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598B1 -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598B1
KR100791598B1 KR1020060103977A KR20060103977A KR100791598B1 KR 100791598 B1 KR100791598 B1 KR 100791598B1 KR 1020060103977 A KR1020060103977 A KR 1020060103977A KR 20060103977 A KR20060103977 A KR 20060103977A KR 100791598 B1 KR100791598 B1 KR 10079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termina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충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103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02B60/50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항목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에게 전송한다. 콘텐츠 전송 서버가 수신한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이동형 방송망을 통해 방송신호와 더불어 송출한다. 이동 단말은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에서 전송한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선별해서 수신한다.
이로써, 이동통신망 및 이동형 방송망의 특성을 결합하여 이용자는 자기가 원하는 콘텐츠를 능동적으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어 콘텐츠의 선택성과, 전송 효율성을 함께 보장할 수 있다.
이동형 방송망, 이동통신망, 콘텐츠 전송

Description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 방법{Server and mobile unit transmitting user typed contents b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Broadcasting Network,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130)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서버(2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부(230)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개략적인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100)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단계(S207)의 세부적인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단계(S207)의 세부적인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200)가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단계(S511)를 세부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수신 기능 및 통신 기능이 결합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고, 그에 따른 해당 콘텐츠는 이동형 방송망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이동형 방송망(Mobile Broadcasting Network)은 휴대가 가능한 이동 단말을 대상으로 방송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망으로서,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FLO, ISDB-Tsb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형 방송망을 통한 콘텐츠 수신 방식은 방송망에 접속 가능한 모든 수신기가 동시에 같은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식이다.
이동통신망은 이동하면서 데이터 또는 음성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으로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망을 통한 콘텐츠 수신 방식은 이동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개별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각각의 독립적인 트래픽 채널을 통해서 수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방송망은 수신기가 동일 채널을 이용하지만 이동통신망은 개별 수신기가 다른 전송 채널을 이용한다. 즉 방송망은 하나의 채널을 모든 수신기가 공유하므로 전송효율이 높은 반면, 이동통신망은 개별적인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일대일로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기 수만큼의 채널이 필요하여 채널 효율성이 낮다.
그러나 방송망으로는 모든 이용자에게 동일한 콘텐츠가 전송되지만, 통신망으로는 개별의 채널을 통해 수신기마다 다른 콘텐츠의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두사람 이상의 그룹형 콘텐츠의 경우에는 방송망을 이용하여 멀티캐스팅하는 것이 통신망을 통하여 유니캐스팅 하는 것보다 전송채널면에서 보다 효율적인데도 불구하고, 현재 이러한 콘텐츠 전송 방식은 구현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이동통신망의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보낼경우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아 비효율적이었고, 방송망의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보낼경우 개개인에 맞는 맞춤 콘텐츠 전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를 여러 개의 목록에서 선택하여 비실시간으로 단말기에 다운로드 받아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의 선택성 및 전송 효율성을 함께 보장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서버, 이동 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콘텐츠 전송 서버는,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선택 정보에 따른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 상기 이동 단말의 특성에 맞게 상기 콘텐츠를 변환, 상기 콘텐츠의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에 따른 콘텐츠만을 선별하여 수신하기 위한 복호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수신 정보 처리 모듈; 상기 이동 단말에 탑재된 방송 신호 수신기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과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동기화 설정 모듈; 및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이동형 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송신하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 단말은,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콘텐츠 전송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선택한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 상기 이동 단말의 특성에 맞게 상기 콘텐츠를 변환, 상기 콘텐츠의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 및 상기 선택한 콘텐츠만을 선별하여 수신하기 위한 복호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정보 처리 모듈;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와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탑재된 방송 신호 수신기를 활성화하는 동기화 설정 모듈; 및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선택한 콘텐츠 정보,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이동형 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은,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이동 단말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콘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에 따른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 상기 이동 단말의 특성에 맞게 상기 콘텐츠를 변환, 상기 콘텐츠의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 및 상기 선택한 콘텐츠만을 선별하여 수신하기 위한 복호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단말에 탑재된 방송 신호 수신기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과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형 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콘텐츠 수신 방법은,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이 선택한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 상기 이동 단말의 특성에 맞게 상기 콘텐츠를 변환, 상기 콘텐츠의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 및 상기 선택한 콘텐츠만을 선별하여 수신하기 위한 복호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와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탑재된 방송 신호 수신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상태가 활성화되면 상기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에 전송되는 콘텐츠를 상기 이동형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네트워크 구성은 이동 단말(100), 콘텐츠 전송 서버(200), 이동통신망(300) 및 이동형 방송망(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 단말(100)은 이동통신망(200)을 통한 RF 신호 송·수신 기능 및 이동형 방송망(300)을 통한 방송신호 수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 가능한 단말이다. 이는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수신한 콘텐츠 항목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선별해서 이동형 방송망(300)을 통해 수신한다.
콘텐츠 전송 서버(200)는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100)에게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로서, 이동 단말(100)에게 제공한 콘텐츠 항목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동통신망(300)은 이동하면서 데이터 또는 음성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으로서, GSM, GPRS, CDMA, WCDMA, HSDPA, Wibro 등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을 지칭한다. 이는 콘텐츠 항목을 이동 단말(100)에게 전달하고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 전달한다.
이동형 방송망(400)은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부터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따른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여 이동형 방송 신호와 더불어 송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은 RF 신호 처리부(110), 방송신호 수신부(120), 제어부(130), 키 입력부(140) 및 화면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F 신호 처리부(110)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부터 콘텐츠 항목을 수신하여 콘텐츠 항목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20)는 이동형 방송망(400)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부터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수신한다.
제어부(130)는 RF 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 항목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선별해서 방송신호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하며 방송신호 수신부(12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30)는 방송신호 수신부(120)를 통해 동기화가 설정된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해당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방송신호 수신부(12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그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선별해서 수신하고, RF 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사전에 수신된 해당 콘텐츠의 수신 및 실행을 위한 수신 정보를 토대로 해당 콘텐츠를 변환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해당 콘텐츠의 변환은 이동 단말(100)의 화면이나, 사운드 특성에 맞게 콘텐츠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서비스 설정 모듈(131), 수신 정보 처리 모듈(132), 동기화 설정 모듈(133), 송·수신 모듈(134) 및 사용자 정보 제공 모듈(135)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설정 모듈(131)은 RF 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수신된 복수개의 디렉토리로 구성된 콘텐츠 항목을 수신하여 콘텐츠 항목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전 송하며, 그에 따른 서비스 가입, 인증 및 과금을 포함한 가입자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선택된 콘텐츠 정보의 전송은 사용자 및 이동 단말의 정보와 콘텐츠 선택 목록이 포함되어 전송이 이루어진다.
수신 정보 처리 모듈(132)은 RF 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콘텐츠 타입 및 형식을 포함한 콘텐츠 식별 정보, 해당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수신을 위한 정보 및 콘텐츠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를 포함한 수신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해당 콘텐츠만을 선별 수신하기 위한 복호 정보를 포함한 수신 정보를 수신한다.
동기화 설정 모듈(133)은 RF 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콘텐츠 방송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콘텐츠 전송 서버(200)와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동기화 설정을 위한 시간 정보는 이동 단말(100)의 자체적인 시간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정보를 토대로 동기화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 정보를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시간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동기화 설정 모듈(133)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방송 스케줄링에 따른 콘텐츠 수신 시간 이전에 송·수신 모듈(134)이 방송신호 수신부(120)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방송신호 수신부(120)는 항상 ON 상태에 있지 않으므로 밧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송·수신 모듈(134)은 RF 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200)와 송·수신하는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고, 방송신호 수신부(120)의 활성화를 제어하며 방송신호 수신 상태 여부를 확인하여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방송신호 수신부(120)의 활성화 제어에 따르면, 사전에 전송한, 콘텐츠 항목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만을 분별하고 해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만을 수신하도록 한다.
또한, 송·수신 모듈(134)은 해당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그에 따라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부터 RF 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해당 콘텐츠를 재수신한다. 즉 콘텐츠 방송 스케즐링 정보에 따른 콘텐츠 수신 시간에 방송신호 수신부(120)가 비활성화 상태이거나 또는 방송 수신 음영 지역에 있는 등의 상황으로 인해 이동형 방송망(400)을 통해서 선택한 콘텐츠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이를 알린다.
이때, 단문메시지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를 통해 해당 콘텐츠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재전송 여부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재전송 여부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재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모듈(134)은 해당 콘텐츠의 수신 동작 중에, 사용자의 방송신호 수신 요청 동작이 있는 경우 해당 콘텐츠의 수신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 동작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수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제공 모듈(135)은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한 횟수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RF 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 전송한다.
키 입력부(140)는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명령 및 콘텐츠 항목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화면 표시부(150)는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100)의 동작 상태, 수신되는 콘텐츠 항목, 수신 정보에 따라 변환된 해당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정상 수신 여부에 따른 재수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서버(2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콘텐츠 전송 서버(200)는 프로그램 저장부(210), 콘텐츠 저장부(220), 제어부(2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0) 및 방송망 연결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저장부(210)는 콘텐츠 항목의 전송, 선택된 콘텐츠 정보의 수신 및 가입자 서비스 처리를 위한 서비스 설정 프로그램, 수신 정보의 생성 및 전송을 위한 수신 정보 처리 프로그램, 동기화를 위한 시간 정보의 생성 및 전송을 위한 동기화 설정 프로그램 및 콘텐츠 전송 서버(200)의 운영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콘텐츠 저장부(220)는 해당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해당 콘텐츠는 콘텐츠 공급자(CP:Content Provider)로부터 다양한 콘텐츠를 전송받아 이를 이동 단말(100)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제어부(230)는 프로그램 저장부(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따른 가입자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고, 해당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시간에 따라 동기화를 설정한 이동 단말(100)에게 수신 정보에 따른 해당 콘텐츠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0)는 제어부(230)의 제어하에 이동통신망(300)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방송망 연결부(250)는 제어부(230)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전달받아 이동형 방송망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한 제어부(230)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서비스 설정 제어 모듈(231), 수신 정보 처리 모듈(232), 동기화 설정 모듈(233), 송·수신 모듈(234) 및 재전송 제어 모듈(235)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설정 제어 모듈(231)은 콘텐츠 저장부(220)에 저장된 콘텐츠를 세분화시켜 구분한 복수개의 디렉토리로 구성된 콘텐츠 항목을 제공하고, 콘텐츠 항목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따른 서비스 가입, 인증 및 과금을 포함한 가입자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설정 제어 모듈(231)은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한 횟수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가입자 서비스 처리에 활용할 수 있다.
수신 정보 처리 모듈(232)은 콘텐츠 타입 및 형식을 포함한 콘텐츠 식별 정보,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수신을 위한 정보 및 콘텐츠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를 포함한 수신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또한, 해당 콘텐츠만을 선별 수신하기 위한 복호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동기화 설정 모듈(233)은 콘텐츠 방송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이동 단말(100)과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송·수신 모듈(234)은 서비스 설정 제어 모듈(231), 수신 정보 처리 모듈(232), 동기화 설정 모듈(233)과 연결되어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로부터 수신하고 콘텐츠 항목, 가입자 서비스 처리, 수신 정보, 시간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게 전달하며, 해당 콘텐츠를 방송망 연결부(250)로 전달한다.
재전송 제어 모듈(235)은 프로그램 저장부(210)에 저장된 재전송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토대로 해당 콘텐츠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재전송 여부의 결정은 재전송 시간, 해당 콘텐츠 등을 포함한 재전송 스케줄링의 계획을 포함한다.
이때, 재전송 제어 모듈(235)은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전송한 이동 단말(100)의 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콘텐츠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로 전달하여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1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기준 이하의 이동 단말(100)만이 정상적인 콘텐츠 다운로드를 못하였 을 경우에는 일부 이동 단말(100)에 한해서 이동통신망(300)을 통해서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전송 할 수 있다.
또한, 재전송 제어 모듈(235)은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재전송 여부 확인 메시지를 해당 이동 단말(100)에게 전송하여, 그에 따라 수신된 재전송 여부 확인 응답 메시지를 토대로 해당 콘텐츠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구성의 유기적인 동작에 의하여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개략적인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이 사용자의 요구 동작에 의해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200)에게 콘텐츠 요청을 전송한다(S101).
다음, 콘텐츠 전송 서버(200)가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콘텐츠 요청을 전송한 이동 단말(100)에게 콘텐츠 항목을 전송한다(S103). 이때, 콘텐츠 항목은 콘텐츠를 세분화시켜 구분한 복수개의 디렉토리로 구성된다.
다음, 이동 단말(100)이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입력받은, 콘텐츠 항목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200)에게 전송한다(S105).
다음, 콘텐츠 전송 서버(200)가 수신한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이동형 방송망(400)을 통해 방송신호와 더불어 송출한다(S107).
그러면, 이동 단말(100)은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에서 단계(S105)에서 전송한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선별해서 수신한다(S109).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100)이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이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 항목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콘텐츠 전송 서버(200)에게 전송한다(S201).
그러면, 단계(S201)에서 전송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토대로 콘텐츠 전송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가입자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S203).
여기서, 가입자 서비스 처리는 서비스 가입, 인증 및 과금을 포함하는 것으로, 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사용 요금, 시청 가능 시간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부터 해당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 해당 콘텐츠의 수신 및 실행을 위한 수신 정보, 해당 콘텐츠의 수신을 위한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S205).
여기서, 단계(S205)에서 수신되는 해당 콘텐츠의 수신 및 실행을 위한 수신 정보는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타입 및 형식을 포함한 콘텐츠 식별 정보, 해당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수신을 위한 정보 및 콘텐츠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S205)에서 수신되는 시간 정보는 콘텐츠 방송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한 상기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다음,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부터 해당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를 적용한 시간에 해당 콘텐츠를 수신한다(S207).
이때, 단계(S205)에서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단계(S207)에서 수신한 해당 콘텐츠를 화면에 표출하기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저장한다(S209).
또한, 단계(207) 이후, 해당 콘텐츠를 이용한 횟수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지속적인 콘텐츠 서비스 이용에 참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단계(S207)의 세부적인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해당 콘텐츠의 정상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S303)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콘텐츠 수신을 지속한다(S305).
이때, 이동 단말(100)이 방송신호 수신 불가한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해당 콘텐츠를 정상 수신하고 있지 못한 경우로 판단한 경우(S303),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200)로 전송한다(S307).
여기서, 단계(S307)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문메시지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를 통해 해당 콘텐츠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재전송 여부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재전송 여부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세부화될 수 있다.
다음,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해당 콘텐츠를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재수신한다(S309).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단계(S207)의 세부적인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해당 콘텐츠를 수신(S401)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방송신호 수신 요청을 인지(S403)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의 수신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S405).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 동작(S407)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수신 지속(S409) 또는 해당 콘텐츠의 수신을 중지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동작에 따른 방송신호의 수신을 수행한다(S411).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200)가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의 콘텐츠 요청 수신(S501)에 따라 콘텐츠 항목을 제공하여(S503) 콘텐츠 항목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다(S505).
다음, 단계(S505)에서 수신한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따른 가입자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S507). 이는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이동 단말(100)의 가입자 서비스 처리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대응되는 단계로서,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 가입, 인증 및 과금 등을 수행한다.
다음, 단계(S505)에서 수신한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해당 콘텐츠의 수신 및 실행을 위한 수신 정보 및 이동 단말(100)과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509). 이때,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로 수신 정보는 콘텐츠 타입 및 형식을 포함한 콘텐츠 식별 정보, 상기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수신을 위한 정보 및 콘텐츠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동기화를 위한 시간 정보는 콘텐츠 방송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생성될 수 있다.
다음, 단계(S509)에서 전송한 방송 스케줄링 시간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전송한다(S511).
이때, 단계(S511)에서는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한 횟수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단계(S511)를 세부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해당 콘텐츠의 전송(S601) 이후, 이동 단말(100)로부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수신(S603)되는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토대로 콘텐츠의 정상 수신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S605).
단계(S605)에서 콘텐츠의 정상 수신으로 판단되면 해당 콘텐츠의 전송(S601)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단계(S605)에서 콘텐츠가 정상 수신되지 못한 경우로 판단된 경우, 이와 같은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전송한 이동 단말(100)의 수가 기준값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607).
단계(S607)에서 판단한 결과,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콘텐츠를 방송망(400)을 통해 재전송한다(S609).
단계(S607)에서 판단한 결과, 기준값 미만인 경우 해당 콘텐츠를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재전송한다(S61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망 및 이동형 방송망의 특성을 결합하여 이용자는 자기가 원하는 콘텐츠를 능동적으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어 콘텐츠의 선택성과, 전송효율성을 함께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으로 조정 가능한 콘텐츠의 방송 스케즐에 따라 이동 단말의 방송신호 수신부의 활성화를 제어하여 밧데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선택 정보에 따른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 상기 이동 단말의 특성에 맞게 상기 콘텐츠를 변환, 상기 콘텐츠의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에 따른 콘텐츠만을 선별하여 수신하기 위한 복호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수신 정보 처리 모듈;
    상기 이동 단말에 탑재된 방송 신호 수신기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과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동기화 설정 모듈; 및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이동형 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송신하는 송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토대로 콘텐츠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재전송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재전송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에 따라 재전송을 결정하는 재전송 제어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제어 모듈은,
    상기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전송한 이동 단말의 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콘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제어 모듈은,
    단문메시지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를 통해 재전송 여부 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에게 전송하여, 그에 따라 수신된 재전송 여부 확인 응답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콘텐츠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서버.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해당 콘텐츠를 이용한 횟수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가입자 서비스 처리에 활용하는 서비스 설정 제어모듈
    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서버.
  9. 삭제
  10. 삭제
  11.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콘텐츠 전송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선택한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 상기 이동 단말의 특성에 맞게 상기 콘텐츠를 변환, 상기 콘텐츠의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 및 상기 선택한 콘텐츠만을 선별하여 수신하기 위한 복호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정보 처리 모듈;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와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탑재된 방송 신호 수신기를 활성화하는 동기화 설정 모듈; 및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선택한 콘텐츠 정보,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이동형 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수신하는 이동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단문메시지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를 통해 상기 콘텐츠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재전송 여부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재전송 여부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재수신하는 이동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콘텐츠의 수신 동작 중에, 사용자의 방송신호 수신 요청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수신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 동작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해당 콘텐츠를 이용한 횟수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을 위한 명령 및 복수의 콘텐츠 항목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 선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상태, 수신되는 콘텐츠 항목,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변환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정상 수신 여부에 따른 재수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17. 삭제
  18.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이동 단말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콘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에 따른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 상기 이동 단말의 특성에 맞게 상기 콘텐츠를 변환, 상기 콘텐츠의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 및 상기 선택한 콘텐츠만을 선별하여 수신하기 위한 복호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단말에 탑재된 방송 신호 수신기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과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형 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해당 콘텐츠를 이용한 횟수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를 토대로 상기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이동 단말에 대해 콘텐츠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상기 해당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콘텐츠 수신 여부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이동 단말의 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콘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단문메시지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를 통해 재전송 여부 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에게 전송하여, 그에 따라 수신된 재전송 여부 확인 응답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콘텐츠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전송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이 선택한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 상기 이동 단말의 특성에 맞게 상기 콘텐츠를 변환, 상기 콘텐츠의 암호화에 따른 해독 정보 및 상기 선택한 콘텐츠만을 선별하여 수신하기 위한 복호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와 동기화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탑재된 방송 신호 수신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상태가 활성화되면 상기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링 정보에 전송되는 콘텐츠를 상기 이동형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KR1020060103977A 2006-10-25 2006-10-25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방법 KR100791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977A KR100791598B1 (ko) 2006-10-25 2006-10-25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977A KR100791598B1 (ko) 2006-10-25 2006-10-25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598B1 true KR100791598B1 (ko) 2008-01-03

Family

ID=3921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977A KR100791598B1 (ko) 2006-10-25 2006-10-25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729B1 (ko) 2009-10-09 2016-04-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890A (ko) * 2000-05-24 2001-12-07 장홍인 위성을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원격 예약 시스템및 방법
KR20020079326A (ko) * 2001-04-07 2002-10-19 오정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주문/예약형 무선방송시스템 및그 방법
KR20060017349A (ko) * 2004-08-20 2006-02-23 (주) 엘지텔레콤 인터넷을 통한 방송 예약 녹화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8405A (ko) * 2005-06-10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890A (ko) * 2000-05-24 2001-12-07 장홍인 위성을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원격 예약 시스템및 방법
KR20020079326A (ko) * 2001-04-07 2002-10-19 오정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주문/예약형 무선방송시스템 및그 방법
KR20060017349A (ko) * 2004-08-20 2006-02-23 (주) 엘지텔레콤 인터넷을 통한 방송 예약 녹화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8405A (ko) * 2005-06-10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729B1 (ko) 2009-10-09 2016-04-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248E1 (en) 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0566040B1 (ko) 방송 정보 공급 시스템
JP5001296B2 (ja) 移動装置のための放送コンテンツ要求
JP3822997B2 (ja) 放送情報配信システム
US8200200B1 (en) Localized mobile digital TV
AU2001283885B2 (en) Receiver
EP1300035B1 (en)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receiving an encrypted first signal and complementa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signal
US7426393B2 (en) Method and system of identifying network services
US20040153767A1 (en) Interactive data broadcasting system
US20120051280A1 (en) Indication of Multicast Control Information
US10123304B2 (en) Multicast control channel design
JPH09307564A (ja) 双方向通信システム
WO2008004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ast/broadcast servic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685667B1 (en) Datacast services
KR100672332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CN1905398B (zh) 时分双工系统传送广播/组播业务的方法
KR100791598B1 (ko) 이동형 방송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선택형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 이동 단말 및 그에 따른방법
JP2007528166A (ja) 移動体テレビ受信器における伝送規格の自動選択
US80951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1017792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livering content
JP2004135346A (ja) 双方向通信システム
CN101998153A (zh) 基于广播式移动多媒体业务上报收看频道的方法及装置
KR100621994B1 (ko) 이동통신 방송시스템에서 단말 내에 복수의 방송 컨텐츠제공방법
CN101521552B (zh) 个人数字广播接收机及网络公告信息传输方法
KR101199368B1 (ko)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