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537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537B1
KR100795537B1 KR1020050109789A KR20050109789A KR100795537B1 KR 100795537 B1 KR100795537 B1 KR 100795537B1 KR 1020050109789 A KR1020050109789 A KR 1020050109789A KR 20050109789 A KR20050109789 A KR 20050109789A KR 100795537 B1 KR100795537 B1 KR 10079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vel
signal
duplexe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2125A (ko
Inventor
권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5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아이솔레이터 및 커플러를 제거하고, 모바일 스위치와 듀플렉서의 사이에 전력 검출회로를 연결하여, 듀플렉서를 통해 입출력되는 송수신신호에 대한 전력레벨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레벨에 따라 송수신신호의 증폭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PCB 패턴 설계 시 공간 확보가 쉽고, 비용이 절감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제품의 경쟁력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력 검출회로, 임피던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
도 1 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신호에 대한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신호에 대한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모바일 스위치 20: 듀플렉서
30: 전력 검출회로 40: 전력 증폭부
50: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 검출회로가 듀플렉서와 임피던스 매칭 되어, 상기 듀플렉서로 인가되는 송, 수신 신호에 대한 전력 레벨을 검출하여, 송, 수신 신호에 대한 전력 증폭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스위치(1)와, 송수신신호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듀플렉서(Duplexer, 2)와, 신호 전력의 흐름을 한쪽 방향으로만 인가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3)와, 신호 전력을 분배하는 커플러(Coupler, 4)와, 신호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증폭부(PAM, 5)와, 상기 커플러(4)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회로(HDET, 6)와, 상기 전력 검출회로(6)에서 검출된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부(5)의 증폭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7)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 검출회로(6)는 상기 커플러(4)의 출력단과 상기 아이솔레이터(3)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신호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7)로 측정된 신호 전력 레벨을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7)는 측정된 신호 전력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전력증폭부(5)의 증폭 정도를 판단하여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커플러(4)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전력 검출회로(6)를 이용하여 검출한 신호 전력 레벨과 듀플렉서(2)를 통해 출력된 신호 전력 레벨이 아이솔레이터(3) 또는 커플러(4)를 통해 인가되어 임피던스 매칭이 불완전하여 신호전력의 차이가 생기게 되고, 각각의 구간에 대한 신호 전력이 안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듀플렉서로 입력, 출력되는 송, 수신 신호에 대한 전력 레벨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듀플렉서와 전력 검출회로를 임피던스 매칭이 되도록 함으로서, 송, 수신 신호에 대한 증폭 정도를 조절하여 전 구간에서 동일한 신호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신호가 입출력되는 모바일 스위치, 상기 송수신신호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듀플렉서, 상기 모바일 스위치와 상기 듀플렉서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듀플렉서와 임피던스 매칭되어 상기 송수신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전력 검출회로 및 상기 측정된 전력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송수신신호의 증폭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수신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력 레벨에 따라 듀플렉서를 통과한 수신신호의 증폭정도를 조절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제 1 단계, 듀플렉서를 통과 후, 상기 증폭된 송신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상기 송신신호의 증폭정도를 조절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로 송,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동작되는 모바일 스위치(10)와, 송, 수신 신호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듀플렉서(20)와, 상기 듀플렉서(20)로 입력, 출력되는 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회로(30)와, 상기 듀플렉서(20)로 입력,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부(40)와, 상기 전력 검출회로(30)에서 검출된 전력 레벨에 따라 증폭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치(10)는 안테나를 통하여 송,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분리되어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듀플렉서(2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치(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수신 신호 또는 상기 전력증폭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분리하여, 송, 수신 신호 에 대한 통과 경로를 지정한다.
여기서 , 상기 듀플렉서(20)는 송, 수신 신호에 따라 수신 신호를 통과하는 밴드 패스 필터(BPF)와 송신 신호를 통과하는 밴드 패스 필터(BPF)로 통과 경로가 분리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듀플렉서(2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치(10)와 연결되어 수신 신호가 입력되면 수신용으로 사용되는 밴드 패스 필터를 통해 상기 전력증폭부(40)로 인가한다.
또한, 상기 듀플렉서(20)는 상기 전력증폭부(40)와 연결되어 송신 신호가 입력되면 송신용으로 사용되는 밴드 패스 필터를 통해 상기 모바일 스위치(10)로 인가한다.
상기 전력 검출회로(3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치(10)와 상기 듀플렉서(20)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듀플렉서(20)로 입력,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검출회로(30)는 상기 듀플렉서(20)와 임피던스 매칭이 되어 연결되며, 상기 듀플렉서(20)로 입력,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전력 레벨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상기 전력증폭부(4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 수신 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력 검출회로(30)를 통해 측정된 전력 레벨을 통하여 상기 전력증폭부(40)로 신호에 대한 증폭 정도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력 검출회로(30)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에 대 한 전력 레벨이 전달되면,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이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부(40)의 증폭 정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송신 신호가 상기 전력증폭부(40)에서 증폭되어 상기 듀플렉서(20)로 인가되도록 하며, 상기 듀플렉서(20)의 송신단에서 상기 모바일 스위치(10)로 인가되는 송신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전력 검출회로(30)에서 측정된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인가받아, 설정된 기준범위와 비교한다. 제어부(50)는 비교 결과에 따라 전력증폭부(40)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전력 레벨을 조절한다.
만일, 제어부(50)는 전력 레벨이 설정된 기준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증폭 정도에 따라 전력 레벨을 조절한다. 한편, 제어부(50)는 전력 레벨이 설정 기준 미만이면 증폭 정도를 높이고, 설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증폭 정도를 줄이도록 한다. 따라서, 변경된 증폭 정도에 따라 전력 레벨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주파수에 대한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주파수에 대한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계는 수신신호의 전력 레벨이 듀플렉서(20) 통과 전 측정되는 단계이다.
모바일 스위치(10)를 통해 수신 신호가 수신된다.(S1)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모바일 스위치(10)가 동작되어, 수신 감도가 좋은 수신 신호가 입력된다.
듀플렉서(20)로 인가되는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한다.(S2)
즉, 상기 모바일 스위치(10)는 수신 신호를 듀플렉서(20)의 수신단과 상기 전력 검출회로(30)로 인가한다.
상기 전력 검출회로(30)는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측정 결과를 인가한다.
제 2 단계는 측정된 전력 레벨에 따라 듀플렉서(20)를 통과한 수신신호의 증폭이 조절되는 단계이다. 신호 전력 레벨이 설정된 기준범위와 비교되어, 증폭 정도가 판단된다.(S3)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력 검출회로(30)를 통해 인가된 신호 전력 레벨과 설정된 기준을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신호 전력 레벨 값이 포함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신호 전력 레벨 값이 설정된 기준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부(40)를 제어한다.
비교 결과에 따라 수신 신호의 전력 증폭에 대한 증폭정도를 조절한다.(S4)
즉, 상기 제어부(50)는 수신신호의 전력레벨에 대한 증폭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전력증폭부(40)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측정된 전력 레벨이 기준 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전력증폭부(40)로 증폭 정도를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측정된 전력 레벨이 기준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증폭부(40)로 증폭 정도를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증폭 정도의 조절에 따라 수신신호가 증폭된다.(S5)
이때, 상기 전력증폭부(40)는 상기 제어부(50)에서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증폭 정도를 조절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계는 송신신호가 듀플렉서 통과 전 증폭되는 단계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송신 신호의 외부 전송을 위해 신호를 증폭한다.(S6)
상기 제어부(50)는 송신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전력증폭부(40)로 신호 증폭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전력증폭부(4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 신호를 설정 기준 만큼 증폭한다.
듀플렉서(20)의 송신단으로 증폭된 송신 신호가 입력된다.(S7)
상기 전력증폭부(40)는 증폭한 송신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20)의 송신단으로 인가한다. 이때, 상기 듀플렉서(20)는 송신단으로 인가되는 송신 신호가 수신단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제 2 단계는 듀플렉서(20)를 통과 후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이 측정되는 단계이다. 듀플렉서(20)를 통해 인가되는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이 측정된다.(S8)
상기 듀플렉서(20)는 송신 신호를 상기 전력 검출회로(30)로 출력한다.
상기 전력 검출회로(30)는 입력되는 송신 신호에 대한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50)로 측정된 전력 레벨을 인가한다.
제 3 단계는 측정된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제 1 단계의 증폭이 조절되는 단 계이다. 신호 전력 레벨이 설정된 기준범위와 비교되어, 증폭 정도가 판단된다.(S9)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력 검출회로(30)를 통해 인가된 신호 전력 레벨과 설정된 기준을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신호 전력 레벨 값이 포함되는 경우와 설정된 기준 범위 미만 또는 초과한 경우에 각각 다르게 상기 전력증폭부(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측정된 전력 레벨이 기준 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전력증폭부(40)로 증폭 정도를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측정된 전력 레벨이 기준 범위 미만일 경우 상기 전력증폭부(40)로 증폭 정도를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비교 결과에 따라 송신 신호의 증폭 정도가 조절된다.(S10)
즉, 상기 전력증폭부(40)는 상기 제어부(50)에서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 신호의 증폭 정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아이솔레이터 또는 커플러를 제거하고, 전력 검출회로(30)와 듀플렉서(20)가 임피던스 매칭되어 안테나의 임피던스 변화에 상관없이 전 구간에서 송, 수신 신호에 대한 전력 레벨이 일정하게 되고, PCB 패턴 설계 시 비용절감 및 공간에 여유를 확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제품의 상품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 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전력 검출회로를 통해 측정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과 안테나를 통해 입력,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이솔레이터 또는 커플러를 제거하고 상기 전력 검출회로와 듀플렉서의 저항 성분에 대해 임피던스 매칭 되도록 연결함으로서, PCB 패턴 설계 시 공간 확보가 쉽고 비용이 절감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제품의 경쟁력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신호가 입출력되는 모바일 스위치;
    상기 송수신신호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듀플렉서;
    상기 모바일 스위치와 상기 듀플렉서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듀플렉서와 임피던스 매칭되어 상기 송수신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전력 검출회로; 및
    상기 측정된 전력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송수신신호의 증폭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전력레벨이 설정된 기준 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송수신신호의 증폭정도를 낮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전력레벨이 설정된 기준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송수신신호의 증폭정도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수신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력 레벨에 따라 듀플렉서를 통과한 수신신호의 증폭정도를 조절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측정된 수신신호의 전력 레벨을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증폭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6.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제 1 단계;
    듀플렉서를 통과 후, 상기 증폭된 송신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상기 송신신호의 증폭정도를 조절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전력 레벨을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송신신호의 증폭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20050109789A 2005-11-16 2005-11-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9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789A KR100795537B1 (ko) 2005-11-16 2005-11-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789A KR100795537B1 (ko) 2005-11-16 2005-11-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125A KR20070052125A (ko) 2007-05-21
KR100795537B1 true KR100795537B1 (ko) 2008-01-21

Family

ID=3827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789A KR100795537B1 (ko) 2005-11-16 2005-11-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5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086A (ko) * 2001-09-24 2003-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송신전력 검출장치
KR20040088832A (ko) * 2003-04-12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 장치 및 방법
KR20050083404A (ko) * 2004-02-23 2005-08-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용 단말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086A (ko) * 2001-09-24 2003-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송신전력 검출장치
KR20040088832A (ko) * 2003-04-12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 장치 및 방법
KR20050083404A (ko) * 2004-02-23 2005-08-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용 단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125A (ko) 200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8292B2 (en) 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70324431A1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attenuation compensation in an antenna signal link
KR100862127B1 (ko) 송신기의 부하 임피던스 불량 검출 시스템
US6771941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of bas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87682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sensing and antenna tuning
US8406820B2 (en) Radio transmission signal detection circuit
CN112118055B (zh) 一种驻波检测装置及通信设备
EP2884670B1 (en) Antenna systems of radio microphones
KR100795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40033917A (ko)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FI97177C (fi) Menetelmä ja järjestely suurtaajuustehovahvistimen toiminnan ohjaamiseen
JP2014064221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障害検出方法
KR100834682B1 (ko)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28682B1 (ko) 안테나 성능 감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동작방법
KR100809511B1 (ko) 이동통신 중계기용 pim 신호 감시시스템 및 그을 이용한pim 신호 감시방법
KR2006012221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정합 보상 회로 및 방법
KR101660708B1 (ko) 출력 변화 조정 가능한 자동레벨보상 회로
KR100641219B1 (ko) 휴대폰의 송신전력 제어회로
KR101628359B1 (ko) Rf 통신장치 및 제어방법
KR100434342B1 (ko) 무선통신망의 기지국 송신기 회로
KR10063164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 안정화 방법 및 장치
EP1622262B1 (en) RF unit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to be used in a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309908Y1 (ko) 디지털 티브이의 반복기
KR20030048969A (ko) 기지국 송신기의 자동 이득 조절 회로 및 방법
KR2002005523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rf 송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