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507B1 -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507B1
KR100786507B1 KR1020050064384A KR20050064384A KR100786507B1 KR 100786507 B1 KR100786507 B1 KR 100786507B1 KR 1020050064384 A KR1020050064384 A KR 1020050064384A KR 20050064384 A KR20050064384 A KR 20050064384A KR 100786507 B1 KR100786507 B1 KR 10078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ignal
intrusion
security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142A (ko
Inventor
조성준
Original Assignee
텔레캅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캅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레캅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5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8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PSTN, GSM, PO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CDMA 무선망을 통한 가정내 보안데이터 송수신을 기본으로 하고, 방해 전파 발생시 PSTN망을 통한 보안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백업을 행하도록 자동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침입을 위한 무선망과 유선망의 어느 한 곳의 통신불능시라도 데이터 백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침입감지 센서 즉, 충돌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등으로부터 외부인의 가정내 침입신호를 인가받아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침입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그 내부에 CDMA 접속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CDMA 무선망 두절시, 자동으로 유선 PSTN망으로 망변환을 행하여 백업데이터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가정용 단말기와; 상기 가정용 단말기에는 각 지역별로 일정 반경의 무선망을 구축하기 위한 기지국과; 그 기지국을 통해 인가된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토대로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교환기와; 다수의 상기 가정용 단말기를 통합하는 시내교환기와; 그 시내교환기와 접속될 수 있게 각 도별이나 행정구역별로 차별되게 통합된 시외교환기와; 상기 무선통신망과 유선통신망을 접속시키는 접속 교환기와; 상기 무선통신망와 유선통신망을 통해 각각 자동 선택적으로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전송받게 되며, 각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IP값과, 해당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침입데이터 및 점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구비된 중앙관제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CDMA 무선망을 기본으로 하여 각종 보안신호를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무선망 대역에서의 방해전파 감지시 자동으로 PSTN 유선망으로 전환하여 보안 데이터의 백업을 실행하고, 무선망 및 유선망의 방해전파 감지시나 케이블 단선 감지시 SMS를 통해 백업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실시간 감시체제를 온전하게 확립함으로써 침입상황에 대한 다양한 통신대책을 수립하도록 함에 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SECURITY SYSTEM WITH AN AUTO SWITCHING MEANS OF A WIRE/WIRELESS NETWORK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에 구비된 가정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An:가정용 단말기, 100a∼100n:기지국,
102a∼102n:시내교환기, 200:교환기,
202:시외교환기, CMS:중앙관제서버,
SMSS:SMS서버.
본 발명은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CDMA 무선망을 통한 가정내 보안데이터 송수신을 기본으로 하고, 방해 전파 발생시 PSTN망을 통한 보안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백업을 행하도록 자동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침입을 위한 무선망과 유선망의 어느 한 곳의 통신불능시라도 데이터 백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의 축적이 이루어지면서 빈부간의 격차가 생겨나고, 부자는 개인과 가족의 생명 및 재산보호를 위해 힘쓰는 반면, 빈자는 부 자체를 축적하기 위해 힘쓰는 사회가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자본주의 사회의 성숙도 를 반영하여 최근에는 각종 사설 보안경비업체가 난무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설 보안경비업체들은 최근의 전자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무인보안 경비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게 되었으므로 무인보안 대기상태에서 각종 침입감지센서들의 감지신호를 원격에서 수신받아 보안요원을 출동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저가의 비용으로 많은 가입자의 가정을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무인 보안경비 시스템의 경우에는 크게 유선과 무선망으로 동작하여 특정 가정내의 외부인 침입상태를 중앙 관제센터에서 확인하게 되는 바, 유선망의 경우에는 보안케이블을 단선시켜 침입할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CDMA 방식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통해 가정용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원격의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무선망을 통해 침입데이터를 중앙 관제센터로 전송함으로써 보안 케이블의 단선을 보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무선망을 이용한 보안데이터의 송수신의 경우에도 공지의 방해전파 발생기를 통해 보안데이터의 송수신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온전한 대책이라고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CDMA 무선망을 통한 가정내 보안데이터 송수신을 기본으로 하고, 방해 전파 발생시 PSTN망을 통한 보안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백업을 행하도록 자동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 록 함으로써 침입을 위한 무선망과 유선망의 어느 한 곳의 통신불능시라도 데이터 백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MA 무선망을 통한 가정내 보안데이터 송수신을 기본으로 하고, 방해 전파 발생시 PSTN망을 통한 보안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백업을 행하도록 자동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며 보안케이블 단선시 NO. 7망을 이용한 SMS를 통해 자동으로 데이터 백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중앙관제센터에서는 주기적으로 각 가정용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 체크를 통해 원격 실시간 단말기 체크가 이루어지도록 한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침입감지 센서 즉, 충돌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등으로부터 외부인의 가정내 침입신호를 인가받아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침입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그 내부에 CDMA 접속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CDMA 무선망 두절시, 자동으로 유선 PSTN망으로 망변환을 행하여 백업데이터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가정용 단말기와; 상기 가정용 단말기에는 각 지역별로 일정 반경의 무선망을 구축하기 위한 기지국과; 그 기지국을 통해 인가된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토대로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교환기와; 다수의 상기 가정용 단말기를 통합하는 시내교환기와; 그 시내교환기와 접속될 수 있게 각 도별이나 행정구역별로 차별되게 통합된 시외교환기와; 상기 무선통 신망과 유선통신망을 접속시키는 접속 교환기와; 상기 무선통신망와 유선통신망을 통해 각각 자동 선택적으로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전송받게 되며, 각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IP값과, 해당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침입데이터 및 점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구비된 중앙관제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정용 단말기는 그 내부에 무선망인 CDMA망과, 유선망인 PSTN망과, 보안센서와 연결되는 각 포트들이 내부에 내장되어져 있으면서, 각 포트를 통해 수신되거나 송신되는 데이터의 필터링을 행하고 무선데이터 및 유선데이터의 포맷팅을 행하는 통신모듈과; 보안설정 및 보안 해제, 수동 경보키 조작을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망을 상기 CDMA망의 방해전파로 인한 데이터 두절시 데이터 백업망으로 PSTN망으로의 자동 변환 신호를 발생하는 망변환부와; CCD 카메라 및 각 방의 창문 등에 설치된 침입상태 표시, 현재 점검신호 및 침입신호의 데이터 송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와; 상기 보안센서로부터의 침입신호 감지시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침입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경보신호 발생부와; 가정내의 실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와; 상기 경보발생부를 구동하기 위한 경보발생 구동부와; 무선망인 CDMA망과, 유선망인 PSTN망에 대한 망변환 설정시간 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으며, 상기 보안센서로부터 인가된 침입데이터의 발생시간 및 송신 이력을 저장하며, 경보발생시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보안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경보발생부로 경보 발생제어신호를 인가시키고, 상기 경보신호 발생부 로 해당 침입신호를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전송 제어하며, 일정시간 CDMA망의 불통시 망변환부를 통해 자동으로 PSTN망으로의 망변환을 제어하여 데이터 백업을 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가정용 단말기의 파워가 턴온되는 과정과; 그 내부의 제어부가 현재 키설정상태가 보안 설정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보안 해제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보안해제 스탠바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안설정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보안 설정상태인 경우에 상기 가정용 단말기가 중앙관제서버에 대해 점검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가정용 단말기의 제어부가 해당 CDMA 망의 전파 대역에 방해전파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방해전파가 해당 대역에 발생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유선망인 PSTN망으로 변환시키는 과정과; 보안센서로부터 침입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침입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중앙관제서버로 침입데이터를 PSTN망을 통해 백업하는 과정과; 전파 장애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입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망변환을 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CDMA망을 통해 해당 침입신호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해당 CDMA 망의 전파 대역에 방해전파의 발생여부에 대한 판단은 가정용 단말기가 일정시간 동안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점검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방해전파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가정용 단말기가 PSTN망으로 변환된 상태에서, 해당 가정용단말기로부터 기설정시간내에 점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단선으로 판단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침입감지 센서 즉, 충돌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등으로부터 외부인의 가정내 침입신호를 인가받아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침입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그 내부에 CDMA 접속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CDMA 무선망 두절시, 자동으로 유선 PSTN망으로 망변환을 행하고, 해당 PSTN망을 통한 중앙관제서버(CMS)에 대한 점검신호의 송수신이 기설정시간내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N0.7망을 통해 SMS를 전송하는 망변환을 행하여 백업데이터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가정용 단말기와; 상기 가정용 단말기에는 각 지역별로 일정 반경의 무선망을 구축하기 위한 기지국과; 그 기지국을 통해 인가된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토대로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교환기와; 다수의 상기 가정용 단말기를 통합하는 시내교환기와; 그 시내교환기와 접속될 수 있게 각 도별이나 행정구역별로 차별되게 통합된 시외교환기와; 상기 무선통신망과 유선통신망을 접속시키는 접속 교환기와; 상기 무선통신망와 유선통신망을 통해 각각 자동 선택적으로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전송받게 되며, 각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IP값과, 해당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침입데이터 및 점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구비된 중앙관제서버와;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전송받는 SMS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가정용 단말기의 파워가 턴온되는 과정과; 그 내부의 제어부가 현재 키설정상태가 보안 설정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보안 해제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보안해제 스탠바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안설정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보안 설정상태인 경우에 상기 가정용 단말기가 중앙관제서버에 대해 점검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가정용 단말기의 제어부가 해당 CDMA 망의 전파 대역에 방해전파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방해전파가 해당 대역에 발생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유선망인 PSTN망으로 변환시키는 과정과; 보안센서로부터 침입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침입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중앙관제서버로 침입데이터를 PSTN망을 통해 백업하는 과정과; 침입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해당 PSTN망을 통해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점검신호가 기설정 시간내에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기설정 시간내에 점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케이블 단선으로 판단하고 SMS를 통해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데이터 백업을 행하는 과정과; 전파 장애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입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망변환을 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CDMA망을 통해 해당 침입신호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은 CDMA 무선망을 통한 가정내 보안데이터 송수신을 기본으로 하고, 방해 전파 발생시 PSTN망을 통한 보안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백업을 행하도록 자동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침입을 위한 무선망과 유선망의 어느 한 곳의 통신불능시라도 데이터 백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시스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에는 다수의 침입감지 센서 즉, 충돌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등으로부터 외부인의 가정내 침입신호를 전송받아 원격의 중앙관제서버(CMS)로 침입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가정용 단말기(A1∼An)가 제공되는 바, 그 가정용 단말기(A1∼An)는 내부에 CDMA 접속부가 통신모듈에 구비되어져 인근의 기지국(100a∼100n)을 통해 원격의 중앙관제서버(CMS)로 침입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에는 PSTN망을 통해 유선으로 침입신호를 원격의 중앙관제서버(CMS)로 전송할 수 있게 포트 설정되어져 있으며, 무선망과 유선망을 변환하는 조건 예컨대, CDMA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일정시간 이상 지연되는 경우, 자동으로 PSTN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망변환부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에는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발생되는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인지하기 위해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에는 각 지역별로 일정 반경의 무선망을 구축하기 위한 기지국(100a∼100n)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기지국(100a∼100n)을 통해 인가된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토대로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교환기(200)가 구비된다. 교환기(200)에는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신호해석기(Dial Tone Receiver)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PSTN망의 경우에는 다수의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를 통합하는 시내교환기(102a∼102n)가 구성되고, 그 시내교환기(102a∼102n)와 접속될 수 있게 각 도별이나 행정구역별로 차별되게 통합된 시외교환기(202)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망(CDMA)과 유선통신망(PSTN)을 접속시키는 접속 교환기(204)가 구비되어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중앙관제서버(CMS)가 상기 접속교환기(204)와 연결된 지능망 교환기(206)와 접속되어져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망(CDMA)와 유선통신망(PSTN)을 통해 각각 자동 선택적으로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전송받게 된다. 또한, 그 중앙관제서버(CMS)의 내부에는 각 가정용 단말기(A1∼An)의 고유 IP값과, 해당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침입데이터 및 점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DB2)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에 구비된 가정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 키입력부, 망변환부, 표시부, 표시구동부, 경보신호 발생부, 경보발생부, 경보발생 구동부, 데이터저장부,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8은 무선망인 CDMA망(4)과, 유선망인 PSTN망(6)과, 보안센서(2)와 연결되는 각 포트들이 내부에 내장되어져 있으면서, 각 포트를 통해 수신되거나 송신되는 데이터의 필터링을 행하고 무선데이터 및 유선데이터의 포맷팅을 행하는 통신모듈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10은 보안설정 및 보안 해제, 수동 경보키 조작을 위한 키입력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4는 상기 통신모듈(8)을 통해 송수신되는 망을 변환시키기 위한 망변환부를 나타내는 바, 예컨대, 상기 CDMA망(4)의 방해전파로 인한 데이터 두절시 상기 망변환부(24)는 데이터 백업망으로 PSTN망(6)으로의 변환 신호를 발생한다.
참조부호 12는 CCD 카메라(미도시) 및 각 방의 창문 등에 설치된 침입상태 표시, 현재 점검신호 및 침입신호의 데이터 송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4는 상기 표시부(12)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0은 상기 보안센서(2)로부터의 침입신호 감지시 원격의 중앙관제서버(CMS)로 침입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경보신호 발생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6은 가정내의 실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8은 상기 경보발생부(16)를 구동하기 위한 경보발생 구동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2는 무선망인 CDMA망(4)과, 유선망인 PSTN망(6)에 대한 망변환 설정시간 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으며, 상기 보안센서(2)로부터 인가된 침입데이터의 발생시간 및 송신 이력을 저장하며, 경보발생시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6은 상기 보안센서(2)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경보발생부(16)로 경보 발생제어신호를 인가시키고, 상기 경보신호 발생부(20)로 해당 침입신호를 원격의 중앙관제서버(CMS)로 전송 제어하며, 일정시간 CDMA망(4)의 불통시 망변환부(24)를 통해 자동으로 PSTN망(6)으로의 망변환을 제어하여 데이터 백업을 행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3a는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의 파워가 턴온(turn-on)되면, 내부의 제어부(26)는 현재 키설정상태가 보안 설정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1,2 단계: ST-1,2).
만약, 보안 해제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보안해제 스탠바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안설정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제 3,4,5 단계: ST-3,4,5). 만약, 보안 설정상태인 경우에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는 중앙관제서버(CMS)에 대해 점검신호를 송수신한다(제 6 단계: ST-6).
이때, 상기 제어부(26)에서 해당 CDMA 망의 전파 대역에 방해전파가 발생한 경우에는 일정시간 동안 점검신호가 중앙관제서버(CMS)를 통해 송수신되지 않으므 로 이를 통해 방해전파를 인지하게 된다(제 7 단계: ST-7). 만약, 방해전파가 해당 대역에 발생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유선망인 PSTN망으로 변환시킨다(제 10 단계: ST-10).
그리고, 상기 보안센서(2)로부터 침입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여 침입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로 침입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PSTN망을 통한 데이터 백업을 수행한다(제 11,12 단계: ST-11,12).
만약, 전파 장애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입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여전히 망변환을 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CDMA망을 통해 해당 침입신호를 중앙관제서버(CMS)로 전송한다(제 8,9 단계: ST-8,9).
도 3b는 상기 중앙관제서버(CMS)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먼저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는 각 가정에 설치된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에 대해 CDMA망을 통해 신호 접속된 상태에서, 각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에 대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검신호를 송수신하여 감시상태를 유지한다(제 20 단계: ST-20).
그 상태에서,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는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PSTN망 변환을 통한 단말기가 감지되면, 해당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PSTN망을 통해 데이터 백업을 받게 된다(제 21,22 단계: ST-21,22).
그리고,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침입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여 침입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CMS)가 출동요원의 단말기(미도시)에 출원신호를 발생하고(제 23,25 단계: ST-23,25), 침입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해당 가정용 단말기(A1∼An)의 단선이 감지되는 지 를 체크한다(제 24 단계: ST-24).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은 CDMA 무선망을 통한 가정내 보안데이터 송수신을 기본으로 하고, 방해 전파 발생시 PSTN망을 통한 보안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백업을 행하도록 자동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며 보안케이블 단선시 NO. 7망을 이용한 SMS를 통해 자동으로 데이터 백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중앙관제센터에서는 주기적으로 각 가정용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 체크를 통해 원격 실시간 단말기 체크가 이루어지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은 CDMA 방식의 무선망은 물론이고, PSTN망인 유선망과 NO.7망인 SMS 방식으로 자동 변환되어 데이터 백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에는 다수의 침입감지 센서 즉, 충돌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등으로부터 외부인의 가정내 침입신호를 전송받아 원격의 중앙관제서버(CMS)로 침입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가정용 단말기(A1∼An)가 제공되는 바, 그 가정용 단말기(A1∼An)는 내부에 CDMA 접속부가 통신모듈에 구비되어져 인근의 기지국(100a∼100n)을 통해 원격 의 중앙관제서버(CMS)로 침입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에는 PSTN망을 통해 유선으로 침입신호를 원격의 중앙관제서버(CMS)로 전송할 수 있게 포트 설정되어져 있으며, 무선망과 유선망을 변환하는 조건 예컨대, CDMA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일정시간 이상 지연되는 경우, 자동으로 PSTN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모드로 변환하고, 해당 PSTN망을 통한 중앙관제서버(CMS)에 대한 점검신호의 송수신이 기설정시간내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N0.7망을 통해 SMS를 전송하는 망변환을 행하는 망변환부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에는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발생되는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인지하기 위해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에는 각 지역별로 일정 반경의 무선망을 구축하기 위한 기지국(100a∼100n)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기지국(100a∼100n)을 통해 인가된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토대로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교환기(200)가 구비된다. 교환기(200)에는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신호해석기(Dial Tone Receiver)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PSTN망의 경우에는 다수의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를 통합하는 시내교환기(102a∼102n)가 구성되고, 그 시내교환기(102a∼102n)와 접속될 수 있게 각 도별이나 행정구역별로 차별되게 통합된 시외교환기(202)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망(CDMA)과 유선통신망(PSTN)을 접속시키는 접속 교환기(204)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2실시예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CMS)가 상기 접속교환기(204)와 연결된 지능망 교환기(206)와 접속되어져 있음과 동시에 SMS서버(SMSS)와 접속되어져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망(CDMA)와 유선통신망(PSTN), 및 NO.7망을 통해 각각 자동 선택적으로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전송받게 된다. 또한, 그 중앙관제서버(CMS)의 내부에는 각 가정용 단말기(A1∼An)의 고유 IP값과, 해당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침입데이터 및 점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DB2)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는 CDMA 결합수단이 구비되어져 있으면서, 상기 PSTN망과 절환되는 절환수단 즉, 망변환부가 내장되어져 있고, 동시에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일반 무선단말기에서 사용하는 공지의 전송수단(미도시)이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5a는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의 파워가 턴온(turn-on)되면, 내부의 제어부(26)는 현재 키설정상태가 보안 설정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30,31 단계: ST-30,31).
만약, 보안 해제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보안해제 스탠바이 상태를 그대로 유 지하면서 보안설정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제 32,33,34 단계: ST-32,33,34). 만약, 보안 설정상태인 경우에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는 중앙관제서버(CMS)에 대해 점검신호를 송수신한다(제 35 단계: ST-35).
이때, 상기 제어부(26)에서 해당 CDMA 망의 전파 대역에 방해전파가 발생한 경우에는 일정시간 동안 점검신호가 중앙관제서버(CMS)를 통해 송수신되지 않으므로 이를 통해 방해전파를 인지하게 된다(제 36 단계: ST-36). 만약, 방해전파가 해당 대역에 발생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유선망인 PSTN망으로 변환시킨다(제 39 단계: ST-39).
그리고, 상기 보안센서(2)로부터 침입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여 침입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로 침입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PSTN망을 통한 데이터 백업을 수행한다(제 40,43 단계: ST-40,43).
만약, 상기 보안센서(2)로부터 침입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여 침입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주기로 상기 중앙관제서버(CMS)에 대해 점검신호 송수신을 실행하는 바, 이때 기설정 시간주기 이내에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로부터 점검확인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6)는 해당 PSTN망의 유선케이블 단선상태로 파악하고 SMS 전송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로 데이터 백업을 실행한다(제 41,42 단계: ST-41,42).
만약, 전파 장애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입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여전히 망변환을 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CDMA망을 통해 해당 침입신호를 중앙관제서버(CMS)로 전송한다(제 37,38 단계: ST-37,38).
도 5b는 상기 중앙관제서버(CMS)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먼저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는 각 가정에 설치된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에 대해 CDMA망을 통해 신호 접속된 상태에서, 각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에 대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검신호를 송수신하여 감시상태를 유지한다(제 50 단계: ST-50).
그 상태에서,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는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PSTN망 변환을 통한 단말기가 감지되면, 해당 가정용 단말기(A1∼An)로부터 PSTN망을 통해 데이터 백업을 받게 된다(제 51,52 단계: ST-51,52).
그리고, 상기 가정용 단말기(A1∼An)에 대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검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해당 가정용 단말기(A1∼An)의 단선이 감지되는 지를 체크한다(제 53 단계: ST-53).
만약, 해당 가정용 단말기(A1∼An)의 단선이 감지된 경우라면,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는 그 내부의 SMS 전송부(미도시)를 통해 해당 백업 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중앙관제서버(CMS)가 백업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백업을 행하고, 동시에 상기 중앙관제서버(CMS)는 출동신호를 발생시킨다(제 54,55,56 단계: ST-54,55,56).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은 CDMA 무선망을 기본으로 하여 각종 보안신호를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무선망 대역에서의 방해전파 감지시 자동으로 PSTN 유선망으로 전환하여 보안 데이터의 백업을 실행하고, 무선망 및 유선망의 방해전파 감지시나 케이블 단선 감지시 SMS를 통해 백업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실시간 감시체제를 온전하게 확립함으로써 침입상황에 대한 다양한 통신대책을 수립하도록 함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다수의 침입감지 센서 즉, 충돌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등으로부터 외부인의 가정내 침입신호를 인가받아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침입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그 내부에 CDMA 접속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CDMA 무선망 불능여부를 체크하여 CDMA 무선망 두절시, 자동으로 유선 PSTN망으로 망변환을 행하여 백업데이터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가정용 단말기와;
    상기 가정용 단말기에는 각 지역별로 일정 반경의 무선망을 구축하기 위한 기지국과;
    그 기지국을 통해 인가된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토대로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교환기와;
    다수의 상기 가정용 단말기를 통합하는 시내교환기와;
    그 시내교환기와 접속될 수 있게 각 도별이나 행정구역별로 차별되게 통합된 시외교환기와;
    상기 무선통신망과 유선통신망을 접속시키는 접속 교환기와;
    상기 무선통신망와 유선통신망을 통해 각각 자동 선택적으로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전송받게 되며, 일정시간 간격마다 유선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백업데이터를 통해 유선통신망의 불능여부를 체크하고, 각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IP값과, 해당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침입데이터 및 점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구비된 중앙관제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단말기는 그 내부에 무선망인 CDMA망과, 유선망인 PSTN망과, 보안센서와 연결되는 각 포트들이 내부에 내장되어져 있으면서, 각 포트를 통해 수신되거나 송신되는 데이터의 필터링을 행하고 무선데이터 및 유선데이터의 포맷팅을 행하는 통신모듈과; 보안설정 및 보안 해제, 수동 경보키 조작을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망을 상기 CDMA망의 방해전파로 인한 데이터 두절시 데이터 백업망으로 PSTN망으로의 자동 변환 신호를 발생하는 망변환부와; CCD 카메라 및 각 방의 창문 등에 설치된 침입상태 표시, 현재 점검신호 및 침입신호의 데이터 송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와; 상기 보안센서로부터의 침입신호 감지시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침입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경보신호 발생부와; 가정내의 실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와; 상기 경보발생부를 구동하기 위한 경보발생 구동부와; 무선망인 CDMA망과, 유선망인 PSTN망에 대한 망변환 설정시간 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으며, 상기 보안센서로부터 인가된 침입데이터의 발생시간 및 송신 이력을 저장하며, 경보발생시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보안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경보발생부로 경보 발생제어신호를 인가시키고, 상기 경보신호 발생부로 해당 침입신호를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전송 제어하며, 일정시간 CDMA망의 불통시 망변환부를 통해 자동으로 PSTN망으로의 망변환을 제어하여 데이터 백업을 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3. 가정용 단말기의 파워가 턴온되는 과정과;
    그 내부의 제어부가 현재 키설정상태가 보안 설정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보안 해제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보안해제 스탠바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안설정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보안 설정상태인 경우에 상기 가정용 단말기가 중앙관제서버에 대해 점검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가정용 단말기의 제어부가 해당 CDMA 망의 전파 대역에 방해전파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방해전파가 해당 대역에 발생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유선망인 PSTN망으로 변환시키는 과정과;
    보안센서로부터 침입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침입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중앙관제서버로 침입데이터를 PSTN망을 통해 백업하는 과정과;
    전파 장애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입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망변환을 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CDMA망을 통해 해당 침입신호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해당 CDMA 망의 전파 대역에 방해전파의 발생여부에 대한 판단은 가정용 단말기가 일정시간 동안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점검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방해전파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가정용 단말기가 PSTN망으로 변환된 상태에서, 해당 가정용단말기로부터 기설정시간내에 점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단선으로 판단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방법.
  6. 다수의 침입감지 센서 즉, 충돌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등으로부터 외부인의 가정내 침입신호를 인가받아 원격의 중앙관제서버로 침입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그 내부에 CDMA 접속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CDMA 무선망 두절시, 자동으로 유선 PSTN망으로 망변환을 행하고, 해당 PSTN망을 통한 중앙관제서버(CMS)에 대한 점검신호의 송수신이 기설정시간내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N0.7망을 통해 SMS를 전송하는 망변환을 행하여 백업데이터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가정용 단말기와;
    상기 가정용 단말기에는 각 지역별로 일정 반경의 무선망을 구축하기 위한 기지국과;
    그 기지국을 통해 인가된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토대로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교환기와;
    다수의 상기 가정용 단말기를 통합하는 시내교환기와;
    그 시내교환기와 접속될 수 있게 각 도별이나 행정구역별로 차별되게 통합된 시외교환기와;
    상기 무선통신망과 유선통신망을 접속시키는 접속 교환기와;
    상기 무선통신망와 유선통신망을 통해 각각 자동 선택적으로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및 점검신호를 전송받게 되며, 각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IP값과, 해당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침입데이터 및 점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구비된 중앙관제서버와;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전송받는 SMS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7. 가정용 단말기의 파워가 턴온되는 과정과;
    그 내부의 제어부가 현재 키설정상태가 보안 설정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보안 해제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보안해제 스탠바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안설정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보안 설정상태인 경우에 상기 가정용 단말기가 중앙관제서버에 대해 점검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가정용 단말기의 제어부가 해당 CDMA 망의 전파 대역에 방해전파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방해전파가 해당 대역에 발생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유선망인 PSTN망으로 변 환시키는 과정과;
    보안센서로부터 침입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침입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중앙관제서버로 침입데이터를 PSTN망을 통해 백업하는 과정과;
    침입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해당 PSTN망을 통해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점검신호가 기설정 시간내에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기설정 시간내에 점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케이블 단선으로 판단하고 SMS를 통해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데이터 백업을 행하는 과정과;
    전파 장애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입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망변환을 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CDMA망을 통해 해당 침입신호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방법.
KR1020050064384A 2005-07-15 2005-07-15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6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84A KR100786507B1 (ko) 2005-07-15 2005-07-15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84A KR100786507B1 (ko) 2005-07-15 2005-07-15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42A KR20050080142A (ko) 2005-08-11
KR100786507B1 true KR100786507B1 (ko) 2007-12-17

Family

ID=3726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384A KR100786507B1 (ko) 2005-07-15 2005-07-15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5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144B1 (ko) * 2009-09-02 2011-09-1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영상제어단말의 자동제어를 통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4201B1 (ko) * 2014-12-11 2015-12-04 서울특별시 무장애 스마트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CN106448038A (zh) * 2016-11-03 2017-02-22 合肥万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家居安防监控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15B1 (ko) * 2006-04-26 2008-01-07 동원대학 산학협력단 웹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장치의 데이터 전송시스템
KR100672924B1 (ko) * 2006-05-25 2007-01-24 주식회사 훠엔시스 원격 감시 장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9524B1 (ko) * 2011-11-17 2012-06-26 주식회사 그리니스 무선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CN106169220A (zh) * 2016-08-31 2016-11-30 北京城市排水集团有限责任公司 窨井井盖自组网实时监控系统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531A (ko) * 1998-02-20 1999-09-15 배동만 데이터의 무선 송신이 가능한 다세대 감시용 경비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이상상황발생 알림방법
KR20010073659A (ko) * 2000-01-19 2001-08-01 오길록 유무선으로 연락되는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 장치
KR20020017239A (ko) * 2000-08-29 2002-03-07 배재철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보안메세징 시스템 및 그보안메세징 방법
KR20030052929A (ko) * 2001-12-21 2003-06-27 라피텔 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통합무인경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531A (ko) * 1998-02-20 1999-09-15 배동만 데이터의 무선 송신이 가능한 다세대 감시용 경비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이상상황발생 알림방법
KR20010073659A (ko) * 2000-01-19 2001-08-01 오길록 유무선으로 연락되는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 장치
KR20020017239A (ko) * 2000-08-29 2002-03-07 배재철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보안메세징 시스템 및 그보안메세징 방법
KR20030052929A (ko) * 2001-12-21 2003-06-27 라피텔 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통합무인경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144B1 (ko) * 2009-09-02 2011-09-1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영상제어단말의 자동제어를 통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4201B1 (ko) * 2014-12-11 2015-12-04 서울특별시 무장애 스마트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CN106448038A (zh) * 2016-11-03 2017-02-22 合肥万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家居安防监控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42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507B1 (ko)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US6619055B1 (en) Security system with wireless thermosta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396446B2 (en) Two way voice communication through GSM with alarm communication
US7940675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reduced functionality devices in an IEEE 802.15.4 network
US20080070547A1 (en) Method for Radio Transmission in a Radio Cell of an Alarm System
KR100742754B1 (ko)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201069874Y (zh) 手机多功能遥控汽车防盗抢跟踪报警装置
KR20010000186A (ko)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경비시스템
RU2260920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гнализации о событиях, управления событиями и запуска событий дистанционно через телефонную сеть
US20070091166A1 (en) Method for video monitoring objects by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JP4769512B2 (ja) 自動通報用無線システム
KR100582144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KR101077740B1 (ko) 무선망을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장치의 장애체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20666A (ko) 방범 시스템
JP2000049968A (ja) 通信システム
JP2003274037A (ja) 移動端末の位置情報を用いた自動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制御方法
JP4465604B2 (ja) 異常通報システム
US20070190969A1 (en) Communication module for facilitating monitoring an existing alarm system via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KR100389157B1 (ko) 시설국 원격 보안관리장치
JP2000196768A (ja) 携帯電話を利用した遠隔制御システム
KR200278919Y1 (ko) 독거노인의 위급상황 및 화재 또는 가스누출 자동통보시스템
JP2001127897A (ja) 携帯電話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0227547B1 (ko)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장치와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KR100205308B1 (ko) 원격 교통관제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185289Y1 (ko) 기지국에서의 통신장비의 경보 전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