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158B1 - Camera and photograph method - Google Patents

Camera and photograph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158B1
KR100781158B1 KR1020050030946A KR20050030946A KR100781158B1 KR 100781158 B1 KR100781158 B1 KR 100781158B1 KR 1020050030946 A KR1020050030946 A KR 1020050030946A KR 20050030946 A KR20050030946 A KR 20050030946A KR 100781158 B1 KR100781158 B1 KR 10078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eans
image
area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7792A (en
Inventor
후지사키 히로히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6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1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시 또는 촬영 전후에 있어서, 촬영화상의 전체와 그 촬영화상의 초점상태 등을 동시에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통의 피사체에 대해서 각각 개별로 표시하는 것과 함께, 적어도 표시영역이 각각 개별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로서, 복수의 표시수단의 하나의 표시수단인 제 1 표시수단과, 북수의 표시수단의 다른 하나의 표시수단으로 상기 피사체에 대해서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상태와는 적어도 다른 배율 또는 표시범위에서 표시하는 제 2 표시수단을 가지며, 제 1 표시수단과 제 2 표시수단은 쌍방의 표시영역에 대해서, 동시에 눈으로 확인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and a photographing method capable of satisfactorily confirming the entire photographed image and the focus state of the photographed image at the same time before or after photographing, an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camera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means in which each of the common subjects is individually displayed and at least the display area is individually configured, the first display means being one display mean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eans, The other display means of the book number display means has seco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subject at a different magnification or display range different from the display state of the first display means, and the first display means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The camera which has the structure which can be visually confirmed at the same time for both display areas is provided.

Description

카메라 및 촬영방법 {Camera and photograph method}Camera and photographing method {Camera and photograph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퀵 표시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showing a quick display function of the digital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제 1 표시수단 1a: 일부 영역1: first display means 1a: partial region

2: 제 2 표시수단 3: 셔터 버튼2: second display means 3: shutter button

4: 십자 키 5: 키 입력부4: cross key 5: key input

6: 제어부 7: 촬상수단6: control unit 7: imaging means

8: ROM 9: RAM8: ROM 9: RAM

10: 카메라 본체 11: VRAM10: camera body 11: VRAM

15: 팝업부 21: 제 1 본체부15: pop-up portion 21: first body portion

22: 제 2 본체부 23: 연결부22: second body portion 23: connecting portion

24: 렌즈 31: 본체부24: lens 31: main body

32: 슬라이드부 100, 200, 300: 디지털 카메라 32: slide unit 100, 200, 300: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 및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촬영 화상의 전체 및 초점위치의 양방을 양호하게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및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and a photograph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and a photographing method that make it possible to satisfactorily confirm both the entire captured image and the focus position.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기록 모드와 재생 모드가 있다.기록 모드로서 피사체를 촬영한 후에 초점확인을 하는 경우, 촬영화상의 기록 보존이 끝난 후에 재생 모드로 전환하고, 그 재생화상을 확대하여 모니터 표시한다. 이 초점확인에 있어서, 핀트가 맞지 않아 화상이 흐려졌다고 판단했을 때는 다시 기록 모드로 전환하여 다시 촬영하는 절차를 밟을 필요가 있다. Conventional digital cameras generally have a recording mode and a reproducing mode. As a recording mode, when focus is confirmed after capturing a subject, the digital camera switches to the reproducing mode after the preservation of recording of the captured image, and enlarges the reproduced image Monitor display. In this focus chec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blurred due to misalignment, it is necessary to go back to the recording mode and take a photographing process again.

이러한 수고를 삭감하기 위해, 일본특허공개 평11-196301호 공보에서는, 촬영 전에 CCD(Charge Coupled Device) 등 촬상소자가 입력한 화상 또는 촬영 후의 촬영화상 중, 포커스 테두리 내의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전자 카메라 장치를 고안하였다. 또, 일본특허공개 평11-196301호 공보에서는, 포커스 테두리가 화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촬영자의 키 조작에 의해 촬영화상의 임의의 개소에 포커스 테두리를 이동할 수 있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평11-196301호 공보에 기재된 전자 카메라 장치에서는, 촬영화상의 초점확인 및 카메라 흔들림 확인은 가능하지만, 촬영 화상의 전체 및 초점(또는 카메라 흔들림) 양자를 동시에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본특허공개 평11-196301호 공보에 기재된 전자 카메라 장치는, 촬영화상의 전체(전체 화상)와 초점 등을 확인하기 위한 확대 화상을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표시부에 전체 화상을 표시할 때는 확대 화상의 표시가 불가능하고, 표시부에 확대 화상을 표시할 때는 전체 화상의 표시가 불가능하다. In order to reduce such troubles,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1-196301 discloses an electronic display that enlarges and displays a portion within a focus frame of an image input by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before shooting or a captured image after shooting. A camera device was devised. Furthe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11-196301 discloses that the focus frame is not fixed to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the focus frame can be moved to any posi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by the key operation of the photographer. However, in the electronic camera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196301, although the focus confirmation and camera shake confi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are possibl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simultaneously confirm both the entire image and the focus (or camera shake) of the captured image. have. That is, the electronic camera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196301 displays an enlarged image for confirming the whole (full image), focus, and the like of a photographed image on one display unit. Therefore, when displaying the entire image on the display unit, the enlarged image cannot be displayed. When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on the display unit, the entire image cannot be displayed.

또, 일본특허공개 평11-196301호 공보에서는, 표시부의 표시영역에 전체적으로 전체 화상을 표시시키면서 그 표시영역의 일부에 전체 화상에 겹치도록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도, 전체 화상의 일부가 확대 화상에 의해 숨어 버리므로, 촬영화상의 전체 및 초점(또는 카메라 흔들림) 양자를 동시에 확인할 수 없다. 또한, 표시부의 표시영역의 일부에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확대 화상의 표시영역이 어떻게 해도 작아져 버리게 되고, 이 작은 표시영역의 확대 화상에서는, 초점 등을 양호하게 확인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Furthe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11-196301 discloses a technique of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so as to overlap an entire image in a part of the display area while displaying the entire image as a whole 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However, even in this technique, since part of the entire image is hidden by the enlarged image, it is not possible to simultaneously check both the entire photographed image and the focus (or camera shake). In addition, when the enlarged image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area of the enlarged image is reduced in any way, and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focus or the like well in the enlarged image of the small display area.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촬영시 또는 촬영 전후에, 촬영화상의 전체와 그 촬영화상의 초점상 태 등을 동시에, 또한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ncludes a camera capable of simultaneously and satisfactorily confirming the entire photographed image and the focus state of the photographed image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or before and after photograph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graphing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카메라는, 피사체의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가지는 제 1 표시수단과, 상기 제 1 표시수단과 일체 또는 자유롭게 계합(係閤)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촬상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상태와 다른 배율로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가지는 제 2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영역 및 상기 제 2 표시수단의 표시영역이 필요에 따라 동시에 눈으로 확인 가능한 배치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mera for displaying an image picked up of a subject, the first display means having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the picked up image, and integrally or freely associated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Iii) provided so as to have a second display means having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at a different magnification than the display state of the first display means, and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display means and the first display means.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state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at the same time as necessary.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표시수단의 각각에 피사체를 다른 표시상태에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표시수단으로 피사체의 전체 화상을 표시하고, 제 2 표시수단으로 그 전체 화상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표시수단의 제 1 표시수단과 제 2 표시수단은 동시에 눈으로 확인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촬상수단의 출력 등이 이루는 촬영화상의 전체(전체 화상)와 그 촬영화상의 초점상태 등을 동시에 또한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can be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eans in different display states. Therefore, for example, the whole image of a subject can be displayed by a 1st display means, and the enlarged image which enlarged a part of the whole image can be displayed by a 2nd display means.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means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eans can be visually confirmed at the same time.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and satisfactorily confirm the whole (whole image) of the captured image formed by the output of the imaging means and the like and the focus state of the captured image.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1 표시수단이 촬영 범위의 전체(전체 화상)를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상기 촬영 범위의 일부를 확대(확대 화상)하여 표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display means displays the entire (full image) of the shooting range,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displays the enlarged (enlarged image) of a portion of the shooting range. desirable.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자 등이 전체 화상과 그 전체 화상의 일부의 확대 화 상을 동시에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의 전체 화상에 기초하여 프레임(촬영 범위)을 조정하면서, 제 2 표시수단의 확대 화상에 기초하여 초점 및 카메라 흔들림 등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양호하게 프레임을 맞추면서,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의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을 양호하고 간편하게 회피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er and the like can visually confirm the entire image and an enlarged image of a part of the entire imag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photographer can also check the focus, camera shake, etc. based on the enlarged image of the second display means while adjusting the frame (shooting range) based on the entire image of the first display means. Accordingly,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actorily and easily avoid blurring of the image, camera shake, etc. due to misalignment of the frame.

또, 본 발명의 카메라는, 셔터 조작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셔터 조작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인 확인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퀵(quick) 표시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확인화상의 일부 영역 또는 초점영역에 대해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초점확인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the camera of this invention has imaging means which image | photographs the image of the said subject in response to a shutter operation, The said 1st display means displays the whole confirmation image which is an image image | photographed by the said imaging means at the time of a shutter opera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quick display function,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 focus confirmation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area or a focus area of the confirmation image.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표시수단의 퀵 표시기능에 의해 촬영된 확인화상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고, 제 2 표시수단의 초점확인 표시기능에 의해 확인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확대 표시하는 일부 영역은, 피사체의 핀트를 맞추는 영역인 초점영역이어도 되고, 초점영역 이외이어도 된다. 이들에 의해, 촬영 후의 확인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확인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촬영된 확인화상이 원하는 프레임으로 맞추어졌는지와,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의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이 없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ty of the confirmed image taken by the quick display function of the first display means can be displayed, and a partial region of the confirmed image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by the focus confirmation display function of the second display means. Here, the partial area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may be a focus area that is an area in which the subject is focused, or may be other than the focus area. By these, it is possible to confirm a part of the confirmed image after shooting in detail, and to confirm the entire confirmed imag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easily check whether the captured confirmation image is aligned to a desired frame and whether there is no blurring of the image due to misalignment and camera shake.

또, 본 발명의 카메라는, 셔터 조작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촬영 전에, 상기 촬상수단이 출력하는 생(라이브)화상을 표시하는 라이브 표시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생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the camera of this invention has imaging means which picks up the image of the said subject in response to a shutter operation, The said 1st display means is a live (live) image which the said imaging means outputs before photography by the said imaging means. Preferably,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 live image enlargement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region of the live image.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표시수단의 라이브 표시기능에 의해, 현재의 촬영상태를 촬영영역 전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재의 촬영상태의 프레임 맞춤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표시수단의 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에 의해, 현재의 촬영상태를 촬영영역의 일부 확대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재의 촬영상태의 초점 등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촬영 직전에 생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생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현재, 원하는 프레임을 맞추면서 원하는 초점으로 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live display function of the first display means, the current photographing state can be displayed as the entire photographing area. As a result, the frame alignment and the like of the current photographing state can be confirmed. In addition, the live image magnification display function of the second display means makes it possible to display the current photographing state as a partial magnifi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area. As a result, the focus of the current photographing state and the like can be satisfactorily confirm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onfirm a part of the live image in detail immediately before the photographing, and at the same time to confirm the whole of the live image. Therefore,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simply check whether the desired focus is achieved while adjusting the desired frame.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셔터 조작을 받아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상기 기록수단으로 기록되어 있는 화상인 재생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재생 표시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재생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재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the image of the subject under shutter operation, and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the image picked up by the image pickup means, wherein the first display means includes the recording means. It is preferable to have a reproduction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the entire reproduction image as an image recorded by the means,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 reproduction image enlargement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region of the reproduction image.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표시수단의 재생 표시기능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제 2 표시수단의 재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일부를 확대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들 에 의해, 이미 기록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재생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과거에 촬영한 대량의 재생화상 등에 대하여 원하는 프레임을 맞추면서 원하는 초점으로 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roduced display function of the first display means can display the entire recorded image. In addition, the reproduced image magnification display function of the second display means makes it possible to display a part of the recorded reproduction image as an enlarged image. By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a part of the reproduced image already recorded in detail, and to confirm the entire reproduced imag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easily check whether a desired focus is achieved while aligning a desired frame with a large number of playback images and the like taken in the past.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상기 제 1 표시수단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과 함께, 당해 일부 영역에 대해서 스크롤 표시하는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scroll function in which the second display means enlarges and displays a partial region of the image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means and scrolls the partial region. .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표시수단의 스크롤 기능에 의해, 피사체의 전체 화상의 확대 표시하는 영역(일부 영역)을 전체 화상의 영역 내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 화상을 전체적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전체화상의 각 부위에 대하여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 기능의 스크롤 동작은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촬영자의 키 조작에 따라 상하 좌우로 스크롤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croll function of the second display means, it is possible to move the region (partly region) in which the entire image of the subject is enlarged and displayed within the region of the entire imag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entire image as a whol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confirm in detail about each part of the whole image. Here, the scrolling operation of the scroll function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y be scrolled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hotographer's key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상기 제 1 표시수단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영역으로 하는 것과 함께, 당해 복수의 분할영역의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당해 영역의 화상을 확대 표시하는 분할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image area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means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selects one area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t is preferable to have a segmentation function which enlarges and displays the image of the said area | reg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표시수단의 분할기능에 의해, 피사체의 전체 화상의 일부영역을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표시수단은 각 분할 영역에 대해서 스크롤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 화상을 전체적 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전체 화상의 각 부위에 대하여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al function of the entire image of the subject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by the division function of the second display means. Here, the second display means may be capable of scrolling display of each divided area.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entire image as a whole, and at the same time can confirm in detail about each part of the entire image.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당해 제 2 표시수단의 표시배율을 변경하는 배율 변경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표시수단으로 양호하게 프레임 맞춤 확인을 하면서, 동시에 제 2 표시수단에서 고정밀도로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의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magnification changing section for changing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second display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frame alignment well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and at the same time to check the blurring of the image and the camera shake due to the inaccurate focusing of the second display means.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1 표시수단 또는 제 2 표시수단이,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내에 배치하는 수납부와, 상기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밖으로 이동시키는 팝업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the accommodating portion for disposing the display area in the camera body and the pop-up portion for moving the display area out of the camera body.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촬영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제 1 또는 제 2 표시수단을 카메라 본체 내에 수납할 수 있고, 운반 등에 편리한 콤팩트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촬영시 또는 기록화상 재생시 등에는, 제 1 또는 제 2 표시수단의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내에서 밖으로 꺼낼 수 있고, 양호하게 프레임을 맞추면서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의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을 양호하고 간편하게 회피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t photographing, for example, the first or second display means can be stored in the camera body, and the compact state can be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and the like. Further, during shooting or when playing back a recorded image,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or second display means can be taken out from within the camera body, and the blurring of the image due to misalignment and blurring of the camera due to proper framing can be achieved. Can be avoided well and simply.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상기 스크롤 기능으로 스크롤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분할기능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화상영역 내를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표시시키는 자동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second display means so as to automatically move within the image area in any one of an area scrolled by the scroll function and an area enlarged by the division function. It is desirable to have a movement display fun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화상을 전체적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자동적으로 그 전체화상의 각 부위에 대해서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image can be confirmed as a whole, and at the same time, each part of the entire image can be automatically confirmed in detail.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상기 스크롤 기능으로 스크롤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분할기능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십자)키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영역 내에서 이동시키는 키 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within the image reg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ross) key to either the region where the second display means scrolls with the scroll function or the region enlarged with the split function. It is desirable to have a key shift display fun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화상을 전체적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전체 화상에서의 촬영자의 원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hecking the entire image as a whole, the desired part of the photographer in the whole image can be confirmed in detail.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팝업부가 셔터가 조작된 직후에 상기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밖으로 밀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p-up unit pushes the display area out of the camera body immediately after the shutter is operated.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직전까지 콤팩트 카메라 외형을 유지하면서, 촬영 직후는 원하는 프레임으로 맞추어졌는지 여부,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이 흐려졌는지 여부,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이 없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check whether or not the camera is set to a desired frame immediately after shooting, whether or not the image is blurred due to misalignment, and there is no camera shake while maintaining the compact camera appearance until just before shooting.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촬영방법은, 피사체의 촬영 범위의 전부를 제 1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촬영범위의 일부를 확대하여 제 2 표시수단에 표시하며, 상기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와 상기 제 2 표시수단의 표시를 한 방향에서 동시에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hotograph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photographing range of the subject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means, a part of the photographing range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eans, and the first display means. The display of the second display means and the display of the second display means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eye can be confirmed and photographed.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에 의해 촬영범위의 전부(프레임)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제 2 표시수단에 의해 촬영범위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 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 맞춤, 초점, 카메라 흔들림 등을 간편하고 신속ㅇ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er can confirm the entirety (frame) of the photographing range by the first display means, and can confirm the part of the photographing range in detail by the second display mean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quickly perform frame alignment, focus, camera shake,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의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들어 설명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gital camera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카메라 본체(10)와 팝업부(15)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팝업부(15)는 카메라 본체(10) 내의 수납부에 수납도 가능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0) 밖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팝업부(15)는 셔터 버튼(3)이 눌려진 직후에, 카메라 본체(10) 내의 수납부에서 카메라 본체(10) 밖으로 튀어나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팝업부(1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 밖에 배치된 채로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The digital camera 100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with the camera main body 10 and the popup part 15. As shown in FIG. The pop-up part 15 can also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art in the camera main body 10, and can also move out of the camera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The pop-up section 15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out of the camera body 10 from the housing portion within the camera body 10 immediately after the shutter button 3 is press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pop-up part 15 may be fixed while being disposed outside the camera body.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제 1 표시수단(1), 제 2 표시수단(2), 셔터 버튼(3), 십자 키(4), 키 입력부(5), 제어부(6), 촬상수단(7), ROM(8), RAM(9) 및 VRAM(11)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표시수단(1)은 팝업부(15)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표시수단(2), 셔터 버튼(3), 십자 키(4), 키 입력부(5), 제어부(6), 촬상수단(7), ROM(8), RAM(9) 및 VRAM(11)은 카메라 본체(10)에 배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camera 100 includes a first display means 1, a second display means 2, a shutter button 3, a cross key 4, a key input part 5, a control part 6, and an imaging means ( 7), ROM (8), RAM (9) and VRAM (11). Here, the first display means 1 is arranged in the popup section 15.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isplay means 2, the shutter button 3, the arrow keys 4, the key input section 5, the control section 6, the imaging means 7, the ROM 8, RAM 9 and VRAM 11 is disposed in the camera body 10.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은 공통의 피사체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즉,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은 촬상수단(7)이 도입한 피사체의 화상을 각각 개별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수단(2)의 표시영역은 개별로 구성되어 있다.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2 respectively display a common subject individually. That is,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2 respectively display the images of the subjects introduced by the imaging means 7 individually.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display means 2 are configured separately.

또, 제 1 표시수단(1)과 제 2 표시수단(2)은 서로 공통의 피사체에 대하여 다른 상태로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상태란, 피사체에 대한 표시배율, 표시범위(전신, 얼굴만 등) 등을 말한다. 또, 제 1 표시수단(1)과 제 2 표시수단(2)은 촬영자가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의 쌍방의 표시영역에 대해서, 촬영자가 동시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2 can be displayed as different states with respect to a common subject. Here, the other state refers to the display magnification for the subject, the display range (full body, face only, etc.).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2 allow the photographer to visually check both display areas of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2 at the same time. It is arranged to be arranged.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 1 표시수단(1)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범위의 전체, 즉 촬상수단(7)이 도입한 화상 전체를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은 카메라 본체(10)의 상방 및 배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은 카메라 본체(10)의 배면측에 배치되면 된다. 즉,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이 카메라 본체(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은 카메라 본체(10)의 하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 1 표시수단(1)은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EL(Electro Luminescence)표시장치 또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한다.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first display means 1 displays the entire photographing range of the digital camera 100, that is, the entire image introduced by the imaging means 7.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display means 1 may be disposed above and behind the camera body 10. In this case,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display means 1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camera body 10. That is,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display means 1 may be arrang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mera body 10.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display means 1 may be disposed below the camera body 10. The first display means 1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uminescence (EL) display, a plasma display, or the like.

제 2 표시수단(2)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범위의 일부, 즉 촬상수단(7) 이 도입한 화상 전체의 일부를 표시수단(1)의 표시배율보다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표시수단(2)의 표시영역은 카메라 본체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The second display means 2 displays a part of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digital camera 100, that is, a part of the entire image introduced by the image pickup means 7 in an enlarged manner than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display means 1. And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eans 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surface of a camera main body.

셔터 버튼(3)은 촬영시에 눌려지는 버튼으로, 촬상수단(7)에 대한 촬영지령을 출력하는 것이다. 십자 키(4)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상태 등에 대한 각종의 설정을 하는 것이다. 또한, 십자 키(4)는, 촬영범위 중 제 2 표시수단(2)으로 표시시키는 부분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동작을 제어하는 키도 된다. 이 스크롤 기능은 제 2 표시수단(2)이 가지고 있다. The shutter button 3 is a button which is pressed at the time of shooting, and outputs a shooting command to the imaging means 7. The arrow keys 4 make various settings for the shooting state of the digital camera 100 and the like. The arrow keys 4 may also be keys for controlling the scrolling operation of moving the portion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means 2 in the photographing range up, down, left, and right. This scroll function is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means 2.

또한, 제 1 표시수단(1)은, 촬영범위 중 제 2 표시수단(2)으로 확대 표시되는 일부 영역(1a)을 직사각형의 선 등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 일부 영역(1a)은 피사체의 핀트를 맞추는 영역인 초점영역일 수도 있다. 또, 일부 영역(1a)은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의 중앙에 고정 배치해도 되고, 십자 키(4)의 조작에 따라 상하 좌우로 이동(스크롤)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means 1 can display the partial region 1a enlarged and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means 2 in the photographing range as a rectangular line or the like. The partial area 1a may be a focus area that is an area in which the subject focuses. In addition, the partial region 1a may be fixed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region of the display means 1, or may be moved (scrolled)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ross keys 4.

키 입력부(5)는 셔터 버튼(3) 및 십자 키(4)의 출력신호를 제어부(6)에 전달하는 것이다. The key input unit 5 transmits the output signals of the shutter button 3 and the cross key 4 to the control unit 6.

제어부(6)는 디지털 카메라(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6)는 촬상 처리부 및 화상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제어부(6)가 이루는 촬상 처리부는, CCD 등으로 이루어지는 촬상수단(7)의 출력인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서 게인(gain)을 제어하고, 또, 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6)가 이루는 화상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해서 R, G, B의 각 색 성분의 레벨 변환, 보간처리, 감마 보정, 가장자리 강조, 화이트 밸런스, 압축ㅇ 신장 처 리 등을 행한다. The controller 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tire digital camera 100. And the control part 6 functions as an imaging processing part and an image processing part. The imaging processing unit formed by the control unit 6 controls a gain with respect to an analog signal which is an output of the imaging unit 7 made of a CCD or the like and converts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image processing unit formed by the control unit 6 performs level conversion, interpolation processing, gamma correction, edge enhancement, white balance, compression and extension processing of each color component of R, G, and B on the digital signal.

촬상수단(7)은 예를 들어, 줌 렌즈, 조리개, 초점렌즈 및 CCD 등의 촬상소자로 이루어진다. 줌 렌즈 및 초점렌즈의 위치는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되고, 조리개의 개방도도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CCD의 동작도 셔터 버튼(3)으로부터 촬영지령을 받은 제어부(6)가 제어한다. 따라서, 촬영 수단(7)은 셔터 버튼(3)이 눌려짐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한다. 촬상수단(7)의 줌 렌즈, 조리개 및 초점렌즈 등은 도 1의 카메라 본체(10)의 정면측, 즉 카메라 본체(10)의 제 2 표시수단(2)의 반대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The imaging means 7 consists of imaging elements, such as a zoom lens, an iris, a focus lens, and a CCD,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zoom lens and the focus lens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aperture is also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 The operation of the CCD is also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 which has received a shooting command from the shutter button 3. Therefore, the photographing means 7 captures an image of the subject by pressing the shutter button 3. The zoom lens, the iris, the focus lens and the like of the image pickup means 7 ar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mera main body 10 of FIG. 1, that is, opposite to the second display means 2 of the camera main body 10.

ROM(8)은 제어부(6)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다. 또한, ROM(8)은 촬상수단(7)에서 촬상되어 제어부(6)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데이터도 기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RAM(9)은 제어부(6)의 워크영역 등이 되는 판독 기입 가능한 메모리이다. 또, RAM(9)에는 촬상수단(7)에서 촬상되어 제어부(6)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 데이터도 기록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촬상수단(7)에서 촬상되어 제어부(6)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 미디어를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기록 미디어로서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VRAM(Video RAM)(11)은, 촬상수단(7)이 도입한 화상의 신호로서, 제어부(6)에 의해 컴포넌트 컬러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일차 기억하는 것이다. VRAM(11)에 기억된 신호는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에 각각 공급된다. 그리고,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은 각각 촬상수단(7)이 도입 한 화상에 대해서 모니터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ROM 8 is a nonvolatile memory that stores a program or the like that define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6. The ROM 8 may also record image data picked up by the imaging means 7 and image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6. The RAM 9 is a read-write memory which serves as a work area or the like of the control unit 6. The RAM 9 may also record image data picked up by the image pickup means 7 and processed by the controller 6. In addition, the digital camera 1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ecording medium which stores the image data picked up by the imaging means 7 and image-processed by the control part 6 can be detachably detached. As the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a flash memory,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or the like can be used. The VRAM (Video RAM) 11 is a signal of an image introduced by the imaging means 7, and primarily stores a signal converted by the control unit 6 into a component color video signal. The signals stored in the VRAM 11 are supplied to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2, respectively.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2 can monitor display the images introduced by the imaging means 7, respectively. Next, various functions of the digital camera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퀵 표시기능) (Quick Display Function)

제 1 표시수단(1)은 셔터 버튼(3)이 눌려져 촬상수단(7)에 의해 촬영된 화상인 확인화상의 전체를 그 촬영이 이루어진 직후에 표시하는 퀵 표시기능을 가진다. 제 2 표시수단(2)은 그 촬영이 이루어진 직후에 제 1 표시수단(1)이 표시하는 확인 화상의 일부 영역(1a)에 대해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초점확인 표시기능을 가진다. The first display means 1 has a quick display function of displaying the entirety of the confirmed image that i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ing means 7 by pressing the shutter button 3 immediately after the photographing is made. The second display means 2 has a focus confirmation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partial region 1a of the confirmation image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means 1 immediately after the photographing.

이들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는 촬영이 행해진 직후에 촬영된 확인 화상의 전체를 제 1 표시수단(1)으로 표시할 수 있고, 동시에 초점영역 등의 확인 화상의 일부 영역(1a)을 확대하여 제 2 표시수단(2)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촬영자는 촬영 직후에 있어서, 확인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확인 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하면, 촬영된 확인화상이 원하는 프레임에 맞추어졌는지와,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의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이 없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표시수단(2)의 표시화면을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화면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표시수단(2)의 표시화면인 확대 화상이 보다 보기 쉬워지고, 초점, 카메라 흔들림, 콘트라스트, 노출 등의 확인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digital camera 100 can display the entirety of the confirmed image photographed immediately after photographing is performed by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at the same time, enlarge the partial region 1a of the confirmed image such as the focus region. Can be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means (2). Therefore, the photographer can confirm the entirety of the confirmation image at the same time while confirming a part of the confirmation image in detail immediately after the photographing. That is, according to the digital camera 100,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check whether the captured confirmation image is matched to a desired frame and whether there is no blurring of the image due to misalignment and camera shake. Moreover, in the digital camera 100,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screen of the 2nd display means 2 can be made larger than the display screen of the 1st display means 1. As shown in FIG. Thereby, the enlarged image which is the display screen of the 2nd display means 2 becomes easier to see, and confirmation of focus, camera shake, contrast, exposure, etc. becomes easier.

도 3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퀵 표시기능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경우, 본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셔터 버튼(3) 및 십자 키(4) 등의 입력 이 있었던 경우는, 그 입력에 따른 처리를 제어부(6)가 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quick display function of the digital camera 100. In this case,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when there is an input of the shutter button 3, the cross key 4,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6 can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put.

우선, 제어부(6)는 초점확대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First, the control section 6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ocus magnification mode (step S1).

초점확대 모드란, 제 2 표시수단(2)에서 촬영범위(제 1 표시수단(1)의 표시범위)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모드이다. 초점확대 모드로의 설정은 십자 키(4) 등으로 행할 수 있다. The focus magnific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econd display means 2 enlarges and displays a part of the photographing range (display range of the first display means 1). Setting to the focus magnification mode can be made with a cross key 4 or the like.

단계 S1에서, 「No」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는 제 2 표시수단(2)에서 촬영화상(확인화상)의 전체를 표시한다(단계 S8).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 that "No", the control part 6 displays the whole picked-up image (confirmation image) by the 2nd display means 2 (step S8).

이 경우는, 제 2 표시수단(2)에만 촬영화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제 1 표시수단(1)은 카메라 본체(10) 내에 수납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단계 S8에서, 일정시간 어떤 셔터 버튼(3) 및 십자 키(4) 등의 키 입력이 없는 경우는, 단계 S8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단계 S8의 동작을 일정시간 행한 후에, 단계 S1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해도 된다. In this case, the picked-up image is displayed only on the second display means 2. Therefore, the first display means 1 can also be stored in the camera body 10. In step S8, when there is no key input such as a shutter button 3 and a cross key 4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tate of step S8 may be maintained. In addition, afte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step S8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may return to step S1.

단계 S1에서, 「Yes」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는 우선, 제 1 표시수단(1)에서, 촬영화상의 전체를 표시한다(단계 S2). 이 경우, 셔터 버튼(3)이 눌려진 직후에, 제 1 표시수단(1)이 카메라 본체(10)의 내부에서 밖으로 팝업되도록 할 수도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 that "Yes", the control unit 6 first displays the entire photographed image on the first display means 1 (step S2). In this case, immediately after the shutter button 3 is pressed, the first display means 1 may be popped out of the inside of the camera body 10.

단계 S2의 직후, 또는 단계 S2와 동시에, 제어부(6)는 제 2 표시수단(2)에서, 촬영화상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초점영역)(1a)을 확대하여 표시한다(단계 S3). 이에 의해,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1)의 전체화상과 제 2 표시수단(2)의 확대화상을 동시에 볼 수 있다. Immediately after step S2 or at the same time as step S2, the control unit 6 enlarges and displays a partial region (for example, the focus region) 1a of the captured image in the second display means 2 (step S3). . Thereby, the photographer can simultaneously view the entire image of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enlarged image of the second display means 2.

다음에, 제어부(6)는 자동이동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 자동이동 모드란, 촬영 범위(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에서 제 2 표시 수단(2)으로 확대 표시되는 일부 영역(1a)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자동이동 표시기능을 발휘시키는 모드이다. Next, the control part 6 determines whether it is in the automatic movement mode (step S4). The automatic movement mode is a mode in which an automatic movement display function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partial region 1a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shooting range (display region of the display means 1) to the second display means 2 is exhibited.

그래서, 단계 S4에서, 「Yes」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는 제 2 표시수단(2)에 자동이동 표시기능을 발휘시키고, 제 2 표시수단(2)으로 확대 표시되는 일부 영역(초점화상)(1a)을 자동적으로 스크롤시킨다(단계 S5). 이에 의해,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1)으로 전체화상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자동적으로 제 2 표시수단(2)으로 전체 화상의 각 부에 대해서 차례대로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단계 S5에서, 일정시간 어떤 셔터 버튼(3) 및 십자 키(4) 등의 키 입력이 없는 경우는, 단계 S5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단계 S5의 동작을 일정시간 행한 후에, 단계 S1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해도 된다.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4 that "Yes", the control part 6 exhibits the automatic movement display function to the 2nd display means 2, and is enlarged and displayed by the 2nd display means 2 (focus image). 1a is automatically scrolled (step S5). Thereby, the photographer can confirm the entire image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at the same time, can automatically check the details of each part of the entire image with the second display means 2 in sequence. In step S5, when there is no key input such as a shutter button 3 and a cross key 4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tate of step S5 may be maintained. In addition, afte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step S5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may return to step S1.

한편, 단계 S4에서, 「No」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는 일정시간에서 십자 키(4)로부터의 입력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 On the other hand, when it determines with "No" in step S4, the control part 6 determines whether there is no input from the cross key 4 in a fixed time (step S6).

단계 S6에서, 「No」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는 십자 키(4)의 조작 상황에 따라, 제 2 표시수단(2)으로 확대 표시되는 일부 영역(초점화상)(1a)을 이동시킨다(단계 S7). In step S6, when determining "No", the control part 6 moves the partial area (focus image) 1a extended and displayed by the 2nd display means 2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ross key 4; (Step S7).

이에 의해,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1)으로 전체화상을 전체적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제 2 표시수단(2)으로 전체 화상에서의 촬영자가 원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단계 S7에서, 일정시간 어떤 셔터 버튼(3) 및 십자 키(4) 등의 키 입력이 없는 경우는, 단계 S7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단계 S7의 동작을 일정시간 행한 후에, 단계 S4로 되돌아온다. Thereby, the photographer can confirm the whole image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1 as a whole,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display means 2 can confirm in detail the part desired by the photographer in the whole image. In step S7, when there is no key input such as a shutter button 3 and a cross key 4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tate of step S7 may be maintained. In addition, afte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step S7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

(라이브 표시기능) (Live display function)

제 1 표시수단(1)은, 촬상수단(7)에 의한 촬영 전에, 촬상수단(7)이 도입한 화상에 대하여 그 촬상수단(7)이 차레대로 출력하는 생화상을 표시하는 라이브 표시기능을 가진다. 제 2 표시수단(2)은 제 1 표시수단(1)이 표시하는 생화상의 일부 영역(1a)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진다. The first display means 1 has a live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a live image output by the imaging means 7 in sequence with respect to an image introduced by the imaging means 7 before shooting by the imaging means 7. Have The second display means 2 has a bio-image enlargement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region 1a of the bio-image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means 1.

이들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는 현재의 촬영상태(촬상수단(7)이 도입한 화상)를 촬영영역 전체로서 제 1 표시수단(1)으로 표시할 수 있고, 현재의 촬영상태의 프레임 맞춤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디지털 카메라(100)는 제 2 표시수단(2)에서, 현재의 촬영상태에서의 촬영영역의 일부를 확대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재의 촬영상태의 초점 등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촬영자는 촬영 직전에 생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생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현재, 원하는 프레임으로 맞추어져 있는지, 또한 원하는 초점으로 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digital camera 100 can display the current photographing state (the image introduced by the photographing means 7) to the first display means 1 as the entire photographing area, and the frame alignment of the present photographing state is achieved. Etc. can be confirmed. At the same time, the digital camera 100 can display a portion of the photographing area in the current photographing state as an enlarg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means 2. As a result, the focus of the current photographing state and the like can be satisfactorily confirmed. By doing so, the photographer can confirm a part of the live image in detail immediately before the photographing, and at the same time, confirm the entire image. Therefore, the digital camera 100 can quickly and easily check whether the current frame is set to the desired frame and the desired focus.

(재생 표시기능) 제 1 표시수단(1)은 촬상수단(7)에서 촬상되어 ROM(8) 또는 RAM(9) 등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인 재생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재생 표시기능을 가진다. 제 2 표시수단(2)은 제 1 표시수단(1)이 표시하는 재생화상의 일부 영역(1a)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재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진다. (Playback Display Function) The first display means 1 has a playback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the entire playback image which is an image picked up by the imaging means 7 and recorded in the ROM 8 or the RAM 9 or the like. The second display means 2 has a reproduced image enlargement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region 1a of the reproduced image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means 1.

이들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는 기록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전체를 제 1 표시수단(1)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디지털 카메라(100)는 제 1 표시수단(1)으로 표시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일부를 확대한 화상을 제 2 표시수단(2)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재생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과거에 촬영한 대량의 재생화상 등에 대해서, 원하는 프레임으로 맞추어졌는지, 또한 원하는 초점으로 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digital camera 100 can display the entire recorded image on the first display means 1. At the same time, the digital camera 100 can display the enlarged image of a part of the reproduced image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means 1 by the second display means 2. Thus, the digital camera 100 can confirm in detail a part of the reproduced image already recorded, and at the same time confirm the entire reproduced image. Accordingly, the digital camera 100 can quickly and easily check whether a large number of playback images or the like that have been shot in the past have been set to a desired frame and have a desired focus.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퀵 표시기능, 라이브 표시기능 및 재생 표시기능의 각 기능에 있어서, 십자 키(4)의 조작에 의해 스크롤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퀵 표시기능, 라이브 표시기능 및 재생 표시기능의 각 기능에 있어서, 제 1 표시수단(1)의 화상영역 전체에서의 제 2 표시수단(2)으로 표시하는 일부 영역(1a)의 위치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camera 100 can exert a scroll function by operating the cross keys 4 in each of the functions of the quick display function, the live display function, and the playback display function. That is, in each of the functions of the quick display function, the live display function, and the playback display function, at the position of the partial region 1a to be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means 2 in the entire image area of the first display means 1. Can be moved freely relative to the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제 1 표시수단(1)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영역으로 하는 것과 함께, 그 복수의 분할영역의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그 영역의 화상을 제 2 표시수단(2)에 확대 표시하는 분할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분할기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분할영역은, 십자 키(4)의 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3의 흐름도의 단계 S5와 같이, 자동이동 표시시켜도 된다. 이들에 의해, 십자 키(4)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분할된 영역을 차례대로 제 2 표시수단(2)에 확대 표시 할 수 있다. Further, the digital camera 100 divides the image area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means 1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selects one area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selects an image of the area. May have a dividing function in which the second display means 2 is enlarged.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can select one division area | region selected by this division function by operation of the cross keys 4.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shown in step S5 of the flowchart of FIG. 3, the automatic movement display may be performed. By thi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ross keys 4 or the area divided automatically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eans 2 in sequence.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제 2 표시수단(2)은, 제 2 표시수단(2)의 표시배율을 십자 키(4)의 조작 등에 따라 변경하는 배율 변경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촬영자는 제 2 표시수단(2)의 표시배율을 서서히 확대ㅇ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1)으로 양호하게 프레임 맞춤 여부를 확인 하면서, 동시에 제 2 표시수단(2)으로 고정밀도로 핀트가 맞지 않아 화면이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isplay means 2 of the digital camera 100 has a magnification changing part for changing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second display means 2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ross keys 4 or the like. Thereby, the photographer can gradually enlarge and reduce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second display means 2. Accordingly, the photographer can check whether the frame is properly aligned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at the same time, the screen is blurred and the camera shake due to the high precision of the second display means 2.

(제 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2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는 배면도이고, 도 4(b)는 평면도이다. 도 4에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200)와 디지털 카메라(100)의 차이점은 외관 구성이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200)의 내부구성은, 도 2에 나타내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구성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digital camera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rear view and FIG. 4B is a plan view. In FIG. 4,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thing as the component of the digital camera 100 of 1st Example shown in FI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camera 200 and the digital camera 100 in this embodiment is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Therefo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gital camera 200 can be made the same a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gital camera 100 shown in FIG.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200)는 폴더식 핸드폰과 같이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카메라(200)는 제 1 본체부(21), 제 2 본체부(22) 및 연결부(2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 본체부(21)와 제 2 본체부(22)가 연결부(23)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4(a),(b) 모두, 디지털 카메라(200)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디지털 카메라(200)를 닫은 경우는, 연결부(23)를 중심축으로 하여 도 4(b)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 1 본체부(21) 및 제 2 본체부(22)를 회동시킨다. 그러면, 폴더식 핸드폰을 닫는 것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200)가 접힌다. The digital camera 200 of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like a folding cell phone. Specifically, the digital camera 200 has a first main body 21, a second main body 22, and a connection 23. And the 1st main body part 21 and the 2nd main body part 22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23 so that rotation is free. 4A and 4B show the open state of the digital camera 200. When the digital camera 200 is closed, the first main body 21 and the second main body 22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4B with the connecting portion 23 as the central axis. Then, the digital camera 200 is folded, such as closing the folding cellular phone.

또한, 제 1 본체부(21)의 배면에는 제 1 표시수단(1)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본체부(21)의 정면에는 촬상수단의 구성요소인 렌즈(24)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본체부(22)의 배면에는 제 2 표시수단(2) 및 십자 키(4)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본체부(22)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3)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200)가 접혔을 때 제 1 표시수단(1)과 제 2 표시수단(2)이 마주 본다.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means 1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 The lens 24 which is a component of the imaging means is arranged in front of the first main body 21. The second display means 2 and the cross keys 4 are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2. The shutter button 3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2nd main-body part 22.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digital camera 200 is folded,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2 face each other.

이들에 의해,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200)는 촬영시 또는 재생시 등에 있어서 제 1 표시수단(1)으로 촬영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제 2 표시수단(2)으로 촬영화상의 초점 상태 등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200)는 촬영시 또는 재생시 이외에는 휴대에 편리한 외관 상태가 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digital camera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firm the entire photographed image by the first display means 1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or reprodu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focus of the photographed image by the second display means 2 is obtained. The state etc. can be confirmed favorably. In addition, the digital camera 200 may be in an appearance state that is convenient to carry, except when photographing or playing back.

(제 3 실시예) (Thir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3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에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300)와 디지털 카메라(100)의 차이점은 외관 구성이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300)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나타내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 구성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5 is a rear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digital camera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thing as the component of the digital camera 100 of 1st Example shown in FI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camera 300 and the digital camera 100 in this embodiment is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Therefo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gital camera 300 can be made the same a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gital camera 100 shown in FIG.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300)는 본체부(31) 및 슬라이드부(32)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부(32)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a)는 슬라이드부(32)가 본체부(31)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b)는 슬라이드부(32)가 본체부(31)에 수납된 상태, 즉 슬라이드부(32)와 본체부(31)가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다. The digital camera 300 of this embodiment has a main body portion 31 and a slide portion 32. The slide unit 32 may slid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figure. 5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e part 32 slides from the main body part 31 and protrudes outward. 5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lide part 32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part 31,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slide part 32 and the main body part 31 overlap each other.

또한, 본체부(31)의 배면에는 제 2 표시수단(2)이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32)의 배면에는 제 1 표시수단(1) 및 십자 키(4)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32)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3)이 배치되어 있다. 촬상수단(7)의 줌 렌즈, 조리개 및 초점렌즈 등은 제 1 표시수단(1) 또는 제 2 표시수단(2)의 뒤쪽 즉, 본체부(31) 또는 슬라이드부(32)의 정면에 배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means 2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The first display means 1 and the cross keys 4 are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32. The shutter button 3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part 32. As shown in FIG. The zoom lens, the iris and the focus lens of the image pickup means 7 are disposed behind the first display means 1 or the second display means 2, that is, in front of the main body portion 31 or the slide portion 32. have.

이들에 의해,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300)는 촬영시 또는 재생시 등에 제 1 표시수단(1)으로 촬영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제 2 표시 수단(2)으로 촬영화상의 초점상태 등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300)는 촬영시 또는 재생시 이외에는 휴대에 편리한 외관 상태가 될 수 있다. By this, the digital camera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firm the entire photographed image by the first display means 1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or playback, and at the same time the focus state of the photographed image by the second display means 2. Etc. can be confirmed satisfactorily. In addition, the digital camera 300 may be in an appearance state that is convenient to carry, except when photographing or playing back.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카메라 및 촬영방법은 상술한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 camera and the photographing method of this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mentioned illustration, Of course, various changes can be added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예를 들어,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은 각각 1개씩이 아니라, 그 중 한쪽 또는 쌍방이 복수개 있어도 된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의 카메라 본체(10)에 복수의 제 2 표시수단(2)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제 2 표시수단(2)은 서로 다른 표시배율로 해도 된다. For example, the 1st display means 1 and the 2nd display means 2 are not each one, but one or both of them may be multiple.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second display means 2 may be arranged in the camera body 10 of the digital camera 100. In this case, the second display means 2 may have different display magnifications.

또한, 제 1 표시수단(1)과 제 2 표시수단(2)의 배치는 반대로 해도 된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에서는, 카메라 본체(10)에 제 1 표시수단(1)을 배치하고, 팝업부(15)에 제 2 표시수단(2)을 배치해도 된다. 디지털 카메라(200)에서는 제 1 본체부(21)에 제 2 표시수단(2)을 배치하고, 제 2 본체부(22)에 제 1 표시수단(1)을 배치해도 된다. 디지털 카메라(300)에서는, 본체부(31)에 제 1 표시수단(1)을 배치하고, 슬라이드부(32)에 제 2 표시수단(2)을 배치해도 된다. In addition,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1st display means 1 and the 2nd display means 2 may be reversed. That is, in the digital camera 100, the 1st display means 1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camera main body 10, and the 2nd display means 2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pup part 15. FIG. In the digital camera 200, you may arrange | position the 2nd display means 2 in the 1st main body part 21, and arrange | positioning the 1st display means 1 in the 2nd main body part 22. FIG. In the digital camera 300, the 1st display means 1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main body part 31, and the 2nd display means 2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lide part 32. FIG.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화상의 전체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촬영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화상의 일부는 초점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촬영시 또는 촬영 전후에 있어서, 촬영화상의 전체와 그 촬영화상의 초점상태 등을 용이하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entire photographed image and to confirm a part of the photographed image in detail. Here, a part of the captured image may be a focus area.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quickly confirm the entire photographed image, the focus state of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like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or before and after photograph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피사체의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In the camera which displays the captured image of the subject, 상기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갖는 제 1 표시수단과, First display means having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상기 제 1 표시수단과 일체 또는 자유롭게 계합(係閤)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가지는 제 2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A second display means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integrally or freely engaged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and has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상기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영역 및 상기 제 2 표시수단의 표시영역이 필요에 따라 동시에 눈으로 확인 가능한 배치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촬영범위의 전체를 표시하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촬영범위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display means and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display means are arranged in a visually identifiable arrangement state as necessary, and the first display means displays the entire photographing range,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The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o enlarge a portion of the shooting range to displa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셔터조작을 받아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더 구비하고,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an image of the subject by a shutter operation;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셔터 조작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인 확인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퀵(quick) 표시기능을 가지며, The first display means has a quick display function of displaying the entirety of the confirmed image which i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ing means at the time of shutter operation,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확인화상의 일부 영역 또는 초점영역에 대해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초점확인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 focus confirmation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area or a focus area of the confirmation imag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셔터조작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더 구비하고,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an image of the subject in response to a shutter operation;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촬영 전에, 상기 촬상수단이 출력하는 생(生)화상을 표시하는 라이브 표시기능을 가지며, The first display means has a live display function of displaying a live image output by the image pickup means before shooting by the image pickup means,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생화상의 일부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 bio image enlargement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region of the bio imag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셔터조작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Imaging means for imaging an image of the subject in response to a shutter operation;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더 구비하고, And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the image picked up by the imaging means,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상기 기록수단으로 기록되어 있는 화상인 재생 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재생 표시기능을 가지며, The first display means has a reproduction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the entire reproduction image which is an image recorded by the recording means,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재생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재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 reproduced image enlargement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region of the reproduced imag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제 1 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는 화상 영역 중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일부 영역에 대해서 스크롤 표시하는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 scroll function of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region of the image region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means and scrolling the partial region.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스크롤 기능으로 스크롤 표시하는 영역에 대하여, 상기 화상 영역 내를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표시시키는 자동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n auto-movement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the area to be scrolled by the scroll function to automatically move within the image area.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스크롤 기능으로 스크롤 표시하는 영역에 대하여, 키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 영역 내에서 이동시키는 키 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 key movement display function for moving within the image region in response to a key operation with respect to an area scrolled and displayed by the scroll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제 1 표시수단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서의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상을 확대 표시하는 분할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The second display means divides the image region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means into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selects one region from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d enlarges the image of the selected region. A camera having a split function to displ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분할기능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역에 대하여, 상기 화상 영역 내를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표시시키는 자동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The camera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n automatic movement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the area to be automatically moved within the image area with respect to the area enlarged by the division function.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분할기능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키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 영역 내에서 이동시키는 키 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has a key movement display function for moving within the image region in response to a key operation to any one of the regions enlarged and displayed by the division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당해 제 2 표시수단의 표시배율을 변경하는 배율 변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And said second display means has a magnification changing portion for changing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said second display means.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to 12, 상기 제 1 표시수단 또는 제 2 표시수단은,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내에 배치하는 수납부와, 상기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밖으로 이동시키는 팝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The first display means or the second display means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 disposing a display area in the camera body, and a pop-up portion for moving the display area out of the camera body.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팝업부는, 셔터가 조작된 직후에 상기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밖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And the pop-up unit protrudes the display area out of the camera body immediately after the shutter is operated. 피사체의 촬영범위의 전부를 제 1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The entire display range of the subject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means, 상기 촬영범위의 일부를 확대하여 제 2 표시수단에 표시하며, A part of the photographing range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eans, 상기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와, 상기 제 2 표시수단의 표시를 한 방향에서 동시에 눈으로 확인가능하게 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And photographing the display of the first display means and the display of the second display means in a single direction at the same time.
KR1020050030946A 2004-12-15 2005-04-14 Camera and photograph method KR1007811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3157A JP2006174042A (en) 2004-12-15 2004-12-15 Camera and photographing method
JPJP-P-2004-00363157 2004-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92A KR20060067792A (en) 2006-06-20
KR100781158B1 true KR100781158B1 (en) 2007-11-30

Family

ID=3667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946A KR100781158B1 (en) 2004-12-15 2005-04-14 Camera and photograph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174042A (en)
KR (1) KR1007811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027B1 (en) * 2006-06-09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hooting using automatic-focus
JP2010035145A (en) * 2008-06-23 2010-02-12 Nikon Corp Imaging apparatus
JP2010258904A (en) * 2009-04-27 2010-11-11 Olympus Imaging Corp Imag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of the imaging apparatus
JP2013251909A (en) * 2013-07-12 2013-12-12 Olympus Imaging Corp Imag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413A (en) * 1994-12-02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 camera incorpor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155560A (en) 1997-08-01 1999-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gital camera
JP2000134525A (en) 1998-10-21 2000-05-12 Minolta Co Ltd Digital camera
JP2001309211A (en) 2000-04-18 2001-11-02 Minolta Co Ltd Electronic camer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413A (en) * 1994-12-02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 camera incorpor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155560A (en) 1997-08-01 1999-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gital camera
JP2000134525A (en) 1998-10-21 2000-05-12 Minolta Co Ltd Digital camera
JP2001309211A (en) 2000-04-18 2001-11-02 Minolta Co Ltd Electronic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92A (en) 2006-06-20
JP2006174042A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988B2 (en) Imaging device
JP4245699B2 (en) Imaging device
JP4761146B2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US7046290B2 (en) Multi-point auto-focus digital camera including electronic zoom
KR101134540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JP4654887B2 (en) Imaging device
JP2007295547A (en) Digital camera
JP5923759B2 (en) Imaging device
JP2003125269A (en) Digital camera
JP2008022306A (en) Imaging device and program thereof
JP7005324B2 (en)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imaging device
JP2003209727A (en) Digital camera
US7616236B2 (en) Control method used by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2158919A (en) Imaging device and image acquisition step
KR100781158B1 (en) Camera and photograph method
JP4977569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imaging control program, and imaging apparatus
JP4792929B2 (en) Digital camera
JP2005295418A (en)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and display method
KR100726773B1 (en) Camera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06197055A (en) Digital camera and display method
JP5429588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4406461B2 (en) Imaging device
KR101168988B1 (en) Method for operating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having composition guide function and apparatus thereof
JP4274665B2 (en) Electronic camera with electronic viewfinder
JP2007081629A (en)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