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624B1 -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624B1
KR100791624B1 KR1020050096791A KR20050096791A KR100791624B1 KR 100791624 B1 KR100791624 B1 KR 100791624B1 KR 1020050096791 A KR1020050096791 A KR 1020050096791A KR 20050096791 A KR20050096791 A KR 20050096791A KR 100791624 B1 KR100791624 B1 KR 10079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bile terminal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1067A (ko
Inventor
역 김
심미나
김범한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96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6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4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1Directory assista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전화번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은 전화번호관리 서버가 (a)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사용자 기본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와, (b)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를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이 반영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와, (d) 사용자 컴퓨터의 전화번호 전송 명령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번호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하는 등의 과정에서 무선 암호화 통신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쉽고 안전하게 자신의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화번호관리 서버, 사용자 컴퓨터, 사용자 이동단말

Description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managing a cellular phone number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유무선 통신망의 시스템을 설명하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및 참고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및 침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의 블록 구성도.
<주요 부호의 설명>
100: 전화번호 관리서버, 210: 사용자 컴퓨터, 220: 사용자 이동단말, 300: 사용자 미등록 이동단말, 400: 다른 사용자 이동단말, 500: 이동단말 출력화면
본 발명은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전화번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휴대폰 등의 이동단말을 새로 구입하였거나 가지고 있던 기기를 다른 기기로 변경했을 때, 기존의 이동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을 새로운 이동단말로 옮겨 저장하고자 할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이동단말과 새로 구입한 이동단말 간에 제조사가 서로 다른 경우 또는 기존에 사용하던 이동단말의 펌웨어(firmware)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전화번호 목록을 이동시킬 수 없어서 사용자가 일일이 전화번호를 새로운 이동단말에 입력하고 저장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제조사가 같은 이동단말이라도 제조사의 서비스 고객센터로 방문한 후에야 전화번호 목록을 새로운 이동단말로 옮겨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아울러 일부 컴퓨터 활용능력이 뛰어난 사용자의 경우 컴퓨터를 이용하여 휴대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목록 파일을 컨버전하는 방법으로 일부 전화번호 목록을 이동시켜 재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단순한 인터넷 서핑 이상의 컴퓨터를 원활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대다수 사용자들의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일일이 직접 다시 입력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제조사에서 운영하는 서비스 고객센터의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도 이동통신사 대리점에서 통신사 가입을 마친 후, 기존 이동단말과 새로 구입한 이동단말을 모두 가지고 제조사의 서비스 고객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더욱이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분실하였거나 파손되는 등의 경우에도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 목록을 재사용 하거나 확인할 방법이 없었으며, 게다가 이동단말을 집 또는 사무실에 놓아두고 출장 또는 외근을 간 경우 이동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확인할 방법이 없는 등의 문제점도 있어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전화번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화번호관리 서버와 이동단말 또는 컴퓨터 상호간에 전화번호 목록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하는 등의 서비스 전 과정에서 각 이동단말 기종별 전화번호 목록 컨버전 수행과 암호화 통신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해킹 등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로부터 안전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은, (a)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소정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전화번호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 사용자 이동단말 인증키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를 구축하는 단계(s101)와, (b)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가 수신(s102)되면,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s103)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를 등록, 편집 수정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s104)와, (c) 상기 전화번 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신규로 등록받거나 편집 또는 수정되어진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이 반영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를 구축하는 단계(s105)와, (d)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라는 명령이 수신(s106)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은, (e)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 및 등록 또는 수정되어질 소정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을 업로드 할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는 단계(s121)와, (f)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s122)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e) 단계에서 수신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업로드한 후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하는 단계(s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은, (g)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을 전송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는 단계(s131)와, (h)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s132)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g) 단계에서 전송을 요청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으며,
더욱이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은, (i)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는 단계(s141)와, (j)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s142)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43) 및 (k)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수정된 사용자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를 업데이트 시키고 수정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은, (l)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소정 이동단말이 소정 전화번호 또는 소정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하며 임시 저장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 는 단계(s151)와, (m)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를 구축하거나, 또는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더 수신받은 후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를 구축하는 단계(s102, s155)와, (n)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단말과 동일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이동단말이나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해온 이동단말이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해줄 것을 요청(s153, s156)해오면,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로부터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독출하여 전송하는 단계(s1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은, (o)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 인증절차를 거친 후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는 단계(s161)와, (p)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대응되는 이동단말에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알리는 문자(SMS)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받는 단계(s162)와, (q)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선택받은 이동단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소정 문자(SMS)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s163)를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은, (r)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후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는 단계(s171)와, (s)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 목록을 조회하여 상기 종래의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업데이트시키는 단계(s1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의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상호 간에, 공유된 키를 통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소정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 사용자 이동단말 인증키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등록부(h101)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신규로 등록받거나 편집 또는 수정되어진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이 반영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 등록부(h102)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 전송부(h103)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를 등록, 편집 수정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 관리부(h10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전화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상기 정보 관리부(h104)가,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 및 등록 또는 수정되어질 소정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을 업로드 할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과, 상기 정보 등록부(h102)가,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에 수신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업로드한 후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이동전화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상기 정보 관리부(h104)가,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을 전송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과, 상기 정보 전송부(h103)가,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에 전송을 요청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으며,
게다가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상기 정보 관리부(h104)가,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과, 상기 사용자 등록부(h101)가,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수정된 사용자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시키고 수정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상기 정보 관리부(h104)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소정 이동단말이 소정 전화번호 또는 소정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하며 임시 저장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또는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더 수신받은 후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과, 상기 정보 전송부(h103)가, 상기 이동단말과 동일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이동단말이나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해온 이동단말이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독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상기 사용자 등록부(h101)가,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후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과, 상기 정보 관리부(h104)가,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대응되는 이동단말에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알리는 문자(SMS)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받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과, 상기 정보 전송부(h103)가,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선택받은 이동단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소정 문자(SMS)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으며,
게다가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상기 사용자 등록부(h101)가,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과, 상기 정보 관리부(h104)가,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 목록을 조회하여 상기 종래의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업데이트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상호 간에, 공유된 키를 통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방법들은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위 프로그램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어질 이동단말의 플랫 폼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단말에서 안전한 데이터통신을 위해서는 적은 연산능력, 메모리를 가지는 이동단말 상에서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성능을 제공하는 이동단말용 경량 암호처리 모듈을 제공해야 한다. 상기 경량 암호처리 모듈은 공개키 암호알고리즘(RSA 암호화, 전자서명 등), 대칭키 암호알고리즘(AES, SEED 등), 해시 함수(SHA-1 등) 등과 같은 암호알고리즘을 지원해야 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원격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데이터가 반드시 암호화되어 전송되어야 한다. 이때, 사용자의 데이터는 임의의 세션키로 암호화하고, 이 세션키는 서비스 서버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또한 암호화한 데이터와 동시에 사용자의 전자서명 혹은 패스워드 기반 인증 값을 동봉하여 보냄으로써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유무선 통신망의 시스템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사용을 위한 유무선 통신망의 시스템 상에는 전화번호관리 서버(100)와 사용자 컴퓨터(210)와 사용자 이동단말(220) 및 기기 변경된 이동단말(300)과 다른 사용자 이동단말(400) 등이 구비되게 된다.
사용자 컴퓨터(210)는 가정 또는 사무실 또는 피시방 등에 구비되어 있는 컴퓨터 전화번호 관리서버(100)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아이디, 패스워드 등의 사용자 인증정보와 사용자 이름,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 또는 인증키 값 등의 사용자 기본정보 등을 전화번호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전화번호관리 서버(100)에 전화번호를 등록하거나 관리하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는 매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 이동단말(220)은 휴대폰, 피디에이(PDA) 등 전화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이동단말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210)를 이용해 전화번호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이동단말(220)에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하는 등의 명령을 내리면 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화번호관리 서버(100)에 직접 접속하여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단말(220)은 이동단말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게 됨으로써 전화번호관리 서버(100)와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 하게 된다.
기기 변경된 이동단말(300)은 사용자 등록이 되어있지 않은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300)과 전화번호관리 서버(100)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다른 사용자 이동단말(400)은 사용자 이동단말의 전화번호가 변경되었을 경우에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로부터 변경된 내용을 SMS 서비스를 통해 문자로 수신하게 되는 이동단말로써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및 참고도로서, 사용자 컴퓨터(210)와 전화번호관리 서버(100)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2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의 회원을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와, 사용자의 이름과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 및 사용자 이동단말 인증키 값 등의 사용자 기본정보를 전화번호관리 서버(100)에 제공하여야 하며, 상기 전화번호 관리 서버(100)는 제공받은 사용자 인증정보와 사용자 기본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를 구축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로그아웃 후에 사용자 컴퓨터(210)를 이용하여 다시 전화번호관리 서버(100)에 접속된 경우라면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컴퓨터(210)로부터 아이디 패스워드 등의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s102)받은 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s103)하게 된다. 만약 유효하거나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라면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컴퓨터(210)에 "유효하지 않음" 또는 "다른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바람" 등과 같거나 유사한 의미의 메시지를 전송(s108)하게 될 것이고, 정당한 사용자라면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210) 이용하여 전화번호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전화번호를 등록하거나 편집 또는 수정하는 것 등이 가능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사용자 컴퓨터(210)로 전송(s104)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등록 또는 수정 등이 되어진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또는 전화번호)이 반영된 사용자 전화번호부는 전화번호부관리 서버(100)가 저장하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를 구축(s105)하게 된다. 이후,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컴퓨터(210)로부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또는 전화번호부 목록 전부를 사용자 이동단말(220; 보다 정확하게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이동단말)로 전송하라는 명령이 수신(s106)되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로부터 명령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사용자 이동단말(220)로 전송(s107)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및 침고도로서, 이중 도 3과 도 4는 사용자 이동단말(220)과 전화번호관리 서버(100)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동단말 출력화면(500)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사용자 이동단말(220)과 전화번호부관리 서버(100) 사이에는 전화번호 목록 갱신(예컨대, 마지막 전화번호 목록 업로드 및 업데이트 이후에 추가 및 변동된 내용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변동된 내용만을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수정된 내용에 대해서도 사용자 이동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과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비교하여 마지막으로 수정된 내용에 대해서 수정내역을 다운로드 받는 등)과, 전화번호 목록 전체 업로드(예컨대, 이동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전화번호 목록을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 업로드 하는 등)와, 전화번호 전체 다운로드(예컨대,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을 다운받을 수 있는 등) 및 개인정보 관리(예컨대, 사용자 인증정보와 사용자 기본정보를 변경하는 등) 등의 다양한 동작이 실행되게 될 있을 것이다.
전화번호 목록을 업로드 하는 과정을 예로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 이동단말(220)이 인증키 값(전화번호관리 서버가 정당한 사용자 이동단말인지를 확인하는 정보의 일예) 및 업로드 되어 등록 또는 수정되어질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을 업로드 할 것을 요청해오면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이를 수신(s121)받은 후, 수신된 인증키 값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 등의 정보와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s122)하고, 만약 유효하거나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라면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이동단말(220)에 "유효하지 않음" 또는 다른 정보를 요청하는 등의 메시지를 전송(s124)하게 될 것이고, 정당한 사용자라면 수신받은 전화번호를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업로드한 후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s123)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전화번호 목록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예로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 이동단말(220)이 업로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증키 값 등을 전송하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이를 수신(s131) 받은 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는 등의 방법으로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s132)하고, 만약 유효하거나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라면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이동단말(220)에 "유효하지 않음" 또는 다른 정보를 요청하는 등의 메시지를 전송(s134)하게 될 것이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요청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로부터 독출하여 사용자 이동단말(220)에 전송(s133)하게 될 것이다.
이상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 출력화면(500)에 출력되어진 갱신, 전체 업로드 등의 다양한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에 대응되도록 실행되어질 것이다.
또한 사용자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예로 설명하면, 사용자 이동단말(220)이 업로드 및 다운로드와 마찬가지로 인증키 값 등을 전송하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의 일부 또는 전 부를 수정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이를 수신(s141)한 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효하거나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s142)하고, 만약 유효하거나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라면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이동단말(220)에 "유효하지 않음" 또는 다른 정보를 요청하는 등의 메시지를 전송(s145)하게 될 것이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라면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220)에 전송(s143)하게 될 것이다. 이후 사용자 이동단말(220)로부터 수정된 사용자정보가 전송되어 오면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수신받은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를 업데이트 시키고 "정상적으로 수정되었음" 등과 같거나 유사한 의미의 메시지 등을 사용자 이동단말(220)로 전송(s144)하게 될 것이다.
도 5는 사용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이동단말(300)을 기기 변경하는 등의 경우에 기기변경전의 이동단말(300a)과 전화번호관리 서버(100) 또는 전화번호관리 서버(100)와 기기변경후의 이동단말(300b)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 등록이 되어있지 않는 이동단말의 기기가 변경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일예를 설명하면, 우선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소정 이동단말(300a)이 전화번호 또는 소정 전화번호 목록 등을 전송하며 임시 저장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s151)받은 후, 이동단말(300a)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수신된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 등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를 구축(s152)하게 된다. 이후,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이동 단말(300a)과 동일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이동단말(300b)로부터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해줄 것을 요청(s153)받으면,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로부터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독출하여 상기 이동단말(300b)로 전송하게 된다.
다른 예로,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소정 이동단말(300a)이 전화번호 또는 소정 전화번호 목록 등을 전송하며 임시 저장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더 수신받은 후,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응되도록 수신받은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 등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를 구축(s155)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다른 이동단말(300b)이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해줄 것을 요청(s156)해오면,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더 수신받아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독출하여 전송하게 될 것이다.
도 6은 사용자 컴퓨터(210)나 사용자 이동단말(200; 200a, 200b)과 전화번호관리 서버(100)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순히 전화번호의 변경 없이 기기만 변경된 경우라면 전문에서 설명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도면은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에 새로운 전화번호를 SMS 등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 이동단말(400)에 안내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변경 알림 서비스"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우선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컴퓨터(210)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 (220)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종래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업데이트 시키며 저장(s161)하게 된다. 이후,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컴퓨터(210)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220)로부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 이동단말(400; 정확히는 다른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알리는 문자(SMS)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s162)받으면, 사용자 컴퓨터(210)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220)로부터 선택받은 다른 사용자 이동단말로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문자(SMS)를 생성하여 전송(s163)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전화번호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 모두에게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고, 일부만을 선택하여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사용자 컴퓨터(210)나 사용자 이동단말(200; 200a, 200b)과 전화번호관리 서버(100)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에 "이동단말 전화번호 싱크(Sync)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우선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컴퓨터(210)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220)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며 저장(s171)하게 된다. 이후, 전화번호관리 서버(100)는 전화번 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 목록을 조회하여 종래의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를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변경시키며 업데이트(s172)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사용자 등록부(h101)와 정보 등록부(h102)와 정보 전송부(h103) 및 정보 관리부(h10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사용자 등록부(h101)는 사용자 컴퓨터(210)로부터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 사용자 이동단말 인증키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정보 등록부(h102)는 사용자 컴퓨터(210)로부터 신규로 등록받거나 편집 또는 수정되어진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이 반영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정보 전송부(h103)는 사용자 컴퓨터(210)로부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로부터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사용자 이동단말(2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사용자 컴퓨터(210)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를 등록, 편집 수정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사용자 컴퓨터(210) 로 전송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사용자 이동단말(220)이 인증키 값 및 등록 또는 수정되어질 소정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을 업로드 할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정보 등록부(h102)는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에 수신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업로드한 후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사용자 이동단말(210)이 인증키 값을 전송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h103)는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에 전송을 요청받은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로부터 독출하여 사용자 이동단말(2201)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사용자 이동단말(220)이 인증키 값을 전송하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사 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사용자 이동단말(220)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등록부(h101)는 사용자 이동단말(220)로부터 수정된 사용자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를 업데이트 시키고 수정된 내용 등을 사용자 이동단말(220)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소정 이동단말(300a)이 소정 전화번호 또는 소정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하며 임시 저장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를 구축하거나, 또는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더 수신받은 후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d103)를 구축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h103)는 상기 이동단말(300a)과 동일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이동단말(300b)이나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해온 이동단말(300b)이 임시 데이터베이스(d104)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임시 데이터베이스(d104)로부터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독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사용자 등록부(h101)는 사용자 컴퓨터(210) 또는 사용자 이동단 말(220)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사용자 컴퓨터(210)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220)로부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대응되는 다른 사용자의 이동단말(400)에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알리는 문자(SMS)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받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h103)는 사용자 컴퓨터(210)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220)로부터 선택받은 다른 사용자 이동단말(400)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소정 문자(SMS)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사용자 등록부(h101)는 사용자 컴퓨터(210)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220)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10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d102)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 목록을 조회하여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종래의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업데이트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경우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전화번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이동단말 전화번호의 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이동단말 뿐만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 컴퓨터로 전화번호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전화번호 목록을 등록하거나 변경하거나 추가 또는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쉽게 전화번호를 관리할 수 있다.
둘째, 전화번호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 전화번호가 변경될 경우,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변경된 전화번호를 SMS 를 이용하여 즉시 알려줄 수가 있으며, 더욱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의 전화번호를 자동 갱신해 줌으로써 보유하고 있는 전화번호 목록의 최신성에 대한 신뢰를 보장한다.
셋째, 전화번호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동단말의 고장이나 분실 또는 착오로 이동단말을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언제 어디서든 컴퓨터로 인터넷을 통해 전화번호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전화번호의 확인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은 효과가 있다. 전화번호관리 서 버와 이동단말 또는 컴퓨터 상호간에 전화번호 목록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하는 등의 서비스 전 과정에서 최신의 무선 암호화 통신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해킹 등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로부터 안전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a)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소정 사용자 컴퓨터 또는 이동단말용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된 이동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전화번호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 사용자 이동단말 인증키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를 등록, 편집 수정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신규로 등록받거나 편집 또는 수정되어진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이 반영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d)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소정 이동단말이 소정 전화번호 또는 소정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하며 임시 저장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는 단계;
    (f)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또는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더 수신받은 후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g)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단말과 동일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이동단말이나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해온 이동단말이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독출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h)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 및 등록 또는 수정되어질 소정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을 업로드 할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는 단계; 및
    (i)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h) 단계에서 수신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업로드한 후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j)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을 전송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는 단계; 및
    (k)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j) 단계에서 전송을 요청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l)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는 단계;
    (m)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n)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수정된 사용자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시키고 수정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o)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 인증절차를 거친 후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는 단계;
    (p)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대응되는 이동단말에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알리는 문자(SMS)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받는 단계; 및
    (q)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선택받은 이동단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소정 문자(SMS)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r)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후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는 단계; 및
    (s)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 목록을 조회하여 상기 종래의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업데이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상호 간에, 공유된 키를 통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9. 소정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 사용자 이동단말 인증키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등록부(h101);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신규로 등록받거나 편집 또는 수정되어진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이 반영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 등록부(h102);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단말과 동일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이동단말이나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해온 이동단말용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된 이동단말이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독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 전송부(h103); 및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를 등록, 편집 수정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전화번호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소정 이동단말이 소정 전화번호 또는 소정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하며 임시 저장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또는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더 수신받은 후 상기 임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며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정보 관리부(h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 및 등록 또는 수정되어질 소정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을 업로드 할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고,
    상기 정보 등록부(h102)는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에 수신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업로드한 후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을 전송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 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h103)는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에 전송을 요청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인증키 값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해줄 것을 요청해오면 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인증키 값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또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등록부(h101)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수정된 사용자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시키고 수정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
  13. 삭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등록부(h101)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 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후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전화번호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 이동단말로,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알리는 문자(SMS)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받는 기능을 더 수행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h103)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선택받은 다른 사용자 이동단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소정 문자(SMS)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등록부(h101)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업데이트 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h104)는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 목록 을 조회하여,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종래의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새로운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업데이트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상호 간에, 공유된 키를 통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4항, 또는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96791A 2005-10-14 2005-10-14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79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791A KR100791624B1 (ko) 2005-10-14 2005-10-14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791A KR100791624B1 (ko) 2005-10-14 2005-10-14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067A KR20070041067A (ko) 2007-04-18
KR100791624B1 true KR100791624B1 (ko) 2008-01-04

Family

ID=3817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791A KR100791624B1 (ko) 2005-10-14 2005-10-14 이동단말 전화번호 관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6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410A (ko) * 1998-09-21 2000-04-15 정선종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공유키 경신 방법
KR20010035314A (ko) * 2001-02-02 2001-05-07 민택주 인터넷을 이용한 명함의 송·수신 및 통합관리 시스템.
KR20030067817A (ko) * 2002-02-08 2003-08-19 (주)이솔테크 개인별 인터넷 전화번호부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7729A (ko) * 2004-02-27 2004-04-01 정상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 송수신방법
KR20040104873A (ko) * 2003-06-04 2004-1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410A (ko) * 1998-09-21 2000-04-15 정선종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공유키 경신 방법
KR20010035314A (ko) * 2001-02-02 2001-05-07 민택주 인터넷을 이용한 명함의 송·수신 및 통합관리 시스템.
KR20030067817A (ko) * 2002-02-08 2003-08-19 (주)이솔테크 개인별 인터넷 전화번호부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40104873A (ko) * 2003-06-04 2004-1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40027729A (ko) * 2004-02-27 2004-04-01 정상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 송수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067A (ko)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879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щиты сот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1946222B (zh) 移动通信终端的软件认证装置及其方法
CN105308560B (zh) 用于设置简档的方法和装置
JP5372246B2 (ja) 多段仮想simプロビジョニングおよびモバイル機器設定の実行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429912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サーバ、サービス提供サーバ、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0486173C (zh) 使用便携式存储媒质配置瘦客户机设备的网络设置
JP4713156B2 (ja) 電子装置の所有者管理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137587B (zh) 一种发送、接收用户数据的方法及终端设备
JP4818639B2 (ja) データ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CN109416713B (zh) 验证系统和非暂态信息记录介质
CN101146261B (zh) 一种电子媒体数字保护的实现方法
CN102281324B (zh) 一种移动通信终端系统菜单项远程授权管理的方法
WO2015081882A1 (zh) 下载运营商的文件的方法及设备
CN102823195A (zh) 利用由虚拟机进行的软件测试远程维护电子网络中的客户端系统的系统和方法
US201300419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Terminal Devices
KR102119922B1 (ko) 네트워크 액세스
KR20050051675A (ko)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단말, 장치 및 방법
MX2014009822A (es) Metodos y aparato para distribucion a gran escala de clientes de acceso electronico.
JP2008546253A (ja) 機密保護方法及び情報サービス提供方法
US11665532B2 (en) Securing private wireless gateways
US8190636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object privilege modification
JP2006060589A (ja) グループ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JP2010097301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リンタドライバ
CN101124585A (zh) 信息流通系统及终端装置
JP2012088765A (ja) プログラム起動制御方法、プログラム起動制御プログラム、携帯端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