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854B1 - 휴대통신기기 - Google Patents

휴대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854B1
KR100796854B1 KR1020060079229A KR20060079229A KR100796854B1 KR 100796854 B1 KR100796854 B1 KR 100796854B1 KR 1020060079229 A KR1020060079229 A KR 1020060079229A KR 20060079229 A KR20060079229 A KR 20060079229A KR 100796854 B1 KR100796854 B1 KR 100796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oles
hole
speake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543A (ko
Inventor
겐조오 다이몬
기미아끼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7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854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8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 H04R1/2842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음을 방출하는 스피커와, 이면 쪽 캐비닛(45)에 형성된 복수의 음 방출공(15, 16, 17)과, 망사시트(53)와, 양면테입(52)과, 투명시트(51)를 배설한다. 음 방출공(15, 16, 17)과, 망사시트(53)와, 양면테입(52)과, 투명시트(51)에 의해 스피커로부터의 음 방출 방향을 제어한다.
스피커, 캐비닛, 음 방출공, 망사시트, 양면테입, 투명시트, 위치결정용 돌기, 위치결정용 구멍

Description

휴대통신기기{POTABLE COMMUNICATION TOO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휴대전화기를 펼친 상태를 오른쪽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휴대전화기를 접은 상태를 오른쪽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휴대전화기의 제 1 케이싱 및 그 내부 분해도.
도 4는 제 1 케이싱 이면 쪽 캐비닛의 음 방출공 및 그 주변을 그 이면 쪽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휴대전화기의 망사시트, 양면테입, 투명시트를 제 1 케이싱의 이면 쪽 캐비닛에 접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휴대전화기의 망사시트, 양면테입, 투명시트의 조립상태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
도 7은 휴대전화기의 투명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휴대전화기의 양면테입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휴대전화기의 망사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음향특성시험 사례A에서의 관통공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음향특성시험 사례B에서의 관통공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음향특성시험 사례C에서의 관통공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스피커의 음향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전화기
15 : 제 1 음 방출공(관통공, 음 방출 제어수단)
16 : 제 2 음 방출공(비관통공, 음 방출 제어수단)
17 : 제 3 음 방출공(음 차단공, 음 방출 제어수단)
18 : 위치결정용 돌기
41 : 음 누출방지용 쿠션(음 누출방지수단, 고무쿠션)
43 : 스피커
43a : 스피커 쪽 쿠션(음 누출방지수단)
45 : 이면 쪽 캐비닛
51 : 투명시트(음 방출 제어수단)
51a : 투명시트 쪽 개구
51b, 52b : 위치결정용 구멍
52 : 양면테입(음 방출 제어수단)
52a : 양면테입 쪽 개구
53 : 망사시트(음 방출 제어수단)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나 PHS 등의 휴대통신기기에 관하며, 특히 그 스피커의 음을 방출하는 음 방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통신기기는, 휴대전화기나 PHS(간이형 휴대전화 시스템)와 같이 소형화가 진행되는 한편, TV, TV전화 등의 각종 기능이 탑재되게 되었다. 때문에 이들에 탑재되기 위한, 수화부와는 별도의 스피커가 필요하게 된다. 스피커로부터의 음은, 스피커 전면(前面)에 있는 캐비닛에 음 방출공을 복수 형성함으로써 방출된다. 이와 같은 휴대통신기기로서, 예를 들어 일특개평 9-215076호 공보 및 일특개 2002-152871호 공보가 있다.
일특개평 9-215076호 공보에서는, 캐비닛 이면에 스피커를 배설하고, 스피커 앞면에 관통공 및 그 관통공 주위에 더미공을 형성하며, 더미공 형상을 직경 3mm 이하, 깊이 0.5mm 이상으로 하거나, 더미공의 저면 형상을 원추형, 사다리형, 반구형으로 하여, 더미공으로 들어온 직진광이 직선으로 반사되지 않고 난반사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강구했다. 이와 같이 하여 외관상, 관통공과 더미공을 구별하기 어렵게 하여 디자인성을 향상시켰다.
일특개 2002-152871호 공보에서는, 더미공을, 투명수지패널의 앞면에 형성된 제 1 오목부와, 투명수지패널의 배면에 형성되며 제 1 오목부와 대향하는 제 2 오목부로 구성하고, 캐비닛의 적어도 제 2 오목부와 접하는 부분을, 상기 캐비닛에 장착된 스피커의 진동판과 동색으로 착색한다. 이로써 스피커용의 음 방출공과, 더미공의 외관적 차이의 부자연스러움을 해소하여, 디자인 면에서 우수함과 동시에, 성형이 용이하고 종래의 강도를 유지하며, 금형의 보수원가가 낮은 투명수지패널을 장착한 캐비닛을 얻도록 했다.
그런데 1개의 스피커에 의해 캐비닛에 형성한 음 방출공으로부터 방출하는 음에 관해, 음 방출공의 위치에 따라 방출되는 음질이 변화하는 것이 알려졌다.
그러나 제품은 디자인면도 경시할 수 없으며, 음질과 디자인성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디자인면과 음질을 고려하여 쌍방에 유리한 음 방출공을 배설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발명에서 휴대통신기기는, 캐비닛과, 음을 방출하는 스피커와, 이 스피커로부터의 음 방출 방향을 제어하는 음 방출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음 방출제어수단은, 캐비닛에 형성된 복수의 음 방출공과, 망사 시트와, 양면테입과, 투명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립이 쉬운 간단한 구성으로 비용을 들이지 않고, 스피커로부터의 음 방출 방향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스피커로부터의 음 방출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음질 변화의 자유도가 증대한다.
제 2 발명에서, 상기 음 방출공은, 캐비닛을 관통한 복수의 관통공과, 캐비닛을 관통하지 않고 표면 쪽이 함몰된 비관통공으로 구성되며, 이 비관통공은 음 방출공이 배설된 영역의 중앙부에 배설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관통공은, 캐비닛을 관통하지 않고, 표면 쪽이 함몰된 점에서 관통공과 외관상의 차이가 작아지므로, 디자인성이 좋아진다.
제 3 발명에서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는 관통공의 일부가 투명시트로 피복되어 음을 통과시키지 않는 음 차단공으로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음 차단공은, 투명시트로 피복되어 음을 통과시키지 않는 성능을 가지나, 투명한 부재로 피복되므로, 외관은 관통공과 다름없어 디자인성이 좋아진다.
제 4 발명에서 상기 비관통공 및 음 차단공은, 음 방출공이 배설된 영역의 중앙부분에 배설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음을 통과시키지 않는 비관통공 및 음 차단공이 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으로 둘러싸인 위치에 배설된다.
제 5 발명에서 상기 스피커는, 음 방출공이 배설된 영역의 중앙부분에 배설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스피커의 음은 비관통공 및 음 차단공을 개재하는 관통공으로부터 방출된다.
제 6 발명에서, 상기 음 방출공은 좌우 대칭으로 배설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1개의 스피커로부터 좌우 대칭의 음 방출도 가능해지므로, 스피커를 복수 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 7 발명에서, 상기 망사시트와, 양면테입과, 투명시트는, 캐비닛 내면에서 접착되며, 상기 망사시트는 적어도 모든 상기 관통공을 피복하고, 상기 양면테입은 적어도 모든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양면테입 쪽 개구를 가지며, 상기 투명시트는, 상기 음 차단공을 제외한 관통공만을 둘러싸는 투명시트 쪽 개구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디자인면을 변경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음질 제어가 이루어진다.
제 8 발명에서 상기 양면테입은, 복수의 양면테입 쪽 위치결정용 구멍을 가지며, 상기 투명시트는, 상기 양면테입 쪽 위치결정용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투명시트 쪽 위치결정용 구멍을 갖고,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각 위치결정용 구멍에 대응하도록 위치결정용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양면테입 및 투명시트의 위치결정이 용이해져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9 발명에서는, 상기 스피커로부터의 음 누출을 방지하는 음 누출 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음 누출 방지수단에 의해 스피커로부터의 불쾌한 음 누출이 방지된다.
제 10 발명에서 상기 음 누출 방지수단은, 스피커에 구성된 스피커 쪽 쿠션과, 캐비닛에 배설된 고무쿠션을 밀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간단하며 조립이 용이한 구성으로 스피커로부터의 음 누출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제 11 발명에서 상기 휴대통신기기는 휴대전화기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음질이 좋고 디자인 좋은 휴대전화기가 얻어진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휴대통신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1)를 펼친 상태를 오른쪽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오 른쪽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1)는,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가지며, 이들이 힌지부(5)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결합된다.
상기 제 1 케이싱(2)의 표면 쪽(안쪽)에는 액정표시부(4) 및 수화부(6)가 구성되며, 이면 쪽(바깥쪽)에는 오디오의 되감기 버튼(11), 정지/재생 버튼(12), 빨리감기 버튼(13), 메뉴버튼(14), 착신을 확인하거나, 메뉴를 표시하거나, 비사용 시에는 시계를 표시하기 위한 서브표시부(10) 등이 구성된다.
상기 제 2 케이싱(3)의 표면 쪽에는, 송화부(7), 정보입력 버튼(8), 기능버튼(9)이, 이면 쪽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카메라부, 전지덮개가 각각 구성된다.
그리고 전화, 메일 통신 시에는, 상기 제 1 케이싱(2)과 상기 제 2 케이싱(3)을 펼친 상태에서 실행하며, 착신을 확인하거나, 음악을 들을 때는 상기 제 1 케이싱(2)과 상기 제 2 케이싱(3)을 접은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3에 분해시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2)은 표면 쪽 캐비닛(30)과 이면 쪽 캐비닛(45)을 구비한다. 이 이면 쪽 캐비닛(45)에 제 1 내지 제 3 음 방출공(15, 16, 17)이 형성된다. 도 4에 확대시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중 중앙에 배설된 제 2 음 방출공(16)(본 실시예에서는 3개)은, 이면 쪽 캐비닛(45)을 관통하지 않고 표면 쪽만 함몰된 비관통공으로 구성된다. 이 제 2 음 방출공(16) 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이면 쪽 캐비닛(45)을 관통하는 제 1 음 방출공(15) 및 제 3 음 방출공(17)이 배설된다. 이와 같이, 제 2 음 방출공(16)을 표면 쪽만 함몰시킨 비관통공으로 구성함으로써, 제 2 음 방출공(16)은 제 1 음 방출공(15) 및 제 3 음 방출공(17)과 외관 차이가 작아져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 쪽 캐비닛(30)에는, 스피커 설치부(46)가 형성되며, 이 스피커 설치부(46)에 스피커(43)가 배설된다. 이 스피커(43) 위에서 음 누출방지수단으로서 고무제의 음 누출방지용 쿠션(41)이 피복되도록 구성된다. 이 음 누출방지용 쿠션(41)에는 중앙에 스피커용 창(42)이 형성된다. 또 스피커(43) 표면 쪽에도 고리형의 음 누출방지수단으로서의 스피커 쪽 쿠션(43a)이 접착된다. 그리고 표면 쪽 캐비닛(30)과 이면 쪽 캐비닛(45) 사이에 마그네슘 프레임(44)을 개재하도록 하여 제 1 케이싱(2)이 조립된다. 이 때 음 누출방지용 쿠션(41)과 스피커 쪽 쿠션(43a)이 밀착되도록 당접시켜 스피커(43)로부터의 음 누출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간단하며 조립이 용이한 구성으로 스피커(43)로부터 의도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음 누출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음 방출공(15, 16, 17)의 안쪽에 스피커(43)가 배설된다. 이로써 휴대전화기(1)를 접은 상태에서, 스피커(43) 음이 방출되게 된다. 이 스피커(43)는, 본체에 기록한 음이나, SD카드에 기록한 음, TV수신 시의 음 등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시트(51)와, 양면테입(52)과, 망사시트(53)가, 이면 쪽 캐비닛(45)의 이면 쪽(코어 쪽)에서 접착된다. 이들 투명시트(51)와, 양면테입(52)과, 망사시트(5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테입(52)에 투명시트(51)와 망사시트(53)가 각기 다른 면에서 각각 붙여진 상태로 조립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투명시트(51)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모서리부가 둥근 사다리형의 한 쌍의 투명시트 쪽 개구(51a)와, 한 쌍의 둥근 위치결정용 구멍(51b)을 구비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양면테입(52)은, 상기 투명시트(51)보다 약간 작은 양면테입으로, 상기 투명시트 쪽 개구(51a)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 투명시트 쪽 개구(51a)보다 안쪽으로 폭 넓은 한 쌍의 양면테입 쪽 개구(52a)가 형성된다. 또 투명시트(51)의 위치결정용 구멍(51b)과 동일 위치에 위치결정용 구멍(52b)이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사시트(53)는, 양면테입 쪽 개구(52a)보다 약간 크며, 망사재료로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이면 쪽 캐비닛(45)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결정용 돌기(18)에 위치결정용 구멍(51b, 52b)을 끼워 접착된다. 이로써 양면테입(52) 및 투명시트(51)의 위치결정이 용이해져,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좌우 양쪽에 배치된 제 1 음 방출공(15)은 망사시트(53)만으로 피복되어, 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으로서 구성된다. 이 제 1 음 방출공(15) 안쪽의 제 3 음 방출공(17)은 망사시트(53)와 투명시트(51)로 피복되어, 관통공으로 보이나 음을 통과시키지 않는 음 차단공이다. 이로써 제 3 음 방출공(17)은, 외관은 제 1 음 방출공(15)과 다름없이 디자인성이 좋아진다. 중심에 위치하는 제 2 음 방출공(16)은 비관통공으로 음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음 방출공(16)은, 비관통공이며 그 개수는 3개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 제 1 음 방출공(15)은, 관통공이며 그 개수는 좌우로 5개씩 합계 10개이다. 제 3 음 방출공(17)은, 음 차단공이며 그 개수는 좌우로 2개씩 합계 4개이다.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음 방출공(15, 16, 17)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스피커(43)는, 제 2 음 방출공(16) 바로 아래에 그 중심이 오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스피커(43)의 음은, 제 2 음 방출공(16) 및 제 3 음 방출공(17)을 개재하는 제 1 음 방출공(15)으로부터 방출되며, 1개의 스피커(43)로부터 좌우 대칭의 음 방출도 가능해지므로, 스피커(43)를 복수 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디자인면을 변경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음질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음 방출공(15, 16, 17), 투명시트(51), 양면테입(52) 및 망사시트(53)가, 스피커(43)로부터의 음 방출 방향을 제어하는 음 방출제어수단 을 구성한다.
-실시예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이 쉽고 간단한 구성으로 비용을 들이지 않고, 스피커(43)로부터의 음 방출 방향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스피커(43)로부터의 음 방출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음질 변화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 음질을 자유롭게 변경해도, 디자인면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음질 좋고 디자인 좋은 휴대전화기(1)가 얻어진다.
-음향특성시험-
이상 설명한 제 1 내지 제 3 음 방출공(15, 16, 17)은, 음향특성시험 결과에 따라 최적의 개수로 배치된다.
즉 디자인 면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음 방출공(15, 16, 17) 모두를 관통공으로 하는 것이 전체적으로는 통일된 미관을 가져 바람직하나, 음향특성시험 결과, 모두를 관통공으로 할 경우, 고음이 커지는, 귀에 거슬리는 음으로 되어버림을 알았다.
그래서 불쾌한 음을 없애기 위해, 다음의 3종류의 음향특성시험을 실시했다.
사례A 제 1 내지 제 3 음 방출공(15, 16, 17) 모두를, 이면 쪽 캐비닛(45)을 관통하여 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으로 한다(도 10에 나타냄).
사례B 제 1 음 방출공(15), 제 3 음 방출공(17)을, 이면 쪽 캐비닛(45)을 관통하여 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으로 하며, 제 2 음 방출공(16)을, 이면 쪽 캐비닛(45)을 관통하지 않고 음을 통과시키지 않는 비관통공으로 한다(도 11에 나타냄).
사례C 제 1 음 방출공(15)을 이면 쪽 캐비닛(45)을 관통한 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으로 하며, 제 2 음 방출공(16) 및 제 3 음 방출공(17)을, 이면 쪽 캐비닛(45)을 관통하지 않고 음을 통과시키지 않는 비관통공으로 한다(도 12에 나타냄).
이 3종류의 음향특성시험 결과를 도 13에 나타낸다.
사례A의 데이터는, 8500Hz 부분에 음압의 피크가 있다.
사례B의 데이터는, 7700Hz 부분에 음압의 피크가 있다.
사례C의 데이터는, 6900Hz 부분에 음압의 피크가 있다.
이 결과를 보면, 3종류의 음향특성시험 중에서는, 상기 사례C에서 실시하면 불쾌한 음이 가장 적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디자인면에서 보면 비관통공이 7개 존재하게 되어 외관이 좋지 않다. 즉 음향특성시험 결과를 좋게 하도록 하면 디자인성이 떨어지고, 디자인성을 좋게 하면 음향특성시험 결과가 나빠진다는 상반된 결과로 됨을 알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6900Hz에 피크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하여, 제 3 음 방출공(17)은 이면 쪽 캐비닛(45)을 관통한 관통공을 투명시트(51) 및 망사시 트(53)로 피복하여, 디자인 면에서는 비관통공을 제 2 음 방출공(16)(3개)으로만 보이게 하는 방법을 실현했다.
이로써 디자인 면에서는 제 2 음 방출공(16)만 비관통공이고, 제 1 및 제 3 음 방출공(15, 17)은 관통공으로 보이게 된다. 음향특성시험 면에서는 투명시트 쪽 개구(51a)로부터만 음이 나오므로, 상기 음향특성시험에서 사례C의 6900Hz에 피크를 갖도록 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대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음향특성시험 결과로부터 각 음 방출공(15, 16, 17)의 개수 및 위치를 결정했으나, 이 배치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음 방출공의 크기나 총수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그와 함께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음향특성시험을 실시하면, 최적의 개수 및 위치를 알 수 있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질을 자유롭게 변경해도, 디자인면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음질 좋고 디자인 좋은 휴대통신기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캐비닛(45)과,
    음을 방출하는 스피커(43)와, 이 스피커(43)로부터의 음 방출 방향을 제어하는 음 방출제어수단(15, 16, 17, 51, 52, 53)을 구비하는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음 방출제어수단은, 캐비닛에 형성된 복수의 음 방출공(15, 16, 17)과, 망사시트(53)와, 양면테입(52)과, 투명시트(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 방출공(15, 16, 17)은, 캐비닛(45)을 관통한 복수의 관통공(15, 17)과, 캐비닛(45)을 관통하지 않고 표면 쪽이 함몰된 비관통공(16)으로 구성되며, 이 비관통공(16)은, 음 방출공(15, 16, 17)이 배설된 영역의 중앙부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45)을 관통하는 관통공(15, 17)의 일부가 투명시트(51)로 피복되어 음을 통과시키지 않는 음 차단공(17)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관통공(16) 및 음 차단공(17)은, 음 방출공(15, 16, 17)이 배설된 영역의 중앙부분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43)는, 음 방출공(15, 16, 17)이 배설된 영역의 중앙부분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 방출공(15, 16, 17)은, 좌우 대칭으로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시트(53)와, 양면테입(52)과, 투명시트(51)는, 캐비닛(45) 내면에서 접착되며,
    상기 망사시트(53)는 적어도 모든 상기 관통공(15, 17)을 피복하고,
    상기 양면테입(52)은 적어도 모든 상기 관통공(15, 17)을 둘러싸는 양면테입 쪽 개구(52a)를 가지며,
    상기 투명시트(51)는, 상기 음 차단공(17)을 제외한 관통공(15)만을 둘러싸는 투명시트 쪽 개구(51a)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테입(52)은, 복수의 양면테입 쪽 위치결정용 구 멍(52b)을 가지며,
    상기 투명시트(51)는, 상기 양면테입 쪽 위치결정용 구멍(52b)에 대응하는 위치에 투명시트 쪽 위치결정용 구멍(51b)을 갖고,
    상기 캐비닛(45)에는, 상기 각 위치결정용 구멍(51b, 52b)에 대응하도록 위치결정용 돌기(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43)로부터의 음 누출을 방지하는 음 누출 방지수단(41, 43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 누출 방지수단은, 스피커(43)에 구성된 스피커 쪽 쿠션(43a)과, 캐비닛(45)에 배설된 고무쿠션(41)을 밀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기기는 휴대전화기(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KR1020060079229A 2005-08-23 2006-08-22 휴대통신기기 KR100796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229A KR100796854B1 (ko) 2005-08-23 2006-08-22 휴대통신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41450 2005-08-23
KR1020060079229A KR100796854B1 (ko) 2005-08-23 2006-08-22 휴대통신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543A KR20070023543A (ko) 2007-02-28
KR100796854B1 true KR100796854B1 (ko) 2008-01-22

Family

ID=4134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229A KR100796854B1 (ko) 2005-08-23 2006-08-22 휴대통신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461B1 (ko) 2009-03-20 201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향 기기의 소리 입·출력 홀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871A (ja) * 2000-11-13 2002-05-24 Sharp Corp 透明樹脂パネルを装着したキャビネット
US20040207978A1 (en) * 2003-03-28 2004-10-21 Dai Ueda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1478206A2 (en) * 2003-05-13 2004-1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S20040264688A1 (en) * 2003-06-27 2004-12-30 Hampton Patrick A. Acoustic seal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871A (ja) * 2000-11-13 2002-05-24 Sharp Corp 透明樹脂パネルを装着したキャビネット
US20040207978A1 (en) * 2003-03-28 2004-10-21 Dai Ueda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1478206A2 (en) * 2003-05-13 2004-1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S20040264688A1 (en) * 2003-06-27 2004-12-30 Hampton Patrick A. Acoustic sea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543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2032B2 (ja) 携帯通信機器
US8553874B2 (en) Display cover and case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4215624B2 (ja) 音響装置
KR10118660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US7400910B2 (en) Speaker sound enhancement for a mobile terminal
EP2337373B1 (en) Cover for a case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hidden sound openings offset from an audio source
WO2020011036A1 (en)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WO2012073513A1 (ja) 電子機器
US7976782B2 (en) Exterior panel for receiving aromatic substance, and mobile terminal using exterior panel for receiving aromatic substance
JP2006262262A (ja) 電気音響変換器の取付構造
KR100743005B1 (ko) 휴대 단말 장치
CA2507674A1 (en) Display cov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2011055300A (ja) 携帯端末装置
US2010005386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hidden sound openings offset from an audio source
CA2715722C (en) Electronic device and case having offset sound openings
KR100796854B1 (ko) 휴대통신기기
US20060088179A1 (en) Moveable device component with acoustic porting
JP2010187312A (ja) 通話装置における受話口の構造および携帯電話機
KR20040042477A (ko) 스테레오 사운드 기능을 갖는 휴대폰
KR20020057901A (ko)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