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669B1 - Noise protection ground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Noise protection ground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669B1
KR100795669B1 KR1020060111948A KR20060111948A KR100795669B1 KR 100795669 B1 KR100795669 B1 KR 100795669B1 KR 1020060111948 A KR1020060111948 A KR 1020060111948A KR 20060111948 A KR20060111948 A KR 20060111948A KR 100795669 B1 KR100795669 B1 KR 10079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ical
interlayer noise
slab
holes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덕기
Original Assignee
고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덕기 filed Critical 고덕기
Priority to KR102006011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6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6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A floor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is provided to diffuse noise, to obtain durability, and to minimize a subsidence phenomenon of the ground by forming reinforcing ribs at four sides and forming holes between reinforcing ribs. A wall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late(102) is attached to a lower end of a wall(101) of the entire edges where a slab(100) and the wall are met by using a both-side adhesive tape. Round shaped apexes of conical projections of an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1a) having holes(30) in which a subsidence prevention mount(40) is inserted. Reinforcing ribs are formed at four sides to form spaces to absorb and diffuse the noise. The reinforcing ribs are formed with gaps for noise flow. Holes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The subsidence prevention mounts are inserted in the hole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A waterproof tape is attached to the entire edges wher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lates and materials are met. An aerated lightweight concrete(103) is poured on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A hypocaust pipe and a finishing mortar(104) are poured on the aerated lightweight concrete.

Description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Noise Protection Ground Construction Method}Noise protection ground construction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의 일(一)실시예를 나타낸 사진.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noise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noise suppre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의 돌기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Figure 3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projection configuration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의 시공요령을 나타낸 참고사시도.Figure 5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의 시공요령을 나타낸 평면도.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의 습식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t construction state of the floor noise prevention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의 습식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t construction state of the floor noise prevention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침하방지마운트에 대한 분해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nti-sediment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도9의 중간 몸체를 평면에서 바라 본 평면도.Fig. 10 is a plan view of the intermediate body of Fig. 9 in plan view;

도11은 본 발명의 침하방지마운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nti-seizure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의 반 건식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mi-dry construction stat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의 반 건식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mi-dry construction state of the floor noise prevention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의 건식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 construction state of the floor noise prevention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의 건식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 construction state of the interlayer noise protection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1은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에 대한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에서 발급한 동탄성 시험결과표.Table 1 is a table of dynamic elasticity test results issued by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Institute of Housing and Urban Noise for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1-1부터 표 1-5는 상기 표 1의 시험을 위한 시험조건 등을 나타낸 표.Table 1-1 to Table 1-5 is a table showing the test conditions and the like for the test of Table 1.

표 2는 본 발명의 침하방지마운트에 대한 출원인 회사의 부설시험연구소에서 발급한 동탄성 시험결과표.Table 2 is a table of dynamic elasticity test results issued by the company's affiliated test laboratory for the anti-sediment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2-1부터 표 2-4는 상기 표 2의 시험조건 및 결과를 나타낸 표.Table 2-1 to Table 2-4 is a table showing the test conditions and results of Table 2.

사진 1은 본 발명의 습식 시공방법을 통해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에서 크랙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를 촬영한 사진.Photo 1 is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no crack is generated in the state of pouring lightweight foam concrete through the wet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진 2는 종래의 습식 시공방법을 통해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에서 크랙이 발생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Photo 2 is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cracks are generated in the state of pouring lightweight foam concrete through the conventional wet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탄성 계 수가 2.8MN/㎥이라는 매우 진보된 결과를 가지는 층간소음방지물(1)(1a)과 동탄성 계수가 1.0MN/㎥이라는 더욱 진보된 결과를 가지는 침하방지마운트(40)를 최초로 사용함으로서 층간 소음방지(중량충격음 방지)를 획기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특징으로 인하여 습식 시공은 물론 반 건식 시공과 건식 시공 모두에 적용하여 층간 소음방지(중량충격음 방지)를 이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terlayer noise-proof floor structure. In particular,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1a) having a very advanced result of having a dynamic elastic modulus of 2.8 MN / m 3 and a dynamic elastic modulus of 1.0 MN / m 3 By using the anti-sediment mount (40) for the first time with more advanced results,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heavy shock sound prevention) can be dramatically implemented, so it is applicable to both wet construction as well as semi dry construction and dry construction.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can achieve (heavy shock sound prevention).

근래에 이르러 아파트 또는 빌라 등의 건축물에 있어서 층간 소음방지 다시 말해서, 층간 충격음(경량충격음, 중량충격음) 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법안이 마련될 정도로 층간 소음방지 문제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대두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관련 업계 및 관련 전문가들은 다양한 방법을 안출하여 현장 적용을 위한 시도를 하고 있으나 모두 건식과 반 건식 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같이 건식과 반 건식 시공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는 이유는, 습식에서 층간소음방지 문제를 만족할 정도로 해결한 것이 안출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습식에서 중량충격음을 해결하지 못했던 이유는 이하 제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과 같은 층간소음방지물과 침하방지마운트를 개발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현재까지 안출된 층간소음방지 관련한 기술과 특허는 대부분이 건식과 반 건식 시공을 기준한 것은 습식에서 층간소음방지문제를 만족할 정도로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In recent years, the prevention of floor noise in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or villas, namely, the problem of floor noise prevention has emerged as an urgent problem to be solved so that legislation for minimizing the transmission of impact sound (light impact sound, heavy impact sound) is proposed. . To this end, related industries and related experts have devised various methods for field application, but both focus on dry and semi-dry construction. The reason why we have to focus on dry and semi-dry construction is that we have not come up with a solution that satisfies the problem of preventing inter-layer noise in wet. The reason why the weight shock sound was not solved in the wet is because it did not develop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 and anti-sedimentation mount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most of the technologies and patents related to interlayer noise prevention that have been made up to now have been based on dry and semi-dry construction because they have not been solved to satisfy the problem of interlayer noise prevention in wet.

즉, 통상의 아파트 또는 빌라의 건축에 있어서 적용되는 건식과 반 건식 시공에 있어서, 먼저 건식은 슬래브(100) 위에 적절한 숫자의 기둥을 위치시키고 상기 기둥 위에 차단판을 위치시키며 다시 차단판 위로 기둥을 위치시키고 그 기둥 위로 합판이나 합성수지판, 금속판, 나무판 등을 깔아서 바닥구조를 완성하는 공법이다. 그리고 반 건식은 슬래브(100) 위에 적절한 숫자의 기둥을 위치시키고 상기 기둥 위로 차단판을 상기 차단판 위로 차음재를 위치시킨 후 상기 차음재 위로 마감몰탈을 타설하여 바닥구조를 완성시키는 공법이다.That is, in the dry and semi-dry constructions applied in the construction of a typical apartment or villa, first, the dry place the appropriate number of pillars on the slab (100), the barrier plate on the pillars, and again to place the pillar over the barrier plate It is a method of laying the floor structure by placing plywood, synthetic resin plates, metal plates, and wooden boards on the pillars. The semi-dry method is a method of placing a proper number of pillars on the slab 100, placing a barrier plate over the pillars and placing the sound insulation material on the barrier plate, and then pouring a finishing mortar over the sound insulation material to complete the floor structure.

그런데, 상술한 건식과 반 건식 시공에 따른 바닥구조는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동탄성 개념과 시공에 대한 침하방지 개념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어 무조건 차음판과 차음재의 두께만 증가시키고 공간을 확보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시공상의 어려움과 시험실이 아닌 현장 적용시 효과가 없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중량충격음 문제는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dry and semi-dry construction described above does not apply to the concept of dynamic elasticity and anti-sediment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aterials used, so that only the thickness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and sound insulation material is increased and space is secured. Therefore, due to problems such as construction difficulties and ineffective in the application of the site other than the laboratory, the situation of weight shock sound is not solved at all.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공에 있어서, 경량충격음은 슬래브(100)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거의 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시공회사에서는 슬래브(100)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시공을 하고 있는데, 현행 슬래브(100)의 두께가 180mm에서 중량충격음이 양호하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어 향후 210mm로 슬래브(100)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밖에 없는 실정에 놓여 있다. 그런데, 중량충격음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슬래브(100)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건축비의 상승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고 상승된 건축비는 소비자가 다 떠안아야 하는 모순이 발생되는 것이고 거시적인 측면에서 보면 건축기술의 퇴보를 초래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light weight impact sound can be almost solv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lab 100, the construction company is constructing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lab 100, the current slab (100) ), The weight impact sound is not well resolved at a thickness of 180 mm, so the thickness of the slab 100 has to be increased to 210 mm in the future. Howeve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lab 100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heavy impact sound, which inevitably leads to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increased construction cost is a contradiction that the consumer must hold, and in terms of the macroscopic aspect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It will lead to degeneration.

따라서 다세대 건축물의 바닥구조 시공에 있어서 가장 합리적인 시공방법은 본 발명이 추구하는 바와 같은 습식 바닥구조 시공인데, 이는 슬래브(100)의 위로 차음재를 깔고 다시 차음재의 위로 경량기포콘트리트를 타설한 다음 경량기포콘크 리트 위로 마감몰탈을 타설하고 마감몰탈 위로 바닥마감재를 부착시켜서 완성을 하는 공법이다. 그런데, 종래의 습식 바닥구조 시공에 있어서도 경량충격음 문제는 다소 해결할 수는 있으나 특히 중량충격음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고, 슬래브(100)의 위에 깔리는 차음재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중량과 마감몰탈의 중량, 온수배관의 중량, 마닥마감재의 중량 및 가구의 중량이 가해져서 시공 후 몇 년 이내에 침하현상(납작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결국 경량충격음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나아가 중량충격음의 해결은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2005. 연구성과발표회 논문(200쪽)-공동주택바닥충격음 인정 바닥구조 개발연구/오진균 외3명-을 살펴보면, 바닥의 ㎡ 당 100Kg 전후의 중량이 가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차음재의 침하현상은 심하게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습식 바닥구조의 시공에 있어서도 슬래브(100)의 두께를 증가시켜서 시공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생길 정도로 심각한 현실에 직면하고 있고 만일 슬래브(100)의 두께를 증가시킨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불합리한 모순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Therefore, the most reasonable construction method in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 structure of multi-generation buildings is the wet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seeks, which is to lay the light-insulating material over the slab 100, and then poured the light foam concrete over the sound-absorbing material and then light air bubbles It is a method of finishing finishing mortar by pouring concrete and attaching floor finishing material on finishing mortar. By the way, even in the conventional wet floor construction, the problem of lightweight impact sound can be somewhat solved, but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weight impact sound is not solved, and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laid on the slab 100 is the weight of lightweight foam concrete and the weight of the finishing mortar, hot water Due to the weight of the pipe, the weight of the finishing material, and the weight of the furniture, subsidence (flattening) occurs within a few years after construction, and eventually the light impact sound is not properly solved. It is not getting. For reference, the Korea Housing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for Housing and Urban Research 2005. Research Papers (200 pages)-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loor structure sound recognition for joint housing / Ojin Jin-kyun and 3 others-shows the weight of 100Kg per square meter of floor. As such, the sinking of the sound insulation material is seriously occurring. Accordingly, even in the construction of a wet floor structure, a serious reality is encountered such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00 should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thereof. If the thickness of the slab 100 is increased, an irrational contradic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accompanied. There is no choice but to.

또한 습식 바닥구조의 시공에 있어서 사용되는 종래의 차음재는, 본 발명과 같이 우수한 동탄성 개념이 적용된 재료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 층간소음발생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차음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과학적인 수단을 구비하지 못하여 층간소음발생 문제를 더욱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ound insulation material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wet floor structure is not using the material applied with the excellent dynamic elasticity concept,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interlayer noise, science that can prevent the settlement of sound insulation material It does not provide a mean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noise generation between floors.

즉, 상술한 종래의 차음재는 우수한 동탄성 계수를 획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만일 비교적 우수한 동탄성 계수를 획득하였다고 하더라도 침하방지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차음재의 침하현상이 크게 두드러지는 문제가 있어 실용성에 큰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암면류는 동탄성 계수가 5MN/㎥ 정도까지도 낮아질 수 있으나 이는 강도 및 인성(질긴 성질)이 불량하여 사실상 차음재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고 동탄성 계수가 5MN/㎥ 정도로는 차음효과가 우수하지 않고 결국 침하현상이 발생된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ound insulation materials are mostly unable to obtain excellent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and even if a relatively good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is obtai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ttlement of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is notable because the settlement prevention means is not provided. It is a big obstacle. On the other hand, rock wool may have a low dynamic modulus of about 5MN / ㎥, but this has a problem of being used as a sound insulation material because of poor strength and toughness (toughness). And eventually sinking occurs.

참고로, 동탄성 계수와 바닥충격음 완충재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는 사항을 살펴보기로 한다.For reference, consider the matters that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ynamic modulus and the bottom shock absorber.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89호 제28조를 살피면, "바닥충격음 인정획득을 위한 기초시험에는 반드시 동탄성 시험을 거쳐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고,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2005. 연구성과발표회 논문(198쪽)-공동주택바닥충격음 인정 바닥구조 개발연구/오진균 외3명-을 살펴보면, "바닥충격음 완충재의 진동저감 측면에서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동탄성 계수에 대한 측정을 하게 되며 이에 대한 측정방법은 2003년 한국산업규격(KS F 2868, 거주공간 뜬 바닥용 재료의 동탄성계수측정방법)으로 규정되어 있음" 이라고 나타나 있는데, 이를 미루어 살피면 바닥충격음 완충재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동탄성 계수가 낮아야만 하며 본 발명인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층간소음규정을 근거로 하여 볼 때 층간소음방지물 관련한 제품의 동탄성 계수는 최소 0∼3MN/㎥ 정도 획득이 되어야만 하나, 현재까지 안출된 차음재(층간소음방지물)은 이러한 동탄성 계수를 획득하지 못하고 있고 침하나 보행감이 좋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어 하는 수 없이 10∼40MN/㎥ 정도 수준으로 권장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첫째로 차음재의 침하방지 문제를 현실적으로 해결할 수가 없었고, 둘째로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 정확한 계산에 의존하지 않고 단지 탄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판체 혹은 입체구조를 가지는 차음재를 제작하여 적용하고 있는 현실적 상황을 대체할만한 기술이 안출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종래의 차음재를 사용하게 되면 층간소음방지 기능이 불량할 수밖에 없고, 특히 차음재의 침하현상을 방지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해결코자 하는 각고의 노력이 관련업계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본 발명과 같은 층간소음방지물과 침하방지마운트를 안출하지 못하고 있다.Examining Article 28 of No. 2005-189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it stated that "a basic test for acquiring the floor impact sound must be subjected to a dynamic elasticity test." (Page 198)-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loor structure sound recognition system for a common house / Oh Jin-gyun and three others-"In order to grasp the performance of the floor impact sound absorbing material in terms of vibration reduction, the dynamic elastic modulus is generally measured. The measurement method is defined in the 2003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F 2868, Method for measuring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of flooring material for living space). Should be low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ent inventors' research, The modulus should be obtained at least about 0 ~ 3MN / ㎥, but the sound insulation materials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that have been made up to now are not able to obtain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and have the disadvantages such as invasion and poor walking feeling. 10 ~ 40MN / ㎥ is recommended at the level of the first, because the first problem was not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ettlement of sound insulation material, and secondly, it is not relying on accurate calculation based on scientific basis This is because the technology to replace the realistic situation of making and applying sound insulation materials having a plate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uld not be devised. Therefore, the use of such conventional sound insulation material is inevitably deteriorated noise prevention function between the layers, in particular,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sinking phenomenon of sound insulation material, the efforts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related industry, but until now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the anti-floor noise and anti-sediment mount.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획기적인 동탄성 계수를 획득한 층간소음방지물과 침하방지마운트를 이용하여 층간소음방지 바닥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바, 종래의 습식 바닥구조 시공방법을 살피면 본 발명과는 달리 판 상의 차음재를 슬래브(100) 윗면에 깔고 타카-핀(철심)을 다수 박아서 차음재가 슬래브(100)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비과학적이고 비합리적인 방법을 이용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상기의 타카-핀을 타고 음교현상(Sound Bridge)에 의해 하층으로 전달되어 바닥충격음 완화작용이 더욱 불량해지게 되고,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수분이 차음재의 바닥과 슬래브(100)의 상면 사이로 침투하여 차음재가 부풀어 오르는 폐단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경량기포콘크리트 층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불량바닥시공이 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floor structure us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and anti-sedimentation mount obtained the breakthrough dynamic elastic modulus bar, if the conventional wet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nlike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impact sound is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sound by using a non-scientific and irrational method of laying sound insulation on a slab 100 and placing a plurality of Taka-pins (iron core) on the slab 100 to fix the sound insulation material on the slab 100. -The pin is delivered to the lower floor by the sound bridge, so that the effect of mitigating the floor impact sound becomes worse, and when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is poured, moisture penetrates between the bottom of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and the top surface of the slab 100 to make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Pulmonary bleeding is causing. Therefore, cracks are generated in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layer, resulting in poor floor construction.

이와 함께 종래의 차음재는 본 발명과 달리 슬래브(100) 상면과의 접지면적과 콘의 높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이와 같이 접지면적이 고려되지 않아 많은 접지면적으로 많은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고, 또 콘의 높이가 낮으면 지지의 안 정성은 줄 수 있으나 공간확보가 적어 충격음이 완화 및 분산, 흡수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충격음이 분산 및 완화가 되는 감쇠통로 기능이 확보되지 못하여 바닥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게 되는 것도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이고, 아울러 위 모든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차음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마운트 기술이 없어 중량충격음 문제는 거의 해결책이 없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ound insulation material does not consider the ground area and the height of the con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unlike the present invention, many ground areas are not considered in this way much noise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and A low cone height may provide stability of the support, but less space ensures that the impact sound is not mitigated, distributed, or absorbed, and the damping passage function is not secured to disperse and absorb the impact sound, thus preventing the floor impact sound from being effectively removed. It is also an important cause, and even if all of the above problems are solved, there is no mount technology that can prevent the settlement of the sound insulation material, so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re is almost no solution.

이상과 같은 내용을 다시 정리하여 보면, 통상의 다세대 주택건축에 있어서 현재 개발되어 공지된 구조들은 인정구조로 반 건식공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즉, 슬래브(100)상면으로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봉 또는 고무로 된 기둥을 적절한 숫자로 배치한 다음, 그 위로 판 형태의 차음재를 위치시키고 다시 그 위에 차음판을 깔고 온수 배관을 깔고 마감몰탈을 시공한 후 최상면에 바닥마감재(105)를 부착하여 시공을 완성하는 방법이거나 아예 슬래브(100) 윗면에 기둥을 위치시키고 그 기둥 위로 차단판을 깔고 차단판 위로 다시 기둥을 위치시킨 후 최종적으로 합판이나 합성수지판, 나무판을 깔아서 완성시키는 건식도 시도되고 있기는 하다. 다시 말해서, 이들 공법은 기존의 습식구조로 중량충격음을 해결하지 못하자 궁여지책으로 안출하여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점이 많고 연구소 등에서 테스트를 통해서는 비교적 우수한 결과가 나올 수는 있으나 실제로 건설회사들이 현재까지 건설현장에서 정식적으로 적용해보지 못한 공법이어서 채택되기 힘든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In summary, the conventionally developed and known structures in general multi-family housing construction are predominantly semi-dry construction methods. That is, the plastic slab or rubber pillars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with appropriate numbers, and then the sound insulation material in the form of a plate is placed thereon, the sound insulation plate is laid on it, the hot water pipe is laid, and the finishing mortar is constructed. After attaching the floor finishing material 105 on the top surface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r place the column at the top of the slab 100, lay the block over the column and place the column again on the block and finally plywood or synthetic resin board There is also an attempt to dry the wood boards. In other words, these methods have been applied as a countermeasure when the existing wet structure does not solve the heavy impact sound, which has many shortcomings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relatively excellent through tests in laboratories. Companies have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dopt because it is a method that has not been officially applied at the construction site so far.

이러한 문제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슬래브(100)의 두께를 130mm에서 150mm→180mm 까지 증가시킬 수밖에 없었고 연이어 슬래브(100)의 두께를 210mm까지 증가 시키는 것이 거의 확정적이라 할 수 있는 바,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많은 문제와 폐단이 수반되는 것이다.Because of these problems, the slab 100 was forced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slab 100 from 130mm to 150mm → 180mm, and subsequentl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lab 100 to 210mm is almost definite. And the end is accompanied.

이에 본 발명은 특히 동탄성 계수가 2.8MN/㎥이라는 매우 진보된 결과를 가지는 층간소음방지물(1)(1a)과, 동탄성 계수가 1.0MN/㎥이며 반영구적인 기능이 발휘되는 더욱 진보된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사용함으로서 층간 소음방지(중량충격음 방지)를 획기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습식 시공은 물론 반 건식 시공과 건식 시공에도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을 제시하고자 함이 그 과제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 (1a) having a very advanced result of particularly high elastic modulus of 2.8 MN / m3, and a more advanced function of semi-permanent function with a dynamic modulus of 1.0 MN / m3. By using the anti-sediment mount (40),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weight shock sound prevention) drastically, and propose an interlayer noise prevention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semi-dry construction and dry construction as well as wet construction. It is the task.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configured as follows.

[제 1실시예][First Embodiment]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It is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ethylene vinyl acetate), PP (polypropylene) and PE (polyethylen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and the hardness is Shore-C (Shore-C) hardness 30 ± 20 Attach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plate 102 for a wall having a band shape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each other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b)의 두께(e1)는 6∼40mm 이내이고, 상기 판체(10b)의 윗면은 평면이 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방의 가장자리는 톰슨방식으로 끼워 물릴 수 있도록 톰슨방식 요철(T)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판체(1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b)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 (11b)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직경(a1)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높이(b1)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b)의 길이(c1)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이격거리(f1)는, 상기 판체(10b)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층간소음방지물(1a)의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사방 가장자리를 톰슨방식으로 끼워 물려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The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is used as a material, and the thickness e1 of the plate body 10b is within 6 to 40 mm, and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body 10b is flat and the edges of the four sides are flat. Thomson type unevenness (T) is formed to be snapped by the Thompson method, and the conical projection (11b)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b) on the bottom of the plate body 10b is continuously maintain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The diameter a1 of the conical protrusion 11b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b1 of the conical protrusion 11b is within 5 to 40 mm, and the length c1 of the support leg 12b is The spacing distance f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are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plate 10b is 1 m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In a range where the contact ratio of the slab 1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becomes 2 to 20%. The overall hardness is within the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having holes 30 formed therein for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 40 in a proper place. A rounded vertex (P2)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of 1a) to be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lab 100 while sandwiching the four edges in a Thompson method to seat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을 톰슨방식으로 사방 가장자리를 끼워 물려서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키는 과정;After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are seated by biting the edges in a thomson manner,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fitting jaw 20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at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Conical support legs 201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can be fixed by fitting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Holes 215 to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is to b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211 for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noise, but the reinforcement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the sound in the reinforcement ribs 212 The gaps 213 are formed to flow,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Meal The intermediate body 210 is formed with holes 215 through which the jaws 221 can be inserted, and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s 221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are bottomed.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the same as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nd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 40 into the hole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a so that the contact area of the 210 is less tha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톰슨방식으로 가장자리끼리 끼워 물리도록 한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접합선 전체에 방수테이프(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구멍(30) 안으로 삽입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에도 방수테이프(50)를 부착시키고,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The waterproof tape 52 is attached to the entire joint lin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to be edge-inserted in a Thomson manner, and the waterproof tape is also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anti-seizure mounts 40 inserted into the holes 30. 50 is attached, and the waterproof tape 54 is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wher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lates 102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a for the wall meet to be immer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Avoiding process;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하는 과정;Placing light foamed concrete 103 onto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a;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consists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on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제 2실시예]Second Embodiment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 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It is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ethylene vinyl acetate), PP (polypropylene) and PE (polyethylen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and the hardness is Shore-C (Shore-C) hardness 30 ± 20 Attach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plate 102 for a wall having a band shape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each other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b)의 두께(e1)는 6∼40mm 이내이고, 상기 판체(10b)의 윗면은 평면이 되도록 하며, 상기 판체(1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b)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b)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직경(a1)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높이(b1)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b)의 길이(c1)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이격거리(f1)는, 상기 판체(10b)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층간소음방지물(1a)의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The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PE is made of a material, and the thickness e1 of the plate body 10b is within 6 to 40 mm, and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body 10b is flat, and the plate body 10b is The conical projections 11b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b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and the diameter a1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is within 10 to 50 mm and is conical. The height b1 of the projection 11b is within 5 to 40 mm, the length c1 of the support leg 12b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is the plate 10b. ) Is set 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points at which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are 2 to 20%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square is 1 meter each. The overall hardness is within 30 ± 20 of Shore-C hardness, and do not settle in the proper place. The slab 100 while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forming the holes 30 into which the trough 40 can be inserted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Seating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c);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을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키는 과정;After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are seat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fitting jaw 20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Conical support legs 201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can be fixed by fitting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Holes 215 to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is to b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211 for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noise, but the reinforcement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the sound in the reinforcement ribs 212 The gaps 213 are formed to flow,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Insertion jaws 221 are inserted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formed with holes 215, and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s 221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the same as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 40 into the hole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so as to b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맞닿은 접합선 전체에 방수테이프(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구멍(30) 안으로 삽입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에도 방수테이프(50)를 부착시키고,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2 to the entire contact lin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and also attach the waterproof tape 5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eizure mount 40 inserted into the hole (30), 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4 to the entire corner wher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plates 102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a for the wall meet so as not to be floo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하는 과정;Placing light foamed concrete 103 onto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a;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consists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on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제 3실시예]Third Embodiment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It is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ethylene vinyl acetate), PP (polypropylene) and PE (polyethylen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and the hardness is Shore-C (Shore-C) hardness 30 ± 20 Attach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plate 102 for a wall having a band shape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each other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의 두께(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직경(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높이(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의 길이(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이격거리(f)는, 상기 판체(10)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흡수부분과,A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has a thickness (e) of 6 to 15 mm or less,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0. The protrusions 11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5 to 40 mm. The length c of the support leg 12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about 1 meter horizontally or vertically. As a reference, the rounded vertices P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C) Shock absorption having a hardness of 30 ± 20 and forming holes 30 into which the anti-seizure mount 40 can be insert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And part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a)의 두께(1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a)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a)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a)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직경(1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높이(1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a)의 길이(1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이격거리(1f)는, 상기 판체(10a)의 크기가 가 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완화부분을 합포시켜서 된 층간소음방지물(1)의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the thickness (1e) of the plate body (10a) is less than 6 ~ 15mm,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0a) The protrusions 11a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1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1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5 to 40 mm. The length 1c of the support leg 12a is within 5 to 50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1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1 m in length and horizontally.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Shore). -C) Formed holes 30 to be within 30 ± 20 of the hardness and to allow the anti-seizure mount 40 to be inserted at the appropriate location. The process of seating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while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of the interlamina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made by combining the shock-absorbing portion mad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을 슬래브(100)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켜 관통시키는 과정;After seat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fitting jaw 202 at the top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he support body 20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so that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can be fitted and fixed Holes 215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211 for absorbing and dispersing noise is formed, but the reinforcing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and the reinforcing ribs 212 have a sound of The gaps 213 for the flow action are formed,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upper body 220 is fitted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gai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having the holes 215 formed therein, and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s 221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are the upper body 220 formed as the bottom. ,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equal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of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the intermediate body (210) a step of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 40, which is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into each of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substances 1;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과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으로 합성수지제 차음판(106)들을 안착시킨 후 그 접촉되는 경계선 전체에 방수테이프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차음판(106)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After the sound insulating plates 106 made of synthetic resin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 and the anti-sedimentation mounts 40, a waterproof tape is attached to the entire boundary line to be in contact with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plate. 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to the entire corners where the 102 and the sound insulating plates 106 meet, so as not to be floo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하는 과정;Placing light foamed concrete 103 onto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a;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consists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on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제 4실시예]Fourth Embodiment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hardness is within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prevents interlayer noise for walls having a band shape. Attaching the plate 102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b)의 두께(e1)는 6∼40mm 이내이고, 상기 판체(10b)의 윗면은 평면이 되도록 하며, 상기 판체(1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b)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b)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직경 (a1)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높이(b1)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b)의 길이(c1)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이격거리(f1)는, 상기 판체(10b)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층간소음방지물(1a)의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The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PE is made of a material, and the thickness e1 of the plate body 10b is within 6 to 40 mm, and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body 10b is flat, and the plate body 10b is On the bottom of the conical projection (11b)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b) to b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the diameter (a1) of the conical projection (11b) is within 10 ~ 50mm and the conical The height b1 of the projection 11b is within 5 to 40 mm, the length c1 of the support leg 12b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is the plate 10b. ) Is set 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points at which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are 2 to 20%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square is 1 meter each. The overall hardness is within 30 ± 20 of Shore-C hardness, and do not settle in the proper place. The slab 100 while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forming the holes 30 into which the trough 40 can be inserted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Seating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c);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을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키는 과정;After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are seat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fitting jaw 20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Conical support legs 201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can be fixed by fitting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Holes 215 to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is to b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211 for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noise, but the reinforcement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the sound in the reinforcement ribs 212 The gaps 213 are formed to flow,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Insertio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215,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 221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o the upper body 220 formed in the bottom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equal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intermediate.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s 40 which ar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body 210 into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respectively;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맞닿은 접합선 전체에 방수테이프(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구멍(30) 안으로 삽입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에도 방수테이프(50)를 부착시키고,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2 to the entire contact lin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and also attach the waterproof tape 5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eizure mount 40 inserted into the hole (30), 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4 to the entire corner wher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plates 102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a for the wall meet so as not to be floo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abov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제 5실시예][Example 5]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hardness is within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prevents interlayer noise for walls having a band shape. Attaching the plate 102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의 두께(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직경(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높이(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의 길이(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이격거리(f)는, 상기 판체(10)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흡수부분과,A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has a thickness (e) of 6 to 15 mm or less,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0. The protrusions 11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5 to 40 mm. The length c of the support leg 12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about 1 meter horizontally or vertically. As a reference, the rounded vertices P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C) Shock absorption having a hardness of 30 ± 20 and forming holes 30 into which the anti-seizure mount 40 can be insert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Number,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a)의 두께(1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a)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a)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a)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직경(1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높이(1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a)의 길이(1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이격거리(1f)는, 상기 판체(10a)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완화부분을 합포시켜서 된 층간소음방지물(1)의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the thickness (1e) of the plate body (10a) is less than 6 ~ 15mm,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0a) The protrusions 11a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1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1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5 to 40 mm. The length 1c of the support leg 12a is within 5 to 50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1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a case in which the size of the plate 10a is 1 m in width and length. As a reference,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C) Formed holes 30 to be within 30 ± 20 of hardness and to allow the anti-seizure mount 40 to be inserted at the appropriate location. A process of seat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while bringing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by overlapping the Kin impact alleviating portion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을 슬래브(100)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켜 관통시키는 과정;After seat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fitting jaw 202 at the top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he support body 20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so that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can be fitted and fixed Holes 215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211 for absorbing and dispersing noise is formed, but the reinforcing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and the reinforcing ribs 212 have a sound of The gaps 213 for the flow action are formed,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upper body 220 is fitted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gai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having the holes 215 formed therein, and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s 221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are the upper body 220 formed as the bottom. ,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equal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of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the intermediate body (210) a step of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s 40, which ar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through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과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으로 합성수지제 차음판(106)들을 안착시킨 후 그 접촉되는 경계선 전체에 방수테이프(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차음판(106)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 도록 하는 과정;The sound insulation plates 106 made of synthetic resin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 and the anti-sediment mount 40, and then the waterproof tape 52 is attached to the entire boundary line to be in contact with the interlayer walls. 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4 to the entire corners where the noise preventing plates 102 and the sound insulating plates 106 meet to prevent immersion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abov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제 6실시예][Sixth Embodiment]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hardness is within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prevents interlayer noise for walls having a band shape. Attaching the plate 102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b)의 두께(e1)는 6∼40mm 이내이고, 상기 판체(10b)의 윗면은 평면이 되도록 하며, 상기 판체(1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b)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b)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직경(a1)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높이(b1)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b)의 길이(c1)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이격거리(f1)는, 상기 판체(10b)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층간소음방지물(1a)의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 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The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PE is made of a material, and the thickness e1 of the plate body 10b is within 6 to 40 mm, and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body 10b is flat, and the plate body 10b is The conical projections 11b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b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and the diameter a1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is within 10 to 50 mm and is conical. The height b1 of the projection 11b is within 5 to 40 mm, the length c1 of the support leg 12b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is the plate 10b. ) Is set 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points at which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are 2 to 20%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square is 1 meter each. The overall hardness is within 30 ± 20 of Shore-C hardness, and do not settle in the proper place. The slab 100 while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forming the holes 30 into which the trough 40 can be inserted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Seating on the entire top of the shell;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을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킴과 동시에 1차로 삽입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위에 다시 2차로 침하방지마운트(40')를 안착시키는 과정;After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are seat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fitting jaw 20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Conical support legs 201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can be fixed by fitting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Holes 215 to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is to b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211 for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noise, but the reinforcement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the sound in the reinforcement ribs 212 The gaps 213 are formed to flow,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Insertio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215,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 221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o the upper body 220 formed in the bottom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equal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intermediate. The anti-sediment mounts 40, which ar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body 21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substances 1a, and at the same time, the anti-seizure mounts inserted firstly ( Seating the second anti-sedimentation mount 40 'again on top of the 40);

상기 2차로 안착된 침하방지마운트(40') 위에 합판 등의 바닥판(300)을 깔아서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late 300, such as plywood is completed on the second settled prevention mount (40 ') is completed.

[제 7실시예][Seventh Embodiment]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hardness is within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prevents interlayer noise for walls having a band shape. Attaching the plate 102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의 두께(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직경(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높이(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의 길이(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이격거리(f)는, 상기 판체(10)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흡수부분과,A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has a thickness (e) of 6 to 15 mm or less,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0. The protrusions 11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5 to 40 mm. The length c of the support leg 12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about 1 meter horizontally or vertically. As a reference, the rounded vertices P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C) Shock absorption having a hardness of 30 ± 20 and forming holes 30 into which the anti-seizure mount 40 can be insert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And part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a)의 두께(1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a)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a)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a)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직경(1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높이(1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a)의 길이(1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이격거리(1f)는, 상기 판체(10a)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완화부분을 합포시켜서 된 층간소음방지물(1)의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the thickness (1e) of the plate body (10a) is less than 6 ~ 15mm,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0a) The protrusions 11a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1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1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5 to 40 mm. The length 1c of the support leg 12a is within 5 to 50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1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a case in which the size of the plate 10a is 1 m in width and length. As a reference,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C) Formed holes 30 to be within 30 ± 20 of hardness and to allow the anti-seizure mount 40 to be inserted at the appropriate location. The process of seating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while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of the interlamina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made by combining the shock-absorbing portion mad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을 슬래브(100)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의 구멍(30) 안으로 1차로 각기 관통시켜 안착시키는 과정;After seat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fitting jaw 202 at the top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he support body 20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so that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can be fitted and fixed Holes 215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211 for absorbing and dispersing noise is formed, but the reinforcing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and the reinforcing ribs 212 have a sound of The gaps 213 for the flow action are formed,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upper body 220 is fitted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gai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having the holes 215 formed therein, and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s 221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are the upper body 220 formed as the bottom. ,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equal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of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the intermediate body (210) a process of firstly mounting the anti-sediment mounts 40 to b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respectively, into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과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으로 합성수지제 차음판(106)들을 안착시킨 후 상기 1차로 안착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위쪽이며 상기 차음판(106)의 윗면에 다시 2차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안착시키는 과정;After the sound insulating plates 106 made of synthetic resin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 and the anti-sedimentation mounts 40, the soundproofing plate 106 is the upper side of the anti-sedimentary mounts 40. Mounting the second anti-sedimentation mount 40 'on the upper surface again;

상기 2차로 안착된 침하방지마운트(40') 위에 합판 등의 바닥판(300)을 깔아서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late 300, such as plywood is completed on the second settled prevention mount (40 ') i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살핀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살피기로 한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 이하 동일함 - 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을 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은 종래 안출된 것과 비교할 때 위와 같이 경도에 차이가 있으나 이는 보통의 발포된 합성수지판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EVA (ethylene vinyl acetate), PP (polypropylene), PE (polyethylene)-the same as below-mixed resin foamed material is less than 5 ~ 30mm thickness, Shore-C (Shore-C) )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late 102 for walls having a strip shape within 30 degrees of hardness and attac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101 to the bottom edge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late 102 for walls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hardnes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ly designed, but it may be replaced with a normal foamed synthetic resin board.

다음, 역시 상술한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 며 판체(10b)의 두께(e1)는 6∼40mm 이내이고, 상기 판체(10b)의 윗면은 평면이 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방의 가장자리는 톰슨방식으로 끼워 물릴 수 있도록 톰슨방식 요철(T)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판체(1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b)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b)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직경(a1)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높이(b1)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b)의 길이(c1)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이격거리(f1)는, 상기 판체(10b)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 즉, 예를 들면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층간소음방지물(1a)의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사방 가장자리를 톰슨방식으로 끼워 물려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행한다.Next, the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the above-described EVA, PP, PE as a material and the thickness (e1) of the plate body (10b) is within 6 ~ 40m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0b) to be flat In addition, the four sides of the thomson-type concave-convex (T) is formed to be snapped into the Thompson method, the conical projection (11b)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b) on the bottom of the plate 10b is constant in all directions The convex protrusion 11b has a diameter a1 of 10 to 50 mm and a height b1 of the conical protrusion 11 b is 5 to 40 mm, and the support leg 12b is maintained. The length c1 is within 5 to 50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is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plate 10b is 1 meter horizontally or vertically. Contact rate at which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slabs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The hardness of the whole shall be within the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the anti-seizure mount 40 may be insert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for example, the four corners and the center.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forming the openings 30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while sandwiching the four edges in a Thomson manner so that the slab 100 The process of seating on the whole upper surface of) is performed.

여기서 원뿔형 돌기(11b)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도 7과 같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었을 때 슬래브(10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 범위 이내(바람직하게는 10%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도록 그 숫자를 조절하여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하 모든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이와 같은 접촉비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체(10b)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였을 때 계산된 결과이고, 판체(10b)의 크기가 증가되거나 감 소되어도 상기의 접촉비율은 2∼20% 범위 이내(바람직하게는 10% 범위 이내)가 되도록 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판체(10b)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의 경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경도 수치의 이상일 경우는 침하율은 낮으나 중량충격음 방지작용이 불량하게 되고 상기 경도 수치 이하일 경우에는 중량충격음 방지작용은 비교적 좋으나 침하현상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conical protrusions 11b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when the rounded vertices P2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as described above, within the range of 2 to 20%. It is important to produce by adjusting the number to be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0%),-the same applies to all embodiments below-such a contact ratio is the size of the plate 10b as described above Is calculated based on the case of 1 mete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the contact ratio is within the range of 2 to 20% even if the size of the plate 10b is increased or decreased (preferably within the 10% range). Of course it should be. And it is important that the plate (10b) has a hardness of Shore-C (Shore-C) hardness less than 30 ± 20, if the hardness value is higher than the settling rate is low but the weight impact sound prevention action is poor and the hardness If the value is less than the weight shock sound effect is relatively good, but may cause settlement phenomenon.

이와 같이 원뿔형 돌기(11b)를 구비시키되 상술한 바와 같은 접촉비율을 유지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1a)은 경량충격음은 물론 중량충격음까지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화, 분산을 시킬 수가 있는 것인데, 그 주요한 이유는 표 1 및 표 1-1 내지 표 1-5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동탄성 계수가 2.8MN/㎥이라는 매우 진보된 결과에 의존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뿔형 돌기(11b)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과학적으로 계산된 바에 의하여 적절한 숫자로 형성이 되어 있어서 소리의 흡수 및 분산, 제거를 위한 통로를 형성시켜 주게 되는데, 원뿔형 돌기(11b)의 숫자가 많아도 중량충격음 제거작용이 좋지 않고 반대로 숫자가 너무 적으면 침하가 되기 때문에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치가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By providing a conical protrusion 11b as described abov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absorb, alleviate, and disperse the impact sound as well as the light impact sound by maintaining the contact ratio as described above. The main reason is that, as shown in Table 1 and Tables 1-1 to 1-5, the dynamic elastic modulus is dependent on a very advanced result of 2.8 MN / m 3. And the conical projections (11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appropriate number by the scientific calculation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passage for the absorption, dispersion, and removal of sound, the number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Even if there is a lot of heavy impact sound removal is not good, on the contrary too small number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will sink. Therefore, the numerical value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st preferable.

한편,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1a)은 위와 같이 충격음을 제거시키는 주요한 작용을 하지만, 그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침하방지마운트(40)(40')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침하방지마운트(40)(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는 범위 안에서만 접촉을 유지하고 있으면서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된 원뿔형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층간 소음의 음교현상(Sound Bridge)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시킴과 아울러 침하율은 극히 미미한 채 반영구적으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추고 있어 층간소음방지물(1a)의 작용을 완벽하게 이끌어 낼 수가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function of removing the impact sound as described above, but in order to perform the action, the anti-sedimentation mount (40, 40 ')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very important. Because That is, the sinking prevention mounts 40 and 4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ontact area between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st stable cone was selected while maintaining contact only within the range of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body 210, the sound bridge of the interlayer noise was almost completely eliminated and the settlement rate It is extremely insignificant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maintaining its state semi-permanently, which is able to perfectly derive the action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그리고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1a)에서 위와 같이 제시된 각 부분의 수치는 최소 범위부터 최대 범위까지 전부 실시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고, 특히 전체의 높이는 경우에 따라 100mm 이상이 될 수도 있는 바, 이와 같이 높은 높이는 후술하는 반 건식 시공과 건식 시공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치는 본 발명에서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증감이 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그러한 수치의 변화 정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므로 결국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나, 현재까지 본 발명인이 실시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시된 수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And in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obtained that the numerical values of each part as described above can be carried out from the minimum range to the maximum range, in particular, the overall height may be more than 100mm in some cases, Such a high height may correspond to the semi-dry construction and dry construc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above numerical value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some cases, and the degree of change of the numerical values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ventually subject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tter of cour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ducted by the present inventors, the numerical ranges presented above are most preferable.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도면과 같이 층간소음방지물(1a)의 가장자리는 톰슨방식 요철부(T)를 형성시켜서 슬래브(100)의 상면에 이어 붙여서 안착시킬 때 보다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제 2실시예와 같이 층간소음방지물(1a)의 가장자리를 직선식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dg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forms a Thompson-type concave-convex portion 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o be more securely connected. As a matt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or to use the edg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in a straight line like in the second embodiment.

다음,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을 톰슨방식으로 사방 가장자리를 끼워 물려서 안착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구멍(30) 안으로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하 침하방지마운트(40)의 구조에 대해서 살피기로 한다.Subsequently,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are seated by sandwiching the four-sided edges in a Thomson manner, and then the anti-seizure mount 40 into the hole 30 formed to insert the anti-seizure mount 40 as described above. ) Is to be inserted,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anti-sediment mount (40).

침하방지마운트(40)의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이는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구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원형의 형태를 띠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사각형이나 육각형 또는 팔각형 또는 그 이외의 형태를 띨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material of the anti-sediment mount 40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having the fitting jaws 202 on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er and all directions. A lower body 200; Holes 215 are formed in the bottom to allow the fitting jaws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to be fixed thereto, and an interior portion of the space 211 for absorbing and dispersing noises. To be formed but the reinforcement ribs 212 to be formed in all directions, the reinforcement ribs 212 to form gaps 213 for the flow of sound, and between the reinforcement ribs 212 to make noise An intermediate body 210 having holes 214 for dispersing, and having holes 215 into which the fitting jaws 221 of the upper body 220 can be inserted; The fitting jaws 221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are composed of an upper body 220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It is obvious that the shape may be hexagonal or octagonal or otherwise.

그리고 침하방지마운트(40)는 본 발명과 같은 3단식 구성이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몸체(220)를 생략할 수도 있겠으나 이러할 경우는 다른 차음판이 있는 경우이다. 또한 중간몸체에서 보강리브(212)를 없애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침하방지마운트(40)는 도 7에서 볼 때 하부 몸체(200)가 가장 위쪽으로 향하도록 층간소음방지물(1a)에 삽입될 수 있고 그러할 경우에도 작용 상으로 별 다른 문제는 없음이 확인되었다.And the settlement prevention mount 40 is the three-stage configura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preferred, and in some cases the upper body 220 may be omitted, but in this case there is a different sound insulation plate. 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 212 may be removed from the intermediate body. On the other hand, the anti-sedimentation moun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so that the lower body 200 is directed to the top as seen in Figure 7 and even if the problem is functionally different None was confirmed.

이어서 침하방지마운트(40)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경우에 따라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 대비하여 ±2mm 정도 더 높거나 낮은 높이를 가져도 무방하고,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는 범위 안에서만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만일 그 접촉면적이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의 음교현상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는 경우가 예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Subsequently, the height of the anti-sediment mount 40 is best to be made the same as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nd in some cases, a height higher or lower than ± 2mm relative to the tota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1 to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It is important to keep the contact only within the range of less than 10%, because if the contact area exceeds 10%, it may be expected that the above-described sound vocal phenomena cannot be completely blocked.

이러한 본 발명의 침하방지마운트(40)는 표 2 및 표 2-1 내지 표 2-4와 같이 동탄성 계수가 1.0MN/㎥이라는 더욱 진보된 결과를 획득하고 있음과 아울러 표 2-1 내지 표 2-4와 같은 조건하에 침하율 실험을 거친 결과 침하율이 "0"라는 획기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시공할 경우 층간소음방지물(1a)은 거의 완벽하게 침하가 되지 않고 온전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침하현상이 없이 반영구적인 수명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침하방지마운트(40)는 위와 같은 획기적인 동탄성 계수를 확보함으로서 충격음에 대한 음교현상(Sound Bridge)이 거의 완벽하게 차단이 될 수 있는 것이다.The anti-sediment moun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more advanced results of the dynamic modulus of 1.0 MN / m 3 as shown in Table 2 and Tables 2-1 to 2-4. As a result of the settlement test under the conditions of 2-4, a breakthrough rate of "0" can be obtained. Therefore, when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is almost completely incomplete and intac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ction, and can be maintained semi-permanent life without settling phenomenon. In addition, the anti-sediment moun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e breakthrough dynamic elastic modulus as described above can be almost completely blocked sound bridge (Sound Bridge) for the impact sound.

다음, 위와 같이 톰슨방식으로 가장자리끼리 끼워 물리도록 한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접합선 전체에 도면과 같이 방수테이프(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구멍(30) 안으로 삽입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에도 방수테이프(50)를 부착시키고,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를 부착시켜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할 때 수분이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층간소음방지물(1a)을 슬래브(10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타카-핀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점으로 대두됨을 밝힌다. 한편, 상술한 방수테이프 대신에 비닐이나 필름을 사용하여 층간소음방지물(1a)의 상면 전체를 덮은 후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할 수도 있다.Next, 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2 to the entire joint line of the interlamina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a to be edge-inserted in the Thomson method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anti-sink mount inserted into the hole 30 ( The waterproof tape 5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40, and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is attached by 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4 to the entire corner wher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lates 102 for walls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a meet. When pouring 103, it is important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ix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on the slab 100 as in the prior ar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not using a pin is an important point. 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waterproof tape,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103 may be poured after cover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using vinyl or a film.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하는 과정과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며,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는 바닥마감재(105)를 최종적으로 적용하면 주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above process is made of the process of placing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abov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 (1a) and the process of pouring ondol pipe and finishing mortar 104 on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Naturally, if the floor finishing material 105, which is produced in various materials and forms, is finally applied, the housing becomes possible.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위와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103)층을 형성시키고 건조를 시킨 결과 사진 1과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층에 균열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매우 중요한 결과를 얻었다. 반면, 폴리에틸렌이나 기타 합성수지판으로 된 차음판을 사용, 종래의 공법대로 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한 다음 건조를 시켜 본 결과 사진 2와 같이 심한 균열이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역시 종래의 차음판과는 사진 2와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상에 심한 균열이 발생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충격음 제거기능 이 불량하며 이는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층의 붕괴현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바닥의 내구성이 결여됨과 동시에 층간소음을 최대한 억제시키거나 제거시킬 수 있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forming a light foamed concrete 103 layer as described above and obtained a very important result that no crack is generated i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103 layer as shown in Figure 1 . On the other hand, using a sound insulation plate made of polyethylene or other synthetic resin plate, after pouring the light-foamed concrete (103)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and dried it was found that severe cracks as shown in the photograph 2. Therefore, the conventional sound insulation board also has a limitation that severe cracks are generated on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as shown in the photograph 2, so that the impact noise removing function is poor, which causes the collapse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layer. As a result, the floor is lacking in durability, and at the same time, the noise between floors can not be suppressed or removed as much as possible.

그러나 본 발명의 시공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는 거의 100% 소멸됨을 알 수 있었고, 층간소음방지물(1a)의 침하현상이나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층의 균열발생 현상이 없었으며, 이로써 충격음 제거기능이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침하방지마운트(40)를 통해 전달되는 음교현상 발생이 거의 "0"에 가깝게 유지되면서 특히 침하율도 "0"에 가깝게 유지되며 그 상태가 한 달 이상으로 지속되어도 유지된다는 중요한 결과를 얻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침하방지마운트(40)의 내구성은 반영구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층간소음방지물(1a)의 기능도 거의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 것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problem can be seen that almost 100% of the disappearance, there was no settlement phenomenon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 (1a) or cracking of the light foam concrete (103) layer, thereby removing the impact sound Not only was this very good, but the vocal phenomena transmitted through the anti-sediment mount 40 remained close to "0", especially the settlement rate remained close to "0", and the condition lasted for more than a month. The important result is that it remains. 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anti-sediment moun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semi-permanent, and thus the function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 1a can be almost semi-permanently maintained.

다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살피는 바, 이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비교할 때 층간소음방지물(1a)의 가장자리를 톰슨방식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직선식으로 하여 서로 맞닿게 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테이프 작업을 하는 차이만 있을 뿐 나머지의 작용과 시공요령, 특징, 결과 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함을 밝힌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without connecting the edge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in a thomson manner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the waterproof tape, and the rest of the operation and construction tips, features, and resul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살피기로 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이는 상술한 제 1, 2실시예에서 제시한 층간소음방지물(1a)과는 약간 달리 도면과 같이 원뿔형 돌기(11)(11a)가 양면에 형성이 되고 상측은 충격흡수 기능을 띠도록 하며, 하부는 충격완화 기능을 띠도록 한 층간소음방지물(1)을 사용한다는 미미한 차이가 있는 바 이와 같이 동일한 경도를 가지면서도 충격흡수 기능과 충격 완화 기능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은 상술한 재료의 배합비율에 따라 정해질 수 있는 것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논할 이유가 없을 것이고, 침하방지마운트(40)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층간소음방지물(1)의 구성을 살피기로 한다.Unlik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shown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conical protrusions 11 and 11a are formed on both sides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upper side has a shock absorbing function.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that the lower part uses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to have a shock-absorbing function. Thus, the same hardness can be separated into the shock-absorbing function and the shock-absorbing function. I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have a reason to discuss in detail, the anti-seizure mount 40 is to use the same. Here, the structur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mentioned abov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이는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의 두께(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직경(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높이(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의 길이(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이격거리(f)는, 상기 판체(10)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흡수부분과,It is made of a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PE, the thickness (e) of the plate body 10 is within 6 ~ 15mm, and has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0 Conical projections 11 are to be formed continuously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in all directions, the diameter (a)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 is within 10 to 50mm and the height (b)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 is 5 to When the length (c) of the support leg 12 is within 5 ~ 50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 is less than 40mm, the size of the plate 10 is 1 mete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e rounded vertices P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Shore). -C) the filling which has a hardness of 30 ± 20 and has formed holes 30 into which an anti-seizure mount 40 can be insert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The absorption part,

상술한 바와 같이 역시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a)의 두께(1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a)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a)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a)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직경(1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높이(1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a)의 길이(1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이격거리(1f)는, 상기 판체 (10a)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적정 개소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완화부분을 합포시켜서 된 것이고, 도 8과 같이 시공에 적용될 때 충격흡수부분이 즉, 원뿔형 돌기(11)들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고 충격완화부분 즉, 원뿔형 돌기(11a)들이 슬래브(100) 상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러나 그 위치를 반대로 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는 실험결과를 얻었음을 밝힌다.As described above, the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s a material, and the thickness (1e) of the plate body (10a) is within 6 to 15mm, a plurality of support legs (top) of the plate body (10a) The conical protrusions 11a having 12a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1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1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 Is within 5 to 40mm, the length 1c of the support leg 12a is within 5 to 50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1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horizontal and vertical in size.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of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based on the case of 1 meter,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 -Shore-C hardness will be within 30 ± 20, and the settlement prevention mount (40) can be inserted at the appropriate place. It is made by combining the shock-absorbing portion forming the holes 30, and when applied to the construction as shown in FIG. 8, the shock-absorbing portion, that is, the conical projections 11 are directed upward and the shock-absorbing portion, that is, the conical projection ( 11a) mak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lab 100. However,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btained that the position can be revers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 역시 상술한 제 1, 2실시예와 비교할 때 작용과 특징, 시공요령, 결과 등은 동일함을 밝히며, 이는 시공 시 도8과 같이 층간소음방지물(1)의 구멍(30)을 침하방지마운트(40)가 관통하고 있는 차이가 있으며,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하기 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과 침하방지마운트(40)의 윗면에 또 다른 합성수지제 차음판(106)을 위치시킨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은 요령으로 방수테이프를 이용하여 테이핑을 함으로서 경량기포콘크리트(103) 타설 시 수분이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시공 상의 미미한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1)은 도면과 같이 원뿔형 돌기(11)(11a)가 상하대칭으로 형성이 되어 있어서 판체(10)(10a)를 기준하여 상하에 감쇄통로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상면에 또 다른 차음판(106)을 위치시키는 것이고, 이렇게 하여야만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할 때 층간소음방지물(1)이 침하가 되지 않고 도 8과 같이 층간소음방지물(1)의 상하에 감쇄통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This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veals the same operation and features, construction tips, results, etc. when compar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ich is the construction layer 1 as shown in Figure 8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anti-sediment mount 40 penetrates the hole 30, and before placing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another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substance 1 and the anti-sediment mount 40 After placing the sound insulation plate 106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aping using a waterproof tape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prevents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re is a difference. That is,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oncave protrusion (11) (11a) is formed up and down symmetr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attenuation passage should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based on the plate (10) Therefore, the sound insulating plate 106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does not settle when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is poured in this way,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an attenuation passage is formed above and below).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층간소음방지물(1) 역시 그 가장자리를 톰슨방식 요철(T)을 형성시켜 제 1실시예와 같이 사용할 수 있음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only natural that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the first embodiment by forming the thomson type unevenness (T). I will not.

다음,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살핀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amined.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 건식 시공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습식 및 반 건식, 건식 등 다양한 시공에 훌륭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is for a semi-dry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cellently applied to a variety of construction, such as wet and semi-dry, dry.

이는 도 12와 같은 시공상태를 나타내는데, 이 역시 상술한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을 행하고, 이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요령으로 층간소음방지물(1a)과 마운트(40)를 도면과 같이 안착시킨다.This shows the construction as shown in FIG. 12, which is also attached to the lower wall noise prevention plate 102 for the wall by using a double-sided tape on the bottom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Then,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and the mount 40 are seated as show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다음,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맞닿은 접합선 전체에 제 1실시예와 같이 방수테이프(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구멍(30) 안으로 삽입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에도 방수테이프(50)를 부착시키고,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을 동일하게 행한다.Next, the waterproof tape 52 is attached to the entire abutting lin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waterproof tape is also provided on the top surfaces of the anti-seizure mounts 40 inserted into the holes 30. 50 is attached, and the waterproof tape 54 is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wher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lates 102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a for the wall meet to be immer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same procedure is performed for avoiding it.

다음,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바,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과 침하방지마운트는 도 12와 같은 반 건식 시공에도 문제없이 적용됨을 알 수 있었고 층간소음방지 작용과 침하방지 기능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를 하여도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Next, the bar is made of the process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abov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and the anti-sedimentation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y problem even in semi-dry construction as shown in FIG.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and the interlaminar noise prevention function and anti-sedimentation function were confirmed to be no problem even when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다음, 위와 같은 요령에 의해 도 13의 제 5실시예를 살피기로 하는 바, 이는 제 4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층간소음방지물(1a) 대신에 상기 실시예에서 적용된 층간소음방지물(1)을 사용하는 차이가 있고 그 작용과 특징, 결과 등은 제 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별도로 설명치 않기로 한다.Next, the fifth embodiment of FIG. 13 will be examin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which replaces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applied in the embodiment instead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pplied in the fourth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use and the operation, features, results and the like are the same as in the fourth embodiment and will not be described separately.

다음, 위와 같은 요령에 의해 제 6실시예를 살피기로 한다.Next,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examined by the above tips.

이 역시 도 14와 같이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상기와 동일한 요령으로 부착시키며, 이어서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물(1a)과 침하방지마운트(40)를 도면과 같이 1차로 슬래브(100) 상에 안착시킨 후, 도 14와 같이 1차로 안착된 침하방지마운트(40)의 위로 다시 2차로 침하방지마운트(40')를 위치시킨 다음, 가장 위쪽에 합판 등의 바닥판(300)을 깔아서 완성시키게 되며, 이 역시 층간소음방지 작용과 침하방지 기능이 상술한 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획득됨을 알 수 있었다.This also attaches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late 102 for wall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ollowed by the first floor slab (1a) and the settlement prevention moun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100), and then the second anti-sedimentation mount 40 'again placed on the first anti-sedimentation mount 40 seated as shown in Figure 14, the bottom plate 300, such as plywood at the top It was confirmed that this is completed, and this is also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line noise prevention function and anti-settl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다음, 위와 같은 요령에 의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를 살피기로 하는 바, 이는 제 6실시예와 비교할 때 도 15와 같이 제 6실시예의 층간소음방지물(1a) 대신에 앞서 제시된 실시예의 층간소음방지물(1)을 사용하게 된다. 즉, 층간소음방지물(1)들을 슬래브(100)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위와 같이 침하방지마운트(40)를 안착시키고 층간소음방지물(1)과 침하방지마운트(40)의 위로는 차음판(106)을 안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차음판(106)의 위로는 도면과 같이 1차로 안착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위쪽이며 상기 차음판(106)의 윗면에 다시 2차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안착시키는 과정을 행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2차로 안착된 침하방지마운트 (40') 위에 합판 등의 바닥판(300)을 깔아서 완성시키게 된다. 이 역시 제 6실시예에서와 같이 층간소음방지 작용 및 침하방지 기능이 앞서 제시된 실시예에서와 다를 바가 없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Next,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which is compared with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5, instead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of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5. Noise prevention material (1) is to be used. That is, after plac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seating the anti-sedimentation mount 40 as above, and the sound insulation abov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and the anti-sedimentation mount (40). The plate 106 is seated. Subsequently, the top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106 is the upper portion of the anti-seizure mounts 40 seated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second anti-sedimentation mounts 40 'are again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106. Will be done. Subsequently, the bottom plate 300, such as plywood, is laid on the secondary settling prevention mount 40 'and completed. As in the sixth embodim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terlaminar noise prevention and sinking prevention functions are goo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층의 위로 단열시트 또는 단열을 위한 금속박판을 깔 수 있음은 당연하며, 상술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이외에도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재질로 선택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층간소음방지물의 표면에는 단열성을 띠는 공지의 수지 또는 금속성 물질을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색상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층간소음방지물에서 원뿔형 돌기 이외의 부분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시킬 수도 있고, 침하방지마운트의 사이즈도 직경 20mm 이상에서 200mm 정도까지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재질도 변화시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중간 몸체(210)의 보강 리브도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하부 몸체(200)의 저면과 상부 몸체(220)의 상면에 얇은 스폰지나 가죽 등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 이러한 상업적인 변화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안출목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제 4, 5, 6, 7실시예를 표현하는 도 12, 13, 14, 15에서 층간소음방지물(1a)(1)의 하방이며 슬래브(100)의 상측에 주방용 혹은 화장실용 등을 위한 냉수 및 온수 배관(302)이 배치되는 것과, 도 14, 15에서 바닥판(300) 밑의 공간부에 배치된 온돌용 배관(301)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다.Of cour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lay a heat-insulating sheet or a metal thin plate for insulation over the layer of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and is produc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thylene vinyl acetate, polypropylene, polyethylene It is revealed that a thermoplastic resin can be selected as a material. And the surfac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pplying a known resin or metal material having an insulating property, and can produce a variety of colors as well as a plurality of parts in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other than the conical projections. Holes may be formed, and the size of the anti-sedimentation mount may be varied in diameter from about 20 mm to about 200 mm, the material may also be changed, and in some cases, the reinforcing ribs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may be omitted.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may be used by attaching a thin sponge or leather, such commercial changes will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13, 14, and 15 representing the above-described fourth, fifth,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are lower than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 1a, 1, and the like for kitchen or bathroom on the upper side of the slab 100. Cold water and hot water pipe 302 is disposed for, and the ondol pipe 301 disposed in the space portion below the bottom plate 300 in Figures 14 and 15 is a well-known technology, so it will not be described separately in the above embodiment. Di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획기적인 동탄성 계수를 확보한 층간소음방지물과 침하방지마운트를 사용하며, 특히 침하율과 음교현상이 제로에 가까운 침하방지마운트를 사용함으로서, 종래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탁월한 층간소음방지 기능과 경제성, 내구성을 획득할 수 있고 시공 또한 더욱 간단하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습식 시공은 물론 반 건식 시공과 건식 시공 등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층간소음방지 작용과 침하방지 기능이 훌륭하게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슬래브의 타설 두께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건축물의 중량이 가벼워짐에 따라 지반의 침하현상이 최소화가 되어 안전하고 건축물의 분양가격도 저렴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건축기술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다수 유용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 and an antisediment mount that ensures a breakthrough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and in particular, by using an antisediment mount having a settlement rate and sonic phenomenon close to zero, the conventional interlayer noise Excellent interlayer noise prevention function, economical and durable, which is not comparable with the anti-floor structure, can be obtained, and construction is simpler and more convenient, and it can be applied to both wet and semi dry and dry construction.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function and sinking prevention function can be exerted wonderful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lab can be greatly reduced, so that the settlement of the ground can be minimized as the weight of the building becomes lighter, so that the sale price of the building can be made safe and the building technology can be further reduced. There are a number of useful effects, such a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1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1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2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2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3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3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4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4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5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5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6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6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7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7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8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8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9
Figure 112006509035811-pat00009

Figure 112006509035811-pat00010
Figure 112006509035811-pat00010

Figure 112006509035811-pat00011
Figure 112006509035811-pat00011

Figure 112006509035811-pat00012
Figure 112006509035811-pat00012

Figure 112006509035811-pat00013
Figure 112006509035811-pat00013

Claims (7)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It is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ethylene vinyl acetate), PP (polypropylene) and PE (polyethylen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and the hardness is Shore-C (Shore-C) hardness 30 ± 20 Attach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plate 102 for a wall having a band shape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each other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b)의 두께(e1)는 6∼40mm 이내이고, 상기 판체(10b)의 윗면은 평면이 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방의 가장자리는 톰슨방식으로 끼워 물릴 수 있도록 톰슨방식 요철(T)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판체(1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b)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b)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직경(a1)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높이(b1)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b)의 길이(c1)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이격거리(f1)는, 상기 판체(10b)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층간소음방지물(1a)의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사방 가장자리를 톰슨방식으로 끼워 물려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The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is used as a material, and the thickness e1 of the plate body 10b is within 6 to 40 mm, and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body 10b is flat and the edges of the four sides are flat. Thomson-type concave-convex (T) is formed to be snapped into the Thomson-type method, and the conical projection 11b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b on the bottom of the plate body 10b is continuously maintain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The diameter a1 of the conical protrusion 11b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b1 of the conical protrusion 11b is within 5 to 40 mm, and the length c1 of the support leg 12b is The spacing distance f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are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plate 10b is 1 m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In a range where the contact ratio of the slabs 1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becomes 2 to 20%. The overall hardness is within the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the interlayer noise that forms the holes 30 for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 40 in the corners and the center of the four corners is formed. A rounded vertex (P2)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of the preventive material (1a)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while sandwiching the four edges in a Thompson manner to seat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을 톰슨방식으로 사방 가장자리를 끼워 물려서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와 중간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몸체(210) 저면의 면적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키는 과정;After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are seated by biting the edges in a thomson manner,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fitting jaw 20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at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Conical support legs 201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can be fixed by fitting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Holes 215 to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is to b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211 for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noise, but the reinforcement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the sound in the reinforcement ribs 212 The gaps 213 are formed to flow,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Meal The intermediate body 210 having the holes 215 through which the jaws 221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s 221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are bottomed.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and the assembled state is the same as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nd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s (40) into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a) so that the contact area of the inner layer is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톰슨방식으로 가장자리끼리 끼워 물리도록 한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접합선 전체에 방수테이프(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구멍(30) 안으로 삽입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에도 방수테이프(50)를 부착시키고,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The waterproof tape 52 is attached to the entire joint lin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to be edge-inserted in a Thomson manner, and the waterproof tape is also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anti-seizure mounts 40 inserted into the holes 30. 50 is attached, and the waterproof tape 54 is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wher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lates 102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a for the wall meet to be immer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Avoiding process;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하는 과정;Placing light foamed concrete 103 onto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a;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Interlayer noise-proof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process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over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hardness is within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prevents interlayer noise for walls having a band shape. Attaching the plate 102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b)의 두께(e1)는 6∼40mm 이내이고, 상기 판체(10b)의 윗면은 평면이 되도록 하며, 상기 판체(1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b)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b)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직경(a1)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높이(b1)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b)의 길이(c1)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이격거리(f1)는, 상기 판체(10b)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층간소음방지물(1a)의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The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PE is made of a material, and the thickness e1 of the plate body 10b is within 6 to 40 mm, and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body 10b is flat, and the plate body 10b is The conical projections 11b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b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and the diameter a1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is within 10 to 50 mm and is conical. The height b1 of the projection 11b is within 5 to 40 mm, the length c1 of the support leg 12b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is the plate 10b. ) Is set 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points at which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are 2 to 20%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square is 1 meter each. The overall hardness is within 30 ± 20 of Shore-C hardness,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having the holes 30 through which the anti-seizure mount 40 can be inse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Mount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을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와 중간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몸체(210) 저면의 면적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키는 과정;After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are seat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fitting jaw 20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Conical support legs 201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can be fixed by fitting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Holes 215 to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is to b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211 for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noise, but the reinforcement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the sound in the reinforcement ribs 212 The gaps 213 are formed to flow,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Insertio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215,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 221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o the upper body 220 formed in the bottom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the same as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the intermediate body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s 40 which ar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into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a, respectively;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맞닿은 접합선 전체에 방수테이프(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구멍(30) 안으로 삽입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에도 방수테이프(50)를 부착시키고,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2 to the entire contact lin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and also attach the waterproof tape 5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eizure mount 40 inserted into the hole (30), 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4 to the entire corner wher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plates 102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a for the wall meet so as not to be floo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하는 과정;Placing light foamed concrete 103 onto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a;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Interlayer noise-proof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process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over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hardness is within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prevents interlayer noise for walls having a band shape. Attaching the plate 102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의 두께(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직경(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높이(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의 길이(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 형 돌기(11)들의 이격거리(f)는, 상기 판체(10)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흡수부분과,A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has a thickness (e) of 6 to 15 mm or less,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0. The protrusions 11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5 to 40 mm. The length c of the support leg 12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1 m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rounded vertices P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Shore). -C) the holes 30 to be within the hardness 30 ± 20, and to insert the anti-sediment mount 40 in the corners and the center of the four corners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formed,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a)의 두께(1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a)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a)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a)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직경(1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높이(1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a)의 길이(1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이격거리(1f)는, 상기 판체(10a)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완화부분을 합포시켜서 된 층간소음방지물(1)의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the thickness (1e) of the plate body (10a) is less than 6 ~ 15mm,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0a) The protrusions 11a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1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1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5 to 40 mm. The length 1c of the support leg 12a is within 5 to 50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1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a case in which the size of the plate 10a is 1 m in width and length. As a reference,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C) Hardness is less than 30 ± 20, and the settlement prevention mount 40 can be inserted in the corner part and the center of the four sides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of the interlamina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formed by overlapping the impact relief portion forming the yokes 30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of the slab 100. Seating on the entire upper surface;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을 슬래브(100)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 (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와 중간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몸체(210) 저면의 면적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켜 관통시키는 과정;After seat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fitting jaw (202) at the top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he support body 20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so that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can be fitted and fixed Holes 215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211 for absorbing and dispersing noise is formed, but the reinforcing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and the reinforcing ribs 212 have a sound of The gaps 213 for the flow action are formed,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upper body 220 is fitted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gai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215,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 221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o the upper body 220 formed in the bottom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the same as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the intermediate body (210) a step of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s 40 so as to b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into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 respectively;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과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으로 합성수지제 차음판(106)들을 안착시킨 후 그 접촉되는 경계선 전체에 방수테이프(52a)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차음판(106)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a)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After the sound insulation plates 106 made of synthetic resin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 and the anti-settling mounts 40, the waterproof tape 52a is attached to the entire boundary line to be contacted with the interlayer walls. Attaching a waterproof tape (54a) to the entire corners where the noise preventing plates (102) and the sound insulating plates (106) meet so as not to inundate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경량기포콘크리트(103)를 타설하는 과정;Placing light foamed concrete 103 onto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a;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103)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Interlayer noise-proof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process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over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103).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hardness is within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prevents interlayer noise for walls having a band shape. Attaching the plate 102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b)의 두께(e1)는 6∼40mm 이내이고, 상기 판체(10b)의 윗면은 평면이 되도록 하며, 상기 판체(1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b)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b)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직경(a1)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높이(b1)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b)의 길이(c1)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이격거리(f1)는, 상기 판체(10b)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층간소음방지물(1a)의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The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PE is made of a material, and the thickness e1 of the plate body 10b is within 6 to 40 mm, and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body 10b is flat, and the plate body 10b is The conical projections 11b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b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and the diameter a1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is within 10 to 50 mm and is conical. The height b1 of the projection 11b is within 5 to 40 mm, the length c1 of the support leg 12b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is the plate 10b. ) Is set 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points at which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are 2 to 20%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square is 1 meter each. The overall hardness is within 30 ± 20 of Shore-C hardness,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having the holes 30 through which the anti-seizure mount 40 can be inse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Mount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을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키는 과정;After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are seat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fitting jaw 20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Conical support legs 201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can be fixed by fitting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Holes 215 to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is to b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211 for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noise, but the reinforcement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the sound in the reinforcement ribs 212 The gaps 213 are formed to flow,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Insertio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215,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 221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o the upper body 220 formed in the bottom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equal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intermediate.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s 40 which ar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body 210 into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respectively;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맞닿은 접합선 전체에 방수테이프(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구멍(30) 안으로 삽입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에도 방수테이프(50)를 부착시키고,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2 to the entire contact line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and also attach the waterproof tape 5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eizure mount 40 inserted into the hole (30), 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4 to the entire corner wher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plates 102 and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a for the wall meet so as not to be floo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Interlayer noise prevention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abov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hardness is within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prevents interlayer noise for walls having a band shape. Attaching the plate 102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의 두께(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직경(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높이(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의 길이(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이격거리(f)는, 상기 판체(10)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흡수부분과,A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has a thickness (e) of 6 to 15 mm or less,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0. The protrusions 11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5 to 40 mm. The length c of the support leg 12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about 1 meter horizontally or vertically. As a reference, the rounded vertices P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C) holes 30 which are within 30 ± 20 of hardness and into which the anti-seizure mount 40 can be inserted in the corners and the center of the four corners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formed,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a)의 두께(1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a)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a)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a)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직경(1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높이(1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a)의 길이(1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이격거리(1f)는, 상기 판체(10a)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완화부분을 합포시켜서 된 층간소음방지물(1)의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the thickness (1e) of the plate body (10a) is less than 6 ~ 15mm,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0a) The protrusions 11a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1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1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5 to 40 mm. The length 1c of the support leg 12a is within 5 to 50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1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a case in which the size of the plate 10a is 1 m in width and length. As a reference,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C) Hardness is less than 30 ± 20, and the settlement prevention mount 40 can be inserted in the corners and the center of the four sides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of the interlamina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formed by overlapping the impact relief portion forming the yokes 30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of the slab 100. Seating on the entire upper surface;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을 슬래브(100)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켜 관통시키는 과정;After seat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fitting jaw 202 at the top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he support body 20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so that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can be fitted and fixed Holes 215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211 for absorbing and dispersing noise is formed, but the reinforcing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and the reinforcing ribs 212 have a sound of The gaps 213 for the flow action are formed,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upper body 220 is fitted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gai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having the holes 215 formed therein, and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s 221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are the upper body 220 formed as the bottom. ,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equal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of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the intermediate body (210) a step of inserting the anti-sediment mounts 40, which ar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through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과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으로 합성수지제 차음판(106)들을 안착시킨 후 그 접촉되는 경계선 전체에 방수테이프(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들과 상기 차음판(106)들이 만나는 모서리 전체에 방수테이프(54)를 부착시켜 슬래브(100)의 상면으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The sound insulation plates 106 made of synthetic resin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 and the anti-sediment mount 40, and then the waterproof tape 52 is attached to the entire boundary line to be in contact with the interlayer walls. Attaching the waterproof tape 54 to the entire corners where the noise preventing plates 102 and the sound insulating plates 106 meet to prevent immersion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위로 온돌배관 및 마감몰탈(104)을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Interlayer noise prevention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ouring the ondol pipe and the finishing mortar 104 above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hardness is within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prevents interlayer noise for walls having a band shape. Attaching the plate 102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b)의 두께(e1)는 6∼40mm 이내이고, 상기 판체(10b)의 윗면은 평면이 되도록 하며, 상기 판체(1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b)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b)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직경(a1)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의 높이(b1)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b)의 길이(c1)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이격거리(f1)는, 상기 판체(10b)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층간소음방지물(1a)의 원뿔형 돌기(11b)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2)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The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PE is made of a material, and the thickness e1 of the plate body 10b is within 6 to 40 mm, and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body 10b is flat, and the plate body 10b is The conical projections 11b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b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ical projections 11b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The height b1 of the projection 11b is within 5 to 40 mm, the length c1 of the support leg 12b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is the plate 10b. ) Is set 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points at which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are 2 to 20%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square is 1 meter each. The overall hardness is within 30 ± 20 of Shore-C hardness, The rounded vertices P2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b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having the holes 30 through which the anti-seizure mount 40 can be inse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Mount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을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a)들의 구멍(30) 안으로 각기 삽입시킴과 동시에 1차로 삽입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위에 다시 2차로 침하방지마운트(40')를 안착시키는 과정;After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s 1a are seat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fitting jaw 20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Conical support legs 201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can be fixed by fitting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Holes 215 to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is to b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211 for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noise, but the reinforcement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the sound in the reinforcement ribs 212 The gaps 213 are formed to flow,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is formed. Insertio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215,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 221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o the upper body 220 formed in the bottom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equal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intermediate. The anti-sediment mounts 40, which ar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body 21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substances 1a, and at the same time, the anti-seizure mounts inserted firstly ( Seating the second anti-sedimentation mount 40 'again on top of the 40); 상기 2차로 안착된 침하방지마운트(40') 위에 합판 등의 바닥판(300)을 깔아서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Interlayer noise-proof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letion by laying a bottom plate 300, such as plywood on the second settled prevention mount (40 ').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두께는 5∼30mm 이내이고,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며 띠 형태를 가지는 벽체용 층간소음방지판(102)을 슬래브(100)와 벽체(101)가 만나는 전체 모서리의 벽체(101) 하단부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its thickness is within 5 ~ 30mm, hardness is within Shore-C hardness of 30 ± 20, and prevents interlayer noise for walls having a band shape. Attaching the plate 102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01 of the entire corner where the slab 100 and the wall 101 meet by using a double-sided tape;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의 두께(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직경(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의 높이(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의 길이(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이격거리(f)는, 상기 판체(10)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흡수부분과,A 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has a thickness (e) of 6 to 15 mm or less,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0. The protrusions 11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5 to 40 mm. The length c of the support leg 12 is within 5 to 50 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is about 1 meter horizontally or vertically. As a reference, the rounded vertices P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C) holes 30 which are within 30 ± 20 of hardness and into which the anti-seizure mount 40 can be inserted in the corners and the center of the four corners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formed, EVA, PP, PE를 혼합하여 발포시킨 혼합수지를 재료로 하며 판체(10a)의 두께(1e)는 6∼15mm 이내이며, 상기 판체(10a)의 상면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2a)를 가지는 원뿔형 돌기(11a)가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연속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직경(1a)은 10∼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의 높이(1b)는 5∼40mm 이내이며 상기 지지다리(12a)의 길이(1c)는 5∼50mm 이내이고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이격거리(1f)는, 상기 판체(10a)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 1미터일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비율이 2∼20%가 되는 범위 안에서 정해지도록 하며, 전체의 경도는 쇼어 -씨(Shore-C) 경도 30±20 이내가 되고, 사방 모서리 부분과 중앙부에 침하방지마운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0)들을 형성시킨 충격완화부분을 합포시켜서 된 층간소음방지물(1)의 원뿔형 돌기(11a)들의 라운드형 꼭지점(P1)들이 슬래브(1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슬래브(100)의 상면 전체에 안착시키는 과정;Mixed resin foamed by mixing EVA, PP, and PE, and the thickness (1e) of the plate body (10a) is less than 6 ~ 15mm,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0a) The protrusions 11a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but the diameter 1a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within 10 to 50 mm and the height 1b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5 to 40 mm. The length 1c of the support leg 12a is within 5 to 50m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1f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is a case in which the size of the plate 10a is 1 m in width and length. As a reference,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are def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ratio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is 2 to 20%, and the overall hardness is Shore-C. C) Hardness is less than 30 ± 20, and the settlement prevention mount 40 can be inserted in the corners and the center of the four sides The rounded vertices P1 of the conical protrusions 11a of the interlaminar noise prevention material 1 formed by overlapping the impact relief portion forming the yokes 30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of the slab 100. Seating on the entire upper surface;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을 슬래브(100) 상면 전체에 안착시킨 후,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중간 몸체(210) 저면의 구멍(215) 안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턱(202)을 상단에 가지는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이 중앙과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몸체(20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들의 끼움턱(20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215)들이 저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소음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한 공간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사방으로 보강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리브(212)에는 소리의 흐름작용을 위한 틈새(21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212)들의 사이사이에는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214)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다시 상면의 가장자리로는 상부 몸체(220)의 끼움턱(221)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5)들이 형성된 중간 몸체(210)와, 재질은 합성수지제 이며 상기 중간 몸체(210)의 상측 구멍(215) 안으로 삽입되는 끼움턱(221)들이 저면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220)로 되며, 조립된 상태의 높이는 층간소음방지물(1a)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몸체(200)의 원뿔형 지지다리(201)의 끼움턱(202)과 중간 몸체(210)의 접촉면적은 중간 몸체(210) 저면의 면적 대비 1∼10% 이내가 되도록 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의 구멍(30) 안으로 1차로 각기 관통시켜 안착시키는 과정;After seat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1)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0),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conical shape having a fitting jaw 202 at the top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215 of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The support body 20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body 200,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so that the fitting jaw (202) of the conical support legs 201 of the lower body 200 can be fitted and fixed Holes 215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211 for absorbing and dispersing noise is formed, but the reinforcing ribs 212 are formed in all directions, and the reinforcing ribs 212 have a sound of The gaps 213 for the flow action are formed, and holes 214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212 to disperse the noise, and the upper body 220 is fitted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gain. Jaws 221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body 210 having the holes 215 formed therein, and the material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itting jaws 221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215 of the intermediate body 210 are the upper body 220 formed as the bottom. , The height of the assembled state is equal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1a) and the contact area of the fitting jaw 202 and the intermediate body 210 of the conical support leg 201 of the lower body 200 is the intermediate body (210) a process of firstly mounting the anti-sediment mounts 40 to be within 1 to 10% of the area of the bottom, respectively, into the holes 30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 상기 층간소음방지물(1)들과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윗면으로 합성수지제 차음판(106)들을 안착시킨 후 상기 1차로 안착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의 위쪽이며 상기 차음판(106)의 윗면에 다시 2차로 침하방지마운트(40')들을 안착시키는 과정;After the sound insulating plates 106 made of synthetic resin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ve materials 1 and the anti-sedimentation mounts 40, the soundproofing plate 106 is the upper side of the anti-sedimentary mounts 40. Mounting the second anti-sedimentation mount 40 'on the upper surface again; 상기 2차로 안착된 침하방지마운트(40') 위에 합판 등의 바닥판(300)을 깔아서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Interlayer noise-proof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letion by laying a bottom plate 300, such as plywood on the second settled prevention mount (40 ').
KR1020060111948A 2006-11-10 2006-11-10 Noise protection ground construction method KR1007956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48A KR100795669B1 (en) 2006-11-10 2006-11-10 Noise protection ground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48A KR100795669B1 (en) 2006-11-10 2006-11-10 Noise protection ground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669B1 true KR100795669B1 (en) 2008-01-21

Family

ID=3921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948A KR100795669B1 (en) 2006-11-10 2006-11-10 Noise protection ground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66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949B1 (en) 2010-11-03 2011-01-31 주식회사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with a boiler pipe body
KR102106054B1 (en) * 2019-10-17 2020-04-29 한석관 Slab construction tray block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291Y1 (en) 2005-04-18 2005-07-22 (주)삼세대시공 Floor structure of apartment for decrease a heavyweight vibration using a pad herewith buff mounts
KR200393477Y1 (en) 2005-05-17 2005-08-22 (주)삼세대시공 Dual function pad for prevent vibration
KR200428518Y1 (en) 2006-07-25 2006-10-13 이성종 Constructing tool for the floor
KR200433792Y1 (en) 2006-09-29 2006-12-13 주식회사 케이씨씨 Module Plate for Sound and Vibration Isolation between Floors of Building and Wet Type Double Floor Structure Us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291Y1 (en) 2005-04-18 2005-07-22 (주)삼세대시공 Floor structure of apartment for decrease a heavyweight vibration using a pad herewith buff mounts
KR200393477Y1 (en) 2005-05-17 2005-08-22 (주)삼세대시공 Dual function pad for prevent vibration
KR200428518Y1 (en) 2006-07-25 2006-10-13 이성종 Constructing tool for the floor
KR200433792Y1 (en) 2006-09-29 2006-12-13 주식회사 케이씨씨 Module Plate for Sound and Vibration Isolation between Floors of Building and Wet Type Double Floor Structure Using 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949B1 (en) 2010-11-03 2011-01-31 주식회사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with a boiler pipe body
KR102106054B1 (en) * 2019-10-17 2020-04-29 한석관 Slab construction tray block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147B1 (en) Sound-proof floor material of construction
US20120055108A1 (en) Lightweight acoustical flooring underlayment
KR101181696B1 (en) Floor construction method used with an impulsive noise protection material has empty prominence and depression
KR100811747B1 (en) Floor materials using sound-proof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KR100795669B1 (en) Noise protection ground construction method
KR101460319B1 (en) Noise p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399170Y1 (en) A noise supresser
AU2010246910B2 (en) Floor for a modular building
KR20140101523A (en) Floor-to-floor noise preventive floor heating system using sound insulation / general heating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433755Y1 (en) A product for reducing noise in architecture
KR200391011Y1 (en) Heating system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using heating piping method
KR101428760B1 (en) Material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KR20080029515A (en) Noise protecting structure of floor for multilayered building
KR100611184B1 (en) Separate/dual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of wall-type apart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such floor structure
KR100927358B1 (en) Floor finishing structure with excellent shock and light impact
KR101373091B1 (en) Interfloor noise proofing material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KR20070088233A (en) Insulation materials for reducing a noise and a impact sound
KR200321612Y1 (en) Floor Structure for Buildings
KR20230123113A (en) Construction slab structure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of apartment building
KR20110049176A (en) Decreasing material of noise and vibration using luffa cylindrica roem
KR20060025496A (en) Manufacturing method and floor structure of sound insulation reducing material for elastic concrete floor
KR101514973B1 (en) Plastic or FRP panel using for heating and soundproofing
KR101058658B1 (en) Floor shock absorber panel
KR200387009Y1 (en) Sound-proof floor material of construction
KR102392140B1 (en) Construction slab structure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of apartment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