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508B1 -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508B1
KR100790508B1 KR1020050111594A KR20050111594A KR100790508B1 KR 100790508 B1 KR100790508 B1 KR 100790508B1 KR 1020050111594 A KR1020050111594 A KR 1020050111594A KR 20050111594 A KR20050111594 A KR 20050111594A KR 100790508 B1 KR100790508 B1 KR 10079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unit
stored
storage medium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888A (ko
Inventor
야스유키 네기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9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using specially-adapted hardware at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H04L9/0897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involving additional devices, e.g. trusted platform module [TPM], smartcard or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대표되는 정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프트웨어의 부정 사용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범용성이 있는 기술을 채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형식의 소프트웨어가 기억된 기억부와,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의 복호화(復號化)에 사용되는 키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미디어 장착부와,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부와,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연산부를 구비하였다.
기억 미디어, 복호화 모듈, 미디어 드라이브, 트랙 패드, 미디어 장전구

Description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PC를 둘러싼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관리의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의 PC의 내부 구성 및 주위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OS 실행시의 OS 전개 프로세스의 설명도.
도 5는 라이센스 관리 대상의 OS를 사용하고 있는 PC가 파손되어 그 OS를 신(新) PC로 실행시키려고 했을 때의 설명도.
도 6은 본 실시예에서의 OS 인스톨 시의 플로 차트.
도 7은 본 실시예에서의 OS 기동 시의 플로 차트.
도 8은 도 7에 1개의 블록으로 나타내는 유저 등록 처리의 플로 차트.
도 9는 도 7에 1개의 블록으로 나타내는 OS 기동 처리의 플로 차트.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PC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PC에서의 OS 실행시의 OS 전개 프로세스의 설명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에서의 OS 기동 처리의 플로 차트.
도 13은 제 3 실시예의 PC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O : PC
11 : 화상 표시용의 그래픽 회로
12 : 메모리
13 : 메모리 컨트롤용의 칩세트
14 : I/0 컨트롤용의 칩세트
15 : 하드 디스크
16 : CD/DVD
17 : 기억 미디어
18 : 미디어 드라이브
19 : 복호화(復號化) 모듈
20 : PC
21 : 기억 미디어
22 : 미디어 드라이브
31 : CPU
32 : CD/DVD 드라이브
33 : GPS
100 : 본체부
101 : 키보드
102 : 트랙 패드
103 : CD/DVD 드라이브의 장전구(裝塡口)
104 : 미디어 장전구
171 : 키(key)
200 : 표시부
201 :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대표되는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로 약기함)가 사무실은 물론 가정 내에까지 널리 보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의 큰 문제 중 하나는 소프트웨어의 부정 사용을 어떻게 하여 방지하느냐 하는 점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네트워크 상에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관리시스템을 두고, 관리 대상의 소프트웨어의 동시 가동 최대수를 기억해 두어 그 최대수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만 그 소프트웨어의 가동을 허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기록 데이터의 기록시에 사용자 식별 정보를 기억해 두고, 재생 시에는 기록 데이터와 함께 기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그것과는 별도로 기록해 둔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일치했을 때에만 그 기록 데이터의 재생을 허가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열람 소프트웨어의 전자문서를 표시할 때,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전자문서의 표시 허가 혹은 그 전자문서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의 복호 키를 받아서, 그것을 받았을 때에만 그 전자문서의 내용을 표시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평 6-22304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 2002-100116호 공보.
[특허문헌 3] 국제공개 WO98/27494호 공보.
소프트웨어의 부정 이용 방지의 기술로서 상기한 특허문헌 1∼3의 기술이나 기타 다수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들은 각각 특수한 환경 하에서 유효해도, 현실적으로 채용되어 있는 것은,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기억한 CD를 구입하면 그 CD와 함께 사용 허락 번호가 붙여지고 있어, CD로부터 PC에 소프트웨어를 업로드했을 때에 그 사용 허락 번호를 키 입력함으로써 사용 가능하게 되는 시스템이 채용되고 있다. 이 경우, 그 CD와 사용 허락 번호마저 함께 보관해 두면 자유롭게 복제할 수 있고, 그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몇대의 PC에서도 동작시킬 수 있는 결과가 초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프트웨어의 부정 사용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범용성이 있는 기술이 채용된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정보처리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형식의 소프트웨어가 기억된 기억부와,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의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디어 장착부와,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부와,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연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처리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기억해 두고,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키를 복호화하여 실행하는 구성의 것이며, 따라서 키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어 있어서 처음으로 그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자체는 몇 대의 PC 등에 복제되어 있어도 실행은 불가능하며, 동시에 그 기억 미디어가 장전되어 있는 1대의 PC 등으로만 실행 가능하여, 소프트웨어의 부정 사용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 장착부는 상기 키를 기억하는 동시에 소프트웨어 실행의 허가 조건을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복호화부는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매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허가 조건에 일치한 조건 하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그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매체 장착부는 상기 키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허 가 조건으로서, 소프트웨어의 사용 허가 기한을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으로 하고, 복호화부는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매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사용 허가 기한 내에 한하여, 그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이어도 좋고, 또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며, 매체 장착부는 상기 키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허가 조건으로서,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허가된 지역을 지정하는 허가 지역 정보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으로 하고, 복호화부는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위치 검출부로 검출된 현재 위치가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허가 지역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허가된 지역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그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가 기억된 제 1 기억 미디어와, 소프트웨어의 정당한 이용자인 것을 나타내는 유저 정보가 기억된 제 2 기억 미디어의 양쪽이 동시에 장착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복호화부는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2개의 기억 미디어의 한쪽에, 그 소프트웨어의 정당한 이용자인 것을 나타내는 유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그들 2개의 기억 미디어의 다른쪽에 기억되어 있는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키가 기억된 기억 미디어와 유저 정보가 기억된 기억 미디어의 2개의 기억 미디어가 갖추어졌을 때에 처음으로 실행 가능한 구성으로 해 두면, 라이센스 상의 부정 사용뿐만 아니라, 유저가 자기 이외의 사람에게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 어, 그 유저의 정보 관리 상으로도 유효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본 발명 중 정보처리 장치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기술 사상을 정보처리 방법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구축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로서의 PC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PC(10)는 본체부(100)와 표시부(200)가 개폐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표시부(200)에는 전면(前面)의 대부분의 영역에 퍼져 있는 화상 표시용의 디스플레이(20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0)에는 CPU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하드디스크, 통신용 포트 등이 내장되어 있고, 또한 이 본체부(100)의 윗면에는 이 PC(10)에 유저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01), 디스플레이(201) 상의 임의의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그 지정 시에 그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 등에 따른 지시를 부여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종인 트랙 패드(10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부(100)의 측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나 DVD(이하, 이들을 합쳐서 CD/DVD로 표기함)가 장전되어 장전된 CD/DVD를 억세스하는 CD/DVD 드라이브의 장전구(103) 및 예를 들면 IC 카드 등의 가반형(可搬型)의 기억 미디어가 장전되어서 그 장전된 기억 미디어를 억세스하는 미디어 콘트롤러의 미디어 장전구(104)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PC(10)를 둘러싼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관리의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관리 대상의 소프트웨어로서 OS(operating system)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 대상의 소프트웨어로 할 경우도 마찬가 지이다.
관리 대상의 소프트웨어(여기에서는 OS)는 그 일부분이 암호화된 형식의 것이며, 이 프로그램(OS)은 소프트웨어 배포용의 물리적인 미디어(CD나 DVD등)로부터 PC(10)에 공급되며, 또한 소프트웨어 배포용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PC(10)에 공급된다.
또한, 관리 대상의 소프트웨어는 PC(10)에 인스톨되면,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라이센스 관리용 서버로 유저 등록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10)에 인스톨된 소프트웨어는 암호키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를 장전하여 처음으로 실행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PC(10)와는 별도의 하드디스크(HDD)나 별도의 PC에 그 소프트웨어나 그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를 백업해 둘 수도 있다. 별도의 PC에 백업했을 경우에서도, 그 PC에 기억 미디어를 장전하지 않는 한 그 PC에서는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부정 사용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PC의 내부 구성 및 주위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PC(10)에는 CPU(31), 화상 표시용의 그래픽 회로(11), 메모리(12), 메모리 컨트롤용의 칩세트(13), 네트워크(141) 및 USB(142) 등의 I/O 컨트롤용의 칩세트(14), 하드디스크(15), CD/DVD(16)가 착탈 가능하게 장전되는 CD/DVD 드라이브(32) 및 기억 미디어(17)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디어 드라이브(1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복호화 모듈(19)이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복호화를 하드웨어로 행할 경우에 필요하게 되며, 복호화를 소프트웨어로 행할 경 우에는 불필요하다.
여기에서는 소프트웨어 배포용의 CD 또는 DVD(CD/DVD(16)으로 표기함)를 구입한 것으로 한다. 이 CD/DVD(16)에는 여기에서의 관리 대상으로 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일종인 OS(operating system)가 기억되어 있다. 이 OS는 각종 파일(161, 162, 163,…)로 구성되어 있고, 그들 중 1개의 파일(161)은 사용 허락서가 기록되어 있는 파일이다. 이 사용 허락서에는 그 사용 허락서를 표시하여 유저가 읽어도 뭔지 알 수 없으나, 그 사용 허락서에는 그 CD/DVD(16)에 기억된 OS에 고유한 사용 허락서 번호가 스테가노그라피(steganography)로 내장되어 있다. 또한, CD/DVD (16) 중 OS를 구성하는 각종 파일(161, 162, 163, …) 중 다른 1개의 파일(163)은 암호화된 형식의 것이다. 이 파일(163)은 이 OS의 기본을 이루는 소프트웨어이며, 이 파일(163)이 실행 가능한 것이, 이 OS 전체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 본질적인 것이다.
또한, 이 CD/DVD(16)를 구입하면, 거기에는 암호키 데이터(171)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17)가 같이 들어있다. 이 기억 미디어(17)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키 데이터(171)는, OS 중 암호화되어 있는 파일(163)의 복호(復號)에 사용되는 복호용 키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NIST(National Institute Standards and Techno1ogy)가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에서 선정한 공통키 암호 기술의 알고리즘인 Rijndael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CD/DVD(16)는 PC(10)에 장전되어 거기에 기억되어 있는 OS가 PC(10)에 업로드되어, 하드디스크(15)에 저장된다. 또한, 암호키 데이터(171)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17)는 PC(10)의 미디어 드라이브(18)에 장전된다.
또한, 이 PC(10)는 인터넷을 경유하여 라이센스 관리용 서버(310) 및 업데이트용 서버(320)에 접속되고, 하드디스크(15)에 저장된 OS를 첫회로 기동하려고 했을 때에, 사용 허락서의 파일(161)에 내장되어 있는 사용 허락 번호나, 그 첫회의 기동시에 유저가 입력한 유저 정보 등이 라이센스 관리용 서버(310)에 송신되어, 그 라이센스 관리용 서버(310)에 등록된다. 또한, 업데이트용 서버(320)는 그 OS에 대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라이센스 관리용 서버(310)에 등록되어 있는 각 유저의 PC로 송신하고, 각 유저의 PC에서는 OS의 업데이트가 행하여진다.
이 PC(10)에서 하드디스크(15)에 저장되어 있는 OS를 실행할 때는, 하드디스크(15)로부터 OS가 판독되고, 그 판독된 OS 중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파일에 대해서는 그대로 메모리(12) 상에 전개되고, 또한 암호화되어 있는 파일(163)에 대해서는 미디어 드라이브(18)에 의해 기억 미디어(17) 내의 암호키 데이터(171)가 판독되고 복호화되어, 메모리(12) 상에 전개되고 CPU(31)에서 실행된다.
도 4는 OS 실행시의 OS 전개 프로세스의 설명도이다.
하드디스크(15)에 저장되어 있는 OS의 각종 파일 중, 도 4에서 파선으로 둘러싼 처리를 실행하는 부분은 암호화되어 있지 않고, 하드디스크(15)로부터 우선 최초로 판독되어 OS의 로더(loader)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한, 그 OS를 구성하는 각종 파일 중 암호화된 파일에 대해서는, 하드디스크(15)로부터 그 파일이 판독되면 기억 미디어(17)로부터 복호화용의 암호키 데이터(171)도 판독되어, 그 복호화용의 키와 소프트웨어의 대응이 확인되고, 확인되면 그 키를 사용해서 복호 화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복호화처리는 복호화용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이 복호화처리가 행하여진 파일은 OS의 로더에 의해 메모리 상에 전개된다. 이렇게 하여 OS의 실행에 필요한 모든 파일이 메모리 상에 전개되면, OS의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라이센스 관리 대상의 OS를 사용하고 있는 PC(10)가 파손되어 그 OS를 신 PC에서 실행시키려고 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PC의 각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3에서 사용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그때까지 사용하고 있었던 구 PC(10)로부터 하드디스크(15)를 떼어내어 신 PC(20)에 설치하는 동시에, 구 PC(10)로부터 복호화용 암호키 데이터(171)가 저장된 기억 미디어(17)를 떼어내어, 이것도 신 PC(20)에 장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 PC(20)에서는 OS와 기억 미디어(17)가 갖추어지고, 신 PC(20)에서 그 OS의 실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구 PC(10)로부터 하드디스크(15)를 떼어내서 신 PC(20)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OS 자체는 얼마든지 복제하여도 상관이 없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배포용의 CD/DVD(16)(도 3 참조)로부터 신 PC(20)에 그 OS를 새롭게 로딩하고, 기억 미디어(17)만을 신 PC(20)에 장착해도 좋다.
도 6은 본 실시예에서의 OS의 인스톨시의 플로 차트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인스톨용 소프트웨어가 기동하고(스텝 S11), 그 PC의 하드웨어가 그 OS의 동작 환경으로서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스텝 S12). 인스톨용 소프트웨어가 기동되지 않았을 때 및 PC의 하드웨어가 그 0S의 동작 환경으로서 불충분했을 때는 이상 종료가 된다.
PC의 하드웨어의 확인이 행해진 뒤에 인스톨의 옵션 유무가 판정된다. 인스톨의 옵션은,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등의 인스톨 장소가 복수 존재할 경우나, 유저가 기능을 선택해서 인스톨하는 경우 등이다. 인스톨의 옵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인스톨의 환경 설정(인스톨하는 장소의 설정, 인스톨하는 기능의 선택 등)이 행해진 뒤(스텝 S14), 또는 인스톨의 옵션이 없을 때는 그대로 OS가 인스톨된다(스텝 S15). 그 후, 인스톨 중에 이상이 없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6).
도 7은 본 실시예에서의 OS 기동시의 플로 차트이다.
여기에서는, PC에의 전원 투입 등의 OS기동 조작이 이루어지면, 우선 이번이 이 OS의 첫회의 기동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스텝 S21), 첫회의 기동일 때는 유저 등록이 행하여진다(스텝 S22). 다음에, 현재 사용 기한 내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스텝 S23), 사용 기한 내일 때는 OS기동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24).
도 8은 도 7에 1개의 블록으로 나타내는 유저 등록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EULA(End User License Agreement)의 합의가 이루어진 것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31). 이 EULA는 표시 화면 상에 규약을 표시하고, 그 규약에 동의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것이다.
EULA 합의가 이루어지면, 등록용 소프트웨어가 기동하고(스텝 S32), 유저 등록이 행하여진다(스텝 S33). 이 유저 등록에서는 유저의 성명(명칭) 등이 입력되고, 그 성명(명칭)이나 사용 허락서의 파일에 스테가노그라피에 포함시켜 둔 사용 허락 번호 등이 라이센스 관리용 서버에 통지된다.
다음에, EULA파일에 「합의」가 기록되고(스텝 S34), 여기까지 정상적으로 종료했을 때는(스텝 S35) 기억 미디어(17)에 사용 기한이 등록된다.
도 9는 도 7에 1개의 블록으로 나타내는 OS기동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여기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하드디스크로부터 OS가 판독되어 메모리에 전개되는 기동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41). 기동 처리 중(스텝 S42), 하드디스크로부터 판독된 파일이 암호화된 파일인지의 여부가 조사되고, 암호화된 파일이었을 때는 기억 미디어의 존재가 조사되어(스텝 S44), 기한이 유효한지를 조사하고(스텝 S45), 기억 미디어 내에 복호화용의 키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스텝 S46), 그 키가 판독되어 복호화된다(스텝 S47).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파일일 때는(스텝 S43), 복호화의 처리는 경유하지 않고 OS의 기동 처리가 속행된다(스텝 S4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억 미디어 내에 복호화용의 키를 기억해 두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기억 미디어가 장전되지 않으면 소프트웨어(여기에서는 OS)가 실행되지 않아 부정사용이 방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PC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 2 실시예에서의 PC의 외관은 지금까지 설명해 온 실시예의 PC(도 1 참조)와 같으며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도 10에 관해서도,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도 3과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PC(10)에는, 기억 미디어(17)에 복호화용의 암호키 데이터(171) 외에 허가 지역 정보(172)가 기억되어 있다. 이 허가 지역 정보(172)는 이 OS의 실행이 허용되고 있는 지리상의 지역을 표시하는 정보(예를 들면, 일본 국내만 실행 가능 등)이다.
또한, 이 도 10에 나타내는 PC(10)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33)이 내장되어 있다. 이 GPS(33)는 인공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해서 지리상의 현재지를 아는 시스템이다.
이 도 10에 나타내는 PC(10)에서의 OS 인스톨시의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PC(10)에서의 OS 실행시의 OS전개 프로세스의 설명도이다. 이 도 11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도 4에서의 설명과의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도 11이 도 4와의 상이점은,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할 때, GPS로부터의 위치 정보와 기억 미디어(17) 내의 허가 지역 정보(172)를 대조시켜, GPS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PC의 소재 위치가 허가 지역 내에 있을 때에만, 암호키 데이터(171)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점이다. 다른 점에 대해서는 도 4와 동일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이 제 2 실시예에서의 OS기동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이 도 12의 플로 차트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도 9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 도 12의 플로 차트의 설명에서는 도 9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2의 플로 차트의 각 스텝 S51∼S56 및 S58은 도 9의 플로 차트의 각 스텝 S41∼S46 및 S47과 각각 동일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 12의 플로 차트가 도 9의 플로 차트와의 상이점은 스텝 S57이며, 여기에서는 PC의 소재 위치가 허가 지역 내인지의 여부인가 판정된다. PC의 소재 위치가 허가 지역 내인 경우에만 복호화가 행하여진다(스텝 S58).
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기억 미디어(17)에 복호화용의 키 외에 허가 지역 정보(172)를 기억시켜 두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기억 미디어(17)가 존재하지 않으면 OS가 실행되지 않아 부정 사용 방지가 도모됨과 동시에, 허가 지역에서 벗어나서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하게 된다.
도 13은 제 3 실시예의 PC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 3 실시예에 대해서도 PC의 외관 설명은 생략하고, 최초의 실시예에서의 도 3과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PC(10)에는 2장의 기억 미디어(17, 21)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2개의 미디어 드라이브(18, 2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한쪽의 미디어 드라이브(18)에는 복호화용의 암호키 데이터(171)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17)가 장착되고, 또 다른 한쪽의 미디어 드라이브(22)에는 장착된 기억 미디어(21)에 유저 등록 시에(도 7, 도 8 참조) 유저 정보가 기억된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OS 기동시에 다시 유저 정보(예를 들면, 유저 성명 혹은 유저 ID 등)가 입력되고, 그 입력된 유저 정보와 기억 미디어(21)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정보를 대조하여, 그들의 유저 정보가 일치했을 때에만, 기억 미디어 (17)에 기억된 암호키 데이터(171)를 사용하여 복호화가 행하여진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지금까지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암호키 데이터(171)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17)가 장전되어 있는 것이 OS실행의 조건이며, 라이센스를 초과한 부정 사용이 방지됨과 동시에, 또 한쪽의 기억 미디어(21)에 유저 정보를 기억해 두어, 유저 정보가 일치했을 때에만 OS가 실행되기 때문에, 그 기억 미디어(21)를 뽑아 두는 것 등에 의해 그 PC를 타인이 사용하여 OS를 실행시키는 것이 방지되어, 예를 들면 개인 정보의 도용 등도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태양에 대해서 부기한다.
(부기 1)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형식의 소프트웨어가 기억된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의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디어 장착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연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
(부기 2)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소프트웨어 실행의 허가 조건을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허가 조건에 일치한 조건 하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기재의 정보처리 장치.
(부기 3)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허가 조건으로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사용 허가 기한을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사용 허가 기한 내에 한하여,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 기재의 정보처리 장치.
(부기 4)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허가 조건으로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허가된 지역을 지정하는 허가 지역 정보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현재 위치가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허가 지역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허가된 지역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 기재의 정보처리 장치.
(부기 5)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가 기억된 제 1 기억 미디어와,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당한 이용자인 것을 표시하는 유저 정보가 기억된 제 2 기억 미디어의 양쪽이 동시에 장착 가능한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2개의 기억 미디어의 한쪽에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당한 이용자인 것을 나타내는 유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2개의 기억 미디어의 다른쪽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해서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기재의 정보처리 장치.
(부기 6)
기억 미디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디어 장착부를 구비한 정보처리 장치에서의 정보처리 방법으로서,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기억해 두는 동시에,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상기 소프트웨어의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를 장착해 두고,
상기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며,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부기 7)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소프트웨어 실행의 허가 조건을 기억한 기억 미디어를 장착해 두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복호화에 맞춰, 상기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허가 조건에 일치한 조건 하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 기재의 정보처리 방법.
(부기 8)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허가 조건으로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사용 허가 기한을 기억한 기억 미디어를 장착해 두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복호화에 맞춰, 상기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사용 허가 기한 내에 한하여,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기재의 정보처리 방법.
(부기 9)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허가 조건으로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허가된 지역을 지정하는 허가 지역 정보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를 장착해 두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복호화에 맞춰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소프트웨어가 검출된 현재 위치가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허가 지역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허가된 지역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기억 미디 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기재의 정보처리 방법.
(부기 10)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상기 키 데이터가 기억된 제 1 기억 미디어와,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당한 이용자인 것을 표시하는 유저 정보가 기억된 제 2 기억 미디어의 양쪽을 장착해 두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복호화에 맞춰, 상기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2개의 기억 미디어의 한쪽에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당한 이용자인 것을 표시하는 유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2개의 기억 미디어의 다른쪽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 기재의 정보처리 방법.
(부기 11)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정보처리 장치 내에서 실행되며,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형식의 소프트웨어가 기억된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의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디어 장착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연산부를 구비한 정보처리 장치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기 12)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소프트웨어 실행의 허가 조건을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가,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허가 조건에 일치한 조건 하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기재의 프로그램.
(부기 13)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허가 조건으로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사용 허가 기한을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사용 허가 기한 내에 한하여,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2 기재의 프로그램.
(부기 14)
상기 정보처리 장치가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허가 조건으로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허가된 지역을 지정하는 허가 지역 정보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현재 위치가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허가 지역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허가된 지역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2 기재의 프로그램.
(부기 15)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가 기억된 제 1 기억 미디어와,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당한 이용자인 것을 표시하는 유저 정보가 기억된 제 2 기억 미디어의 양쪽이 동시에 장착 가능한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2개의 기억 미디어의 한쪽에,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당한 이용자인 것을 표시하는 유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2개의 기억 미디어의 다른쪽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기재의 프로그램.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프트웨어의 부정 사용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범용성이 있는 기술이 구축된다.

Claims (10)

  1.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형식의 소프트웨어가 기억된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의 복호화(復號化)에 사용되는 키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디어 장착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연산부와,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정보처리 장치로서,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허가 조건으로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허가된 지역을 지정하는 허가 지역 정보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현재 위치가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허가 지역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허가된 지역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
  2. 삭제
  3.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형식의 소프트웨어가 기억된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의 복호화(復號化)에 사용되는 키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디어 장착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연산부를 구비한 정보처리 장치로서,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허가 조건으로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사용 허가 기한을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된 사용 허가 기한 내에 한하여, 상기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
  4. 삭제
  5.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형식의 소프트웨어가 기억된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의 복호화(復號化)에 사용되는 키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미디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디어 장착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기억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연산부를 구비한 정보처리 장치로서,
    상기 미디어 장착부는 상기 키 데이터가 기억된 제 1 기억 미디어와,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당한 이용자인 것을 표시하는 유저 정보가 기억된 제 2 기억 미디어의 양쪽이 동시에 장착 가능한 것이며,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미디어 장착부에 장착된 2개의 기억 미디어의 한쪽에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당한 이용자인 것을 표시하는 유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2개의 기억 미디어의 다른쪽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50111594A 2005-08-30 2005-11-22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90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49197 2005-08-30
JP2005249197A JP2007065850A (ja) 2005-08-30 2005-08-30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888A KR20070025888A (ko) 2007-03-08
KR100790508B1 true KR100790508B1 (ko) 2008-01-02

Family

ID=3780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594A KR100790508B1 (ko) 2005-08-30 2005-11-22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50643A1 (ko)
JP (1) JP2007065850A (ko)
KR (1) KR100790508B1 (ko)
CN (1) CN10040524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7442B2 (en) * 2006-09-21 2011-03-29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laxing media access restrictions over time
US7873170B2 (en) * 2007-03-08 2011-0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intaining keys removed from a keystore in an inactive key repository
US11190936B2 (en) 2007-09-27 2021-11-30 Clevx, Llc Wireless authentication system
TWI537732B (zh) * 2007-09-27 2016-06-11 克萊夫公司 加密之資料保全系統
US10181055B2 (en) 2007-09-27 2019-01-15 Clevx, Llc Data security system with encryption
US10783232B2 (en) 2007-09-27 2020-09-22 Clevx, Llc Management system for self-encrypting managed devices with embedded wireless user authentication
US10778417B2 (en) 2007-09-27 2020-09-15 Clevx, Llc Self-encrypting module with embedded wireless user authentication
US7913074B2 (en) * 2007-09-28 2011-03-22 Microsoft Corporation Securely launching encrypted operating systems
KR20110093468A (ko) * 2010-02-12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JP5706489B2 (ja) * 2013-08-29 2015-04-22 株式会社 エヌティーアイ 電子鍵システム
CN105337742B (zh) * 2015-11-18 2019-03-08 哈尔滨工业大学 基于人脸图像特征和gps信息的lfsr文件加密及解密方法
US11645384B2 (en) 2021-03-03 2023-05-0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electronic data obfuscation and protection using independent destructible data objec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423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잠금 장치 및 방법
JPH11249892A (ja) 1998-03-02 1999-09-17 System Needs Kk スマートカードによるソフトウェアライセンス管理
KR20020071274A (ko) * 2001-03-06 2002-09-12 한승조 Pc기반의 암호칩 및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유.에스.비보안보조기억장치
KR20030010240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텔사인 아이씨칩내장카드를 이용한 소프트웨어불법복제방지방법과그 소프트웨어 복제방지용 아이씨칩내장카드
KR20050032462A (ko) * 2003-12-30 2005-04-07 주식회사 롯데캐논 소프트웨어 복제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38427A (en) * 1984-12-18 1988-06-21 Jonathan Oseas Code protection using cryptography
NO302388B1 (no) * 1995-07-13 1998-02-23 Sigurd Sigbjoernsen Fremgangsmåte og anordning for å beskytte programvare mot bruk uten tillatelse
US6108420A (en) * 1997-04-10 2000-08-22 Channel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ed installation of uniquely customized, authenticable, and traceable software application
JP2001283320A (ja) * 2000-03-31 2001-10-12 Sony Corp 情報販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305593B2 (ja) * 2000-07-17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4736216B2 (ja) * 2000-07-17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入出力装置及び方法
CN1165049C (zh) * 2000-12-28 2004-09-01 日本胜利株式会社 内容记录装置、重放装置、传送方法及接收方法
US20030217271A1 (en) * 2002-05-15 2003-11-20 Sun Microsystems, Inc. Use of smart card technology in the protection of fixed storage entertainment asse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423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잠금 장치 및 방법
JPH11249892A (ja) 1998-03-02 1999-09-17 System Needs Kk スマートカードによるソフトウェアライセンス管理
KR20020071274A (ko) * 2001-03-06 2002-09-12 한승조 Pc기반의 암호칩 및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유.에스.비보안보조기억장치
KR20030010240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텔사인 아이씨칩내장카드를 이용한 소프트웨어불법복제방지방법과그 소프트웨어 복제방지용 아이씨칩내장카드
KR20050032462A (ko) * 2003-12-30 2005-04-07 주식회사 롯데캐논 소프트웨어 복제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4752A (zh) 2007-03-07
KR20070025888A (ko) 2007-03-08
JP2007065850A (ja) 2007-03-15
US20070050643A1 (en) 2007-03-01
CN100405249C (zh)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508B1 (ko)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116325B2 (ja) 情報処理装置、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KR101699998B1 (ko) 일시적 중요정보의 보안 저장
KR100359885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콘텐츠 보호 방법
JP3444227B2 (ja) ソフトウェアの不正使用防止方法
US20040225894A1 (en) Hardware base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including self activating/self authentication software
US20040107368A1 (en)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including self activating/self authentication software
US20040117664A1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connectivity platfor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04003993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documents in a digital appliance
EP2264639B1 (en) Securing executable code integrity using auto-derivative key
US20040117644A1 (en) Method for reducing unauthorized use of software/digital content including self-activating/self-authenticating software/digital content
US20040117628A1 (e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enhancing license compliance of software/digital content including self-activating/self-authenticating software/digital content
EP1596269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selective presentation of documents
US20040117631A1 (en)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including user/publisher connectivity interface
JP489030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保護方法
JP2004038247A (ja) ライセンス管理方法、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ライセンス管理プログラム
JP2009080772A (ja) ソフトウェア起動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起動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起動プログラム
JP2009059008A (ja)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JP2003223365A (ja) データ管理機構及びデータ管理機構を有する装置又はカード
JP2006146358A (ja) Usb周辺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usb周辺機器制御方法
JP2007140961A (ja) 不正にコピーされたファイルの使用防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66411B1 (ko) 디지털 장치의 소프트웨어 복제방지 방법 및 장치
JP2003295964A (ja) データ供給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供給方法
JP573048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50086528A1 (en) Method for hiding information on a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