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609B1 -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609B1
KR100797609B1 KR1020060107814A KR20060107814A KR100797609B1 KR 100797609 B1 KR100797609 B1 KR 100797609B1 KR 1020060107814 A KR1020060107814 A KR 1020060107814A KR 20060107814 A KR20060107814 A KR 20060107814A KR 100797609 B1 KR100797609 B1 KR 10079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 water
condenser
plate
refrigerant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10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기계실에 설치되는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코일형태로 감긴 형태를 갖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일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 관; 및 상기 방열판의 일면에 상기 냉매 관과 평행하게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냉동실에서 발생하는 제상수가 배출되는 제상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응축기

Description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CONDENSER FOR REG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열판을 말아서 완성한 응축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응축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열판을 말아서 완성한 응축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응축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응축기 10: 방열판
20: 냉매 관 30: 제상수 배출관
40: 냉각 팬 50: 증발 접시
200: 압축기
본 발명은 냉장고의 기계실에 설치되는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냉각효율과 냉동실에서 배출되는 제상수의 증발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축기는 냉장고와 같은 냉동기기에 설치되는 장치의 하나로서, 냉매의 열을 냉각한다. 그런데 냉장고에 구비되는 응축기는 공기순환이 잘 안 이루어지는 기계실에 설치되어 주변의 공기와 냉매의 열을 교환하므로 냉매의 냉각효율이 매우 낮다.
때문에, 근래에는 응축기의 일 측에 냉각 팬을 설치하고 외부의 공기를 응축기의 표면에 강제 송풍하여 응축기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냉장고를 통풍이 잘되는 곳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큰 효과를 얻기 힘들다. 즉, 냉장고의 기계실은 항시 더운 공기로 가득 채워진 상태이므로, 외부의 찬 공기가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한 냉각 팬에 의한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최근에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냉동실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이용하여 응축기를 냉각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저온의 제상수를 응축기의 표면에 단순히 낙하 또는 분사하는 방식이어서, 응축기의 고른 냉각을 기대하기 어렵고 응축기에 분사된 제상 수의 회수를 위한 구성이 복잡해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동실에서 배출되는 제상수와 응축기를 순환하는 냉매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는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코일형태로 감긴 형태를 갖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일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 관; 및 상기 방열판의 일면에 상기 냉매 관과 평행하게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냉동실에서 발생하는 제상수가 배출되는 제상수 배출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열판의 측면에는 냉각용 팬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방열판에는 제상수 배출관의 출구 측과 연결되고, 제상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제상수를 저장하는 증발 접시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축기 제작방법은 얇은 판재를 길이방향을 따라 평편하게 펼치는 제1단계; 상기 판재의 일면에 냉매 관을 상기 판재의 폭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판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냉동실의 제상수 배출관을 상기 냉매 관과 평행하게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냉매 관과 상기 제상수 배출관이 설치된 상기 판재를 상기 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형태로 감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열판을 말아서 완성한 응축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응축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100)는 방열판(10), 냉매 관(20), 제상수 배출관(30)으로 구성된다.
방열판(10)은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는 금속재질의 판 부재로서, 응축기(100)의 주 외형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방열판(10)은 구리로 제작되고, 열전달 및 냉각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능한 얇게 제작되는 것이 좋다.
냉매 관(20)은 냉장고의 냉각사이클에 필요한 냉매가 유동하는 관 부재로서, 방열판(10)의 일 면에 방열판(10)의 폭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다. 냉매 관(20)의 양끝은 각각 압축기 및 팽창밸브와 연결된다.
제상수 배출관(30)은 냉동실의 제상수가 배출되는 유로 구실을 하는 관 부재로서, 방열판(10)의 일 면에 냉매 관(20)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상수 배출관(30)을 냉매 관(20)과 평행하게 설치하면,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 간의 열전달이 잘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상수 배출관(30)과 냉매 관(20)의 간격은 되도록 작게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잠깐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제작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열판(10)을 평편하게 편다. 그 다음,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을 서로 평행한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린다. 이때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입구 및 출구가 동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방열판(10)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입구 및 출구의 방향이 다르게 설치되면 방열판(10)을 마는 공정이 다소 불편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을 방열판(10) 위에 고정 설치한다.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의 고정은 용접이나 클립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의 고정 설치가 끝나면, 방열판(10)을 방열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말아 코일 형태로 만든다. 방열판(10)은 말려진 방열판(10)의 사이 사이로 공기가 용이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감격이 큰 코일형태로 말리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작된 응축기(100)는 도 2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축기(100)는 금속재질의 방열판(10)에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이 감긴 형태이다. 따라서, 냉매 관(20)에서 방출되는 열기는 방열판(10)에 의해 제상수 배출관(30)에 전달되어 제상수 배출관(30)을 소통하는 제상수를 가열 및 증발시키는 구실을 하고, 반대로 제상수 배출관(30) 의 냉기는 냉매 관(20)에 전달되어 냉매 관(20)을 소통하는 고온의 냉매를 냉각하는 구실을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이 평행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므로, 냉매 관(20)의 열기와 제상수 배출관(30)의 냉기가 어느 한 부분에 편중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의 열전달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태로 감긴 방열판(10)의 일 측면에 냉각 팬(40)을 더 설치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설치사용 상태를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축기(100)는 압축기(200)와 더불어 냉장고(300)의 기계실(310)에 설치된다. 응축기(100)에서는 공기 및 제상수에 의한 냉매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즉, 냉매 관(20)을 소통하는 고온의 냉매는 방열판(10)을 매개로 제상수 배출관(30)을 소통하는 저온의 제상수에 의해 1차적으로 냉각되고, 냉각 팬(50)을 매개로 기계실(310)을 소통하는 공기에 의해 2차적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응축기(100)를 통과하는 냉매는 위와 같은 2가지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된 후 팽창밸브 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상수 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되는 제상수는 응축기(100)를 통과하면서 냉매 관(20)을 지나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후 압축기(200)와 응축기(100) 사이에 배치된 증발 접시(50)에 저장된다. 증발 접시(50)에 저장된 제상수는 압축 기(200)와 응축기(100)의 열기에 의해 계속 가열되어 증발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응축기에 의하면, 냉매의 냉각과 제상수의 가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응축기의 냉각효율뿐만 아니라 제상수의 제거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열판을 말아서 완성한 응축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응축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는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을 방열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을 구부리면, 방열판(10)을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말기 수월하다. 즉,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방열판(10)이 절곡되는 부분에 한 쌍의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만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방열판(10)의 절곡 위치에 많은 수의 냉매 관(20)과 제상수 배출관(30)이 배치된 제1실시예에 비해 방열판(10)을 코일형태로 말기 용이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제상수의 증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 접시(50)를 응축기(100a)의 내부에 설치하였다.
본 실시예의 응축기(100a)는 코일형태로 감긴 방열판(10)에 의해 많은 공간 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증발 접시(50)를 응축기(100a)의 내부에 설치하면, 냉장고(300) 기계실(310)의 공간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 접시(50)로 응축기(100a)의 열기가 방열판(10)에 의해 증발 접시(50)로 끊임없이 전달되므로, 제상수를 빠르고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실에서 배출되는 제상수를 이용하여 고온상태의 냉매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냉동실의 제상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4)

  1.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코일형태로 감긴 형태를 갖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일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 관; 및
    상기 방열판의 일면에 상기 냉매 관과 평행하게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냉동실에서 발생하는 제상수가 배출되는 제상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측면에는 냉각용 팬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에는 상기 제상수 배출관의 출구 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상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제상수를 저장하는 증발 접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4. 얇은 판재를 길이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펼치는 제1단계;
    상기 판재의 일면에 냉매 관을 상기 판재의 폭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판재의 일면에 냉동실의 제상수 배출관을 상기 냉매 관과 평행하게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냉매 관과 상기 제상수 배출관이 설치된 상기 판재를 상기 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형태로 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제작방법.
KR1020060107814A 2006-11-02 2006-11-02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 KR10079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814A KR100797609B1 (ko) 2006-11-02 2006-11-02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814A KR100797609B1 (ko) 2006-11-02 2006-11-02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609B1 true KR100797609B1 (ko) 2008-01-23

Family

ID=3921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814A KR100797609B1 (ko) 2006-11-02 2006-11-02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4557A (zh) * 2018-01-25 2018-06-26 任清欢 一种采用水镜聚光调色的射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856U (ko) * 1993-06-17 1995-01-04 냉장고의 제상수 처리장치
KR19990043727A (ko) * 1997-11-29 1999-06-15 구자홍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856U (ko) * 1993-06-17 1995-01-04 냉장고의 제상수 처리장치
KR19990043727A (ko) * 1997-11-29 1999-06-15 구자홍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4557A (zh) * 2018-01-25 2018-06-26 任清欢 一种采用水镜聚光调色的射灯
CN108204557B (zh) * 2018-01-25 2022-09-23 任清欢 一种采用水镜聚光调色的射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7542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23118975A (ja) 冷蔵庫
US10921045B2 (en) Roll-bonded evapora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evaporator
KR100797609B1 (ko) 냉각효율이 증대된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
JP2007093153A (ja) 冷蔵庫
JP200902488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保冷庫
JP6912673B2 (ja) デフロストシステム
KR100597748B1 (ko) 냉동시스템
KR20090043991A (ko) 냉장고의 핫 라인 장치
JP2008286473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188206Y1 (ko) 냉동기의 증발기제빙커버장치
KR20030089818A (ko)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KR100226417B1 (ko) 간냉식 냉장고의 증발기구조
KR20020038005A (ko) 증발기의 전열핀
KR100547324B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KR100216758B1 (ko) 냉장고용 냉각기
KR100234993B1 (ko) 간냉식 롤본드타입(roll-bond type) 증발기의 제상장치
KR101200411B1 (ko) 냉장고
KR200305987Y1 (ko) 휜앤 플랫 튜브형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증발기
CN117628739A (zh) 双冷源蒸发器和空调机组
KR100379165B1 (ko) 냉장고의 제상 장치
KR19980027182U (ko) 냉장고용 냉각기
KR100826181B1 (ko) 냉동사이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377614B1 (ko) 냉기순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JP2003240412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