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906B1 - 정보제공서버에서 정한 접속시간에 따라 이동단말기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제공서버에서 정한 접속시간에 따라 이동단말기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906B1
KR100779906B1 KR1020060067226A KR20060067226A KR100779906B1 KR 100779906 B1 KR100779906 B1 KR 100779906B1 KR 1020060067226 A KR1020060067226 A KR 1020060067226A KR 20060067226 A KR20060067226 A KR 20060067226A KR 100779906 B1 KR100779906 B1 KR 100779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access time
subscriber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선관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6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90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에서 서비스 가입자별로 접속시간을 스케쥴링한 후에 이를 각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미리 전송해주면, 상기 이동단말기에서는 접속시간의 도래여부를 체크하다가 접속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정보제공을 요청하는 방식의 정보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가 일일이 이동단말기를 조작하여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고, 정보제공서버에서 URL을 포함한 SMS메시지를 이동단말기로 주기적으로 푸쉬함으로써 발생하는 통신망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정보제공, 접속시간, 푸쉬

Description

정보제공서버에서 정한 접속시간에 따라 이동단말기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ccess time determined in information service serv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과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도 3은 이동단말기의 내부 구성과 접속시간정보를 수신한 후에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기까지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과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단말기 20: 이동통신망
30: WAP G/W 40: SMSC
50: 정보제공서버 51: 접속시간스케쥴링부
52: SMS처리부 53: WAP서버
54: 가입자DB 60: 정보DB
70: PPG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정보제공서버에서 서비스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미리 접속시간정보를 제공해주면, 이동단말기에서 이를 저장한 후에 설정된 접속시간마다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단순한 음성통신수단의 범주를 벗어나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종합정보매체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부가서비스를 기반으로 가입자가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해주는 정보제공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제공서비스의 방식에는 예를 들어, 서비스가입자가 이동단말기를 조작하여 무선인터넷 접속하면 정보제공서버에서 이에 응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과, 정보제공서버에서 콜백(callback)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된 SMS메시지를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먼저 푸쉬(push) 해주고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URL을 기초로 상기 정보제공서버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접속하면 이에 응하여 정보를 얻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런데 첫번째 방법은 가입자가 이동단말기를 일일이 조작하여 정보제공서버에 매번 접속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날씨정보, 교통정보, 증권정보, 경기정보 등과 같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두번째 방법은 정보제공서버에서 SMS메시지를 푸쉬해주면 간단한 조작만으로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자의 편의가 도모되기는 하지만, 상기 날씨정보 등과 같이 가입자가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필요가 있는 정보인 경우에는 정보제공서버가 콜백 URL을 포함하는 SMS메시지를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주기적으로 푸쉬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통신망의 낭비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면서도 이동통신망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보제공서버가 서비스 가입자별로 접속시간을 스케쥴링하여 접속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접속시간정보를 각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기가 상기 접속시간정보에 포함된 접속시간에 상기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요청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접속시간은 2회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상기 접속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정보제공서버의 URL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접속시간정보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를 통해 단문메시지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접속시간정보는 푸쉬프록시게이트웨이(PPG)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로 푸쉬(Push) 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된 접속시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접속시간정보를 기초로 접속시간 도래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접속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접속하여 정보제공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접속시간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애플리케이션이 무선인터넷 플랫폼에 접속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이 단말운영시스템(OS)에 대해 설정된 접속시간의 도래여부를 체크해줄 것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운영시스템(OS)에서 시간체크를 수행하여 설정된 접속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으로 통지하는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가 슬립(sleep) 상태이면 단말을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 폼에서 무선인터넷 접속을 처리할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무선인터넷 접속을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DB, 상기 가입자별로 접속시간을 스케쥴링하여 접속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접속시간스케쥴링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제공할 정보를 WAP포맷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WAP서버, 상기 접속시간정보를 단문메시지 형식으로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SMS처리부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서버; 상기 정보제공서버와 연동하며, 가입자가 필요로 하는 특정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DB;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정보제공서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무선인터넷 접속경로를 제공하는 WAP 게이트웨이;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정보제공서버의 사이에서 단문메시지 전송경로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DB, 상기 가입자별로 접속시간을 스케쥴링하여 접속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접속시간스케쥴링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제공할 정보를 WAP포맷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WAP서버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서버; 상기 정보제공서버와 연동하며, 가입자가 필요로 하는 특정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DB;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정보제공서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무선인터넷 접속경로를 제공하는 WAP 게이트웨이; 상기 접속시간 스케쥴링부에서 생성된 상기 접속시간정보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푸쉬(Push)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정보제공서버의 사이에 설치되는 푸쉬프록시게이트웨이(PPG)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동단말기(10)는 이동통신망(20) 및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정보제공서버(50)와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제공서버(50)는 이동통신망(20) 및 SMSC(Short Message Service)(40)를 경유하여 이동단말기(10)로 소정의 정보를 푸쉬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는 셀룰러폰, PCS폰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기능을 가지는 PDA 등의 전자기기도 포함하며,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WAP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어야 하며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여야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보제공서버(50)에서 푸쉬되는 접속시간정보와 URL정보를 저장해두고, 접속시간이 도래하면 단말의 무선인터넷 플랫폼(WIPI)을 구동하여 상기 정보제공서버(50)에 접속한다.
이동통신망(20)은 이동단말기(10)와 무선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기지국전송기(Transceiver Station: BTS), 이동단말기(10)에 대한 무선채널할당 및 해제, 이 동단말기(10)와 기지국전송기의 송신출력제어, 셀간 핸드오프 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핸드오프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등을 포함한다.
WAP 게이트웨이(30)는 WAP기반의 이동통신망(20)과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연결하며, 인터넷 언어인 HTML을 무선인터넷 언어인 HDML(Handheld Device Markup Langue) 또는 WML과 상호 변환해준다.
SMSC(40)는 수신된 정보를 SMS메시지로 변환하여 반대편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정보DB(60)는 소정 정보를 저장하는 DB로서, 기상청DB, 증권회사DB, 방송사DB 등과 같은 외부기관의 DB일수도 있고, 정보제공서버(50)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자체 구축한 DB일 수도 있다.
정보제공서버(50)는 정보제공서비스를 원하는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상기 정보DB(60)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 제1 실시예를 위해서는 상기 정보제공서버(50)가 접속시간 스케쥴링부(51), SMS처리부(52), WAP서버(53), 가입자DB(54)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 서버운영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정보 DB(6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 등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접속시간스케쥴링부(51)는 각 가입자가 정보제공서버(50)에 접속하는 시간을 적절히 분산시키기 위해 각 가입자별로 접속시간을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날씨, 증권, 경기 정보 등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보다 유용한 것이므로 상기 접속시간은 1회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2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주기로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매 가입자별로 접속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정보제공서버(50)의 통화용량을 감안하여 동시접속이 허용될 만한 접속자수를 기준으로 가입자 집단을 그룹화하고, 각 그룹별로 접속시간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제공서버(50)에서 동시접속이 가능한 인원이 2만명이고, 총가입자수가 10만명이라면 전체 가입자를 5개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제1 그룹의 접속시간을 10시, 12시, 14시, 16시로 지정하고, 제2 그룹의 접속시간은 10시 5분, 12시 5분, 14시 5분, 16시 5분으로 지정한다.
SMS처리부(52)는 접속시간스케쥴링부(51)에서 산출한 가입자별 접속시간정보와 정보제공서버(50)의 URL을 SMSC(40)로 전송하여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WAP서버(53)는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가 무선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정보제공을 요청할 때, 정보데이터를 WAP페이지 포맷으로 변환한 후에 이를 WAP게이트웨이(30)를 경유하여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로 제공한다.
가입자정보DB(54)는 정보제공서비스를 원하는 가입자에 대한 정보, 특히 가 입자의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다만 상기 가입자정보 DB(54)가 반드시 정보제공서버(50)의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정보제공서버(50)에서 이동단말기(10)로 소정의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 1과 신호흐름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정보제공서비스를 원하는 가입자를 모집한 후 이동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정보제공서버(50)의 가입자DB(54)에 저장한다. (ST11)
이어서 가입자DB(54)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가입자별 접속시간을 스케쥴링하며, 이러한 스케쥴링 절차는 정보제공서버(50)의 접속시간 스케쥴링부(51)에서 이루어진다.
스케쥴링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가입자별로 접속시간을 달리할 수도 있고, 전체 가입자를 2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각 그룹별로 다른 접속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ST12)
접속시간 스케쥴링이 완료되면 각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로 접속시간정보와 정보제공서버의 URL을 SMS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정보제공서버(50)의 SMS처리부(52)에서는 접속시간정보를 소정 형식으로 가공한 후에 SMSC(40)로 전송한다. (ST13)
SMSC(40)는 수신한 접속시간정보 및 정보제공서버의 URL을 이동통신망(20)을 경유하여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한다. (ST14)
이동단말기(10)는 수신한 접속시간정보 및 정보제공서버의 URL을 저장하고, 이후에 자동으로 시간을 체크하여 접속시간이 도래하면 정보제공서버(50)로 무선인터넷 접속을 시도한다.
이러한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제공서버(50)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단말 애플리케이션에 도달하는 과정(Ⅰ), 수신한 접속시간정보에 따라 단말 애플리케이션에서 무선인터넷 플랫폼인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에 접속시간 설정을 요청하는 과정(Ⅱ), WIPI에서 단말운영시스템(OS)에 대해 설정된 접속시간의 도래여부를 체크해줄 것을 요청하는 과정(Ⅲ), 단말운영시스템(OS)에서 시간체크를 수행하여 접속시간이 도래하면 이를 WIPI로 알려주는 한편 이동단말기(10)가 슬립(sleep) 상태이면 단말을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과정(Ⅳ), WIPI에서 무선인터넷 접속을 처리할 단말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wake up요청을 하여 구동시키는 과정(Ⅴ), 단말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URL을 통해 정보제공서버(50)에 무선인터넷 접속을 하는 과정(Ⅵ) 등을 거치게 된다. (ST15)
이동단말기(10)는 전술한 과정을 거친 이후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WAP G/W(30)를 경유하여 정보제공서버(50)로 무선인터넷 접속을 시도하여 정보제공을 요청한다. (ST16)
상기 정보제공 요청을 수신한 정보제공서버(50)는 정보DB(60)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 후에 이를 WAP 서버(53)를 통해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한다. (ST 17)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제공서버(50)에서 스케쥴링된 접속시간정보와 URL정보를 PPG(Push Proxy Gateway)(70)를 경유하여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로 직접 푸쉬해주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PPG(70)는 정보제공서버(50)에서 요청한 푸쉬메시지를 이동통신망(20)을 경유하여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하며, PPG(70)와 정보제공서버(50)의 사이에서는 푸쉬 억세스 프로토콜(PAP)이 적용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처럼 SMSC(40)를 경유할 필요가 없고, 당연히 정보제공서버(50)는 스케쥴링된 접속시간정보를 SMSC(40)로 전송하기 위한 SMS처리부(52)를 구비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다른 용도를 위해 SMS처리부(52)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에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이동단말기(10)로 접속시간정보 등을 푸쉬하기 전에 이동단말기(10)와 PPG(70) 사이에 통신 세션(session)을 열어야 한다.
이때 세션개시요청(Session Initiation Request: SIR) 메시지는 문자메시지 형태로 PPG(70)에서 이동단말기로 전송되므로 이 경우에는 정보제공시스템이 SMSC를 포함하여야 한다.
WAP G/W(30)와 PPG(70)이 기능적으로 구분되기는 하지만, 물리적으로 통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와 신호흐름도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기(10)로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정보제공서비스를 원하는 가입자를 모집한 후 이동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정보제공서버(50)의 가입자DB(54)에 저장한다. (ST21)
이어서 가입자DB(54)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가입자별 접속시간을 스케쥴링하며, 이러한 스케쥴링 절차는 정보제공서버(50)의 접속시간 스케쥴링부(51)에서 이루어진다. 스케쥴링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ST22)
접속시간 스케쥴링이 완료되면 각 가입자의 접속시간정보와 정보제공서버의 URL을 PPG(70)로 전송하여 각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로 푸쉬해줄 것을 요청한다. (ST23)
PPG(70)는 이동단말기(10)와의 통신 세션을 확보한 후에 자신이 수신한 접속시간정보 및 정보제공서버의 URL을 이동통신망(20)을 경유하여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한다. (ST24)
이동단말기(10)는 수신한 접속시간정보 및 정보제공서버의 URL을 저장하고, 이후에 자동으로 시간을 체크하여 접속시간이 도래하면 정보제공서버(50)로 무선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ST25)
이동단말기(10)는 전술한 과정을 거친 이후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WAP G/W(30)을 경유하여 정보제공서버(50)로 무선인터넷 접속을 시도하여 정보제공을 요청한다. (ST26)
상기 정보제공 요청을 수신한 정보제공서버(50)는 정보DB(60)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 후에 이를 WAP 서버(53)를 통해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한다. (ST 27)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가 일일이 이동단말기를 조작하여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고, 정보제공서버에서 URL을 포함한 SMS메시지를 이동단말기로 주기적으로 푸쉬함으로써 발생하는 통신망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정보제공서버가 서비스 가입자별로 접속시간을 스케쥴링하여 접속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접속시간정보를 각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기가 상기 접속시간정보에 포함된 접속시간에 상기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요청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접속시간은 2회 이상으로 설정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상기 접속시간을 다르게 설정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정보제공서버의 URL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접속시간정보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를 통해 단문메시지 형식으로 전송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접속시간정보는 푸쉬프록시게이트웨이(PPG)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로 푸쉬(Push)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된 접속시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접속시간정보를 기초로 접속시간 도래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접속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접속하여 정보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접속시간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애플리케이션이 무선인터넷 플랫폼에 접속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이 단말운영시스템(OS)에 대해 설정된 접속시간의 도래여부를 체크해줄 것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운영시스템(OS)에서 시간체크를 수행하여 설정된 접속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으로 통지하는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가 슬립(sleep) 상태이면 단말을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에서 무선인터넷 접속을 처리할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무선인터넷 접속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방법
  9.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DB, 상기 가입자별로 접속시간을 스케쥴링하여 접속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접속시간스케쥴링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제공할 정보를 WAP포맷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WAP서버, 상기 접속시간정보를 단문메시지 형식으로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SMS처리부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서버;
    상기 정보제공서버와 연동하며, 가입자가 필요로 하는 특정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DB;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정보제공서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무선인터넷 접속경로를 제공하는 WAP 게이트웨이;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정보제공서버의 사이에서 단문메시지 전송경로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시스템
  10.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DB, 상기 가입자별로 접속시간을 스케쥴링하여 접속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접속시간스케쥴링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제공할 정보를 WAP포맷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WAP서버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서버;
    상기 정보제공서버와 연동하며, 가입자가 필요로 하는 특정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DB;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정보제공서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무선인터넷 접속경로를 제공하는 WAP 게이트웨이;
    상기 접속시간 스케쥴링부에서 생성된 상기 접속시간정보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푸쉬(Push)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정보제공서버의 사이에 설치되는 푸쉬프록시게이트웨이(PPG);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로의 정보제공시스템
KR1020060067226A 2006-07-19 2006-07-19 정보제공서버에서 정한 접속시간에 따라 이동단말기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79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226A KR100779906B1 (ko) 2006-07-19 2006-07-19 정보제공서버에서 정한 접속시간에 따라 이동단말기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226A KR100779906B1 (ko) 2006-07-19 2006-07-19 정보제공서버에서 정한 접속시간에 따라 이동단말기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906B1 true KR100779906B1 (ko) 2007-11-29

Family

ID=3908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226A KR100779906B1 (ko) 2006-07-19 2006-07-19 정보제공서버에서 정한 접속시간에 따라 이동단말기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9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9164A1 (en) 2004-10-22 2006-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MS notification mess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9164A1 (en) 2004-10-22 2006-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MS notification me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1784B1 (en) Method i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device
EP1198933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ing data in a direct digital call environment
JP3943425B2 (ja) 位置及びイベントトリガー型通知サービス
CA2409553C (en) Short message gateway,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for mobile devices
US776899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0869690B1 (en) E-mail access from wireless telephones using user agents
CA2399144C (en) An email system, a server, and an emai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US20040203611A1 (en) Architecture and services for wireless data
Rao et al. iSMS: An integration platform for short message service and IP networks
US20100177751A1 (en)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content over a local wireless system
US7136925B1 (en) System for processing wireless connections using connection handles
KR100779906B1 (ko) 정보제공서버에서 정한 접속시간에 따라 이동단말기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0852716B1 (ko) 복수의 이동단말기에서 동일 컨텐츠를 설정하는 방법
US88563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inform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the access bearer
KR20070105928A (ko) 모바일 단말로부터 컨텐츠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는 방법및 시스템
CN1984174B (zh) 短信接收终端发送个性化回执信息的方法
KR20020045961A (ko) 왑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계방법
KR2005009505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KR20080004638A (ko) 엠엠에스메시지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KR20030022123A (ko) 데이터 및 음성 서비스가 통합된 무선 단말 통신 세션을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8366A (ko) 인터넷 메신저와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간의 에스엠에스를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1524284A (ja) 個人コンピュータから情報にアクセスし転送するシステム
KR100939714B1 (ko) 자동응답 메시지의 이 메일 전송방법
KR20010003484A (ko) 웹 브라우징 가능한 무선단말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5709A (ko) 유·무선 전화번호와 무선인터넷 웹사이트의 연동 처리 방법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