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998B1 -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이용한 방청몰탈과 이들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이용한 방청몰탈과 이들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998B1
KR100786998B1 KR20070071305A KR20070071305A KR100786998B1 KR 100786998 B1 KR100786998 B1 KR 100786998B1 KR 20070071305 A KR20070071305 A KR 20070071305A KR 20070071305 A KR20070071305 A KR 20070071305A KR 100786998 B1 KR100786998 B1 KR 10078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rtar
agent
concrete structure
cor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7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석
양영기
최용석
Original Assignee
매일종합건설(주)
주식회사 엠텍
씨카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일종합건설(주), 주식회사 엠텍, 씨카코리아(주) filed Critical 매일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2007007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1Corrosion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6Corrosion of reinforcement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C04B2111/723Repairing reinforced 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미노알코올의 함량을 높이고, 인산의 양을 줄이며, 첨가제를 부가하는 배합을 통하여 구조물에 침투하여 철근에 직접적인 피막을 형성하며, 경화된 콘크리트에서 아미노알코올의 침투성능이 증진됨과 동시에 알칼리 환경에서도 공극으로의 침투성능이 개선된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 이용한 방청몰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 상태가 콘크리트구조물의 중성화 혹은 염해에 의한 침투 깊이가 수mm까지인 잠복기, 철근까지인 진전기, 철근부식진행인 가속기 및 철근 단면 결손인 열화기로 진행되거나 또는 산의 작용이나 화재 등 다양한 화학적, 물리적, 기계적 원인에 의하여 구조체의 표면 또는/그리고 내부가 손상된 콘크리트구조물이 노후 및 훼손된 상태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표면피복제, 단면복구제 및 철근방청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의 중성화 진행을 차단하고, 철근부식의 진행을 중단시키며, 취약부를 보강하도록 한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는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를 이용한 방청몰탈은 시멘트 30∼45 중량%, 골재 40∼50 중량%, 팽창제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1∼5 중량%, 유동화제 0.1∼3 중량%, 소포제 0.1∼5 중량%, 증점제 0.01∼0.1 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e)분말수지 1∼10 중량%, 실리카흄 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몰탈조성물 95∼99.89중량%에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지는 방청제 0.1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은 구조물의 열화 원인과 정도에 따라 보수 및 보강대상의 열화된 콘크리트구조물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치핑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 부식부분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철근부식 제거단계; 철근부식이 제거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몰탈을 도포하여 단면을 복구하는 몰탈 단면복구단계; 단면 복구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제를 도포하여 방청피복하는 단계; 방청 피복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보호 및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철골,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 방청제, 방청몰탈

Description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 이용한 방청몰탈과 이들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Structure repair where the anti-rust mortar which used a steel fram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epair, anti-rust for reinforcement and this used these and means of reinforcement work}
본 발명은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 이용한 방청몰탈와 이들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 상태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사용하여 철골 및 콘크리트구조물을 보수 및 보강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 이용한 방청몰탈와 이들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청제, 방청몰탈 및 이들을 이용한 보수공법은 일명 Mcrete-Sika방청제, Mcrete-Sika방청몰탈, Mcrete-Sika공법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가 명명하며, 이하 상기의 용어를 혼용하여 설명하되, 기본적으로는 당업계에서 널리 쓰는 용어를 사용하고, 부득이한 경우인 표 설명에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명명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다양한 이용분야에서 금속 보강재와 같은 금속은 구조물질 내로 매립된다. 또한, 수십 년 동안 염기성을 갖는 무기 결합제, 예를 들면 시멘트, 특히 포틀랜드시멘트(portland cement)는 철 함유 금속에 녹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능력을 가진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무기 결합제의 전술한 녹 생성 방지 효과로 인해, 다양한 이용 분야에서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었다.
상기 구조물질에서는 철근 보강재가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며, 상기 콘크리트의 시멘트 성분을 통해, 콘크리트 상에 어떠한 보호용 피복물을 부가하지 않고도 금속 재료(arming)에 지속적인 부식 내성이 제공된다.
시멘트의 수화중에 부식 억제제의 내부의 pH값을 12 또는 훨씬 더 높은 값까지 올리는 수산화칼슘이 생산되며, 시멘트의 부식 보호 활성은 상기 높은 pH값을 통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사용중의 해당 구조물질 내에서는 곧 환경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가 수산화칼슘을 탄산칼슘으로 전환하며, 이러한 탄산염 형성으로 인해 구조물질 내의 pH값은 급격히 저하된다. pH값이 9 이하에 이르면,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철근 재료의 부식이 시작되고, 곧 부식이 진행된다.
사용중에 구조물질 내에 어떠한 균열이 형성되거나 또는 구조물질이 염화물과 접촉하면 매립된 금속의 부식이 촉진된다. 염화물 또는 기타 금속 부식 성분과 구조물질의 접촉은 상기 재료 중 어느 것을 불순물로 함유하는 골재를 통해 제빙(deicing)용 염을 통해 대기오염을 통해 또는 해수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는 한편으로는 매우 장시간 동안 우수한 신뢰도로써, 구조물질 내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능력을 가지며, 한편으로는 구조물질의 어떠한 성질에도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첨가제는 전혀 개시된 바 없다. 구조물질이 가혹한 환경적 영향에 노출된 경우, 예를 들면 염화물 또는 기타 부식제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 상기 문제점은 훨씬 더 심각해진다.
지금까지는 시멘트를 함유하는 구조물질 내에 부식 억제제로서 알칼리 아질산염 및 알칼리토 아질산염을 통상적으로 사용하였다. 참고 문헌의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210207호, 제3801338호, 제3976494호 및 제4365999호가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092109호는 금속 보강 콘크리트 내 부식 억제제로서 아질산 칼슘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아질산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제품은 맹독성을 가지며, 특히 아질산염의 반응 생성물은 발암성이므로 상응하는 생성물은 매우 제한된 분야에 이용된다는 것이 당해 분야에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또한, 아질산염은 수용성이며, 이들은 구조물질 내로 혼입된 후에도 그 수용성을 유지하므로 구조물질 내 아질산염의 농도는 구조물질과 접촉하는 주변의 물을 통한 아질산염의 용출로 인해 감소된다. 또한, 아질산염은 금속 부품상에 표면 안정화 작용을 할 때 모두 소모되기 때문에 보다 다량으로 혼입되어야 한다.
전극부식공학자협회(NACE: National Association of Corrosion Engineers)의 분류에 따르면 아질산염은 단지 양극에서만 작용하는 억제제 군에 속한다.
문헌[참조: Chemical Abstracts, 115권, 제10호, 1991년 9월 9일, 미합중국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360면, 초록번호 980487]에는 콘크리트 혼합물에 대한 초가소제(superplasticizer)가 기술되어 있다. 해당하는 초가소제는 4종의 상이한 성분, 즉 알칼리 금속염 형태의 히드록시 카르복시산의 알루미늄 착물, 모노-, 디- 및/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알칼리 금속 오르토포스페이트 및 추가로 알칼리 금속 황산을 포함해야 한다.
상기 문헌은 상기 초가소제를 콘크리트 혼합물 속으로 혼입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압축력, 방수성 및 동결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초가소제의 혼입을 통해 철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초가소제 전체 4개 성분 중 3개는 알칼리 금속 이온을 포함하며, 시멘트 매트릭스 내로의 알칼리 금속의 혼입은 구조물질의 시멘트 매트릭스 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는 사실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영국 특허출원 제2147296호에는 수경 시멘트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중에 사용되는 아민염들이 기술되어 있으며, 해당 아민염은 프탈산 무수물의 합성공정의 부산물로서 얻어지는 방향족 카르복시산의 혼합물과 아민의 반응 생성물이다.
해당 아민염은 수경 시멘트의 분쇄(grinding) 공정중 분쇄조제로서 사용되며, 상기 염을 첨가함으로써, 분쇄 공정을 통해 새롭게 노출되는 표면은 방향족 산의 혼합물의 상기 아민염으로 덮이고, 그에 따라 분쇄 입자의 치밀화가 방해된다.
방향족 산의 해당 염은 독성을 가지며, 상기 생성물을 시멘트 매트릭스 내로 혼입시킴으로써,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부산물의 배치를 방지한다.
독성으로 인해 그리고 분쇄 절차를 개선할 목적으로 해당 생성물이 첨가된다 는 사실로 인해, 해당 생성물은 소용량으로만 혼입되며, 시멘트의 중량에 대해 보통 단지 0.001 내지 1중량%의 방향족 산의 해당 염이 첨가된다.
상기 분쇄 제조를 사용하여 제조된 시멘트를 함유하는 구조물질은 상기 분쇄 제조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시멘트를 함유하는 구조물질에 비해 어떠한 유리한 성질을 나타낸다는 언급은 상기 공보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스위스연방 특허 제432334호는 무기 결합제가 황산 칼슘인 몰탈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정에서는 경화 지연재(set retarding agent), 및 황산 칼슘 입자 표면을 덮는 소수성 성분이 추가로 첨가되어, 상기 공정중 물이 첨가된 후에 황산 칼슘 입자의 결정화를 지연시킨다.
해당 소수성 작용제는 파라핀성 탄화수소 또는 양이온형의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긴 지방족 사슬을 갖는 지방아민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중에는 분산제, 겔 형성제, 부식 억제제, 색소, 항진균제 및 방부 성분과 같은 추가 성분을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부식 억제제로는 그 구조물 내에 C8 - C22의 지방족 사슬을 갖는 2차 폴리아민 및 1차 아민의 N-폴리글리콜-유도체가 언급되어 있다.
어떠한 반응 생성물 또는 아민염을 부식 억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언급은 상기 특허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문헌[참조: Chemical Abstracts(82권, No. 22, 1975년 6월 2일, 미합중국 오 하이오주 콜럼버스, 283면, 초록번호 144281h]에는 몰탈 및 콘크리트용 부식 억제제가 기술되어 있다.
해당 부식 억제제는 50-90 중량부의 아질산염, 8-20 중량부의 무기 인산염, 1-15 중량부의 알돈산 또는 이것의 염, 및 1-15 중량부의 티 에탄올 아민으로 구성된 혼합물이다.
구체적으로, 아질산 나트륨, 헥사메타인산 나트륨 및 트리에탄올 아민의 해당 혼합물이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식 억제제들로는 아질산염을 통해 야기되는 건강상의 위험과 콘크리트 매트릭스 내로의 나트륨 이온의 바람직하지 못한 혼입을 피하지 못한다.
유럽 특허출원 제247773호에는 경화된 구조물질(예: 건물)의 천공 구멍의 균열 속으로, 콘크리트의 다공 구조를 통해, 특히 보강재가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계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부식 억제제를 삽입함으로써, 이미 경화된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을 처리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공보로부터 억제제가 경화된 콘크리트 매트릭스의 증기 상에서 이동해야 하며, 담체 물질의 몸체에 보통 운반되는 부식 억제제가 건물과 같이 장기간 존속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에만 적합한 것임이 명백하다.
미국 특허 제4716914호에는 분자당 3개 또는 4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폴리올과 알칸올아민의 혼합물이 철근의 부식 억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칼럼 3, 1-4번째 줄에는 알칸올아민, 즉 트리에탄올아민만을 사 용하는 경우는 부식 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강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에는 그러나 구조물질 내에 매립된 어떠한 철근 보강재가 아닌 철근의 부식 억제만이 연구 대상이었다.
캐나다 특허 제1258473호에는 수용성 히드록시 알킬아민을 첨가함으로써 해당 보강 콘크리트 내 철과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해당 히드록시 알킬아민은 부식 억제제로서 사용된 유일한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물질은 임의의 비율로 물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나다 특허에서는 콘크리트에 상기 특허에서 기술된 히드록시 알킬아민 대신에 해당 히드록시 알킬아민염 역시 첨가할 수 있다는 언급은 찾아볼 수 없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공개 제1995-0302688호 구조물질내의 금속부식을 억제하는 첨가제와 방법 및 그 첨가제를 함유하는 구조물질을 제안하였다.
그 기술적 구성을 살펴보면, 종래의 구조물질내의 금속부식을 억제하는 첨가제는 무기 결합제를 함유하는 구조물질 내의 금속부식을 억제하는 첨가제로서, 상기 부식 억제제는 아민과 산의 반응 생성물을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반응 생성물로 구성되며; 부식 억제제의 아민 성분이 1차 아민, 2차 아민 및 3차 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아민은 1개, 2개 또는 다수개의 아미노기를 포함하고, 또한 아미노 성분의 상기 아미노기는 수소 원자, 미치환된 지방족 잔기, 치환된 지방족 잔기, 미치환된 방향족 잔기, 치환된 방향족 잔기, 미치환된 고리형 지방족 잔기, 치환된 고리형 지방족 잔기 및 전술한 군에서 선택된 다른 잔기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잔기가 결합된 질소 원자를 포함하지만, 질소 원자에는 수소 원자가 아닌 1개 이상의 잔기가 결합되어야 하고, 또한 부식 억제제의 아미노 성분에서 1개 이상의 아미노 질소 원자는 헤테로고리의 핵내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 구조의 일부이며; 및 부식 억제제의 산 성분이 하기의 1염기성 또는 다가염기성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의 특허에서는 알칼리 환경에서 반응물질 중 아미노알콜 계통은 일반적으로 음극에서만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민과 산의 반응 생성물질은 음극과 양극에서 동시에 작용하나 알칼리 환경에서 공극침투가 감소되어 아미노알콜의 표면침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기존에는 액상으로 제조됨으로 인하여 사용상에 제한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미노알콜의 함량을 높이고, 인산의 양을 줄이며, 첨가제를 부가하는 배합을 통하여 구조물에 침투하여 철근에 직접적인 피막을 형성하며, 경화된 콘크리트에서 아미노알콜의 침투성능이 증진됨과 동시에 알칼리 환경에서도 공극침투 성능이 개선되며, 액상 및 분말 형태로 제조가 가능한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 이용한 방청몰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상태가 콘크리트구조물의 중성화깊이가 수mm까지인 잠복기, 철근까지인 진전기, 철근부식진행인 가속기 및 철근단면 결손인 열화기로 진행된 콘크리트구조물이 노후 및 훼손된 상태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알칼리회복재, 표면피복제, 단면복구제 및 철근방청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의 중성화 진행을 차단하고, 철근부식의 진행을 중단시키며, 취약부를 보강하도록 한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는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를 이용한 방청몰탈은 시멘트 30∼45 중량%, 골재 40∼50 중량%, 팽창제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1∼5 중량%, 유동화제 0.1∼3 중량%, 소포제 0.1∼5 중량%, 증점제 0.01∼0.1 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e)분말수지 1∼10 중량%, 실리카흄 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몰탈조성물 95∼99.89중량%에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지는 방청제 0.1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은 보수 및 보강대상의 열화된 콘크리트구조물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치핑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 부식부분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철근부식 제거단계; 철근부식이 제거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몰탈을 도포하여 단면을 복구하는 몰탈 단면복구단계; 단면 복구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제를 도포하여 방청피 복하는 단계; 방청 피복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보호 및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아미노알콜의 침투성능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부식방지를 위한 단분자 피막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 내의 철근에서 국부전지 효과에 의하여 음극과 양극을 동시에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구조용 철골 및 노출철근에 도포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중성화된 콘크리트구조물에 알칼리 성능을 부여하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친환경성 재료인 이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액상 또는 분말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를 이용한 방청몰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중성화 및 염해에 대한 이중보호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부식의 초기시작, 중성화의 부식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부식 및 중성화 속도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사용자를 고려한 친환경성 보수 방청몰탈이다.
다섯째, 본 발명은 액상 또는 분말형 방청제를 사용함으로써, 현장 작업시의 사용성과 품질관리의 일관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철근 및 철골에 직접적으로 피막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 공사시 구조물의 장기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 공사시 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공기 및 공사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사용자를 고려한 친환경성 보수 보강공법인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 공사시 시공성이 증진되고, 품질관리의 일관성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는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화제(Plasticizer)는 나프탈렌 설폰산 계의 씨카멘트 NN, 씨카멘트 K, 멜라민 설폰산 계의 씨카멘트 FF86 등을 사용한다.
[침투성능의 비교 실험 자료]
종래기술 중 가장 진보된 기술인 아민계 방청제와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에 대하여 그 침투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압축강도 30MPa의 콘크리트 시편에 500g/㎡으로 각 제품을 도포한 뒤 3개월 뒤 비교하였으며, 실험을 위하여 콘크리트 시편을 그 깊이에 따라 각각 8㎜의 두께로 하여, 0-8㎜, 11-19㎜, 22-30㎜, 33-41㎜, 44-52㎜의 5개로 분할하여 진행하였으며, 잔류하는 아미노알콜의 양을 ppm 단위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침투성능의 비교실험
깊이(㎜) 종래기술 본 발명의 기술 증가율(%)
아미노알콜 EA DEA+NMEA 합계
0-8 561 474 492 966 72.2
11-19 154 80.4 124 204.4 32.7
22-30 47.3 23 55.3 78.3 65.5
33-41 32.5 10 36.6 46.6 43.4
44-52 30.2 10 32.9 42.9 42.1
이러한 실험결과는 깊이에 따라 42∼72%까지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의 침투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침투속도에 대한 실험자료]
자기공명영상장치(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는 폴리머 처리한 콘크리트에서 그 침투성을 측정하는 이상적인 도구이다.
이 방법은 공극을 통해 침투하는 침투성발수제의 역학적 거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시간에 따른 표면으로부터의 침투 거동을 양적이고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이 기술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시료에 표면에서 도포된 본 발명의 방청제의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분산 형태를 알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방청제의 침투성을 측정한 결과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그림 1'은 본 발명의 방청제가 도포된 3개의 시료에서의 분산 형태를 보여주며, '그림 2'는 각 15분, 2시간, 4시간 후의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본 발명의 방청제의 거동을 보여준다.
Figure 112007051721018-pat00001
이러한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방청제가 짧은 시간에 20㎜ 이상의 침투성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발명의 부식방지 효과에 대한 실험]
아래는 본 발명의 방청제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한 뒤 촉진염화부식 시험(1% 염 용액에 137 사이클로 촉진)을 한 결과를 방청제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한 사진이다.
Figure 112007051721018-pat00002
Figure 112007051721018-pat00003
이 사진에서 본 발명의 방청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심한 부식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방청제가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는 아미노알콜의 함량을 높이고, 인산의 양을 줄이며, 첨가제를 부가하는 배합을 통하여 구조물에 침투하여 철근에 직접적인 피막을 형성하며, 경화된 콘크리트에서 아미노알콜의 침투성능이 증진되며, 시공성 불용성 고형물질을 생성하지 않는 작용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를 이용한 방청몰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를 이용한 방청몰탈은 시멘트 30∼45 중량%, 골재 40∼50 중량%, 팽창제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1∼5 중량%, 유동화제 0.1∼3 중량%, 소포제 0.1∼5 중량%, 증점제 0.01∼0.1 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e)분말수지 1∼10 중량%, 실리카흄 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몰탈조성물 95∼99.89중량%에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지는 방청제 0.1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청제는 분말 또는 액상형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를 시멘트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5%, 0.1%, 0.2%를 첨 가한 몰탈조성물을 사용한 방청몰탈의 부식촉진시험(ACT: Accelerated corrosion test)을 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방청제 사용량(%) 0.00 0.05 0.1 0.2
ACT 부식-시간 (Act Time to Corrosion) 305 328 452 807
이러한 결과는 방청몰탈이 부식의 방지 및 지연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를 이용한 방청몰탈은 방청제와 실리카흄을 사용하여 중성화 및 염해에 대하여 이중 보호 효과가 있으며, 방청제의 사용으로 철근에 단분자 필름을 형성하여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며, 분말형 방청제를 사용하여 시공성과 품질관리의 일관성을 증진할 수 있으며, 아크릴로니트릴의 사용으로 비표면적이 증가하며 몰탈의 치밀도 및 휨강도가 증대되며, 실리카흄의 사용으로 몰탈의 치밀도 증대로 중성화 및 염화가 지연되며, EVA분말수지 사용으로 몰탈의 치밀도가 증진되며, 부착력이 증진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과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ㆍ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1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 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ㆍ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ㆍ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은 보수 및 보강대상의 열화된 콘크리트구조물(C)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치핑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구조물(C)의 철근(R) 부식부분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철근(R)부식 제거단계; 철근(R)부식이 제거된 콘크리트구조물(C)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몰탈(20)을 도포하여 단면을 복구하는 방청몰탈(20) 단면복구단계; 단면 복구된 콘크리트구조물(C)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제(10)를 도포하여 방청피복하는 단계; 방청 피복된 콘크리트구조물(C)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보호 및 마감재(30)를 도포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은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 및 보강하는 공법이다.
여기서, 상기 방청몰탈(20)은 시멘트 30∼45 중량%, 골재 40∼50 중량%, 팽창제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1∼5 중량%, 유동화제 0.1∼3 중량%, 소포제 0.1∼5 중량%, 증점제 0.01∼0.1 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e)분말수지 1∼10 중량%, 실리카흄 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몰탈조성물 95∼99.89중량%에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지는 방청제 0.11∼5 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방청제는 분말 또는 액상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청제(10)는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표면 보호 및 마감재(30)는 일반적인 아크릴계 보수 및 탄성 마감재 또는 통기성이 있는 수성에폭시계 마감재를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은 기본적인 시공순서를 설명하였으나, 구조물의 열화의 원인, 열화정도, 특성, 요구되는 성능 기준 등에 따라 일부 단계를 생략하거나 추가하여 시공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은 신축 구조물(부식의 발생전) 적용시 및 부식의 진행중에 적용시 아래 표와 같이 2 배의 공용기간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07051721018-pat00004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ㆍ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2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 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은 보수 및 보강대상의 열화된 콘크리트구조물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치핑단계; 상기 치핑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몰탈을 도포하여 단면을 복구하는 몰탈 단면복구단계; 단면 복구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제를 도포하여 방청피복하는 단계; 방청 피복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보호 및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청몰탈은 시멘트 30∼45 중량%, 골재 40∼50 중량%, 팽창제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1∼5 중량%, 유동화제 0.1∼3 중량%, 소포제 0.1∼5 중량%, 증점제 0.01∼0.1 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e)분말수지 1∼10 중량%, 실리카흄 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몰탈조성물 95∼99.89중량%에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지는 방청제 0.1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방청제는 분말 또는 액상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청제는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구성된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ㆍ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3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은 보수 및 보강대상의 열화된 콘크리트구조물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구조물의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제를 도포하여 방청 피복하는 단계; 방청 피복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보호 및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청몰탈은 시멘트 30∼45 중량%, 골재 40∼50 중량%, 팽창제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1∼5 중량%, 유동화제 0.1∼3 중량%, 소포제 0.1∼5 중량%, 증점제 0.01∼0.1 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e)분말수지 1∼10 중량%, 실리카흄 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몰탈조성물 95∼99.89중량%에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지는 방청제 0.1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방청제는 분말 또는 액상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청제는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ㆍ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ㆍ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ㆍ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ㆍ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수ㆍ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Claims (15)

  1.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2. 시멘트 30∼45 중량%, 골재 40∼50 중량%, 팽창제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1∼5 중량%, 유동화제 0.1∼3 중량%, 소포제 0.1∼5 중량%, 증점제 0.01∼0.1 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e)분말수지 1∼10 중량%, 실리카흄 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몰탈조성물 95∼99.89중량%에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지는 방청제 0.1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몰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는 분말 또는 액상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몰탈.
  4. 보수 및 보강대상의 열화된 콘크리트구조물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치핑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 부식부분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철근부식 제거단계; 철근부식이 제거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몰탈을 도포하여 단면을 복구하는 몰탈 단면복구단계; 단면 복구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제를 도포하여 방청피복하는 단계; 방청 피복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보호 및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지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에 있어서,
    상기 방청몰탈은 시멘트 30∼45 중량%, 골재 40∼50 중량%, 팽창제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1∼5 중량%, 유동화제 0.1∼3 중량%, 소포제 0.1∼5 중량%, 증점제 0.01∼0.1 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e)분말수지 1∼10 중량%, 실리카흄 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몰탈조성물 95∼99.89중량%에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지는 방청제 0.1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는 분말 또는 액상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7.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는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8. 보수 및 보강대상의 열화된 콘크리트구조물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치핑단계; 상기 치핑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몰탈을 도포하여 단면을 복구하는 몰탈 단면복구단계; 단면 복구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제를 도포하여 방청피복하는 단계; 방청 피복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보호 및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지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에 있어서,
    상기 방청몰탈은 시멘트 30∼45 중량%, 골재 40∼50 중량%, 팽창제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1∼5 중량%, 유동화제 0.1∼3 중량%, 소포제 0.1∼5 중량%, 증점제 0.01∼0.1 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e)분말수지 1∼10 중량%, 실리카흄 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몰탈조성물 95∼99.89중량%에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지는 방청제 0.1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는 분말 또는 액상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11. 제 8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는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12. 보수 및 보강대상의 열화된 콘크리트구조물을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구조물의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청제를 도포하여 방청 피복하는 단계; 방청 피복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보호 및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지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에 있어서,
    상기 방청몰탈은 시멘트 30∼45 중량%, 골재 40∼50 중량%, 팽창제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1∼5 중량%, 유동화제 0.1∼3 중량%, 소포제 0.1∼5 중량%, 증점제 0.01∼0.1 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e)분말수지 1∼10 중량%, 실리카흄 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몰탈조성물 95∼99.89중량%에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이루어지는 방청제 0.1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는 분말 또는 액상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15. 제 12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는 에탄올아민(EA: Ethanolamine) 5∼10 중량%, N-메틸에탄올아민(NMEA: N-methylethanolamine) 10∼25 중량%,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10∼25 중량%, 인산칼륨(Potassiumphosphate) 5∼20 중량%, 벤조산(Benzoic acid) 0.1∼5 중량%, 붕산(Boric acid) 0.1∼5중량%, 유동화제(Plasticizer) 0.1∼5중량%, 물(Water) 5∼69.7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방청몰탈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KR20070071305A 2007-07-16 2007-07-16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이용한 방청몰탈과 이들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KR10078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1305A KR100786998B1 (ko) 2007-07-16 2007-07-16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이용한 방청몰탈과 이들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1305A KR100786998B1 (ko) 2007-07-16 2007-07-16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이용한 방청몰탈과 이들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998B1 true KR100786998B1 (ko) 2007-12-18

Family

ID=3914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71305A KR100786998B1 (ko) 2007-07-16 2007-07-16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이용한 방청몰탈과 이들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99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095B1 (ko) 2008-08-13 2009-05-18 매일종합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무기계 충진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057132B1 (ko) 2011-04-04 2011-08-16 주식회사 새솔건설화학 친환경 유무기 하이브리드 보수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1081830B1 (ko) 2009-04-20 2011-11-09 (주)안풍건설 분체상 무기항균제와 고순도 순환잔골재를 이용한 친환경 보수ㆍ보강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KR101104812B1 (ko) * 2011-12-05 2012-01-16 남용혁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 보수방법
CN102515617A (zh) * 2011-11-25 2012-06-27 武汉源锦特种建材有限责任公司 混凝土防腐蚀抗侵蚀剂及其制备方法
KR101166340B1 (ko) * 2012-05-17 2012-07-16 주식회사 다인건설 친환경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1222086B1 (ko) 2012-06-26 2013-01-15 김흠 알카노아민계 다기능 첨가제가 혼합된 콘크리트 보수보강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69184B1 (ko) 2012-06-13 2013-05-30 김흠 알카놀아민 첨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재료의 조성물
CN105366978A (zh) * 2015-11-18 2016-03-02 刘志勇 一种混凝土结构耐久性修复用渗透型钢筋阻锈剂及制备方法
KR101632170B1 (ko) * 2015-06-24 2016-06-22 이은숙 수지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보수 및 단면복구 공법
KR101899969B1 (ko) * 2018-06-28 2018-09-18 석성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용 복합 항알칼리제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
KR20180118569A (ko) 2018-10-12 2018-10-31 유지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물의 내부에 매립된 부식 철근 보수용 링크유닛 및 그 링크유닛을 이용한 부식 철근의 보수방법
US10259949B2 (en) * 2015-01-26 2019-04-16 United States Mineral Products Company Corrosion resistant spray applied fire resistive materials
KR102130041B1 (ko) * 2019-09-05 2020-07-03 주식회사 에스엔투 고성능 방청 혼화제 조성물
KR20210103889A (ko) * 2020-02-14 2021-08-24 맥스콘소재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방청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942A (ja) 1998-02-02 1999-08-10 Railway Technical Res Inst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塩害による鉄筋腐食の補修または予防方法
KR19990083837A (ko) * 1999-08-18 1999-12-06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침투성 폴리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6349A (ko) * 2002-11-27 2004-06-05 장산방수산업(주) 방청기능을 갖는 콘크리트용 방수재 조성물
KR20060037560A (ko) * 2004-10-28 2006-05-03 정태주 습윤 및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수ㆍ보강제 및 그를 이용한 습윤 및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ㆍ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942A (ja) 1998-02-02 1999-08-10 Railway Technical Res Inst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塩害による鉄筋腐食の補修または予防方法
KR19990083837A (ko) * 1999-08-18 1999-12-06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침투성 폴리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6349A (ko) * 2002-11-27 2004-06-05 장산방수산업(주) 방청기능을 갖는 콘크리트용 방수재 조성물
KR20060037560A (ko) * 2004-10-28 2006-05-03 정태주 습윤 및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수ㆍ보강제 및 그를 이용한 습윤 및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ㆍ보강공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095B1 (ko) 2008-08-13 2009-05-18 매일종합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무기계 충진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081830B1 (ko) 2009-04-20 2011-11-09 (주)안풍건설 분체상 무기항균제와 고순도 순환잔골재를 이용한 친환경 보수ㆍ보강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KR101057132B1 (ko) 2011-04-04 2011-08-16 주식회사 새솔건설화학 친환경 유무기 하이브리드 보수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CN102515617A (zh) * 2011-11-25 2012-06-27 武汉源锦特种建材有限责任公司 混凝土防腐蚀抗侵蚀剂及其制备方法
KR101104812B1 (ko) * 2011-12-05 2012-01-16 남용혁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 보수방법
KR101166340B1 (ko) * 2012-05-17 2012-07-16 주식회사 다인건설 친환경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1269184B1 (ko) 2012-06-13 2013-05-30 김흠 알카놀아민 첨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재료의 조성물
KR101222086B1 (ko) 2012-06-26 2013-01-15 김흠 알카노아민계 다기능 첨가제가 혼합된 콘크리트 보수보강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US10259949B2 (en) * 2015-01-26 2019-04-16 United States Mineral Products Company Corrosion resistant spray applied fire resistive materials
AU2016211774B2 (en) * 2015-01-26 2019-11-28 United States Mineral Products Company Corrosion resistant spray applied fire resistive materials
KR101632170B1 (ko) * 2015-06-24 2016-06-22 이은숙 수지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보수 및 단면복구 공법
CN105366978A (zh) * 2015-11-18 2016-03-02 刘志勇 一种混凝土结构耐久性修复用渗透型钢筋阻锈剂及制备方法
KR101899969B1 (ko) * 2018-06-28 2018-09-18 석성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용 복합 항알칼리제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
KR20180118569A (ko) 2018-10-12 2018-10-31 유지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물의 내부에 매립된 부식 철근 보수용 링크유닛 및 그 링크유닛을 이용한 부식 철근의 보수방법
KR102130041B1 (ko) * 2019-09-05 2020-07-03 주식회사 에스엔투 고성능 방청 혼화제 조성물
KR20210103889A (ko) * 2020-02-14 2021-08-24 맥스콘소재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방청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2648B1 (ko) 2020-02-14 2021-11-09 맥스콘소재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방청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998B1 (ko)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용 방청제 및 이를이용한 방청몰탈과 이들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KR101609697B1 (ko) 수중불분리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EP0805787B1 (en) Improved corrosion inhibiting formulations with calcium nitrite
US10259949B2 (en) Corrosion resistant spray applied fire resistive materials
US5916483A (en) Additive and a process for inhibiting the corrosion of metals in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s materials containing said additive
KR1016316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460498B1 (ko) 자기 보수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US6398866B1 (en) Method for the reduction of the degree of shrinkage of hydraulic binders
KR101355392B1 (ko) 내산 및 내염해성 시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용 모르타르 시멘트 조성물 및 상기 보수용 모르타르 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88165B1 (ko) 수중 경화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0970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경량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0806637B1 (ko) 강재부식방지성능이 있는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트 조성물
WO2011108065A1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KR10165419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마감 공법
CN109928656A (zh) 一种水化热抑制型混凝土防腐阻锈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470797B (zh) 混凝土阻锈剂
CN108046641A (zh) 一种复合型混凝土防腐阻锈剂及制备方法
CN107352829A (zh) 一种阻锈组合物及复合型阻锈剂、复合型阻锈剂的制备方法和应用
JP6312778B1 (ja) セメント混和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
EP0791565B1 (en) Admixture for cement
CN113003975A (zh) 一种钢筋混凝土内掺缓蚀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752108B2 (ja) セメント混和剤、セメント組成物、セメントモルタル及びコンクリート
JP4509015B2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KR100502279B1 (ko) 철근 방청용 분말형 코팅제 제조방법 및 그 코팅제
KR102322648B1 (ko) 철근콘크리트 방청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