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557B1 -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557B1
KR100782557B1 KR1020060023753A KR20060023753A KR100782557B1 KR 100782557 B1 KR100782557 B1 KR 100782557B1 KR 1020060023753 A KR1020060023753 A KR 1020060023753A KR 20060023753 A KR20060023753 A KR 20060023753A KR 100782557 B1 KR100782557 B1 KR 100782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oil storage
glass fiber
fiber reinforced
ureth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655A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06002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55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5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against electric shocks or static 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랙 또는 파손 부위를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파손 부위에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경화되기 전 발포우레탄을 부착하는 단계, 부착된 발포우레탄의 표면에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다시 한 번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단계는 유류저장탱크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바, 유류저장탱크를 지상으로 꺼내지 아니하고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유류저장탱크의 크랙과 파손 부위를 보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을 제공한다.
유류저장탱크,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발포우레탄

Description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Method for repairing oil tank}
도 1은 일반적인 유류저장탱크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본 발명은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크랙이 발생되거나 파손된 부위에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과 발포우레탄을 도포 및 접착시켜 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저장탱크는 주유소, 공장 또는 대형건물 등의 지하에 매설되어 휘발유, 등유, 경유, LNG 또는 LPG와 같은 유류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유류저장탱크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류저장탱크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고 그 내부에 유류가 저장되는 탱크본체(10)와, 외부로부터 탱크본체(10)의 내부로 유류를 충전시키기 위한 공급관(12)과, 펌프(14)의 구동에 의해 탱크본체(10) 내부의 유류를 외부로 압송시키는 배출관(16)과, 유류의 충 전 및 배출에 따라 탱크본체(10) 내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통기관(18)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유류저장탱크를 지하에 매설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첫째, 유류저장탱크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그 일부가 파손될 경우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어, 유류저장탱크를 지하에 매설한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노후화되어 지반의 압력 또는 지상으로부터 인가되는 작은 압력에도 크랙이 발생되거나 그 일부가 파손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크랙이 발생되거나 그 일부가 파손되면 그를 통해 유류저장탱크의 내부로 지하수 또는 우수가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둘째, 지하에 매설되는 일반적인 유류저장탱크는 별도의 단열처리 없이 제작되므로 외부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해 유류저장탱크 내부에 존재하던 기체 상태의 수분이 응축되어 액체 상태가 되고, 그 온도차가 심할 경우 유류저장탱크의 내벽에 달라붙어 결빙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두 가지 원인에 의해 탱크에 저장된 유류에 수분이 혼합되는 경우 유류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바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보수작업은 크랙 및 파손 부위를 탱크본체의 외부에서 보수하므로 유류저장탱크를 지상으로 꺼내는 작업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굴삭기 또는 기중기와 같은 중장비가 필요하며, 많은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지상으로 꺼낸 유류저장탱크를 보수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하므로 넓은 작업공간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상으로 꺼내지 아니하고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유류저장탱크의 크랙과 파손 부위를 보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은, 크랙 또는 파손 부위를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파손 부위에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경화되기 전 발포우레탄을 부착하는 단계, 부착된 발포우레탄의 표면에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다시 한 번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단계는 유류저장탱크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은 지하에 매설된 유류저장탱크에 크랙이 생기거나 파손될 경우 이를 보수하는 방법으로 유류저장탱크의 외부가 아니 내부에서 보수하는 방법이다. 즉, 유류저장탱크를 보수하기 위해 작업자는 필히 유류저장탱크의 내부로 들어가야 한다.
상기와 같이 유류저장탱크의 내부에서 크랙 및 파손 부위를 보수하는 본 발 명은, 크랙 또는 파손 부위를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파손 부위에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경화되기 전 발포우레탄을 부착하는 단계, 부착된 발포우레탄의 표면에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다시 한 번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별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 첫 번째인 세척 단계는 유류저장탱크 중 보수가 요구되는 부위, 즉 크랙 및 파손이 발생된 부위(이하, 파손 부위라 함)를 세척하는 단계로, 유류저장탱크의 파손 부쉬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세척 작업은 통상 고압으로 물을 파손 부위에 직접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유류 등을 저장하는 탱크에 부착된 이물질에는 유분을 포함하고 있는 바, 고압의 물만으로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유분 제거용 세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 작업이 완료되면, 파손 부위에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건조 작업은 압축 공기 등에 의한 일반적인 건조 작업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세척 및 건조 작업이 완료되면, 파손 부위에 소정의 두께로 접착제를 도포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 FRP)으로 파손 부위를 중심으로 넓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 ~ 4㎜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케블라 등의 방향족 나일론 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를 결합한 물질로,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강하며, 특히 내구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녹슬지 않고, 열에 변형되지 않으며, 가공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도포 작업이 완료되면, 파손 부위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발포우레탄을 부착하게 된다.
상기 발포우레탄은 복수개의 단위 발포우레탄을 서로 인접하게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단위 발포우레탄은 외부에서 소정의 크기로 제작되어 공급된다. 이와 같이 발포우레탄을 복수개의 단위 발포우레탄으로 형성하는 까닭은 유류저장탱크의 유류 주입구를 통해 그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발포우레탄의 크기가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즉, 이미 형성된 유류저장탱크의 유류 주입구보다 큰 크기의 발포우레탄은 인입이 불가능하므로, 그 보다 작은 크기의 단위 발포우레탄을 복수로 제작한 뒤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발포우레탄은 이소시안산염화합물과 글리콜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을 구성 재료로 하고, 산화탄소 및 프레온과 같은 휘발성 용제를 발포제로 혼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밀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간단히 발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보수 작업 시 발포우레탄을 현장 발포를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장 발포를 할 경우 발포우레탄이 경화될 때까지 작업이 지연되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므로 기 제작된 발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 제작된 발포우레탄의 두께는 15 ~ 3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25㎜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발포우레탄은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경화되기 전 부착하여야만 한다.
발포우레탄의 부착이 완료되면, 그 표면에 다시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도포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한 번 더 도포하는 이유는, 발포우레탄의 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함과 동시에 발포우레탄이 유류와 접촉하여 반응하는 것을 방직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유류저장탱크의 크랙 및 파손 부위를 보수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류저장탱크의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심할 경우 발생되는 수분의 결빙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류저장탱크의 내벽 전체를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수하여 단열이 가능한 유리저장탱크로 보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은, 유류저장탱크를 지상으로 꺼내지 아니하고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유류저장탱크의 크랙과 파손 부위를 보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유류저장탱크의 내벽 전체를 보수할 경우 유류저장탱크의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심할 경우에도 수분의 결빙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유류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지하에 매설된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크랙 또는 파손 부위를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파손 부위에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 FRP)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경화되기 전 발포우레탄을 부착하는 단계;
    부착된 발포우레탄의 표면에 액체 상태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다시 한 번 도포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단계는 유류저장탱크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우레탄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단위 발포우레탄을 서로 인접하게 부착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포우레탄의 두께는 15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두께는 최소 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KR1020060023753A 2006-03-14 2006-03-14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8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53A KR100782557B1 (ko) 2006-03-14 2006-03-14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53A KR100782557B1 (ko) 2006-03-14 2006-03-14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55A KR20070093655A (ko) 2007-09-19
KR100782557B1 true KR100782557B1 (ko) 2007-12-06

Family

ID=3868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7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2557B1 (ko) 2006-03-14 2006-03-14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556A (ko) * 2015-02-09 2016-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공급시스템
KR101682361B1 (ko) 2016-08-31 2016-12-05 조태영 저장탱크의 보수 및 라이닝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2085A (ja) * 1988-07-15 1990-03-12 Ozite Corp 貯蔵タンクおよび貯蔵タンクを製造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2085A (ja) * 1988-07-15 1990-03-12 Ozite Corp 貯蔵タンクおよび貯蔵タンクを製造する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556A (ko) * 2015-02-09 2016-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공급시스템
KR102250483B1 (ko) * 2015-02-09 2021-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공급시스템
KR101682361B1 (ko) 2016-08-31 2016-12-05 조태영 저장탱크의 보수 및 라이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55A (ko)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28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ipe repair
CA2950056C (en) Repair of pipes
US6386236B1 (en) Method of prestressing and reinforcing damaged cylindrical structures
KR100782557B1 (ko)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KR101607525B1 (ko) 지하매설관의 부분 파손 및 균열 보수를 위한 비씨피 공법
WO2020199729A1 (zh) 制冷系统管路的密封方法
US10408373B2 (en) Large diameter pipe lining and repair
JP2006231153A (ja) 既設鋼製貯油埋設タンク内のクリーニング方法
US20040175559A1 (en) Liner for waste water system rehabilitation
KR101913625B1 (ko) 비굴착 상,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JP2002211685A (ja) 燃料タンク補修方法
US20010002022A1 (en) Hybrid steel/fiberglass underground storage tank
KR100772080B1 (ko) 설치 배관 가공방법
EP1272342B1 (en) Liner for waste water system rehabilitation
KR20050067522A (ko) 비굴착식 강화플라스틱관 신설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2159A (ko) 매설관 보수 공법
KR101273603B1 (ko) 맨홀 보수방법
US20210207756A1 (en) Method of Reinforcing Pipe and Reinforced Pipe
CN112743881A (zh) 一种玻璃钢储罐补漏方法
Weatherhead Site Application of Laminates
KR20060109749A (ko) 기설 강제 저유 매설 탱크 내의 에프알피 라이닝 시공 방법
JP2002001212A (ja) 配管内面の耐火更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