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922B1 - 프로젝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922B1
KR100780922B1 KR1020070075650A KR20070075650A KR100780922B1 KR 100780922 B1 KR100780922 B1 KR 100780922B1 KR 1020070075650 A KR1020070075650 A KR 1020070075650A KR 20070075650 A KR20070075650 A KR 20070075650A KR 100780922 B1 KR100780922 B1 KR 100780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creen
sensing
projector
pl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식
Original Assignee
(주)유한프리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한프리젠 filed Critical (주)유한프리젠
Priority to KR102007007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G03B21/43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04N9/3135Driv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된 프로젝터로부터 주사되는 화상을 스크린에 투사하여 스크린 상에 화면을 형성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전방의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와; 상기 프로젝터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동력원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각 센서 ID값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모터의 위상값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되,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화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값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션 시스템

Description

프로젝션 시스템{Projec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외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외부 구성도 중 프로젝션부(A)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외부 구성도 중 프로젝션부(A)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외부 구성도 중 프로젝션부(A)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프로젝터 브라켓에 의한 프로젝터의 각도 조절 및 설치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판서 동작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어부 120 : 조작용 패널부
130 : 좌우 리미트 스위치 140 : 위치리미트 스위치
150 : 메모리부 160 : 구동모터
170 : 수동작동 스위치 180 : 센서 전원 공급부
190 : 이동수단 200 : 센서보드부
210 ~ 230 : 센서 보드
211~214, 221~224, 231~234 : 감지센서
301 : 프로젝터 302 : 프로젝터 브라켓
303 : 판서용 센서 고정대 304 : 가이드 레일
305 : 지지대 306 : 판서용 센서부
307 : 스크린 311 : 위치도그
312 : 케이블 베어 350 : 판서 제어부
본 발명은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된 프로젝터로부터 주사되는 화상을 스크린에 투사하여 스크린 상에 화면을 형성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 전방에 위치한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화면의 위치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프리젠테이션 등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프리젠테이션이나 대학 등의 강의시간에 시청각 교육을 위하여 슬라이드를 많이 활용해 왔다. 그러나 슬라이드는 필름을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을 뿐더러 각 필름을 슬라이드 장치에 삽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그 활용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발전된 것이 OHP(Overhead Project)이다. 그러나 상기 OHP도 복사기 등을 사용하여 발표 내용을 투명한 OHP용지(플립프레임)에 복사하여 빛을 통과시켜야 하므로 발표하고자 하는 내용이 많을 경우 각 면을 복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발표 시에도 각 면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컴퓨터 프로그램(MS Powerpoint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내에 프리젠테이션 자료들을 작성하고, 컴퓨터와 빔프로젝터를 연결하여 상기 작성된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스크린에 화상 출력하도록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빔프로젝터는 컴퓨터 등의 모니터 상에 나타난 화면을 그대로 스크린에 출력하며, 화면 제어는 컴퓨터에 부착된 마우스를 활용하되 주요부분에 밑줄 또는 기타 표시를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로젝션 시스템에서는 실제 강의자가 스크린 앞에서 강의를 하는 도중에 좌우의 움직임이 잦은 경우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강의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실제로 스크린 앞에서 강의를 하는 강의자는 강의의 원할한 진행을 위해 또는 강의자의 개인적인 필요에 따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마련인데, 이 때 종래의 프로젝션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강의자의 이동과 상관없이 빔프로젝터는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만 계속적으로 화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래서, 강의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 이후에는 스크린 상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앞으로 다시 복귀하여 강의를 수행해야만 하였다. 강의를 수행하는 강의자의 입장에서는 강의의 보다 원할한 진행과 강의 내용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강의에만 열중하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의 프로젝션 시스템에서는 강의자의 이동 여부와는 상관없이 계속하여 스크린 상의 어느 한 지점에만 고정되어 있는 화면 때문에 강의자로 하여금 강의에 집중하게 하지 못하고 또는 잦은 이동과 복귀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된 프로젝터로부터 화상을 투사하여 스크린 상에 화면을 형성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스크린 전방에 위치한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화면의 위치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강의 및 프리젠테이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된 프로젝터로부터 화상을 투사하여 스크린 상에 화면을 형성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전방의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와; 상기 프로젝터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동력원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각 센서 ID값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모터의 위상값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되,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화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값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와 제어부 사이에서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군(群)마다 설치되어, 각 군에 포함된 각각의 감지센서의 센서 감지값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보드를 포함하는 센서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감지센서에 대한 센서감지 스캐닝은 상기 각각의 센서보드에 포함된 감지 센서군 단위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화면의 위치값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용 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 중 움직임을 감지한 개별 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값에 대응하는 스크린 상의 위치에 상기 화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개별 센서별 위치모드와;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형성하고, 각 센서 그룹 내에 포함된 상기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에는 동일한 위치데이터를 부여하여 상기 각 센서 그룹 단위로 상기 화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센서그룹별 위치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상기 스크린의 가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화면이 형성되는 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동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동작동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에 상기 화면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상기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젝터의 이동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위치도그를 감지하는 위치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고정적인 전압을 상기 감지센서에 공급하는 센서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상기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가 움직일 수 있는 좌측 한계 지점 또는 우측한계 지점을 감지하는 좌우한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우 한계 감지부의 감지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 한계 감지부는 상기 프로젝터가 움직일 수 있는 좌측 한계 지점에 설치된 좌측 한계 도그 에 의해 스위칭되는 좌측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프로젝터가 움직일 수 있는 우측 한계 지점에 설치된 우측 한계 도그에 의해 스위칭되는 우측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상기 스크린 상에 기재되는 판서 내용을 감지하는 판서용 감지센서와; 상기 판서용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판서 내용을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프로젝터에 전송하는 판서제어부와; 상기 판서용 감지센서가 상기 프로젝터 브라켓과 함께 일체로 움직이도록 상기 판서용 감지센서를 고정하는 판서용 센서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수단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지지된 벨트 또는 체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리어스크린 프로젝션 타입의 프로젝션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외부 구성도, 프로젝션부(A)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프로젝터 브라켓(302)에 설치된 프로젝터(301)로부터 화상을 투사하여 스크린(307) 상에 화면을 형성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307) 전방의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211~214, 221~224, 231~234)와;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스크린(307) 상에 형성되는 화면의 위치값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용 패널부(120)와; 프로젝터(301)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90)과; 상기 이동수단(190)에 동력원을 공급하는 구동모터(16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211~214, 221~224, 231~234)의 각 센서 ID값에 대응하는 구동모터(160)의 위상값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부(150)와; 메모리부(150)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211~214, 221~224, 231~234)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모터(160)를 제어하되, 프로젝터(301)로부터 투사되는 화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211~214, 221~224, 231~234)의 감지결과값에 대응하는 스크린(307) 상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동모터(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301)는 프로젝터 브라켓(302)에 설치되어 있으며, 프로젝터(301)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은 스크린(307) 상에 형성 된다. 프로젝터(301)로는 LCD 프로젝터 등의 빔프로젝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리어스크린(rear screen)의 후방에서 영상을 투사하는 리어스크린 프로젝션 타입의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크린의 전방에서 영상을 투사하는 프론트스크린(front screen) 프로젝션 타입의 시스템일 수도 있다.
조작용 패널부(120)는 강의 교탁 등 강의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며, 제어부(110)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동작 모드 예를 들어 수동동작 모드 또는 자동 동작 모드 등을 설정하고 스크린(307) 상에 형성되는 화면의 위치값을 세팅하는데 사용된다.
먼저, 조작용 패널부(120)를 통해 자동 동작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동 동작 모드에서는 스크린(307) 앞 또는 그 주변에 강의자의 이동이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211~214, 221~224, 231~234)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211~214, 221~224, 231~234)는 스크린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211~214, 221~224, 231~234)는 특정 개수마다 감지센서군(群)을 형성하여, 각각의 감지센서군에 포함된 감지센서는 그에 대응하는 센서보드(210~230)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211~214)는 센서보드(210)에 연결되고, 감지센서(221~224)는 센서보드(220)에 연결되고, 감지센서(231~234)는 센서보드(2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소정 개수의 감지센서마다 하나의 센서보드에 연결되도록 하여 각각의 감지센서에 대한 센서감지 스캐닝이 각 센서보드에 포함된 감지 센서군 단위로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센서 감지 스캐닝에 따른 센서감지 속도를 향상시키고 감지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센서보드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보드(210~230)을 포함하며 제어부(110)에 연결되어 센서 감지 결과 데이터를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감지센서 4 개마다 군을 형성하고 센서보드부(200)에는 3개의 센서보드가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시스템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50)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보드부(200)를 통하여 제공되는 센서 감지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여 구동모터(160)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10)는 프로젝터(301)로부터 투사되는 화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값에 대응하는 스크린(307) 상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동모터(160)를 제어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211~214, 221~224, 231~234)의 각 센서 ID값에 대응하는 구동모터(160)의 위상값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또한, 이후에 설명할 수동 작동 스위치(170), 좌우 리미트 스위치 및 위치리미트 스위치의 각 ID값에 대응하는 구동모터(160)의 위상값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들 중에서 어느 특정 센서에 의해 사람의 위치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10)는 이에 대응하는 위상값에 관한 데이터를 메모리부(150)로부터 제공받아 구동모터(16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60)는 적정 위상값만큼 구동을 하게 되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젝터 이동수단(190)은 상기 감 지센서의 감지결과값에 대응하는 스크린(307) 상의 위치에 화면이 형성되도록 프로젝터(301)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프로젝터(301)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90)으로서는 가이드 레일(304)에 의해 지지된 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벨트 또는 체인 구조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고 감지센서(211~214, 221~224, 231~234)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고정적인 전압을 공급하는 센서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에서 자동 동작 모드에는 개별 센서별 위치모드와 센서그룹별 위치모드라는 2가지의 서로 다른 동작모드가 있다. 먼저, 개별 센서별 위치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211~214, 221~224, 231~234) 중 움직임을 감지한 개별 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값에 즉각적으로 응답하여 그에 대응하는 스크린(307) 상의 위치에 상기 화면이 바로 이동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동작 모드이다. 즉, 사람이 움직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러 개의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110)는 이에 즉각적으로 응답하여 화면이 스크린(307) 상에서 이동되도록 구동모터(160)를 구동한다. 따라서, 개별 센서별 위치모드는 사람의 움직임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화면이 이동되도록 하는 동작모드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 그룹별 위치모드는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를 그룹화하여 여러개의 센서 그룹을 형성하고, 각 센서 그룹 내에 포함된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에 대해서는 동일한 위치데이터를 부여하여 각 센서 그룹 단위로 화면이 스크린 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즉, 센서 그룹별 위치모드는 사람의 움직임이 있다고 하더라도 동 일 센서그룹 내에 있는 감지 센서만 반응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160)를 구동하지 않도록 하고, 동일 센서 그룹 내의 감지센서의 반응에 대해서는 화면이 동일한 특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면이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너무 빈번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강의자로 하여금 하여금 원할한 강의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청중으로 하여금 청강시 피로함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조작용 패널부(120)를 통해 수동 동작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수동 동작 모드에서 사용자는 조작용 패널부(120)를 통하여 강의하고자 하는 위치를 설정하여 화면이 그 위치에 고정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동 동작 모드에서 사용자가 화면이 형성될 위치를 조작용 패널부(120)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110)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데이터를 메모리부(150)로부터 제공받아 구동모터(160)를 구동하여 프로젝터(301)를 적정 위치로 이동시켜 화면이 스크린(307) 상의 특정 지점에 고정되어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자동 동작 모드인 경우에도 강의자가 화면을 이동시키지 않고 특정 지점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강의자는 수동작동 스위치(170)를 이용하여 화면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동 작동 스위치(170)는 스크린(307)의 가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본 실시예에서 수동 작동 스위치는 n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됨), 강의자는 강의 도중에 스크린(307)의 소정 위치에 화면을 고정시키고 싶은 경우 수동 작동 스위치(170)를 작동시켜 화면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수동 작동 스위치(170) 중에 특정 지점에 위치한 스위치를 강의자가 턴-온하게 되면, 제어부(110)는 그 턴-온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데이터를 메모리부(150)로부터 제공받아 구동모터(160)를 구동하여 프로젝터(301)를 적정 위치로 이동시켜 화면이 스크린(307) 상의 특정 지점에 고정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프로젝터 브라켓(302)에 설치되어 프로젝터(301)의 이동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위치도그(311)를 감지하는 위치 리미트 스위치(140)를 포함한다. 위치 리미트 스위치(140)는 상기에서 본 수동 작동모드 중의 화면 위치 설정시 또는 수동 작동 스위치(170)에 의한 화면의 위치 설정시 등에 있어 프로젝터(301)를 소정 지점에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로서, 상기에서 설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도그(311)를 위치리미트 스위치(140)가 감지한 경우 제어부(110)는 이에 응답하여 구동모터(160)를 정지시켜 프로젝터(301)를 정지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프로젝터 브라켓(302)에 설치되어 프로젝터(301)가 움직일 수 있는 좌측 한계 지점 또는 우측한계 지점을 감지하는 좌우한계 감지수단으로서 좌측/우측 리미트 스위치(130)를 포함한다. 좌측/우측 리미트 스위치(130)는 프로젝터(301)가 움직일 수 있는 좌측/우측 한계 지점에 설치된 좌측/우측 한계 도그에 의해 스위칭되며, 좌측/우측 리미트 스위치(130)가 좌측/우측의 한계지점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10)는 이에 응답하여 구동모터(160)를 정지시켜 프로젝터(301)를 정지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스크 린(307) 상에 판서되는 판서 내용을 감지하는 판서용 감지센서(306)와; 판서용 감지센서(306)로부터의 감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판서 내용을 포함하는 영상신호(RGB/VIDEO 영상신호)를 상기 프로젝터(301)에 전송하는 판서제어부(350)와; 판서용 감지센서(306)가 상기 프로젝터 브라켓(302)과 함께 일체로 움직이도록 상기 판서용 감지센서(306)를 고정하는 판서용 센서 고정대(303)를 포함한다. 여기서, 판서용 감지센서(306) 및 판서제어부(350)를 이용한 판서 동작을 위한 구성은 종래 전자칠판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판서용 센서(306)를 판서용 센서 고정대(303)에 의하여 프로젝터 브라켓(302)에 함께 고정함으로써, 강의자가 강의 도중 이동을 하더라도 이에 따라 함께 판서용센서(306)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강의와 판서 동작이 동시에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베어(312)는 프로젝터(301) 및 구동모터(160)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케이블을 프로젝터(301)의 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배선의 엉킴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에서는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된 프로젝터의 각도 조절 및 설치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크린 전방에 위치한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여 스크 린 상에 형성되는 화면의 위치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강의 및 프리젠테이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된 프로젝터로부터 화상을 투사하여 스크린 상에 화면을 형성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전방의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와;
    상기 프로젝터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동력원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각 센서 ID값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모터의 위상값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되,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화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값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젝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와 제어부 사이에서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군(群)마다 설치되어, 각 군에 포함된 각각의 감지센서의 센서 감지값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보드를 포함하는 센서보드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감지센서에 대한 센서감지 스캐닝은 상기 각각의 센서보드에 포함된 감지 센서군 단위로 실행되는 프로젝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화면의 위치값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용 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형성하고, 각 센서 그룹 내에 포함된 상기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에 대해서는 동일한 위치데이터를 부여하여 상기 각 센서 그룹 단위로 상기 화면이 이동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센서그룹별 위치모드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 중 움직임을 감지한 개별 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값에 대응하는 스크린 상의 개별 위치에 상기 화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개별 센서별 위치모드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가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화면이 형성되는 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동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동작동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에 상기 화면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젝터의 이동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위치도그를 감지하는 위치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모 터를 정지시키는 프로젝션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고정적인 전압을 상기 감지센서에 공급하는 센서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가 움직일 수 있는 좌측 한계 지점 또는 우측한계 지점을 감지하는 좌우한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우 한계 감지부의 감지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프로젝션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계 감지부는
    상기 프로젝터가 움직일 수 있는 좌측 한계 지점에 설치된 좌측 한계 도그에 의해 스위칭되는 좌측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프로젝터가 움직일 수 있는 우측 한계 지점에 설치된 우측 한계 도그에 의해 스위칭되는 우측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상에 판서되는 내용을 감지하는 판서용 감지센서와;
    상기 판서용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판서 내용을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프로젝터에 전송하는 판서제어부와;
    상기 판서용 감지센서가 상기 프로젝터 브라켓과 함께 일체로 움직이도록 상기 판서용 감지센서를 고정하는 판서용 센서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지지된 벨트 또는 체인 구조물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어스크린 프로젝션 타입의 프로젝션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 션 시스템.
  15. 프로젝터 브라켓에 설치된 프로젝터로부터 화상을 투사하여 스크린 상에 화면을 형성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전방의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와;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화면의 위치값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용 패널부와;
    상기 프로젝터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동력원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각 센서 ID값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모터의 위상값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되,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화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값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용 패널부에 의해 설정되는 동작모드로서,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형성하고, 각 센서 그룹 내에 포함된 상기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에는 동일한 위치데이터를 부여하여 상기 각 센서 그룹 단위 로 상기 화면이 이동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센서그룹별 위치모드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와 제어부 사이에서 특정 개수의 감지센서군(群)마다 설치되어, 각 군에 포함된 각각의 감지센서의 센서 감지값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보드를 포함하는 센서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감지센서에 대한 센서감지 스캐닝은 상기 각각의 센서보드에 포함된 감지 센서군 단위로 실행되는 프로젝션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가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화면이 형성되는 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동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동작동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에 상기 화면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상에 판서되는 내용을 감지하는 판서용 감지센서와;
    상기 판서용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판서 내용을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프로젝터에 전송하는 판서제어부와;
    상기 판서용 감지센서가 상기 프로젝터 브라켓과 함께 일체로 움직이도록 상기 판서용 감지센서를 고정하는 판서용 센서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19. 제 1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어스크린 프로젝션 타입의 프로젝션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KR1020070075650A 2007-07-27 2007-07-27 프로젝션 시스템 KR100780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650A KR100780922B1 (ko) 2007-07-27 2007-07-27 프로젝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650A KR100780922B1 (ko) 2007-07-27 2007-07-27 프로젝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922B1 true KR100780922B1 (ko) 2007-12-03

Family

ID=3913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650A KR100780922B1 (ko) 2007-07-27 2007-07-27 프로젝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9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217B1 (ko) * 2015-03-11 2016-08-30 한정호 영상스크린 위치감지 빔프로젝션장치
KR20160106243A (ko) * 2015-03-02 2016-09-12 한정호 영상스크린 위치감지 빔프로젝션장치
KR101811625B1 (ko) * 2015-12-04 2018-01-2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스크린용 자동 방향전환 빔 프로젝터 시스템, 그리고 이의 이동형 스크린용 자동 방향전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647U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프로젝터의 투사광접근 경보장치
KR19990071481A (ko) * 1996-09-06 1999-09-27 크리스트할드 데텔 외1 영상표시장치
JP2000019636A (ja) * 1998-07-03 2000-01-21 Seiko Epson Corp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5031528A (ja) * 2003-07-09 2005-02-03 Sony Corp 画像投射装置及び画像投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481A (ko) * 1996-09-06 1999-09-27 크리스트할드 데텔 외1 영상표시장치
KR19980030647U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프로젝터의 투사광접근 경보장치
JP2000019636A (ja) * 1998-07-03 2000-01-21 Seiko Epson Corp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5031528A (ja) * 2003-07-09 2005-02-03 Sony Corp 画像投射装置及び画像投射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243A (ko) * 2015-03-02 2016-09-12 한정호 영상스크린 위치감지 빔프로젝션장치
KR101713646B1 (ko) * 2015-03-02 2017-03-08 한정호 영상스크린 위치감지 빔프로젝션장치
KR101651217B1 (ko) * 2015-03-11 2016-08-30 한정호 영상스크린 위치감지 빔프로젝션장치
KR101811625B1 (ko) * 2015-12-04 2018-01-2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스크린용 자동 방향전환 빔 프로젝터 시스템, 그리고 이의 이동형 스크린용 자동 방향전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9826A1 (en) Front projection ereader system
CN102083580B (zh) 用于模拟焊接过程的设备及方法
US20190132455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CN108940745A (zh) 点胶机及其针头校正装置和校正方法
KR100780922B1 (ko) 프로젝션 시스템
WO2010048696A1 (en) Image projection methods and interactive input/projection systems employing the same
US9685096B2 (en) Guidance system for learning to play piano
KR101530476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KR101047290B1 (ko) 프로젝터 제어 기능이 부가된 펜트레이를 갖는 전자 칠판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13646B1 (ko) 영상스크린 위치감지 빔프로젝션장치
WO2018048020A1 (ko) 전자칠판 장치
JP2009057143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09646A (ja) 監視設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生産システム
JP2001215610A (ja) レンズシフト機能付プロジェクタ装置
US2023025159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same
CN102310629B (zh) 用于印刷机的操作台
US8167435B2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or
JP2013025014A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映像の投影方法
KR101184075B1 (ko) 스크린을 지닌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
JP201012812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184712A (ja) 可動式スクリーンの設置装置
JP5141041B2 (ja) 投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ジェクタ
CN108583070A (zh) 书写装置及控制系统
JP5141042B2 (ja) 投影システム
CN111752376A (zh) 一种基于影像获取的标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