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928A - 모바일 단말로부터 컨텐츠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는 방법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로부터 컨텐츠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는 방법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928A
KR20070105928A KR1020070041210A KR20070041210A KR20070105928A KR 20070105928 A KR20070105928 A KR 20070105928A KR 1020070041210 A KR1020070041210 A KR 1020070041210A KR 20070041210 A KR20070041210 A KR 20070041210A KR 20070105928 A KR20070105928 A KR 20070105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redetermined data
broadcast
server
cb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수아 뱅상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프랑세즈 뒤 라디오텔레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프랑세즈 뒤 라디오텔레폰 filed Critical 소시에떼 프랑세즈 뒤 라디오텔레폰
Publication of KR2007010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마이크로회로 및 메모리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전자 아이템,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대한 직접 액세스를 제공하는, 직접 액세스 키로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 적어도 하나의 키 및/또는 단말 스크린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쌍방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로 불리는 무선통신 셀 전화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쌍방향 서버로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쌍방향 서버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식별가능한 무선전화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 쌍방향 서버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쌍방향 서버로 또는 그 반대로 쌍방향으로 행해지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로 구성되는 소정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 네트워크는, 모든 모바일 단말에 대해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쌍방향 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 또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로 소정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를 구비하고,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식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 에 의해 전송된 소정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
-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소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 메모리 수단,
- 상기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소정 데이터의 식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읽어서, 이 정보에 대하여, 이들 소정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의 직접 액세스 키에 의한 액세스를 인증하거나 또는 인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허가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로부터 컨텐츠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CCELERATING ACCESS TO A CONTENT FROM MOBILE TERMINA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장비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value-added) 서비스로의 액세스에 적용되는 전자통신 영역에 관계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전화 셀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를 이용하는 모바일 무선통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부가가치 서비스로 이루어진 소정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고, 이 방법을 이행하기 위산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모바일 단말,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라 불리는 무선통신 단말에 대한 최근 기술의 발전은, 사용자가 그들의 모바일 전화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순환하는 문서로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모바일 전화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age Access), FOMA(Freedom of Mobile Multimedia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등과 같은 기술을 포함하는 알려진 무선전화 셀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에 의존한다.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순환하는 문서에 액세스하기 위해, 무선통신 단말은 모듈 및/또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소위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기술이라 불리는 일반적인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모듈 및/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갖추고 있다. 이 프로토콜은 모바일 단말이 부가가치 서비스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들어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가치 서비스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즉 인터넷 서비스 또는 WAP 페이지라 불리는 정보 페이지로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한다. 또한, WAP 기술은 문서가 WML(Wireless Markup Language)와 같은 언어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방식을 정의한다.
그러나, WAP 연결이라 불리는, 일반적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연결(connection)은, 이 연결을 구성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으로 인해 상당한 불이익을 입는다. 사용자가 그들의 모바일 장비로 부가가치 서비스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액세스하는, 예를 들어 WAP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시작하는(launch) 연결 시간은 30초에서 1분까지 걸릴 수 있다. 이 기간은 많은 수의 사용자에게 매우 길다고 여겨진다. 관련된 따분한 기다림을 제외하고라도, 멀티미디어 컨텐츠,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의 포털 첫번째 홈페이지로의 즉각적인 액세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WAP 내비게이션은 특히 긴급한 사용자의 특정 요구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알려진 방법으로, WAP 내비게이션의 시작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첫번째 시도는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의 양을 제한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부득이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를 두드러지게 축소하기 때문에, 만족스럽지 않다. 실례로서, 사용자의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의 포털의 첫번째 페이지는 상응하는 정보가 거의 없어서, 추측으로 이들은 사용자의 요구, 심지어 가장 틀에 박힌 요구조차 만족시킬 수 없다. 예를 들어,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의 첫번째 포털 페이지는 날씨 페이지로의 어떠한 링크도 포함하고 있지 않다. 결과적으로, 이 첫번째 시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의 사용자에게 점차 용량이 큰 WAP 페이지를 제공하려는 경향이 있는 기술적인 발전에 반하기 때문에 역효과를 초래한다.
WAP 내비게이션의 시작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두번째 알려진 시도는, 컨텐츠를 압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이 솔루션은 몇 가지 이유로 만족을 주지 못한다. 첫째,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장비 및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모두에 설치되어야 하는 특정 레이어(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시간적 및 비용적인 확장이 요구된다. 그리고, 성공적인 압축 및 압축을 푸는(decompression) 단계의 실행은 시간이 걸리는 것이어서, WAP 내비게이션의 시작에 대한 기대된 성능의 증진이 임의적 이다. 게다가, 이러한 단계의 실행은 모바일 단말의 제한된 에너지 자원을 낭비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압축하는 것은 당연히 한계가 있다. 이 시도는 따라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의 사용자에게 점차 부피가 큰 WAP 페이지를 제공하려는 경향이 있는 기술적인 진보에 수반하는 포화(saturation)에 빠르게 도달한다.
이들 처음 두 알려진 시도는 컨텐츠의 전송 단계에서만 실행하기 때문에 범위에서 상당한 제한이 있다. 반면, 이 컨텐츠에 대한 대부분의 액세스 시간은 특히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가입을 위해 프로토콜의 다른 층에서 링크를 설정하고, PDP 세션(session) 또는 컨텍스트(context)(Packet Data Protocol context)를 개설하고(open), 컨텐츠를 위한 채널의 전송을 교섭하는데 소비된다.
WAP 내비게이션 시작 성능을 향상시키는 세번째 알려진 솔루션은 무선전화 네트워크를 변경함으로써 포괄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컨텐츠(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의 극적인 진보는 최근의 UMTS 네트워크의 발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데, 이는 GSM 네트워크에 비해 증가한 대역폭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UMTS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UMTS-호환 모바일 단말로의 소위 SMS-CB 채널(Short Message Service Cell Broadcast)의 레이트(rate)는, 32 Kbits/second까지 도달할 수 있는데, 반면 GSM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GSM-호환 모바일 단말로의 동일한 SMS-CB 채널의 레이트는 단지 1 Kbits/second로 제한된다.
네번째 알려진 방법은 기본 서비스의 가입과 동시에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셀 네트워크 가입자를 미리 가입시기는 것으로 구성된다. 역시 이 솔루션은 이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넣어서, 그에 의해 비용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독점하게 되는 약점이 있다.
그러나, 심지어 UMTS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WAP 서비스로의 연결 시간은 약 10 내지 20초가 걸리며, 이는 사용자에게는 매우 긴 시간으로 인지된다. UMTS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패스밴드 레이트의 현저한 증가는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모바일 단말에 제공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당한 증가를 가져오고, WAP 내비게이션 시작 성능에서 발생한 증가를 상쇄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의 첫번째 포털 페이지는 이제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사진과 같은 보다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그러나 지나치게 길다고 여겨지는 연결 시간 때문에 사용자가 거의 찾지 않게 된다.
컨텐츠 양과 관련된 다른 문제는 각각의 대역폭을 통해 다른 레이트를 제공하는 여러 가지 네트워크, 예를 들어 UMTS와 GSM의 병렬적인 사용에 있다. 현재 UMTS 네트워크의 랜드 커버리지(land coverage)는 GSM 네트워크의 그것보다 작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 이 지역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의 유효성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대한 UMTS 가입자는, 동일한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의 동일한 포털의 첫번째 홈페이지로부터 그들의 WAP 내비게이션을 시작할 가능성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UMTS에 서 GSM으로 또는 역으로)로 바꿀 수 있어야(또는 사용자에게 투명한 방식으로 서비스 및/또는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바뀔 수 있어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WAP 내비게이션을 위해 그 가입자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GSM 또는 UMTS에 관하여,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가 다른 양의 WAP 홈페이지를 만들어내는 것은 기획될 수 없다. 따라서 WAP 연결, 예를 들어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의 WAP 포털의 첫번째 페이지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대기 시간을, 이 연결을 위한 가입자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전화 네트워크와 관계없이 줄이려는 도전은 여전히 남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면과제는 무선전화 셀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모바일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부가가치 서비스를 형성하는 소정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는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하나 이상의 불리한 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마이크로회로 및 메모리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전자 아이템,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대한 직접 액세스를 제공하는, 직접 액세스 키로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 적어도 하나의 키 및/또는 단말 스크린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쌍방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로 불리는 무선통신 셀 전화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쌍방향 서버로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쌍방향 서버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또는 부가 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식별가능한 무선전화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 쌍방향 서버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쌍방향 서버로 또는 그 반대로 쌍방향으로 행해지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로 구성되는 소정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 네트워크는, 모든 모바일 단말에 대해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쌍방향 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 또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로 소정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를 구비하고,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식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전송된 소정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
-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소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 메모리 수단,
- 상기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소정 데이터의 식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읽어서, 이 정보에 대하여, 이들 소정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의 직접 액세스 키에 의한 액세스를 인증하거나 또는 인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허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에 관련된 것이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래밍은,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 또는 쌍방향 서버에 의해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브 로드캐스트 규칙에 따라 관리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정 데이터는 쌍방향 서버에 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는 최후 업데이트 이래 사전 정의된 시간 간격으로 이들 업데이트된 소정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반복 규칙에 따라 동일한 소정 데이터의 반복 브로드캐스트를 관리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는, 다음 파라미터:(a)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브로드캐스트하는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타임스탬프; (b)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의 컨텐츠; (c)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의 컨텐츠 버전; (d)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셀 번호; (e) 무선전화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자, 및/또는 이들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함수의 결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 특성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가능하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정 데이터의 식별 특성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단방향 채널을 통한 상기 소정 데이터의 브로트캐스트에 앞서,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별도로 전송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전화 네트워크는, 쌍방향 서버부부터 모바일 단말로의 소정 데이터의 전송 방향에 대해 쌍방향 서버의 아래 및 단방향 브로드캐 스트 센터의 위에 설치된 입력 서버를 구비하고,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소정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분할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서버에 의해 쌍방향 서버의 소정 데이터의 이전 분할시 얻어진 사전 정의된 양의 복수의 메시지로 형성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수단은,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입력 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로의 단방향 연결 세션의 영구적 개방을 유지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프로세싱 노드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로부터 쌍방향 서버로의 새로운 쌍방향 접속을 설정하도록 무선전화 네트워크에 리퀘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관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퀘스트는, 모바일 단말의 직접 액세스 키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스크린 상에 모바일 단말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소정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과 동시에 전송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전화 네트워크 및 모바일 단말은, GSM 기술 및/또는 UMTS 기술과 호환가능하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정 데이터는, 쌍방향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WAP 타입의 멀티미디어 포탈로의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의 하나 이상의 단점을 없애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무선전화 셀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를 이용하여 모바일 통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부가가치 서비스로의 액세스로 구성되는, 소정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하는 것을 제시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로 구성되는 소정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모든 모바일 단말에 대해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 또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로 쌍방향 서버의 소정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를 통한 무선전화 네트워크와 쌍방향 서버의 통신 스텝으로, 이들 소정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식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특성을 포함하는, 통신 스텝,
-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식별 수단에 의한 식별 스텝,
- 모바일 단말의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소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한 저장 스텝,
- 모바일 단말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소정 데이터의 식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읽어서, 이 정보에 관해, 이들 소정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사용을 직접 액세스 키를 통해 인증하거나 또는 인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인증 스텝을 포함하는 것에 관련된 것이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브로드캐스트 규칙에 따라,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 또는 쌍방향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를 프로그램하기 위한 스텝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 쌍방향 서버에 의한 소정 데이터의 주기적 업데이트 스텝, 및
- 최후 브로드캐스트 이후 사전 정의된 시간 간격으로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한 이들 업데이트된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스텝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반복 규칙에 따라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동일한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반복 스텝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한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스텝은,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소정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식별 특성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한 이전의 별도 브로드캐스트 스텝보다 후행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한,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한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스텝은, 쌍방향 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로의 소정 데이터의 전송 방향에 대해 쌍방향 서버의 아래 및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의 위에 설치된 입력 서버에 의해 사전 정의된 양의 복수 메시지로 소정 데이터를 분할하는 이전 분할 스텝에 후행하고, 이 분할은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분할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서버에 의해 행해진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수단에 의해,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입력 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로의 단방향 연결의 영구적 개방 스텝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화 네트워크의 프로세싱 노드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로부터 쌍방향 서버로의 새로운 쌍방향 연결을 설정하도록, 무선전화 네트워크에 모바일 단말의 관리 수단에 의한 리퀘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스텝을 포함하고, 이 리퀘스트 전송 스텝은, 모바일 단말의 스크린 상에 모바일 단말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소정 데이터의 표시 스텝과 동시에 행해지고, 이 두 스텝은 모바일 단말 상에 직접 액세스 키의 활성화에 의해 트리거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쌍방향 서버의 소정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무선전화 네트워크 및 이들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은, GSM 기술 및/또는 UMTS 기술과 호환가능하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정 데이터는, 쌍방향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WAP 타입의 멀티미디어 포탈로의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과 장점을 가지는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좀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1 및 도2에서 가장 단순화한 방식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부가가치 서비스를 형성하는 소정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게 하고, 전화 핸드셋(handset)(1)의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쌍방향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키패드 및 스크린과, 마이크로회로와 메모리, 즉 소위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0)와 함께 여러 개의 레이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적인 전자 아이템을 포함하는, 하나의 무선전화통신 셀 단말, 소위 모바일 단말(T)로 구성된다. 알려진 방식으로, 이 카드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라고 불리는, 모바일 단말(T)을 사용하는 가입자의 식별자와, 가입자의 주요 특징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T)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라 불리는, 모바일 단말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다.
시스템은 무선전화 셀 네트워크, 예를 들어 GSM 또는 UMTS 타입의 알려진 인프라스트럭쳐를 사용하고, 그 코어가 도1에서 (12)로 참조된다. 예를 들어 UMTS 무선전화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전화 핸드셋(1)은 수신자를 향해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셀(14)을 구성하는 기지국(노드 B)의 송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UMTS 타입의 안테나(A1)가 제공된다. 후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부(Radio Network Controller)《RNC》에 의해 알려진 방식으로 제어된다.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네트워크의 나머지 및/또는 모바일 단말(T)의 신원확인(identification)은 도1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알려진 방식으로 사용된다.
알려진 방식으로 네트워크 수단에 의해 신원확인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은, 무선전화 네트워크 내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쌍방향 서버(F)라고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쌍방향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알려진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T)과 쌍방향 서버(F) 간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송수신 겸용 방식(two-way fashion)으로 처리되는데 즉, 모바일 단말에서 쌍방향 서버로, 그리고 역으로 셀(14)의 무선 링크에서 다른 단말에 의해 수신될 수 없는 전용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 처리된다.
UMTS 무선전화 네트워크에 관해서, 모바일 단말(T)과 쌍방향 서버(F) 사이의 송수신 데이터는 프로세싱 노드라 불리는 데이터 프로세싱 노드를 사용하여 처리된 다. 이것은 예를 들어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연결 및 네트워크 내에서의 이동성의 관리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타입의 프로세싱 노드일 수 있고, 여기서 모바일 단말(T)과 쌍방향 서버(F) 간의 데이터 흐름의 라우팅(routing)을 확실하게 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T)을 가지는 가입자는 쌍방향 서버(F)에 의해 제공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것은 가입자의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에 속하는 쌍방향 서버(F)에 의해 관리되고 호스트(host)되는 WAP 타입의 멀티미디어 포털의 홈페이지로의 액세스를 수반할 수 있다.
이 가입자가 멀티미디어 포털로 액세스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T), 특히 전화 핸드셋(1)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로의 적어도 하나의 직접 액세스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직접 액세스 키(13)라고 불리는, 모바일 단말(T)의 키패드 상의 키(key),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로의 직접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말 스크린상의 접촉 영역 및/또는 스크롤 메뉴를 통한 액세스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직접 액세스 키(13)를 누르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T)의 접촉 영역을 누름으로써, 가입자는 WAP 연결이라고 불리는, 모바일 단말(T) 및 쌍방향 서버(F)에 특정한 송수신 겸용 데이터의 송수신 채널을 통해 송수신 겸용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데, 이는 프로세싱 노드 SGSN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부(RNC)에서 쌍방향 서버(F)로 데이터의 전송을 일으킨다. 이 데이터의 경로가 도1에서 개략적으로 두줄로 나타나 있다.
SGSN 프로세싱 노드를 사용하는 무선전화 네트워크에서의 WAP 연결은, 현재 적어도 네개의 알려진 단계로 실행된다.
- 모바일 단말(T)을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셀(14)을 형성하는 기지국(B)과 네트워크의 코어에 두는 배치단계(attachment step);
- 서비스 및/또는 전송 품질을 협상하는 협상단계;
-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코어와 전화 네트워크의 무선부간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 네트워크의 전체 길이에 대해, 쌍방향 서버(F), 즉 WAP과 모바일 단말(T) 간의 데이터 패킷을 라우트하는 라우팅단계.
각각의 이들 단계는 그 실행을 위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SGSN 프로세싱 노드를 사용하는 무선전화 네트워크에서 WAP 연결은 수십 초, 예를 들어 UMTS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약 10초 내지 20초의 대기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시간을 줄이기 위해, 모바일 단말(T)의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셀과 네트워크의 코어로의 배치 단계는, 가입자 식별자를 넣기 위한 SGSN 프로세싱 노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로의 배치단계와 동시에 수행된다. 이는 SGSN 프로세싱 노드에서 넣어지는 가입자의 전체 수와, 사용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라이센스와 관련된 비용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이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T)과 쌍방향 서버(F) 간에 소정 비활성 기간 후에, 예를 들어 장기간에 걸친 비교환(non-exchanging)(예를 들어, 3시간 동안) 후에 SGSN 프로세싱 노드와 함께 가입자의 입장을 끝내는 이탈 수단(예를 들어 무선전화 네트워크 레벨 또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실행을 요구한다.
모든 경우에, WAP 서비스로의 액세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로딩하는데 필요한 나머지 세 단계는, 모바일 단말(T)로부터 쌍방향 서버(F)로의 모든 연결에 대해 필수 불가결하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기본 서비스(음성,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에 가입시에, SGSN 프로세싱 노드와 함께 가입자 식별자의 초기 입장은, WAP 연결을 시작할 때 가입자에 대한 대기 시간의 명확한 감소를 확실하게 하지는 않는다.
쌍방향 서버(F)에 의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원하는 대부분의 가입자는, 직접 액세스 키(13)를 사용한 WAP 연결을 시작한 후에, 가입자의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고 및/또는 호스트되는 WAP 포털의 첫번째 홈페이지를 시작한다. 이 첫번째 페이지는 하루에 몇번(several times) 업데이트되지만, 미리 예정된 기간, 예를 들어 약 1 내지 2 시간 동안은 변화하지 않는다. WAP 포털의 첫번째 홈페이지는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예를 들어 파생(secondary) WAP 페이지라 불리는 다른 WAP 페이지로의 액세스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가진다. 이들은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예를 들어 날씨 예보, 교통 뉴스, 헤드라인 뉴스, 스포츠 이벤트 결과 등으로 액세스를 제공하는 다른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가진 페이지이다. 이러한 다른 WAP 페이지(그리고 WAP 포털의 첫번째 홈페이지 상에 링크 애플리케이션)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12개로 제한된다. 이러한 파생 WAP 페이지는 가입자의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고 및/또는 호스트 될 수도 있고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이러한 홈페이지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 예를 들어, 응급상황에 걸어야 하는 번호(소방대, 경찰, 응급 의료대, 등)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WAP 페이지의 두 나무모양(arborescence) 레벨(WAP 포털의 홈페이지는 제1레벨을 형성하고, 파생 WAP 페이지는 제2레벨을 형성함)은 엄밀한 의미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지만, 가입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로 향하게 하는, 페이지 환경에서 가입자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두 WAP 페이지 레벨, 예를 들어 WAP 포털의 두 첫번째 홈페이지를 지나갈 수 있기 위해서, 연결, 전송 및 내비게이션 시간(링크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을 고려하여 가입자는 30초 내지 60초를 기다려야만 한다.
가입자를 위해 이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유익하게, 쌍방향 서버에서 파생되어 모바일 단말로 보내지는, 모바일 단말(T)의 메모리로 보내지는, WAP 포털의 첫번째 홈페이지를 형성하는 소정 데이터를 미리 로딩하는 것(pre-loading)을 제안하는데, 이것은 단말의 동작 시스템이 직접 액세스 키(13)에 의해 이 소정 데이터에 액세스하도록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무선전화 네트워크는 쌍방향 서버(F)에서 모바일 단말(T), 또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로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소정 데이터를 단방향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기 위한 관리 센터(management center)를 포함한다. 이 소정 데이터를 단방향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관리 센터는,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수단과 협력하고 쌍방향 서버(F)에서 모바일 단말(T) 또는 일 그 룹의 모바일 단말로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14)로 소정 데이터의 전송을 전용적으로 관리하는 《CBC》센터(Cell Broadcast Center)일 수 있다.
또한, CBC 센터에 의해 전송된 소정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식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특성(identification characteristic)을 포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CBC 센터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는, 파라미터 및/혹은 이러한 파라미터를 사용한 함수의 결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별 특성을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의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될 수 있으며, 그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a)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타임스탬프(timestamp); (b)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소정 데이터의 컨텐츠; (c)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소정 데이터의 컨텐츠 버전; (d)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셀번호; (e) 무선전화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단말의 식별자.
또한, 모바일 단말은 바람직하게 다음을 포함한다.
-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을 통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 이것은 모바일 단말(T)이 식별 특성(예를 들어, 컨텐츠 버전)의 상태가 이미 저장된 메시지의 그것과 동일한 메시지를 다시 듣거나(re-listen) 또는 다시 저장하지(re-save) 않을 수 있게 하므로, 에너지, 메모리 등을 절약할 수 있다. 다른 예는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하나의 셀에서 다른 셀로 움직이는 모바일 단말(T)의 그것인데, 전송셀의 번호를 제 외하고,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메시지를 저장하려고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단말의 동작 시스템은 이 식별자들을 수신하여 분석한 후에, 이 소정 데이터를 듣고 저장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소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mass) 메모리 수단,
-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소정 데이터의 식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읽고, 이 정보에 관하여, 이 소정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직접 액세스 키에 의한 액세스를 인증하거나 인증하지 않는 인증 수단.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T)은 프로세싱 노드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T)로부터 쌍방향 서버(F)로 새로운 쌍방향 연결을 설정하기 위하여 무선전화 네트워크에 리퀘스트(request)를 보내는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 리퀘스트는 모바일 단말(T) 상의 직접 액세스 키(13)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스크린 상에 소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동시에 보내어진다.
실례로서, 예를 들어 각각 매시간 업데이트되는 쌍방향 서버(F)의 WAP 액세스 페이지의 두 나무모양 레벨을 형성하는, 20 Koctets(Ko)의 15 WAP 페이지에 대하여, 필요한 리소스(resource)는 2400 Kbits/hour, 즉 0.66 Kbits/second이다. 그러나, UMTS 무선전화 네트워크에 대하여 기지국(노드 B)은 30 Kbits/second까지의 레이트를 허용하는 SMC-CB(Short Message Service Cell Broadcast)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15 WAP 페이지를 매시간 보내는 유닛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T)에 의해 이들 페이지의 보장된 수신을 확실하게 하는 반복 전략을 준비하기에 충분한 레이 트의 여유가 있다. 모바일 단말(T)에 의한 수신의 승인이 없는 것으로 인한 SMS-CB 채널의 《거의 믿을 수 없는(scarcely reliable)》 본질(nature)은, 적당한 WAP 페이지, 특히 WAP 포털의 첫번째 홈페이지의 유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복 전략을 요구한다. SMS-CB 채널의 특정한 본질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거의 믿을 수 없는(scarcely reliable)》이라는 용어는, 어떤 식으로든 데이터 전송과 관련한 어떠한 기술적인 문제로 번역되지는 않는다. 이는 기술적인 관점에서는 SMS-CB 채널은 명백하게 완전히 신뢰할 수 있기 때문이다. SMS-CB 채널의 《거의 믿을 수 없는(scarcely reliable)》 본성은 쌍방향 서버(F)에서 모바일 단말(T)로의 데이터의 전송이 단방향이라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리턴(return) 채널의 이러한 부재를 고려할 때, 모바일 단말(T)은 쌍방향 서버(F)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의 적절한 수신을 그에게 또는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다른 요소들에게 확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입자의 로밍(roaming) 동안에 모바일 단말(T)은, SMS-CB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의한 신호의 수신이 불확실한 지역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그러면 가입자는 이 불확실한 수신 지역을 떠나서 믿을만한 수신 지역에 재진입할 수 있으며, 역으로도 같다. 따라서, 쌍방향 서버(F)에서 모바일 단말(T)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반복 전략이 없으면, 가입자가 잠시 SMS-CB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의한 신호의 수신이 불확실한 지역이 있을 때 데이터가 보내지면, 모바일 단말에 의한 보장된 수신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WDP(Wireless Data Protocol)이라 불리는 OMA(Open Mobile Alliance) 규격을 만족시키는, 무선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의 설계는, SMS-CB 채널을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캐리어(carrier) 채널을 통해 WAP 페이지를 전송할 준비를 한다. 결과적으로, 실례로서 위에서 설명한 SMS-CB 채널의 선택은 결코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GSM 무선전화 네트워크를 고려하면, 기지국(B)은 GSM이 1 Kbits/second의 전송 레이트를 허용하는 SMS-CB 채널이 있다. 따라서, 이 레이트는 본 예에서 각각 20 Ko의 15 페이지를 포함하는 WAP 페이지의 두 나무모양 레벨을 업데이트하고, 반복적인 데이터 전송 전략을 사용하는 보장 수신을 확실하게 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GSM에 대한 SMS-CB 채널의 1 Kbits/second의 레이트는 더욱 작은 데이터량, 예를 들어 WAP 포털의 첫번째 홈페이지의 업데이트를 매시간 전송하는 것은 쉽게 허용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가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predefined) 반복 규칙(rule), 예를 들어 하루에 한번에 따라 동일한 소정 데이터의 반복적인 브로드캐스트를 관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도는 주어진 모바일 단말(T)을 식별하지 않고도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모든 셀에 대하여 동일한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를 용이하게 한다. 다른 예에서, 주어진 셀(14)에 존재하는 단말 또는 식별자(예를 들어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관리자에 의해 가입자에게 할당된 모바일 단말 번호)가 소정의 숫자의 개수 등인 단말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명백하게, 반복 규칙 또는 위에서 언급한 규칙들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파라미터 및/또는 이러한 파라미터를 사용한 함수의 결과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규칙들은, 이들 규칙들을 관리하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CBC 센터에 의해 관리된다.
UMTS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위의 예를 참조로 하면, CBC 센터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부(RNC)와 규격화된 프로토콜, 예를 들어 《SABP》(Service Area Broadcast Protocol)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수단 및 장비를 사용하여 대화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네트워크 제어부(RNC)와 모바일 단말(T) 각각은 CBC 센터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 제어 레이어, 예를 들어 《BMC》(Broadcast Multicast Control) 레이어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수단 및 장비가 있다. 따라서 이들 수단은 CBC 센터 또는 쌍방향 서버(F)가,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브로드캐스트 규칙에 따라서,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의 프로그래밍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는 쌍방향 서버(F)에 의해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 버전을 새로운 버전으로 교체하기 위해), 소정 데이터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수단(SABP 프로토콜, BMC 레이어)은 CBC 센터가 최후 업데이트로부터 사전 정의된 시간 간격에, 예를 들어 쌍방향 서버(F)에 의해 소정 데이터의 최후 업데이트 후에 즉시, 및/또는 CBC 센터에 의해 이러한 업데이트된 소정 데이터를 최후 브로드캐스트 한 이후로부터 사전 정의된 시간간격에, 업데이트된 소정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게 한다.
CBC 센터에 의해 동작되는(그리고 [BMC] 레이어에 의해 서포트되는) 기능의 다른 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특정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예를 들어, CBC 센터는 모바일 단말(T)로 쌍방향 서버(F)가 이어서 브로드캐스트할 것을 가리키는 특정 프로그래밍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것은 컨텐츠의 요약, 컨텐츠 버전, 브로드캐스트 시간, 소정 WAP의 최후 업데이트로부터의 시간, 쌍방향 서버(F)로부 터 관리 및/또는 호스트되는 이 WAP 페이지, 등과 같은 이미 위에서 언급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선택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래밍 메시지는 CBC 센터에 의해서도, 또는 쌍방향 서버(F)에 의해 (예를 들면, 소정 WAP 페이지의 업데이트 후에 즉시) 생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프로그래밍 메시지는 CBC 센터를 통해 운반되지만 그에 의해 변경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소정 데이터의 식별 특성의 상태를 가지는 이 프로그래밍 메시지(예를 들어 WAP 포털의 첫번째 홈페이지)는 소정 데이터의 각각의 전송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CBC 센터는, 예를 들어, 먼저 프로그래밍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그리고 나서 소정 데이터를 가지는 다른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프로그래밍 메시지와 소정 데이터를 가지는 메시지는 병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의 이해를 위해, 특히 쌍방향 서버(F)의 시작시에 쌍방향 서버(F)로부터 모바일 단말(T)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트리거(trigger) 메커니즘의 보다 낳은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은 구조는, 도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이른바 《WAP 푸쉬(push)》 모드와 호환될 수 있는 예로서 인용될 수 있다. 이 도면은 전송 초기화 서버(send initiating server)(F=PI)(즉, 푸쉬 이니시에이터(Push Initiator))로서 동작하는 쌍방향 서버(F)와 가입자의 모바일 단말(T)을 보여준다. 유사하게, 무선전화 네트워크는 입력 서버, 예를 들어, 소위 《PPG》(Push Proxy Gateway) 서버를 포함한다. 이것은 쌍방향 서버(F=PI)로부터 모바일 단말(T)로 소정 데이터를 전송 하는 방향과 관련하여, 쌍방향 서버(F=PI)의 아래에(downstream) 그리고 CBC 브로드캐스트 센터의 위에(upstream) 설치된다.
쌍방향 서버(F=PI)와 PPG 입력 서버 사이에는 예를 들어 특정 《PAP》프로토콜(Push Access Protocol)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및 장비 수단을 사용하여 교환이 이루어진다. PPG 입력 서버와 모바일 단말 사이에는 다른 특정 프로토콜, 예를 들어 《POAP》프로토콜(Push Over the Air Protocol)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및 장비 수단을 가지고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런 목적을 위해, 모바일 단말(T)과 입력 서버 PPD 사이에, 모든 모바일 단말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 예를 들어 SMS-CB를 통해, 입력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T)의 단방향 연결 세션의 개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단방향 연결 세션은 영구적으로 개시된다(open). SMS-CB 채널만을 통한 단방향 연결 세션의 가능한 영구적인 개시는, 모바일 단말(T)이 다음과 같은 것을 가능하게 한다.
- 핸드셋이 오직 《유휴 모드(idle mode)》에 있거나 또는 오직 《항상 온 모드(always-on mode)》에 있을 때 쌍방향 서버로부터 추출된 소정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저장할 수 있게 한다.
- 핸드셋이 음성 전송/수신 모드, 예를 들어 가입자가 전화 대화 중일 때, 쌍방향 서버로부터 추출된 소정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저장할 수 없게 한다.
다시 말하면, 오직 SMS-CB 채널을 통한, 단방향 연결 세션의 가능한 영구적인 개시는, 모바일 단말(T)의 다른 기능과의 관계에서 소정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PPG 입력 서버는 SMS-CB 채널을 위해 어드레싱 이슈(addressing issue)를 해결한다.
유사하게, CBC 센터에 의한 소정 데이터 브로드캐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분할 규칙(segmenting rule)에 따라, PPG 입력 서버에 의해 쌍방향 서버(F)의 소정 데이터의 이전(prior) 분할 동안 획득된 사전 정의된 양의 다수의 메시지로 형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PPG 입력 서버는 WDP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및 장비 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SMS 타입(Short Message Service)의 단문 메시지로 WAP 메시지를 분할하기에 적합하다. SMS-CB 채널에 관해서는, 이것은 이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SMS 메시지의 크기는 소정 수의 옥텟, 예를 들어 최대 1230 옥텟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쌍방향 서버(F)로부터 추출된 WAP 페이지는 PPG 입력 서버에 의해 SMS-CB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T)로 전송되기 전에 다수의 상응하는 SMS 메시지, 예를 들어 패킷으로 분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은 아래에 주어진 매우 단순화된 예로 나타날 수 있다. 첫째, 쌍방향 서버(F=PI)는 가입자의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에 의해 업데이트된, WAP 포털의 소정 WAP 홈페이지를 검파한다(detect). 이후, 쌍방향 서버(F=PI)가 PPG 입력 서버에, UMTS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모든 모바일 단말(T)에서 기지국(B)의 SMS-CB 채널을 통해, CBC 센터를 사용하여 관련된 WAP 페이지를 브로드캐스트(및/또는 업데이트) 할 것을 요청한다.
입력 서버(PPG)는 이후 첫번째 시간이 찍힌(time-stamped) 브로드캐스트 명령(M1)을 전송하고, 첫번째 명령(order)의 번호, 멀티미디어 컨텐츠 버전 번호, 브 로드캐스트 셀(14) 번호, 페이지 번호 등을 특정화하는 CBC 센터와 통신한다. CBC 센터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부 RNC로 이 첫번째 브로드캐스트 명령(M1)을 전송한다. RNC는 명령을 처리하고, 관계되는 모든 셀에 전송되는 두번째 시간이 찍힌 브로드캐스트 명령(M2)을 생성하는데, 이 명령은 첫번째 브로드캐스트 명령의 일부, 예를 들어 첫번째 명령의 번호, 멀티미디어 컨텐츠 버전 번호, 페이지 번호 등을 복제하지만, 셀 번호는 유지하지 않는다. 이 두번째 명령(M)은 모든 모바일 단말(T)로 SMS-CB 채널을 통해 소정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기지국(B)으로 전송된다.
모바일 단말(T)은 메시지들을 듣도록(listen to), 즉 각 모바일 단말(T)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을 사용하여 그들을 수신 및/또는 저장하도록 미리 프로그램된다(pre-programmed). WAP 페이지를 형성하는, 예를 들어 SMS 타입의 메시지는, UMTS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각각의 모바일 단말(T)에 배치된, 모듈 구조(modular architecture)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는 다수의 메시지로 그룹화된다. 각각의 단말에 대해, 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은 다음의 주요 과제를 수행한다.
- 모바일 단말(T)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을 이용하여 WAP 페이지를 저장함,
- 메모리로의 액세스를 허용하거나 또는 원격의 컨텐츠에서 내비게이션을 허용할지 아닐지를(예를 들면 저장된 데이터의 최후 업데이트의 날짜에 따라) 결정하기 위해 WAP 포털로의 직접 액세스 키(13)를 관리함,
- 저장된 페이지의 디스플레이가 결정되면, 데이터의 첨부를 위한 절차(예를 들면, SGSN 프로세싱 노드)가 시작되고, 《PDP》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을 사용하여 서비스의 질에 대한 협상이 시작되고, 쌍방향 서버에서 쌍방향 연결을 설 정하는 관점에서 SGSN 프로세싱 노드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코어(12)와 무선부(B) 간의 링크를 설정함.
- 모바일 단말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첫번째 홈페이지에서 내비게이션을 하는 동안, 직접 의존 페이지, 예를 들어 두번째 홈페이지로의 액세스가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에서 유사하게 처음으로 검색되고, 쌍방향 연결을 통해 서버로 전송된 메시지에 의해 실패함(should this fail).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에서 이러한 미리 저장된(pre-saved) 페이지로의 액세스는 불필요한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트에 대한 법령을 따르기 위해, WAP 포털로의 연결을 위한 일반적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MMI)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유효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가입자에게 WAP 포털의 적어도 첫번째 홈페이지로의, 심지어 WAP 페이지의 두 나모무양의 레벨로의 즉시(near-instant) 접근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는 명백하게 WAP 내비게이션의 시작시에 성능을 향상시키고, 가입자가 적어도 원하는 컨텐츠의 일부, 예를 들어 응급 서비스 번호로의 즉시 접근하는 것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WAP 연결을 위해 30초 동안 이러한 정보 또는 원하는 것을 기다릴 필요 없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효과는, SGSN 프로세싱 노드로 액세스하도록 허용된 사람의 수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WAP 세션의 개시시에 5초를 늘리기(gain) 위해 가입자가 더는 미리 입장할 필요가 없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특정 개시(developments)를 한정하는 규격 프로토콜에 기초한 것으로, 요컨대, 컴퓨터 버그에 대해 좀더 안정적이게 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된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다른 특정 형태의 실시예가 허용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실례로서 간주하여야 할 것이고, 추가되는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부분 내에서 수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1)

  1. 마이크로회로 및 메모리(0)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전자 아이템,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대한 직접 액세스를 제공하는, 직접 액세스 키(13)로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 적어도 하나의 키 및/또는 단말 스크린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쌍방향 인터페이스(1)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T)로 불리는 무선통신 셀 전화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T)은, 쌍방향 서버(F)로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쌍방향 서버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또는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식별가능한 무선전화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 단말(T)과 쌍방향 서버(F)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노드(SGSN)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T)로부터 상기 쌍방향 서버(F)로 또는 그 반대로 쌍방향으로 행해지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로 구성되는 소정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 네트워크는, 모든 모바일 단말(T)에 대해 공통인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해, 쌍방향 서버(F)로부터 모바일 단말(T) 또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T)로 소정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를 구비하고,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T)에 의해 식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T)은,
    - 모든 모바일 단말(T)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해 전송된 소정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
    -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소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 메모리 수단,
    - 상기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소정 데이터의 식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읽어서, 이 정보에 대하여, 이들 소정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의 직접 액세스 키(13)에 의한 액세스를 인증하거나 또는 인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허가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의 프로그래밍은,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 또는 쌍방향 서버(F)에 의해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규칙에 따라 관리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데이터는 쌍방향 서버(F)에 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는 최후 업데이트 이래 사전 정의된 시간 간격으로 이들 업데이트된 소정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반복 규칙에 따라 동일한 소정 데이터의 반복 브로드캐스트를 관리하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모바일 단말(T)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는, 다음 파라미터:(a)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해 브로드캐스트하는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타임스탬프; (b)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의 컨텐츠; (c)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의 컨텐츠 버전; (d) 무선전화 네트워크의 셀(14) 번호; (e) 무선전화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단말(T)의 식별자, 및/또는 이들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함수의 결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 특성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T)의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가능한,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데이터의 식별 특성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한 상기 소정 데이터의 브로트캐스트에 앞서, 모든 모바일 단말(T)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해 별도로 전송되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 네트워크는, 쌍방향 서버(F)로부터 모바일 단말(T)로의 소정 데이터의 전송 방향에 대해 쌍방향 서버(F)의 아래 및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의 위에 설치된 입력 서버(PPG)를 구비하고,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소정 데이터는 적 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분할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서버(PPG)에 의해 쌍방향 서버(F)의 소정 데이터의 이전 분할시 얻어진 사전 정의된 양의 복수의 메시지로 형성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T)의 식별 수단은, 모든 모바일 단말(T)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해, 입력 서버(PPG)로부터 모바일 단말(T)로의 단방향 연결 세션의 영구적 개방을 유지하는,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T)은, 상기 프로세싱 노드(SGSN)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T)로부터 쌍방향 서버(F)로의 새로운 쌍방향 접속을 설정하도록 무선전화 네트워크에 리퀘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관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퀘스트는, 모바일 단말(T)의 직접 액세스 키(13)에 의해 모바일 단말(T)의 스크린 상에 모바일 단말(T)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소정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과 동시에 전송되는,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 네트워크 및 모바일 단말은, GSM 기술 및/또는 UMTS 기술과 호환가능한,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데이터는, 쌍방향 서버(F)에 의해 관리되는, WAP 타입의 멀티미디어 포탈로의 적어도 하나의 홈페 이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항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부가가치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로 구성되는 소정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모든 모바일 단말(T)에 대해 공통인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해, 모바일 단말(T) 또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T)로 쌍방향 서버(F)의 소정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를 통한 무선전화 네트워크와 쌍방향 서버(F)의 통신 스텝으로, 이들 소정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T)에 의해 식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특성을 포함하는, 통신 스텝,
    - 모든 모바일 단말(T)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T)의 식별 수단에 의한 식별 스텝,
    - 모바일 단말(T)의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소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T)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한 저장 스텝,
    - 모바일 단말(T)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소정 데이터의 식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읽어서, 이 정보에 관해, 이들 소정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사용을 직접 액세스 키(13)를 통해 인증하거나 또는 인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인증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브로드캐스트 규칙에 따라, 상기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 또는 쌍방향 서버(F)에 의해 관리되는,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를 프로그램하기 위한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 쌍방향 서버(F)에 의한 소정 데이터의 주기적 업데이트 스텝, 및
    - 최후 브로드캐스트 이후 사전 정의된 시간 간격으로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한 이들 업데이트된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반복 규칙에 따라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해 동일한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반복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한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스텝은, 모든 모바일 단말(T)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해, 소정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식별 특성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한 이전의 별도 브로드캐스트 스텝보다 후행하는,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모바일 단말(T)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한,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에 의한 소정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 스텝은, 쌍방향 서버(F)로부터 모바일 단말(T)로의 소정 데이터의 전송 방향에 대해 쌍방향 서버(F)의 아래 및 단방향 브로드캐스트 센터(CBC)의 위에 설치된 입력 서버(PPG)에 의해 사전 정의된 양의 복수 메시지로 소정 데이터를 분할하는 이전 분할 스텝에 후행하고, 이 분할은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분할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서버(PPG)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T)의 식별 수단에 의해, 모든 모바일 단말(T)에 공통인 단방향 채널(SMS-CB)을 통해, 입력 서버(PPG)로부터 모바일 단말(T)로의 단방향 연결의 영구적 개방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 네트워크의 프로세싱 노드(SGSN)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T)로부터 쌍방향 서버(F)로의 새로운 쌍방향 연결을 설정하도록, 무선전화 네트워크에 모바일 단말(T)의 관리 수단에 의한 리퀘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스텝을 포함하고, 이 리퀘스트 전송 스텝은, 모바일 단말(T)의 스크린 상에 모바일 단말(T)의 대용량 메모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소정 데이터의 표시 스텝과 동시에 행해지고, 이 두 스텝은 모바일 단말(T) 상에 직접 액세스 키(13)의 활성화에 의해 트리거되는,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쌍방향 서버(F)의 소정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무선전화 네트워크 및 이들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T)은, GSM 기술 및/또는 UMTS 기술과 호환가능한, 방법.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데이터는, 쌍방향 서버(F)에 의해 관리되는, WAP 타입의 멀티미디어 포탈로의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70041210A 2006-04-27 2007-04-27 모바일 단말로부터 컨텐츠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70105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3773A FR2900528B1 (fr) 2006-04-27 2006-04-27 Procede et systeme pour accelerer l'acces a un contenu a partir d'un terminal mobile
FR0603773 2006-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928A true KR20070105928A (ko) 2007-10-31

Family

ID=3748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210A KR20070105928A (ko) 2006-04-27 2007-04-27 모바일 단말로부터 컨텐츠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는 방법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65024A1 (ko)
EP (1) EP1850602B1 (ko)
JP (1) JP2007300629A (ko)
KR (1) KR20070105928A (ko)
CN (1) CN101296417A (ko)
FR (1) FR2900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9521B2 (en) * 2003-09-02 2012-08-07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Transmission of information relating to a quality of service
US8666358B2 (en) * 2008-11-18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nd receiving enhanced emergency broadcast alert messages
KR101175322B1 (ko) * 2008-12-19 2012-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에 맞게 추천되는 서비스를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7097B (fi) * 1997-09-24 2001-05-31 Nokia Networks Oy Kohdistettu yleislähetys radioverkossa
US7136634B1 (en) * 1999-12-22 2006-11-14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cluded in predetermined messages automatically
EP1410198A2 (en) * 2000-08-22 2004-04-21 Symbian Limited A method of enabling a wireless information device to access data services
US20030003909A1 (en) * 2001-06-29 2003-01-0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ervice provider initiated location-dependent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389118B2 (en) * 2001-06-29 2008-06-17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to-person messaging with a value-added service
US20040075675A1 (en) * 2002-10-17 2004-04-22 Tommi Raivisto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services via a mobile terminal
FR2866455B1 (fr) * 2004-02-17 2006-05-26 Eastman Kodak Co Procede de communication de messages multimedias entre des terminaux distants avec un agent de programmation
US7426203B1 (en) * 2005-11-01 2008-09-16 At&T Mobility Ii Llc WAP push over cell broadcast
US7444133B1 (en) * 2005-11-01 2008-10-28 At&T Mobility Ii Llc Cell broadcast updates to application softw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0602A2 (fr) 2007-10-31
EP1850602A3 (fr) 2008-10-22
CN101296417A (zh) 2008-10-29
FR2900528B1 (fr) 2008-06-20
US20070265024A1 (en) 2007-11-15
FR2900528A1 (fr) 2007-11-02
JP2007300629A (ja) 2007-11-15
EP1850602B1 (fr)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90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roup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463348B1 (en) Method of starting an application program of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14428B1 (ko)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061262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obile services, in particular push and pull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571296B1 (en) Method, device and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GB2445429A (en) Message modification on basis of group membership
CN100555978C (zh) 经由gprs和gsm连接管理通信设备
CN102111447B (zh) 向移动装置的动态内容混合模式传递的系统和方法
KR101030751B1 (ko) 메시지 발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011082B1 (ko) 캠페인 중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있는 휴대형 통신객체에서의 데이터의 다운로드
WO2005070030A2 (en) Method of contro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N101674351A (zh) 移动终端个性化多媒体来电显示装置及其工作方法
RU2502225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услуг,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KR20070105928A (ko) 모바일 단말로부터 컨텐츠로의 액세스를 가속화하는 방법및 시스템
EP1236367B1 (en) Safe information interchange between a user of a terminal and a sim application toolkit via wap
FI109571B (fi) Signalointimekanismi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rokollaa varten
CN1839598B (zh) 传输多媒体消息的系统和方法
KR100852716B1 (ko) 복수의 이동단말기에서 동일 컨텐츠를 설정하는 방법
CN100589642C (zh) 用于减小分组业务控制信道信息负荷的方法
RU2292668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ыми услугами в мобильных сетях связи
CN101155330B (zh) 一种优先响应组播/广播服务的方法
EP17650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ccess to a transmission
CN100555889C (zh) 一种具有迷你主页功能的移动通信终端及其方法
CN101044740B (zh) 管理移动设备和服务的集成方法和设备
WO2008044959A1 (fr) Procédé de gestion de services supplémentaires dans des réseaux de télécommunications mo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