직경에 대응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는 기본적으로 차량 등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이므로 받침대(10)와 적층된 충격흡수대(20)들을 포함한 전체의 높이는 예를 들어 차량의 범퍼의 높이 보다 높은 1,000mm 내지 1,500mm 정도로 형성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상기 받침대(10)의 높이를 150mm로 하고 각 충격흡수대(20)의 높이를 250mm로 하고, 후술하는 화분대(30)의 높이를 150mm 정도로 경우에, 4개의 충격흡수대(20)를 적층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의 높이는 1,300mm가 될 수 있다. 적층되는 충격흡수대(20)의 수는 2개 이상 다수개로 형성하면 족하고 3-5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각각의 충격흡수대(20)는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다수의 제2 조립블록(21)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받침대(10)가 3개의 제1 조립블록(11)으로 구성됨에 따라 각 충격흡수대(20)도 3개의 제2 조립블록(2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충격흡수대(20)도 받침대(10)와 마찬가지로 마름모 등 다른 형상으로 하고 제2 조립블록(21)의 수도 달리할 수 있다.
앞서 인용한 본 발명자의 특허출원 제10-2006-0116600호의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는 인접한 제2 조립블록(21)을 직접 조립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충 격흡수 보호대(1)는 제2 조립블록(21)들을 확장패널(60)을 매개하여 조립하고 있다.
확장패널(60)은 충격흡수 보호대(1)의 설치 장소의 여건과 장착이 요구되는 광고시트(4)의 크기에 따라 충격흡수대(20)의 면부(26)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며, 제2 조립블록(21)과 확장패널(60)에 의해 형성된 충격흡수대(20)의 면부(26)의 전면에는 광고시트(4)를 탈부착하기 위한 광고시트장착구(24)가 형성되어 있다. 광고시트장착구(24)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각각의 충격흡수대(20)를 구성하는 제2 조립블록(21)과 확장패널(60)은 힌지축(22)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상호 조립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3개의 제2 조립블록(21)과 3개의 확장패널(60)은 6개의 힌지축(22)으로 조립된다. 바람직하게 이들 힌지축(22) 중에 적어도 1개는 그것에 의해 연결된 제2 조립블록(21)과 확장패널(60)의 축공(22a, 61)으로부터 제거하여 그 힌지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힌지축(22)이며, 도시된 구체예는 모든 힌지축(22)을 그 축공(22a, 6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한 예이다.
힌지축(22)에 의한 제2 조립블록(21)과 확장패널(60)의 회동 가능한 조립은, 예를 들어 상호 접하는 제2 조립블록(21)과 확장패널(60)의 접면에 단차를 두어 단차가 상하로 중첩되게 한 후 단차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축공(22a, 61)에 상기 힌지축(22)들을 삽입 장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힌지축(22)을 그 축공(22a, 61)에서 제거하고 그 양측의 제2 조립블록(21)과 확장패널(60)을 벌리게 되면,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힌지축(22) 을 중심으로 제2 조립블록(21)들과 확장패널(60)들이 회동 개방하여 기둥구조물(2)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대(20)를 기둥구조물(2)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기둥구조물(2)의 하측에 형성된 단자함 등에 접근하여 정비 등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각각의 힌지축(22)은 상하 적층되는 전체의 충격흡수대(2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단일의 힌지축이 적용되어 있으나, 각각의 충격흡수대(20) 마다 별개의 힌지축을 장착하는 것도 배제되지는 아니한다.
힌지축(22)의 하단에는 나사를 형성하여 최하단의 충격흡수대(20)의 축공(22a)에 매입된 너트(도시생량)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하고, 힌지축(22)은 그 상단에 렌치 등의 공구를 적용할 수 있도록 렌치볼트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의 사용 과정에서 단자함 등의 정비를 위해 충격흡수대(2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자함의 위치에 대응하는 힌지축(22)을 빼내어 양측의 제2 조립블록(21)과 확장패널(60)의 힌지결합상태를 해제시킨 후 양측 제2 조립블록(21)과 확장패널(60)을 벌려서 개방하면 된다.
충격흡수대(20)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2 조립블록(21)은 둘레를 이중벽(23)으로 하여 그 내부에 내부중공부(23a)가 형성된 상하 개방의 통상(筒狀)으로 형성하고, 이중벽(23)의 벽 사이에는 외부중공부(23b)를 형성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중공부(23b)에는 모래나 발포수지의 분말과 같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완충소재를 충전할 수 있다.
상하의 충격흡수대(20)는 둘레의 이중벽(23)에서 상하 끼워 맞춤하는 방법으로 적층 조립할 수 있다. 즉, 하측 충격흡수대(20)의 상단의 이중벽(23)이 상측 충격흡수대(20)의 하단의 이중벽(23) 안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전체를 조립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격흡수대(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2 조립블록(21)이 위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충격흡수대(20)의 소재(예,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가지는 자체의 탄성, 속이 빈 내부중공부(23a)의 완충작용, 및 이중벽(23)과 그 사이의 완충소재의 완충작용으로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는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충격흡수대(20)는 내부중공부(23a)가 형성된 상하 개방의 통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립된 충격흡수대(20)의 내부는 내부중공부(23a)에 의해 비어 있는 한편 그 상단은 개방된 상태가 되는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는 최상층의 충격흡수대(20)의 상부에 적층 조립되는 화분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분대(30)는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의 다수의 제3 조립블록(31)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 조립된 화분대(30)의 평면 형상은 받침대(10)와 충격흡수대(20)의 형상(예, 삼각, 마름모 등)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화분(32)을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조립된 화분대(30)의 중심에도 기둥구조물(2)이 수용될 수 있도록 홀(30a)이 형성되며, 상기 홀(30a)의 직경도 다양한 사이즈의 여러 기둥구조물(2)에 적용할 수 있도록 큰 사이즈의 기둥구조물(2)의 직경에 대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화분대(30)를 구성하는 제3 조립블록(31)은, 상호 접하는 제3 조립블록(31)의 접면에 축공이 구비된 단차를 두어 단차가 상하로 중첩되게 한 후, 단차에 형성된 축공에 제2 조립블록(21)의 조립에 사용된 상기 힌지축(22)으로 조립함으로써, 제3 조립블록(31)이 회동 및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는 제3 조립블록(31)들을 직접 조립하여 화분대(30)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확장패널(33)을 매개하여 화분대(30)를 형성함으로써, 확장패널(60)을 사용한 충격흡수대(20)의 사이즈에 부합하도록 하고 있으나, 처음부터 화분대(30)의 사이즈를 확장패널(60)을 적용한 충격흡수대(20)의 사이즈에 맞도록 형성하면, 확장패널(33)의 적용하지 아니하고 제3 조립블록(31)만으로 화분대(30)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확장패널(33)은 판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3 조립블록(31)과 확장패널(33)에 각각 단차를 두어 축공(31a, 33a)을 형성하고, 축공(31a, 33a)에 상기 힌지축(22)을 삽입하여 제3 조립블록(31)과 확장패널(33)을 회동 및 개방 가능하게 조립하고 있다. 즉, 도시된 구체예는 적층된 다수의 충격흡수대(20)와 화분대(30)는 최하층의 충격흡수대(20)로부터 화분대(30)의 상측까지 길게 신장된 6개의 힌지축(22)에 의해 조립되어 충격흡수대(20)와 화분대(30) 모두가 회동 및 개방 가능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하나의 힌지축(22)을 그 축공(31a, 33a)에서 제거하고 그 양측의 제3 조립블록(31)과 확장패널(33)을 벌리게 되면,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제3 조립블록(31)들과 확장패널(33)도 회동 개방되어 기둥구조물(2)에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분대(30)를 개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은 충격흡수대(20)의 개방에 연동하여 화분대(30)도 개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화분대(30)의 상단 둘레를 따라서는 슬롯(34)을 형성함으로써, 도1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4)에 각종 조화(5)를 삽입하여 장식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조화(5)는 슬로(34)에 삽입되는 고정대(34a)에 심어서 삽입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분대(30) 아래에 위치하는 충격흡수대(20)의 내부중공부(23a)에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부를 형성하고, 화분대(30)와 저수부 사이에 삼투압에 의해 저수부의 물을 화분대에 공급하는 심지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에 화분대(30)가 적용됨으로써 도로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부에 자연적으로 저장되는 우수를 심지를 통해 지속적으로 화분대(30)에 급수할 수 있으므로 화분 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충격흡수대(20)는 받침대(10) 위에 바로 적층할 수도 있지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40)을 매개하여 적층할 수 있다. 받침판(40)은 받침대(10)와 최하단의 충격흡수대(20)의 사이에 적층되어 충격흡수대(20)를 받침대(10)에 정치시키는 작용을 한다.
받침판(40)은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배치되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의 다수의 제4 조립블록(41)으로 구성되고, 받침판(40)의 평면 형상도 받침대(10)와 충격흡수대(20)의 형상(예, 삼각, 마름모 등)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받침판(40)도 충격흡수대(20) 등과 같이 제4 조립블록(41)과 별도의 확장패널을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지만, 받침판(40)은 그 위에 적층되는 충격흡수대(20)의 제2 조립블록(21)의 저면에 끼워 맞춤된 상태로 제1 조립블록(11)과 제2 조립블록(21) 사이에 조립되면 족하므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조립블록(41)은 확장패널 없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제1 조립블록(11)과 제2 조립블록(21) 사이에 적층할 수 있다.
도시된 제4 조립블록(41)에는 테두리(42)와 실링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42)는 충격흡수대(20)의 저면이 끼워 맞춤되어 충격흡수대(20)가 이탈되지 않게 정치시키는 구조이고, 실링돌기(43)는 그 위에 적층된 충격흡수대(20)의 외부중공부(23b)의 최하단을 밀폐시킴으로써 충전된 완충소재가 흘러나가기 않도록 하는 구조이며, 따라서 충격흡수대(20)와 함께 받침판(40)이 개방되므로 충격흡수대(20)를 개방하여도 완충소재가 흘러나가지 않게 된다.
도로변은 사람과 차량의 통행량이 많아 도로변 기둥구조물(2)에 광고전단을 부착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광고효과가 기대되지만, 이런 광고전단부착은 도로미관을 해치는 주요 요인 중에 하나이므로, 일반적으로 지정된 장소를 제외하고 광고전단을 무단 부착하는 것은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불법임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광고효과를 올릴 수 있다는 유혹으로 인해, 도로변 기둥구조물에는 빈번하게 불법광고전단이 부착되어 도로미관을 해치고 있고, 기둥구조물을 관할하는 단체에서는 이런 불법광고전단을 제거에 많은 인력과 비용을 투입하고 있다.
충격흡수대(20) 및 화분대(30)의 노출표면에는 불법적인 광고전단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방지돌기(27, 35: 도7)를 형성할 수 있다. 부착방지돌기들은 표면에 뾰족한 돌기들을 형성함으로써 광고전단이 부착될 수 있는 접착기면을 감소시킨 것으로서, 부착방지돌기의 적용으로 광고전단을 부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착된 광고전단을 쉽게 떼어 낼 수 있다.
그러나 도로변 기둥구조물(2)은 효과적인 광고매체의 하나이므로, 도로미관을 해지지 않는 정도라면 합법적으로 광고시트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는 충격흡수대(20)의 면부(26)에 광고시트(4)를 장착할 수 있는 전술한 광고시트장착구(24)를 형성하고 있다.
광고시트장착구(24)는 충격흡수대(20)의 면부(26)에 광고시트(4)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 면부(26)의 상측과 하측에 다수의 걸고리(25a, 25b)를 형성하여 광고시트(4)를 탄성적으로 걸어서 광고시트(4)가 면부(26)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평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측의 걸고리(25a)는 화분대(30)에 설치되고, 하 측의 걸고리(25b)는 받침판(40)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최상단의 충격흡수대(20)와 최하단의 충격흡수대(20)에 걸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6과 도7에는 상측 걸고리(25a)로서 탄성 걸고리를 적용하여 화분대(30)에 설치하는 구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대(30)의 마주보는 2개의 제3 조립블록(31)들 사이에는 걸고리장착브래킷(28)이 조립되며, 각각의 걸고리장착브래킷(28)은, 지지판부(28a)와 스페이서부(28b)로 구성된다.
지지판부(28a)는 제3 조립블록(31)의 부착방지돌기(35)에 포개지는 윤곽의 접면을 구비하고, 스페이서부(28b)는 상기 지지판부(28a)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고 스프링(25c)과 와셔(25d)가 삽입된 탄성의 걸고리(25a)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공(28c)이 구비되어서, 장착공(28c)에 장착된 걸고리(25a)에 광고시트(4)를 설치하면, 돌출된 스페이서부(28b)의 존재로 광고시트(4)가 면부(26)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제3 조립블록(31)과 걸고리장착브래킷(28)의 접면에는 각각 세팅홈(36)과 세팅돌기(28d)를 형성하여, 걸고리장착브래킷(28)을 제3 조립블록(31)에 조립함에 있어서 그 장착 위치의 설정과 나사 조립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마주보는 걸고리장착브래킷(28)의 전면에 부착되는 삼각 형상의 판들(29a, 29b)은 걸고리장착브래킷(28)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판(29a)과 그 외부를 마감하여 장식판(29b)이다.
도6에는 하측 걸고리(25b)를 받침판(40)에 설치하는 구조의 예를 도시되어 있다. 하측의 걸고리(25b)도 상측 걸고리(25a)와 같이 탄성 걸고리로 적용할 수 있 지만, 탄성에 의해 광고시트(4)를 평평하게 부착하는 것에는 상측 걸고리(25a)를 탄성 걸고리로 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걸고리(25b)는 받침판(40)의 볼트공(44)에 체결되는 볼트와 같은 비탄성의 걸고리를 적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광고시트장착구(24)로서의 걸고리(25a, 25b)의 구성에 따라, 광고시트(4)에 형성된 구멍(4a)에 걸고리(25a, 25b)를 끼워 충격흡수대(20)의 면부(26)에 광고시트(4)를 장착하게 되면, 광고시트(4)가 면부(26)에 이격된 상태로 걸고리(25a, 25b)에 팽팽하게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에 설치된 광고시트(4)가 야간에도 시야에 잘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면부(26)의 양측에는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24b)를 장착하기 위한 조명장착구(24a)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격흡수대(20)의 확장패널(60)에도 채널형상의 조명장착구(62)를 형성함으로써 조명기구(24b)를 장착할 수 있다.
광고시트(4)가 면부(26)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광고시트장착구(24)를 구성하는 이유는, 조명장착구(24a, 62)에 장착된 조명기구(24b)의 조명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1)에는 고정띠(5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고정띠(50)는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최상측의 충격흡수대(20)나 화분대(30)에 고정되므로,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를 기둥구조물(2)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고정띠(50)는 화분대(30)에 장착된 화 분(32)을 가로지르게 하여 화분(32)의 도난을 예방하는 작용도 할 수 있다.
도8의 구체예는 도1과 도2의 구체예에 포함된 확장패널(12, 33, 60)을 포함시키지 않고 제1 조립블록(11), 제2 조립블록(21), 제3 조립블록(31) 및 제4 조립블록(41)을 직접 조립하고, 면부(26)에 광고시트(4)를 부착할 수 있도록 광고시트장착구(24)를 구비시키는 한편 면부(26)에 조명장착구(24a)를 적용한 예로서, 확장패널을 적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도2의 구체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보호대는, 기둥구조물의 둘레에 완충구역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외부 충돌로부터 기둥구조물 자체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충돌을 일으킨 보행자, 운전자 및 차량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보호대는, 광고시트를 탈착식으로 다양하게 부착할 수 있어 기둥구조물을 광고매체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도로의 주변 여건과 부착할 광고시트의 크기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고 야간에는 조명을 사용하여 광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호대는 다수의 조립블록으로 형성하는 한편 조립블록을 힌지축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고, 힌지축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힌지축을 그 축공으로부터 제거하여 힌지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 써, 기둥구조물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의 충격흡수보호대를 해체하지 아니하면서도 기둥구조물의 하측에 형성된 단자함 등에 접근하여 정비 등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보호대는, 화분대 등의 적용으로 도로미관을 개선하는 것에 유용하다.

Claims (4)

  1.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다수의 제1 조립블록(11)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구조물(2)을 중앙에 두고 지면(3)에 설치되는 받침대(10), 및 상기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싸고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제2 조립블록(21)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10) 위에 적층 조립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층의 충격흡수대(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충격흡수대(20)의 상기 제2 조립블록(21)은 확장패널(60)을 매개하여 힌지축(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서, 상기 확장패널(6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대(20)의 면부(26)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힌지축(22)의 힌지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기둥구조물(2)로 접근 할 수 있으며;
    상기 면부(26)에 광고시트(4)를 탈부착하기 위한 광고시트장착구(2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시트장착구(24)는 탄성 걸고리(25a, 25b)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시트(4)는 상기 걸고리(25a, 25b)에 탄성적으로 걸려 상기 면부(26)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평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3.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다수의 제1 조립블록(11)을 구비 하고 상기 기둥구조물(2)을 중앙에 두고 지면(3)에 설치되는 받침대(10), 상기 기둥구조물(2)의 둘레를 감싸고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제2 조립블록(21)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10) 위에 적층 조립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층의 충격흡수대(20), 및 상기 충격흡수대(20)의 면부(26)에 광고시트(4)를 탈부착하기 위한 탄성 걸고리(25a, 25b)를 구비하는 광고시트장착구(24)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시트(4)는 상기 걸고리(25a, 25b)에 탄성적으로 걸려 상기 면부(26)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평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시트장착구(24)에 부착된 상기 광고시트(4)의 조명을 위한 조명기구(24b)를 장착하기 위한 조명장착구(24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KR1020070045023A 2007-05-09 2007-05-09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KR100798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023A KR100798297B1 (ko) 2007-05-09 2007-05-09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023A KR100798297B1 (ko) 2007-05-09 2007-05-09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297B1 true KR100798297B1 (ko) 2008-01-28

Family

ID=3921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023A KR100798297B1 (ko) 2007-05-09 2007-05-09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2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7648B2 (en) 2014-09-16 2018-10-02 Bigarim Co., Ltd. Pipe cover
KR102406018B1 (ko) * 2020-12-07 2022-06-10 주식회사 상아엠에스디 곡률 변형이 가능한 안내판
KR102406019B1 (ko) * 2020-12-07 2022-06-10 주식회사 상아엠에스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방지 및 곡률 변형이 가능한 안내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327Y1 (ko) 2006-09-26 2006-12-08 정진남 건물용 주차 보호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327Y1 (ko) 2006-09-26 2006-12-08 정진남 건물용 주차 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7648B2 (en) 2014-09-16 2018-10-02 Bigarim Co., Ltd. Pipe cover
KR102406018B1 (ko) * 2020-12-07 2022-06-10 주식회사 상아엠에스디 곡률 변형이 가능한 안내판
KR102406019B1 (ko) * 2020-12-07 2022-06-10 주식회사 상아엠에스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방지 및 곡률 변형이 가능한 안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9332A (ko) 충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광고대
KR100734219B1 (ko)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KR100734220B1 (ko)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KR100798297B1 (ko) 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KR100566947B1 (ko) 광고지 부착 방지기능을 갖는 지주커버
US7073919B1 (en) Light assembly with lampshade
KR100819758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광고대
CA2586496C (en) Vandal resistant luminaire
GB2541372A (en) Display posts
CN107419677A (zh) 一种新型玻璃道路桩
KR101179235B1 (ko) 충격 완화장치
KR200464660Y1 (ko) 가로등주 보호커버
CN101311417A (zh) 具有广告功能的柱状物用吸收冲击防护装置
KR100789318B1 (ko) 가로등
KR100747117B1 (ko) 볼라드
KR100969451B1 (ko) 도로용 차선규제봉
KR101501206B1 (ko) 친환경 인조대리석 도로용 화분
KR20110028973A (ko) 투명 커버가 구비된 가로등주
CN206873347U (zh) 一种新型玻璃道路桩
KR200442204Y1 (ko) 화분이 부설 조립된 차선 분리기구
KR101476269B1 (ko) 수직 기둥의 녹화장치
CN206298850U (zh) 夜间发光护栏
KR101271661B1 (ko) 조경용 엘이디 조명기구
KR20200001358U (ko) 태양광 발전용 휀스 캡
KR200364637Y1 (ko) 광고물 부착 방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