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929B1 - 높은 안전성을 갖는 변성전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안전성을 갖는 변성전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8929B1 KR100778929B1 KR1020050091789A KR20050091789A KR100778929B1 KR 100778929 B1 KR100778929 B1 KR 100778929B1 KR 1020050091789 A KR1020050091789 A KR 1020050091789A KR 20050091789 A KR20050091789 A KR 20050091789A KR 100778929 B1 KR100778929 B1 KR 100778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rch
- modified starch
- viscosity
- modified
- amorphous silic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를 혼합분쇄하여 제조된 높은 안전성을 갖고, 호화되지 않는 변성전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은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를 1:1 내지 20:1(w/w)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1 내지 3시간 동안 분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안전성이 우수하고, 호화되지 않는 변성전분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식품 및 의약품 제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변성전분, 부정형 실리카, 전분
Description
도 1a는 변성되지 않은 옥수수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b는 옥수수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c는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옥수수 변성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는 변성되지 않은 쌀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b는 쌀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c는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쌀 변성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변성되지 않은 옥수수전분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b는 옥수수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c는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옥수수 변성전분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a는 변성되지 않은 쌀전분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b는 쌀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c는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쌀 변성전분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높은 안전성을 갖는 변성전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를 혼합분쇄하여 제조된 높은 안전성을 갖고, 호화되지 않는 변성전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분은 자연계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다당류로서, 식품산업 및 화학공업 등에서 여러 가지 산업적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 중요한 자원이다. 이러한 전분을 물리적, 화학적 또는 효소적으로 처리할 경우, 전분의 호화특성 및 겔특성을 변화된 변성전분을 제조할 수 있는데, 변성 방법에 따라 낮은 호화온도, 겔 안정성, 노화안정성, 전단(shear) 내성 등이 개선되어 많은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각 산업분야에서는 천연 전분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종 형태로 변성시켜 사용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도 새로운 변성 방법이 계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25507호에는 치환도를 조절한 에테르 반응공정과 가교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찬물에 쉽게 용해되고, 보습력과 점착력이 우수한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41427호에는 전분에 폴리머와 물을 혼합하고, 산이나, 알카리를 첨가한 다음, 반응보조제첨가하여 상온 이상의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용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56790호에는 묵은쌀전분에 제 3인산소다 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키고, 건조한 다음, 열처리한 후, 재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쌀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74140호에는 전분에 산화보조제를 첨가하고,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점도 안정성이 우수한 변성전분의 건식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204288호에는 전분에 과황산염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혼용하여 첨가하고, 방사선 조사를 병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물성이 우수한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처럼 개발된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은 대부분 화학반응을 위하여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화합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처럼 제조된 변성전분은 식품분야 또는 의약분야에서 사용할 수 없고, 복잡한 화학반응에 의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변성전분의 제조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만일, 식품분야 또는 의약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변성전분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별다른 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변성전분을 간단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이 높은 변성전분을 간단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전분과 안전성이 입증된 부정형 실리카를 혼합하고, 이를 전단력을 이용하여 분쇄할 경우, 높은 안전성을 나타냄은 물론, 전분입자와 실리카 입자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호화되지 않고 안식각이 감소된 변성전분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안전성이 높은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방법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높은 안전성을 갖는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은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를 혼합한 다음, 1 내지 3시간 동안 분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전분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옥수수전분, 쌀전분, 찰옥수수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전분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를 1:1 내지 20:1(w/w)의 비율로 혼합함이 바람직하며, 분쇄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단분쇄기 등의 전단력(shearing force)을 이용하여 분쇄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부정형 실리카(amorphous silica)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안전성이 입증되어 식용가능한 비결정질의 분말형 실리카(SiO2)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이 높은 변성전분을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종래에 알려진 전단력을 이용하여, 전분을 분쇄하는 방법에 주목하게 되었다. 전단력을 이용하여 전분을 분쇄(전단분쇄)할 경우에는, 전분이 보다 작은 입자로 분쇄될 뿐만 아니라, 전단분쇄시 발생하는 열에너지에 의하여, 분쇄된 전분입자가 변성됨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참조: Paulin S. et al., Phys. Rev. E., 55:5812-5819, 1997; Sierou A. and Brady J., J. Rheol., 46:1031-1056, 2002). 그러나, 이처럼 전단분쇄에 의하여 제조된 변성전분은 사용된 전분에 따라 변성정도에 차이가 심하고, 변성전분의 제조 수율이 낮아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이 옥수수전분과 쌀전분을 전단분쇄하여, 변성전분을 제조하고, 이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전단분쇄되지 않은 전분에 비하여, 월등하게 낮은 점도를 나타내고, 사용되는 전분의 종류에 따라서는 전혀 호화되지 않는 변성전분을 제조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250rpm의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전단분쇄하는 조건하에서, 옥수수전분을 전단분쇄하여 제조된 변성전분은 수분과 혼합하고, 고온으로 가열하여도 호화되지 않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동일한 조건에서 쌀전분을 전단분쇄하여 제조된 변성전분은 상기와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 었다.
이처럼 호화되지 않는 변성전분은, 수분이 존재하는 고온의 환경에서도, 전분 특유의 물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안전성과 고온에서의 안정성을 필요로하는 다양한 식품 또는 의약품의 제조시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분의 종류에 상관없이 안전하면서도 호화되지 않는 물성을 나타내는 변성전분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를 혼합하고, 전단분쇄할 경우, 높은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된 전분의 종류에 상관없이 높은 수분함량과 고온의 조건에서도 호화되지 않는 변성전분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기 사용된 부정형 실리카는 비결정질의 분말형 실리카(SiO2)로서, 식품에 2% 수준으로 첨가가 가능하여 커피크리머 및 유아식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므로, 부정형 실리카와 전분을 혼합분쇄하여 제조된 변성전분은 식품분야 또는 약학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안전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부정형 실리카와 전분을 혼합하고 전단분쇄하면, 공지된 바와 같이 전분이 보다 작은 입자로 분쇄되고, 분쇄된 전분입자가 변성될 뿐만 아니라, 변성된 전분입자에 비결정질의 실리카(SiO2) 입자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의 입자를 갖으며, 12 내지 62cp의 최고점도, -2 내지 24cp의 최저점도, 5 내지 57cp의 최종점도 및 5.73 내지 6.87분의 최고점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갖는 변성전분을 제조할 수 있다. 이처럼 제조된 변성전분은, 전분입자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비결정질 실리카 입자로 인하여 고온다습한 조건에서도 전분입자간의 응집이 저해되므로, 전분의 종류에 상관없이 호화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전기 제조된 변성전분은 전분입자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비결정질 실리카 입자로 인하여, 변성전분입자의 안식각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는 바, 감소된 안식각으로 인하여, 변성전분입자간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전분의 가공적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성이 높은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안전성이 높으면서도, 호화되지 않고 안식각이 감소된 변성전분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식품 및 의약품 제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전단력에 의한 변성전분의 제조
각각 1kg의 옥수수전분(실험군 1) 및 쌀전분(실험군 2)을 금속성분이 유리되지 않는 지르코늄(zirconium) 소재의 자(jar)와 볼(ball)을 포함하는 전단분쇄기 (Planetary mill, Pulverisette 4, Germany)에 적용하여, 250rpm의 조건으로 1시간 동안 분쇄하여 각각의 변성전분을 수득하였다.
이어, 제조한 각 변성전분의 점도특성을 신속점도 측정계(RVA, Rapid Visco Analyser, Newport Scientific Pty, Ltd., Warriewood NSW, Australia)를 사용하여 ICC 표준방법 162(ICC, 1994) 및 AACC 61-01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먼저, 각 변성전분의 함량이 7중량%가 되도록, 변성전분과 물을 혼합한 시료(수분함량 93중량%)를 각각 준비하고, 전기 각 시료 30g을 RVA 시료투입구에 투입하였으며, 최초의 0 내지 10분동안 50℃까지 상승시키고, 10 내지 12분동안은 95℃까지 상승시킨 다음, 12 내지 20분동안은 다시 50℃로 하강시키면서, 점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최고점도에 도달하는 시간(Peak Time, PT) 및 호화온도를 구하였다(참조: 표 1a). 이때, 대조군으로서 변성되지 않은 옥수수전분(대조군 1)과 쌀전분(대조군 2)을 사용하였다.
실험군 | 최고점도(cp) | 최저점도(cp) | 최종점도(cp) | PT(분) | 호화온도(℃) |
대조군 1 | 969.00 | 632.00 | 1076.00 | 6.73 | 86.30 |
실험군 1 | 11.00 | -2.00 | 5.00 | 6.80 | - |
대조군 2 | 550.00 | 188.00 | 1070.00 | 7.00 | 77.50 |
실험군 2 | 131.00 | 24.00 | 134.00 | 6.53 | 82.75 |
상기 표 1a에서 보듯이, 변성되지 않은 전분(대조군 1, 대조군 2)은 변성된 전분에 비하여, 높은 점도를 나타내고, 최고점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대체적으로 유사하였으나, 변성된 옥수수전분은 호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부정형 실리카를 이용한 변성전분의 제조
각각 1kg의 옥수수전분과 부정형 실리카(비타민스위스사, 대한민국)의 혼합물(15:1, w/w)(실험군 3) 및 쌀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물(15:1, w/w)(실험군 4)을, 전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단분쇄하여 각각의 변성전분을 수득하고, 이의 점토특성을 측정한 다음, 전기 대조군 1, 대조군 2, 실험군 1 및 실험군 2의 결과와 비교하였다(참조: 표 1b).
실험군 | 최고점도(cp) | 최저점도(cp) | 최종점도(cp) | PT(분) | 호화온도(℃) |
대조군 1 | 969.00 | 632.00 | 1076.00 | 6.73 | 86.30 |
실험군 1 | 11.00 | -2.00 | 5.00 | 6.80 | - |
실험군 3 | 12.00 | -2.00 | 5.00 | 6.87 | - |
대조군 2 | 550.00 | 188.00 | 1070.00 | 7.00 | 77.50 |
실험군 2 | 131.00 | 29.00 | 134.00 | 6.53 | 82.75 |
실험군 4 | 62.00 | 24.00 | 57.00 | 5.73 | - |
상기 표 1b에서 보듯이, 최고점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대체적으로 유사하였으나, 부정형 실리카와 전분을 혼합하고 전단분쇄하여 제조한 변성전분(실험군 3 및 4)는 모든 분야에서 가장 낮은 점도를 나타내었고, 호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쌀전분의 경우, 쌀전분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실험군 2)은 변성되지 않은 쌀전분보다 높은 온도에서 호화되었으나, 쌀전분을 부정형 실리카와 혼합하고 전단분쇄하여 제조한 변성전분(실험군 4)은 전혀 호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안전성이 입증되어 식용가능한 부정형 실리카와 전분을 혼합하고 전단분쇄하면, 높은 안전성을 나타내면서도, 전분입자에 비결정질의 실리카 입자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의 입자를 갖는 변성전분이 제조되고, 전분입자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비결정질 실리카 입자로 인하여 고온다습한 조건에서도 전분입자간의 응집이 저해되므로, 전분의 종류에 상관없이 호화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안전성이 높으면서도, 전분입자와 비결정질 실리카 입자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의 입자를 갖으며, 과량의 수분(93중량%)과 높은 온도(95℃)조건에서도 호화되지 않는 변성전분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분쇄시간에 따른 변성전분의 점도특성 비교
옥수수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물(15:1, w/w)(실험군 2) 및 쌀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물(15:1, w/w)(실험군 4)을, 전단분쇄기에 적용하여, 250rpm의 조건으로 0, 30, 60, 120 및 180분 동안 분쇄하여 각각의 변성전분을 수득하고, 전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이들의 점도특성을 측정하였다(참조: 표 2a 및 표 2b).
분쇄시간(분) | 최고점도(cp) | 최저점도(cp) | 최종점도(cp) | PT(분) | 호화온도(℃) |
0 | 969.00 | 632.00 | 1076.00 | 6.73 | 86.30 |
30 | 419.00 | 231.00 | 401.00 | 6.80 | 83.90 |
60 | 12.00 | -2.00 | 5.00 | 6.87 | - |
120 | 7.00 | -2.00 | 3.00 | 3.07 | - |
180 | 9.00 | -2.00 | 4.00 | 5.73 | - |
분쇄시간(분) | 최고점도(cp) | 최저점도(cp) | 최종점도(cp) | PT(분) | 호화온도(℃) |
0 | 550.00 | 188.00 | 1070.00 | 7.00 | 77.50 |
30 | 319.00 | 113.00 | 426.00 | 6.80 | 85.00 |
60 | 62.00 | 29.00 | 57.00 | 5.73 | - |
120 | 42.00 | 18.00 | 50.00 | 5.87 | - |
180 | 59.00 | 13.00 | 35.00 | 1.20 | - |
상기 표 2a 및 표 2b에서 보듯이,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분쇄시간이 증가할 수록 점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60분 이상의 시간으로 분쇄할 경우에는, 옥수수전분 및 쌀전분이 모두 호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비에 따른 변성전분의 점도특성 비교
옥수수전분과 부정형 실리카를 각각 1:1, 5:1, 10:1, 15:1 및 20:1(w/w)의 혼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전단분쇄기에 적용하여, 250rpm의 조건으로 120분동안 분쇄하여 각각의 변성전분을 수득하고, 전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이들의 점도특성을 측정하였다(참조: 표 3a).
혼합비(전분:실리카, w/w) | 최고점도(cp) | 최저점도(cp) | 최종점도(cp) | PT(분) | 호화온도(℃) |
1:1 | 4.00 | -2.00 | 2.00 | 2.98 | - |
5:1 | 5.00 | -2.00 | 2.00 | 3.01 | - |
10:1 | 6.00 | -2.00 | 3.00 | 3.05 | - |
15:1 | 7.00 | -2.00 | 3.00 | 3.07 | - |
20:1 | 9.00 | -2.00 | 4.00 | 3.08 | - |
상기 표 3a에서 보듯이, 옥수수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비가 변화되어도, 점도특성이 크게 변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옥수수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물에 있어서, 옥수수전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점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옥수수전분 대신에 쌀전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할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비에 따른 변성전분의 점도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3b).
혼합비(전분:실리카, w/w) | 최고점도(cp) | 최저점도(cp) | 최종점도(cp) | PT(분) | 호화온도(℃) |
1:1 | 33.00 | 14.00 | 41.00 | 7.01 | - |
5:1 | 37.00 | 16.00 | 45.00 | 6.44 | - |
10:1 | 40.00 | 17.00 | 47.00 | 6.12 | - |
15:1 | 42.00 | 18.00 | 50.00 | 5.87 | - |
20:1 | 46.00 | 20.00 | 54.00 | 5.28 | - |
상기 표 3b에서 보듯이, 쌀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비가 변화될 경우에도, 상기 표 3a의 결과와 유사하게, 점도특성이 크게 변화되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쌀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물에 있어서, 옥수수전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점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성전분은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의 혼합비에 의하여 영향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변성전분의 유동특성 비교
전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 변성전분(실험군 1 내지 4)과 대조군으로서 변성되지 않은 옥수수전분(대조군 1)과 쌀전분(대조군 2)을 유동특성 분석기(powder flowability analyzer, TSI Aero-flow model 3250, USA)에 적용하여, 이들의 유동특성을 분석하였다(참조: 도 1a 내지 2c). 도 1a는 변성되지 않은 옥수수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b는 옥수수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c는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옥수수 변성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a는 변성되지 않은 쌀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b는 쌀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c는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쌀 변성전분의 유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에 있어서, X축과 Y축의 평균시간이 작을수록 전분입자의 유동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도 1a 내지 1c에서 보듯이, 옥수수전분의 경우, 변성되지 않은 옥수수전분보다는 옥수수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이 높은 유동성을 나타내고, 옥수수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보다는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옥수수 변성전분이 높은 유동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2a 내지 2c에서 보듯이, 쌀전분의 경우, 변성되지 않은 쌀전분보다는 쌀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이 높은 유동성을 나타내고, 쌀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보다는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쌀 변성전분이 높은 유동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변성전분은 보다 높은 유동성을 나타내므로, 가공적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전분 안식각의 비교
전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 변성전분(실험군 1 내지 4)과 대조군으로서 변성되지 않은 옥수수전분(대조군 1)과 쌀전분(대조군 2)의 안식각(Angle of repose, AOR)을 공지된 방법에 따라, 비교하였다(참조: Kaleemullah, S. and Gunasekar J.J, Biosystem Engineering, 82(3):331-338, 2002; Altuntas et al., J. Food Engineering, 71:34-43, 2005).
즉, 위 아래가 뚫린 직경 300mm, 높이 500mm의 실린더를 원형 플레이트의 가운데 놓고, 내부에 각각 300g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 변성전분(실험군 1 내지 4)과 대조군으로서 변성되지 않은 옥수수전분(대조군 1)과 쌀전분(대조군 2)을 채운 다음, 실린더를 천천히 올려서, 전기 원형 플레이트에 원뿔형을 형성하도록 각 시료를 쌓은 다음, 이들의 형상을 비교하였다. 쌓인 형상이 원뿔형에 가까울 수록 안식각이 크고, 시료의 분체간의 마찰력이 큰 것으로 간주된다(참조: 도 3a 내지 4c).
도 3a는 변성되지 않은 옥수수전분(대조군 1)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b는 옥수수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실험군 1)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3c는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옥수수 변성전분(실험군 2)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a는 변성되지 않은 쌀전분(대조군 1)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4b는 쌀만으로 제조된 변성전분(실험군 3)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c는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쌀 변성전분(실험군 4)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a 내지 4c에서 보듯이, 변성되지 않은 대조군 1 및 2에 비하여 변성전분(실험군 1 내지 4)은 안식각이 감소되어, 시료의 분체간의 마찰력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고, 단독으로 분쇄되어 변성된 변성전분(실험군 1 및 3)의 안식각 보다는 혼합분쇄되어 변성된 변성전분(실험군 2 및 4)의 안식각이 더욱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는 바, 단독으로 분쇄되어 변성된 변성전분(실험군 1 및 3)의 분체 보다는 혼합분쇄되어 변성된 변성전분(실험군 2 및 4)의 분체가 더욱 감소된 마찰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분쇄되어 제조된 변성전분은 적은 안식각을 나타내어, 변성전분의 분체간의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어, 가공적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를 혼합분쇄하여 제조된 높은 안전성을 갖고, 호화되지 않는 변성전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성전분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안전성이 우수하고, 호화되지 않는 변성전분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식품 및 의약품 제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 전분과 부정형 실리카를 1:1 내지 20:1(w/w)로 혼합한 다음, 전단력(shearing force)을 이용하여 1 내지 3시간 동안 분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전분은 옥수수전분, 쌀전분, 찰옥수수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부정형 실리카는 안전성이 입증되어 식용가능한 비결정질의 분말형 실리카(S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전분입자와 실리카 입자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의 입자를 갖고, 12 내지 62cp의 최고점도, -2 내지 24cp의 최저점도, 5 내지 57cp의 최종점도 및 5.73 내지 6.87분의 최고점도에 도달하는 시간의 점도특성을 갖으며, 감소된 안식각을 갖는 변성전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1789A KR100778929B1 (ko) | 2005-09-30 | 2005-09-30 | 높은 안전성을 갖는 변성전분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1789A KR100778929B1 (ko) | 2005-09-30 | 2005-09-30 | 높은 안전성을 갖는 변성전분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6850A KR20070036850A (ko) | 2007-04-04 |
KR100778929B1 true KR100778929B1 (ko) | 2007-11-28 |
Family
ID=3815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1789A KR100778929B1 (ko) | 2005-09-30 | 2005-09-30 | 높은 안전성을 갖는 변성전분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892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2945A (ko) | 2017-10-17 | 2019-04-2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열 및 냉-해동을 이용하고, 다양한 식용 검류를 첨가한 물리적 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KR20190042944A (ko) | 2017-10-17 | 2019-04-2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열 및 냉-해동을 이용한 물리적 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KR20200085002A (ko) * | 2019-01-04 | 2020-07-14 | 우상학 | 식품포장용 합성수지 필름에 살포하는 미세분말 이형제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189013A1 (en) * | 2017-10-17 | 2021-06-24 |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 Method for preparing physically modified starch by using heating and freezing-thawing and adding various edible gum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3295A (ko) * | 1987-08-18 | 1989-04-14 | 토마스 디. 몰리터노 | 미리 가공된 전분으로 만든 성형제품 |
KR0156790B1 (ko) * | 1995-06-07 | 1998-10-01 | 정재홍 | 묵은쌀을 원료로 하는 쌀 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CN1398590A (zh) | 2002-08-20 | 2003-02-26 | 杭州容立医药科技有限公司 | 黄体酮胶囊处方及其制备方法 |
KR20030066076A (ko) * | 2002-02-04 | 2003-08-09 | 영 수 김 | 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
2005
- 2005-09-30 KR KR1020050091789A patent/KR1007789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3295A (ko) * | 1987-08-18 | 1989-04-14 | 토마스 디. 몰리터노 | 미리 가공된 전분으로 만든 성형제품 |
KR0156790B1 (ko) * | 1995-06-07 | 1998-10-01 | 정재홍 | 묵은쌀을 원료로 하는 쌀 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KR20030066076A (ko) * | 2002-02-04 | 2003-08-09 | 영 수 김 | 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CN1398590A (zh) | 2002-08-20 | 2003-02-26 | 杭州容立医药科技有限公司 | 黄体酮胶囊处方及其制备方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2945A (ko) | 2017-10-17 | 2019-04-2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열 및 냉-해동을 이용하고, 다양한 식용 검류를 첨가한 물리적 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KR20190042944A (ko) | 2017-10-17 | 2019-04-2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열 및 냉-해동을 이용한 물리적 변성전분의 제조방법 |
KR20200085002A (ko) * | 2019-01-04 | 2020-07-14 | 우상학 | 식품포장용 합성수지 필름에 살포하는 미세분말 이형제의 제조방법 |
KR102192404B1 (ko) * | 2019-01-04 | 2020-12-17 | 우상학 | 식품포장용 합성수지 필름에 살포하는 미세분말 이형제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6850A (ko) | 2007-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Qiu et al. | Differences in physicochemical,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between rice starch and rice flour modified by dry heat treatment | |
Ji et al. | Effects of chitin nano-whiskers on the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maize and potato starches | |
KR100803343B1 (ko) | 접착력이 강화된 분말상 전분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469738A (zh) | 含低支化度淀粉混合物的软胶囊 | |
Liu et al.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ullulanase debranched starches and their properties for drug controlled-release | |
KR100778929B1 (ko) | 높은 안전성을 갖는 변성전분 및 그의 제조방법 | |
Lawal et al. | Materi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native, acetylated, and pregelatinized forms of corn, cassava, and sweet potato starches | |
Ozcan et al. | Functionality behavior of raw and extruded corn starch mixtures | |
EP3380577A1 (en) | Coated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KR20180082310A (ko) | 응집되고 열적으로 억제된 전분을 제조하는 방법 | |
EP2001308B1 (en) | Pasteurisation stable starch compositions | |
Fan et al. | Physicochemical and in vitro digestibility properties on complexes of fermented wheat starches with konjac gum | |
Jyothi et al. | Hydrothermal modifications of tropical tuber starches–Effect of ANN on the physicochemical, rheological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 |
Hong et al. | Pre-gelatinized modification of starch | |
Jia et al. |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Dual‐Modified Starch by Cross‐Linking and Annealing | |
Hu et al. | Structural, physicochemical, textur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hosphorylated chestnut starches with different degrees of substitution | |
Neder‐Suárez et al. | Resistant starch formation from corn starch by combining acid hydrolysis with extrusion cooking and hydrothermal storage | |
Lee et al. | Effect of dry heat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egelatinized rice starch | |
Zhang et al. | Amylopectin-sodium palmitate complexes as sustainable nanohydrogels with tunable size and fractal dimensions | |
Li et al. | Effect of superfine grind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ulbs of Fritillaria unibracteata Hsiao et KC Hsia powder | |
Kumar et al. | Controlling the properties of starch from rice brokens by crosslinking with citric acid and sodium trimetaphosphate | |
Tang et al. | Cationic oxidized microporous rice starch: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 |
CN101319060A (zh) | 一种干热变性大米淀粉的制备方法 | |
Deng et al. | The effect of heat-moisture treatment conditions on the structure properties and functionalities of potato starch. | |
Onofre et al. | Sustained release properties of cross‐linked corn starches with varying amylose contents in monolithic tabl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