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589B1 -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589B1
KR100794589B1 KR1020070019320A KR20070019320A KR100794589B1 KR 100794589 B1 KR100794589 B1 KR 100794589B1 KR 1020070019320 A KR1020070019320 A KR 1020070019320A KR 20070019320 A KR20070019320 A KR 20070019320A KR 100794589 B1 KR100794589 B1 KR 10079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water quality
pollution
information
ge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현
홍석영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1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589B1/ko
Priority to JP2007161791A priority patent/JP2008210362A/ja
Priority to CNA2007101376426A priority patent/CN10125666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8Monitoring fo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염가능지역 특히, 농촌지역의 다양한 오염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지역 오염원의 특성 분석이 가능하고, 오염원의 발생위치 및 오염이 심각한 지역, 하천으로의 집적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오염물질의 배출경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수질모델링을 통한 수질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지나 재배지역에 대한 용수이용계획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용이토록 하고 농촌지역 환경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정책 수립 시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IS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농촌지형정보 기본도 및 주제도 구축, 농촌지역의 다양한 오염원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지역 오염원의 특성 분석이 가능하고, 오염원의 발생위치 및 오염이 심각한 지역, 하천으로의 집적과정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오염물질의 배출경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수질모델링을 통한 수질예측이 가능하므로 경지나 재배지역에 대한 용수이용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용이하며, 농촌지역 환경관리를 위한 기본정책의 수립시 지원시스템으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Decision support system and its running method for water quality forecasting using a GI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구동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지리도형DB 및 그 속성DB의 구성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계배출부하량 산정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계배출부하량 산정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계배출부하량 산정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식계배출부하량 산정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지이용계배출부하량 산정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메뉴탭,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초기화면,
도 12는 도 11의 메뉴탭 및 툴바의 확대화면,
도 13은 도 10의 메뉴탭 중 “도형조회”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각 세부목록화면,
도 14는 도 10의 메뉴탭 중 “오염원현황”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각 세부목록화면,
도 15는 도 14의 세부목록 중 “리동별오염원현황”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출력화면,
도 16은 도 14의 세부목록 중 “폐수배출업소”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출력화면,
도 17은 도 10의 메뉴탭 중 “유역측정자료”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각 세부목록화면,
도 18은 도 10의 메뉴탭 중 “수질모델링”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각 세부목록화면,
도 19는 도 18의 세부목록 중 “오염원단위”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출력화면,
도 20은 도 18의 세부목록 중 “오염배출부하량산정”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출력화면,
도 21은 도 18의 세부목록 중 “오폐수발생량조회”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출력화면,
도 22는 도 18의 세부목록 중 “발생부하량조회”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출력화면,
도 23은 도 18의 세부목록 중 “배출부하량조회”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출력화면,
도 24는 도 18의 세부목록 중 “유달부하량조회”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출력화면,
도 25는 도 18의 세부목록 중 “수질모의결과조회”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출력화면,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모의와 수질예측모델링에 사용되는 수질모의의 모식도 출력화면,
도 27은 도 25의 수질모의결과 출력화면,
도 28은 도 10의 메뉴탭 중 “수질예측모델링”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각 세부목록화면,
도 29는 도 28의 세부목록 중 “오염삭감시나리오”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따른 시나리오 1단계 출력화면,
도 30은 도 29에 이은 시나리오 2단계인 Input FIle 작성화면,
도 31은 도 30에 이은 시나리오 3단계인 Qual2E 모델 수행화면,
도 32는 도 31에 이은 시나리오 4단계인 Output File 입력화면,
도 33은 도 32에 이은 시나리오 5단계인 Excel File로 저장화면,
도 34는 도 33에 이은 시나리오를 모두 수행한 후 출력되는 최종 시나리오 결과 출력화면,
도 35a,35b,35c,3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10 : 중앙제어처리장치, 120 :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구동유닛,
121 : 오염원현황 검색모듈, 122 : 오염부하산정조회모듈,
123 : 도형검색모듈, 124 : 연산/처리모듈,
126 : 수질예측모델링모듈, 127 : 출력모듈,
130 : GUI(Graphical User interface),
140 : 메모리(RAM), 160 : 디스플레이어
170 : 데이터베이스, 171 : 지리도형DB,
172 : 속성DB, 180 : 플로터(Plotter),
190 :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GIS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오염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지역 오염원의 특성 분석이 가능하고, 오염원의 발생위치 및 오염 심한 지역, 하천으로의 집적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오염물질의 배출경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수질모델링을 통한 수질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지나 재배지역에 대한 용수이용계획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용이토록 하고 농촌지역 환경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정책 수립 시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IS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 다.
주지된 바와 같이, 농산물 개방에 따른 유휴농지 증가와 농촌 난개발에 따른 수질의 악화 등으로 인해 농촌지역의 수질관리 제도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 국토연구원의 ‘농지이용 관리제도 발전방향’ 보고서는 국내ㆍ외 농업 환경이 급변하면서 농업진흥지역 해제 압력과 함께 농지전용, 난개발 등의 우려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오염물질의 발생과 배출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수질관리에 필요한 환경정보는 다양한 오염원의 속성, 위치 및 시간으로 구성되는 방대한 양의 관련정보를 동시에 관리해야 하므로 기존의 보고서를 통한 처리 방식으로는 관리가 거의 불가능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고서를 통한 환경정보 관리방법이 아닌 공간 및 도형 정보를 이용하는 GIS를 활용하여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그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연산 처리하는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으며, 구축된 정보를 기본 정보로 하여 지역별 시기별 오염부하의 예측을 통한 수질저감 방안의 제시와 다양한 시나리오를 지원할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개발과 운용이 시급하게 선행되어야 할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오염가능지역 특히, 농촌지역의 다양한 오염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지역 오염원의 특성 분석이 가능하고, 오염원의 발생위치 및 오염이 심각한 지역, 하천으로의 집적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오염물질의 배출경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수질모델링을 통한 수질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지나 재배지역에 대한 용수이용계획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용이토록 하고 농촌지역 환경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정책 수립 시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IS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및 특정한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구체화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시스템의 지리도형정보가 구비되는 지리도형DB(171); 상기 지리도형DB의 각 속성정보로서, 대상지의 리ㆍ동별 인구, 축산, 양식, 산업, 토지에 따른 오염원 현황, 분뇨처리시설ㆍ하수종말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 수질측정지점ㆍ수질모의 및 부하량산정과 관련한 속성, 그리고 이를 모두 연계하는 연계성 등을 구비하는 속성DB(172); 상기 지리도형DB(171) 및 속성DB(172)에 구축된 오염원현황, 환경기초시설, 수질측정지점, 수질모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탑재된 수식알고리즘을 통해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 이를 최종 삭감시나리오에 반영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시스템 구동유닛(120); 산출된 결과를 지리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GUI(130); 및, 상기 DB들(171,172)과 시스템 구동유닛(120) 및 GUI(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총괄 제어하는 중앙제어처리장치(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농촌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 구동유닛(120)은 유저가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한 좌표값에 매칭된 도형데이터를 지리도형 DB(171)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기 위한 도형검색모듈(123)과; 상기 도형검색모듈(123)에 의해 검색된 지역범위내에서,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특정 행정구역이나 폐수배출업소, 시설의 선택에 의한 오염원저장데이터를 지리도형DB(171)와 속성DB(172)로부터 검출하는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과; 상기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을 통해 검색된 오염원 현황데이터를 기초로 구축된 인구/가축/양식장/산업/토지이용 등의 오염원별 부하정보를 상기 속성DB(172)로부터 검출하는 오염부하산정 조회모듈(122)과; 상기 도형검색모듈(123)에 의해 검색된 지역범위내에서, 오염원 및 부하량을 고려하여 수질예측을 모델링하기 위한 수질예측모델링모듈(126)과; 상기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로부터 검색된 오염원현황데이터와, 상기 오염부하산정 조회모듈(122)을 통해 검색된 오염원별 부하정보를 수신받아 미리 구축된 수식알고리즘(후술함)을 통해 오염원별 발생계수량, 유달계수, 가중하천형상계수, 유달지체계수를 연산처리하고, 수질 모델링 알고리즘을 통해 수질예측값을 연산하기 위한 연산/처리모듈(124)과; 해당 추출 정보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모듈(12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농촌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 구동유닛(120)에 탑재된 수식 알고리즘은
<수식 1>
발생부하량 = ∑(인구수 × 발생원단위),
<수식 2>
발생부하량 = ∑(축종별사육두수 × 발생원단위),
<수식 3>
발생부하량 = ∑(폐수발생량 × 발생원단위),
<수식 4>
발생부하량 = ∑(지목별토지이용면적 × 발생원단위),
<수식 5>
SFi=(Li)2/Ai
Li : i 유역의 하천길이
Ai : i 유역의 유역면적
<수식 6>
SRi=SFi×Fγi
Fγi=(FAVWi)/(FAVNi)
F : i 유역출구에서의 흐름누적값 비율
FAVNi : 토지피복별 유출율이 적용되지 않은 i 유역출구에서의 흐름누적값
FAVWi : 토지피복별 유출율을 적용한 i 유역출구에서의 흐름누적값,
<수식 7>
Ψ = (1/SR)· ln((PTi)/(PMi))
PMi : 수질측정지점의 실측부하량(QMi × CMi)
QMi : 수질측정지점이 위치한 유역의 유량
CMi : 수질측정지점의 측정 수질
PTi : 유역별 계산된 배출부하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농촌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하여,
ⅰ) 속성DB와 지리도형DB로부터 각 자료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기본 지리정보 조회를 통한 자료의 분류/구축 단계;
ⅱ) 상기 분류된 정보를 토대로, 대상지의 발생부하량ㆍ배출부하량ㆍ유달부하량을 산출 조회하는 단계;
ⅲ) 주요하천의 수질모의를 통한 자료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고, 그 오염물질 거동데이터를 수립하는 단계;
ⅳ) 해당 대상지의 부하량과 오염물질 거동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삭감시나리오대로 수질모델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취득함으로써 그 결과값을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농촌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운영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구동유닛의 구성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지리도형DB(171) 및 그 속성DB(172)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중앙제어처리장치(이하, “CPU"라 함)(110)를 주축으로 하여 메모리(이하, ”RAM"이라 함)(140),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GUI"라 함)(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DB들(171,172)이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170)가 상기 RAM(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상기 CPU(110)과 상호 호환 기동되도록 프로그램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구동유닛(1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90)에는 키입력부(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져 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된 각종 메뉴선택신호 및 명령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시스템 구동유닛(120)의 프로그램 루틴과 CPU(110)를 통해 연계된 자료의 연산 및 추출, 디스플레이 명령을 주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CPU(110)는 인터페이스부(190)를 매개로, 상기 시스템 구동유 닛(120)으로부터 자료추출에 대한 연계코드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코드로 기분류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70)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GUI(13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처리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구동유닛(120)은, 모듈기반의 구성을 갖는 바, 연산/처리모듈(124)을 중심으로 하여 오염원현황 검색모듈(121), 오염부하산정조회모듈(122), 도형검색모듈(123), 수질예측모델링모듈(126), 출력모듈(127)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으며, 이들의 구체적인 작동원리와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 상술하기로 한다(도 2 참조).
이때, 상기 도형검색모듈(123)은 유저가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한 좌표값에 매칭된 도형데이터를 지리도형 DB(171)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기 위한 검색모듈이다. 이때의 도형데이터는 상기 GUI(130)를 통해 화면출력될 때 최하층 레이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은 상기 도형검색모듈(123)에 의해 검색된 지역범위내에서,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특정 행정구역이나 폐수배출업소, 시설의 선택에 의한 오염원저장데이터를 지리도형DB(171)와 속성DB(172)로부터 검출하는 모듈이다.
상기 오염부하산정 조회모듈(122)은 상기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을 통해 검색된 오염원 현황데이터를 기초로 구축된 인구/가축/양식장/산업/토지이용 등의 오염원별 부하정보를 상기 속성DB(172)로부터 검출하는 모듈이다.
상기 수질예측모델링모듈(126)은 상기 도형검색모듈(123)에 의해 검색된 지 역범위내에서, 오염원 및 부하량을 고려하여 수질예측을 모델링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연산/처리모듈(124)은 상기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로부터 검색된 오염원현황데이터와, 상기 오염부하산정 조회모듈(122)을 통해 검색된 오염원별 부하정보를 수신받아 미리 구축된 수식알고리즘(후술함)을 통해 오염원별 발생계수량, 유달계수, 가중하천형상계수, 유달지체계수를 연산처리하고, 수질 모델링 알고리즘을 통해 수질예측값을 연산하기 위한 모듈이며, 상기 출력모듈(127)을 통해 해당 추출 정보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 구동유닛(120)의 구체적인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운영방법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170)는, 다수의 지형정보인 지리도형DB(171)와, 상기 도형정보와 상응하는 상세정보 및 관련정보로서의 속성DB(17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DB들(171,172)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은 정보들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DB들(171,172)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DDS)이 올바르게 구동되도록 하는 기초적인 데이터 및 신속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역할을 실시하는데, 정부기관과 각종 산학연단체에 의해 마련되어 운영되고 있는 주지된 지리정보시스템에 구비되는 지리정보를 가공하는 데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리도형DB(171)는 행 정구역도, 도로, 정수장, 분뇨처리시설 등의 기간 시설 등의 지리적 도형정보 등이 구비되며 하기의 <표 1>에서와 같다.
<표 1>
NO 구 분 구축내용 축 척 레이어 형태
1 기본도 지형도 1:25K Line
2 기본도 하천도(주요, 세부) 1:25K Polygon
3 기본도 행정구역도 1:5K Polygon
4 기본도 건물 1:25K Polygon
5 기본도 도로 1:25K Line
6 기본도 지류 1:25K Line
7 기본도 등고선 1:25K Line
8 주제도 공통유역도 1:25K Polygon
9 주제도 표준유역도 1:25K Polygon
10 주제도 정수장 - Point
11 주제도 양수장 - Point
12 주제도 분뇨처리시설 - Point
13 주제도 매립장 - Point
14 주제도 매립장침출수처리시설 - Point
15 주제도 하수종말처리시설 - Point
16 주제도 농공단지폐수처리시설 - Point
17 주제도 양식장 - Point
18 주제도 취수장 - Point
19 주제도 토양도 - Point
20 주제도 토지이용도 - Point
21 주제도 수질측정지점 - Point
22 주제도 유량측정지점 - Point
23 주제도 수위측정지점 - Point
24 주제도 우량측정지점 - Point
또한, 상기 속성DB(172)는, 인구현황, 가축현황, 토지이용현황, 폐수배출업소현황, 환경기초시설현황 등의 오염원 현황과, 수질관측지점, 우량관측지점 등 수질현황 정보 등이 구비되는 특징이 있는 바, 하기의 <표 2>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표 2>
NO 대분류항목 중분류항목 소분류항목
1 오염원현황 인구현황 (리동 및 유역단위) 인구합계, 하수처리지역 분류식인구, 하수미처리지역 합류식인구, 하수처리지역 무처리인구, 하수미처리지역 수세식 인구, 시가 하수미처리지역 수거식 인구, 하수미처리지역 무처리인구
2 오염원현황 가축현황 (리동 및 유역단위) 한우, 젖소, 돼지, 개, 말 ,양, 사슴, 가금 등 사육두수(허가대상, 신고대상, 신고미만)
3 오염원현황 토지이용현황 논, 밭, 임야, 대지, 목장, 도로, 골프장, 기타 등 지목별 면적
4 오염원현황 폐수배출업소현황 (리동 및 유역단위) 업소명, 소재지, 업종코드, 주요생산품, 가동여부, 물공급량, 물사용량, 폐수발생량 배출수
5 오염원현황 환경기초시설현황 (관측지점) 각 처리장별 시설명, 소재지, 시설용량, 처리인구, 측정원, 방류량, 반입량, 유입수 수질, 방류수 수질
6 수질현황 수질현황 (관측지점) 측정소이름, 측정월, 유량, 수온, 대장균수, 투명도, pH, BOD, COD, SS, TN, TP, DO 등
7 부하량 부하량산정결과 (발생ㆍ배출ㆍ유달) BOD발생부하량_전체, TN발생부하량_전체, TP발생부하량_전체, BOD_배출부하량_전체, TN_배출부하량_전체 등
위의 <표 2>에서와 같기, 본 발명에 따른 속성DB(172)는 대분류와 중분류 및 소분류항목으로 각각 구분되고, 상기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항목들은 각각 속성 형태에 따른 분류와; 오염부하산정을 위한 기본 항목에 따라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는 표준유역에 근거하여 발생부하량, 배출부하량, 유달부하량을 산정한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데 오염물질 부하량 산정에 있어서, 환경부 배수구역의 경우는 행정경계인 동ㆍ리 경계와 일치하지만, 표준유역의 경우 행정경계를 분할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유역 내에 포함되는 동ㆍ리의 정확한 점유율 산정이 필요하다.
즉, 환경부 배수구역을 기준으로 행정경계를 구분할 때와, 표준유역을 기준으로 행정경계를 구분할 때에의 동ㆍ리 경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점유지역의 지정 및 산성이 필요한 것이다.
지자체별 오염원 현황자료는 인구, 축산, 산업, 토지이용, 양식장 등의 오염 원별로 수질총량기술지침에서 고시된 작성요령에 따라 지역을 관리하는 시ㆍ군에서 조사하여 해당 유역청에 제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포함되는 속성DB(172)의 구축에는 유역청에 제출되어 등록된 오염원 현황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하는 것이 보다 용이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하다.
기술지침에 따르면 행정단위별로 조사된 오염원을 표준유역별 부하량 산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표준유역-행정구역 대비목록을 작성하여야 하며, 이때 하나의 행정구역이 2개 이상의 표준유역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면적비율에 따라 표준유역에 편입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는 표준유역-동ㆍ리 경계를 분할시켜 분할 전 면적에 대한 분할 후 면적비를 산출하여, 표준유역별 동ㆍ리 점유율을 산정한다. 이때, 분할된 면적이 분할 전 면적의 7% 미만인 경우에는 지리정보 도형 자체에 포함된 오차로 가정하여 분할 면적이 큰 유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계산하도록 미리 상기 시스템구동유닛(120)에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된 점유율비를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발생부하량을 상기 시스템구동유닛(120)을 통해 산정한다. 대상지역에서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은 오염원 현황자료를 기초로 인구, 가축, 양식장, 산업, 토지이용 등 오염원별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적정한 방법에 의해 설정된 실측원단위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현실상 아직까지는 시ㆍ군 자체적으로 설정된 신뢰성 있는 실측 원단위가 없는 실정이므로 잠정적으로 오염원별로 고시된 발생원단위를 사용하여 발생부하량을 산정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구동유닛(120)에서 이루어지는 발생부하량 산정은 하기와 같이 다섯 가지로 분류되며 내용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인구에 의한 대상물질 발생부하량은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에 발생원단위를 곱하여 산정한다. 이때 인구는 시가화인구와 비시가화인구로 구분하여 각각의 인구를 가정 인구와 영업장 인구로 나누어 원단위를 적용한다. 계산은 하기 <수식 1>에서와 같이 이루어지며, <표 3-1>은 수식 1에 사용되는 발생원단위이다.
<수식 1>
발생부하량 = ∑(인구수 × 발생원단위)
<표 3-1>
(단위: g/인ㆍ일)
구 분 BOD 총질소(TN) 총인(TP)
시가화 가정 50 10.5 1.2
영업 26 8.0 0.7
비시가화 가정 49 13.2 1.5
영업 26 8.0 0.7
축산에 의한 발생부하량은 축종별로 분 및 뇨에 대해 별도로 추정된 발생원단위의 합계를 적용하여 하기 <수식 2>에서와 같이 산정되며, <표 3-2>는 축산계의 발생원단위이다.
<수식 2>
발생부하량 = ∑(축종별사육두수 × 발생원단위)
<표 3-2>
(단위: g/두/일)
축종 항목 구분 젖소 한우 돼지 사슴 가금
BOD 합계 556 528 259 109 17 17 5
516 485 241 96 12 12 5
40 43 18 13 5 5 0
TN 합계 161.8 116.8 77.6 27.7 9.5 9.5 1.1
115.6 80.8 53.6 16.0 2.6 2.6 1.1
46.2 36.0 24.0 11.7 6.9 6.9 0.0
TP 합계 56.6 36.1 24.0 12.2 1.4 1.4 0.4
54.1 34.3 22.8 11.2 1.1 1.1 0.4
2.5 1.8 1.2 1.0 0.3 0.3 0.0
폐수배출시설에 의한 산업계 발생부하량 산정은 원칙적으로 개별 폐수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처리되기 전 원폐수의 실측 유량과 일평균농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실측자료가 없는 배출시설의 경우에는 발생원단위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그 식은 하기 <수식 3>에서와 같이 산정된다.
<수식 3>
발생부하량 = ∑(폐수발생량 × 발생원단위)
토지로부터 발생되는 발생부하량은 해당지역의 지목별 토지면적에 따른 발생원단위를 적용하여 산정한다<표 3-4>. 밭은 지목별 면적 중 전과 과수원을 포함하고, 대지는 대지, 공장용지, 학교용지, 도로, 철도용지, 골프장을 제외한 체육용지, 유원지, 종교용지, 사적지를 포함하며, 기타에는 광천지, 염전, 제방, 구거, 유지, 수도용지, 공원, 묘지, 잡종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토지이용에 의한 발생부하량을 산정한다<수식 4>.
<수식 4>
발생부하량 = ∑(지목별토지이용면적 × 발생원단위)
<표 3-3>
(단위: kg/㎢ㆍ일)
구 분 BOD TN TP
2.3 6.56 0.61
1.6 9.44 0.24
임 야 1.0 2.20 0.14
대 지 85.9 13.69 2.10
목 장 35.1 5.37 1.72
골프장 1.0 3.56 2.76
기 타 1.0 0.06 0.03
배출부하량은 전술한 발생부하량에 근거하여 모든 오염원별로 처리경로를 고려하여 처리시설별 또는 방법별 삭감효율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각 처리시설과 방류경로에서의 처리효율은 하수종말처리시설, 분뇨처리시설, 축산폐수공공처리시설, 폐수종말처리시설 등 공공처리시설의 배출량은 실측치를 사용하고, 정화시설, 축산폐수시설, 폐수배출시설 등 개별처리시설의 처리효율은 기준처리율, 방류수 수질기준, 배출허용기준을 적용한다.
인구에 의한 생활계 배출부하량은 시가화구역 및 비시가화구역, 가정 및 영업인구, 하수도처리구역 및 비하수도처리구역, 분류식하수관거 및 합류식하수관거, 수세식 및 수거식, 오수정화 처리시설 및 단독정화 처리시설, 미처리 등의 발생원 구분과 배출경로를 고려하여 도 5와 같이 경우에 따라 구분하여 산정한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인구에 의한 배출부하량은 구분하여 산정한 각각의 배출부하량 총합이 된다.
도 6은 축산에 의한 배출부하량으로 축산계 배출부하량의 산정은 축종, 처리방식, 법적규제여부, 축분 및 폐수처리 처리 방법 등을 고려하여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산정한 값의 총합이 축산계 배출부하량이 된다.
산업폐수에 의한 배출부하량은 개별배출시설의 폐수처리시설 실적을 기초로 개별배출시설에서 직접 방류하는 경우와 환경기초시설을 통한 방류로 구분하여 계산한다. 단, 유입되는 폐수 중 관외의 처리시설을 통해 위탁처리 하는 양 및 하수종말 처리시설로 연계되어 처리되는 양은 배출부하량 산정에서 제외한다. 매립장 침출수에 의한 대상물질의 배출부하량은 별도로 산정하여 전체 배출량에 포함한다. 도 7은 산업계 배출부하량의 모식도이다.
양식장으로부터 유발되는 배출부하량은 배출경로별로 처리시설을 거치지 않고 직접 방류하는 경우와 처리시설을 거쳐 방류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계산한다. 도 8은 양식계 배출부하량 산정에 관한 모식도이다.
비점오염원에 의한 배출부하량은 비점오염원 발생원단위가 토지이용에 따른 연간 10mm이상 강우에 대한 실제 배출량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으므로 발생부하량에 기준 유량인 저수기 동안 10mm이상의 강우빈도를 고려하여 설정된 비점오염원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정한다. 도 9는 비점오염원 토지계의 배출부하량 산정에 관한 것이다.
유달부하량의 산정은 전술한 배출부하량의 산출 근거에 의해 산정된 값에 유달계수를 곱합으로서 얻을 수 있다. 유달계수는 가중하천형상계수와 유달지체계수를 통해 얻을 수 있는데, 하천형상계수(SF)는 유역의 무차원적 변수로서 Horton의 무차원적 하천형상계수를 응용하여 하기 <수식 5>와 같은 방법으로 구한다.
<수식 5>
SFi=(Li)2/Ai
Li : i 유역의 하천길이
Ai : i 유역의 유역면적
가중하천형상계수(SR)는 하천의 형상에 의한 지표로 오염물질이 지표면을 통해 유출되는 과정에서는 지표면의 특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표면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동일한 강우강도라 할지라도 유역의 토지피복 특성에 따라 유역출구에서의 유량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토지피복별 유출율을 적용하여 흐름누적값을 계산한다. 하기 <수식 6>은 가중하천형상계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수식 6>
SRi=SFi×Fγi
Fγi=(FAVWi)/(FAVNi)
F : i 유역출구에서의 흐름누적값 비율
FAVNi : 토지피복별 유출율이 적용되지 않은 i 유역출구에서의 흐름누적값
FAVWi : 토지피복별 유출율을 적용한 i 유역출구에서의 흐름누적값
상기와 같이 구한 가중하천형상계수(SR)를 이용하여 다음 <수식 7>을 이용하여 유달지체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수식 7>
Ψ = (1/SR)· ln((PTi)/(PMi))
PMi : 수질측정지점의 실측부하량(QMi × CMi)
QMi : 수질측정지점이 위치한 유역의 유량
CMi : 수질측정지점의 측정 수질
PTi : 유역별 계산된 배출부하량
<수식 7>을 이용하면 유달계수는 k = e-Ψ×SR로 표현 가능하며 각 유역별로 산정된 오염부하 유달지체계수(Ψ)와 가중하천형상계수(SR)를 이용하여 해당 유역의 유달계수를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달부하량을 산정한다.
상기 수식 1, 2, 3, 4, 5, 6, 7은 수식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시스템구동유닛(120)에는 상기한 수식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다양한 변수를 미리 구축된 속성DB(172)로부터 추출하여 수식 알고리즘에 대응시켜 결과값을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촌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바람직한 운영방법 및 그 실시예 등을 상술하도록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적 특징을 본 실시형태와 더불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메뉴맵이다. 도 35a, 35b, 35c, 35d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도형조회, 오염원현 황, 유역측정자료, 수질모델링, 수질예측모델링, 시스템관리로 이루어지는 메뉴탭과 그 세부항목들이 구비된다(도 10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 유저의 키입력에 의해 구동되면, GUI(130)를 통해 도 11과 같이 초기화면이 출력되고, 그 상단에 도 12와 같은 메뉴탭이 출력을 이루고, 그 하단으로는 각 기능별 아이콘이 단축키형태로 활성화된 상태로서 화면출력을 이루고 있으며, 그 하측좌상 및 좌하단에는 요약지리정보와 지형정보별, 주제도정보별, 유역측정자료정보별 표시항목의 각 세부목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사용자 출력항목이 활성화되어 있고, 출력요청항목에 따른 도면정보가 가장 큰 창으로서 화면출력이 실시되되, 위치정보를 시작화면에 대상지와 함께 표시하고 이와 더불어 가장 큰 창의 좌측 상단에 대상지역의 행정명칭과 우측 하단에 방위표를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해당 대상지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도록 구현한다.
따라서, 주 화면의 메뉴바를 통하여 지형도, 수질측정지점, 행정구역별 오염원 현황, 부하량 조회가 가능한 상태이며, 하나의 통합 화면에서 동시에 여러 정보를 조회 및 검색하는 기능이 가능해 전체적인 오염부하산정과 관련한 정보를 파악하고 관리하기에 용이하도록 하는 GUI환경을 갖는다.
이러한 GUI환경은 본 시스템에 구비되는 GUI(130)가 그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이와 같이 화면 출력되는 지리정보는 도형검색모듈(123)이 해당 도형정보를 지리도형DB(171)로부터 검출하여 출력모듈(127)을 통해 출력이 실시되는 바, 인터페이스부(190)에 의해 CPU(110)가 연산 및 제어가 가능한 신호의 형태로 변환 및 출 력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도 12는 도시된 바대로, 메뉴탭은 도형조회, 오염원현황, 유역측정자료, 수질모델링, 수질예측모델링, 시스템관리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보기, 확대, 축소, 이동, 속성, 최대화면, 초기화 아이콘으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 작업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13은 도 12의 메뉴탭 중 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 도형지리정보의 조회가 가능한 세부목록화면으로서, 등고선, 하천(주요하천, 세부하천, 호소), 유역도(대권역, 중권역, 소유역), 수치지형도(도로, 건물, 지류)와 토양도, 토지이용도 및 대상지역 DEM으로 구성되어 지는 바, 사용자가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전술한 도형검색모듈(123)은 지리도형DB(171)로부터 해당 도형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지리정보를 출력한다.
즉, 키입력부(미도시)와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영역설정신호 및 도형속성지정신호가 상기 시스템 구동유닛(120)으로 인가되면 상기 도형검색모듈(123)은 상기 지리도형DB(171)로부터 해당 영역의 도형정보를 추출하여 화면 출력시킨다(ST-1,2,3,4).
도 14는 도 12의 메뉴탭 중 “오염원현황”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각 세부목록 및 그 출력화면이다. 사용자가 리동별오염원현황이나 폐수배출업소를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행정구역 리ㆍ동별 지리정보가 출력되고 속성조회가 가능한 아이콘으로 바뀐다. 이때 원하는 리ㆍ동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지역에 관한 속성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도 2의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에 의해 지리도형 DB(171)와 속성DB(172)로부터 해당 정보를 검출한 다음 연산/처리모듈(124)에 의해 구현된다.
즉, 키입력부(미도시)와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해당 지역의 오염원 현황조회신호가 상기 시스템 구동유닛(120)으로 인가되면 상기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은 지리도형DB(171) 및 속성DB(172)로부터 해당 영역의 오염원데이터와 해당 오염원의 세부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화면 출력시킨다(ST-5,6,7,8).
도 15는 도 14의 메뉴탭 중 “리동별오염원현황”을 조회했을 경우 취득할 수 있는 정보이다. 부하량 산정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상호연관관계가 있는 정보로 여기에서 분류된 생활계, 축산계, 토지이용계, 산업계, 양식장은 부하량 산정의 기초가 된다.
도 16은 도 14의 오염원현황 중 “폐수배출업소”를 조회했을 경우 출력되는 화면으로 해당 리ㆍ동의 산업폐수배출업소와 축산폐수배출업소에 대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오염원현황”메뉴의 세부목록 중 양식장, 매립지침출수처리장, 환경기초시설의 분뇨처리시설, 하수종말처리시설 등은 부하량산정과 관련된 기초적인 정보들로서 전술한 지리도형DB(171)로 구축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해당 시설에 관한 기본적인 속성정보를 제공한다.
도 17은 도 12의 메뉴탭 중 “유역측정자료”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각 세부목록 및 그 출력화면이다. 이루어진 세부목록은 각각 2004년, 2005년도에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지정한 수질측정지점과 환경부에서 정한 수질측정지점 및 대상지역에 위치한 유량측정지점, 수위측정지점, 우량측정지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 다. 도 17의 “유역측정자료”메뉴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또한 부하량산정을 위한 기초 자료이며 기초적인 속성의 정보를 제공한다.
즉, 키입력부(미도시)와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해당 지역의 유역측정자료 출력선택신호가 상기 시스템 구동유닛(120)으로 인가되면 지리도형DB(171) 및 속성DB(172)로부터 해당 영역의 유역측정자료와 세부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화면 출력시킨다(ST-9,10).
도 18은 도 12의 메뉴탭 중 “수질모델링”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각 세부목록 및 그 출력화면이다. 사용자가 오염원단위를 선택하면 도 19와 같이 화면출력이 이루어지는 바, 부하량산정을 위해 5가지로 분류해 놓은 생활계, 축산계, 양식장, 산업계, 토지이용 각각의 원단위를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오염배출부하량산정을 선택하면, 도 20과 같이 5가지로 분류한 각 항목이 나오고 그 항목을 선택하고 오염부하산정을 누르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오염부하정보는 물론이고 상기 연산/처리모듈(124)에 구축된 수식알고리즘을 통해 오염부하량 산정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이렇게 5가지 항목에 대해 모두 오염부하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유달부하량 계산을 선택하면 전술한 유달부하량 산정과 관련된 내용이 하나의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유달부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21은 오폐수발생량을 조회하는 화면을 출력한 것으로, 대상지를 11개의 유역으로 나누고 각 해당유역의 오폐수발생량을 조회 가능하다. 그리고 유역별 비교를 농도의 차이를 가지는 색으로 구별함으로서 한눈에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 록 하며, 그 범례도 같이 표시해주고 11개로 나뉜 해당 유역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그 해당유역에만 해당하는 오폐수발생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2는 상위 오폐수발생량과 동일한 유역정보를 가지는데, 각 유역과 전체지역에 대한 발생부하량을 5가지로 분류해놓은 생활계, 축산계, 양식계, 산업계, 토지이용에 전체 총합을 알 수 있도록 총 6가지에 대하여 BOD, TN, TP 항목별로 조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 또한 색으로 비교가능한 컬러 렌더링으로 표시가능하다.
도 23과 도 24는 각각 “수질모델링”메뉴의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에 대한 세부메뉴로 발생부하량 정보 조회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오염부하산정조회모듈(122)이 속성DB(172)로부터 해당 정보를 검출하고, 이는 주어지 수식에 의하여 연산/처리모듈(124)을 통해 도출되어 인터페이스부(190) 및 CPU(110) 그리고 GUI(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어(160)를 통해 화면 출력이 실시된다.
즉, 키입력부(미도시)와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해당 지역의 수질모델링선택신호와, 특정 오염원 단위선택신호, 부하량산정신호가 상기 시스템 구동유닛(120)으로 인가되면 상기 오염부하산정조회모듈(122)은 지리도형DB(171) 및 속성DB(172)로부터 해당 영역의 배출 부하량을 산정하고 오폐수 발생량에 따른 도형정보를 변경하여 출력시킨다(ST-11,12,13,14,15,16,17,18,19,20).
도 25는 주요하천 수질모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도 26은 수질모의를 위한 주요하천의 모식도이다. 본 수질모의에서는 대상지의 삽교천 상류유역 본류구간 31Km 구간을 대상으로 정하고 이를 1Km 간격의 요소(Element)로 분할하고 오염원 유입 및 수질측정 지점 등을 고려하여 구성한다. 또한 유역을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오염원의 유출입 조건을 반영한다. 삽교천 상류유역의 상류경계조건은 최상류 유역의 총 배출부하량과 평균유량을 사용하고, 하류 경계조건은 삽교호 유입부로 선정하며 구역(Reach)은 총 5개로 대분한다. 삽교천 상류의 경우 상류경계로부터 각각 7Km 지점에서 장성천, 10Km 지점에서 홍성천, 25Km 지점에서 효교천, 27Km 지점에서 성리천이 합류되고 있다.
또한 상류에서부터 4Km지점에 홍성취수장과 22Km지점에 삽교취수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13Km 지점에는 홍성하수처리장이 위치하고 있다. 각각의 처리장과 취수장에서 유ㆍ출입되는 회귀유량은 유역별 표준유량 산정과정에 고려한다.
이렇게 선정ㆍ고려된 사항을 바탕으로 하천 수질모의 모델인 Qual2E 모형을 이용하여 수질모의를 실행한다(ST-21,22,23,24).
도 27은 이렇게 수행한 수질모의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바, 수질항목 중 BOD, DO, TN별로 선택 후 조회를 선택하면 하천의 수질항목별 수치를 컬러 렌더링을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원하는 지점을 선택하게 되면 그 지점에 대한 상세한 수질모의 결과가 보여지며, 그 상태에서 그래프 보기를 선택하면 대상하천 31Km에 대한 DO, BOD, TN, TP의 수질모의 계산치와 실측치가 그래프로 표현된다(ST-25,26).
도 28은 “수질예측모델링”메뉴의 세부목록을 표현한다. 세부목록 중 모식도 보기를 통해 사용자가 수질모델링을 수행할 하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해주며, 도 29는 오염삭감시나리오 수행 화면이다. 모식도에 해당되는 유역이 표시되어 있으며 각 유역별로 5가지 항목으로 분류된 인구, 축산, 양식, 산업, 토지이용에 해당하는 배출부하량의 BOD, TN, TP가 전술한 수질모의를 기본으로하여 작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원하는 각 항목의 값을 바꿈으로서 인구, 축산, 양식, 산업, 토지이용 또는 전체에 대한 삭감시나리오를 진행할 수 있다(ST-25,26,27,28,29,30,31,32).
도 30은 사용자가 삭감시나리오를 위해 지정한 값들을 Qual2E 모델 수행을 위한 Input File로 작성한다. 기본 확장자는 *.dat로 되어있으며 원하는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을 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Qual2E 모델을 수행할 수 있는 도 31이 출력된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전에 작성한 Input File의 이름을 확장자(*.dat)까지 입력하고 난 후, Output File의 이름도 확장자까지 입력하면 Qual2E 모델이 수행된다. 도 32는 수행창을 닫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 모델을 통해 생성한 Output File의 이름을 확장자까지 입력하는 화면이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모델 수행을 통해 생성된 모델링 수치를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엑셀(Excel)형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도 33이 출력된다. 이 과정을 거치고나면 최종적으로 도 34가 출력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삭감시나리오가 Qual2E 모델 수행을 통해 산정된 수치를 컬러 렌더링과 세부사항 조회를 통해 정확한 수치값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어(160)를 통해 출력된 화면데이터를 플로터(180)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며, 해당 화면데이터를 엑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ST-33,34,35,36). 또한, 각 단계별로 상기 디스플레이어(160)에 출력된 모든 화면데이터는 마찬가지로 인쇄 및 파일형태로의 저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예컨대, 지리정보시스템이 구축된 정부기관 및 산학연구단체 등의 서버 등과 본 발명에 따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 주지된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 접속 되도록 설정되고 변경된 지리정보가 있을 경우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별로 변경된 지리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업데이트하는 기능 등을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 지역 즉, 농촌지역에 한하여 그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농촌지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시지역, 농촌지역, 광산지역, 산악지역, 어촌지역 등 모든 지역의 수질오염부하를 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농촌지형정보 기본도 및 주제도 구축, 농촌지역의 다양한 오염원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지역 오염원의 특성 분석이 가능하고, 오염원의 발생위치 및 오염이 심각한 지역, 하천으로의 집적과정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오염물질의 배출경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수질모델링을 통한 수질예측이 가능하므로 경지나 재배지역에 대한 용수이용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용이하며, 농촌지역 환경관리를 위한 기본정책의 수립시 지원시스템으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서, 상기 지리정보시스템의 지리도형정보가 구비되는 지리도형DB(171); 상기 지리도형DB의 각 속성정보로서, 대상지의 리ㆍ동별 인구, 축산, 양식, 산업, 토지에 따른 오염원 현황, 분뇨처리시설ㆍ하수종말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 수질측정지점ㆍ수질모의 및 부하량산정과 관련한 속성, 그리고 이를 모두 연계하는 연계성 등을 구비하는 속성DB(172); 상기 지리도형DB(171) 및 속성DB(172)에 구축된 오염원현황, 환경기초시설, 수질측정지점, 수질모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탑재된 수식알고리즘을 통해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 이를 최종 삭감시나리오에 반영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시스템 구동유닛(120); 산출된 결과를 지리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GUI(130); 및 상기 DB들(171,172)과 시스템 구동유닛(120) 및 GUI(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총괄 제어하는 중앙제어처리장치(110);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구동유닛(120)은 유저가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한 좌표값에 매칭된 도형데이터를 지리도형 DB(171)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기 위한 도형검색모듈(123)과; 상기 도형검색모듈(123)에 의해 검색된 지역범위내에서,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특정 행정구역이나 폐수배출업소, 시설의 선택에 의한 오염원저장데이터를 지리도형DB(171)와 속성DB(172)로부터 검출하는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과; 상기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을 통해 검색된 오염원 현황데이터를 기초로 구축된 인구/가축/양식장/산업/토지이용 등의 오염원별 부하정보를 상기 속성DB(172)로부터 검출하는 오염부하산정 조회모듈(122)과; 상기 도형검색모듈(123)에 의해 검색된 지역범위내에서, 오염원 및 부하량을 고려하여 수질예측을 모델링하기 위한 수질예측모델링모듈(126)과; 상기 오염원현황검색모듈(121)로부터 검색된 오염원현황데이터와, 상기 오염부하산정 조회모듈(122)을 통해 검색된 오염원별 부하정보를 수신받아 미리 구축된 수식알고리즘(후술함)을 통해 오염원별 발생계수량, 유달계수, 가중하천형상계수, 유달지체계수를 연산처리하고, 수질 모델링 알고리즘을 통해 수질예측값을 연산하기 위한 연산/처리모듈(124)과; 해당 추출 정보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모듈(12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농촌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구동유닛(120)에 탑재된 수식 알고리즘은
    <수식 1>
    발생부하량 = ∑(인구수 × 발생원단위),
    <수식 2>
    발생부하량 = ∑(축종별사육두수 × 발생원단위),
    <수식 3>
    발생부하량 = ∑(폐수발생량 × 발생원단위),
    <수식 4>
    발생부하량 = ∑(지목별토지이용면적 × 발생원단위),
    <수식 5>
    SFi=(Li)2/Ai
    Li : i 유역의 하천길이
    Ai : i 유역의 유역면적
    <수식 6>
    SRi=SFi×Fγi
    Fγi=(FAVWi)/(FAVNi)
    F : i 유역출구에서의 흐름누적값 비율
    FAVNi : 토지피복별 유출율이 적용되지 않은 i 유역출구에서의 흐름누적값
    FAVWi : 토지피복별 유출율을 적용한 i 유역출구에서의 흐름누적값,
    <수식 7>
    Ψ = (1/SR)· ln((PTi)/(PMi))
    PMi : 수질측정지점의 실측부하량(QMi × CMi)
    QMi : 수질측정지점이 위치한 유역의 유량
    CMi : 수질측정지점의 측정 수질
    PTi : 유역별 계산된 배출부하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농촌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19320A 2007-02-27 2007-02-27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KR10079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320A KR100794589B1 (ko) 2007-02-27 2007-02-27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JP2007161791A JP2008210362A (ja) 2007-02-27 2007-06-19 Gisを利用した水質汚染負荷算定用の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運営方法
CNA2007101376426A CN101256664A (zh) 2007-02-27 2007-07-27 使用gis对水污染负荷评估的决策支持系统以及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320A KR100794589B1 (ko) 2007-02-27 2007-02-27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589B1 true KR100794589B1 (ko) 2008-01-17

Family

ID=3921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320A KR100794589B1 (ko) 2007-02-27 2007-02-27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210362A (ko)
KR (1) KR100794589B1 (ko)
CN (1) CN101256664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46B1 (ko) 2008-10-31 2011-06-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아이에스 기반을 이용한 하천과 연안해역의 통합수질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통합 수질 시뮬레이션 방법
KR101217642B1 (ko) * 2012-05-21 2013-01-02 (주)케이이컨설팅 오염 부하량 산정 시스템
CN104715288A (zh) * 2015-02-03 2015-06-17 华北电力大学 一种非线性农业非点源污染控制方法
KR20150120563A (ko) * 2014-04-17 2015-10-2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천오염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730979B1 (ko) * 2015-12-22 2017-04-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원의 위치 규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6330B1 (ko) 2014-11-24 2017-07-10 한국식품연구원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 발생의 위해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1846438B1 (ko) * 2017-08-08 2018-04-06 대한민국 유역모델을 이용한 오염물질 배출경로 재현방법
CN109086517A (zh) * 2018-07-31 2018-12-25 郑州大学 一种小流域河流污染物最大负荷量超标快速应急计算方法
CN110008303A (zh) * 2019-04-19 2019-07-12 广州影子科技有限公司 定位方法、定位装置、定位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69848A (ko) * 2018-12-07 2020-06-17 (주)헤르메시스 수치표고모델 기반 유역경계 산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11539158A (zh) * 2020-03-31 2020-08-14 安徽国祯环保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体的最大污染负荷分配方法及系统
CN111639707A (zh) * 2020-05-29 2020-09-08 河南大学 一种基于gis技术的土地污染控制方法
CN112001610A (zh) * 2020-08-12 2020-11-27 裴晓菲 农业面源污染的处理方法及装置
CN115953064A (zh) * 2022-12-29 2023-04-11 云南瀚哲科技有限公司 一种耕地质量综合治理及优化调控方法
CN117992799A (zh) * 2024-03-27 2024-05-07 长江三峡集团实业发展(北京)有限公司 径流污染负荷计算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8240A (zh) * 2010-09-19 2013-08-21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我国近海富营养化评价模型操作系统构建方法
CN102609603B (zh) * 2011-01-21 2014-12-31 环境保护部信息中心 水质信息计算装置及方法
CN102608282B (zh) * 2011-01-21 2015-03-25 环境保护部信息中心 水质信息计算装置及方法
CN102708452A (zh) * 2012-05-09 2012-10-03 浙江大学 一种支持动态编译的水质分析计算服务系统
JP6460677B2 (ja) * 2014-08-05 2019-01-30 行政院環境保護署 廃棄工場環境リスクソーティングシステム
CN104199887B (zh) * 2014-08-25 2017-11-03 北京三易思创科技有限公司 基于地理信息系统与Delft3D‑FLOW计算引擎的水环境分析方法及系统
KR101785999B1 (ko) * 2015-12-02 2017-10-18 이은석 물 민감성의 그린인프라스트럭처 계획을 위한 적지 모형 구축 방법과 시스템,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US20180340924A1 (en) * 2017-05-23 2018-11-29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omachine lubricating oil analyzer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related methods
CN109426893A (zh) * 2017-08-22 2019-03-05 江苏佳鑫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多指标评算的企业污水评估系统
CN108717453B (zh) * 2018-05-21 2020-05-05 河海大学 一种基于gis平台的平原河网区污染负荷计算方法
CN111259507B (zh) * 2018-11-15 2023-04-28 中国市政工程华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基于专家系统的截流井和调蓄池系统设计方法
CN112085241B (zh) * 2019-06-12 2024-03-22 江苏汇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学习的环境大数据分析和决策平台
CN110765213A (zh) * 2019-09-07 2020-02-07 北京化工大学 一种地表水流域污染源排放清单(动态清单)的编制方法
CN110991007A (zh) * 2019-11-08 2020-04-10 河北省南运河河务管理处 海岸带环境污染模拟方法
CN111091082B (zh) * 2019-12-09 2023-08-01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基于高分辨率遥感数据的流域污染溯源方法
CN111680385B (zh) * 2020-04-13 2023-05-02 郑州大学环境技术咨询工程有限公司 一种流域内水土流失面源污染物入河量核算方法
CN112101693B (zh) * 2020-05-12 2023-11-24 天津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基于正交分析的现状城区河道水质达标分析方法
CN111709624A (zh) * 2020-06-04 2020-09-25 徐巍 一种水污染物总量控制指标的核定方法及应用
CN112765531A (zh) * 2020-12-16 2021-05-07 长江水资源保护科学研究所 一种流域非点源排放量自动计算方法和系统
CN113139018A (zh) * 2021-05-10 2021-07-20 刘熙明 一种村级五库基础数据库系统及数据自动调用方法
CN113868347A (zh) * 2021-08-26 2021-12-31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基于数字流域时空模型的污染排放确定方法和装置
CN113869798A (zh) * 2021-11-03 2021-12-31 大连市勘察测绘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筛选上游风险源的水污染快速溯源方法
CN113902344A (zh) * 2021-11-18 2022-01-07 中水三立数据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模型的水环境水质目标管控方法
CN113899872A (zh) * 2021-11-18 2022-01-07 中水三立数据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水质监测的污染源溯源系统
CN115345647A (zh) 2022-07-21 2022-11-15 中国环境科学研究院 基于iffdccp方法的流域农业面源污染控制方法
CN115236007B (zh) * 2022-09-20 2022-12-09 水利部珠江水利委员会水文局 一种饮用水源的智能监测方法及装置
CN116298159B (zh) * 2023-03-14 2024-01-23 南京高科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污水厂污染物溯源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15936543B (zh) * 2023-03-15 2023-06-06 湖北君邦环境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突发水污染事故污染溯源方法、系统、设备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085A (ko) * 1991-06-29 1993-01-16 유채준 환경 오염 정보 관리 시스템
KR20020015608A (ko) * 2000-08-22 2002-02-28 최형석 원격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환경기초시설의 통합운영 방법
KR20020032907A (ko) * 2000-10-28 2002-05-04 문동신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농업용수 수질정보 종합관리 시스템
KR20040083979A (ko) * 2003-03-26 2004-10-06 농업기반공사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담수호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2546A (ja) * 2004-08-31 2006-03-1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化学物質水系暴露解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085A (ko) * 1991-06-29 1993-01-16 유채준 환경 오염 정보 관리 시스템
KR20020015608A (ko) * 2000-08-22 2002-02-28 최형석 원격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환경기초시설의 통합운영 방법
KR20020032907A (ko) * 2000-10-28 2002-05-04 문동신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농업용수 수질정보 종합관리 시스템
KR20040083979A (ko) * 2003-03-26 2004-10-06 농업기반공사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담수호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46B1 (ko) 2008-10-31 2011-06-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아이에스 기반을 이용한 하천과 연안해역의 통합수질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통합 수질 시뮬레이션 방법
KR101217642B1 (ko) * 2012-05-21 2013-01-02 (주)케이이컨설팅 오염 부하량 산정 시스템
KR101659433B1 (ko) * 2014-04-17 2016-09-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천오염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50120563A (ko) * 2014-04-17 2015-10-2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천오염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756330B1 (ko) 2014-11-24 2017-07-10 한국식품연구원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 발생의 위해 평가 방법 및 장치
CN104715288B (zh) * 2015-02-03 2018-08-28 华北电力大学 一种非线性农业非点源污染控制方法
CN104715288A (zh) * 2015-02-03 2015-06-17 华北电力大学 一种非线性农业非点源污染控制方法
KR101730979B1 (ko) * 2015-12-22 2017-04-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원의 위치 규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6438B1 (ko) * 2017-08-08 2018-04-06 대한민국 유역모델을 이용한 오염물질 배출경로 재현방법
CN109086517B (zh) * 2018-07-31 2022-09-13 郑州大学 一种小流域河流污染物最大负荷量超标快速应急计算方法
CN109086517A (zh) * 2018-07-31 2018-12-25 郑州大学 一种小流域河流污染物最大负荷量超标快速应急计算方法
KR20200069848A (ko) * 2018-12-07 2020-06-17 (주)헤르메시스 수치표고모델 기반 유역경계 산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140795B1 (ko) 2018-12-07 2020-08-04 (주)헤르메시스 수치표고모델 기반 유역경계 산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10008303A (zh) * 2019-04-19 2019-07-12 广州影子科技有限公司 定位方法、定位装置、定位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539158A (zh) * 2020-03-31 2020-08-14 安徽国祯环保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体的最大污染负荷分配方法及系统
CN111539158B (zh) * 2020-03-31 2023-06-16 中节能国祯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体的最大污染负荷分配方法及系统
CN111639707A (zh) * 2020-05-29 2020-09-08 河南大学 一种基于gis技术的土地污染控制方法
CN112001610A (zh) * 2020-08-12 2020-11-27 裴晓菲 农业面源污染的处理方法及装置
CN112001610B (zh) * 2020-08-12 2024-04-26 裴晓菲 农业面源污染的处理方法及装置
CN115953064A (zh) * 2022-12-29 2023-04-11 云南瀚哲科技有限公司 一种耕地质量综合治理及优化调控方法
CN117992799A (zh) * 2024-03-27 2024-05-07 长江三峡集团实业发展(北京)有限公司 径流污染负荷计算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10362A (ja) 2008-09-11
CN101256664A (zh)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589B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수질오염부하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Smakhtin Low flow hydrology: a review
CN108664647B (zh) 一种集成水环境模型的流域精细化管理系统
Gitau et al. Watershed Level Best Management Practice Selection and Placement in the Town Brook Watershed, new york1
Aminu et al. A GIS-based water quality model for sustainable tourism planning of Bertam River in Cameron Highlands, Malaysia
Randhir et al. Urbanization and watershed sustainability: Collaborative simulation modeling of future development states
Nagarajan et al. Remote sensing-and GIS-based runoff modeling with the effect of land-use changes (a case study of Cochin corporation)
KR100745646B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방재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Hernandez et al. An assessment of optimal waste load allocation and assimilation characteristics in the Arroyo Colorado River watershed, TX along the US–Mexico border
Cau et al. Assessment of alternative land management practices using hydrological simulation and a decision support tool: Arborea agricultural region, Sardinia
Surdyk et al. MétéEAU Nappes: a real-time water-resource-management tool and its application to a sandy aquifer in a high-demand irrigation context
Munson HSPF modeling of the Charles River Watershed
Belyaeva et al. GIS application to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Upper Volga river basin: joint TVA/Russia Project
Stein et al. Estimation of disaggregated canal water deliveries in Pakistan using geomatics
Yu Assessment of the physical, socioeconomic and climatic constraints on green infrastructure
Zarriello et al. Measured and simulated runoff to the lower Charles River, Massachusetts, October 1999-September 2000
Triana et al. Combining a river basin network flow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salinity control in an irrigated valley
Socolofsky Hydrologic and bacteria modeling of the upper Charles River watershed using HSPF
Andrianirina RAJOSOA Water Management in Transboundary Rivers: Allocation and Governace, The case of Medjerda River Basin
Chaabane et al. Site selection for WWTP using Fuzzy AHP with GIS: a case study in Bent Saidane, Tunisia
VLAVONOU ZANNOU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Burkina-Faso through numerical modeling: Case study of the Mouhoun Basin
Kachholz Model-based generation of high-resolution flood flow characteristics for small ungauged streams in the northeast German lowlands: an automated approach based on available geodata
Parker Assessing stormwater runoff with “SWAT” in mixed-use developments: Learning from Southlake Town Square and Addison Circle in North Texas
Bertrand Impacts of scaling up water recycling and rainwater harvesting technologies on hydraulic and hydrological flows
Knapp et al. Kane County water resources investigations: Surface water accounting for water supply planning in Kane Coun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