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272B1 -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272B1
KR100782272B1 KR1020060129956A KR20060129956A KR100782272B1 KR 100782272 B1 KR100782272 B1 KR 100782272B1 KR 1020060129956 A KR1020060129956 A KR 1020060129956A KR 20060129956 A KR20060129956 A KR 20060129956A KR 100782272 B1 KR100782272 B1 KR 100782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gateway
automatic diagnosis
command
diagnosi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훈
이규석
서두수
백송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129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용자가 사전에 웹으로 접속하여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서버에 명령어를 등록하여 지정한 후, 스케줄링을 통하여 예약된 시간에 자동으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명령을 수행하고, 명령의 수행 결과 중 불량한 내역만 스크립트 아웃풋 파싱, 분석, 보고, 통계 등 체계화된 운용 방식으로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은 운용자의 제어에 따라 자신의 자동진단 영역 내에 있는 임의의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자동으로 진단하고, 자동진단을 통해 수집한 장애 결과를 상위 서버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와; 이종의 서로 다른 통신망 또는 전송 데이터의 종류에 무관하게 연동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의 각각의 장애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에서 운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명령과 예약된 스케쥴링 기능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에 대해 현재 상태조회 명령하고, 수신된 명령수행 결과에 나타난 오류 사항들을 수집, 분석하여 이를 저장 관리하고, 분석된 결과 정보(통계데이타)를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로 전달한다.

Description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ACCESS GATE WAY AUTO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 및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에 실장된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에 구성관리 기능을 설정할 때, 관리 계층을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관리 계층을 등록할 때 관리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의 운용 절차에서 원시 명령어 등록 및 원시 스크립트를 만드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의 운용 절차에서 실행스크립트를 만드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의 운용 절차에서 스케쥴을 등록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의 운용 절차에서 명령어 수행 및 응답 패턴 분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의 운용 절차에서 각각의 지역 서버에서 중앙 서버로 수집하여 분석한 장애 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
200 : MIH/IP 망
300,300a-300n :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
400 : 엑세스 게이트웨이
본 발명은 통신망에 구비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텔넷 접속으로 명령을 수행하는 모든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미리 등록된 명령어 및 운용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진단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기술분야의 급격한 발전에 힘입어 음성, 패킷,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들이 다양한 전기 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 방식들로 송수신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다양한 통신망은 여러 종류의 통신장비들로 구성되는데, 대표적인 통신 장비로 가입자 간의 호의 경로와 회선을 선택하여 디지털 교환기와 연결을 절체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AGW)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통신망의 규모에 따라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들이 소정의 트리(Tree) 구조를 갖는다.
종래에는 엑세스 게이트웨이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경보 또는 이벤트 등을 운용자에게 알려주었다. 따라서, 통신망을 관리하는 운용자는 경보 또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적절하게 엑세스 게이트웨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유지 및 보수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유지 및 보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요소 관리 시스템 (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이 제안되었다. 요소 관리 시스템은 전기 통신망의 요소장치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EMS는 요소장치들의 기능과 성능을 관리하며 다른 통신망 요소간의 통합관리 관리를 위해서 상위 레벨의 망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과 통합 운용된다.
예를 들어, EMS에서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유지 및 보수하는 경우, 운용자가 수동으로 장비제조회사별 또는 종류별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프로세서, 장치, 포트상태 등의 명령어를 수행하고, 출력된 결과[수천~수만 개의 라인] 중 불량한 상태의 요소를 찾아내어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유지 및 보수하였다.
그러나, EMS는 가입자를 포함하는 각각의 통신 장비들의 개별 포트정보는 매 우 많은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개별 포트정보를 포함한 모든 감시기능을 제공할 수는 없었다.
또한, 운용되는 대부분의 전기 통신망의 각각의 요소장치는 하나의 통신장비 제조사의 제품이 아니라 여러 통신장비 제조사의 제품들이기 때문에 수많은 양의 가입자 불량 정보를 수조작으로 확인하고 이를 조치하기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용자가 사전에 웹으로 접속하여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서버에 명령어를 등록하여 지정한 후, 스케줄링을 통하여 예약된 시간에 자동으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명령을 수행하고, 명령의 수행 결과 중 불량한 내역만 스크립트 아웃풋 파싱, 분석, 보고, 통계 등 체계화된 운용 방식으로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엑세스 게이트웨이 종류와 제조사에 관계없이 텔넷 접속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엑세스 게이트웨이로 현재 상태조회 명령을 내리고 그 결과를 자동 진단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은 운용자의 제어에 따라 자신의 자동진단 영역 내에 있는 임의의 엑세스 게 이트웨이를 자동으로 진단하고, 자동진단을 통해 수집한 장애 결과를 상위 서버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와; 이종의 서로 다른 통신망 또는 전송 데이터의 종류에 무관하게 연동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의 각각의 장애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는 미리 설정된 명령과 예약된 스케쥴링 기능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에 대해 현재 상태조회 명령하고, 수신된 명령수행 결과에 나타난 오류 사항들을 수집, 분석하여 이를 저장 관리하고, 분석된 결과 정보(통계데이타)를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 또는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는 멀티테스킹이 가능한 운용체제(OS), 운용체제를 사용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타를 저장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 웹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운용체제는 관리조직과 관리대상을 트리형상으로 묶어 관리하는 구성관리 기능과; 상태조회 명령어와 응답패턴을 등록하는 명령어관리 기능과; 사용자를 등록, 관리하는 보안관리 기능; 그리고 상태조회된 결과를 통계 유형별로 조회할 수 있는 통계/이력관리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구성관리 기능은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 유형 등록, 본부 등 관리계층 등록, 최종 네트워크 요소의 등록, 조회, 수정, 삭제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운용자는 네트워크요소의 유형과 관리 계층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네트워크요소의 유형 등록시 엑세스 게이트웨이 이름, 시스템 종류, IP 주소, 통신tcp 포트, V5 인터페이스 번호, 관리자, 관리자 전화번호의 조건 중에서 선택적으로 조합된 상태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명령어 관리 기능은 소정 명령어가 등록되면, 등록된 명령어들 중 사용하고자 하는 명령어들을 골라 명령어집합을 만들며, 명령어집합을 스케줄러에 의해 구동되게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운용 방법은 운용자의 제어에 따라 자신의 자동진단 영역 내에 있는 임의의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자동으로 진단하는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와;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원시 명령어를 만들어 등록하고, 등록된 원시 명령어 집합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원시스크립트를 만드는 단계와; 네트워크 요소를 등록하고 트리형상에 상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단계와; 실행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에서 상기 실행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자신의 관리 영역에 있는 하나 이상의 엑세스 게이 트웨이의 자동진단 스케줄을 예약 및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에서 상기 예약 및 등록된 스케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자동진단 명령어 수행하고, 응답 결과에 따른 장애상태의 응답 패턴 분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에서 상기 장애 상태의 응답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에서 하위 서버에서 전송한 장애 상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의 구성과 이의 운용방법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은, 하위에 있는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와 동일한 자동진단 기능을 수행하면서,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에서 전송된 자동진단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와; 서로 다른 통신망 또는 데이터의 종류에 무관하게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에서 발신 또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로 착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달하는 MIH/IP 망(200)과; 운용자의 제어에 따라 자신의 자동진단 영역 내에 있는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자동진단을 수행하고, 자동 진단을 통해 수집한 장애 결과를 MIH/IP 망(200)을 통하여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와; 가입자 간의 호의 경로와 회선을 선택하여 디지털 교환기와 연결을 절체하는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는 해당 영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400)에 대해 현재 상태조회 명령하고, 수신된 명령수행 결과에 나타난 오류 사항들을 수집, 분석하여 이를 저장 관리하고, 분석된 결과 정보(통계데이타)를 상위 운용센터(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로 전달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 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는 서로 다른 이종 망간 혹은 미디어에 상관없이 서비스 품질(Qulity of Service; QoS)를 보장하는 심리스(seamless) 핸드오버 기술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는 시스템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시스템 디스크와, 센터 데이터 베이스 및 로그 파일을 저장하는 내장 디스크와,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에서 전송한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내장 디스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는 운용 체제(OS)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시스템 디스크와, 시스템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내장 디스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 및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는 멀티테스킹이 가능한 운용체제(OS), 운용체제를 사용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타를 저장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 웹 서버로 구성된다.
여기서, OS(Operating System)는 멀티태스크를 지원하는 Sun OS 5.9(UNIX) 또는 멀티태스크를 지원하는 Cent OS 4.2(LINUX)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에 사용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C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DE(Common Desktop Environment)는 SUN Solaris용 그래픽 팩키지(Graphic Package)이다. CDE 버젼 1.5 이상이 적용되며, CDE는 운용자와 운용체제간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윈도우 환경을 제공한다. 반면,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에 사용되는 GUI는 GNOM 데스크탑 환경을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는 Oracle버전 9i이상이나, MySQL 버전 5.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서버는 JAVA Version 1.5 이상이나, Tomcat 5.5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 및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에 실장된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스는 도 2와 같이 구성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101)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102) 통해 aServer(103)에 접속하고, 엑세스 게이트웨이에 대한 모든 프로세스 역시 웹 브라 우저(102)를 통해 이루어지나, 실질적인 데이터 통신은 aServer(103) - tServer(104) - 데이터베이스(Dababase)(105) 또는 aServer(103) - tServer(104)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웹 브라우저(102)가 HTTP가 아닌 프로토콜로 직접 통신하는 경우가 있는데, 모두 XML/RMI 통신을 수행한다. 각각의 경우는 아래와 같다.
웹 브라우저(applet) <-> aServer : 중복ip 와 id 방지, 메시지 알림창
웹 브라우저(applet) <-> tServer : ADIS 상태 정보, Event 정보
여기서, aServer에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ADIS 프로그램이 실장되어 있으며, tSever에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동작되는 ADIS 프로그램이 실장되어 있으며, 소정 시간(예를 들면,3개월)이 지난 통계,이력 데이터는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에 보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 및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에 실장된 소프트웨어의 주요기능은 (1)관리조직과 관리대상을 트리형상으로 묶어 관리하는 구성관리 기능과; (2)상태조회 명령어와 응답패턴을 등록하는 명령어관리 기능; (3)사용자를 등록, 관리하는 보안관리 기능; 그리고 (4)상태조회된 결과를 통계 유형별로 조회할 수 있는 통계/이력관리 기능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 각각의 기능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1) 구성 관리기능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 및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에 실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성관리 기능은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 유형(AGW:엑세스 게이트웨이) 등록, 본부 등 관리계층 등록, 최종 네트워크 요소 등록까지의 일련의 구성관련 등록, 조회, 수정, 삭제 기능을 포함한다. 향후 관리 조직이 바뀔 경우를 대비하여 최종 네트워크 요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 형상과는 별도로 등록하며, 네트워크 요소 관리에서 등록 한 후 트리 형상 관리에서 제4 계층인 국소계층의 하위에 연결 또는 분리하는 형태로 운용된다.
구성관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운용자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E 유형" 항목에서 네트워크 요소의 유형을 등록하여야 한다(1). 현재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네트워크 요소로 하고 있기 때문에 NE 유형으로 "AGW" 등록하여야 한다. 네트워크 요소의 유형이 등록된 이후에 하위 관리 계층을 등록할 수 있다.
운용자는 이어 관리 계층을 등록하여야 한다(2). 관리 계층은 해당 NE 유형(AGW)을 관리하는 조직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부, NSC, OMC, 국소가 이에 해당한다. 관리 계층의 각 요소는 명칭만을 입력받아 등록되며 네트워크 요소의 관리구성 체계나 통계성 데이터 결과 출력시 그 범위를 정하는데 사용된다. 구성관련 형상정보(관리계층 등) 및 명령어정보를 엑셀화일일괄 작성한 후 "실행형상엑셀입력"기능을 사용하여 일괄등록 할 수 있다. 이 때에 반드시 본부까지는 등록이 되어 있어야 엑셀입력이 가능하다.
운용자가 등록하는 네트워크 요소(AGW)의 상세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E 관리" 항목에서 입력한다. 이때, 운용자는 엑세스 게이트웨이에 대한 이름, 시스템종류, AGW의 IP Addess, AGW의 통신tcp port, V5인터페이스넘버, 관리 자, 관리자 전화번호 등 상세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네트워크 요소 정보는 독립된 자료로서 관리계층과는 연결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다음에 소개될 "트리형상에 NE 연결" 기능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요소 정보를 관리계층 최하위에 연결해야 한다.
또한, 운용자는 "NE 관리" 항목에서 등록된 엑세스 게이트웨이는 트리형상관리에서 관리계층을 확정한 후, 등록버튼을 누르면 네트워크 요소 등록은 되어 있으나 관리계층에 연결되지 않은 네트워크 요소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이때, 운용자는 해당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계층(트리형상)에 연결한다.
(2) 명령어 관리 기능
운용자가 명령어 관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명령어를 등록하고(1), 등록된 명령어들 중 사용하고자 하는 명령어들을 골라 명령어집합을 만들며(2), 명령어집합을 스케줄러에 의해 구동되게 예약하여야 한다(3). 또한, 지역관리자가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특정 상태를 조회하기 위해 임의대로 특정명령어를 등록, 분석할 수 있는 임의명령어 수행기능도 제공된다.
운용자가 관리대상 시스템 모델이 제공하는 기본명령어를 초기 등록할 때는 명령어의 입력 파라미터를 원시형태로 등록하여야 하며 이를 원시명령어라 지칭한다. 즉, 입력파라미터가 구체화되지 않은 초기형태의 기본명령어 형태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LG TAM_1K 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조회 명령어인 DIS-V5-LLNK:IFC=a; 명령어를 등록할 때는 입력 파라미터인 IFC=a를 원시형태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등록된 원시명령어들을 엑세스 게이트웨이 상태조회의 필요성에 따라 순서에따라 선택한 원시명령어 리스트를 원시스크립트라 지칭한다. 실재 운용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대상으로 상태조회 명령어 리스트를 만들려면 엑세스 게이트웨이 시스템 모델 별로 만들어진 원시스크립트를 선택, 복사한 후 입력 파라미터만 실재 운용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현행값으로 바꾸면 바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리스트가 된다. 이렇게 원시스크립트에서 복사하여 입력 파라미터를 현행화한 실행 가능한 명령어리스트를 실행스크립트라 지칭한다. 실행스크립트에서 DIS-V5-LLNK:IFC=a; 명령어는 DIS-V5-LLNK:IFC=2001003; 처럼 입력 파라미터가 구체화 되어있다. 원시란 시스템 모델 측면에서 모델 별로 만들기 위해, 실행은 실재적으로 운용중인 엑세스 게이트웨이 측면에서 개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지칭하도록 붙여진 명칭이다. 따라서 원시는 모델별로 조회가 되나 실행은 해당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가르키지 않으면 중간 단계(예 OMC)에서 조회되지 않는다.
또한, 통신망의 현장에서 엑세스 게이트웨이가 증설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는 해당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모델에 미리 등록된 원시스크립트를 복사하여 입력 파라미터만 현행화 하면 된다.
이하에서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명령어 등록, 스케줄 등록, 및 통계결과 센터서버 통보까지의 절차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 1단계 : 원시명령어 등록 및 원시스크립트 만들기(도5 참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 에서 최고관리자가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모델(종류)별로 원시명령어 및 응답패턴을 등록하고(S501), 원시명령어들 을 골라 원시스크립트를 작성한다(S502,S503). 이 단계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의 운용자만 실행하며,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증설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의 운용자는 실행하지 않는다.
- 2단계 : NE 등록 및 트리형상에 NE 연결
운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E 관리"항목에서 NE를 등록하며, 이때, 운용자는 엑세스 게이트웨이에 대한 이름, 시스템종류, AGW의 IP 주소, AGW의 통신tcp 포트, V5 인터페이스넘버, 관리자, 관리자 전화번호 등 상세한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운용자는 "NE 관리"항목에서 등록된 엑세스 게이트웨이는 트리형상관리에서 관리계층을 확정한 후, 등록버튼을 누르면 네트워크 요소 등록은 되어 있으나 관리계층에 연결되지 않은 네트워크 요소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이때, 운용자는 해당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계층(트리형상)에 연결한다.
- 3단계 : 실행스크립트 만들기(도 6 참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의 운용자가 등록한 엑세스 게이트웨이 모델의 원시스크립트를 복사 후(S601), 입력 파라미터를 현행화하여 해당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실행스크립트를 만든다(S602,S603).
- 4단계 : 스케줄 등록하기(도 7 참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a-300n)의 운용자는 해당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스케줄 등록하고(S701),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정보와 3단계에서 만들 어진 실행스크립트를 참조하여 실행스크립트의 구동시간을 정한다(S702-S704). 예를 들어 새벽 5시에 구동하려 할 경우 05:00 형태로 해당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실행스크립트 구동시간을 입력한다.
- 5단계 : 명령어 수행 및 응답 패턴 분석(도 8 참조)
4단계에서 미리 등록된 시간에 스케줄러가 자동으로 실행스크립트를 실행하게 되고(S801), 응답 메세지 분석기(S802)에 의해 응답 메세지를 분석하여 이력테이블에 저장한다(S803). 저장된 장애 이력은 항목별 장애건수누적계산 기능에 의해 항목별 장애건수가 계산되며(S806), 이어 항목별 장애통계 테이블에 항목별로 장애개수가 누적되어 갱신된다(S805). 갱신된 항목별 장애건수는 기상도점수계산 기능(S806)에 의해 항목별 장애통계 테이블에서 항목별 가중치 테이블을 참조하여(S807) 항목별 점수를 계산한다(S806). 이어, 구해진 항목별 점수를 합산하고 기상도 점수를 구하는 공식에 대입하여 최종 기상도 점수를 얻으며, 얻어진 점수는 장애통계 테이블에 저장된다(S808).
- 6단계 :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 통계데이터를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로 전송
이상에서 설명한 1단계에서 5단계 까지의 모든 작업이 끝난 후,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측 tServer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애 결과를 요청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애 결과를 읽어 가져온다(9a,9b).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측 tServer는 저장된 장애 결과 데이터를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측 tServer에 전송한다(9c). 이어 엑세 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측 tServer는 데이터베이스(DB)에 수신된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 장애결과를 갱신하여 저장한다(9d). 이어,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측 데이터 베이스는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300)측으로 데이터 갱신의 성공/실패 상태를 전달한다(9e,9f).
또한, 명령어관리 기능 중 임의 명령어 기능 및 임의 스크립트 기능도 가능한데, 이 기능은 기상도 점수에 무관하다. 따라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의 운용자가 특정 엑세스 게이트웨이에 수행할 임의의 명령어를 만들고 스케줄에 등록한 후, 수행결과를 확인하는 절차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임의 명령어 등록 및 스케줄 등록의 기능은 기본명령어에서와 동일하나 출력되는 결과는 통계 테이블이나 이력 테이블에 남지 않으며 로그(log) 파일에 그 결과가 저장된다. 따라서 그 결과는 로그 파일을 읽어보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명령어관리 기능 중 시설/운용관리 기능이 제공되는데, 이 기능은 시설수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를 입력하고 스케줄에 등록한 후, 수행결과를 운용현황보고서나 시설현황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운용수(가입자수)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등록하여 운용수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시설수 및 운용수 확인 명령어는 엑셀 파일을 읽어 들여 일괄 등록된다. 따라서 스케줄 예약하는 기능만을 활용하여 시설수 및 운용수를 엑세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얻어올 수 있다.
(3) 보안 관리 기능
보안관리 기능은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100) 또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할 이용자를 등록, 수정, 삭제 및 이용자의 사용권한을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용자 등록시 ADIS 수행 권한은 administrator, manager. Operator로 구분된다. 다음은 이용자 권한에 대한 설명이다.
Administrator는 형상구조 및 명령어, 스케줄, 자원(NE), 이용자 등 모든 정보를 등록 및 수정, 삭제 할 수 있다. Administrator 명령어를 즉시 실행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Manager는 Administrator의 등록 및 명령어 즉시 실행에 관한 권한을 제외한 모든 권한을 가진다.
Operator는 모든 매뉴에 대한 조회 기능만 가진다.
(4) 통계/이력관리 기능
통계/보고서의 종류는 운용현황을 관리계층 기준으로 작성한 운용현황보고서(일반)과 시스템 모델 종류별로 작성한 운용현황보고서(기종별)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시스템 및 시설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설현황보고서가 있다. 통계 작성 후 보고서 작성(Excel File) 순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은 통계/보고서를 계층별로 구분하여 출력하거나 종류별로 출력할 수 있는 데 그 구성 항목과 내용은 운용자의 운용 방침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계/이력관리 기능중 운용자에게는 해당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장애결과를 기상도개념으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별로 Wonderfull, Careful, Riskful, Uknown으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운용자는 해당 엑세스 게이트웨 이의 운용실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06093975283-pat00001
[표 1]에서 기상도 레벨의 % 점수에 따른 기상도레벨은 최고관리자 정책에 따라 다르게 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따르면, 중앙 서버의 운용자가 사전에 웹으로 접속하여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서버에 명령어를 등록하여 지정한 후, 각각의 지역 서버의 운용자가 스케줄링을 통하여 예약된 시간에 자동으로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명령을 수행하고, 명령의 수행 결과 중 불량한 내역만 스크립트 아웃풋 파싱, 분석, 보고, 통계 등 체계화된 운용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 진단기술은 다양한 엑세스 게이트웨이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텔넷 접속방식을 일반화 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 하였으며, 아울러 다양한 명령어를 사용/분석 할 수 있도록 레귤러 익스프레션을 이용한 명령어 분석기법을 적용하 였기 때문에, 텔넷 접속이 가능하다면 세계 어떠한 BcN 게이트웨이 장비 등 어떠한 통신장비라도 자동으로 진단하고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운용자의 제어에 따라 자신의 자동진단 영역 내에 있는 임의의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자동으로 진단하고, 자동진단을 통해 수집한 장애 결과를 상위 서버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와;
    이종의 서로 다른 통신망 또는 전송 데이터의 종류에 무관하게 연동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의 각각의 장애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는
    미리 설정된 명령과 예약된 스케쥴링 기능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에 대해 현재 상태조회 명령하고, 수신된 명령수행 결과에 나타난 오류 사항들을 수집, 분석하여 이를 저장 관리하고, 분석된 결과 정보(통계데이타)를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 또는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는 멀티테스킹이 가능한 운용체제(OS), 운용체제를 사용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타를 저장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 웹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체제는
    관리조직과 관리대상을 트리형상으로 묶어 관리하는 구성관리 기능과;
    상태조회 명령어와 응답패턴을 등록하는 명령어관리 기능과;
    사용자를 등록, 관리하는 보안관리 기능; 그리고
    상태조회된 결과를 통계 유형별로 조회할 수 있는 통계/이력관리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관리 기능은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 유형 등록, 본부 등 관리계층 등록, 최종 네트워크 요소의 등록, 조회, 수정, 삭제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운용자는 네트워크요소의 유형과 관리 계층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요소의 유형 등록시 엑세스 게이트웨이 이름, 시스템 종류, IP 주소, 통신tcp 포트, V5 인터페이스 번호, 관리자, 관리자 전화번호의 조건 중에서 선택적으로 조합된 상태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관리 기능은
    소정 명령어가 등록되면, 등록된 명령어들 중 사용하고자 하는 명령어들을 골라 명령어집합을 만들며, 명령어집합을 스케줄러에 의해 구동되게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8. 운용자의 제어에 따라 자신의 자동진단 영역 내에 있는 임의의 엑세스 게이트웨이를 자동으로 진단하는 복수 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와;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원시 명령어를 만들어 등록하고, 등록된 원시 명령어 집합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원시스크립트를 만드는 단계와;
    네트워크 요소를 등록하고 트리형상에 상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단계와;
    실행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에서 상기 실행 스크립트 를 이용하여 자신의 관리 영역에 있는 하나 이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자동진단 스케줄을 예약 및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에서 상기 예약 및 등록된 스케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엑세스 게이트웨이의 자동진단 명령어 수행하고, 응답 결과에 따른 장애상태의 응답 패턴 분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운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지역서버에서 상기 장애 상태의 응답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중앙서버에서 하위 서버에서 전송한 장애 상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운용 방법.
KR1020060129956A 2006-12-19 2006-12-19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0782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956A KR100782272B1 (ko) 2006-12-19 2006-12-19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956A KR100782272B1 (ko) 2006-12-19 2006-12-19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272B1 true KR100782272B1 (ko) 2007-12-04

Family

ID=3913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956A KR100782272B1 (ko) 2006-12-19 2006-12-19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2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980A (ko) * 1998-03-05 1999-10-05 윤종용 인터넷상에서 인터넷 게이트웨이 통합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980A (ko) * 1998-03-05 1999-10-05 윤종용 인터넷상에서 인터넷 게이트웨이 통합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152A (en) Software fault management system
JP4227809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のノード構成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4340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device management
US6115743A (en) Interface system for integrated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network devic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P19112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perations on resources of a distributed network, in particular of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sponding computer-program product
US8601122B2 (en) Managing captured network traffic data
US75095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status of objects in computer networks using virtual state machines
US6968371B1 (en) Design for scalable network management systems
US8117294B2 (en) Managing of network equipment
JP2000082029A (ja) ネットワ―ク環境のグル―プ・ビュ―を動的に生成する方法
US7688951B1 (en) Automated rules based proactive alarm analysis and response
JPH09504913A (ja) ネットワークトポロジ決定方法および装置
CN101099398B (zh) 用于在管理网络中在管理器和代理之间匹配信息的方法和装置
WO2019141089A1 (zh) 网络告警方法、装置、系统及终端
CN100477839C (zh) 在移动无线电中的与制造商无关的运维中心-网管中心接口上更新制造商特有的硬件信息的方法和系统
Virmani et al. Netmon: network management for the SARAS softswitch
GB2416091A (en) High Capacity Fault Correlation
KR100782272B1 (ko) 엑세스 게이트웨이 자동진단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20060026466A1 (en) Support methodology for diagnostic patterns
US20030110243A1 (en) Method, system and policy decision point (PDP) for policy-based test management
Hajela HP OEMF: Alarm management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6137801A (en)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administrative and management tools
EP1657641B1 (en) Method and computer product for automatically overcoming a failure in an EML (element management layer) Server
KR100294988B1 (ko) 이동에이전트컴포넌트기법을이용한동적망관리시스템및그동작방법
CN116627706A (zh) 资源池故障诊断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