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483B1 -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483B1
KR100792483B1 KR1020060039489A KR20060039489A KR100792483B1 KR 100792483 B1 KR100792483 B1 KR 100792483B1 KR 1020060039489 A KR1020060039489 A KR 1020060039489A KR 20060039489 A KR20060039489 A KR 20060039489A KR 100792483 B1 KR100792483 B1 KR 10079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earch
traditional
information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249A (ko
Inventor
신승미
박창현
손정우
송태희
안채경
정경희
오미영
조민오
Original Assignee
신승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미 filed Critical 신승미
Priority to KR1020060039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48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국의 전통음식에 대한 재료, 요리방법 및 한방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음식, 레시피, 한방, 궁중, 전래, 향토, 사찰, 세시, 통과의례

Description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KOREA TRADITION FOOD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형별 검색에 의한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법 또는 재료에 의한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질병에 의한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형벌 검색을 위한 검색페이지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식 상세정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국의 전통음식에 대한 재료, 요리방법 및 한방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일반인들은 많은 정보들을 인터넷을 통해 찾는다. 인터넷은 정보의 홍수라 불릴 만큼 다양하고 많은 정보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정보들의 제공은 오히려 일반인들이 다양하고 많은 정보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즉 가치 있는 정보를 찾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 중의 하나가 음식에 대한 정보일 것이다. 인터넷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 및 음식의 조리법(Recipe)들을 제공하는 홈페이지들이 상당 수 존재한다. 이러한 홈페이지들은 한식, 양식, 중식 또는 일식 등과 같이 국가별 분류에 의한 음식과, 음식의 조리법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음식 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들은 각 국가별로도 특정 기준 없이 편의성에 의해 음식들을 분류하여 음식 및 조리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한국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들, 즉 홈페이지들은 다양한 음식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정작 한국의 지역 또는 특성에 따라 존재했던 전통음식에 대한 정확한 정보들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정확한 정보들을 제공하지 못하므로써 일반인들 은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이 떨어지고, 한국전통음식이 사장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한국전통음식의 보급 및 확대를 위한 정확한 분류와 한국전통음식의 분류에 따른 음식 및 음식 조리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전통음식의 보급 및 확대를 위해 한국의 전통음식에 대한 재료, 조리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국전통음식들에 대한 한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전통음식들에 대한 정보를 유형별로 저장하는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접속하면 한국전통음식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를 통해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요청된 검색에 대해 상기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에서 한국전통음식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웹서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한국전통음식들을 유형별로 저장하는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와 재료 특성 데이터베이스와 한방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와 연결되는 사용자 컴퓨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 접속 시 전통음식을 검색하기 위한 유형별 검색을 구비하는 검색 유형 메뉴를 포함하는 홈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유형별 검색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유형별 검색에 대한 검색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웹 페이지에서 한국전통음식 유형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한국전통음식 유형에 대한 조리법 검색 및 재료 검색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조리법 검색이 선택되면 조리법에 대한 한국전통음식 분류에 따른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재료 검색이 선택되면 한국전통음식 분류에 따른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 항목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조립법 또는 재료에 따른 한국전통음식 분류가 선택되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분류항목에 상응하는 한국전통음식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한국전통음식들을 유형별로 저장하는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와 재료 특성 데이터베이스와 한방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와 연결되는 사용자 컴퓨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 접속 시 전통음식을 검색하기 위한 음식명 검색을 구비하는 검색 유형 메뉴를 포함하는 홈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과 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음식명 검색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음식명 검색에 대한 검색 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웹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한국전통음식 분류에 따른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세분류 검색어 입력 텍스트 영역을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검색어가 입력하고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대분류 항목의 중분류 항목에서 입력된 검색어를 가지는 세분류 항목의 한국전통음식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한국전통음식들을 유형별로 저장하는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와 재료 특성 데이터베이스와 한방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와 연결되는 사용자 컴퓨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 접속 시 전통음식을 검색하기 위한 한방 검색을 구비하는 검색 유형 메뉴를 포함하는 홈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한방 검색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한방 검색에 대한 검색 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웹페이지에서 검색 결과 대상을 음식명으로 할 것인지 재료로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웹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의학 분류에 따른 대분류 및 중분류 및 세분류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대분류 및 중분류 및 세분류 항목이 선택한 후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한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세분류 항목을 찾고, 상기 검색 결과 대상 선택 시 음식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세분류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정보에 의해 상기 한국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한국전통음식을 찾아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고, 상기 검색 결과 대상으로 재료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세분류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재료에 대한 정보에 의해 상기 재료 특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료를 찾아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국전통음식을 한국 전통에 의해 분류하여 데이터베스화 하고, 정보 검색자가 한국 전통에 의한 유형별 및/또는 조리법 또는 재료에 의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전통음식의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는 유형으로는 궁중음식, 전래음식, 향토음식, 사찰음식, 세시 음식 및 통과 의례 음식이 있다. 상기 궁중음식은 조선시대 궁에서 왕가의 음식이고, 전래음식은 과거의 반가를 중심으로 발달한 음식으로 지금의 일반 가정에서 해먹는 음식을 의미하며, 과거의 문헌상의 기록뿐인 음식부터 지금까지 실제로 해먹고 있는 음식이며, 향토음식은 각 지역의 특산물과 기후를 중심으로 발달한 음식으로 북한은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의 5개 지역으로, 남한은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로 10개의 행정지역에 따른 음식들이다. 그리고 사찰음식은 사찰을 중심으로 발달한 음식으로 식물성 재료를 이용하고, 마늘 등의 향이 강한 양념을 사용하지 않은 특성이 있는 음식이고, 세시음식은 절기와 계절을 중심으로 전해오는 음식이며, 통과의례음식은 출생에서 사후의 제사까지 차려지는 음식으로 시대적, 지역별로 대표성이 있는 의례음식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이 조리법과 재료에 따라 한국전통음식을 분류하였다.
대분류 중분류( 종류수 ) 세분류(대표음식)
주식류 (316) 밥(73) 흰밥, 팥밥, 차조밥, 수수밥, 오곡밥, 콩나물밥, 굴밥, 장국밥, 비빔밥(골동반), 밤밥 등
죽/마음/응이/즙 (136/11/7/3) 팥죽, 잣죽, 타락죽, 흑임자죽, 아욱죽, 장국죽, 전복죽, 차조미음, 오미자응이, 양즙 등
면/수제비(44/13) 칼국수, 국수장국, 냉면, 비빔국수, 수제비 등
만두/떡국 (24/5) 메밀국수, 꿩만두, 규아상, 만두규, 어만두, 준치만두, 석류탕, 편수, 떡국, 조랭이떡국 등
부식류 (1,567) 국·탕(135) 미역국, 북어국, 콩나물국, 토란탕, 근대국, 냉이토장국, 배추속대국, 육개장, 해장국, 곰탕, 삼계탕, 추어탕, 초교탕, 미역냉국, 임자수탕 등
찌개/지짐/감정 (42/41/8) 간된장찌개, 생선찌개, 청국장찌개, 두부젓국찌개, 애호박젓국찌개, 콩비지찌개, 민어지짐, 오이감정, 게감정, 병어감정 등
전골(23) 낙지전골, 두부전골, 면신선로, 송이전골, 신선로, 쇠고기전골, 각색전골(갖은전골) 등
숙채·나물(122) 고사리나물, 무나물, 호박나물, 물쑥나물, 도라지나물, 시금치나물, 취나물, 월과채, 탕평채, 구절판 등
생채·무침(48) 도라지생채, 더덕생채, 무생채, 겨자채, 오이생채, 참죽생채, 잣즙냉채, 호두냉채, 노각생채, 돌나물생채 등
구이(99) 쇠갈비구이, 제육구이, 병어구이, 조기구이, 대합구이, 너비아니구이, 염통구이, 더덕구이, 송이구이, 북어구이 등
적(32) 잡산적, 화양적, 섭산적. 파산적, 두릅적, 김치적, 송이산적 등
전(124) 표고전, 고사리전, 풋고추전, 연근전, 호박전, 간전, 제육전, 완자전, 굴전, 새우전, 해삼전, 생선전, 김치전, 감국전, 부아전(허파전) 등
찜/선 (69/19) 돼지갈비찜, 쇠갈비찜, 붕어찜, 궁중닭찜, 대하찜, 도미찜, 북어찜, 어선, 가지선, 오이선, 호박선, 두부선 등
조림/초 (91/11) 장조림, 갈치조림, 제육조림, 병어조림, 연근조림, 콩조림(콩자반), 잉어조림, 죽순조림, 전복초, 홍합초 등
볶음(46) 제육볶음, 낙지볶음, 오징어볶음, 말린묵볶음, 보리새우볶음 등
회(93) 갑회, 육회, 광어회, 굴회, 병어회, 생굴초회, 홍어회, 두릅회, 파강회, 미나리강회, 어채, 숭어회, 물회 등
장아찌(126) 고추장아찌, 굴비장아찌, 더덕장아찌, 마늘장아찌, 무갑장과, 매실장아찌, 산초장아찌, 오이갑장장과, 죽순장아찌, 호두장아찌 등
젓갈/식해 (110/27) 까나리젓, 오징어젓, 창란젓, 새우젓, 대구아가미젓, 어리굴젓, 명란젓, 가자미식해, 명태식해, 도루묵식해 등
마른 찬(36) 육포, 대구포, 고추부각, 김부각, 참죽부각, 굴비자반, 매듭자반, 삼색북어보푸라기, 김무침, 김자반 등
순대/편육/족편 (4/9/9) 돼지순대, 오징어순대, 돼지머리편육, 사태편육, 양숙편, 족편, 전약, 용봉족장과, 우설편육, 제육편육 등
김치(204) 갓김치, 고들빼기김치, 나박김치, 굴깍두기, 꿩김치, 통배추김치, 보쌈김치, 비늘김치, 오이소박이, 열무김치, 장김치, 호박김치 등
쌈(39) 상추쌈, 김쌈, 곰취쌈, 밀쌈, 배춧잎쌈 등
대분류 중분류( 종류수 ) 세분류(대표음식)
떡류 (318) 찌는 떡(145) 팥시루떡, 녹두찰편, 오색편, 백설기, 쑥설기, 호박시루떡, 증편, 잡과병, 신과병, 석탄병 등
치는 떡(52) 가래떡, 골무떡, 개피떡, 절편, 인절미, 수리취절편, 개성조랭이떡, 여주산병, 오쟁이떡, 좁쌀떡 등
지지는 떡(51) 국화전, 진달래화전, 각색주악, 곤떡, 노티, 수수부꾸미, 토란병, 개성주악, 대추주악, 오메기떡 등
빚는 떡(70) 경단, 송편, 쑥개떡, 감자송편, 감자경단, 닭알떡, 두텁단자, 색단자, 유자단자, 석이단자 등
한과류 (201) 유밀과(29) 약과, 만두과, 채소과, 매작과, 차수과 등
유과(64) 강정, 산자, 빙사과, 연사과, 감사과 등
다식(21) 녹말다식, 잣다식, 승검초다식, 콩다식, 흑임자다식, 포육다식 등
정과(37) 도라지정과, 연근정과, 유자정과, 인삼정과, 생강정과 등
숙실과/과편(5/11) 율란, 조란, 생란, 밤초, 대추초, 앵두편, 살구편, 오미자편 등
엿강정/당류(6/28) 깨엿강정, 콩엿강정, 꿩엿강정, 호박엿, 옥춘당 등
음청류 (183) 차(78) 계지차, 국화차, 대추차, 오과차, 녹차 등
탕(32) 산사탕, 제호탕, 봉수탕, 숙매탕, 모과탕 등
장(5) 계장, 유장, 매장 등
갈수/숙수/미수 (6/6/9) 오미갈수, 포도갈수, 자소숙수, 정향숙수, 구선왕도고미수, 율무미수, 찹쌀미수 등
화채(36) 진달래화채, 배숙, 유자화채, 보리수단, 원소병, 송화밀수 등
식혜/수정과(8/3) 감주, 식혜, 연엽식혜, 수정과, 가련수정과 등
Figure 112006030980550-pat00001
Figure 112006030980550-pat00002
상기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조리법과 재료는 대분류/중분류/세분류의 세단계로 분류하였다.
상기 한국전통음식을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해 하기 표3 내지 표 6과 같이 분류코드를 정의하였다.
(1) 한국전통음식의 분류코드 (FIS)정의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1자리 2자리 4자리
1~5 01~99 0001~9999
대분류번호 대분류 중분류(분류수) 세분류(음식수)
C1 주식류 9 316
C2 부식류 25 1,567
C3 떡류 4 318
C4 한과류 8 201
C5 음청류 9 183
55 2,585
※ 조리법군 코드 구성 : 조리법은 구분자 C 사용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1자리 2자리 4자리
1~3 01~99 0001~9999
대분류번호 대분류 중분류(분류수) 세분류(재료수)
M1 농산물 10 181
M2 축산물 3 43
M3 수산물 6 158
19 382
○ 재료군 코드 구성 : 재료군은 구분자 M 사용
상기 표 4와 표 6에서와 같이 조리법군 코드를 구성하기 위해 구분자 C를 사용하엮고, 재료군 코드를 구성하기 위해 구분자로 M을 사용하였다.
* 조리법군 분류에 따른 음식 코드 정의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흰밥이 0001 일 경우 - 주식류(C1)>밥(01)>흰밥(0001)이므로 코드는 C1010001이 된다.
* 재료군 분류에 따른 재료 코드 정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쌀이 0001 인 경우 - 농산물(M1)>곡류(01)>쌀(0001)이므로 코드는 M1010001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식의 유형인 전래, 궁중, 사찰, 향토, 세시, 통과의례음식은 중복가능이 높으므로 이는 음식자료 입력 시에 다중 선택사양으로 하여 중복선택 및 그에 따른 부가정보(지역, 절기, 통과의례 등)도 선택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한국전통음식들에 대한 한방 효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각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한방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한방효과군을 구성하기 위해 분류자로 O를 사용하고, 상기 조리법 및 재료군과 동일하게 대분류/중분류/세분류로 구분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은 웹서버(100)와 데이터베이스부(1)와 관리자 컴퓨터(110)와 인터넷망(150)과 사용자 컴퓨터(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1)는 인증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10)와 전통음식 DB(20)와 재료 특성 DB(30)와 한방 DB(40)로 구성된다.
상기 인증 DB(10)는 상기 인터넷망(150)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및 관리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및 관리자 정보 그리고 상기 각 사용자 및 관리자의 아이디(Identification: ID) 및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상기 전통음식 DB(20)는 궁중음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브 DB인 궁중음식 DB(21)과 전래음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브 DB인 전래음식 DB(22)과 향토음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향토음식 DB(23)과 사찰음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찰음식 DB(24)와 세시음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세시음식 DB(25)과 통과의례음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통과의례음식 DB(26)로 구성된다. 상기 각 영역의 각 레코드는 음식 명칭과 음식들에 대한 조리법군 코드와 재료군 코드와 한방군 코드, 키워드, 음식 소개, 음식 사진데이터 및 레시피 데이터 및 한방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필드의 데이터들은 별도의 하위 DB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데이터 필드에는 해당 데이터를 지시하는 코드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야 한다.
재료 특성 DB(30)는 다수의 한국전통음식 재료들에 대한 특성을 저장한다. 상기 재료, 즉 레코드에는 재료군 코드와, 어떤 병에 효과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한방군 코드 필드와 해당 레코드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는 전통음식 조리법코드, 재료 특성 데이터 필드가 포함된다.
한방 DB(40)는 각종 병들에 대해 효과가 있는 한국전통음식 및 재료들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한방 DB(40)의 각 레코드는 의학 분류코드에 의한 한방군 코드와 한방군 코드에 대응하는 조리법군 코드 재료군 코드 및 병에 대한 증세정보를 저장하는 증세 데이터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웹서버(100)는 인터넷망(150)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200) 및 관리자 컴퓨터(110)와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전통음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웹서버(100)는 인터넷망(150)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들이 로그인을 요청하면 상기 인증 DB(10)를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홈페이지를 통한 전통음식 검색을 요청하면 상기 전통음식 DB(20)로부터 해당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조리법 및 재료에 대한 분류정보, 한국전통음식의 유형정보, 음식의 특징 및 유래에 대한 정보, 음식 사진, 레시피 및 한국전통음식의 한방 효과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상기 검색을 요청한 사용자 컴퓨터(2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인터넷망(150)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10)와 접속하고, 상기 관리자 컴퓨터(110)를 조작하는 관리자에 의해 전통음식 DB(20)의 자료 추가, 수정 및 삭제를 수행한다.
상기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한국전통음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한국전통음식 검색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국전통음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한 한국전통음식의 유형별 검색, 조리법에 의해 검색을 수행하는 조리법 검색, 재료에 의해 검색을 수행하는 재료 검색 및 질병에 따른 한국전통음식을 검색하는 한방 검색 및 통합 검색의 5가지의 한국전통음식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유형별 검색, 조리법 검색, 재료 검색 및 한방 검색에 대해 설명하고, 도 5의 통합검색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으며, 또한 통상적인 홈페이지 로그인 과정은 설명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형별 검색에 의한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형벌 검색을 위한 검색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식 상세정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컴퓨터(200), 즉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망(150)을 통해 웹서버(100)에 접속하면 웹서버(100)는 검색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버튼들이 포함되어 있는 홈페이지를 사용자 PC(2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사용자 컴퓨터(200)가 홈페이지의 검색 방법 선택 메뉴 버튼들 중 유형별 검색방법 선택을 클릭하면 웹서버(100)는 211단계에서 도 5a와 같은 유형별 검색 웹페이지를 사용자 컴퓨터(2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유형별 검색 웹페이지 디스플레이 후 웹서버(10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도 5a에서와 같이 전통음식의 유형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유형선택은 도 5a에서와 같이 체크박스를 클릭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된 유형의 선택해제는 또한 클릭된 체크박스를 재클릭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된 유형에 따라 서브(Sub: 부) 유형을 표시하고, 상기 서브 유형을 선택한 후 215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유형을 갖는 유형으로는 통과의례음식, 세시음식 및 향토음식이다. 상기 서브 유형을 가지는 유형을 선택하면 하단에 서브 유형의 항목들을 체크할 수 있는 라인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통과의례음식의 서브 유형으로는 출산, 백일, 돌, 관례, 혼례, 회혼례, 상례 및 제례가 있고, 세시음식의 서브 유형으로는 월, 계절, 절기가 있으며, 향토음식의 서브유형으로는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와 같은 지역들이 있다.
상기 213단계에서 유형 및 서브 유형이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215단계와 217단계에서 조리법 검색이 선택되는지 재료 검색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15단계에서 조리법 검색이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조리법에 대한 대분류/중분류 선택 버튼(501, 503)및 검색 버튼을 활성화한다. 이때 재료에 대한 대분류/중분류/세분류 선택버튼(511, 513, 515) 및 검색 버튼은 비활성화하고, 상기 조리법에 대한 대분류 항목들만 대분류 선택 버튼에 로드한다. 이때부터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200)를 통해 대분류 선택버튼(501)을 클릭하여 대분류 항목들을 볼 수 있다.
상기 219단계에서 대분류/중분류 선택(501, 503) 및 검색 버튼이 활성화하고 대분류 항목들만 로드한 후 웹서버(100)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대분류 선택 버튼(501)에서 대분류가 선택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221단계에서 대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대분류 항목에 대한 중분류 항목들을 중분류 선택 버튼(503)으로 로드한다.
상기 중분류 항목들을 로드한 후 웹서버(100)는 22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컴퓨터(200)에 의해 중분류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25단계에서 중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23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컴퓨터(200)에 의해 검색버튼이 클릭되는지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엔터 명령이 수신되어 검색요청이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27단계에서 검색요청이 발생하면 웹서버(100)는 241단계에서 전통음식 DB(20)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200)에 의해 선택된 유형 및 서브유형과 대분류와 중분류에 해당하는 전통음식들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사용자 컴퓨터(2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검색 시 선택된 대분류 및 중분류에 의해 전통음식 분류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분류코드에 의해 해당 상기 사용자 컴퓨터(200)를 통해 선택된 해당 유형의 서브 DB(21, 22, 23, 24, 25, 26) 또는 재료특성 DB(30) 또는 한방 DB(40)에서 상기 생성된 분류코드를 포함하는 전통음식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검색결과는 간단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일예로 사진과, 전통음식 명칭, 간단 소개 정도가 될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후 웹서버(100)는 24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색된 결과들 중 하나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43단계에서 검색된 결과중 하나가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24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전통음식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별도의 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반면, 상기 217단계에서 재료 검색이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227단계로 진행하여 재료에 대한 대분류/중분류/세분류 버튼(511, 513, 515) 및 검색 버튼을 활성화하고, 상기 221단계와 225단계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229단계와 233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33단계에서 중분류 항목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2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중분류 항목에 대한 세분류 항목들을 세분류 선택 버튼(515)에 로드한고 237단계로 진행한다.
237단계에서 웹서버(100)는 세분류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하고, 세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239단계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여 재료에 의해 검색된 전통음식에 대한 상세정보를 도5b와 같이 사용자 컴퓨터(200)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도 5b에서는 한방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도 5b의 웹페이지에 한방정보 필드를 구비하고 검색 결과 선택 시 선택된 결과에 대한 한방정보 DB(40)로부터 한방정보를 읽어와 상기 한방정보 필드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법 또는 재료에 의한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이하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컴퓨터(200)가 홈페이지의 검색 방법 선택 메뉴 버튼들 중 음식명 검색 또는 재료명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음식명 검색 또는 재료명 검색을 선택하면 웹서버(100)는 311단계에서 음식명 검색 또는 재료명 검색 웹페이지를 사용자 컴퓨터(2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음식명 검색 또는 재료명 검색 웹페이지에는 대분류/중분류를 선택하기 위한 대분류/중분류 선택 버튼과 세분류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영역과 검색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식명 검색 또는 재료명 검색 웹페이지 디스플레이시 웹서버(100)는 대분류 항목들을 대분류 선택 버튼의 텍스트 영역에 로드한다. 단, 상기 음식명 검색은 조리법에 의한 검색이며, 음식명 검색 시에 상기 대분류에는 조리법에 대한 대분류 항목들이 로드되고, 재료명 검색 시에 상기 대분류에는 재료에 대한 대분류 항목들이 로드된다.
상기 음식명 검색 또는 재료명 검색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면 웹서버(100)는 313단계에서 상기 대분류 선택버튼이 클릭되어 대분류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대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대분류에 대한 중분류 항목들을 중분류 선택 버튼의 텍스트 영역에 로드한다.
상기 중분류 항목들이 로드된 후 웹서버(100)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중분류 선택 버튼이 클릭되고 텍스트 영역의 중분류 항목들 중 하나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17단계에서 중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세분류 검색어 입력 텍스트 영역을 활성화한다.
상기 319단계 후 웹서버(100)는 321단계와 323단계에서 상기 세분류 검색어 입력 텍스트 영역에 검색어가 입력되는지 입력되지 않고 검색 버튼, 즉 전체 검색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21단계에서 검색어가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하면 웹서버(100)는 3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대분류 및 중분류의 조리법 또는 재료들 중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조리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통음식 또는 재료들을 포함하는 전통음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사용자 컴퓨터(200)에 디스플레이 하고, 329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323단계에서 전체 검색이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32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대분류 및 중분류에 대한 모든 조리법에 대해 만들어지는 전통음식 또는 상기 선택된 대분류 및 중분류에 대한 모든 재료들을 포함하는 전통음식들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200)에 디스플레이 하고 329단계로 진행한다.
329단계로 진행한 웹서버(100)는 다수의 검색결과 중 하나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하고, 하나의 검색 결과가 선택되면 331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전통음식에 대한 상세 정보가 담겨 있는 웹페이지를 사용자 컴퓨터(200)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질병에 의한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컴퓨터(200)가 홈페이지의 검색 방법 선택 메뉴 버튼들 중 한방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한방 검색을 선택하면 웹서버(100)는 411단계에서 한방 음식 검색 웹페이지를 사용자 컴퓨터(2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상기 한방 음식 검색 웹페이지는 한방 검색 대상을 음식으로 할 것인지 재료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음식선택 체크박스 및 재료선택 체크박스와 대분류/중분류/소분류 선택 버튼 및 검색어 입력 텍스트 영역 및 검색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한방음식에 대한 대분류/중분류/세분류는 의학 분류 코드에 따라 분류된다. 예를 들어, 대분류는 정형외과, 내과, 소아과, 산부인과, 정신과 등이 될 수 있으며, 내과의 중분류는 소화기, 호흡기 등이 될 수 있고, 호흡기의 세분류는 목감기, 코감기, 열감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411단계 후 웹서버(100)는 413단계와 415단계에서 음식이 선택되는지 재료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13단계에서 음식이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검색 대상을 음식으로 설정하고, 417단계로 진행하여 한방 검색을 위한 대분류 항목들을 대분류 선택 버튼의 텍스트 영역에 로드하고, 대분류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17단계에서 대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419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대분류 항목에 대한 중분류 항목들을 중분류 선택 버튼의 텍스트 영역에 로드한다.
상기 419단계 후 웹서버(100)는 421단계로 진행하여 중분류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하고, 하나의 중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423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중분류 항목에 대한 세분류 항목들을 세분류 선택 버튼의 텍스트 영역에 로드한다.
상기 423단계 후 웹서버(100)는 425단계로 진행하여 세분류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하고, 세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427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세분류에 대한 한방정보를 한방 DB(40)에서 찾고, 찾아진 병명에 대해 정의되어 있는 음식들을 상기 궁중음식 DB(21), 전래음식 DB(22), 향토음식 DB(23), 사찰음식 DB(24), 세시음식 DB(25) 및 통과의례 음식 DB(26)에서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427단계 후 검색 결과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음식에 대한 상세정보를 사용자 컴퓨터(200)에 디스플레이 한다(도시하지 않음).
반면, 상기 415단계에서 재료가 선택되면 웹서버(100)는 상술한 417단계에서 425단계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고, 단지, 427단계에서 검색 시 재료 특성 DB(30)에서 상기 선택된 대분류/중분류/세분류에 대한 재료들을 찾아 사용자 컴퓨터(200)에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한국전통음식의 방대한 정보의 다양하고, 체계적 분류에 의해 검색할 수 있으므로 한국전통음식의 정확한 종류 및 조리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에 대한 한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특정 병에 대해 효과가 있는 한국전통음식을 검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8)

  1. 삭제
  2.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전통음식들에 대한 정보를 유형별로 저장하는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접속하면 한국전통음식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를 통해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요청된 검색에 대해 상기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에서 한국전통음식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웹서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의 유형은 서브 데이터베이스인 전래음식 데이터베이스, 궁중음식 데이터베이스, 사찰음식 데이터베이스, 향토음식 데이터베이스, 세시음식 데이터베이스 및 통과의례음식 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의례음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한국전통음식의 유형이 출산, 백일, 돌, 관례, 혼례, 회혼례, 상례 및 제례로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다수의 재료들에 대한 한방 특성 및 각 재료로 만들 수 있는 한국전통음식 정보를 저장하는 재료 특성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웹서버가 상기 검색 시 상기 요청된 검색에 대해 한국전통음식을 검색하고, 검색된 한국전통음식에 들어가는 재료들의 재료 특성을 상기 재료 특성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한국전통음식 정보와 함께 상기 검색된 재료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다수의 병들에 대한 한방 정보와 상기 각 병들에 효과가 있는 한국전통음식 정보를 저장하는 한방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청된 검색에 대해 상기 웹서버가 상기 한국전통음식 정보, 상기 재료특성 정보와 함께 상기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한방정보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6. 한국전통음식들을 유형별로 저장하는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와 재료 특성 데이터베이스와 한방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와 연결되는 사용자 컴퓨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 접속 시 전통음식을 검색하기 위한 유형별 검색을 구비하는 검색 유형 메뉴를 포함하는 홈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유형별 검색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유형별 검색에 대한 검색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웹 페이지에서 한국전통음식 유형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한국전통음식 유형에 대한 조리법 검색 및 재료 검색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조리법 검색이 선택되면 조리법에 대한 한국전통음식 분류에 따른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재료 검색이 선택되면 한국전통음식 분류에 따른 대분류, 중분류 및 세분류 항목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조리법 또는 재료에 따른 한국전통음식 분류가 선택되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분류항목에 상응하는 한국전통음식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전통음식 유형이 전래음식, 궁중음식, 사찰음식, 통과의례음식, 세시음식 및 향토음식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의례음식 유형이 출산, 백일, 돌, 관례, 혼례, 회혼례, 상례 및 제례의 서브 유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시음식 유형이 월, 계절 및 절기의 서브 유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향토음식 유형이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및 함경북도의 서브 유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분류 항목들은 대분류의 항목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 선택된 대분류 항목에 대한 중분류 항목들이 로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분류 항목들은 중분류의 항목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 선택된 중분류 항목에 대한 세분류 항목들이 로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한국전통음식들을 유형별로 저장하는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와 재료 특성 데이터베이스와 한방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와 연결되는 사용자 컴퓨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 접속 시 전통음식을 검색하기 위한 음식명 검색을 구비 하는 검색 유형 메뉴를 포함하는 홈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음식명 검색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음식명 검색에 대한 검색 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웹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한국전통음식 분류에 따른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세분류 검색어 입력 텍스트 영역을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검색어가 입력하고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대분류항목의 중분류 항목에서 입력된 검색어를 가지는 세분류 항목의 한국전통음식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분류 항목들은 대분류의 항목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 선택된 대분류 항목에 대한 중분류 항목들이 로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분류 항목들은 중분류의 항목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 선택된 중분류 항목에 대한 세분류 항목들이 로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분류 검색어가 입력되지 않고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대분류 항목의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모든 세분류 항목의 한국전통음식들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결과들 중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하나를 선택하면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한국전통음식들을 유형별로 저장하는 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와 재료 특성 데이터베이스와 한방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와 연결되는 사용자 컴퓨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 접속 시 전통음식을 검색하기 위한 한방 검색을 구비하는 검색 유형 메뉴를 포함하는 홈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한방 검색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한방 검색에 대한 검색 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웹페이지에서 검색 결과 대상을 음식으로 할 것인지 재료로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웹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의학 분류에 따른 대분류 및 중분류 및 세분류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대분류 및 중분류 및 세분류 항목이 선택한 후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한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세분류 항목을 찾고, 상기 검색 결과 대상 선택 시 음식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세분류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한국전통음식에 대한정보에 의해 상기 한국전통음식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한국전통음식을 찾아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고, 상기 검색 결과 대상으로 재료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세분류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재료에 대한 정보에 의해 상기 재료 특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료를 찾아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39489A 2006-05-02 2006-05-02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9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489A KR100792483B1 (ko) 2006-05-02 2006-05-02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489A KR100792483B1 (ko) 2006-05-02 2006-05-02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249A KR20070107249A (ko) 2007-11-07
KR100792483B1 true KR100792483B1 (ko) 2008-01-08

Family

ID=3906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489A KR100792483B1 (ko) 2006-05-02 2006-05-02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276B1 (ko) * 2012-10-24 2014-08-29 양진홍 재료 기반의 음식 계보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식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324547B1 (ko) * 2013-03-07 2013-11-01 강동기 농수축산물의 소비 향상 및 식생활 체험을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512A (ko) * 2000-03-18 2000-07-05 남정운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조리 방법 서비스
KR20020017050A (ko) * 2000-08-28 2002-03-07 김성만, 김균희 네트워크 기반 맞춤 식단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23949A (ko) * 2001-09-14 2003-03-26 김광삼 인터넷을 이용한 음식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90852A (ko) * 2002-05-22 2003-12-01 주식회사 태평양 오행원리를 이용한 음식물 분류 및 배치 방법
KR20040003289A (ko) * 2002-07-02 2004-01-13 방일매 혈액형별 식단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4975A (ko) * 2003-06-03 2004-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용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512A (ko) * 2000-03-18 2000-07-05 남정운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조리 방법 서비스
KR20020017050A (ko) * 2000-08-28 2002-03-07 김성만, 김균희 네트워크 기반 맞춤 식단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23949A (ko) * 2001-09-14 2003-03-26 김광삼 인터넷을 이용한 음식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90852A (ko) * 2002-05-22 2003-12-01 주식회사 태평양 오행원리를 이용한 음식물 분류 및 배치 방법
KR20040003289A (ko) * 2002-07-02 2004-01-13 방일매 혈액형별 식단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4975A (ko) * 2003-06-03 2004-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용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249A (ko)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Potato: A global history
Blah et al. Nutritional content evaluation of traditional recipes consumed by ethnic communities of Meghalaya, India
KR20200077173A (ko) 농수산물 사이버 거래를 위한 식품분류 코드 생성 장치
KR100792483B1 (ko) 한국전통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hiang et al. Core food model of the Taiwan food supply for total diet study
Mac Con Iomaire et al. The potato in Irish cuisine and culture
Popper Cuisine of the Chinese at Market Street Chinatown (San Jose, California): Using cookbooks to interpret archaeological plant and animal remains
Fernandez Chinese food in the Philippines: Indigenization and transformation
Kim et al. A study on the preferences for food intake of Korean industrial workers
Polistico Philippine Food, Cooking, & Dining Dictionary
RICE Hong Kong Foods
Priyatmoko A RAINBOW ON THE TABLE: Historical Study Of Culinary Diversity In Solo
Chiadika Nigerian Cuisines: A Historical Compilation of Mouthwatering Traditional Delicacies from Hausa, Yoruba and Igbo Ethnicities
KR20020065447A (ko) 조개고추장볶음 및 그 제조방법
Maloney Weeknight fried chicken is easy with tenders and a spicy-sweet sauce.
Briscione The Eater's Guide to Unsung Grains
YAMAMOTO et al. Dietary patterns and food consumption in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A case study conducted on Piis-Paneu Island, Chuuk Atoll, Chuuk State
Paulino et al. Nutritional analysis of a fiesta on Guam
Dipananda Indonesia: dried, tried, tasted
Dipananda Dried, tried, tasted: At the core of the unique flavours and tastes of the East Java cuisine of Indonesia is the traditional artisanal fish processing technique of pindang
Amin et al. 18 A Culinology® Perspective of Dry Beans
Woodruff Cooking in Eden: inventing regional cuisine in the Pacific Northwest
Nguyen Cooking Vietnamese food in America used to require a trip to an Asian market. No more
Podhajecka Remarks on the documentation in OED3: Cooking terms as a test case
Wang Extract Restaurant Aspect Words by Using Word2vec Model from Yelp Revie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