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659B1 - 인공폭포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 - Google Patents

인공폭포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659B1
KR100785659B1 KR1020060109220A KR20060109220A KR100785659B1 KR 100785659 B1 KR100785659 B1 KR 100785659B1 KR 1020060109220 A KR1020060109220 A KR 1020060109220A KR 20060109220 A KR20060109220 A KR 20060109220A KR 100785659 B1 KR100785659 B1 KR 100785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fixing
holes
support member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임남수
Original Assignee
김태현
임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현, 임남수 filed Critical 김태현
Priority to KR102006010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개사면(10) 등의 표면을 정리한 후 그 표면에 숏크리트(shotcrete)로 표면층(20)을 형성되도록 한 숏크리트 시공단계와; 상기 숏크리트 시공단계 후 상기 표면층(20)과 절개사면(10)을 소정의 깊이로 다수개의 통공(30)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0)에 충진부재(31)를 충진하며 상기 통공(30)내에서 상기 충진부재(31)와 교반되도록 회전삽입되는 고정부재(40)를 삽입하여 지지판(41)과 와샤(42)와 너트(43)로 고정되는 고정부재 고정단계(100)와; 상기 고정부재(40)들에 서로 용접되어 각각 고정하며, 다수개로 교차되어 지지부재(50)를 형성하는 지지부재 형성단계(200)와; 상기 지지부재 형성단계(200) 후 그 표면에 다수개로 교차되는 보조지지부재(60)를 형성하는 보조지지부재 형성단계(300)와; 상기 보조지지부재 형성단계(300) 후 그 상면에 인공폭포의 외형을 형성한 인공암(7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과 상기한 방법으로 시공된 인공폭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표면층, 숏크리트(shotceret)공법, 통공, 충진부재, 고정부재, 지지부재, 보조 지지부재, 인공암.

Description

인공폭포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A method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 of artificial falls and structure of artificial fal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대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공과 고정부재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절개사면 20: 표면층
30: 통공 31: 충진부재
40: 고정부재 41: 지지판
42: 와샤 43: 너트
50: 지지부재 60: 보조지지부재
70: 인공암 80: 배수공
본 발명은 숏크리트로 절개사면에 표면층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소정의 깊이로 충진부재와 고정부재가 고정된 통공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한 고정부재와 접합 고정되게 다수개로 교차형성하며, 표면에 보조지지대를 다수개로 교차형성한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한 지지대 표면에 인공암을 형성하여 기존의 인공폭포 공정기간을 단축시키고 인공폭포의 구조물을 보다 절개사면에 견고하고 튼튼하며 인공암의 내측에서 지지하는 보조지지부재와 지지부재로 인공암의 표면의 함몰 또는 파손을 방지하여 시공토록 한 인공폭포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인공폭포 구조물은 인공폭포의 내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옹벽을 설치한다. 옹벽은 콘크리트 등으로 타설하며, 설치하고자 하는 인공폭포의 높이는 옹벽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여 형성하며, 상기 옹벽에 다수개로 교차하여 지지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표면에 폭포의 형태의 인공암을 연결하여 인공폭포 구조물을 시공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한 인공폭포 구조물은 옹벽을 기초로 하여 지지부재를 형성하게 되므로 옹벽을 필수불가피하게 설치해야한다. 상기 옹벽은 철근으로 골조를 형성하고 거푸집으로 둘러싸고 시멘트를 타설하게 되므로 옹벽양생하는 기간을 두고 작업하여 왔으므로 인공폭포 구조물을 시공하는 공정기간이 오래 걸려 시공자에게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기간을 불필요하게 늘리고 불필요한 시공비가 증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공폭포 구조물은 절개사면의 경사각도를 90도로만으로 형성한 다음에 옹벽을 형성하여 그 옹벽을 매개체로 하여 인공폭포 구조물을 시설하였으므로 다양한 각도의 절개사면의 경사각을 90도로 절개사면을 깍아서 옹벽을 형 성하여 인공폭포 구조물을 시설하였으므로 절개사면의 경사각도와 관계없이 인공폭포 시설물을 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설물이 제공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만으로 다수개로 교차하여 형성하여 그 표면에 인공암을 안착하여 연결하게되므로 인공암의 표면이 외부로 부터 충격에 의해 함몰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사면에 직접으로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표면층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레진 또는 몰타르의 충진부재를 충진하며 록볼트 또는 쏘일 네일의 고정부재에 직접적으로 표면에 보조지지부재를 갖는 지지부재를 접합고정형성하고 그 표면에 인공암을 연결한 인공폭포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을 제공하지 못하여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숏크리트로 절개사면에 표면층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소정의 깊이로 충진부재와 고정부재가 고정된 통공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한 고정부재와 접합고정되게 다수개로 교차형성하며, 표면에 보조지지대를 다수개로 교차형성한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한 지지대 표면에 인공암을 형성하여 기존의 인공폭포 공정기간을 단축시키고 인공폭포의 구조물을 보다 절개사면에 견고하고 튼튼하며 인공암의 내측에서 지지하는 보조지지부재와 지지부재로 인공암의 표면의 함몰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절개사면 경사각도의 관계없이 절개사면의 경사각에 따라 인공폭포구조물을 시공토록 한 새로운 인공폭포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절개사면(10) 등의 표면을 정리한 후 그 표면에 숏크리트(shotcrete)로 표면층(20)을 형성되도록 한 숏크리트 시공단계와; 상기 숏크리트 시공단계 후 상기 표면층(20)과 절개사면(10)을 소정의 깊이로 다수개의 통공(30)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0)에 충진부재(31)를 충진하며 상기 통공(30)내에서 상기 충진부재(31)와 교반되도록 회전삽입되는 고정부재(40)를 삽입하여 지지판(41)과 와샤(42)와 너트(43)로 고정되는 고정부재 고정단계와; 상기 고정부재(40)들에 서로 용접되어 각각 고정하며, 다수개로 교차되어 지지부재(50)를 형성하는 지지부재 형성단계와; 상기 지지부재 형성단계 후 그 표면에 다수개로 교차되는 보조지지부재(60)를 형성하는 보조지지부재 형성단계와; 상기 보조지지부재 형성단계 후 그 상면에 인공폭포의 외형을 형성한 인공암(7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록볼트(rock bolt) 또는 쏘일 네일(soil nail)중 선택된 어느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부재(31)는 레진(regin) 또는 몰타르(mortar)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공(30)과 인접하여 배수공(80)이 다수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개사면(10) 등의 표면을 정리한 후 그 표면에숏크리트(shotcrete)로 표면을 형성한 표면층(20)과; 상기 표면층(20)과 상기 절개사면(10)에 소정의 깊이 로 다수개의 통공(30)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0)에 충진부재(31)를 충진하며, 상기 통공(30)내에서 상기 충진부재(31)와 교반되도록 회전삽입되고, 지지판과 와샤와 너트로 고정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들에 서로 용접되어 각각 고정하며, 다수개로 교차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50)와; 상기 지지부재(50)의 표면에 다수개로 교차되어 형성되는 보조지지부재(60)와; 상기 보조지지부재(60)의 상면에 인공폭포의 외형을 형성한 인공암(7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공과 고정부재의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을 도 1 및 도 2, 도 3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은 숏크리트 시공단계와, 고정부재 고정단계와, 지지부재 형성단계와, 보조지지부재 형성단계와, 인공암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숏크리트 시공단계는 절개사면(10) 등의 표면을 정리한 후 그 표면에 시멘트를 분사하는 숏크리트(shotcrete)로 표면층(20)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재 고정단계는 상기 표면층(20)이 건조된 후 상기 표면층(20)과 절개사면(10)을 소정의 깊이로 다수개의 통공(30)을 형성한다.
상기 통공(30)에 충진부재(31)를 충진하며 상기 충진부재(31)는 상기 절개사면(10)의 지질성분을 검사하여 암반일 경우 레진(regin)으로 충진하며, 상기 절개 사면(10)의 지질성분을 검사하여 연약한 지반일 경우 몰타르(mortar)로 충진하여 준다.
이러하게 레진 또는 몰타르를 선택하여 충진되는 상기 충진부재(31)는 상기 통공(30)내에서 교반되도록 회전되어 삽입되는 고정부재(40)를 삽입하여 형성한다.
이러하게 삽입된 상기 고정부재(40)의 일단부에 지지판(41)과 와샤(42)와 너트(43)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준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절개사면(10)의 지질성분을 검사하여 암반일 경우 록볼트(rock bolt)로 고정해주며, 상기 절개사면(10)의 지질성분을 검사하여 연약지반일 경우 쏘일 네일(soil nail)로 고정하여 준다.
상기 지지부재 형성단계는 상기 숏크리트로 형성된 상기 표면층(10)과 상기 절개사면(10)을 관통된 상기 통공(30)내의 상기 충진부재(31)와 교반되어 고정된 다수개의 상기 고정부재(40)들의 일단부 즉 상기 지지판(41)과 상기 와샤(42)와 상기 너트(43)로 결합된 부위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지지부재(50)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서로 교차되어 용접되어 고정형성되므로 다수개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50)는 앵글(angle)로 형성한다.
이러하게 상기 고정부재(40)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재(50)의 사이에는 상기 표면층(20)의 표면과 상기 지지부재(5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배수로(90)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90)와 연결되며, 상기 통공(30)과 인접하여 다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절개사면(10)과 상기 표면층(20)을 관통하여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배수 공(80)을 형성한다.
상기 배수공(80)은 상기 절개사면(10)에서 자연발생하는 물을 처리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배수공(80)내에는 배수파이프(81)가 삽입형성된다.
상기 보조지지부재 형성단계는 상기 지지부재 형성단계 후 그 표면에 다수개로 교차되어 용접되어 고정형성되는 보조지지부재(60)를 형성한다.
상기 보조지지부재(60)는 철근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공암(70)의 표면에서 받는 무리한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외형의 변질을 막기위해 형성하며, 오랜시간경과후 상기 인공암(70)의 외형변형을 막아주기 위해 형성한다.
상기 인공암(70)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지지부재 형성단계 후 그 상면에 인공폭포의 외형을 형성한 인공암(70)을 설치하여준다.
상기 인공암(70)은 FRC(Fiber Reinforce concrete;섬유보강콘크리트)의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인공암(70)은 상부(71)와 하부(72)로 분리되어 형성하며 상기 상부(71)과 상기 하부(72)를 연결해주는 인공암 쪼인트부(7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71)의 일단면을 상기 절개사면(10)의 산마루에 고정하여 주고 그 하부(72)를 상기 인공암 쪼인트부(73)로 연결하여 형성한다.
상기 인공암 쪼인트부(73)는 포콜랜드 시멘트 및 실리카 모래, 피버 그래스(fiber glass)로 구성하며, 기름 및 산, 유기물 , 기타유기물의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인공암(70)내측에 형성된 연결부(미도시)에 상기 지지부재(50)와 상기 보조지지부재(60)와 용접하거나 연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종래의 인공폭포 구조물을 시설할 시 절개사면의 경사각도를 90도 각도로 깍아 조성한 다음에 옹벽을 양생하여 인공폭포 구조물을 시설하였으나, 본 발명의 인공폭포 구조물(100) 시공방법은 절개사면을 90도로 깍아 조성하지 않고 옹벽을 양생하여 형성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절개사면의 경사각도에 상관없이 숏크리트로 절개사면의 표면에 표면층을 형성하고 고정부재를 고정하며, 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와, 인공암을 형성하여 인공폭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폭포 구조물(100)의 구성은 절개사면(10) 등의 표면을 정리한 후 그 표면에숏크리트(shotcrete)로 표면을 형성한 표면층(20)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표면층(20)과 상기 절개사면(10)에 소정의 깊이로 다수개의 통공(30)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0)에 충진부재(31)를 충진하며, 상기 통공(30)내에서 상기 충진부재(31)와 교반되도록 회전삽입되고, 지지판과 와샤와 너트로 고정되는 고정부재(40)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40)들에 서로 용접되어 각각 고정하며, 다수개로 교차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50)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재(50)의 표면에 다수개로 교차되어 형성되는 보조지지부재(60)로 구성한다.
상기 보조지지부재(60)의 상면에 인공폭포의 외형을 형성한 인공암(70)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인공폭포의 구조물을 구성되는 구성부를 나열하며, 이에 따른 세부적인 추가 구성부요소와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인공폭포의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기술하였으므로 인공폭포의 구조물의 구성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숏크리트로 절개사면에 표면층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소정의 깊이로 충진부재와 고정부재가 고정된 통공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한 고정부재와 접합고정되게 다수개로 교차형성하며, 표면에 보조지지대를 다수개로 교차형성한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한 지지대 표면에 인공암을 형성하여 기존의 인공폭포 공정기간을 단축시키고 인공폭포의 구조물을 보다 절개사면에 견고하고 튼튼하게 고정하여 준다.
또한, 인공암의 내측에서 지지하는 보조지지부재의 표면에 다수개의 지지부재를 별도로 형성하여 인공암을 고정하여 주어 인공암 표면에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한 함몰 또는 파손을 방지하며 오래시간이 경과로 인한 인공암의 표면의 외형변질을 막아준다.
또한, 절개사면의 지질성분이 암반, 연약지반에 따라 고정부재를 록볼트 또는 쏘일 네일을 선택하여 통공내에 고정하주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통공내에 절개사면의 지질성분이 암반, 연약지반에 따라 레진 또는 몰타를 선택하여 충진부재로 충진되어 통공내에서 고정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 및 그 구조물은 종래의 절개사면의 경사각을 90도로 깍아 90도 경사면을 형성한 다음 옹벽을 양생하여 형성할 필요없 이 절개사면의 경사각도와 상관없이 인공폭포 구조물을 시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절개사면(10) 등의 표면을 정리한 후 그 표면에 숏크리트(shotcrete)로 표면층(20)을 형성되도록 한 숏크리트 시공단계와;
    상기 숏크리트 시공단계 후 상기 표면층(20)과 절개사면(10)을 소정의 깊이로 다수개의 통공(30)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0)에 충진부재(31)를 충진하며 상기 통공(30)내에서 상기 충진부재(31)와 교반되도록 회전삽입되는 고정부재(40)를 삽입하여 지지판(41)과 와샤(42)와 너트(43)로 고정되는 고정부재 고정단계와;
    상기 고정부재(40)들에 서로 용접되어 각각 고정하며, 다수개로 교차되어 지지부재(50)를 형성하는 지지부재 형성단계와;
    상기 지지부재 형성단계 후 그 표면에 다수개로 교차되는 보조지지부재(60) 를 형성하는 보조지지부재 형성단계와;
    상기 보조지지부재 형성단계 후 그 상면에 인공폭포의 외형을 형성한 인공암(7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록볼트(rock bolt) 또는 쏘일 네일(soil nail)중 선택된 어느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31)는 레진(regin) 또는 몰타르(mortar)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30)과 인접하여 배수공(80)이 다수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5. 절개사면(10) 등의 표면을 정리한 후 그 표면에 숏크리트(shotcrete)로 표면을 형성한 표면층(20)과;
    상기 표면층(20)과 상기 절개사면(10)에 소정의 깊이로 다수개의 통공(30)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0)에 충진부재(31)를 충진하며, 상기 통공(30)내에서 상기 충진부재(31)와 교반되도록 회전삽입되고, 지지판과 와샤와 너트로 고정되는 고정부 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들에 서로 용접되어 각각 고정하며, 다수개로 교차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50)와;
    상기 지지부재(50)의 표면에 다수개로 교차되어 형성되는 보조지지부재(60)와;
    상기 보조지지부재(60)의 상면에 인공폭포의 외형을 형성한 인공암(7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공폭포 구조물.
KR1020060109220A 2006-11-07 2006-11-07 인공폭포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 KR100785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220A KR100785659B1 (ko) 2006-11-07 2006-11-07 인공폭포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220A KR100785659B1 (ko) 2006-11-07 2006-11-07 인공폭포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659B1 true KR100785659B1 (ko) 2007-12-14

Family

ID=3914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220A KR100785659B1 (ko) 2006-11-07 2006-11-07 인공폭포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6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226A (ko) * 2000-03-14 2001-10-23 윤복모 인공폭포의 시공 방법 및 인공 폭포
KR20050075459A (ko) * 2004-01-15 2005-07-20 주식회사 협신조경건설 인공폭포의 인공암 제조방법 및 그 구조물
KR20060100834A (ko) * 2005-03-18 2006-09-21 주식회사 오륙개발 인공벽을 조성하는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226A (ko) * 2000-03-14 2001-10-23 윤복모 인공폭포의 시공 방법 및 인공 폭포
KR20050075459A (ko) * 2004-01-15 2005-07-20 주식회사 협신조경건설 인공폭포의 인공암 제조방법 및 그 구조물
KR20060100834A (ko) * 2005-03-18 2006-09-21 주식회사 오륙개발 인공벽을 조성하는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796B1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KR100453108B1 (ko) 가압수단의 반력을 이용한 기존구조물의 보수 또는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존구조물의 보수 또는보강방법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84829B1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KR20090029993A (ko)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JP4611113B2 (ja) 杭と柱の一体化施工方法
KR100876853B1 (ko) 테두리보용 데크판을 이용한 무지주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20080100740A (ko)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KR101054696B1 (ko) 슬러리 월에서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토압 지지가이루어지도록 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구축 공법
KR20060096706A (ko) 데크 현수식 지하 구조물 역타설공법
KR100912574B1 (ko) 조립식 버팀보를 이용한 흙막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터파기 방법
KR100785659B1 (ko) 인공폭포구조물 시공방법 및 인공폭포 구조물.
KR20190142546A (ko) 외곽부 현수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JP2006299660A (ja) 仮受け工法及び仮受け構造体
KR100462236B1 (ko) 구조물 외벽용 패널,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외벽조립구조 및 구조물지하외벽 시공공법
KR200390421Y1 (ko) 데크 현수식 역타설 지하 구조물
KR100615149B1 (ko) 콘크리트 지상구조물의 역타설공법
KR200370135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JP2005240426A (ja) 鋼管柱の立設構造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KR1006263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KR100823348B1 (ko) 강합성옹벽 시공방법
KR101415867B1 (ko) 건축물의 지하구조물 역공사 pc공법
KR101050271B1 (ko) 기초공사 시공방법
JP7051058B2 (ja) 既存用水路の補修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