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645B1 - 디스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645B1
KR100788645B1 KR1020010030514A KR20010030514A KR100788645B1 KR 100788645 B1 KR100788645 B1 KR 100788645B1 KR 1020010030514 A KR1020010030514 A KR 1020010030514A KR 20010030514 A KR20010030514 A KR 20010030514A KR 100788645 B1 KR100788645 B1 KR 10078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opening
disc
contact portion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1651A (ko
Inventor
이용훈
최한국
임홍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645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46Reducing contamination, e.g. by dust, debri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디스크 카트리지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는 개구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개구홀을 개폐하는 셔터와, 디스크에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개구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고정부, 디스크의 정보기록면과 접촉되는 접촉부, 고정부와 접촉부를 연결하는 여유부와, 접촉부의 중앙에 마련되며 기록재생유닛이 디스크에 액세스 할 수 있는 개방구를 구비하는 이물질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셔터가 개방되면서 먼지가 직접 디스크 표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크 표면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에 의하여 디스크를 클리닝하는 효과가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A disk cartridge}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먼지 저감수단이 적용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먼지 저감수단이 적용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차단부재가 적용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본 디스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차단부재가 적용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디스크 카트리지 21...상 케이스
22...하 케이스 21a,22a...수용홀
21b,22b...개구홀 25,26...이물질차단부재
25a,26a...고정부 25b...접촉부
25c,26c...개구부 26'...제 2접촉부
26b...제 1접촉부 D...디스크
본 발명은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 내로 유입되는 먼지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카트리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D)를 수납하는 것으로, 디스크(D)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 하 케이스(11)(12)와, 디스크(D)를 지지하여 상기 상, 하 케이스(11)(12) 안에 삽입 결합되는 홀더(13) 및, 턴테이블과 클램퍼(미도시)가 디스크(D)의 클램핑영역(D1)을 상하 방에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홀(11a)(12a)과 상기 수용홀(11a)(12a)에 연결되어 형성된 것으로, 픽업(미도시)이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상, 하 케이스(11)(12)에 형성된 개구홀(11b)(12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13)에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로킹돌기(13a)및, 이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 누름부재(13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로킹돌기(13a)는 홀더(13)를 상, 하 케이스(11)(12)에 결합할 때, 상, 하 케이스(11)(12)에 형성된 로킹홈(11c)(12c)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되며, 홀더(13)를 상, 하 케이스(11)(12)로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누름부재(13b)를 누르면서 잡아당기면 상기 로킹돌기(13a)가 로킹홈(11c)(12c)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스크 카트리지(10)가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 로딩되면, 상기 셔터(14)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내에 설치되는 레버에 의하여 열리게 된다. 그 다음에 디스크(D)의 수용홀(11a)(12a)에는 턴테이블과 클램퍼가 상호 결합되어 디스크(D)를 클램핑하게 되고, 상기 개구홀(11b)(12b)에는 픽업이 접근하여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한다.
최근에는 디스크가 고 밀도 고 집적으로 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디스크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되었다. 즉, 기존의 동일크기에 고 밀도 고 집적이 되면서, 그 만큼 광스폿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작은 크기의 먼지라도 스폿을 막아 픽업에 의한 기록 또는 재생을 방해하는 장애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크에 먼지 등 이물질의 영향을 최소로 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도 2는 일본특허 특개평 2000-222852에 개시된 것으로, 디스크 카트리지의 케이스는 중앙부에 디스크 지지용 입벽(9d)이 마련되어 있고, 이를 중심으로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공기흐름 제어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공기흐름 제어부(40)에는 필터수단(41)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필터수단(41)은 디스크의 외주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집진시트(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디스크가 회전하면 디스크 카트리지 내부의 공기가 유동되어 디스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공기흐름 제어부(40)를 따라 디스크의 외주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집진시트(5)에 접착된다. 접착된 먼지 등은 필터수단(41)에 거치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로 방출된다.
하지만, 디스크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중 그 크기가 5 μm 이하인 경우에는 디스크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공기흐름 제어부(40)에 의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탈락되지 않고 디스크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기록 또는 재생의 장애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일본 특허 특개평 2000-200470에 개시된 것으로, 디스크 카트리지 내면에 디스크를 상하에서 덮을 수 있도록 라이너(56)(57)를 설치하여 디스크 면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라이너(56)(57)가 디스크의 회전시 정전현상 및 공기유동에 의하여 디스크 면에 닿아 디스크 표면의 먼지를 탈락시킨 후 라이너(56)(57)에 의해 흡착되어 먼지 등을 제거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먼지저감을 위하여 디스크 카트리지 내부에 먼지의 흐름을 유도하여 특정위치의 필터로 유도하거나, 라이너를 설치하여 디스크 표면의 먼지를 직접 제거하도록 하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셔터의 개구부 면적만큼은 먼지에 개방되게 된다.
그러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디스크 표면을 보호하는 최선의 방법은 셔터의 개구부를 최소화하는 것이나 이 경우는 광학헤드의 크기에 제한을 받게 되므로 실제는 대부분 셔터의 개구부를 최대화하고 있다.
광 헤드의 크기에 제한을 가하지 않기 위해서는 카트리지의 개구부의 크기를 최대한 확보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셔터가 열렸을 때에는 먼지에 더욱 취약해진다. 즉, 광 헤드에 의해 기록 또는 재생중일 때에는 셔터가 열리게 되며, 디스크 카트리지를 디스크 드라이브에 로딩된 후 광 헤드에 의해 기록 또는 재생을 하지 않을 때에도 셔터는 열린 채로 디스크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먼지에 노출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에 달라붙은 먼지 등 이물질은 셔터의 개폐 동작 시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개구부을 통해 디스크의 표면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셔터의 개방구 면적을 최대한으로 하여 광 헤드의 동작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실제로 개방되는 디스크의 면적은 최소화로 하기 위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디스크 카트리지는 개구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개구홀을 개폐하는 셔터와;
디스크에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디스크의 정보기록면과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고정부와 접촉부를 연결하는 여유부와,
상기 접촉부의 중앙에 마련되며 기록재생유닛이 상기 디스크에 액세스 할 수 있는 개방구를 구비하는 이물질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방구의 폭은 기록재생유닛의 대물렌즈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차단부재는 상기 개구홀 이외의 디스크 정보 기록면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 2접촉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는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접촉부는 상기 수용홀과 개구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2접촉부는 디스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디스크 정보 기록면을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차단부재는 상, 하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 선에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20)는 디스크(D)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것으로, 디스크(D)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 하 케이스(21)(22)와, 디스크(D)를 지지하여 상기 상, 하 케이스(21)(22) 안에 삽입 결합되는 홀더(23)와, 턴테이블과 클램퍼(미도시)가 디스크(D)의 클램핑영역(D2)을 상하 방에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홀(21a)과 상기 수용홀(21a)에 연결되어 형성된 것으로, 픽업(미도시)과 같은 기록재생유닛이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상, 하 케이스(21)(22)에 형성된 개구홀(21b)(22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24)와, 상기 개구홀(21b)(22b)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개구홀(21b)(22b)의 외부로 개방되는 면적을 줄여 디스크(D) 정보 기록면으로 먼지의 유입을 줄이기 위한 이물질차단부재(25)을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25)는 개구홀(21b)(22b)의 면적 중 기록재생유닛이 액세스 할 수 있는 면적만을 개방하고 나머지 면적은 폐쇄하여 디스크(D)의 외부로 노출면적을 최소로 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디스크 정보 기록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25)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물리적 성질을 이용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25)는 상기 개구홀(21b)(22b)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도록 고정부(25a)가 마련되어 있으며, 디스크(D) 정보 기록면에 접촉되는 접촉부(25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5a)와 접촉부(25c)는 여유부(25b)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25)의 폭(t2)은 개구홀(21b)(22b)의 폭(t1)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25b)의 중앙에는 픽업과 같은 기록재생유닛이 간섭받지 않고 디스크(D)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할 수 있도록 개방구(25c)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방구(25c)의 폭(t3)은 기록재생유닛의 액세스가 가능한 정도만 확보하면 된다. 예를 들어, 픽업의 경우는 대물렌즈의 직경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20)의 하 케이스(22)에 설치되는 접촉부(25g)는 상 케이스(21)에 설치되는 접촉부(25c)처럼 디스크 카트리지(20)가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 로딩될 때에는 디스크(D) 정보 기록면에 접촉하지 않을 수 도 있다.
하지만, 디스크(D)가 회전되면, 디스크(D)와 접촉부(25g)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에 의한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 접촉부(25g)를 경계로 압력차가 발생되므로 상기 접촉부(25g)는 압력이 낮은 디스크(D) 정보 기록면에 밀착되어 접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20)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 로딩 되면서, 상기 셔터(24)가 로딩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열리면서 상기 개구홀(21b)(22b)이 개방된다. 상기 개구홀(21b)(22b)에는 상기 이물질차단부재(2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방구(25d)(25h)의 면적에 해당하는 만큼의 디스크(D) 면적만이 외부에 노출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10)에서 개구홀(11b)(12b)에 해당하는 디스크(D)면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에 비하여 작은 면적이 개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디스크 표면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20)가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 로딩 되면, 디스크(D)는 턴테이블에 안착되어 스핀들 모터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D) 표면은 상기 접촉부(25c)(25g)에 접촉되면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디 스크(D) 표면과 접촉부(25c)(25g)사이에는 정전기력이 발생되면서 디스크(D)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가 접촉부(25c)(25g)에 달라붙어 디스크(D) 표면은 클리닝된다.
한편, 상기 셔터(24)가 개방되면서 셔터(24)위에 쌓여 있던 먼지가 상기 개구홀(21b)(22b)쪽으로 떨어지더라도 상기 개방구(25d)(25h)의 폭(t3)이 개구홀(21b)(22b)의 폭(t1)보다 작기 때문에 개방구(25d)(25h)의 가장자리 즉, 상기 접촉부(25c)(25g) 위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10)에 비하여 먼지가 디스크(D)표면에 직접 떨어지는 양이 적어지게 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25)은 제 1실시 예 에서는 디스크(D)의 양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서는 픽업과 같은 기록재생유닛이 액세스하는 쪽에만 설치될 수 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차단부재(26)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26)는 상기 개구홀(21b)에 설치되어 픽업과 같은 기록재생유닛이 액세스할 수 있도록 개방구(26d)가 마련되어 있으며,디스크 정보 기록면에 접촉되는 제 1접촉부(26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개구홀(21b)이외의 디스크(D) 정보 기록면을 덮을 수 있도록 디스크(D)의 직경보다는 크게 제 2접촉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2접촉부(26')는 상기 수용홀(21a)과 개구홀(21b)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 케이스(21)에 마련된 고정부(26a)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수용홀(21a)에는 디스크 클램핑영역(D2)이 위치하므로, 턴테이블과 클램퍼가 상호 접근하여 상기 디스크(D)를 클램핑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이물질차단부재(26)이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26)은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 케이스(22)에도 상 케이스(21)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차단부재(26)은 상기 제 1접촉부(26c) 이외에도 디스크(D) 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제 2접촉부(26')가 설치되므로, 디스크(D)가 회전되면 디스크(D)의 전체 표면에 접촉되어 이에 묻어 있는 먼지 등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한다. 또한, 셔터(24)가 개방되면서 셔터(24)위에 쌓여 있던 이물질은 제 1접촉부(26c) 위로 떨어지게 되어 디스크(D) 정보 기록면에 떨어지는 이물질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개구홀의 폭보다 작게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셔터가 개방되면서 직접 디스크 표면에 떨어지는 먼지등의 이물질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크 표면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에 의하여 디스크를 클리닝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 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개구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개구홀을 개폐하는 셔터와;
    디스크에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디스크의 정보기록면과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고정부와 접촉부를 연결하는 여유부와,
    상기 접촉부의 중앙에 마련되며 기록재생유닛이 상기 디스크에 액세스 할 수 있는 개방구를 구비하는 이물질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의 폭은 기록재생유닛의 대물렌즈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부재는 상기 개구홀 이외의 디스크 정보 기록면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 2접촉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접촉부는 상기 수용홀과 개구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접촉부는 디스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디스크 정보 기록면을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 1항 또는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부재는 상, 하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KR1020010030514A 2001-05-31 2001-05-31 디스크 카트리지 KR10078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514A KR100788645B1 (ko) 2001-05-31 2001-05-31 디스크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514A KR100788645B1 (ko) 2001-05-31 2001-05-31 디스크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651A KR20020091651A (ko) 2002-12-06
KR100788645B1 true KR100788645B1 (ko) 2007-12-26

Family

ID=2770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514A KR100788645B1 (ko) 2001-05-31 2001-05-31 디스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6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816A (ja) * 1991-09-20 1993-04-02 Kao Corp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
JPH0612811A (ja) * 1992-06-30 1994-01-21 Mitsubishi Kasei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1176129A (ja) * 1997-12-08 1999-07-02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085916A (ja) * 2001-09-14 2003-03-20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816A (ja) * 1991-09-20 1993-04-02 Kao Corp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
JPH0612811A (ja) * 1992-06-30 1994-01-21 Mitsubishi Kasei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1176129A (ja) * 1997-12-08 1999-07-02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085916A (ja) * 2001-09-14 2003-03-20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651A (ko) 200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916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7836463B2 (en) Optical disk drive comprising dust removing apparatus
JPH07320359A (ja)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20040007820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필터링 장치
KR100788645B1 (ko) 디스크 카트리지
KR100659740B1 (ko) 광디스크및디스크카트리지
KR100574977B1 (ko) 클램퍼 및 이를 적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KR100261474B1 (ko) 크기가 다른 광 자기 디스크 수납용 카트리지
JP410176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421005B1 (ko) 디스크 카트리지
KR100888588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6954937B2 (en) Disc guide device for disc player
KR100739668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클램핑장치
KR100813951B1 (ko) 디스크 카트리지
KR100823249B1 (ko) 디스크 카트리지
KR100503809B1 (ko) 디스크 드라이브
KR100442351B1 (ko) 디스크 호환가능형 기록재생장치용 디스크 카트리지
KR100278676B1 (ko) 광디스크드라이브
JP3848346B2 (ja) 光ピックアップ組立体及びこれを採用したディスクドライブ
KR100512575B1 (ko) 광디스크 및 디스크카트리지
JPH076431A (ja) クリーニングディスク
JP3027238U (ja) Md等の光ピックアップレンズ用シェル付きクリーナー
KR20050017710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개폐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20076761A (ko) 디스크 카트리지
KR20030032565A (ko) 디스크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