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411B1 -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 Google Patents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411B1
KR100797411B1 KR1020060079907A KR20060079907A KR100797411B1 KR 100797411 B1 KR100797411 B1 KR 100797411B1 KR 1020060079907 A KR1020060079907 A KR 1020060079907A KR 20060079907 A KR20060079907 A KR 20060079907A KR 100797411 B1 KR100797411 B1 KR 10079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brown gas
heat generating
outlet
he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남
김성곤
Original Assignee
김상남
김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남, 김성곤 filed Critical 김상남
Priority to KR1020060079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4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specially adapted to be crem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23G7/06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로에서 수거한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가니로 본체 내부에 병 모양의 도가니를 설치하고 도가니와 로벽을 관통하는 제1발열관을 설치하며 제1발열관 일측에 NO.1 브라운가스버너와 화장재 투입호퍼를 설치하여 화장재가 투입되도록 하고 도가니 하면에 형성한 용탕배출구에는 제2발열관을 연결설치하여 용탕이 흘러내리도록 하고 제2발열관 출구에는 NO.2 브라운가스버너를 설치하여 흘러내리는 용탕상면을 가열하도록 하고 또한 도가니로 본체의 로벽 일측에 제3발열관을 설치하여 버너공을 형성하고 NO.3 브라운가스버너를 설치한 것으로, NO.1, NO.2, NO.3 브라운가스버너가 가동되면 NO.1, NO.2 브라운가스버너는 도가니 내부를 가열하고 NO.3 버너는 도가니 외부를 가열하여 효과적으로 가열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가니 내부온도가 1600℃까지 올라갔을 때 화장재 호퍼출구를 열어 화장재를 투입하면 분말상의 화장재가 제1발열관을 통과하면서 녹기 시작하여 도가니 내부를 선회하면서 점차 용융되어 용탕배출구와 연결된 제2발열관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사리모양의 결정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브라운가스, 화장로, 도가니, 도가니로

Description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Brown Gas High Temp. Melting Crucible Furnace for Cremation Ashs Treatment}
도1과 도2는 인용특허를 설명하기 위한 인용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구성요소인 도가니의 횡단면도이고,
도5는 도4에 있어서 제1발열관 삽입공과 용탕배출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다수개의 도가니를 배치한 배치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가니로 본체 101: 로벽
102: 배기구 111: 제1발열관
112: 제2발열관 113: 제3발열관
120: 도가니 121: 제1발열관 삽입공
122: 용탕배출구 123: 배기공
131: NO.1 브라운가스버너 132: NO.2 브라운가스버너
133: NO.3 브라운가스버너 140: 화장재 호퍼
150: 저탕조 160: 결정체 성형수단
본 발명은 화장로에서 수거한 화장재(골분)를 납골당에 모시지 않고 사리형태의 결정체를 만들어 영구보존할 수 있도록 제조하기 위한 과정에서 꼭 필요한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에 관한 것이다.
도가니는 보통 화학실험용으로 소량의 용융재료를 녹이기 위해 뚜껑이 있는 둥근 형의 그릇이나 컵 모양이 사용되고 재료는 세라믹이 보통이고 고열용으로 산화알미늄이 첨가된 것이 사용되며 환원성 기류 속의 강한 열에는 흑연 도가니가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시중에서 규격품을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는 1600℃ 이상의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고온세라믹 재질로 압축 성형하여 병 모양의 도가니를 만들어 로 내부에 고정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묘지는 여의도 면적의 2~3배씩 증가되어 10년 이내에 전국의 묘지는 포화될 것이다. 따라서 화장률은 94년 20%, 99년 30%, 2002년 42%로 증가추세이며 2010년에는 70%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의 경우 화장률이 100%에 이르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좁은 국토를 가진 우리나라로서는 장례문화의 개선이 하루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화장은 화장재를 강물에 뿌리는 방법(산골)과 유골을 용기에 담아 납골당에 모시는 방법이 있다. 후손들은 돈을 들여서라도 납골당에 모시기를 원하지만 현재 방식으로는 장기보존시 냄새가 나고 벌레가 생기는 일까지 있어 보존방법을 개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납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장재를 용융시킨 후 사리형태의 구슬모양의 결정체(이하 영생주라 칭한다)를 만들어 영생주를 모시는 방법이 있다. 요즈음 기술이 발달하여 레이저로 크리스탈에 인물사진을 멋있게 새길 수 있으므로 크리스탈 인물사진 패를 만들고 그 밑에 영생주 보관함을 만들어 모시면 집안 가까이에 조상을 영구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영생주는 납골당의 관리문제를 해결해 줄 뿐만 아니라 조상을 가까이 모시려는 후손들의 염원을 풀어주는 것이므로 영생주 제조사업이 앞으로 유망사업으로 등장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본 사업의 성패는 고온용융도가니로를 구비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다시 말하면 영생주제조업은 새로나온 사업이기 때문에 그러한 용융기술에 대한 선례가 없는 것이 문제이고 특히 화장재는 분말상태의 유기물이기 때문에 녹이는 방법이 기존의 금속용융과 다르고 또한 고온을 요구하므로 기존의 도가니로와 다른 새로운 방법을 창안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선행특허로 특허번호 10-0269981 "유골을 결정체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 조장치"(이하 인용특허라 한다)가 있다. 도1과 도2는 인용특허상의 도면3와 도면6을 나타낸 것이다.
인용특허에 의하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내부는 가열기구(40), 로 장치(50), 그리고 가열기구와 로 장치를 전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동기 들(M1, M2, M3, M4)로 구성된다.
"중략"
가스 노즐(41)에서 불기둥이 분출될 때에는 가스 공급관(42)으로 열이 전달되어 가스 공급관(42)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스 공급관(42)을 감싸는 외관(43)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출시켜 압축공기가 단열팽창할 때 생기는 냉각효과를 이용하여 가스 공급관(42)을 냉각시킨다.
지지대(46)는 외관을 붙잡아 지지대(46)가 상하좌우 및 전후로 움직여 가열장치(40)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스 노즐(41)에 방출되는 불기둥으로 쉽게 골분과 광물의 혼합물인 반죽물질을 용이하게 용융시킬 수 있다. 지지대(46)가 움직일 때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의 상부에 도르래를 달고 와이어 로프로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매단다. 따라서 전동기가 약간의 힘만 가하더라도 쉽게 지지대(46)가 움직인다.
로 장치(50)는 용융도가니(55)를 받히는 도가니 받침대(51), 도가니 받침대(51) 하부에 설치된 중량추(52), 도가니 받침대(51)를 고정시키고 작동시키기 위한 축(53), 축을 회전지지하기 위한 회전받침대(54)로 구성된다. 축(53)의 끝에는 전동기(M4)가 연결되어 로 장치(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가니 받침대 하부에 중량추를 매다는 것은 가열·용융할 때에는 무게 중심이 아래에 있기 때문에 도가니 받침대(51)가 연직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중량추(52)에는 와이어 로프로 하우징 상부에 설치된 도르래를 통하여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매달아 전동기에서 약간의 힘만 가해지면 쉽게 도가니를 기울여 용융된 물질을 방울방울 떨어뜨릴 수 있다.
가열장치(40)와 로 장치(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동기는 단열벽(37)으로 격리된 공간인 전동기실에 설치된다. 골분을 가열·용융시킬 때에는 매우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단열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전동기가 손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상기 인용특허의 로 장치(50)는 용융도가니(55)를 틸팅시키기 위해 전동기에 의한 회전축(53)을 구성하는 등 너무 복잡하고 가스노즐(41)을 고온의 로 내부에 구성하는 등 불합리한 점이 많아 사실상 작동이 불가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워터에너지 브라운가스 만의 고열특성을 이용하여 화장재 용융에 적합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물의 전기분해방식으로 생성되는 브라운가스는 자체산소에 의해 완전연소하기 때문에 연소용 공기를 불어넣어줄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반밀폐공간연소가 가능하고 굴뚝으로 사라지는 열손실이 적어 고열을 낼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에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에 장착되는 버너는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등록한 특허 제0322315호 "브라운가스연소용 에어제트버너"를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화재로 구성한 도가니로 본체 내부에 병 모양의 도가니를 고정설치하고 도가니와 로벽을 관통하는 제1발열관을 경사지게 설치하며 제1발열관 일측에는 NO.1 브라운가스버너와 화장재 투입 호퍼가 장착되고 도가니 하면에 형성되는 용탕배출구 밑에 연계하여 제2발열관이 로벽 밖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용탕이 흘러내리는 제2발열관 출구에는 NO.2 브라운가스버너가 설치되며 또한 도가니로 본체의 로벽 일측에 제3발열관을 설치하여 버너공을 형성하도록 하여 NO.3 브라운가스버너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병 모양의 도가니는 상부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화장재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제1발열관 삽입공이 형성되며 하부에 용탕출구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용탕배출구는 도가니 중심선으로부터 일정치수만큼 편심되게 형성하여 제1발열관과 제2발열관으로부터 불어오는 브라운가스 화기가 자연스럽게 도가니 내부를 선회하면서 상부로 천천히 올라가 배출구로 빠져나가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NO.1 브라운가스버너는 제1발열관 끝단에 플랜지 볼트낫트로 고정하여 장착한 것으로 제1발열관 내부로 공기출입이 없도록 구성한 것이고 NO.2 브라운가스버너는 용탕이 흘러내리는 제2발열관 출구쪽에 오픈된 지점에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용탕출구로부터 소량의 공기가 유입되어 자연대류현상에 의해 상부로 올라가면서 배출구로 빠져나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여 NO.1, NO.2, NO.3 브라운가스버너가 가동되면 NO.1, NO.2 브라운가스버너는 도가니 내부를 가열하고 NO.3 브라운가스버너는 도가니 외벽을 가열하게 되어 효율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킨다.
도가니 내부온도가 1600℃까지 올라가면 화장재 호퍼의 출구를 열어 화장재를 투입한다. 이때 분말상의 화장재는 NO.1 브라운가스버너로부터 분출하는 화기에 의해 고온의 제1발열관 내부를 지나 도가니 내부로 슈팅된다.
분말상의 화장재는 벌겋게 달구어진 제1발열관을 통과하면서 브라운가스 화기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녹기 시작하면서 도가니 측면에 부딪히며 내부로 슈팅되어 1600℃의 도가니 내부를 선회하는 동안 용융이 진행되어 물방울처럼 형성된 후 자유낙하하여 바닥에 모이면서 용탕을 형성하고 용탕은 점차 제2발열관을 따라 흘러내린다.
이때 NO.2 브라운가스버너는 용탕상면을 계속 가열하므로 용탕이 굳지 않고 잘 흘러내리도록 하며 제2발열관 내부를 통과하는 브라운가스 화기는 더욱 뜨거워져 도가니 내부로 분출하면서 브라운가스 특유의 고온을 창출한다.
제2발열관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용탕은 저탕구에 모아진 후 최종적으로 결정체 성형수단으로 구성한 바이브레이터, 냉각장치 등에서 사리모양으로 성형되어 영생주로 제품화된 후 영생주 함에 모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상의 화장재를 용융시키기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브라운가스는 물(H2O)의 구성비 그대로 수소2 대 산소1의 비율로 혼합된 상태의 혼합가스이다. 워터에너지 브라운가스는 자체산소에 의해 완전연소하므로 연소용 공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아주 이상적인 연료이다.
브라운가스 불꽃은 원자와 분자상의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는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브라운가스로 가열하면 수소원자와 산소원자가 가열대상물질의 원자핵 사이로 침투한다. 이와 같이 수소와 산소에 열핵반응으로 가열되는 물질을 공기중에서 가스가 홀로 연소하여 연소할 때의 불꽃보다 훨씬 뜨거운 열에 의해 가열되는 결과가 된다. 가열대상물질에 따라 상이한 열핵반응특성을 보이는 브라운가스는 벽돌과 철을 그대로 용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화벽돌을 그대로 화염드릴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브라운가스만의 고열특성을 이용하여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1600℃까지의 고온을 요구하는 분말상의 화장재 용융도가니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라운가스버너의 화염이 도가니 내부로 들어가는 통로에 화염에 의해 발열관이 벌겋게 달구어지도록 중공 원통형의 발열관을 설치한다. 이때 고온의 발열관 내부를 통과하는 브라운가스 화염은 화염이 보이지 않는 상태로 고온의 화기가 형성되어 연소실 내부로 분출된다. 발열관이 벌겋게 달구어진 후 분말상의 화장재를 발열관 내부에 투입하면 고온의 브라운가스 화기 속에서 열핵반응하여 입자 하나하나가 용융상태로 변해간다.
만약 인용특허에서처럼 일반도가니에 화장재를 넣고 가스토치에 의해 화염을 불어넣으면 분말상의 화장재는 하나도 남지 않고 녹기 전에 날아가 버릴 것이다. 따라서 인용특허는 광물질을 혼합시켜 반죽한 후 도가니에 넣도록 되어 있으나 한 사람의 영혼에 이물질을 섞는 것은 좋지 않으며 반죽해야 하는 복잡한 공정이 추가되므로 합리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분말상의 화장재를 그대로 도가니 내부로 투입하여 브라운가스 고열특성에 의해 쉽게 용융되도록 제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브라운가스 고온용융 도가니는 1600℃이상에도 견딜 수 있는 고온세라믹을 압축 성형하여 병 모양으로 형성하고 측면에 화장재를 투입하기 위한 제1발열관 삽입공과 하부에 용탕배출구를 형성하고 출구 밑에는 제2발열관을 연결설치하여 용탕이 흘러내리도록 한다.
상기 용탕배출구의 위치는 도가니 수직 센터라인으로부터 일정치수만큼 편심되게 형성하여 제1발열관과 제2발열관으로부터 분출되는 브라운가스 화기가 도가니 내부를 선회하면서 상부에 위치한 배기구로 천천히 빠져나가도록 구성한다. 이것은 투입되는 화장재가 곧바로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선회하는 도중 용융되면서 뭉쳐져 물방울처럼 되면서 자유낙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병 모양의 도가니를 압축성형하기 위해 금형을 만들 때 필요하다면 도가니를 상부와 하부로 분할하여 제작 후 조립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제작상의 문제는 없다.
본 발명의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는 화장재를 영생주로 만들어주는 제조업을 영위하기를 원하는 경우 하루 처리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하나의 도가니로 본 체 안에 여러 개의 도가니를 구성할 수도 있게 하였다. 이때 화장순서대로 넘버링(NO.1, NO.2, NO.3, NO.4 등)하여 개인별 각각의 도가니에서 그 사람만의 영생주가 만들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은 조상은 한 사람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섞일 수 없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하루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의 도가니로가 아닌 소각재 용융로처럼 대량처리하기 위한 용융로는 고려될 수 없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과 도2는 인용특허를 설명하기 위한 인용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구성요소인 도가니의 횡단면도이고, 도5는 도4에서 용탕배출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다수개의 도가니를 배치한 배치도이다.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는 내화재로 로벽(101)과 배기구(102)를 형성하여 도가니로 본체(100)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도가니(120)를 고정설치한 것이다.
도가니(120)는 1600℃이상의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고온세라믹 재질로 압축성형하여 병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측면에 제1발열관 삽입공(121)이 형성되고 하면에 용탕배출구(122)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용탕배출구(122)의 위치는 도가니 수직센터라인으로부터 일정치수만큼 편심되게 형성한 것이 특징이며 도가니 상부에는 배기공(123)을 형성한 것이다.
제1, 제2, 제3 발열관은 탄화규소질의 내화물(SiC)로 압축성형하여 중공관으로 제작한 것으로 제1발열관(111)은 화장재 호퍼(140)의 출구와 연결되도록 연결공이 형성된 것이고 제2발열관(112)은 용탕입구보다 출구쪽이 약간 확관된 형상을 한 것이고 제3발열관(113)은 단순중공관으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화재로 로벽(101)과 배기구(102)를 형성하여 도가니로 본체(100)를 구성하고 그 내부에 도가니(120)를 설치하고 도가니 측면에 형성된 제1발열관 삽입공(121)에는 로벽(101)을 관통하도록 제1발열관(111)을 경사지게 설치하며 로벽(101) 밖으로 튀어나온 제1발열관(111)의 입구쪽에는 NO.1 브라운가스버너(131)를 플랜지 볼트낫트에 의해 조립장착하며 화장재 호퍼(140)의 출구관과도 각각 연결설치한 것이다. 또한 용탕배출구(122) 바로 밑에 연계하여 제2발열관(112)을 경사지게 연결설치하여 용탕이 흘러내리도록 하고 제2발열관(112)의 출구 쪽에 NO.2 브라운가스버너(132)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도가니로 본체(100)의 로벽(101) 일측에 제3발열관(113)을 도가니(120) 수량만큼 설치하여 버너공을 형성하고 NO.3 브라운가스버너(133)를 설치하여 도가니(120)를 가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여 NO.1, NO.2, NO.3 브라운가스버너가 가동되면 NO.1, NO.2 브라운가스버너는 도가니(120) 내부를 각각 가열하게 되고 로벽(101)에 설치된 NO.3 브라운가스버너는 각각의 도가니(120) 외벽을 가열하여 도가니 내외부를 가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온도를 높인다.
도가니(120) 내부온도가 1600℃까지 올라갈 때 화장재 호퍼(140)의 출구게이트(141)를 열어 화장재를 투입하면 NO.1 브라운가스버너(131)에서 분출하는 고온의 화기에 의해 가열되면서 제1발열관(111)을 지나 고온의 도가니(120) 내부로 슈팅된 후 일부 입자는 화기의 흐름을 따라 도가니(120) 내부를 선회하면서 점차 용융되어 물방울처럼 형성된 후 자유낙하하여 용탕을 이루면서 용탕배출구(122)를 지나 제2발열관(112)를 따라 흘러내리고 저탕조(150)에 모아진 후 최종적으로 결정체 성형수단(160)에 의해 성형되어 제품함인 영생주함에 모아진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하나의 도가니로 본체(100) 안에 여러 개의 도가니(120)를 설치하여 하루 처리량을 높이도록 구성한 것이고 개인별 각각의 도가니에서 그 사람만의 영생주가 만들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로에서 수거한 화장재(골분)를 납골당에 모시지 않고 사리형태의 결정체인 영생주를 만들어 영구보존할 수 있도록 제조하는 과정에서 꼭 필요한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경제적으로 영생주를 만들 수 있도록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를 제공함 으로써 납골당 시설에 따른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조상을 가까이 모실 수 있는 새로운 장례문화 창출에 기여한 것이다.
이러한 발명의 효과는 자체산소에 의해 완전연소하는 워터에너지 브라운가스만의 고열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브라운가스는 화장로에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를 브라운가스 화장로와 연계하여 구성하면 관을 화장로에 투입하는 것만으로 자동처리되어 영생주를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화장로의 배기가스를 1200℃이상의 고온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환경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여 화장로 설치에 대한 주민들의 거부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요즘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애완동물 사체 처리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해 업자들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로벽(101)으로 둘러싸이고 상부에 배기구(102)를 형성한 도가니로 본체(100)와 상기 도가니로 본체(100)내부에 설치한 도가니(120)와, 상기 도가니(120) 측면에 형성된 제1발열관 삽입공(121)에 로벽(101)을 관통하면서 경사지게 설치한 제1발열관(111)과, 상기 제1발열관(111) 일측에 플랜지 볼트낫트에 의해 조립장착한 NO.1 브라운가스버너(131)와, 상기 제1발열관(111)의 연결공에 연결하여 분말상의 화장재를 투입하기 위해 출구게이트(141)를 부설한 화장재 호퍼(140)와, 상기 도가니(120) 하면에 형성된 용탕배출구(122) 바로 밑에 연계하여 용탕이 흘러내리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제2발열관(112)과, 상기 제2발열관(112)의 출구 쪽에 설치한 NO.2 브라운가스버너(132)와, 상기 도가니로 본체(100)의 로벽(101) 일측에 설치한 제3발열관(113)과 상기 제3발열관(113)을 버너공으로 사용하여 설치한 NO.3 브라운가스버너(133)를 각각 연계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NO.1, NO.2 브라운가스버너(131, 132)는 도가니(120) 내부를 가열하고 상기 NO.3 브라운가스버너(133)는 도가니(120) 외벽을 가열하여 도가니 내외부를 가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온도를 높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도가니(120)는 1600℃이상의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고온세라믹 재질로 압축성형하여 병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상부에 배기공(123)을 형 성하고 측면에 제1발열관 삽입공(121)을 형성하며 하면에 용탕배출구(122)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용탕배출구(122)의 위치는 도가니 수직 센터라인으로부터 각각 일정치수만큼 편심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제3 발열관(111, 112, 113)은 탄화규소질의 내화물(SiC)로 압축 성형하여 중공관으로 제작한 것으로 제1발열관(111)은 화장재 호퍼(140)의 출구와 연결되도록 연결공을 형성한 것이고 제2발열관(112)은 용탕입구보다 출구쪽이 약간 확관된 형상을 한 것이며 제3발열관(113)은 단순 중공관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KR1020060079907A 2006-08-23 2006-08-23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KR100797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907A KR100797411B1 (ko) 2006-08-23 2006-08-23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907A KR100797411B1 (ko) 2006-08-23 2006-08-23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619U Division KR200431044Y1 (ko) 2006-08-23 2006-08-23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411B1 true KR100797411B1 (ko) 2008-01-28

Family

ID=3921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907A KR100797411B1 (ko) 2006-08-23 2006-08-23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4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339A (ja) * 1996-02-05 1997-08-12 Daido Steel Co Ltd 廃棄物溶融炉
JP2000039123A (ja) 1998-07-24 2000-02-08 Ekoo Kk ブラウンガスを使用する廃棄物の焼却方法及び焼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339A (ja) * 1996-02-05 1997-08-12 Daido Steel Co Ltd 廃棄物溶融炉
JP2000039123A (ja) 1998-07-24 2000-02-08 Ekoo Kk ブラウンガスを使用する廃棄物の焼却方法及び焼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732B1 (ko) 수직형 연속식 왕겨 탄화 제조장치
KR100366611B1 (ko) 유골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LU87253A1 (fr) Four de spherulisa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perles vitreuses
KR100928388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JPH02500771A (ja) 熱分解気化器を含む暖房ストーブ
KR200431044Y1 (ko)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JP3051135B2 (ja) 物質の溶融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
KR100797411B1 (ko)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
KR19990078496A (ko) 유골을 결정체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장치
RU2361161C2 (ru) Отражательная печь для переплава металла
KR20110047456A (ko) 골분 용융용 도가니로 및 이를 이용한 골분 용융 결정화 장치
RU2557187C2 (ru) Газовая тигельная печь
KR100704027B1 (ko) 유골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815824B1 (ko)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를연계구성한 브라운가스 화장로
KR200431054Y1 (ko)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를연계구성한 브라운가스 화장로
KR101103111B1 (ko) 유골분 결정화 방법
KR200437991Y1 (ko) 화로와 수조가 분리된 보일러
RU46557U1 (ru) Топка кипящего слоя с огненной массой
JP2008095068A (ja) 樹脂系改質剤の製造装置
JPH0648718A (ja) 活性炭の製造装置
JP2010032148A (ja) 竪型焼成炉装置
US606011A (en) Ington
KR200255038Y1 (ko) 귀금속 주물 소성 전기로
US1042825A (en) Crucible-furnace.
CN105485689A (zh) 一种小型气化焚烧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