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366B1 -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 Google Patents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366B1
KR100779366B1 KR1020060075944A KR20060075944A KR100779366B1 KR 100779366 B1 KR100779366 B1 KR 100779366B1 KR 1020060075944 A KR1020060075944 A KR 1020060075944A KR 20060075944 A KR20060075944 A KR 20060075944A KR 100779366 B1 KR100779366 B1 KR 100779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ipe
plate
water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장
Original Assignee
안기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장 filed Critical 안기장
Priority to KR102006007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가 화학반응되어 환원수로 생성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환원입자가 충진되는 환원입자관을 서로 유로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시킴으로서 통과되는 원수의 환원입자와의 반응시간이 구조적으로 연장되어 환원수로서의 반응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하우징(10) 바깥쪽으로 상단이 유로 연결되는 중앙의 출수관(22)을 중심으로 환원입자가 충진된 다수의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이 종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관과 연결되면서 상기 환원입자관(30)과의 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관유로홈(42a,42b,42c,42d)이 요홈된 내측판(40a)과 관유로공(44a,44b,44c,44d)이 관통된 외측판(40b)이 결합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의 연속유로판(40)(40a,40b,40c,40d)이 기본적으로 상기 환원입자관(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의 연속유로판(40)과 함께 각각의 상기 환원입자관(30)의 상측에 대해 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상부의 연속유로판(50)(50a,50b,50c,50d) 또는 연결유로관(58a,58b)으로 결합되는 것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 구성관계를 특징으로 한다.
입수관, 환원입자관, 연속유로판, 관유로홈, 환원수기, 연속유로홈

Description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A device for created reduc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환원입자가 충진된 다수의 환원입자관이 연속유로구조로서 하우징 내에 병렬 설치되어 통과되는 원수의 반응유로를 구조적으로 길게 연장시킨 환원수기의 단면구조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로서 4개의 종설된 환원입자관의 상측과 하측에 대해 각각 한 쌍의 연속유로판을 결합시킨 환원수기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리상태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로서 4개의 종설된 환원입자관의 하측은 한 쌍의 연속유로판으로 결합되면서 상측은 연결유로관으로 유로 연결된 단일의 연속유로판을 결합시킨 환원수기의 분리상태 사시도 및 부분결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응용 실시예로서 4개의 종설된 환원입자관의 하측은 한 쌍의 연속유로판으로 결합되면서 상측은 연속유로판 없이 연결유로관으로만 결합시킨 환원수기의 부분결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2 : 받침덮개
14 : 파우셋 20 : 입수관
22 : 출수관 30(30a,30b,30c,30d) : 환원입자관
40(40a) : 연속유로판(내측판) 40(40b) : 연속유로판(외측판)
41 : 연결유로홈 42a,42b,42c,42d : 관유로홈
43 : 출수유로홈 44a,44b,44c,44d : 관유로공
45 : 통과공 46 : 입수공
50(50a) : 연속유로판(내측판) 50(50b) : 연속유로판(외측판)
52a,52b,52c,52d : 연속유로홈 53a,53b : 관유로홈
54a,54b,54c,54d : 관유로공 55 : 통과공
56 : 출수공 57a,57b,57c,57d : 연결공
58a,58b : 연결유로관
본 발명은 원수의 환원입자를 통과하는 반응시간을 구조적으로 연장시킨 환원수기에 관한 것으로, 통과되는 원수가 화학반응되어 환원수로 생성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환원입자가 충진되는 환원입자관을 서로 유로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시켜 통상 정수단계를 거친 원수(물)가 이들 유로가 연속된 환원입자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환원입자와의 반응시간이 구조적으로 연장되어 환원수로서의 반응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연장된 연속유로구조의 환원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자연환경의 오염으로 공기, 물, 식품 등도 오염되면서 인간이 만들어낸 농약, 식품과 같은 첨가물들이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더구나 스트레스의 축적과 함께 몸 안에 과대해지는 활성산소는 각종 질병을 발생시키고 노화를 촉진시킨다. 즉, 하천에서 수질 오염이 진행됨에 따라 도시의 지하수나 수돗물 등 물 본래의 맛이나 냄새가 손상되어 이와 같은 물의 환경 악화에 의해서 사람의 건강도 차례로 손상되기 쉬운 상태로 되고 있다.
그렇다고 그와 같은 환경이 하루아침에 개선될 전망도 희박하고 스스로가 오염된 환경을 극복하고 건강, 장수의 자위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자위책의 한 방법으로 비타민, 미네랄, 고룬 영양 섭취, 적당한 휴식과 운동, 스트레스 억제, 맑은 공기의 섭취와 더불어 특히 우리 몸의 70~80%를 차지하고 있는 물의 중요성에 대하여 재인식하게 되었다.
삭제
한편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과 함께 미네랄이나 비타민까지도 깨끗하게 여과시키는 정수기와는 달리, 환원수기는 원수(물)를 환원입자와 반응시켜 알칼리성의 이온수인 환원수로 생성시킴으로서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 및 비타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점차 환원수기의 수요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원수기는 물을 전기분해시켜 수소기체(H2) 발생반응에 의하여 Ca, Ma, K 등의 미네랄이 풍부한 알칼리수(pH범위 7.5~11)를 생성시키는 전해 환원수기와 함께, 전기분해를 하지 않고 마그네슘이나 토르말린 등의 환원입자를 이용한 화학반응으로 환원수를 생성시키는 일반 환원수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해 환원수기의 경우 별도의 유지보수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상대적으로 고가인 단점이 있으며, 일반 환원수기는 환원입자의 교체 등 상대적으로 단기간의 유지보수가 요구된다는 불편은 있으나 저가이고 휴대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점차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환원수기는 산성상태로서 불순물이 다량 함유되어 유입되는 원수(물)가 통상 하우징 내에 충진된 환원입자를 거치면서 화학반응으로 약알칼리성의 환원수로 생성되는데, 지금까지 소개된 환원수기 대부분의 경우 유입된 원수가 하우징 외부의 파우셋과 연결되는 중앙의 출수관을 중심으로 단일라인의 환원입자를 통과하게 됨으로서, 구조적으로 반응유로가 짧을 수밖에 없는 관계로 신뢰성 있는 환원수의 생성이 곤란하였으며, 특히 짧은 시간 내에 환원수를 생성시켜 사용하고자 할 때 지금까지의 환원수기 유로구조에서는 정상적인 화학반응이 이루어지지 못해, 결국 전처리단계를 거친 정수된 어정쩡한 물이 그대로 배출된다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반응유로가 짧아 신뢰성 있는 화학반응을 기대하기 곤란하였던 기존의 환원수기의 제반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환원입자가 충진되는 환원입자관을 외부의 파우셋과 연결되는 출수관을 중심으로 배열시키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연속유로판을 이들 환원입자관에 대해 적용시킴으로서 하우징 내의 전체적인 반응유로가 획기적으로 연장될 수 있어, 통상 전처리단계를 통해 정수된 원수(물)의 환원입자에 대한 반응시간(경로)이 구조적으로 늘어나 신뢰성 있는 환원수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장된 연속유로구조의 환원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는, 마그네슘 또는 토르말린의 환원입자가 충진된 하우징 내부로 원수를 통과시켜 환원입자와의 화학반응으로 알칼리성 이온수인 환원수로 생성시키는 통상의 환원수기에 있어서, 하우징 바깥쪽으로 상단이 유로 연결되는 중앙의 출수관을 중심으로 환원입자가 충진된 다수의 환원입자관이 종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관과 연결되면서 상기 환원입자관과의 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관유로홈이 요홈된 내측판과 관유로공이 관통된 외측판이 결합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의 연속유로판이 기본적으로 상기 환원입자관의 하측에 결합되며, 하부의 연속유로판과 함께 각각의 상기 환원입자관의 상측에 대해 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상부의 연속유로판 또는 연결유로관으로 결합되는 것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 구성관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하부의 연속유로판은 내측판의 중앙에 통과공이 관통되어 출수관의 하단과 연결되며, 외측판에 요홈된 관유로홈중 한 개의 관유로홈에는 입수공이 관통되어 입수관과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관유로홈에는 상기 내측판의 통과공쪽으로 연장된 출수유로홈이 요홈되며, 또 다른 두 개의 관유로홈 간에는 연결유로홈이 요홈된다.
또한 상기 환원입자관의 상측에 내측판과 외측판을 함께 결합시킬 경우의 상부 연속유로판은 상기 내측판의 형태가 사측에 관유로공이 관통되면서 중앙으로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출수관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외측판의 형태는 사측에 요홈된 연속유로홈중 각각 두 개가 한 쌍식 관유로홈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내측판의 통과공과 함께 출수관과 연결되도록 중앙에 출수공이 관통된다.
또한 상기 환원입자관의 상측에 내측판 없이 외측판을 결합시킬 경우의 상부 연속유로판은 상기 외측판의 형태가 사측에 요홈된 연결유로홈의 중앙으로 각각 연결공이 형성되고, 각각 두 개가 한 쌍식 이들 연결공의 바깥쪽으로 연결유로관이 결합되면서 출수관과 연결되는 출수공이 중앙에 관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의 연속유로판 없이 연결유로관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의 환원입자관은 밀폐된 상측의 중앙으로 각각 연결공이 관통되어 각각 두 개가 한 쌍식 이들 연결공의 바깥쪽으로 연결유로관이 결합되어 본 발명의 연장된 연속유로구조의 환원수기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구성관계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의 구성관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 술사상 내에서 다양한 응용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서로 원수의 반응유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종설되는 다수의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은 중앙의 출수관(22)을 중심으로 4개가 동일간격으로 배열됨을 원칙으로 하나, 이들 환원입자관(30)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경우에는 당연히 이에 결합 구성되는 연속유로관(40)(50)의 형태도 내부에 반응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변형됨을 물론이며, 특히 본 발명의 구성관계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환원자입자관(30)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의 연속유로판(50)(50a,50b)과 하부의 연속유로판(40)(40a,40b)의 경우 해당 내측판(40a)(50a)과 외측판(40b)(50b)과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이는 연속유로판(40)(50)이 상부쪽이나 하부쪽 모두 기본적으로 내측판과 외측판의 상호 결합으로 환원입자관(30)과의 유로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환원입자가 충진되는 다수의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이 연속유로구조로서 하우징(10) 내에 병렬 설치되고, 이들 환원입자관(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내측판(50a)(40a)과 외측판(50b)(40a)의 결합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연속유로판(50)(50a,50b)(40)(40a,40b)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의 출수관(22)과 함께 통과되는 원수의 연장된 반응유로를 형성한 환원수기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하부의 연속유로판(40) 일측에는 외부로부터의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입수관(20)이 연결되면서 중앙에 종설된 상기 출수관(22)의 상단은 하우징(10) 외부로 연결되는 통상의 파우셋(14)과 연결되는 구성관계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입수관(20)이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10)의 개 방된 저부는 별도의 받침덮개(12)로 조립 밀폐된다.
본 발명에 따라 원수의 반응유로가 연장된 환원수기는 통상 전처리단계인 정수수단에 의해 원수에 포함된 대부분의 불순물이 여과처리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하부 일측으로 돌출된 입수관(20)을 통해 하부의 연속유로관(50)으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본 발명의 연장된 반응유로인 다수의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을 거치면서 환원입자와의 화학반응으로 약알칼리성의 환원수로 반응 생성되어 파우셋(14)을 통해 환원수가 외부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환원수기는 하우징(10) 내부에 출수관(22)을 중심으로 환원입자가 충진된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이 다수 설치되어 유입되는 원수와의 반응유로가 구조적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이들 환원입자관(30)에 대해 기본적으로 그 하측에는 내측판(40a)과 외측판(40b)의 결합으로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의 연속유로판(40)이 결합되며, 반대편 상측에는 상기 하부의 연속유로판(40)과 같이 내측판(50a)과 외측판(50b)이 결합된 상부의 연속유로판(50) 전체를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부의 연속유로판(50)중 내측판(50a) 없이 외측판(50b)만 결합시키고 별도의 연결유로관(58a,58b)으로 상기 상부 연속유로판(50)의 외측판(50b)이 환원입자관(30)과 반응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부의 연속유로판(50)을 전혀 적용시키지 않고 환원입자관(30)의 상측에 바로 연결유로관(58a,58b)을 결합시켜 전체적인 구성관계를 단순화시킬 수도 있다. 다만 중앙의 출수관(22)을 중심으로 병렬 설치되는 다수의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이 원수가 연속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연속유로구조를 유 지해야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로서 4개의 종설된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의 상측과 하측에 대해 각각 한쌍의 상부 및 하부의 연속유로판(50)(40)을 결합시킨 기본 실시예에 따른 환원수기를 도시한 것으로, 하우징(10) 바깥쪽으로 상단이 유로 연결되는 중앙의 출수관(22)을 중심으로 환원입자가 충진된 다수의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이 종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관과 연결되면서 상기 환원입자관(30)과의 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관유로홈(42a,42b,42c,42d)이 요홈된 내측판(40a)과 관유로공(44a,44b,44c,44d)이 관통된 외측판(40b)이 결합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의 연속유로판(40)(40a,40b,40c,40d)이 기본적으로 상기 환원입자관(30)의 하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의 연속유로판(40)과 함께 각각의 상기 환원입자관(30)의 상측에 대해 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상부의 연속유로판(50)(50a,50b,50c,50d)이 결합된다.
특히 하부의 연속유로판(40)(40a,40b)은 내측판(40a)의 중앙에 통과공(45)이 관통되어 출수관(22)의 하단과 연결되며, 외측판(40b)에 요홈된 관유로홈(42a,42b,42c,42d)중 한 개의 관유로홈(42a)에는 입수공(46)이 관통되어 입수관(20)과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관유로홈(42d)에는 상기 내측판의 통과공(45)쪽으로 연장된 출수유로홈(43)이 요홈되며, 또 다른 두 개의 관유로홈(42b,42c) 간에는 연결유로홈(41)이 요홈된다.
또한 환원입자관(30)의 상측에 내측판(50a)과 외측판(50b)을 함께 결합시키 는 상부 연속유로판(50)(50a,50b)은 상기 내측판(50a)의 형태가 사측에 관유로공(54a,54b,54c,54d)이 관통되면서 중앙으로는 통과공(55)이 형성되어 출수관(22)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외측판(50b)의 형태는 사측에 요홈된 연속유로홈(52a,52b,52c,52d)중 각각 두 개가 한 쌍식 관유로홈(53a,53b)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내측판의 통과공(55)과 함께 출수관(22)과 연결되도록 중앙에 출수공(56)이 관통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로서 4개의 종설된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의 하측은 한 쌍의 하부 연속유로판(40)(40a,40b)으로 결합되면서 상측은 외측판(50b)에 연결유로관(58a,58b)으로 유로 연결시킨 단일의 연속유로판(50)(50b)이 결합된 응용 실시에 의한 환원수기를 도시한 것으로, 위의 기본 실시예와는 달리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에 대한 하측의 하부 연속유로판(40)(40a,40b)의 적용은 동일하나, 상기 환원입자관(30)의 상측에 적용시키는 상부의 연속유로판(50)(50b)은 내측판(50a) 없이 외측판(50b)만 결합시키고 상기 외측판(50b)의 바깥쪽에 별도의 연결유로관(58a,58b)으로 연결시켜 통과되는 원수의 반응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응용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부 연속유로판(50)의 외측판(50b)은 사측에 요홈된 연결유로홈(52a,52b,52c,52d)의 중앙으로 각각 연결공(57a,57b,57c,57d)이 형성되고, 각각 두 개가 한 쌍식 이들 연결공(57a,57b,57c,57d)의 바깥쪽으로 연결유로관(58a,58b)이 결합되면서 출수관(22)과 연결되는 출수공(56)이 중앙에 관통된다. 이때 개개의 연결유로관(58a,58b)을 매개로 한 쌍식 연결되는 연결 공(57a,57b)(57c,57d)은 하부 연속유로판(40)의 외측판(40b)에 형성된 관유로홈(42a,42b,42c,42d)의 배열에 맞게 연결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다 발전된 응용 실시예로서 4개의 종설된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의 하측은 위의 기본 실시예 및 응용 실시예와 동일하게 한 쌍의 하부 연속유로판(40)(40a,40b)으로 결합되면서 상측은 상부 연속유로판(50)(50a,50b) 없이 연결유로관(58a,58b)으로만 결합시킨 환원수기를 도시한 것으로, 당연히 상기 연결유로관(58a,58b)이 결합되는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의 상단은 각각의 중앙에 관통된 연결공(57a,57b,57c,57d)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형태를 이룸은 물론이다.
즉, 환원입자관(30)의 상단은 상부의 연속유로판(50) 없이 연결유로관(58a,58b)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므로, 각각의 상측 중앙에 관통된 연결공(57a,57b,57c,57d)에 대해 두 개가 한 쌍식 이들 연결공(57a,57b,57c,57d)의 바깥쪽으로 연결유로관(58a,58b)이 결합되며, 이 역시 도 4 및 도 5의 응용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쪽의 연결유로관(58a)은 두 개의 연결공(57a,58b)에 연결되면서 다른 한쪽의 연결유로관(58b)은 다른 두 개의 연결공(57c,57d)에 연결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품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환원수기는 도 1의 작동상태 단면구조에서 보는 것처럼, 통상 전처리단계인 정수단계를 거친 원수(물)가 하우징(10)의 저부 일측에 연결된 입수관(2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로 배설되어 있는 다수의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며, 통과되는 원수는 이들 환원입자관(30)에 충진시킨 환원입자와의 화학반으로 약알칼리성의 이온수인 환원수로 생성되어 상기 하우징(10) 상부 외측으로 연결된 파우셋(14)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입수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는 먼저 내측판(40a)과 외측판(40b)의 결합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한 하부 연속유로판(40)의 입수공(46)을 통과하여 한쪽의 환원입자관(30)(30a)을 거치고, 계속해서 상부 연속유로판(50)에 형성된 한쪽의 연속유로홈(52a) 또는 한쪽의 연결유로관(58a)을 거쳐 이웃하는 다른 한쪽의 연속유로홈(52b)을 통해 다른 한쪽의 환원입자관(30)(30b)으로 통과되며, 계속해서 다른 이웃하는 하부 연속유로판(40)의 해당 유로와 다시 또 다른 한쪽의 환원입자관(30)(30c,30d)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전체적으로 연장된 환원입자관(30)의 연속유로라인을 통과하게 된다. 물론 원수는 이들 연속유로구조의 환원입자관(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충진된 환원입자와의 화학반응으로 약알칼리성의 이온수의 환원수로 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환원입자가 충진되는 환원입자관을 외부의 파우셋과 연결되는 출수관을 중심으로 배열시키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연속유로판을 이들 환원입자관에 대해 적용시킴으로서 하우징 내의 전체적인 반응유로를 획기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어, 통상 전처리단계를 통해 정수된 원수(물)가 이들 연장된 연속유로구조의 환원입자관의 충진된 환원입자와 보다 확실하게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신뢰성 있는 약알칼리성의 이온수 수준인 환원수로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짧은 시간 내에 환원수를 생성시켜 사용하고자 할 때 반응유로가 짧을 수밖에 없었던 지금까지의 환원수기와는 달리, 연장된 연속유로라인을 통해 원수가 신뢰성 있는 정상적인 화학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환원수기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1. 하우징(10) 바깥쪽으로 상단이 유로 연결되는 중앙의 출수관(22)을 중심으로 마그네슘 또는 토르말린의 환원입자가 충진된 다수의 환원입자관(30)(30a,30b,30c,30d)이 종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관과 연결되면서 상기 환원입자관(30)과의 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관유로홈(42a,42b,42c,42d)이 요홈된 내측판(40a)과 관유로공(44a,44b,44c,44d)이 관통된 외측판(40b)이 결합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의 연속유로판(40)(40a,40b,40c,40d)이 상기 환원입자관(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의 연속유로판(40)과 함께 각각의 상기 환원입자관(30)의 상측에 대해 유로가 연속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상부의 연속유로판(50)(50a,50b,50c,50d) 또는 연결유로관(58a,58b)으로 결합되는 것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 구성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의 연속유로판(40)(40a,40b)은 내측판(40a)의 중앙에 통과공(45)이 관통되어 출수관(22)의 하단과 연결되며, 외측판(40b)에 요홈된 관유로홈(42a,42b,42c,42d)중 한 개의 관유로홈(42a)에는 입수공(46)이 관통되어 입수관(20)과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관유로홈(42d)에는 상기 내측판의 통과공(45)쪽으로 연장된 출수유로홈(43)이 요홈되며, 또 다른 두 개의 관유로홈(42b,42c) 간에는 연결유로홈(41)이 요홈된 것을 특징으로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연속유로판(50)(50a,50b)은 환원입자관(30)의 상측에 내측판(50a)과 외측판(50b)이 일체 결합되되, 상기 내측판(50a)의 사측에 관유로공(54a,54b,54c,54d)이 관통되면서 중앙으로는 통과공(55)이 형성되어 출수관(22)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외측판(50b) 사측에 요홈된 연속유로홈(52a,52b,52c,52d)중 각각 두 개가 한 쌍식 관유로홈(53a,53b)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내측판의 통과공(55)과 함께 출수관(22)과 연결되도록 중앙에 출수공(56)이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연속유로판(50)(50b)은 환원입자관(30)의 상측에 내측판(50a) 없이 외측판(50b)이 일체 결합되되, 상기 외측판(50b)의 사측에 요홈된 연결유로홈(52a,52b,52c,52d)의 중앙으로 각각 연결공(57a,57b,57c,57d)이 형성되고, 각각 두 개가 한 쌍식 이들 연결공(57a,57b,57c,57d)의 바깥쪽으로 연결유로관(58a,58b)이 결합되면서 출수관(22)과 연결되는 출수공(56)이 중앙에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원입자관(30)은 상부의 연속유로판(50) 없이 연결유로관(58a,58b)이 직접적으로 연결 구성되되, 밀폐된 상측의 중앙으로 각각 연결공(57a,57b,57c,57d)이 관통되어 각각 두 개가 한 쌍식 이들 연결공(57a,57b,57c,57d)의 바깥쪽으로 연결유로관(58a,58b)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KR1020060075944A 2006-08-11 2006-08-11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KR10077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44A KR100779366B1 (ko) 2006-08-11 2006-08-11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44A KR100779366B1 (ko) 2006-08-11 2006-08-11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366B1 true KR100779366B1 (ko) 2007-11-29

Family

ID=3908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944A KR100779366B1 (ko) 2006-08-11 2006-08-11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3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937A (en) 1987-02-20 1990-03-20 Sartorius Gmbh Integral filter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and housing for them
JP2001286862A (ja) 2000-03-08 2001-10-16 Barnstead Thermolyne Corp 浄水装置および浄水方法
KR200253761Y1 (ko) 2001-07-30 2001-11-22 주식회사 대명테크 오.폐수 처리용 관형 한외여과막의 단위모듈구조
KR200431615Y1 (ko) * 2006-07-14 2006-11-23 유동주 관로형 튜브식소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937A (en) 1987-02-20 1990-03-20 Sartorius Gmbh Integral filter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and housing for them
JP2001286862A (ja) 2000-03-08 2001-10-16 Barnstead Thermolyne Corp 浄水装置および浄水方法
KR200253761Y1 (ko) 2001-07-30 2001-11-22 주식회사 대명테크 오.폐수 처리용 관형 한외여과막의 단위모듈구조
KR200431615Y1 (ko) * 2006-07-14 2006-11-23 유동주 관로형 튜브식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8184B2 (ja) 海水淡水化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交換チャンバー
CN104737086B (zh) 集成型气体供给装置
CN103917694A (zh) 管型电解装置
KR200391439Y1 (ko) 정수기의 필터 하우징용 캡
TWI484110B (zh) 流體控制裝置
CN106660838A (zh) 离子水生成装置
KR100779366B1 (ko) 연장된 연속유로구조를 갖는 환원수기
KR20040057459A (ko) 이온수기의 칼슘통 일체형 전해조
KR20050123054A (ko) 액체 처리장치
CN115888395B (zh) 滤芯结构
KR101226029B1 (ko) 이온 분리 하우징
KR20170079375A (ko) 필터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조립체
CN107904619A (zh) 产甲烷装置
WO2018135075A1 (ja) 電解水生成装置
CN205863087U (zh) 逆止高压开关及具有其的净水器
KR100822440B1 (ko) 음이온발생 정수장치
WO2018135073A1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透析液調製用水の製造装置
KR200283719Y1 (ko) 분리형 이온수기
KR20150097104A (ko) 산성수 전해조
CN215711954U (zh) Dtro膜组件及使用该组件的垃圾渗滤液两级dtro工艺处理系统
CN216191548U (zh) 一种净水器
KR200293983Y1 (ko) 이온수기
KR200442137Y1 (ko) 카트리지 교차 이용 방식의 용수 선택형 연수기
CN214990690U (zh) 厌氧三相分离器
JP2005177597A (ja) アルカリイオン水生成装置並びに酸性イオン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