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976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976B1
KR100784976B1 KR1020060099354A KR20060099354A KR100784976B1 KR 100784976 B1 KR100784976 B1 KR 100784976B1 KR 1020060099354 A KR1020060099354 A KR 1020060099354A KR 20060099354 A KR20060099354 A KR 20060099354A KR 100784976 B1 KR100784976 B1 KR 10078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offset
data
time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세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976B1/ko
Priority to US11/821,053 priority patent/US8578270B2/en
Priority to EP07016088A priority patent/EP19149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5/00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 G04G15/006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for operating at a number of different tim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 및 변경할 수 있는 옵셋 시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기준 시각 정보와, 상기 기준시각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셋 시계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 간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옵셋 데이터를 생성하는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과, 상기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옵셋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옵셋 시계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옵셋 시계 생성 과정과, 상기 옵셋 시계들 중 소정의 상기 옵셋 시계로부터 시각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시간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준이 되는 시간 정보에 옵셋 데이터를 부가하여 생성되고 운용되는 옵셋 시계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각 정보를 갖는 옵셋 시계를 임의로 생성하여 개인화된 시계(personalized clock)로 활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시계, 옵셋, RTC, DRM 콘텐츠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clock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옵셋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데이터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 사용자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 및 변경할 수 있는 옵셋 시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 이동 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1000: IMT-1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
최근에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들이 융합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 음악 청취, 영화 감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등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의 시각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시간을 체크할 수 있도록, 실시간 시각 발생 장치(RTC: Real Time Clock, 이하 RTC라 칭함)를 칩 형태로 탑재하고 있다.
RTC는 일정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발생시켜 이동통신 단말기에 시계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시/분/초의 시각 정보, 일/주/월/년의 날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며, 부가적으로 설정한 특정 시각을 알려주는 알람(Alarm) 기능과 일정 간격의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Timer)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RTC의 시각 정보 및 날짜 정보를 세팅(Set/Reset)하여 원하는 시각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계를 임의로 생성하여 이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시간 이외에도 일정 시간(예컨대 10분)이 빠르게 설정된 시계를 별도로 이용하기 원하는 경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러한 별도의 시계를 제공할 수 없다.
이처럼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RTC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과, 이를 활용한 세계 시간 등을 표시할 수는 있지만, 이와 별도로 사용자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개인적으로 시간을 설정하고 변경시킬 수 있는 개인화된 시계(personalized clock)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 및 변경할 수 있는 개인화된 시계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은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기준 시각 정보와, 상기 기준시각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셋 시계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시계 설정 요청이 입력되는 설정 요청 입력 과정과, 상기 설정 요청 입력 과정에서 입력된 요청이 상기 옵셋 시계 생성 요청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 간격 데이터로부터 옵셋 데이터를 생성하는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과, 상기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옵셋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옵셋 시계를 생성하는 옵셋 시계 생성 과정과, 상기 옵셋 시계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상 기 옵셋 시계로부터 시각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시간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부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기준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기준 시계부와, 상기 기준 시각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간 간격 데이터로부터 옵셋 데이터를 발생하는 시간 제어부와, 상기 시간 제어부에서 발생한 상기 옵셋 데이터를 이용하여 옵셋 시계를 생성하고 운용하는 옵셋 시계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 경우, 상기 옵셋 시계부로부터 상기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표시부(150), 키 입력부(160), 저장부(170), 제어부(190)를 포함하며 제어부(190)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계 운용부(12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전송받고, 무선 채널을 통해 이를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반대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9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LCD의 화면을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90)에게 전달한다.
시계 운용부(120)는 이동통신 단말(100)기 내부의 모든 시계를 생성 및 운용한다. 이를 위해 시계 운용부(120)는 기준 시계부(122), 시간 제어부(124), 및 옵셋 시계부(126)를 포함한다. 특히, 옵셋 시계부(126)는 표준 시계(127), DRM 관리용 시계(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준 시계부(122)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기준 시각 정보 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기준 시각 정보는 어떠한 경우에도 변경이 불가능한 시각 정보이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적으로 운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준 시계부(122)의 기준 시각 정보를 알 수 없다.
이러한 기준 시계부(122)는 특정 주파수의 기준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Oscillator)와,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된 기준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기준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시간 계산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시각 발생 장치(RTC: Real Time Clock;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시각 정보는 시(Hour), 분(Minute), 및 초(Second)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 정보와 일(Day), 주(Week), 월(Month), 및 년(Year) 정보를 포함하는 날짜 정보를 모두 포함한 정보를 지칭한다.
시간 제어부(124)는 옵셋 데이터(offset data)를 저장한다. 즉 사용자가 옵셋 시계를 생성하기 위해 원하는 시간 간격 데이터를 입력하면, 시간 제어부(124)는 입력된 시간 간격 데이터에 대응하는 옵셋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후술되는 옵셋 테이블에 저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옵셋 시계는 기준 시각 정보 또는 표준 시계(127)의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옵셋(offset)을 부가하여 생성하는 시계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생성 및 제거가 가능하다. 옵셋 시계는 사용자가 시간 간격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옵셋 시계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시각 정보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옵셋 시계는 개수에 제한 없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 개를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옵셋 시계부(126)에 의해 생성 및 운용된다.
옵셋 시계부(126)는 옵셋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옵셋 시계를 생성하고 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옵셋 시계부(126)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옵셋 시계 즉, 표준 시계(127)와 DRM 관리용 시계(128)를 상시 운용한다.
표준 시계(127)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기본적으로 이용되는 현재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옵셋 시계로, 사용자가 임의로 시각 정보를 변경할 수는 있으나, 제거할 수는 없다.
DRM 관리용 시계(128)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DRM 콘텐츠(예컨대, time-bound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옵셋 시계로, 내부에 시각 정보 변경을 위한 인증용 암호 코드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임의로 제거할 수 없다. 인증용 암호 코드는 DRM 관리용 시계(128)의 시각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반적인 키 입력부(160) 조작 등을 통해 시각 정보를 변경할 수 없으며, 암호 코드를 통해 인증 받을 수 있는 경우에만 시각 정보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DRM 관리용 시계(128)의 암호 코드를 통한 인증은 DRM 콘텐츠를 인증하는 DRM 인증 서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즉, DRM 관리용 시계(128)의 시각 정보가 DRM 인증 서버의 시각 정보와 다른 경우, DRM 인증 서버가 DRM 관리용 시계(128)의 시각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표준 시계(127)와 DRM 관리용 시계(128)는 제거되지 않고 상시 운용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조 시에 미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옵셋 시계부(126)는 표준 시계(127)와 DRM 관리용 시계(128) 이외에 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되는 모든 옵셋 시계들을 운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옵셋 시계부(126)는 기준 시계부(122)에서 전송되는 클럭을 모든 옵셋 시계들에게 실시간으로 적용하며 모든 옵셋 시계들을 내부적으로 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옵셋 시계를 미리 생성하여 운용하지 않고, 특정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 출력 요청이 발생된 경우, 해당 옵셋 시계를 신속하게 생성하여 해당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70)에는 옵셋 시계 생성 시 참조되는 옵셋 데이터가 저장된다. 옵셋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옵셋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옵셋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옵셋 테이블은 일련번호 필드와, 이름 필드, 옵셋 데이터 필드, 및 표준 시계 연동 필드를 포함한다.
일련번호 필드는 생성되는 옵셋 시계에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번호가 저장되는 필드로, 후술되는 시간 제어부(124)에 의해 자동적으로 입력된다.
이름 필드는 생성된 옵셋 시계를 지칭하는 명칭이 저장되는 필드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된다.
옵셋 데이터 필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간격 데이터에 대응하는 옵셋 데이터가 저장되는 필드이다. 본 실시예에서 옵셋 데이터 필드에는 사용자가 표준 시 계(127)의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한 시간 간격 데이터가 그대로 옵셋 데이터로 입력되거나, 기준 시계부(122)의 기준 시각 정보와 연동될 수 있도록 시간 간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데이터가 옵셋 데이터로 입력된다.
표준 시계 연동 필드는 표준 시계(127)와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필드이다. 옵셋 시계가 표준 시계(127)와 연동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시간 제어부(124)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간격 데이터를 옵셋 데이터로 하여 옵셋 데이터 필드에는 입력한다. 이 경우, 옵셋 시계는 표준 시계(127)의 시각 정보에 옵셋 데이터를 부가하여 생성된다.
반면에, 옵셋 시계가 표준 시계(127)와 연동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경우 즉, 옵셋 시계가 기준 시계부(122)와 연동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시간 제어부(124)는 기준 시각 정보와 연동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생성하여 옵셋 데이터 필드에 입력한다. 따라서, 옵셋 시계는 기준 시계부(122)의 기준 시각 정보에 옵셋 데이터를 부가하여 생성된다.
옵셋 테이블에 관해서는 후술되는 시계 운용 방법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통신에 필요한 제어 및 기타 부가 서비스 등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키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신호 또는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시계 운용 방법 방법에 대 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시계 운용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데이터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계 운용 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 상태(S11)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160) 등을 통하여 시계 설정 요청이 입력된다(S12). 사용자로부터 시계 설정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표시부(150)에 시간 데이터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S13).
시간 데이터 입력 화면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데이터 입력 화면에는 현재의 시각을 표시하는 부분과, 사용자가 생성할 시계의 명칭을 입력하는 부분과, 생성할 시계와 현재 시각과의 시간 간격 데이터를 입력하는 부분과, 표준 시계(127)와 연동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부분, 및 입력된 시간 간격 데이터가 적용된 시각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때, 현재의 시각을 표시하는 부분은 옵셋 시계부(126)의 표준 시계(127)가 이용된다. 즉 제어부(190)는 표준 시계(127)의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현재 시각으로 표시한다.
이처럼 시간 데이터 입력 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생성하기 원하는 시계의 이름과 시간 간격 데이터, 및 표준 시계 연동 필드 여부를 입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 4b에는 생성할 시계의 명칭으로 '10분 빠른 시계 I'이 입력되고, 시간 간격 데이터로 '00:10:00'이 입력되며, 표준 시계 연동 필드는 'No'가 입력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생성하기 원하는 시계의 이름과 시간 간격 데이터를 입력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화면의 하단부에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간격 데이터를 적용한 시각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가 생성하기 원하는 시계의 명칭과 시간 간격 데이터, 및 표준 시계 연동 필드 여부를 모두 입력한 후 '완료'키(162)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90)는 시간 간격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정보가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한다(S14).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에 표시되는 '완료'키(162)를 통해 시간 간격 데이터 입력 완료 명령을 입력하게 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완료'키(162)가 입력되면, 시간 제어부(124)는 입력된 정보를 옵셋 테이블에 저장한다. 새로운 시계의 명칭은 옵셋 테이블의 이름 필드에 저장하고, 시간 간격 데이터는 옵셋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며, 표준 시계 연동 필드 여부는 표준 시계 연동 필드에 저장한다(S15).
입력된 정보를 옵셋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표준 시계 연동 필드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Yes인 경우, 시간 제어부(124)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간격 데이터를 수정 없이 옵셋 데이터 필드에 저장한다. 반면에 표준 시계 연동 필드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No인 경우, 시간 제어부(124)는 시간 간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옵셋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의 기준 정보 시각이 00:01: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2번 레코드의 표준 시계(126)의 시각 정보는 기준 정보 시각에 옵셋 데이터(+00:05:35)를 부가하여 생성되므로, 현재 표준 시각이 00:06:35임을 알 수 있다.
3번 레코드는 '10분 빠른 시계 I'이며,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간격 데이터는 10분(00:10:00)이다. 이 경우, 표준 시계 연동 필드가 Yes이므로, '10분 빠른 시계 I'은 표준 시계(127)의 시각 정보(00:06:35)에 10분을 더한 시각 정보(00:16:35)를 갖게 되며, 시간 제어부(124)는 표준 시계(127)와 옵셋 시계의 시간 간격인 10분(+00:10:00)을 옵셋 데이터 필드에 입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준 시계(127)의 시각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10분 빠른 시계 I'은 항상 변경된 표준 시계(127)의 시각 정보에 10분이 더해진 시각 정보를 나타내게 된다.
반면에, 4번 레코드의 '10분 빠른 시계 II'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간격 데이터는 '10분 빠른 시계 I'과 동일하게 10분(00:10:00)이지만, 표준 시계 연동 필드가 No이다. 따라서, 시간 제어부(124)는 표준 시계(127)의 시각 정보에 10분을 더한 시각 정보(00:16:35)와, 기준 시계부(122)의 기준 시각 정보(00:01:00)와의 시간 차(+00:15:35)를 옵셋 데이터로 생성한다. 옵셋 데이터가 생성되면, 시간 제어부(124)는 생성된 데이터를 옵셋 데이터 필드에 입력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옵셋 테이블의 각 필드에 각각의 데이터가 입력되어 저장되면, 옵셋 시계부(126)는 옵셋 테이블을 참조하여 새로운 옵셋 시계를 생성한다(S16). 본 실시예에 따른 옵셋 시계부(126)는 새로운 옵셋 테이블의 레코드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옵셋 시계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옵셋 시계부(126)는 먼저 옵셋 테이블의 표준 시계 연동 필드의 데이터가 Yes인지 No인지를 판단한다.
Yes인 경우, 옵셋 시계부(126)는 표준 시계(127)의 시각 정보에 해당 옵셋 데이터를 부가하여 새로운 옵셋 시계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생성된 옵셋 시계는 지속적으로 표준 시계(127)의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운용된다. 따라서 표준 시각의 시각 정보가 변경되면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도 함께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No 인 경우, 옵셋 시계부(126)는 기준 시계부(122)의 기준 시각 정보에 해당 옵셋 데이터를 부가하여 새로운 옵셋 시계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생성된 옵셋 시계는 지속적으로 기준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운용된다. 따라서 표준 시계(127)와는 무관하게 운용되며, 표준 시계(127)의 시각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는 변경되지 않고 계속 유지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옵셋 시계가 생성되면, 옵셋 시계부(126)는 기준 시계부(122)에서 발생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된 옵셋 시계를 운용한다.
한편, 전술된 옵셋 시계 생성 과정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옵셋 시계가 생성되어 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옵셋 시계 표시 요청이 입력되는 과정이 진행된다(S17). 사용자에 의해 옵셋 시계 표시 요청이 입력되면, 옵셋 시계부(126)는 현재 생성되어 있는 모든 옵셋 시계의 목록을 표시한다(S18). 이에 사용자가 보기 원하는 특정 옵셋 시계를 선택하면(S19), 옵셋 시계부(126)는 선택된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S20). 이에 사용자는 선택한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옵셋 시계 목록 표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옵셋 시계의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각 옵셋 시계의 이름을 나열할 때, 나열된 각 옵셋 시계의 이름 옆에 해당 시각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 사용자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계 운용 방법은 먼저 대기 상태(S51)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160) 등을 통하여 시계 설정 요청이 입력된다(S52). 사용자로부터 시계 설정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도 6과 같은 사용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 선택 화면에는 새로운 옵셋 시계를 생성하기 위한 '옵셋 시계 생성'메뉴(164)와, 기존에 생성되어 있는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옵셋 시계 변경'메뉴(166)와, 생성되어 있는 옵셋 시계를 제거하기 위한 '옵셋 시계 제거'메뉴(168)가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가 표시된 세 가지 메뉴들 중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가 '옵셋 시계 생성'메뉴(164)를 선택한 경우(S53), 제어부(19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며 옵셋 시계를 생성하고 표시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도면 부호 S54 내지 S61 과정은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도면부호 S13 내지 S20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옵셋 시계 변경'메뉴(166)를 선택한 경우(S531), 제어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어 운용되고 있는 모든 옵셋 시계의 목록을 표시한다(S532). 표시부(150)에 모든 옵셋 시계의 목록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변경하기 원하는 특정 옵셋 시계를 선택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533). 특정 옵셋 시계가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이를 시간 제어부(124)에 알린다.
시간 제어부(124)는 선택된 옵셋 시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부(150)에 데이터 변경 화면을 표시한다(S534).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경 화면은 전술된 실시예의 시간 데이터 입력 화면(도 4b)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데이터 변경 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시계의 명칭을 입력하는 부분과, 생성할 시계와 현재 시각과의 시간 간격 데이터를 입력하는 부분, 및 표준 시계(127)와 연동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변경한 후, '완료'키(도 4b의 162)를 입력하면(S535), 시간 제어부(124)는 모든 정보의 변경이 완료된 것으로 인지하고, 시간 제어부(124)는 변경된 정보를 옵셋 테이블의 각 필드에 저장한다(S536).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옵셋 테이블의 각 필드에 변경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저장되면, 옵셋 시계부(126)는 해당 옵셋 시계에 변경된 데이터를 적용한 후(S537), 기준 시계부(122)에서 발생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된 옵셋 시계를 운용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옵셋 시계 제거'메뉴(168)를 선택한 경우(S5311), 제어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어 운용되고 있는 모든 옵셋 시계의 목록을 표시한다(S5312). 표시부(150)에 모든 옵셋 시계의 목록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제거하기 원하는 특정 옵셋 시계를 선택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5313). 특정 옵셋 시계가 선택되면, 시간 제어부(124)는 선택된 옵셋 시계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하고, 옵셋 시계부(126)를 통해 해당 옵셋 시계를 제거한다(S531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옵셋 시계를 생성할 수 있고, 각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개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원하는 시각 정보를 갖는 개인화된 시계를 직접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시계 운용부가 제어부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계 운용부가 제어부 외부에 별도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시계 운용부 및 시계 운용 방법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디지털시계를 갖는 모든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는 기준이 되는 시간 정보에 옵셋 데이터를 부가하여 생성되고 운용되는 옵셋 시계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각 정보를 갖는 옵셋 시계를 임의로 생성하여 개인화된 시계(personalized clock)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1)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기준 시각 정보와, 상기 기준시각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셋 시계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 간격 데이터로부터 옵셋 데이터를 생성하는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과,
    상기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옵셋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옵셋 시계를 생성하는 옵셋 시계 생성 과정과,
    상기 옵셋 시계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옵셋 시계로부터 시각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시간 표시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시각 정보는 변경이 불가능한 시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의 상기 옵셋 데이터는,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상기 옵셋 시계가 상기 기준 시각 정보와 연동되도록 상기 시간 간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시계 생성 과정의 상기 옵셋 시계는,
    상기 기준 시각 정보에 상기 옵셋 데이터를 부가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시계는 현재의 시각 정보를 갖는 표준 시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은,
    상기 시간 간격 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옵셋 데이터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시계 생성 과정의 상기 옵셋 시계는,
    상기 표준 시계의 시각 정보에 상기 옵셋 데이터를 부가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은,
    시간 데이터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시계 생성 화면 표시 과정과,
    상기 시계 생성 화면 표시 과정에서 표시된 상기 시간 데이터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시간 간격 데이터를 입력받아 설정하는 시간 간격 데이터 설정 과정과,
    상기 시간 간격 데이터 저장 과정에서 설정된 상기 시간 간격 데이터로부터 상기 옵셋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시계 생성 화면 표시 과정의 상기 시간 데이터 입력 화면은,
    상기 표준 시계의 시각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표시 과정은,
    시계 표시 요청이 입력되고, 생성된 모든 상기 옵셋 시계의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과,
    상기 목록 표시 과정에서 표시된 하나 이상의 상기 옵셋 시계 중 소정의 상기 옵셋 시계가 선택되는 시계 선택 과정과,
    상기 시계 선택 과정에서 선택된 상기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옵셋 시계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옵셋 시계 생성 요청, 옵셋 시계 변경 요청, 또는 옵셋 시계 제거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이 입력되는 설정 요청 입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요청 입력 과정에서 입력된 요청이 상기 옵셋 시계 생성 요청이면,
    상기 옵셋 데이터 생성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요청 입력 과정에서 입력된 요청이 상기 옵셋 시계 변경 요청이면,
    상기 기준 시각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이미 생성된 상기 옵셋 시계의 상기 시각 정보를 변경하는 시계 변경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변경 과정은,
    이미 생성된 상기 옵셋 시계들에 대한 전체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과,
    상기 목록 표시 과정에서 소정의 상기 옵셋 시계가 선택되었을 시, 상기 선택된 옵셋 시계에 대한 데이터 변경 화면을 표시하는 변경 화면 표시 과정과,
    상기 변경 화면 표시 과정에서 표시된 상기 데이터 변경 화면을 통해 상기 시간 간격 데이터를 입력받는 시간 간격 데이터 재 입력 과정과,
    상기 시간 간격 데이터 재 입력 과정에서 입력된 상기 시간 간격 데이터로부터 상기 옵셋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재 생성 과정과,
    상기 데이터 재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옵셋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를 변경하는 옵셋 시계 변경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요청 입력 과정에서 입력된 요청이 상기 옵셋 시계 제거 요청이면,
    기 생성된 상기 옵셋 시계들에 대한 전체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과,
    상기 목록 표시 과정에서 소정의 상기 옵셋 시계가 선택되었을 시, 상기 선택된 옵셋 시계에 대한 옵셋 데이터, 및 상기 선택된 옵셋 시계를 제거하는 시계 제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16.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기준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기준 시계부와,
    상기 기준 시각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간 간격 데이터로부터 옵셋 데이터를 발생하는 시간 제어부와,
    상기 시간 제어부에서 발생한 상기 옵셋 데이터를 이용하여 옵셋 시계를 생 성하고 운용하는 옵셋 시계부와,
    상기 옵셋 시계부로부터 상기 옵셋 시계의 시각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계부의 상기 기준 시각 정보는 변경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시계부는, 상시 운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옵셋 시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운용되는 옵셋 시계는 현재의 시각을 나타내는 표준 시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시 운용되는 상기 옵셋 시계는 DRM 관리용 시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DRM 관리용 시계는 인증용 암호 코드를 내장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암호 코드와 상기 인증용 암호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 기 DRM 관리용 시계의 상기 시각 정보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장치.
KR1020060099354A 2006-10-12 2006-10-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078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354A KR100784976B1 (ko) 2006-10-12 2006-10-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
US11/821,053 US8578270B2 (en) 2006-10-12 2007-06-20 Clock operation method and module for mobile terminal
EP07016088A EP1914968B1 (en) 2006-10-12 2007-08-16 Clock operation method and module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354A KR100784976B1 (ko) 2006-10-12 2006-10-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976B1 true KR100784976B1 (ko) 2007-12-11

Family

ID=3909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354A KR100784976B1 (ko) 2006-10-12 2006-10-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78270B2 (ko)
EP (1) EP1914968B1 (ko)
KR (1) KR100784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2712B2 (en) * 2012-09-28 2016-03-22 St-Ericsson Sa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secure time
US9239747B1 (en) * 2013-09-16 2016-01-19 Google Inc. Image timestamp correction using metadata
US20160103425A1 (en) * 2014-10-14 2016-04-14 Big H Ventures, LLC.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an Intentionally Inaccurate Count of Time
WO2021014614A1 (ja) * 2019-07-24 2021-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時刻同期装置、時刻同期方法及び時刻同期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191A (ko) * 2004-11-1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클럭 휴대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0159B2 (en) * 1994-02-18 2007-04-24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utilizing electronic programs guide information
US5051967A (en) * 1990-12-13 1991-09-24 Dismond Iii Samuel R Randomly self-advancing timepiece
US5386398A (en) * 1990-12-28 1995-01-3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isplay of partly randomized time
US5821910A (en) * 1995-05-26 1998-10-1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lock generation circuit for a display controller having a fine tuneable frame rate
US5845257A (en) * 1996-02-29 1998-12-01 Starfish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s for scheduling and tracking events across multiple time zones
US7167763B2 (en) * 1997-09-24 2007-01-2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layer/recorder system
JP3225915B2 (ja) * 1998-02-19 2001-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CA2460995A1 (en) * 2001-09-21 2003-03-27 Quartex, Inc. Time keeping system with automatic daylight savings time adjustment
US20030169642A1 (en) * 2002-03-08 2003-09-11 Quartex, Inc., A Division Of Primex, Inc. Time keeping system with automatic daylight savings time adjustment
US7146504B2 (en) * 2002-06-13 2006-12-05 Microsoft Corporation Secure clock on computing device such as may be required in connection with a trust-based system
DE60330646D1 (de) 2003-03-20 2010-02-04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Mobilgerät mit Zeitsteuerung für ein digitales Rechteverwaltungsverfahren (DRM)
US7233349B2 (en) * 2004-09-01 2007-06-19 Videotek, Inc. Video timing display indicator
US7861308B2 (en) * 2005-11-28 2010-12-28 Sony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using trusted time
US20080266453A1 (en) * 2007-04-25 2008-10-30 Broadcom Corporation Automatic Determination of Local Time for Terrestrial Broadcast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100902601B1 (ko) * 2007-05-17 2009-06-12 한양네비콤주식회사 무선 시각송수신시스템 및 무선 시각동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191A (ko) * 2004-11-1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클럭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4968A2 (en) 2008-04-23
EP1914968B1 (en) 2012-01-25
US20080091968A1 (en) 2008-04-17
EP1914968A3 (en) 2009-11-18
US8578270B2 (en)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55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스케줄 관리 방법
KR1004746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US8437225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outputting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an event for which an alarm is set on an electronic device
KR20070036516A (ko) 스케줄 관리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84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운용 방법 및 장치
WO2006031405A1 (en) Methods of operating radio communications devices including predefined streaming times and addresses and related devices
JP2002328903A (ja) 電子機器
US2008012699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alerting a user of schedule information
JP200925914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
JP2004184161A (ja) 電子機器、時計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3898211B2 (ja) キャラクタメッセージ出力装置
JP2007304645A (ja) 無線通信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40907A (ja) 携帯端末、icカード、パスコード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パスコード生成方法
KR100656670B1 (ko) 음원의 유효기간 알림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655971B1 (ko) 예약동기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예약동기화방법
JP4926545B2 (ja) 画面切替装置、画面切替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KR1006393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계시간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3793167B2 (ja) キャラクタメッセージ出力装置
JP2007048299A (ja) アラーム手段における通知形態の演出変化方法と装置
JP2003244283A (ja) 端末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CN108833706A (zh) 闹钟设置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04948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CN104572174A (zh) 一种自动唤醒终端屏幕的方法及装置
JP2004302686A (ja) 仮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651126B1 (ko) 알람 변경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알람의 연계적 관리가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