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413B1 -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413B1
KR100787413B1 KR1020050043974A KR20050043974A KR100787413B1 KR 100787413 B1 KR100787413 B1 KR 100787413B1 KR 1020050043974 A KR1020050043974 A KR 1020050043974A KR 20050043974 A KR20050043974 A KR 20050043974A KR 100787413 B1 KR100787413 B1 KR 100787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orn
porous
gelled body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042A (ko
Inventor
강장옥
Original Assignee
강장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장옥 filed Critical 강장옥
Priority to KR102005004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413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3Bur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방법은 7~10 중량%의 도토리분말, 3~ 4 중량%의 로커스트빈검, 0.5 중량%의 탄산칼륨과 잔량의 물로 조성된 조성물을 온수중탕가마에서 교반하며 65℃로 30분간 교질화하여 도토리분말 겔화체를 제조하는 단계; 30 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 40 중량%의 d-주석산수소칼륨, 25 중량%의 베이킹파우더와, 5 중량%의 사과산으로 조성된 발포제를 상기 온수중탕가마내에서 온도를 60~65℃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토리분말 겔화체에 대하여 1~5 중량%의 상기 조성의 발포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겔화체의 온도를 80℃까지 높여 겔화체의 발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포단계; 발포가 종료되어 연속기포형의 다공성 조직를 갖는 상기 겔화체를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0.5~2 mm 두께의 슬라이스형태로 절단하는 단계; 슬라이스형태의 겔화체를 동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미용제에 침지하여 겔화체의 다공성 조직내에 미용제가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마스크 팩, 도토리분말 겔화체, 미용제.

Description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METHOD FOR MAKING MASK PACK COMPRISING ACORN GEL OF POROUS TYPE}
도 1a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 팩을 보인 정면도.
도 1b는 마스크 팩의 겔화체 조직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마스크 팩의 사용상태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토리분말을 이용한 다공성의 겔화체에 실온에서 사용되는 미용제를 흡수시켜 제조되는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종래의 마스크 팩은 20여년 전부터 상품화된 것으로, 그 본체를 구성하는 겔화물은 주로 식품원료로 사용되는 젤리제조용 원료로 제조됨으로써 소위 젤리상 마스크 팩으로 불리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마스크 팩은 사용자의 눈, 코, 입 부분을 뚫어 놓아 시야를 가리지 않고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종래 마스크 팩의 본체를 구성하는 겔화체는 한천, 젤라틴, 구아검, 펙틴, 로가스트빈검 및 기타 고분자 점성제 등으로 구성된다. 미용을 위한 종래의 젤리상 마스크 팩의 제조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젤리상 미용마스크 팩의 제조과정은 문헌 또는 공개된 특허 등에서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겔화체와 미용제 조성물로서 과일 또는 동식물 추출물, 지방류 등을 혼합 교반하면서 가온온도 80~100℃의 범위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성형하고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제조과정은 종래 거의 모든 팩 종류들의 제조방법에 공통이며 그 한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62428호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제조방법은 미용제 조성물 중에서 일부의 조성이 가열단계에서 살아있는 생체기능을 모두 죽여서 제품화함으로써 이들이 지닌 효능을 무효케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생즙의 효능이란 생체 생물학적 생동성에 있으며 그 분자 생물이 자연과 살아서 호흡하며 특유한 효소 등의 여러 성분이 피부를 젊게 하는 것이고, 그러하기 때문에 화장료에 사용되는 식물 엑기스의 추출과정도 예를 들어 실온 또는 그 이하에서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에텔 등으로 오랜 시간을 공들여 추출하는 것이다. 특히 콜라겐은 실온에서 추출하여야만 하고 38℃가 넘으면 젤라틴으로 변성하며 그의 효과는 없어지는 것이다.
현재 가정 또는 시골 아낙네들도 오이, 당근, 계란 등으로 팩을 하면서 죽여서 사용하는 어리석은 일은 하지 않는데 반하여 오직 기업시판 상품에서만이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지 못한 채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이 제아무리 좋은 기능성 재료라 할지라도 그 결합 방법이 비과학적이고 생물학적 근거가 결여되었다면 피부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종래의 젤리상 미용마스크 팩으로서는 최상의 화장료를 요구하는 소비시장에 고급상품으로 내놓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도토리분말을 이용한 다공성의 겔화체에 실온에서 사용되는 미용제를 흡수시켜 제조되는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은 동식물 추출물, 즉 열에 의해 약효가 사실상 무효 또는 반감되는 물성을 갖는 미용제를 실온에서 다공성의 겔화체 조직내에 주입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의 천연보습인자의 유지기능을 다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가지 기능의 습윤제가 충분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이 7~10 중량%의 도토리분말, 3~ 4 중량%의 로커스트빈검, 0.5 중량%의 탄산칼륨과 잔량의 물로 조성된 조성물을 온수중탕가마에서 교반하며 65℃로 30분간 교질화하여 도토리분말 겔화체를 제조하는 단계; 30 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 40 중량%의 d-주석산수소칼륨, 25 중량%의 베이킹파우더와, 5 중량%의 사과산으로 조성된 발포제를 상기 온수중탕가마내에서 온도를 60~65℃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토리분말 겔화체에 대하여 1~5 중량%의 상기 조성의 발포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겔화체의 온도를 80℃까지 높여 겔화체의 발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포단계; 발포가 종료되어 연속기포형의 다공성 조직를 갖는 상기 겔화체를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0.5~2 mm 두께의 슬라이스형태로 절단하는 단계; 슬라이스형태의 겔화체를 동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미용제에 침지하여 겔화체의 다공성 조직내에 미용제가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미용제는 상기 겔화체에 대하여 0.5~2 중량%의 오렌지즙, 1~4 중량%의 오이즙, 1~2 중량%의 알로에즙, 0.3~1 중량%의 히아루론산, 0.2~1 중량%의 콜라겐으로 조성된다. 또한 도토리분말 겔화체를 얻는 단계가 상기 겔화체 조성에 대하여 0.5~2 중량%의 초산토코페롤, 1~3 중량%의 스크왈란, 2~5 중량%의 1,3-부틸렌글리콜로 조성되는 미용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마스크 팩(1)은 얼굴 전체를 한 장으로 덮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마스크 팩(1)은 코부위 절개홈(2), 화장시에 거울 등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눈부위 구멍공간(3), 코부위절개홈(2)과 함께 호흡에 필요한 입부위 구멍공간(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스크 팩(1)은 그 기재가 도토리분말 겔화체로 이루어지는 팩조성면(5)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미용제 조성물이 수용되는 미세홈조직구조(6)가 형성된다. 이러한 팩조성면(5)과 미세홈조직구조(6)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될 마스크 팩의 기재가 되는 도토리분말 겔화체는 그 주성분이 도토리분말이다. 이러한 도토리분말을 얻을 수 있는 도토리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도토리나무의 종류에 따라서 성분이 다소 차이는 있으나 어느 것이든 많은 량의 녹말과 탄닌성분을 가지고 있다. 즉 도토리는 탄닌 15~20%, 탄수화물 40%, 지방 5.4%, 단백질 2.8%, 섬유질 4.7%, 회분, 수분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등이 충분하여 따로 첨가가 필요 없을 정도이다. 도토리의 주성분인 녹말은 탁월한 겔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칼륨이온의 존재로 겔 강도는 더욱 증가할 수 있고 pH 8.5에서 가장 뛰어난 효능을 발휘하게 된다.
도토리의 탁월한 겔화성 외에 도토리가 지닌 성분의 미용효과는 다음과 같은 특수 효과로 증명되고 있는 현실이다. 즉, 도토리의 떫은 맛을 내는 탄닌산에는 아코닉산(도토리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에이콘산이라고도 하는 이 산의 작용은 인체의 노폐물을 흡작 정화는 물론 중금속, 우라늄과 같은 방사능 등의 인체 유해성 물질을 중화시키며, 지혈작용, 염증, 화상 등에도 효증이 있으며 모세혈관도 튼튼하게 한다. 그리고 도토리분 1kg은 폐수 4.5톤의 처리 능력도 있다는 것이 발표 된 바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도토리는 분말로서 사용되며 이를 겔화체로 조성하기 위하여 도토리분말에 보조겔강화제인 로커스트빈검과 칼륨이온형성 겔강화제인 탄산칼륨을 혼합하고 이와 같이 혼합된 분체를 물(정수)에 분산시킨 후 온수중탕가마에서 교반하며 가열하여 교질화함으로서 겔화체를 얻는다. 이후에 발포제를 투입하여 겔화체가 연속기포형의 다공성 조직을 갖도록 발포시킨 다음 슬라이스형태의 얇은 마스크 팩 기재를 얻고 이에 실온에서 미용제를 침지흡수시켜 마스크 팩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토리분말 겔화체의 조성
성분 비율
도토리분말 7~10 중량%
로커스트빈검 3~ 4 중량%
탄산칼륨 0.5 중량%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물(정수) 잔량
도토리분말 겔화체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즉, 상기 조성의 도토리분말, 로커스트빈검 및 탄산칼륨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혼합된 분체를 물(정수)에 분산시킨 후, 온수중탕가마에서 교반하며 65℃로 30분간 교질화하여 도토리분말 겔화체를 얻는다.
(2) 발포제의 조성
성분 비율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d-주석산수소칼륨 40 중량%
베이킹파우더 25 중량%
사과산 5 중량%
상기 온수중탕가마에서 교질화된 도토리분말 겔화체를 온수중탕가마내에서 온도를 60~65℃로 유지한 상태에서, 도토리분말 겔화체에 대하여 1~5 중량%의 상기 조성의 발포제를 온수중탕가마에서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겔화체의 온도를 80℃까지 높여 겔화체의 발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발포가 종료되면 냉각시킨다. 발포가 종료된 겔화체는 연속기포형의 다공성 조직를 갖는다. 이와 같이 연속기포형의 다공성 조직를 갖는 겔화체를 0.5~2 mm 두께의 슬라이스형태로 절단한다.
(3) 미용제와 미용제의 흡수처리
미용제로서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과일 또는 동식물 추출물, 지방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는 미용제중에서 가열하여도 물성기능에 영향이 없는 미용제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도토리분말 겔화체의 제조과정에서 첨가하고, 가열하면 물성기능이 저하되거나 물성자체가 변질되는 미용제는 발포가 종료되어 연속기포형의 다공성 조직을 갖는 겔화체에 흡수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의 경우, 도토리분말 갤화체의 제조과정에서 첨가될 수 있는 미용제로서는 초산토코페롤, 스크왈란, 1,3-부틸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겔화체 조성에서 초산토코페롤 0.5~2 중량%, 스크왈란 1~3 중량%, 그리고 1,3-부틸렌글리콜 2~5 중량%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오렌지즙, 오이즙, 알로에즙, 히아루론산, 콜라겐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가열하면 물성기능이 저하되거나 물성자체가 변질될 수 있으므로 발포가 종료되어 연속기포형의 다공성 조직을 갖는 겔화체에 흡수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어 이들 미용제는 연속기포형의 다공성 조직을 갖는 겔화체에 대하여 오렌지즙 0.5~2 중량%, 오이즙 1~4 중량%, 알로에즙 1~2 중량%, 히아루론산 0.3~1 중량%, 콜라겐 0.2~1 중량%의 비율로 흡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조성의 미용제에 대하여 실온에서 상기 슬라이스 형태의 겔화체를 2 시간 동안 침지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을 얻는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주된 효과는 그 다공질 조직 안에 있다. 피부천연보습인자의 보 역할을 하는 물성 중 특히 살아있는 식물 또는 과일 엑기스, 콜라겐, 바이오산물인 히아루론산 등이 생체 그대로의 특수 효능을 발휘하여 보다 알찬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실온에서 그러한 희귀성 기능제를 결합 주입 유지할 수 있는 다공질의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화학제품 겔화제는 그 자체의 성분이 미용과는 무관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도토리겔 마스크 팩은 도토리 자체가 노폐물정화, 혈행개선, 자극완화, 상처치유 등의 탁월한 미용 가치를 지닌 것이다.
삭제

Claims (4)

  1. 7~10 중량%의 도토리분말, 3~ 4 중량%의 로커스트빈검, 0.5 중량%의 탄산칼륨과 잔량의 물로 조성된 조성물을 온수중탕가마에서 교반하며 65℃로 30분간 교질화하여 도토리분말 겔화체를 제조하는 단계; 30 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 40 중량%의 d-주석산수소칼륨, 25 중량%의 베이킹파우더와, 5 중량%의 사과산으로 조성된 발포제를 상기 온수중탕가마내에서 온도를 60~65℃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토리분말 겔화체에 대하여 1~5 중량%의 상기 조성의 발포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겔화체의 온도를 80℃까지 높여 겔화체의 발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포단계; 발포가 종료되어 연속기포형의 다공성 조직를 갖는 상기 겔화체를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0.5~2 mm 두께의 슬라이스형태로 절단하는 단계; 슬라이스형태의 겔화체를 동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미용제에 침지하여 겔화체의 다공성 조직내에 미용제가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제가 상기 겔화체에 대하여 0.5~2 중량%의 오렌지즙, 1~4 중량%의 오이즙, 1~2 중량%의 알로에즙, 0.3~1 중량%의 히아루론산, 0.2~1 중량%의 콜라겐으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토리분말 겔화체를 얻는 단계가 상기 겔화체 조성에 대하여 0.5~2 중량%의 초산토코페롤, 1~3 중량%의 스크왈란, 2~5 중량%의 1,3-부틸렌글리콜로 조성되는 미용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20050043974A 2005-05-25 2005-05-25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0787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974A KR100787413B1 (ko) 2005-05-25 2005-05-25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974A KR100787413B1 (ko) 2005-05-25 2005-05-25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042A KR20060122042A (ko) 2006-11-30
KR100787413B1 true KR100787413B1 (ko) 2007-12-21

Family

ID=3770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974A KR100787413B1 (ko) 2005-05-25 2005-05-25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004A (ko) * 2014-11-11 2016-05-19 (주)뷰티화장품 기능성이 강화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160116283A (ko) 2015-03-25 2016-10-07 주식회사 에이엔아이 부착성이 향상된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8066466A1 (ja) * 2016-10-04 2019-08-08 隆 竹原 水素発生式フェイスシー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903A (ko) * 1995-01-03 1996-08-17 김진수 미용팩의 제조방법
US5720949A (en) 1996-05-06 1998-02-2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Foamable cosmetic mask pro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903A (ko) * 1995-01-03 1996-08-17 김진수 미용팩의 제조방법
US5720949A (en) 1996-05-06 1998-02-2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Foamable cosmetic mask produc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004A (ko) * 2014-11-11 2016-05-19 (주)뷰티화장품 기능성이 강화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678656B1 (ko) * 2014-11-11 2016-11-22 (주)뷰티화장품 기능성이 강화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160116283A (ko) 2015-03-25 2016-10-07 주식회사 에이엔아이 부착성이 향상된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042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415B1 (ko) 아토피 피부 개선을 위한 클린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093B1 (ko) 숯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137906A (zh) 一种植物精粹修护面膜精华液
KR101585635B1 (ko) 천연 거품입욕제 및 천연 거품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0955003B1 (ko) 해초 및 야생화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CN104546560A (zh) 一种含抗菌肽及表皮生长因子的干式膜及制备方法和应用
KR100787413B1 (ko) 다공성 도토리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20220000783A (ko) 고체 클렌저 조성물
CN107099401A (zh) 美肤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5963206A (zh) 一种霍山石斛面膜及其制备方法
CN102423289A (zh) 一种可完全吸收的美容膜
CN111743850A (zh) 一种可食用的海葡萄水凝胶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40130830A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세정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0358488C (zh) 皮肤活化美白水晶隐形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419028B1 (ko) 홍어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홍어 회
KR101178368B1 (ko) 캡사이신 함유 러버 마스크 분말조성물
KR20160110769A (ko) 겔 마스크팩 조성물
CN110101585A (zh) 一种3d网状交错眼膜及其制备方法
KR101932475B1 (ko) 스피루리나 및 홍조류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0951115B1 (ko) 해초 및 야생화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100830125B1 (ko) 황토비누 제조방법과 그 황토비누
CN109875911A (zh) 一种易吸收的无水纳米维生素c面霜及其制备方法
CN110157558A (zh) 一种沙棘皂及其制备方法
KR102342896B1 (ko) 천연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누 조성물 및 친환경 비누 제조방법
KR20120001872A (ko) 민감성 피부를 위한 온천수와 갈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