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753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753B1
KR100790753B1 KR1020060097236A KR20060097236A KR100790753B1 KR 100790753 B1 KR100790753 B1 KR 100790753B1 KR 1020060097236 A KR1020060097236 A KR 1020060097236A KR 20060097236 A KR20060097236 A KR 20060097236A KR 100790753 B1 KR100790753 B1 KR 100790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ylindrical body
lens barrel
camera module
im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삽입되는 내부공을 구비하고, 외부면에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구비하는 기판 ;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의 내부면과 상기 렌즈배럴의 외부면간의 면접촉압을 조절하는 조절링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커싱 조정작업후 렌즈배럴과 하우징간의 유격에 의하여 조정완료된 초점이 변하는 불량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 렌즈배럴과 하우징의 금형에 대한 치수조정 및 엄격한 사출성형 조건이 불필요해져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렌즈배럴, 하우징, 이미지 센서, 슬릿, 조절링

Description

카메라 모듈{A Camera Module}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210 : 렌즈배럴 216 : 수나사부
120,220 : 하우징 120a,220a : 원통몸체
120b,220b : 사각몸체 121,221 : 내부공
123,223 : 슬릿 125,225 : IR필터
130,230 : 이미지 센서 140,240 : 기판
150,250 : 조절링 151,251 : 조절용 암나사부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렌즈배럴과 하우징간의 유격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포커싱 조정후 변화가 없도록 하고, 부품의 금형치수나 사출조건을 변화시키지 않아도 되어 작업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하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1)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가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렌즈배럴(10)을 구비하며, 몸체 외부면에는 수나사부(11)가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입사공(13)을 관통형성한다.
이러한 렌즈배럴(10)은 내부공에 암나사부(21)를 형성한 하우징(20)과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0)의 내부공에는 렌즈를 통과한 빛을 필터링하는 IR필터(25)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0)의 하부단에는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이 결상되는 이미지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30)를 배치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30)는 상기 기판(40)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기판(40)의 타단부에는 미도시된 디스플레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콘넥터(45)를 구비한다.
상기 기판(40)의 일단부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30)가 플립칩 본딩방식 또는 와이어 본딩방식으로 탑재되며, 도면부호 42는 플립칩 본딩방식으로 기판(40)에 탑재되는 이미지 센서(30)의 이미지 결상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윈도우부이다.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30)가 사람의 눈과 같이 빛에 반응할 수 있도록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제거하는 IR필터(25)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1)의 렌즈배럴(10)을 하우징(20)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30)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포커싱을 조정하는 작업은, 상기 하위징(20)의 암나사부(21)에 나사결합된 렌즈배럴(1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렌즈배럴(10)을 광축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렌즈(L)와 이미지 센서(30)간의 초점거리를 조절하였다.
또한, 이러한 포커싱 조정작업을 수행한 후에 상기 렌즈배럴(10)의 하부단과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단 사이에 형성되는 갭에 UV본딩제를 도포하고, 이를 경화 시켜 하우징(20)에 대하여 렌즈배럴(10)을 위치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커싱 조정작업시 서로 나사결합되는 렌즈배럴(10)의 숫나사부(11)와 상기 하우징(20)의 암나사부(21)사이에 유격이 있을 경우, 포커싱 조정작업후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UV본딩제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엄격하게 조정된 초점거리가 변화되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10)과 하우징(20)의 금형에 대한 치수를 엄격하게 관리하여 유격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경우, 렌즈배럴(10)과 하우징(20)간의 나사결합이 너무 빡빡하게 이루어져 렌즈배럴(10)을 나사이동시키는 포커싱 조정작업이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엄격한 치수관리를 위한 금형제작 및 사출공정이 어려워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고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포커싱 조정작업후 렌즈배럴과 하우징간의 유격에 의하여 조정완료된 초점이 변하는 불량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 렌즈배럴과 하우징의 금형에 대한 치수조정 및 엄격한 사출성형 조건이 불필요해져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삽입되는 내부공을 구비하고, 외부면에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구비하는 기판 ;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의 내부면과 상기 렌즈배럴의 외부면간의 면접촉압을 조절하는 조절링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배럴이 삽입되는 내부공을 관통형성한 원통몸체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사각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은 상기 원통몸체에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릿은 상기 원통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원통몸체와 사각몸체의 경계부위까지 연장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몸체는 외부면을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몸체는 외부면에 조절용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링은 내부면에 상기 조절용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암나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IR필터를 추가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의 외부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내부공을 구비하고, 외부면에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구비하는 기판 ;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의 내부면과 상기 렌즈배럴의 외부면간의 면접촉압을 조절하는 조절링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배럴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내부공을 관통형성한 원통몸체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사각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은 상기 원통몸체에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릿은 상기 원통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원통몸체와 사각몸체의 경계부위까지 연장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몸체는 외부면을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몸체는 외부면에 조절용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링은 내부면에 상기 조절용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암나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IR필터를 추가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 도이며, 도 6은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배럴(110), 하우징(120), 이미지 센서(130), 기판(140) 및 조절링(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렌즈배럴(11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수용부재이며, 상기 렌즈가 적층되는 렌즈배럴(110)은 몸체 외부면의 외경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중공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렌즈배럴(110)에 적층되는 렌즈의 매수는 렌즈설계에 따라 가변되고, 복수개의 렌즈는 이들상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매개로 하여 렌즈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렌즈배럴(110)의 상부면에 중앙에는 입사공(113)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렌즈배럴(110)의 몸체 외부면이 상부로 부터 하부로 삽입되는 내부공(121)을 몸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내부공(121)이 형성되는 몸체에 적어도 하나의 슬릿(123)을 구비하여 상기 렌즈배럴(110)과 조립되는 고정구조물이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도 5(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렌즈배럴(110)이 삽입배치되는 내부공(121)을 관통형성한 원통몸체(120a)와, 상기 이미지 센서(130)가 배치되는 사각몸체(1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렌즈배럴(110)이 삽입되는 원통몸체(120a)는 몸체외부면에 상단으로부터 시작되어 하부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123)을 구비하며, 상기 기판(140)이 고정되는 사각몸체(120b)에는 상기 렌즈배럴(110)의 렌즈를 통과한 빛이 결상되는 이미지 센서(13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123)은 상기 원통몸체(120a)의 상단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원통몸체(120a)와 사각몸체(120b)의 경계부위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슬릿(123)은 상기 원통몸체(120a)에 180도의 간격을 두고 2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원통몸체(120a)와 사각몸체(120b)사이의 경계에는 상기 렌즈배럴(110)의 렌즈를 통과한 빛이 간섭없이 통과하는 일정크기의 관통공(127)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127)에는 이를 통과하는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제거하는 IR필터(125)를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미지 센서(130)는 상기 기판(140)의 일단부에 관통형성된 윈도우부(142)를 통하여 이미지 결상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기판(140)의 일단부 하부면에 플립칩 본딩방식으로 탑재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판(140)의 일단부 상부면에 와이어 본딩방식으로 탑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판(140)의 타단부에는 콘넥터(145)를 구비한다.
상기 조절링(150)은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원통몸체(120a)의 외부면에 나사결합되는 링부재로 구성되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우징(120)을 구성하는 원통몸체(120a)의 외부면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나사결합없이 삽입되거나
상기 조절링(150)이 상기 원통몸체(120a)에 나사결합없이 삽입되거나 나사결 합되는 정도에 맞추어 상기 내부공(121)의 내부면과 상기 렌즈배럴(110)의 외부면간의 면접촉압을 조절함으로서 상기 하우징(120)의 원통몸체(120a)내로 삽입된 렌즈배럴(110)의 위치를 확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릿(123)이 형성되는 원통몸체(120a)는 상기 내부공(121)의 내경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원통몸체(120a)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삽입된 조절링(150)의 삽입정도에 따라 상기 원통몸체(120a)에 형성된 내부공(121)의 내경크기를 좁혀 상기 렌즈배럴(110)의 외부면과의 접촉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렌즈배럴(1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절링(150)은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몸체(120a)의 외부면에 형성된 조절용 수나사부(129)와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암나사부(151)를 내부면에 형성함으로서 상기 조절링(150)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조절링(150)을 상하로 움직여 접촉압력을 증대시키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링(15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몸체(120a)의 외부면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나사결합없이 삽입되는 원형의 내부면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조절링(150)을 삽입하는 조작에 의해서 상기 조절링(150)을 상하로 움직여 접촉압력을 증대시키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링(150)의 외부면에는 작업자의 취급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평면부(155)를 구비하거나 취급 및 조작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너얼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렌즈배럴(110)에 조립된 렌즈와 상기 이미지센서(130)간의 초점거리를 가변시켜 최적의 화상을 얻고자 하는 포커싱 작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공(121)에 렌즈배럴(110)을 나사결합없이 삽입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렌즈배럴(110)을 광축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서 상기 렌즈와 이미지센서간의 거리를 가변시켜 포커싱을 조정하고,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배럴(110)의 상하움직임을 중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120)의 원통몸체(120a)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원통몸체(120a)의 상단부근에 배치되어 있던 조절링(150)을 직하부로 하강시키면, 상기 원통몸체(120a)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원통몸체(120a)의 상단에서 시작되는 슬릿(123)이 사각몸체(120b)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로 개방된 슬릿(123)이 오므려지면서 상기 원통몸체(120a)의 내경크기는 작아지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조절링(150)의 하강조작에 의해서 상기 내부공(121)의 내경이 작아지면, 상기 내부공(121a)의 내부면과 이에 대응하는 렌즈배럴(110)의 외부면간의 면접촉압력이 증대되어 상기 하우징의 원통몸체에 삽입된 렌즈배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며, 포커싱 조작업후에도 렌즈와 이미지 센서간의 초점거리가 변화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몸체(120a)의 외부면에 조절용 수나사부(129)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링(150)의 내부면에 조절용 암나사부(151)를 구비하여 이들이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절링(150)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조절링(150)을 하강시킴으로서 상기 하우징(120)의 원통몸체(120a)에 삽입된 렌즈배럴(110)의 외부면과 상기 내부공(121)의 내주면간의 면접촉압력을 증대시켜 렌즈배럴(110)을 고정하는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200)은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배럴(210), 하우징(220), 이미지 센서(230), 기판(240) 및 조절링(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200번대의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렌즈배럴(11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몸체 외부면에 수나사부(216)를 구비하며, 상부면에 중앙에 입사공(213)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렌즈배럴(210)과 결합되는 하우징(220)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원통몸체(220a)와 사각몸체(220b)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몸체(220a)에 관통형성된 내부공(221)에는 렌즈배럴(210)의 수나사부(216)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26)를 구비하며, 상기 사각몸체(220b)에는 기판(240)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탑재되는 이미지 센서(230)가 배치되고, 이러한 원통몸체(220a)와 사각몸체(220b)사이의 경계에는 IR필터(225)가 배치되는 관통공(227)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센서(230)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기판(240)의 일단부에 플립칩 본딩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판(240)의 일단부에 와이어 본딩방식으로 탑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판(240)의 타단부에는 콘넥터(245)를 구비한다.
상기 조절링(250)은 도 7과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몸체(220a)의 외부면에 나사결합되는 링부재로 구성되거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20)을 구성하는 원통몸체(220a)의 외부면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나사결합없이 삽입되는 링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링(250)이 상기 원통몸체(220a)에 나사결합없이 삽입되거나 나사결합되는 정도에 맞추어 상기 내부공(221)의 내부면과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부면간의 면접촉압을 조절함으로서 상기 내부공(221)에 형성된 암나사부(226)와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부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26)간의 유격발생없이 상기 하우징(220)의 원통몸체(220a)내로 삽입된 렌즈배럴(210)의 위치를 확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릿(223)이 형성되는 원통몸체(220a)는 상기 내부공(221)의 내경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링(250)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몸체(220a)에 나사결합없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조절링(250)이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원통몸체(220a)에 형성된 내부공(221)의 내경크기를 좁혀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부면과 원통몸체(220a)간의 접촉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렌즈배럴(2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링(250)의 내부면에도 상기 원통몸체(220a)의 외부면에 형성 된 조절용 수나사부(229)와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암나사부(251)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조절링(250)의 간편한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원통몸체(220)의 조절링(250)을 상하로 나사이동시켜 접촉압력을 증대시키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렌즈배럴(210)에 조립된 렌즈와 상기 이미지센서(230)간의 초점거리를 가변시켜 최적의 화상을 얻고자 하는 포커싱 작업은,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공(221)에 형성된 암나사부(226)에 렌즈배럴(210)의 수나사부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하우징(220)의 원통몸체(220a)에 렌즈배럴(210)을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20)에 대하여 렌즈배럴(21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광축방향으로 나사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렌즈와 이미지센서간의 거리를 가변시켜 포커싱을 조정하고,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배럴(210)의 나사이동을 위한 회전조작을 중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220)의 원통몸체(220a)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원통몸체(220a)의 상단부근에 배치되어 있던 조절링(250)을 직하부로 하강시키면, 상기 원통몸체(220a)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원통몸체(220a)의 상단에서 시작되는 슬릿(223)이 사각몸체(220b)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로 개방된 슬릿(223)이 오므려지면서 상기 원통몸체(220a)의 내경은 작아지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조절링(250)의 하강조작에 의해서 상기 내부공(221)의 내경이 작아지면, 상기 내부공(221a)의 암나사부(226)와 상기 렌즈배럴(210)의 수나사부(216)사이에서의 유격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들간의 면접촉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하우징의 원통몸체에 나사결합된 렌즈배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력을 충분 히 얻을 수 있으며, 포커싱 조작업후에도 렌즈와 이미지 센서간의 초점거리가 변화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통몸체(220a)의 외부면에 형성된 조절용 수나사부(229)에 상기 조절링(150)의 조절용 암나사부(151)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절링(250)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조절링(250)을 하강시킴으로서 상기 원통몸체(220a)와 이에 나사결합된 렌즈배럴(210)사이에서의 유격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들간의 면접촉압력을 증대시켜 렌즈배럴(210)을 고정하는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배럴이 나사체결없이 삽입되어 조립되거나 나사체결방식으로 조립되는 하우징에 내경변호가 가능하도록 슬릿을 구비하고, 하우징의 외부면에 삽입되거나 나사결합되는 조절링을 구비하여 렌즈배럴과 조립되는 내부공의 내경크기를 축소시킴으로서, 렌즈배럴이 삽입되거나 나사결합되는 하우징의 원통몸체와 이에 결합되는 렌즈배럴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면접촉압력을 증대시켜 포커싱 조정작업후 렌즈배럴을 하우징에 확고히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포커싱 조정작업후 렌즈배럴의 움직임에 의해 서 초점이 변화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배럴과 하우징이 서로 나사결합되는 구조에서 렌즈배럴과 하우징간의 유격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렌즈배럴과 하우징에 대한 금형 치수 및 사출조건을 엄격히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불량율을 낮출 수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배럴 ;
    상기 렌즈배럴이 삽입되는 내부공을 구비하고, 외부면에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구비하는 기판 ;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의 내부면과 상기 렌즈배럴의 외부면간의 면접촉압을 조절하는 조절링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배럴이 삽입되는 내부공을 관통형성한 원통몸체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사각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은 상기 원통몸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원통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원통몸체와 사각몸체의 경계부위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몸체는 외부면을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몸체는 외부면에 조절용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링은 내부면에 상기 조절용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암나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IR필터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배럴 ;
    상기 렌즈배럴의 외부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내부공을 구비하고, 외부면에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구비하는 기판 ;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의 내부면과 상기 렌즈배럴의 외부면간의 면접촉압을 조절하는 조절링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배럴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내부공을 관통형성한 원통몸체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사각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은 상기 원통몸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원통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원통몸체와 사각몸체의 경계부위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몸체는 외부면을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몸체는 외부면에 조절용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링은 내부면에 상기 조절용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암나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IR필터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60097236A 2006-10-02 2006-10-02 카메라 모듈 KR100790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236A KR100790753B1 (ko) 2006-10-02 2006-10-02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236A KR100790753B1 (ko) 2006-10-02 2006-10-02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753B1 true KR100790753B1 (ko) 2008-01-02

Family

ID=3921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236A KR100790753B1 (ko) 2006-10-02 2006-10-0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7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492A2 (ko) * 2008-08-20 2010-02-25 (주)하이소닉 카메라 모듈
KR100953174B1 (ko) * 2008-08-20 2010-04-20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100Y1 (ko) * 2001-08-07 2001-11-23 정운기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100Y1 (ko) * 2001-08-07 2001-11-23 정운기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492A2 (ko) * 2008-08-20 2010-02-25 (주)하이소닉 카메라 모듈
KR100953174B1 (ko) * 2008-08-20 2010-04-20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 모듈
WO2010021492A3 (ko) * 2008-08-20 2010-07-08 (주)하이소닉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3875B2 (en) Auto-focusing camera module having liquid lens
US10574869B2 (en) Plastic barrel,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844966A (zh) 不可调焦型相机模块
US7990634B2 (en) Lens module with grooved barrel
KR20080037783A (ko) 카메라 모듈
US8139146B2 (en) Camera module, method of focusing the same, and device for focusing the same
KR20090047307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7936520B2 (en) Optical axis orientating device for liquid lens
KR100843475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0790753B1 (ko) 카메라 모듈
CN106291856A (zh) 镜头模块及包括该镜头模块的相机模块
KR20100100063A (ko) 카메라 모듈
KR100863797B1 (ko) 카메라 모듈
KR100738391B1 (ko) 카메라 모듈의 치합 구조
CN101943787B (zh) 相机模组
KR100755640B1 (ko)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조정장치
KR100835096B1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배럴
KR100818514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1453006B1 (ko) 카메라 모듈
KR100867525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0716789B1 (ko) 카메라 모듈
KR101771775B1 (ko) 카메라 모듈
KR20090078475A (ko) 카메라 모듈
KR20080040912A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0790691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