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041B1 - 네트워크 기반의 생산계획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생산계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041B1
KR100791041B1 KR1020060054886A KR20060054886A KR100791041B1 KR 100791041 B1 KR100791041 B1 KR 100791041B1 KR 1020060054886 A KR1020060054886 A KR 1020060054886A KR 20060054886 A KR20060054886 A KR 20060054886A KR 100791041 B1 KR100791041 B1 KR 100791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unit
production
production plan
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0305A (ko
Inventor
조원철
김영훈
Original Assignee
티라에스앤씨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라에스앤씨 (주) filed Critical 티라에스앤씨 (주)
Priority to KR102006005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041B1/ko
Publication of KR2007012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계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를 이용한 생산계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조공정 중 일부의 단위공정 및 상기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APS 엔진을 가지며, 상기 APS 엔진이 갖는 소정의 엔진타입에 따라 구별되는 복수의 공정엔진부; 및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에 링크되며, 상기 공정엔진부의 생산계획이 다른 공정엔진부의 생산계획에 반영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간에 상기 생산계획에 관한 정보를 전파하는 매개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이한 엔진타입을 갖는 APS 엔진들에 대한 최적의 통합 생산계획의 수립이 가능하며, 상황 변화에 따른 생산계획의 수정이 용이하고, 2 이상의 제품에 대한 균형있는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APS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생산계획시스템{Network-based production planning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정엔진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3 : 공정엔진부 4 : 매개엔진부
11~19 : 에지엔진부 21~23 : 내부조정부
본 발명은 생산계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를 이용한 생산계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PS는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약기반(constraints-based)의 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MRPⅡ(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Ⅱ) 보 다 우수한 프로그램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APS는 최적화 및 시뮬레이션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 초 내지 수 분 정도의 신속한 계산시간을 갖는데, 이는 수 시간의 계산시간을 소요했던 MRP에 견주어볼 때 상당한 장점이 아닐 수 없다.
반면, 하나의 APS는 다양한 제조정책 속성을 반영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제조정책 속성은 예컨대, 생산방식 중 밀어내기 방식으로 알려져 있는 푸쉬(PUSH) 타입, 수요에 따라 생산을 조정하는 풀(PULL) 타입, 공정들간 재공품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윕밸런스(WIP-balance) 타입, 공정이 최대의 생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타입 등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이들 제조정책 속성에 대한 생산계획은 하나의 APS 엔진으로 일거에 수립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제조정책으로 실행되어, 하나의 APS 엔진으로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없는 공정들에 대해서는 최적화된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APS를 이용한 생산계획시스템은 특정 수요 및 그 우선순위만을 고려하여 특정 제품에 대해 공정, 설비 및 자재의 제공을 집중함으로써, 제품별 생산량을 공평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복수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 공정별, 설비별 및 제품별로 자재 및 재공품을 적절하게 분배하지 못해 특정 제품만이 생산되도록 하는 불합리한 상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제조정책 속성을 갖는 복수의 공정들에 대해 최적화된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제품에 대한 생산량을 균 형있게 조절가능한 생산계획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조공정 중 일부의 단위공정 및 상기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APS 엔진을 가지며, 상기 APS 엔진이 갖는 소정의 엔진타입에 따라 구별되는 복수의 공정엔진부; 및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에 링크되며, 상기 공정엔진부의 생산계획이 다른 공정엔진부의 생산계획에 반영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간에 상기 생산계획에 관한 정보를 전파하는 매개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 각각은 상기 생산계획의 실행결과를 체크하기 위한 상황인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개엔진부는 상기 상황인지부로부터의 상기 실행결과를 전파하여 다른 공정엔진부의 생산계획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조공정 중 최후 단위공정의 공정엔진부는 최종 생산품의 수요를 입력받고, 상기 제조공정 중 임의의 단위공정에 대응하는 APS 엔진은 당해 단위공정에서 제공해야할 재공품의 수량과 일정계획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당해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며, 상기 당해 단위공정의 선공정으로부터 제공받을 재공품의 수량과 일정계획을 상기 선공정의 APS 엔진에 전파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 각각은 포함된 단위공정에 대한 모든 생산계획이 수립된 경우, 선공정으로부터 제공받을 재공품의 수량과 일정 계획을 상기 매개엔진부에 제공하고, 상기 매개엔진부는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 중 임의의 공정엔진부로부터 수신된 소정 재공품에 대한 수량과 일정계획을, 상기 소정의 재공품을 제공하는 공정엔진부로 전파하여 생산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공정 중 최선(最先) 단위공정에 대한 APS 엔진이 수신된 재공품의 수량 및 일정계획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상기 수신된 수량 및 일정계획에 근접한 생산계획을 수립하여 상기 매개엔진부로 전송하고, 상기 매개엔진부는 상기 최선 단위공정에 대한 APS 엔진으로부터의 상기 생산계획에 기초하여, 수정이 필요한 생산계획에 대한 후공정의 APS에 선택적으로 수정을 요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개엔진부는 상기 제조공정 중 기준공정을 선택하여 상기 기준공정에 대한 APS 엔진이 우선적으로 생산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수립된 상기 기준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전파하여 다른 단위공정들에 대한 생산계획이 상기 기준공정의 생산계획에 기초하여 수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엔진타입은 밀어내기 방식으로 생산하도록 하는 푸쉬(push) 타입, 선후 단위공정들간 재공품이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조정하는 윕밸런스(WIP-balance) 타입, 수요에 따라 단위공정의 생산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풀(pull) 타입 및 단위공정이 최대의 생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맥스(max)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매개엔진부와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간의 링크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수의 단위공정을 포함하는 제 조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복수의 APS 엔진; 상기 생산계획에 따른 실행결과를 체크하기 위한 상황인지부; 및 상기 상황인지부의 실행결과가 상기 생산계획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실행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APS 엔진에 상기 생산계획의 수정을 요구하는 매개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들은, 상기 APS 엔진이, 2종 이상의 제품에 대한 생산요청이 있는 경우, 시간계획의 기초가 되는 버켓을 시분할하여 상기 2종 이상의 제품 각각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PS 엔진은 상기 2종 이상의 제품에 대한 수요량 및 납기를 기초로, 상기 단위공정에서 처리될 수량의 비를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공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복수의 APS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APS 엔진은, 2종 이상의 제품에 대한 생산요청이 있는 경우, 시간계획의 기초가 되는 버켓을 시분할하여 상기 2종 이상의 제품 각각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생산계획시스템은 복수의 공정엔진부(1~3) 및 매개엔진부(4)를 포함한다.
복수의 공정엔진부(1~3)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에지엔진부(11~19)를 포함하 는데, 에지엔진부(11~19)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공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장치, 제조장치 및 이들에 대한 생산계획을 통합적으로 수립하는 하나의 APS 엔진으로 구성되는 최소의 생산단위이다.
하나의 공정엔진부(1,2,3)에 소속된 에지엔진부들(11~19)의 단위공정은 순차적이며, 각각의 APS 엔진은 동일한 엔진타입을 갖는다. 여기서 엔진타입은 APS 엔진이 반영하는 제조정책 속성을 나타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생산방식 중 밀어내기 방식으로 알려져 있는 푸쉬(PUSH) 타입, 수요에 따라 생산을 조정하는 풀(PULL) 타입, 공정들간 재공품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윕밸런스(WIP-balance) 타입, 공정이 최대의 생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맥스(MAX) 타입 등을 포함한다.
상이한 엔진타입의 APS 엔진을 포함하는 에지엔진부들(11~19)은 서로 다른 공정엔진부(1~3)에 포함된다. 즉, 복수의 공정엔진부(1~3) 각각은 그에 소속된 APS 엔진의 엔진타입에 따라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에지엔진부들(11~19)이 동일한 엔진타입의 APS 엔진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공정상의 연속성이 없는 경우에는 상이한 공정엔진부(1~3)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에지엔진부들(11~19)은 수립된 생산계획과 실제 생산결과를 체크하기 위한 상황인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전이나 설비의 고장 등 예상밖의 상황이 발생하여 수립되었던 생산계획에 미치지 못하는 생산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단위공정이라도 생산계획에 차질을 빚게 된다면, 이는 연쇄적으로 다른 단위공정에 파급되어 고객이 원하는 때에 원하는 수량의 물량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생산계획과 실행결과간의 괴리로 인해 전반적인 생산계획의 수정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 상황인지부는 에지엔진부들(11~19) 각각에 마련되거나 공정엔진부(1)에 포함된 단위공정들에 대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도 있다.
매개엔진부(4)는 공정엔진부들(1~3) 각각에 링크되어, 공정엔진부들(1~3)이 최적화된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공정엔진부(1~3)간에 생산계획에 관한 정보, 생산계획의 실행결과 등을 전파한다. 매개엔진부(4)와 공정엔진부(1~3)간의 링크는 랜과 같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원거리에 위치한 작업장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작업장에서의 연속된 단위공정뿐만 아니라 재공품을 생산하는 원거리의 작업장 및 타업체의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제어 및 반영할 수 있어 실질적인 생산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생산계획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 개시된 복수의 공정엔진부(1~3) 중 좌측에 있는 공정엔진부(1)를 푸쉬 타입의 제1 공정엔진부(1), 중앙에 위치한 공정엔진부(2)를 윕밸런스 타입의 제2 공정엔진부(2), 우측에 위치한 공정엔진부(3)를 풀 타입의 제3 공정엔진부(3)로 규정하고, 제1 공정엔진부(1)로부터 제3 공정엔진부(3)로의 공정은 연속적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제3 공정엔진부(3)가 제품의 수요량 및 납기를 입력받는다. 입력된 수요량 및 납기를 기초로 제3 공정엔진부(3)의 최후 단위공정으로부터 선행하는 단위공정의 방향으로, 즉 공정의 역순으로 생산계획이 수립된다.
일 단위공정을 기준으로 일례를 들면, 당해 단위공정을 통해 제공되어야 하는 재공품의 물량과 일정이 APS 엔진에 입력되면, 요구된 재공품의 물량과 재고량 을 비교하여 제조되어야 할 제조물량을 결정한 후 제조물량의 생산일정을 수립하고, 이를 위해 당해 단위공정에 필요한 재공품의 수량 및 일정계획을 바로 앞서 선행하는 단위공정의 APS 엔진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통해 최후의 단위공정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생산계획이 수립되어, 제3 공정엔진부(3)의 최선의 단위공정로부터 필요한 재공품의 수량과 생산계획이 매개엔진부(4)를 통해 제2 공정엔진부(2)로 전달된다. 매개엔진부(4)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해 제3 공정엔진부(3)로부터의 생산계획에 관한 정보, 예컨대 필요로하는 재공품의 수량과 일정계획을 제2 공정엔진부(2)로 전달한다. 물론, 생산계획에 관한 정보에 대한 적절한 데이터 가공이 필요하다면 생산계획에 관한 정보를 적절하게 가공하여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제3 공정엔진부(3)로부터 2 이상의 재공품이 요하는 경우라면, 매개엔진부(4)는 제2 공정엔진부(2)외에도 해당 재공품을 생산하기 위한 다른 공정엔진부에 그 수량과 일정계획을 전파하게 될 수도 있다. 이로부터, 도1의 생산계획시스템은 연속적인 하나의 공정들에서 병렬적인 공정의 다발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3 공정엔진부(3)로부터 제1 공정엔진부(1)까지 역방향으로 생산계획이 수립된다.
제1 공정엔진부(1)의 최선의 단위공정이 요구받은 수량 및 일정에 맞추어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면, 최후 단위공정으로부터의 모든 생산계획의 수립이 종료될 것이다.
그러나, 제1 공정엔진부(1)의 최선의 단위공정에 대해 요구된 사양을 충족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없다면, 최후 단위공정으로부터의 모든 생산계획 중 적어도 일부는 적절하게 수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공정엔진부(1)의 최선의 단위공정이 요구된 사양을 충족할 수 없는 경우, 요구된 사양에 가장 근사한 최선의 생산계획을 세우게 된다. 예컨대, 모든 설비를 가동하여 요구수량을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일정을 세우게 되고, 이 정보가 바로 인접한 후 공정의 APS 엔진으로 전달되어 미리 세워둔 생산계획을 수정하게 된다. 수정된 생산계획은 후공정으로 전파되는데, 반드시 최후의 단위공정까지 전파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근사하게 세워진 최선의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은 매개엔진부(4)로 전달되고, 매개엔진부(4)는 수정을 요하는 생산계획의 APS 엔진에 대해 선택적으로 수정을 요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리하면, 제품 수요량 및 납기에 기초하여 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수립된 생산계획은,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혹은 선택적으로 수정되어 확립된다.
확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각 단위공정에서의 생산이 진행된다.
상황인지부는 생산계획에 따른 실행결과를 체크하여 매개엔진부(4)에 전달한다. 매개엔진부(4)는 생산계획이 달성되지 않아 후공정의 생산계획에 차질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계된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의 수정을 APS 엔진 각각에 대해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은 순차적으로 혹은 선택적으로 수정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엔진타입이 다른 APS 엔진들에 대한 통합적인 최적의 생산계획의 수립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계획에 차질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정엔진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공정엔진부(1)는 복수의 에지엔진부(11~13) 및 내부조정부(21)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에지엔진부(11~13)는 도1의 에지엔진부(11~13)의 구성과 기능면에서 동일하다.
내부조정부(21)는 공정엔진부(1)에 포함된 에지엔진부(11~13)간의 데이터 교환에 관여하며, 에지엔진부(11~13)가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수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적으로 도1에 개시된 매개엔진부(4)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에지엔진부들(11~13)의 APS 엔진간의 재공품의 수량 및 일정계획에 관한 정보는 직접 또는 내부조정부(21)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2의 공정엔진부가 채택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는 도3에 개시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공정엔진부(1,2,3) 내부의 데이터 교환 및 생산계획의 수립 및 수정은 내부조정부(21,22,23)에 의해 수행되며, 공정엔진부(1~3)간의 데이터 교환 및 생산계획의 수립 및 수정에 관해서는 매개엔진부(4)가 관여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제5 에지엔진부(15)의 단위공정에서 생산차질이 발생하는 경우, 제2 공정엔진부(2) 내에서의 생산계획의 수정 여부에 대해서는 제2 내부조정부(22)가 판단하여 제4 내지 제5 에지엔진부(15)의 APS 엔진에 대해 선택적으로 생산계획의 수정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제2 내부조정부(22)는 수정된 생산계획의 전파의 필요성을 판단하여 매개엔진부(4)로 수정된 내용을 가공하여 전달하고, 매개엔진부(4)는 제1 및 제3 내부조정부(21,23)에 당해 정보를 제공하여 제1 및 제3 공정엔진부(1,3) 내에서의 생산계획의 수정을 요구하게 된다. 최선의 단위공정에서 충족할 수 없는 생산일정이 요구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순방향으로 재차 생산계획의 수정을 요구하여 모든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확립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 실시예와 같은 계층적인 구조를 확장한 다층의 계층구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시스템을 설명한다.
전술한 생산계획의 수립방법은 최후의 단위공정으로부터 생산계획 등의 정보를 역방향으로 전파하고, 필요에 따라 순방향으로 수정하는 방법이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의 수립방법은 단위공정 중에 존재하는 주요공정 또는 병목공정을 기준공정으로 모델링한 에지엔진부를 규정하고, 이를 기초로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이다.
주요공정 또는 병목공정은, 그 용어가 의미하는 바와 같이, 생산에 있어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공정이나 충분한 확보가 어려운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 공정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1의 제2 공정엔진부(2)의 제5 에지엔진부(15)에 포함된 단위공정이 병목공정인 경우, 제3 공정엔진부(3)로부터의 제품의 수요량 및 납기이 매개엔진부(4)를 통해 제5 에지엔진부(15)에 전달됨으로써 제5 에지엔진부(15)에 대한 생산계획이 우선적으로 수립된다.
제5 에지엔진부(15)의 생산계획은 제4 및 제6 에지엔진부(14,16)로 전파되며, 제1 및 제3 공정엔진부(1,3)로 전파된다. 즉, 양방향으로 전파되어 순차적으로 전체 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이 수립된다.
이와 같이, 병목공정 또는 주요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기초로 모든 생산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전체 공정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하여 전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단일 제품에 대한 수요가 있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상이한 2 이상의 제품에 대한 주문이 있는 경우, 단위공정 또는 그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해 생산일정을 적정하게 분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나의 설비에서 2이상의 제품에 대한 공정이 수행된다는 것(Product-mix)은 시간적인 관점에서 볼 때 시간계획 단위인 버켓에서 시분할적으로 설비를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생산계획시스템은 상이한 2 이상의 제품에 대한 주문이 있는 경우, 제품들 각각에 대한 수량 및 납기를 고려하여 단위공정 또는 그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공유하도록 생산계획을 수립한다.
즉, 단위공정 혹은 설비에서 2이상의 제품에 대한 생산계획이 하나의 버켓에서 시분할적으로 되도록 하는데, 시분할비는 제품의 수량 및 납기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선후공정 관계에서도 제품들 각각에 대해 병목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생산일정 및 수량을 결정한다. 예컨대, 동일한 단위공정을 수행하는 설비들간에 처리되는 임의의 제품에 대한 수량의 합이, 다른 단위공정에서 처리되는 제품의 수량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공정엔진부, 에지엔진부, 매개엔진부, 상황인진부 등은 그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및 상기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하나의 통합된 컴퓨팅 모듈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컴퓨팅 모듈의 네트워킹 연결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이한 엔진타입을 갖는 APS 엔진들에 대한 최적의 통합 생산계획의 수립이 가능하며, 상황 변화에 따른 생산계획의 수정이 용이하고, 2이상의 제품에 대한 균형있는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Claims (12)

  1. 제조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조공정 중 일부의 단위공정 및 상기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APS 엔진을 가지며, 상기 APS 엔진이 갖는 소정의 엔진타입에 따라 구별되는 복수의 공정엔진부; 및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에 링크되며, 상기 공정엔진부의 생산계획이 다른 공정엔진부의 생산계획에 반영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간에 상기 생산계획에 관한 정보를 전파하는 매개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 각각은 상기 생산계획의 실행결과를 체크하기 위한 상황인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개엔진부는 상기 상황인지부로부터의 상기 실행결과를 전파하여 다른 공정엔진부의 생산계획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공정 중 최후 단위공정의 공정엔진부는 최종 생산품의 수요를 입력받고,
    상기 제조공정 중 임의의 단위공정에 대응하는 APS 엔진은 당해 단위공정에 서 제공해야할 재공품의 수량과 일정계획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당해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며, 상기 당해 단위공정의 선공정으로부터 제공받을 재공품의 수량과 일정계획을 상기 선공정의 APS 엔진에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 각각은 포함된 단위공정에 대한 모든 생산계획이 수립된 경우, 선공정으로부터 제공받을 재공품의 수량과 일정계획을 상기 매개엔진부에 제공하고,
    상기 매개엔진부는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 중 임의의 공정엔진부로부터 수신된 소정 재공품에 대한 수량과 일정계획을, 상기 소정의 재공품을 제공하는 공정엔진부로 전파하여 생산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공정 중 최선(最先) 단위공정에 대한 APS 엔진이 수신된 재공품의 수량 및 일정계획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상기 수신된 수량 및 일정계획에 근접한 생산계획을 수립하여 상기 매개엔진부로 전송하고,
    상기 매개엔진부는 상기 최선 단위공정에 대한 APS 엔진으로부터의 상기 생산계획에 기초하여, 수정이 필요한 생산계획에 대한 후공정의 APS에 선택적으로 수 정을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엔진부는 상기 제조공정 중 기준공정을 선택하여 상기 기준공정에 대한 APS 엔진이 우선적으로 생산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수립된 상기 기준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전파하여 다른 단위공정들에 대한 생산계획이 상기 기준공정의 생산계획에 기초하여 수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타입은 밀어내기 방식으로 생산하도록 하는 푸쉬(push) 타입, 선후 단위공정들간 재공품이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조정하는 윕밸런스(WIP-balance) 타입, 수요에 따라 단위공정의 생산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풀(pull) 타입 및 단위공정이 최대의 생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맥스(max)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엔진부와 상기 복수의 공정엔진부간의 링크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9. 복수의 단위공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복수의 APS 엔진;
    상기 생산계획에 따른 실행결과를 체크하기 위한 상황인지부; 및
    상기 상황인지부의 실행결과가 상기 생산계획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실행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APS 엔진에 상기 생산계획의 수정을 요구하는 매개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PS 엔진은, 2종 이상의 제품에 대한 생산요청이 있는 경우, 시간계획의 기초가 되는 버켓을 시분할하여 상기 2종 이상의 제품 각각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PS 엔진은 상기 2종 이상의 제품에 대한 수요량 및 납기를 기초로, 상기 단위공정에서 처리될 수량의 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12. 복수의 단위공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공정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복수의 APS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APS 엔진은, 2종 이상의 제품에 대한 생산요청이 있는 경우, 시간계획 의 기초가 되는 버켓을 시분할하여 상기 2종 이상의 제품 각각에 대한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시스템.
KR1020060054886A 2006-06-19 2006-06-19 네트워크 기반의 생산계획시스템 KR10079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886A KR100791041B1 (ko) 2006-06-19 2006-06-19 네트워크 기반의 생산계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886A KR100791041B1 (ko) 2006-06-19 2006-06-19 네트워크 기반의 생산계획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305A KR20070120305A (ko) 2007-12-24
KR100791041B1 true KR100791041B1 (ko) 2008-01-03

Family

ID=3913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886A KR100791041B1 (ko) 2006-06-19 2006-06-19 네트워크 기반의 생산계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989B1 (ko) * 2015-02-27 2016-09-12 주식회사 티라유텍 제조업체 간의 협업을 위한 통합 플랫폼 관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763B1 (ko) * 1990-08-31 1993-10-09 제일모직 주식회사 생산현장 관리시스템
KR980004111A (ko) * 1997-12-11 1998-03-30 양승택 유연 생산계획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개발 처리 방법
KR20030015412A (ko) * 2001-08-14 2003-02-25 (주)쓰리뷰 생산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제공방법 및 장치
US7024371B2 (en) 2001-04-13 2006-04-04 I2 Technologies Us, Inc. High availability planning and scheduling architecture
US7043444B2 (en) 2001-04-13 2006-05-09 I2 Technologies Us, Inc. Synchronization of planning information in a high availability planning and scheduling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763B1 (ko) * 1990-08-31 1993-10-09 제일모직 주식회사 생산현장 관리시스템
KR980004111A (ko) * 1997-12-11 1998-03-30 양승택 유연 생산계획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개발 처리 방법
US7024371B2 (en) 2001-04-13 2006-04-04 I2 Technologies Us, Inc. High availability planning and scheduling architecture
US7043444B2 (en) 2001-04-13 2006-05-09 I2 Technologies Us, Inc. Synchronization of planning information in a high availability planning and scheduling architecture
KR20030015412A (ko) * 2001-08-14 2003-02-25 (주)쓰리뷰 생산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제공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305A (ko) 200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7220B (zh) 混合云中基于截止时间和费用约束的调度模型及方法
CN105160439B (zh) 一种生产排程方法及自动排程系统
CN115051926B (zh) 一种数字孪生装置、模型评价系统以及模型运行方法
Naso et al. Genetic algorithms for supply-chain scheduling: A case study in the distribution of ready-mixed concrete
Saad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tract net-based heterarchical scheduling for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Reaidy et al. Comparison of negotiation protocols in dynamic agent-based manufacturing systems
Mohagheghi et al. Managing industrial energy intelligently: Demand response scheme
Olhager Supply chain management: a just-in-time perspective
WO2021027449A1 (zh) 考虑非定尺订单规格柔性的热轧中厚板组板及板坯设计的方法及模型系统
KR101107517B1 (ko) 협업프로젝트 관리방법 및 시스템
da Silva et al. Online single machine scheduling with setup times depending on the jobs sequence
CN11050348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
Olaitan et al. Evaluation of production control strategies for negligible‐setup, multi‐product, serial lines with consideration for robustness
Jansen et al. Lead time anticipation in supply chain operations planning
US7386358B2 (en) Available to promise allocation optimization tool
KR100791041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생산계획시스템
Qiu Virtual production line based WIP control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ystems
Bratukhin et al. Bridging the gap between centralized and distributed manufacturing execution planning
Згурська et al. MULTI-AGENT MODEL OF THE DISTRIBUTION CHANNELS MANAGEMENT SYSTEM OF AGRO-INDUSTRIAL ENTERPRISES
Bussacarini et al. Reduction of variability in a smart shop floor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Mahapatra et al. Application of theory of constraints on scheduling of Drum-Buffer-Rope system
Tsukanov et al. Analysis of Algorithms for Scheduling Complex Production Systems
JP2009042810A (ja) サプライチェーンの効率化支援方法
Chan et al. Taguchi's method analysis of an FMS under review-period-based operational controls: Identification of control periodicity
Bratukhin et al. Distribution of mes functionalities for flexible auto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