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949B1 -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 - Google Patents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949B1
KR100789949B1 KR1020070000859A KR20070000859A KR100789949B1 KR 100789949 B1 KR100789949 B1 KR 100789949B1 KR 1020070000859 A KR1020070000859 A KR 1020070000859A KR 20070000859 A KR20070000859 A KR 20070000859A KR 100789949 B1 KR100789949 B1 KR 100789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door
safety plate
use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곤
이용봉
박규태
Original Assignee
김재곤
이용봉
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2161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8994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곤, 이용봉, 박규태 filed Critical 김재곤
Priority to KR102007000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 E04F17/12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92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safety means, e.g. for children trapped inside the refuse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 등에 설치되어 쓰레기 봉투를 자동으로 투입 집하 하는 쓰레기 투입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에 의하면, 투입구의 개방을 위해 도어가 회동시, 도어와 연결된 안전판이 투입구로부터 인출되고, 안전판이 지상과 근접되도록 낮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무거운 쓰레기봉투를 보다 쉽게 투입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면서, 아울러 사용자가 투입구를 통해 투입관으로 추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입관과 통하도록 연결되어 지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전면에 쓰레기봉투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지상과 근접하게 배치되어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투입구의 일 측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투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회동에 따라 투입구 하단에 수평으로 지지 되도록 배치되는 안전판과; 상기 안전판의 외주연 일측이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안전판이 상,하방향으로 자유 회동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개방을 위하여 도어를 회동시, 안전판이 투입구로부터 일부 인출되고, 투입구 폐쇄를 위하여 도어를 회동시, 안전판이 투입구로 수용되면서 회동하여 쓰레기봉투가 낙하 되는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가 제공된다.
쓰레기, 투입, 도어, 안전판, 회동

Description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Apparatus for Gathering Waste}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 투입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도 1a는 투입구가 폐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c는 도 1b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도 2a는 투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b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쓰레기 투입설비 12 : 맨홀박스
14,30 : 투입구 16 : 본체
18 : 투입관 20,28 : 도어
22 : 힌지축 32 : 안전판
34 : 투입구 하단 36,38 : 힌지부
40 : 힌지핀
본 발명은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투입구의 개방을 위해 도어가 회동시, 도어와 연동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판이 투입구로부터 인출되고, 안전판이 지상과 근접되도록 낮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무거운 쓰레기봉투를 보다 쉽게 투입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면서, 아울러 사용자가 투입구를 통해 투입관으로 추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개폐가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나, 집합건물 등에는 도 1a 및 도 1b 그리고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은 쓰레기 투입설비(10)가 설치된다.
상기 쓰레기 투입설비(10)에 대한 구체적 설명에 앞서 그 구성요소를 먼저 살펴보면, 우선 지하에 매립된 맨홀박스(12)와, 맨홀박스(12)로부터 지상으로 높이를 가지고 수직 인출되어 사용자가 쓰레기봉투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4) 형성시킨 본체(16)와, 상기 맨홀박스(12)에 수용되는 상태로 본체(16)의 하단에 연결되어 낙하 되는 쓰레기봉투를 집하 장소로 이송시키는 투입관(18)으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언급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본체(16)에 형성되는 투입구(14)에는 투입구(14)의 일 측과 결합 되는 도어(20)의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하여 도어(20)가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쓰레기 투입설비(10)를 사용하기 위해 도어(20)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어(20)는 상기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투입구(14)를 개방한다. 이 후 개방된 투입구(14)를 통해 쓰레기봉투를 투입시켜 쓰레기봉투가 본체(16)의 투입구(14)와 연결되는 투입관(18)으로 자유 낙하 되는 것으로 쓰레기 처리는 마무리 된다. 참고적으로 본체(16)로 투입된 쓰레기봉투는 공기이송방식에 의하여 투입관(18)을 따라 이동되어 집하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된 쓰레기 투입설비(10)의 경우, 투입구(14)가 본체(16)의 상부 즉, 지상으로부터 높이(D)를 가지고 높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쓰레기봉투를 투입시 투입구(14)를 통해 투입관(18)으로 낙하 되는 사고는 방지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쓰레기봉투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투입구(14)의 높이(D) 만큼 쓰레기봉투를 지상으로부터 들어 올려 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노약자이거나 쓰레기봉투가 무거운 경우, 사용자가 양손으로 쓰레기봉투를 잡고 투입구(14)의 위치까지 들어올리기가 힘들고, 그에 따라 쓰레기봉투를 투입할 수 없어 낭패를 보게 된다.
이런, 문제를 다소 해소하기 위해 투입구(14)가 지상과 근접되도록 낮게 배치하게 되면, 위와 같은 문제는 해소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쓰레기봉투를 투입구(14)로 직접 투입하는 과정에서 신체 일부가 투입구(14)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거나 혹은 사용자가 투입구(14)에 매우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쓰레기봉투의 투입 도중 무게 중심이 투입구(1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자칫 투입구(14) 안쪽으로 넘어지게 될 경우, 사용자는 투입관(18)으로 바로 추락하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도어와 연동하는 안전판이 투입구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안전판이 지면에 근접되도록 낮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무거운 쓰레기봉투를 쉽게 투입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투입관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관과 통하도록 연결되어 지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전면에 쓰레기봉투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지상과 근접하게 배치되어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투입구의 일 측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투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회동에 따라 투입구 하단에 수평으로 지지 되도록 배치되는 안전판과; 상기 안전판의 외주연 일측이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안전판이 상,하방향으로 자유 회동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개방을 위하여 도어를 회동시, 안전판이 투입구로부터 일부 인출되고, 투입구 폐쇄를 위하여 도어를 회동시, 안전판이 투입구로 수용되면서 회동하여 쓰레기봉투가 낙하 되는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가 도시되어 있으며,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도 1a 및 도 1b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투입설비(10)의 본체(16)에 투입구(30)가 형성되는데, 이때 투입구(30)가 지상으로부터 높이(d)를 낮게 하여 지상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투입구(30)에는 투입구(30)의 개방과 폐쇄를 위한 도어(28)가 종래와 같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28)의 내면에는 안전판(3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도어(28)의 회동에 의해 투입구(30)가 개방되면, 안전판(32)이 투입구 하단(34)에 수평으로 지지 되는 상태로 투입구(30)로부터 일부 인출된다. 아울러 상기 투입구(30)가 폐쇄되도록 도어(28)를 회동시키게 되면, 안전판(32)이 투입구(30) 내부로 수용되면서 투입관(18)을 개방하는 상태로 회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판(32)이 회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안전판(32)의 외주연 일측에 힌지부(36)가 형성되고, 이 힌지부(36)와 결합 될 수 있도록 도어(28)의 내면 하단에도 힌지부(38)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36,38) 간에 힌지핀(40)으로 결합 되는 구조에 의하여 안전판(32)이 힌지핀(40)을 중심으로 자유 회동 즉,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안전판(32)의 회동이 위와 같은 회동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위에서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일 예이며, 상기 안전판(32)이 도어(28)와 연동하면서 자유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그 어떤 구조 및 회동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투입설비(10)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도 2a에서와 같이 투입구(30)가 도어(28)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쓰레기봉투를 투입하기 위해 투입구(3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도어(28)를 회동시키게 되면, 도 2b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28)는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투입구(30)가 개방된다.
위와 같이 상기 도어(28)가 회동하게 될 때, 상기 도어(20)와 연동하도록 연결된 안전판(32)이 투입구(30)로부터 일부 인출되는데, 이때 안전판(32)이 투입구 하단(34)에 걸쳐진 상태로 지지 되므로 수평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상태에서 쓰레기봉투를 안전판(32)에 올려놓은 후, 도어(28)를 회동시켜 투입구(30)가 폐쇄되면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28)와 연동하는 안전판(32)은 수평 상태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안전판(32)이 투입구(30)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투입구 하단(34)로부터 더 안쪽으로 밀려들어 가게 되면, 상기 안전판(32)은 힌지핀(40)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 방향으로 하강 회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안전판(32)에 놓 인 쓰레기봉투가 투입관(18)으로 자유 낙하게 된다.
본 발명의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투입구(30)의 개방을 위해 도어(28)를 회동시, 그와 연동하는 안전판(32)이 투입구(30)로부터 일부 인출되면서, 아울러 안전판(32)의 높이(d)가 지상과 근접하도록 낮게 배치되는 구조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쓰레기봉투를 투입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높게 들어 올려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며, 특히 쓰레기봉투가 무거운 경우 투입에 대한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안전판(32)이 투입구(30)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와 투입구(30) 간에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쓰레기봉투를 투입구(30)로 직접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판(32)에 올려놓고 투입을 하기 때문에 신체 일부가 투입구(30)의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투입구(30)를 통해 투입관(18)으로 낙하되는 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쓰레기봉투를 투입 도중 투입구(30)방향으로 넘어지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상체가 안전판(32)으로 넘어지게 되는 구조이므로, 이 정도로는 투입관(18)으로 낙하 되지 않아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구의 개폐를 위한 도어를 회동시, 도어와 함께 연동하는 안전판이 투입구로부터 일부 인출되도록 하고, 안전판이 지면과 근접하도록 낮게 배치된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무거운 쓰레기를 보다 쉽게 투입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판이 투입구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와 투입구 간에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쓰레기봉투를 안전판에 올려놓고 투입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투입구를 통해 투입관으로 낙하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투입관과 통하도록 연결되어 지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전면에 쓰레기봉투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지상과 근접하게 배치되어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투입구의 일 측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투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회동에 따라 투입구 하단에 수평으로 지지 되도록 배치되는 안전판과;
    상기 안전판의 외주연 일측이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안전판이 상,하방향으로 자유 회동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개방을 위하여 도어를 회동시, 안전판이 투입구로부터 일부 인출되고, 투입구 폐쇄를 위하여 도어를 회동시, 안전판이 투입구로 수용되면서 회동하여 쓰레기봉투가 낙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
KR1020070000859A 2007-01-04 2007-01-04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 KR100789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859A KR100789949B1 (ko) 2007-01-04 2007-01-04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859A KR100789949B1 (ko) 2007-01-04 2007-01-04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167U Division KR200430243Y1 (ko) 2006-08-18 2006-08-18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949B1 true KR100789949B1 (ko) 2008-01-02

Family

ID=3921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859A KR100789949B1 (ko) 2007-01-04 2007-01-04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5860A (zh) * 2016-08-01 2018-02-09 郭吉平 一种可自动冲洗无异味溢出垃圾管道收集投入口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3303U (ko) * 1979-02-02 1980-08-09
KR870005236U (ko) * 1985-09-20 1987-04-22 김동식 쓰레기통
JPH01275304A (ja) * 1988-04-25 1989-11-06 Shimizu Corp 廃棄物収集装置の投入装置
JPH09202403A (ja) * 1996-01-26 1997-08-05 Nippon Eng Service:Kk ダストボックス用ゴミ袋保持具、ゴミ袋保持具用ゴミ袋ロールホルダーおよびダストボックス
JPH11193103A (ja) * 1998-01-05 1999-07-21 Fuji Electric Co Ltd 空き容器回収機
JP2003137403A (ja) * 2001-11-02 2003-05-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ごみシュータ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3303U (ko) * 1979-02-02 1980-08-09
KR870005236U (ko) * 1985-09-20 1987-04-22 김동식 쓰레기통
JPH01275304A (ja) * 1988-04-25 1989-11-06 Shimizu Corp 廃棄物収集装置の投入装置
JPH09202403A (ja) * 1996-01-26 1997-08-05 Nippon Eng Service:Kk ダストボックス用ゴミ袋保持具、ゴミ袋保持具用ゴミ袋ロールホルダーおよびダストボックス
JPH11193103A (ja) * 1998-01-05 1999-07-21 Fuji Electric Co Ltd 空き容器回収機
JP2003137403A (ja) * 2001-11-02 2003-05-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ごみシュー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5860A (zh) * 2016-08-01 2018-02-09 郭吉平 一种可自动冲洗无异味溢出垃圾管道收集投入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95168B (zh) 垂直垃圾压缩站的集装箱自动翻转及启闭装置
CN102320439A (zh) 地埋式垃圾收集装置
KR20170043490A (ko) 종량제 봉투용 쓰레기통
KR100789949B1 (ko)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
CN108462138A (zh) 一种电缆沟及其施工方法
KR200430243Y1 (ko) 투입이 용이한 쓰레기 투입설비
KR100834000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KR100900327B1 (ko) 맨홀 덮개 및 맨홀 덮개 개폐장치
KR100775126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CN206785140U (zh) 井盖密码锁
CN202226289U (zh) 地埋式垃圾收集装置
CN206557899U (zh) 无外置插板的公交投币机的内胆
KR101783606B1 (ko) 슬라임 제거를 위한 메커니컬 펌프
CN111969515A (zh) 一种通信管道防盗用缆线保护装置及保护方法
CN209651112U (zh) 一种地埋式垃圾收集站
CN209429171U (zh) 一种具有防盗报警功能的燃气井盖
CN210636463U (zh) 一种后配重翻盖井
KR200399332Y1 (ko) 쓰레기 투입설비
CN107086441A (zh) 开关柜上下门联锁装置
KR19980036879A (ko) 통신용 맨홀의 뚜껑 잠금장치
JPS5824594B2 (ja) 掘削機
CN110847243A (zh) 一种易开合的安全型市政井盖
KR100858209B1 (ko) 쓰레기 투입장치
KR101805751B1 (ko) 메커니컬 펌프의 흡입부 개폐 장치
CN211226256U (zh) 一种地下管线测量的井盖开启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