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904B1 - 무성방전등 및 그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무성방전등 및 그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904B1
KR100797904B1 KR1020007009576A KR20007009576A KR100797904B1 KR 100797904 B1 KR100797904 B1 KR 100797904B1 KR 1020007009576 A KR1020007009576 A KR 1020007009576A KR 20007009576 A KR20007009576 A KR 20007009576A KR 100797904 B1 KR100797904 B1 KR 100797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electrode
discharge
discharge lamp
silen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5206A (ko
Inventor
요시카와토모야
에자키신고
사카모토히로미
요시다마시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8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측관이 외측관 내부에 배치된 구조의 무성방전등은 전력소모가 감소 되고또한 수명이 연장된다.
이런 목적으로, 내측관과 외측관을 구비하고 내측관이 외측관 내부에 배치되고, 외측관의 내면과 내측관의 외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내에 방전용가스로 충전된 방전용기와; 외측관 외면에 설치된 외측전극; 내측관 내면에 설치된 내측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무성방전등에 있어서, 내측전극 또는 외측전극중 적어도 하나가 관의 전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다른하나는 관둘레의 일부에 설치되어져, 따라서 관둘레의 일부에서 방전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전극들을 수명 만기에 이동시켜서 방전이 일어나지 않은 면이 새롭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성방전등 및 그의 사용방법 {SILENT DISCHARGE TUBE AND ITS USE METHOD}
본 발명은 예를들면, 자외선을 이용한 드라이크리닝이나 개질(改質)을 위한 자외선광원등으로서 이용되는 무성방전등에 관한 것이다.
무성방전등은 아르곤이나 크세논 같은 방전가스로 충전된 석영과 같은 절연재료로 만들어진 방전용기 외면에 전극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전극간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단색성이 우수한 특정 파장을 갖는 자외선광을 방출하는 우수한 광원이다. 특히, 내측관이 외측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방전가스로 충전되는 외측관의 내면과 내측관의 외면으로 형성된 공간을 갖는 방전용기가 사용되고, 외측전극이 외측관 외면에 배치되고, 내측전극이 내측관 내면에 배치되는 구조의 무성방전등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고, 그 중에서도 원통형관을 사용한 것은 범용품의 석영관등을 사용하여 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이런 관점에서 우수한 것이다.
도4와 도5는 원통형 관들을 사용하는 무성방전등의 일반적 구조를 보여주는모식도이다. 도4와 도5에 보여지는 무성방전등 모두 원통형 내측관(2)이 원통형 외측관(1)의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커버(5)로 폐쇄되어 방전가스로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한 구조를 갖고, 외측관(1)의 외면에 외측전극(3)이 그 전둘레에 설치되고, 내측관(2)의 내면 전둘레에 내측전극(4)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도4에서 보여진 무성방전등은 외측전극(3)이 금속망이고, 내측전극(4)은 원통형 금속관이다. 상기 전극들은 외측관(1)의 외면과 내측관(2)의 내면에 각각이 밀착고정된다. 도5에서 보여지는 무성방전등은 외측전극(3)이 금속망이고, 내측전극(4)는 코일같은 금속 와이어이다. 상기 전극들은 외측관(1)의 외면과 내측관(2)의 내면에 밀착고정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무성방전등은 외측관 내부에 내측관이 배치되고, 외측관의 내면과 내측관의 외면 사이에 방전가스가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한 방전용기가 사용되며, 외측전극은 외측관 외면에, 내측전극은 내측관 내면에 설치되어지고, 내측전극과 외측전극 모두 외측관과 내측관 관둘레 전부분에 걸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무성방전등이 사용된 경우나 다른 광원이 사용된 경우라도, 소비전력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고, 외측관 내부에 내측관이 설치된 상기 구조를 갖는 무성방전등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다른 광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성방전등의 사용이 계속되면, 방사광의 강도가 저하된다. 방사광의 강도가 소정의 값 이하로 낮아지면, 무성방전등을 새 것으로 교체한다. 그러나, 무성방전등은 다른 광원에 비해 매우 고가이므로 무성방전등의 수명을 가능한 길게 연장하여, 무성방전등을 사용한 상태의 공정비용을 낮추게 하는 면이 중요하다. 무성방전등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제 2 목적이다.
본 발명은 무성방전등의 사용하는 방식에 그 관점을 맞추고, 방전영역이 관측면의 일부(관둘레의 일부)로 제한된 특징을 갖는다. 특히 종래의 무성방전등의 방전영역은 관측면의 전둘레에 걸쳐 존재하고, 전둘레에 걸쳐 균일한 방전을 필요로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둘레에 걸쳐 균일한 방전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균일한 방전은 특정 측에서 수행하는 것 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때문에 상기조건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경우, 조사면이 관측면의 일부 면 방향으로 자리한다. 상기 조건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조사면에 대해 효과가 없는 위치로의 빛의 방출이 존재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었다. 본 발명은 관측면의 특정 일부(관둘레의 일부)에서만 방전이 일어나는 무성방전등으로: 방전용기는 외측관과 외측관 내부에 배치된 내측관을 갖고, 외측관의 내면과 내측관의 외면에 방전가스로 충전되는 공간을 갖으며; 외측관의 외면에 외측전극이 설치되고; 내측관의 내면에 내측전극이 설치된 것을 포함하고, 외측전극과 내측전극중 하나 이상이 둘레 일부에 설치되어져, 방전이 둘레 일부에서 수행되는 특성을 갖는다. 더욱이, 본발명은 무성방전으로: 외측관과 내측관을 갖는 방전용기, 외측관 내부에 설치된 내측관, 그리고 내측관의 외면과 외측관의 내면으로 둘러 쌓여 방전가스로 충전되는 공간; 외측관 의 외면에 설치된 외측전극과; 내측관의 내면에 설치된 내측전극을 포함하고, 외측전극과 내측전극중 하나 이상의 전극이 관둘레 전부분에 걸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이 관부 일부에 설치됨으로써 방전이 관둘레 일부에서 수행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극중 하나가 관둘레 전부분에 걸쳐 설치되어지면, 안정적인 방전이 보다 쉽게 유지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두 전극 모두가 관둘레 전부분에 걸쳐 설치되는 종래의 구성 대신에, 상기 기술한 바와같이 한 극을 관둘레 일부에 설치하더라도 빛의 조사도는 충분한 강도와 균일한 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런 발견에 기초하여 빛의 조사도 방향이 관둘레의 일부에 제한되어, 상당한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에 따른 광강도 감소의 원인중 하나는, 방전등 자체의 방사광에 기인한, 외측관 또는 내측관내 광투과율의 감소이다. 방전이 관둘레 일부에서 수행되어지면, 방사광이 역시 관둘레의 그 일부에서 방사되고, 따라서 방사광이 방출되지않은 관둘레의 일부에서 광투과율의 감소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방전등의 방사광강도가 저하되면, 광투과율이 감소하지 않은 부분이 전극의 위치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고, 혹은 다른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성방전등의 수명이 대체적으로 연장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무성방전등을 이용하는 방법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성 방전등의 수명을 대체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고, 외측관의 광투과율이 소정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방전영역이 충전되고, 방전이 아직 수행되지 않은 관둘레 일부가 방전을 수행하는 특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무성방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무성방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성방전등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원통형 관을 사용한 무성방전등의 일반적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원통형 관을 사용한 무성방전등의 일반적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성방전등의 또 다른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단면형상이 정삼각형인 무성방전등의 예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성방전등을 5개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9는 축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인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무성방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 모드
본 발명의 무성방전등을 제조하는 경우, 유리와 같은 절연재료가 외측관과 내측관의 재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관둘레 일부에서 방전이 수행되는 경우, 절연장벽 방전에 기인한 방사광이 외측관의 외면으로부터 방전용기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빛이 방전용기의 일부에서 방사되지 않아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 상기 이유로 외측관은 되도록이면 방사광을 충분히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가스로 크세논이 사용되고 172㎚의 자외선광이 방사된 경우, 예를 들어 합성석영이 바람직하고, 100pp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상의 OH 기를 함유하는 합성석영이 더 바람직하다.
외측관과 내측관의 형태에 따라, 관축방향에 수직인 단면 형태는 원형, 다각형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가 수용 가능하다. 방전공간상에 내측전극과 외측전극 사이의 거리를 균일화하고, 균등한 강도 분포를 갖는 반사광을 얻기위해, 축방향에 수직인 외측관과 내측관의 단면형태는 서로 유사한것이 바람직하다. 내측관과 외측관이 동축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영역이 변환하여 등이 사용되는 경우의 관점에서, 단면의 형태가 정삼각형, 원, 타원등과 같이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전극과 내측전극의 형태는 되도록이면 방전용기의 형태와 일치하여, 관면상에 밀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광을 방출하는 측면상의 전극에 대해, 빛이 투과되는 재질과 형태를 필요로한다. 예를 들면 전극은 금속 에칭, 금속망 같은 전도성 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경우, 광학적 투과성(방전에 의한 빛이 보다 쉽게 전극을 통해 투과됨)을 갖는 외측전극과 광학적으로 불투과성(내측관의 내면으로 부터 방사된 빛이, 빛을 방출하지 못하는 방전용기의 일부로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의 내측전극을 갖는다. 이런 경우, 예를들면, 전도성망같은 전극이 외극관 외면에 밀착고정 하도록 형성되는것이 가능하다. 내측전극은 증착을 이용해 내측관 내면에 내측전극이 직접 형성되는 방법, 금속판을 내측관 내면 형상에 맞추어 삽입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전극과 내측전극에 대해서, 두 전극 모두 관둘레 일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두 전극들중 하나가 관둘레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이 관둘레에 대해 많은 비를 점한다면, 결과적으로 관둘레의 전부위에서 방전이 일어난다. 특히, 방전영역이 변환되어 등이 사용되는 경우의 관점에서, 대략 관둘레의 1/2 비를 점한다. 특히, 방전영역이 변환되어 등이 사용되는 경우의 관점에서, 관둘레 일부에 제공되는 전극 중 하나 이상은 관둘레 상의 길이가 대략 관둘레 길이의 정수분의 일이 되도록 설치된다. 이 때문에 관둘레는 정수와 동일한 횟수로 영역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비율이 너무 작다면, 방전영역 역시 방전등의 크기에 비해 작아지고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균일한 방사광 강도를 획득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비율은 대략 관둘레상의 4 분의 1 이상이 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관둘레 일부에 설치된 전극은 대체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방전영역이 변환되어 등이 사용되는경우, 전극의 위치는 방전영역에 맞추어 변환할 필요가 있다. 관둘레 일부에 설치된 전극은, 예를들면, 관둘레를 따라 분리되어 서로 접촉하지 않게 간격을 갖는 형태로 배치된 두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고, 두 전극중하나가 전기적으로 전원에 연결되던지 혹은 접지에 연결된다. 이런경우, 또 전극은 전극으로써의 기능을 하지 않고, 따라서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방전영역이 변환될 시에, 전극을 제거하거나 변환할 필요가 없다.
내측관의 외면과 외측관의 내면에 둘러 쌓여 형성된 공간은 방전가스로 충전되는데, 예를들어, 크세논, 아르곤, 네온 같은 희가스와 불소 혹은 염소 할로겐가스의 방전가스가 단독으로 혹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전가스등으로 충전되는 방전용기 내부공간을 관둘레방향으로 꼭 분할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지만, 관둘레방향으로 방전용기내에 분할벽을 제공하여 공간을 분리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들면, 방전영역내와 방전영역외의 가스를 분리함으로써 여기상태의 가스와 여기상태가 아닌 가스의 혼합에 기인한 발광효율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한 분할벽의 기능에 더하거나 또는 상기 기술한 기능과 별도로, 분할벽은 차광기능을 갖는 차광벽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것은 방전 용기내의 공간을 방사광이 진행하고 방전이 행해지지 않는 관둘레면에 방사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방사가 수행되지 않는 관둘레면에서 광투과율의 저하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방전영역이 변환하여 등이 사용되는 경우에 등의 수명은 효율적으로 연장 가능하다.
분할벽이 설치된 경우에, 이 재료는 외측관과 내측관의 열팽창계수와 밀접한열팽창계수를 갖는다. 예를들어, 내측관, 외측관 및 분할벽은 방전등에서 방사된 파장을 갖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 석영재료로 만들어진다. 무성방전등이 172nm의 자외선광을 방사하는 경우, 자외선광이 방출되는 측의 관 재료는 합성석영이고, 100ppm이상의 OH 기를 함유하며,되도록이면 200ppm이상을 함유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분할벽이 차광벽으로 사용되는 경우 석영이나 방사된 자외선광이 투과되지 않은 재료가 사용된다. 특히 무성방전등이 172nm의 자외선광을 방사하는 경우 용해 석영같은 석영과 100nm이하의 OH 기를 함유하는 석영판으로 만들어진다. 도 3은 관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이고, 외측전극과 내측전극중 하나가 관둘레의 전부분에 걸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관둘레 일부에 설치된 예를 보여준다. 동도에서, (A)는 내측전극이 관둘레 전부분에 걸쳐 설치되고, 외측전극이 관둘레 일부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고, (B)는 외측전극이 관둘레 전부분에 걸쳐 설치되고, 내측전극이 관둘레 일부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3 (A)에 보여진 무성방전등은 원통형 내측관(2)이 원통형 외측관(1)에 동축으로 설치되고, 외측관(1)의 외면 상에 반둘레에 걸쳐, 금속망 외측전극(3)이 설치되고, 내측관(2)의 내면 상에 전둘레에 걸쳐 금속박막형태의 내측전극(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조사면은 도에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에 위치한다. 도 3 (B)에 보여진 무성방전등은 원통형 내측관(2)이 원통형 외측관(1)의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외측관(1)의 외면 상에 전둘레에 걸쳐 금속망 외측전극(3)이 설치되고, 반원통형 금속판 내측전극(4)을 코일과 같은 보강재를 내측관(2)에 삽입해서 밀착고정함으로, 내측전극은 반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조사면은 도에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둘레 전부분에 걸쳐 설치된 전극은 내측, 외측전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관둘레 일부에 설치되는 전극은 회전가능하도록 관면에 밀착고정되고, 원통형 관인 경우, 반둘레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부에 설치된 전극을 이동함으로써 다른 일부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180°회전하는 경우에 의해, 반대면이 쉽게 방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수명을 대체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되도록이면 외측전극이 관둘레 전부분에 걸쳐서 설치되고, 내측전극은 관둘레 일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경우, 내측전극은 내측관을 축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내측관 내면의 형태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형태이고, 내측전극은 스프링과 같은 전도성 보강재를 사용해 내측관에 밀착고정한다. 또한 도 3(B)에 보여진 바와 같이, 원통형 외측관과 원통형 내측관이 동축상에 배치되고, 반원통형 내측전극은 내측관으로 삽입된 코일 형상의 전극에 의해 밀착고정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경우에, 내측전극은 내측관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밀착고정된다. 상기 구성을 따라서, 관의 악화에 의해 방전등의 수명이 다한경우, 내측전극을 180°회전시킴으로써, 반대면을 방전용으로 사용할수 있다. 따라서 등의 수명이 연장가능하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성방전등에서 외측관과 내측관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저비용으로 쉽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석영 유리 등으로 된 원통형 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경우, 예를 들어 외측관과 내측관이 동축에 배치된다.
도 6은 외측전극과 내측전극 모두 관둘레 일부에 설치된 특정한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A)는 관축방향으로 수직이 단면도이고, (B)는 축 방향과 A-A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난 무성방전등은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원통형 내측관(2)는 원통형 외측관(1)의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금속망으로 된 외측전극(3)은 외측관(1)의 외면에 반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반원통형 금속판인 내측전극(4)은 내측관(2)으로 삽입된 코일 형상의 보강재(도시안됨)에 의해 밀착고정된다. 내측전극은 반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차광벽정지구(7)가 설치된다. 용해석영판으로 구성된 두개의 차광벽(8)이 방전용기로 삽입되고, 정지구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내측전극(4)이 회전으로부터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정지구(9)가 설치된다. 차광벽정지구(7)와 회전정지구(9)는 석영유리알을 멜팅과 본딩을 사용해 관벽에 붙인다.
실시예의 무성방전등에서, 차광벽(7)이 설치되었기 때문에 방전공간을 통과하여 전극이 설치되지 않은 관둘레부분의 측으로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관측면에서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예에 따라 관둘레 일부에 설치된 전극용 회전정지구가 설치됨에 따라, 전극이 우연히 이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빛이 무성방전등의 특정부위에서만 방출되기 때문에 조사면에서 균일한 방사강도의 설정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회전정지구는 전극의 위치선정 역할에 영향을 미쳐, 방출영역이 바뀌게 되는 경우, 새로운 조사면이 쉽고 명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축에 수직인 단면형태가 정삼각형인 무성방전등의 예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7에 보여지는 무성방전등은 다음 구조를 갖는다. 정삼각형 단면을 갖는 각통형 내측관(2)은 정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각통형 외측관(1)의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금속망 외측전극(3)은 외측관(1)의 외면중 한 면에 설치되어진다. 내측전극(4)과 같은 평판은 내측관(2) 내면의 대응한는 한쪽면에 스프링과 같은 보강재(도시안됨)를 사용해 밀착고정한다. 또한 석영판으로 구성된 3개의 차광막(8)이 방전용기 안쪽으로 삽입된다.
도 8은 도 7에서 배치되고 보여진 다섯개의 무성방전등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에서 보여진것 처럼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태는 삼각형이고, 그것들을 인접하게 조정함으로써 평면상에 조사면이 구성된다. 따라서 반사판등의 사용없이 넓은 영역을 갖는 평판광원으로 구성하는 것이가능하다. 또한 시료면까지의 거리가 조사면의 위치에 의존하고, 경로상 빛의 흡수에 기인하는 원형단면을 갖는 무성방전등 상에서의 방사강도 변동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N2와 같은 불활성 가스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램프 하우스와 고가의 합성석영의 방사창이 필요없는 광원 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성방전등에서, 각통형 외측관과 내측관을 동축에 배치한, 축에 수직인 단면의 형태가 삼각형, 또는 사각형을 갖는 방전용기를 사용하면 넓은 영역의 평판광원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가의 합성석영의 방사창과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램프 하우스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예에 의해, 각통형 외측관과 내측관이 동축에 배치되고, 축에 수직인 단면의 형태가, 대략, 정삼각형이나 사각형인 방전용기로 구성된, 본 발명의 무성방전등을 사용하면, 같은 면적을 갖는 복수의 방전면들을 확보할 수 있고, 방전영역이 변화하더라도 무성방전등의 설치영역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실용적이다. 대략 정삼각형 또는 사각형 단면형태에서 사용된 "단면"의 의미는 예를 들어, 둥근 모서리가 포함되기 때문인데, 도 7과 도 9의 아래 보여진 무성방전등의 경우에, 모서리가 둥글게 되더라도 실질적으로 변화한 것은 아무것도 없고, 특히 석영유리를 가공하여 제조된 방전용기의 경우, 모서리는 일반적으로 둥글게 된다.
도 9는 축에 수직인 단면 형태가 사각형인 경우의 특정예를 보여주는 도이고, 내측전극과 외측전극 모두 관둘레 일부에 설치되어져 있다. 도 9에 나타난 무성방전등은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축에 수직인 직사각형 단면형태를 갖는 각통형 외측관(1)의 내부에, 유사한 단면을 갖는 내측관(2)이 동축으로 배치된다. 금속망 외측전극(3)은 외측관(1)의 외면중 긴변에 동방한 면위에 배치된다. 금속판 내측전극(4)은 내측관(2)으로 삽입된 스프링 형상의 보강재(도시안됨)에 의해 내측관(2)의 내측면의 장측에 대응하는 면에 밀착고정된다. 본 예의 무성방전등에서 각통형 외측관(1)과 내측관(2)은 짧은 변에 동반하는 면들끼리 서로 접촉되어지고, 이 접촉부가 분할벽과 차광벽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극과 외부전원의 연결은 사용면에 의존하여 스위칭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무성방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단면구조도이고, (A)는 관축상에 수직방향인 단면도이고 (B)는 관축상에서의 단면도이다.상기 실시예의 무성방전등의 다음구조를 갖는다. 내측직경 26mm와 전체길이 300mm를 갖고 합성석영유리로 만들어진 원통형 외측관(1)의 내부에, 외측직경 16mm와 전체길이 300mm를 갖고 합성석영유리로 만들어진 원통형 내측관(2)이 동축상에 배치된다. 두가장자리는 커버(5)로 닫혀있고, 내부는 크세논 가스로 충전되어 있다. 스테인레스 금속망으로 구성된 외측전극(3)은 전둘레에 걸쳐 외측관(1) 외면에 밀착고정된다. 내측전극(4)은 전체길이 300mm의 반원통형 알루미늄판으로 구성되고, 코일같은 스테인레스강 전극(6)을 내측관(2)에 삽입함으로써, 내부면에 밀착고정 된다. 내측전극은 반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내측전극(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도성 와이어는 코일같은 스테인레스강 전극의 종단에 용접되고, 전력이 코일 형상의 스테인레스강 전극(6)을 통해 내측전극에 공급된다. 전도성 와이어는 외측전극(3)에 직접 연결된다.
등은 도 안에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에 조사면이 위치하는 동안 사용된다. 오랜 사용으로 인해 관이 어두워진 경우, 내측전극(4)이 180°회전해서 등이 사용되고 반대측은 조사면으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의 무성방전등에서, 172㎚의 자외선광이 방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무성방전등을 보여주는 개략 단면 구조도이다. (A)는 관축상에 수직방향인 단면도이고, (B)는 관축상에 단면도이다. 상기실시예는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내측직경 26mm와 전체길이 1000mm를 갖고 합성석영유리로 만들어진 원통형 외측관(1)의 내부에, 외측직경 16mm와 전체길이 1000mm를 갖고 합성석영유리로 만들어진 원통형 내측관(2)이 동축상에 배치된다. 내측 전극(4)은 전체길이 330mm를 갖는 3개의 반원통형 알루미늄판으로 구성되어지고, 코일같은 스테인레스강 전극(6)을 내측관(2)에 삽입함으로써, 내측관(2)의 내부면에 밀착고정된다. 다른 부위들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된다. 등은 도 안에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에 조사면이 위치하는 동안 사용된다.
상기기술한 바와 같이, 내측전극은 관축방향에 복수의 전극판들을 결합한 구조이고, 따라서 장척의 무성방전등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관점에서 상기구조는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무성방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조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상면도, (C)는 A-A축에서의 단면도, (D)는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이 무성방전등은 다음 구조를 갖는다. 내측직경 26mm와 전체길이 650mm를 갖고 합성석영유리로 만들어진 원통형 외측관(1)의 내부에, 외측직경 16mm와 전체길이 650mm를 갖고 합성석영유리로 만들어진 원통형 내측관(2)이 동축상에 배치된다. 내측관과 외측간의 두 가장자리는 닫혀있고, 내부는 크세논가스로 충전되어있다. 스테인레스 금속망으로된 외측전극(3)은 외측관(1)의 외면의 양 종단이 클립(10)을 사용해 고정함으로써, 외측관(1)의 외면 전부분에 걸쳐 밀착고정된다. 내측전극(4)은 전체길이 550mm를 갖는 반원통형 알루미늄판으로 구성되고, 코일같은 스테인레스강 전극(6)을 내측관(2)에 삽입함으로써, 내측관(2)의 내부면에 밀착고정된다. 내측전극(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도성와이어(11)는 코일같은 스테인레스강 전극(6)의 종단에 용접되고, 전력이 스테인레스강 전극(6)과 같은 코일을 통해 내측전극(4)에 공급된다. 외측전극(3)은 클립(10)을 통해 접지된다.
점형상의 오목부가, 내측관(2)을 고온에서 철에 의해 접촉시켜 내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는 내측전극(4)에 대한 회전정지구(9)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무성방전등에 의하면, 소정 방향의 조사면 상에서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동일한 전력에서 보다 높은 조도를 얻을수 있고,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전력 보다 낮은 전력에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조도를 획득할 수 있다. 방전되지 않은 면이 새롭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무성방전등은 경제적이다. 또한, 전극이 관둘레 일부에 설치될 시, 상기 전극이 회전가능하도록 관면에 밀착고정 되어지고 방전이 일어나지 않은 면은 등의 수명이 다 할 무렵, 전극을 이동시키거나 전극을 새 것으로 교체하는 것에 의해 새롭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등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틀림없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4)

  1. 외측관과 이 외측관 내부에 배치된 내측관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관의 내면과 상기 내측관의 외면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내에 방전용가스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방전용기와; 상기 외측관의 외면에 설치된 외측전극과; 상기 내측관의 내면에 설치된 내측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무성방전등으로서,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 중 하나 이상은 관둘레 일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방전용가스의 일부만이 방전되고,
    여기서 관둘레 일부는 상기 외측관의 외면 또는 상기 내측관의 내면을 최단거리로 일주하는 선을 가상한 경우에 상기 선의 일부가 상기 외측관 또는 상기 내측관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형성하는 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방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둘레 일부에 설치된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은, 관둘레에서의 길이가 상기 관둘레 길이의 정수분의 일의 길이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성방전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둘레 일부에 설치된 전극은, 대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방전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용기내에 관둘레방향으로 방전용기내의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성방전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은 차광벽인 것을 특성으로하는 무성방전등.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은 방사되는 파장의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의 석영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성으로하는 무성방전등.
  7. 외측관과 내측관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관의 내부에 상기 내측관이 배치되고, 상기 외측관의 내면과 상기 내측관의 외면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내에 방전용가스가 충전된 방전용기와; 상기 외측관의 외면에 설치된 외측전극과; 상기 내측관의 내면에 설치된 내측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무성방전등에 있어서,
    상기 내측전극을 상기 내측전극의 전둘레에 걸쳐 설치하고,
    상기 외측전극을 상기 외측전극의 관둘레 일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방전용가스의 일부만이 방전되고,
    여기서 관둘레 일부는 상기 외측관의 외면을 최단거리로 일주하는 선을 가상한 경우에 상기 선의 일부가 상기 외측관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형성하는 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방전등.
  8. 외측관과 내측관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관의 내부에 상기 내측관이 배치되고, 상기 외측관의 내면과 상기 내측관의 외면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내에 방전용가스가 충전된 방전용기와; 상기 외측관의 외면에 설치된 외측전극과; 상기 내측관의 내면에 설치된 내측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무성방전등에 있어서,
    상기 외측전극을 상기 외측전극의 전둘레에 걸쳐 설치하고,
    상기 내측전극을 상기 내측전극의 관둘레 일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방전용가스의 일부만이 방전되고,
    여기서 관둘레 일부는 상기 내측관의 내면을 최단거리로 일주하는 선을 가상한 경우에 상기 선의 일부가 상기 내측관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형성하는 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방전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성방전등은 상기 내측관을 축을 따라 절단하여 형성되는 내측관의 내면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의 내측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전극은 스프링형상의 도전성 보강재료에 의해 상기 내측관에 밀착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방전등.
  10. 제 9 항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외측관과 원통형상의 내측관은 동축으로 배치되고, 반원통형상의 내측전극은 내측관에 삽입된 코일형상의 전극에 의해 밀착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방전등.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둘레 일부에 배치된 전극은 회전가능하도록 관면에 밀착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방전등.
  12.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용기는 축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을 갖는 각통형 외측관과 각통형 내측관을 동축으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방전등.
  13.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성방전등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외측관의 광투과율이 소정값보다 낮게 되면, 방전영역을 변화시켜, 방전이 수행되지 않았던 관둘레부에서 방전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방전등을 사용하는 방법.
  14. 외측관, 이 외측관 내부에 배치된 내측관, 및 상기 외측관의 내면과 상기 내측관의 외면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내에 방전용가스를 구비한 방전용기와;
    상기 외측관의 외면에 설치된 외측전극과;
    상기 내측관의 내면에 설치된 내측전극을 사용하여 무성방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측전극 또는 상기 내측전극은 관둘레 일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방전용가스의 일부만이 방전되고,
    여기서 관둘레 일부는 상기 외측관의 외면 또는 상기 내측관의 내면을 최단거리로 일주하는 선을 가상한 경우에 상기 선의 일부가 상기 외측관 또는 상기 내측관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형성하는 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방전 방법.
KR1020007009576A 1998-12-28 1999-12-27 무성방전등 및 그의 사용방법 KR100797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72471 1998-12-28
JP37247198 199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206A KR20010085206A (ko) 2001-09-07
KR100797904B1 true KR100797904B1 (ko) 2008-01-24

Family

ID=1850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576A KR100797904B1 (ko) 1998-12-28 1999-12-27 무성방전등 및 그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059659A4 (ko)
KR (1) KR100797904B1 (ko)
WO (1) WO2000041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6088A1 (de) 2003-08-06 2005-03-03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UV-Strahler mit rohrförmigem Entladungsgefäß
CN101238548B (zh) * 2005-01-07 2012-05-0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分段的介质阻挡放电灯
US8237364B2 (en) 2007-11-26 2012-08-07 Osram A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configured as a double tube
US10091865B1 (en) * 2017-11-13 2018-10-02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a lifespan of an excimer lamp
US20240011960A1 (en) * 2020-08-20 2024-01-11 Shimadzu Corporation Inspection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7596A (ja) * 1995-10-02 1997-04-08 Ushio Inc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
JPH10241633A (ja) * 1997-02-25 1998-09-11 Ushio Inc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0099A5 (ko) * 1990-05-22 1992-06-15 Asea Brown Boveri
EP0517929B1 (de) * 1991-06-01 1995-03-15 Heraeus Noblelight GmbH Bestrahlungseinrichtung mit einem Hochleistungsstrahler
JP2775699B2 (ja) * 1994-09-20 1998-07-16 ウシオ電機株式会社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7596A (ja) * 1995-10-02 1997-04-08 Ushio Inc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
JPH10241633A (ja) * 1997-02-25 1998-09-11 Ushio Inc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206A (ko) 2001-09-07
WO2000041215A1 (fr) 2000-07-13
EP1059659A1 (en) 2000-12-13
EP1059659A4 (en) 200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4768A (en) Electrodeless lamp using a single magnetron and improved lamp envelope therefor
US20070222352A1 (en) Plasma lamp with field-concentrating antenna
HU221402B1 (en) Apparatus for exciting an electrodeless lamp with microwave radiation and device for excitng high intensity visible light
EP0404593B1 (en) Luminaire for an electrodeless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JP5293986B2 (ja) 紫外線ランプ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US6177763B1 (en) Electrodeless lamps
KR100797904B1 (ko) 무성방전등 및 그의 사용방법
CN102324380B (zh)
US5118989A (en) Surface discharge radiation source
US20100283390A1 (en) Plasma lamp
JP2005302551A (ja) エキシマランプ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JP2000251845A (ja) 無声放電灯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854255B2 (ja)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装置
JPH0449222B2 (ko)
JPS61104559A (ja) マイクロ波放電光源装置
US6731058B1 (en) Arc path formed in lamp body
EP0203246B1 (en) Compact low-pressure mercury vapour discharge lamp incorporating a mercury condensation chamber
JP3481175B2 (ja) 誘電体バリアランプ
KR100547948B1 (ko) 외부전극형 형광램프를 이용한 등기구
JP2005285349A (ja) マイクロ波無電極放電ランプ装置
JPH06310103A (ja) 誘電体バリヤ放電ランプ
JP3125606B2 (ja)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装置
JPS63292562A (ja) 無電極放電灯装置
SU928467A1 (ru) Газоразр дна спектральна лампа
JPH06163008A (ja) 希ガス放電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