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201B1 - 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 of connector-hous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 of connector-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201B1
KR100787201B1 KR1020060105312A KR20060105312A KR100787201B1 KR 100787201 B1 KR100787201 B1 KR 100787201B1 KR 1020060105312 A KR1020060105312 A KR 1020060105312A KR 20060105312 A KR20060105312 A KR 20060105312A KR 100787201 B1 KR100787201 B1 KR 10078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terminal
connector housing
lev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민
정요승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2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2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2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 of a connector housing is provided to enable a worker to separate a terminal unit by operating a lever without a need of a separate terminal separation zig in a state when the terminal unit is joined to the connector housing,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An 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14) of a connector housing includes a base(20), a terminal unit(30), and a lever(40). The terminal unit is formed to be extended from the base. A front end of the terminal unit is inserted to the connector housing and is held on the lanc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The lever is rotatably connected to a side of the base around a rotating shaft(26) and elastically transforms the lanc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lever.

Description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 of connector-housing}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 of connector-housing}

도 1a는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과 이에 삽입되는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connector housing and the terminal inserted thereto.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탈거용 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Figure 1b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connector housing.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5d는 본 발명 실시예의 랜스검사장치를 이용하여 랜스의 작동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Figures 5a to 5d is an operational state showing the process of inspecting the operation of the lance using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베이스 22: 안착홈20: base 22: seating groove

24: 관통공 26: 회전축24: through hole 26: axis of rotation

30: 터미널부 32: 연결부30: terminal portion 32: connection portion

34: 간섭회피슬릿 36: 터미널형상부34: Interference avoidance slit 36: Terminal shape

37: 걸림단 40: 레버37: engaging end 40: lever

44: 관통공 45: 누름부44: through hole 45: pressing part

46: 랜스누름단 48: 지지홈46: Lance Press 48: Supporting Groove

50: 탄성부재50: elastic membe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랜스의 올바른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pection apparatus for confirming the correct operation of the lance form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커넥터는 회로기기의 상호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예를 들면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커넥터는 하우징과 이에 삽입되는 터미널로 구성된다.The connector is a connecting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circuit devices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 connector is installed inside the automobile together with various wirings to be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ity from a battery. Typically such a connector consists of a housing and a terminal inserted therein.

도 1a에는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과 이에 삽입되는 터미널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탈거용 장치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FIG. 1A illustrate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connector housing and a terminal inserted thereto, and FIG. 1B illustrates a side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이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에는 관통공(2)이 형성되어, 후술할 터미널(4)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관통공(2) 내부에는 랜스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터미널(4)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According to thi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are formed by the housing 1. A through hole 2 is formed in the housing 1, and a terminal 4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fixed.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 lance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2. The lance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the shape thereof, and serves to fix one side of the terminal 4.

상기 하우징(1)에는 터미널(4)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4)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상대커넥터의 터미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4)은 상기 관통공(2)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에 걸어져 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4)이 랜스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전진하여, 터미널(4)의 걸림단(4')이 랜스에 걸어짐으로써 하우징(1) 내에 고정된다. The terminal 4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 The terminal 4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is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The terminal 4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 to be fixed to the lance. More precisely, the terminal 4 advances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lance, so that the locking end 4 ′ of the terminal 4 is secured in the housing 1 by engaging the lance.

상기 터미널(4)에는 와이어(6)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6)는 상기 터미널(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커넥터를 다른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A wire 6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4. The wire 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4 and extends rearward, thereby serving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nector with another device.

이와 같이, 터미널(4)이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지 여부는 하우징(1)의 품질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특히, 상기 터미널(4)이 상기 랜스에 정확하게 걸리는지 여부는 별도의 검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4)을 관통공(2)을 통해 하우징(1) 내부에 삽입하여, 터미널(4)이 랜스에 걸어지는 지를 확인한 후에, 아래에서 설명할 터미널탈거장치(7)를 이용하여 터미널(4)을 분리하게 된다.As such, whether the terminal 4 is correctly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housing 1 is very important with regard to the quality of the housing 1. In particular, whether or not the terminal 4 is correctly caught in the lance is subjected to a separate inspection process. To this end, the operator inserts the terminal 4 into the housing 1 through the through hole 2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4 is hooked to the lance, and then the terminal stripping device 7 to be described below. To separate the terminal (4).

상기 터미널탈거장치(7)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8)와 이와 결합된 헤드부(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9)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랜스누름단(9')이 형성된다. 상기 랜스누름단(9')은 상기 랜스를 눌러 탄성변형 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단(4')이 랜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erminal stripping device 7 is composed of a handle portion 8 and a head portion 9 coupled thereto,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head portion 9 is formed with a lance pressing end 9 ′, the width of which is narrowed toward the tip. The lance pushing end 9 'is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lance, so that the locking end 4' can be separated from the lanc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커넥터하우징(1)의 랜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실제 터미널(4)을 하우징(1) 내부에 삽입한다. 즉, 상기 터미널(4)은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이를 지나침으로써, 랜스에 걸어지게 된다.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lance of the connector housing 1 operates normally, the actual terminal 4 is first inserted into the housing 1. In other words, the terminal 4 is hung on the lance by passing it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이때, 작업자는 랜스가 탄성변형된 후 다시 복원되는 소리를 통해서, 혹은 하우징(1)을 절개하여 육안확인을 통해, 랜스가 원하는 대로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탈거장치(7)를 이용하여 랜스를 눌러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4)을 당겨 분리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check whether the lance is formed as desired through the sound of the lance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n restored again, or by visually cutting the housing 1. Then, the operator pulls the terminal 4 in the state of elastically deforming by pressing the lance by using the terminal stripping device (7).

그러나, 이러한 확인작업을 위해서는 터미널(4)이 상기 하우징(1)에 삽입된 상태에서 터미널탈거장치(7)를 삽입하여 랜스를 변형시켜야 한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터미널(4)과는 별도로 터미널탈거장치(7)를 준비해야 하므로, 랜스의 정상작동여부 확인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for this checking operation, the lance is deformed by inserting the terminal stripping device 7 while the terminal 4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 In other words, the operator has to prepare the terminal stripping device 7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4,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troublesome to check the normal operation of the lance.

또한, 작업자는 터미널(4)의 분리를 위해, 상기 하우징(1)에 터미널(4)이 이미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탈거장치(7)를 삽입하여 랜스를 정확하게 눌러주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1) 내부는 매우 협소하여 작업자가 이를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or has to insert the terminal stripper 7 and press the lance correctly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4 is already inserted in the housing 1 for the separation of the terminal 4.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 is very narrow so that it is not easy for an operator to perform this.

마지막으로, 상기 터미널탈거장치(7)를 하우징(1)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랜스를 비롯한 하우징(1) 내부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상기 터미널탈거장치(7)의 헤드부(9)는 금속재질로 되어 있어,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1)에 비해 강도가 크기 때문에 헤드부(9)를 삽입하는 과정이나, 혹은 힘을 가하여 랜스를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하우징(1)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Finall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stripping device 7 into the housing 1, there is a risk of damag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 including the lance. Because the head portion 9 of the terminal stripping device 7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strength of the head portion 9 is greater than that of the housing 1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addition, damage to the housing 1 may occur in the process of deforming the l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되는 터미널형상과 이를 분리하기 위한 탈거장치가 결합된 커넥터하우징 랜스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connector housing lance inspection apparatus coupled to the terminal shap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removal device for separating 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탈거장치를 커넥터하우징에 삽입하여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는 과정에서 하우징 내부가 손상될 우려가 없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in which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not damaged in the process of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by inserting the terminal stripper into the connector hous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선단은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되는 터미널모양으로 형성되는 터미널부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된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base, the terminal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base Is rotatably connected about one side and the rotating shaft, it comprises a lever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through the rotation.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레버의 선단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간섭회피슬릿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되는 터미널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에는 상기 랜스에 걸어지도록 걸림단이 형성되는 터미널형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erminal por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ase,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erminal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with the interference avoiding sl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front end of the lever It is formed, and one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shape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engaging end is hooked to the lance.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눌려지는 누름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그 선단이 상기 걸림단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랜스누름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ever is a body portion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axis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enetrates, a pressing portion formed and pressed in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so as to face the locking end, It consists of a lance pusher that is narrower toward the tip.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레버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안착된다.A se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ever is formed in the base, and when the lever is rotated in the base direction, the sea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상기 안착홈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안착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에 탄성력이 작용한다.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and an elastic force acts on the lev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ating groove.

상기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랜스누름단에는 상기 랜스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홈이 요입되게 형성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the lance pressing end is formed such that a support groove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lance is recessed.

상기 누름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공까지의 길이(m)는 상기 랜스누름단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공까지의 길이(n)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length m from th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to the through hole is longer than the length n from the tip of the lance pressing end to the through hole.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베이스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터미널부가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terminal por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ase, and the terminal portion is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에 의하면, 터미널형상과 이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탈거장치가 결합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해지고, 레버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터미널형상이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지며, 이를 하우징 내부에 삽입하여 랜스를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하우징 내부가 손상될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terminal shape and the stripping device for separating it from the housing are combined,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and the terminal shape is easily removed from the housing by rotating the lever. It can be detach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fear of damage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 the process of deforming the lance by inserting it into the housin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사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을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milar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will be described first.

도 2에는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2 shows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connector housing in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nd in Fig. 3 the construc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and in Fig. 4 the construc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show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을 커넥터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일측은 개구되어 삽입공(12)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nnector housing 10 form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The connector housing 1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0 is opened to form an insertion hole 12. This inserts a terminal (not shown)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0.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에는 터미널이 일단 고정되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랜스(14)(lance)가,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랜스(14)는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지지하게 된다.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0, a lance 14 lance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when the terminal is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arbitrarily. The lance 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or housing 10 and has elasticity in terms of its material and shape. Such a lance 14 is supported by walking one side of the terminal.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랜스(1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고정된 기저부(15)와, 상기 기저부(15)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부(1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유단부(16)의 말단은 터미널의 일측에 잘 걸어질 수 있도록, 도면에서 보듯이 하방으로 직교하게 돌출되어 걸이단(16')이 형성된다. More precisely, the lance 14 comprises a base 15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10 and a free end 16 extending from the base 15. At this time, the end of the free end 16 is protruded orthogonally downward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end of the free end 16 is hooked 16 'is form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랜스검사장치의 골격은 베이스(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랜스검사장치의 기본 골격 및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후술할 터미널 부(30) 및 레버(40)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keleton of the lance inspection device is formed by the base 20. The base 20 forms the basic skeleton and appearance of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terminal unit 30 and the lever 40 to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thereto. The base 20 is preferably made of a suitable size for the worker to hold with one hand.

상기 베이스(20)에는 안착홈(22)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2)은 아래에서 설명할 레버(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레버(40)가 회동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된다. The mounting groove 22 is formed in the base 20 to be recessed. The seating groove 2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ever 40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lever 40 can be rotated to be seated.

상기 베이스(20)의 선단에는 연장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3)의 양측벽에는 관통공(2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4)은 상기 연장부(23)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4)은 도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2)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동축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An extension part 23 is formed at the tip of the base 20, and through holes 24 are formed at both side walls of the extension part 23. The through hole 24 is formed to penetr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23.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24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ut the seating groove 22, as shown in Figure 4, is formed through the coaxial.

상기 관통공(24)에은 후술할 레버(40)의 관통공(44)을 관통한 회전축(26)의 양단이 삽입된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4)은 양측 모두 개방될 수도 있으나, 일측은 막혀 후술할 회전축(26)이 한 방향에서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26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44 of the lever 4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4. Of course, as shown, the through hole 24 may be open to both sides, but one side may be block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26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only in one direction.

이때, 상기 연장부(23)의 폭이 좁게 연장되어, 그 일측에 상기 관통공(2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연장부(23)의 관통공(24)의 폭이 좁아지면 상기 회전축(26)의 길이 역시 짧아질 수 있어, 랜스검사장치의 조립이 용이하고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extension part 23 is narrowly extended so that the through hole 24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is is because, when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24 of the extension part 23 is narrowed, the length of the rotation shaft 26 may also be shortened, so that the assembly of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may be easy and the material cost may be reduced.

상기 베이스(20)에는 터미널부(30)가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부(30)는 일반적인 터미널에서 와이어바렐과 인슐레이션바렐부가 생략된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터미널부(30)는 실제로 커넥터하우징(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의 형상으 로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터미널부(30)는 상기 랜스(14)의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일종의 시험용 터미널 역할을 하게 된다.The base unit 30 is coupled to the base 20. The terminal portion 3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wire barrel and insulation barrel portion are omitted in a general terminal. That is, the terminal portion 30 is to be in the shape of the portion that is actual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 fixed. Through this, the terminal unit 30 serves as a kind of test terminal for checking whether the lance 14 is operating normally.

상기 터미널부(30)에는 상기 베이스(20)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2)에는 그 중앙에 후술할 레버(40)의 선단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간섭회피슬릿(34)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간섭회피슬릿(34)은 상기 안착홈(2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간섭회피슬릿(34)은 레버(40)의 회동시에 그 선단이 터미널부(3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The terminal portion 30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32 extending from the base 20. Interference avoidance slit 34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tip of the lever 4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enter thereof. More precisely, the interference avoiding slit 34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eating groove 22. The interference avoidance slit 34 is a portion for preventing the tip thereof from interfering with the terminal portion 30 when the lever 40 rotates.

상기 연결부(32)에는 터미널형상부(36)가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형상부(36)는 일반적인 터미널의 형상으로 만들어져, 커넥터하우징(1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형상부(36)는 상기 연결부(3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랜스(14)에 걸어지도록 걸림단(37)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터미널형상부(36)가 상기 랜스(14)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전진하여, 랜스(14)가 복원된 후에는 상기 걸이단(16')에 걸어져 고정되는 것이다. The terminal portion 3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2. The terminal portion 36 is formed in a general termin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 The terminal portion 36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2, th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37 is formed to be hooked to the lance (14). In other words, the terminal portion 36 moves forward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14, and is fixed to the hook end 16 'after the lance 14 is restored.

이때, 상기 터미널부(30)는 상기 베이스(20)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32)는 상기 베이스(20)의 선단과 결합 혹은 분리가 가능하여, 상기 터미널부(30)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부(32)의 말단이 상기 연장부(23)의 선단과 서로 형합되어 체결구(미도시) 등을 통해 고정된다. 작업자는 터미널부(30)의 교체를 통해, 커넥터하우징(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터미널형상을 시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터미널부(30)는 상기 베 이스(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portion 3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base (20). 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32 can be combin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front end of the base 20, so that the terminal portion 30 can be replaced. More precisely, the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32 are engaged with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23 and fixed through a fastener (not shown). By replacing the terminal unit 30, the operator can test various terminal shap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nector housing 10. Of course, the terminal portion 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20.

상기 베이스(20)에는 레버(40)가 결합된다. 상기 레버(40)는 상기 터미널부(30)가 랜스(14)에 걸어진 상태에서, 랜스(14)를 탄성변형시켜 터미널부(3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회동을 통해 상기 랜스(14)를 상방으로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랜스(14)의 걸이단(16')이 상기 걸림단(37)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40)는 상기 안착홈(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The lever 40 is coupled to the base 20. The lever 40 allows the terminal portion 30 to be easily separated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14 while the terminal portion 30 is engaged with the lance 14. That is,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14 upward through the rotation, the hook end 16 'of the lance 14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end 37. The lever 40 is ma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22.

상기 레버(40)의 외관 및 골격은 대략 바형상의 몸체부(42)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42)에는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관통공(4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4)은 상기 베이스(20)에 형성된 관통공(24)과 대응되는 부분이다. 상기 두 관통공(24,44)을 가로질러 회전축(26)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레버(40)가 베이스(2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된다.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lever 40 are formed of a substantially bar-shaped body portion 42. The through-hole 44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42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hrough hole 44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4 formed in the base 20. The rotation shaft 26 is coupled across the two through holes 24 and 44, so that the lever 40 can rotate relative to the base 20.

이때, 상기 관통공(44)은 몸체부(42)의 중심으로부터 후술할 랜스누름단(46) 측에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누름단(46)의 선단으로부터 관통공(44)까지의 길이(n)보다 상기 관통공(44)으로부터 후술할 누름부(45)의 말단까지의 길이(m)가 길게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랜스누름단(46)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되어 작업이 보다 용이해지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44 is preferably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lance pressing end 46 side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42.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4, the length from the tip of the lance pressing end 46 to the end of the pressing part 45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length n from the through hole 44. The length m is formed long.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lift the lance push end 46 upward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so that the operation becomes easier.

상기 몸체부(42)의 일단에는 누름부(45)가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누름부(45)는 상기 터미널부(30)의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45)는 작업자가 이를 누르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부(42)에 비해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One end of the body portion 42 has a pressing portion 45 is formed. More precisely, the pressing part 45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part 30. The pressing portion 45 is formed to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body portion 42 to facilitate the operator to press it.

상기 몸체부(42)의 타단에는 랜스누름단(46)이 형성된다. 상기 랜스누름단(46)은 상기 랜스(14)와 직접 접하여 이를 탄성변형시키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랜스누름단(46)은 그 선단이 상기 걸림단(37)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단(37)이 상기 랜스(14)의 걸이단(16')에 걸어지면 랜스누름단(46)의 상면에 상기 걸이단(16')이 위치하도록 된다.(도 5b참조)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42 is formed with a lance pressing end 46. The lance pressing end 46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ance 14 to elastically deform it. To this end, the lance pressing end 46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locking end 37, the lance pressing end when the locking end 37 is hooked to the hook end (16 ') of the lance 14 The hook end 16 'i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46 (see Fig. 5B).

또한, 상기 랜스(14)를 용이하게 탄성변형시킬수 있도록 그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랜스누름단(46)이 형성된다. 상기 랜스누름단(46)은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기 걸이단(16')의 하방에 위치하여,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방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걸이단(16')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lance 14 is narrowed toward the distal end so that the lance 14 can be easily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lance press end 46 is formed. The lance press end 46 is located below the hanger end 16 'when viewed in the center of the drawing, and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26 to move upward, thereby moving the hanger end 16'. It serves to move upward.

상기 랜스누름단(46)에는 지지홈(48)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48)은 상기 랜스(14)의 기저부(15) 일측을 지지하여 랜스(14)의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지지홈(48)은 상기 랜스누름단(46)의 상면에 형성되어, 기저부(15) 일측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레버(40)의 회동과정에서 랜스(14)가 랜스누름단(46)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lance pressing end 46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 groove 48 is recessed. The support groove 48 supports a side of the base 15 of the lance 14 to facilitat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14. That is, the support groove 4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nce pressing end 46, so that one side of the base 15 is seated, so that the lance 14 in the rotation process of the lever 40, the lance pressing end 4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iation from).

이때, 상기 안착홈(22)에는 탄성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안착홈(22)과 상기 몸체부(42) 사이에 구비되어, 안착홈(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42)에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관통공(44)을 중심으로 누름부(45) 방향으로 치우쳐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seating groove 22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50). The elastic member 50 is provided between the seating groove 22 and the body portion 42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ody portion 4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ating groove 22. More precisely, the elastic member 50 is provided to be biased toward the pressing portion 45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44.

이를 통해, 작업자는 랜스검사장치를 커넥터하우징(10)에 삽입하기 전에 미리 누름부(45)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탄성부재(50)로 인해 상기 누름부(45)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이고, 그에 따라 상기 랜스누름단(46)은 상기 간섭회피슬릿(34)을 통해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랜스검사장치는 용이하게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50)는 원통코일스프링으로 된다. In this way,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lift the pressing portion 45 before inserting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 This is because the pressing portion 45 is lifted upward due to the elastic member 50, and thus the lance pressing end 46 is lowered downward through the interference avoidance slit 34. . Therefore,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 Preferably, the elastic member 50 is a cylindrical coil sprin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 랜스검사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lanc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도 5a 내지 도 5d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를 이용하여 랜스의 작동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커넥터하우징은 내부구성을 표현하기 위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5A to 5D show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inspecting whether the lance is operated by using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connector housing is shown in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o represent the internal configuration.

먼저, 랜스검사장치의 터미널부(30)를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터미널형상부(36)의 선단이 상기 삽입공(12)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터미널부(30)를 커넥터하우징(10) 내부에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레버(40)는 랜스누름단(46)이 눌리지 않은 상태, 다시 말해 랜스누름단(46)이 상기 간섭회피슬릿(34)을 통해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이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몸체부(42)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First, a process of coupling the terminal portion 30 of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5A, first, the terminal portion 30 is push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 with the tip end of the terminal portion 36 facing the insertion hole 12. At this time, the lever 40 is a state in which the lance pressing end 46 is not pressed,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lance pressing end 46 is lowered downward through the interference avoiding slit 34. This is naturally because the elastic member 5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body portion 42.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형상부(36)를 커넥터하우징(10) 내부로 계속 밀어넣으면, 상기 랜스(14)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랜스(1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터미널형상부(36)를 계속 밀어넣게 되면, 상기 터미널형상부(36)가 상기 랜스(14)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걸이단(16')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In this state, if the terminal portion 36 is continuously push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 the terminal lance 3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ance 14. At this time, if the terminal-shaped portion 36 is continuously pushed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lance 14, the terminal-shaped portion 36 elastically deforms the lance 14 to open the hook end 16 '. It is pushed upwards.

그리고, 상기 터미널형상부(36)를 더욱 밀어넣으면, 상기 터미널형상부(36)는 랜스(14)를 지나쳐, 상기 걸림단(37)과 상기 걸이단(16')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랜스(14)는 탄성변형을 통해 원형대로 복원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랜스누름단(46)은 상기 걸이단(16')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랜스(14)의 기저부(15)의 하단은 상기 지지홈(48)에 안착되어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Further, when the terminal portion 36 is further pushed in, the terminal portion 36 passes through the lance 14 so that the locking end 37 and the hook end 16 'face each other. In this case, the lance 14 is restored in a circular shape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At the same time, the lance pressing end 46 is positioned below the hook end 16 ', and the lower end of the base 15 of the lance 14 is fixed to the support groove 48 to be stably fixed. . This is shown in Figure 5b.

이때, 작업자는 상기 랜스(14)가 원상태로 복원될 때 탄성변형되는 소리를 듣게 된다. 즉, 상기 걸이단(16')이 상기 랜스누름단(46)과 부딪히는 소리를 통해, 작업자는 터미널형상부(36)가 랜스(14)에 의해 정상적으로 걸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상기 랜스(14)가 잘못 설계되거나, 원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터미널형상부(36)가 정상적으로 랜스(14)에 걸어질 수 없으므로, 이를 통해 작업자는 커넥터하우징(10)의 품질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operator hears the elastic deformation sound when the lance 14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at is, through the sound that the hook end 16 'hits the lance pressing end 46, the operator can check whether the terminal-shaped portion 36 is normally walked by the lance 14. If the lance 14 is incorrectly designed or made in a desired shape, the terminal 36 may not normally be hung on the lance 14, and thus, the operator may have the quality of the connector housing 10. Will be able to judge.

다음으로, 상기 랜스검사장치를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누름부(45)를 안착홈(22) 방향으로 눌러, 레버(40)를 회동시킨다. 즉,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누름부(45)를,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하방으로 눌러, 상기 몸체부(42)가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레버(4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한다. Next, a process of separating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from the connector housing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5C, the pressing portion 45 is pushed toward the seating groove 22 to rotate the lever 40. That is, while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45 while looking around the drawing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 the body portion 42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26 to rotate the lever 40. ) Is lifted upwards.

이렇게 되면, 상기 걸이단(16')을 하방에서 받치고 있던 상기 랜스누름단(46)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걸이단(16') 역시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랜스(14)는 터미널형상부(36)에 의해 탄성변형되었던 것처럼 변형되어, 상기 걸림단(37)이 상기 걸이단(16')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In this case, the lance presser end 46 which supported the hanger end 16 'from below moves upwards, and the hanger end 16' is also lifted upwards. In this case, the lance 14 is deformed as if it wa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terminal portion 36, so that the locking end 37 is displaced from the hook end 16 '.

다음으로, 도 5d에서와 같이, 상기 랜스검사장치를 삽입하였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랜스검사장치를 커넥터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형상부(36)가 랜스(14)에 의해 걸어진 상태가 아니므로, 작업자는 랜스검사장치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5D,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10 by pull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is inserted. At this time, since the terminal portion 36 is not in a state of being hooked by the lance 14, the operator can easily pull out the lance inspection device.

만약, 다른 형상이나 크기의 커넥터하우징(10)을 검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터미널부(30)를 상기 베이스(20)로부터 분리하여 원하는 터미널부(30)로 교체한 후에, 상기와 같은 작업을 통해 랜스(14)를 검사할 수 있다.  If you want to inspect the connector housing 10 of a different shape or size, after separating the terminal portion 30 from the base 20 to replace the desired terminal portion 30,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lance 14 can be inspected through.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어, 상기 랜스(14)가 본 실시예와 다른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랜스검사장치 역시 이에 대응되는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레버(40)의 회동방향이 반대로 되어 랜스(14)를 하방으로 누를 수 있도록 될 수 있고, 상기 터미널형상부(36) 역시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ance 14 is formed in a shape and size different from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may also be made in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hereto. In particular,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lever 40 is reversed to be able to press the lance 14 downward, the terminal portion 36 may also be made in various sizes and shapes.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는 터미널부와 레버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터미널부를 커넥터하우징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터미널탈거용지그를 준비할 필요없이, 레버를 조작하여 터미널부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랜스검사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portion and a lever.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separate the terminal portion by operating the lever without having to prepare a separate terminal stripping jig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is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누름부를 눌러 레버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터미널부를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터미널탈거장치를 하우징 내부에 삽입하여 랜스를 정확하게 눌러야하는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랜스의 검사작업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ortion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by simpl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to rotate the lever. In particular, since the terminal stripp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the lance accurately, so that the inspection work of the lance can be facilitate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터미널탈거장치를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터미널탈거장치를 협소한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하여 랜스를 누르는 과정에서 하우징의 내부, 특히 랜스가 손상될 염려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insert a separate terminal stripping device into the hous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coupl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damage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particular the lance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lance by inserting the terminal stripping device into the narrow housing.

Claims (8)

베이스와;A base;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선단은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된 랜스에 걸어지도록 터미널모양으로 형성된 터미널부와;A terminal portion formed extending from the base and having a tip end thereof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and hooked to a lanc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상기 베이스의 일측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는 레버;A le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and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to elastically deform the lance through rota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is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unit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레버의 선단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간섭회피슬릿이 형성된 연결부와;A connection part extending from the base and having an interference avoiding slit formed in a center thereof at a center thereof to correspond to a tip of the lever; 상기 연결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되는 터미널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에는 상기 랜스에 걸어지도록 걸림단이 형성되는 터미널형상부;A terminal shape which extends from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 terminal shap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and one end of which is formed to be hooked to the lance;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ver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몸체부와;A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enetrat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눌려지는 누름부와;A press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pressed;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그 선단이 상기 걸림단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랜스누름단;A lance pressing en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face the locking end and having a width narrower toward the end;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onnector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레버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4.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a se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ever is formed in the base, and the lever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when the lever is rotated in the base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안착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에 탄성력이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5.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and an elastic force acts on the lev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ating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랜스누름단에는 상기 랜스의 일측이 안착되는 지지홈이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 는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6.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ance pressing end is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in which one side of the lance is recessed so as to easily elastically deform the lan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공까지의 길이(m)는 상기 랜스누름단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공까지의 길이(n)보다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 7.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length (m) from th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to the through hole is longer than the length (n) from the tip of the lance pressing end to the through hole.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베이스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터미널부가 교체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의 랜스검사장치. 8. The lanc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terminal por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ase, and the terminal portion is replaceable.
KR1020060105312A 2006-10-27 2006-10-27 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 of connector-housing KR1007872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312A KR100787201B1 (en) 2006-10-27 2006-10-27 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 of connector-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312A KR100787201B1 (en) 2006-10-27 2006-10-27 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 of connector-hou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201B1 true KR100787201B1 (en) 2007-12-21

Family

ID=3914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312A KR100787201B1 (en) 2006-10-27 2006-10-27 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 of connector-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20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348A (en) 1996-06-25 1998-01-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Inspecting jig of connector
JPH10319081A (en) 1997-05-20 199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Inspecting part for connector inspecting device
JP2001194408A (en) 2000-01-11 2001-07-19 Yazaki Corp Lance displacement detecting pin for connector continuity inspecting instrument and contact structure for connector to lance
JP2005317325A (en) 2004-04-28 2005-11-10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348A (en) 1996-06-25 1998-01-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Inspecting jig of connector
JPH10319081A (en) 1997-05-20 199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Inspecting part for connector inspecting device
JP2001194408A (en) 2000-01-11 2001-07-19 Yazaki Corp Lance displacement detecting pin for connector continuity inspecting instrument and contact structure for connector to lance
JP2005317325A (en) 2004-04-28 2005-11-10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1461B2 (en) Wire harness continuity tester
KR102070289B1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CN110470866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 insertion and retention testing
CN101446597B (en) Conductivity test jig, conductivity test apparatus having conductivity test jig, and a method of testing conductivity
JPH11295376A (en) Connector inspecting instrument
KR100787201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a lance of connector-housing
TWI457576B (en) Substrate inspection jig, jig base unit and substrate inspection apparatus
JP2868394B2 (en) Connector terminal inspection tool
JP2005300409A (en) Inspection unit
US1082620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9803769B2 (en) Solenoid fixing structure
JP2006261011A (en) Connector
JP2006308464A (en) Conduction tester of wire harness
US20030092300A1 (en)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ircuit board connector to an external device
KR200153742Y1 (en) Testing apparatus for connector.
JP2874493B2 (en) Connector inspection device
KR20160074177A (en) The distincting device for connecter
JP3257341B2 (en) Wire harness continuity tester
KR200430964Y1 (en) Device for connetor testing
KR200192613Y1 (en) Connecting pin frame for connector inspecting device
JP2008108630A (en) Clench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of connector
KR101273954B1 (en) Clip ommition detection jig for cable of vehicle
KR101866410B1 (en) Pin terminal inserted and fixed test jig
JP2001110540A (en) Continuity test jig for lever fit-in connector
JPH041944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