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149B1 -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149B1
KR100778149B1 KR1020060090315A KR20060090315A KR100778149B1 KR 100778149 B1 KR100778149 B1 KR 100778149B1 KR 1020060090315 A KR1020060090315 A KR 1020060090315A KR 20060090315 A KR20060090315 A KR 20060090315A KR 100778149 B1 KR100778149 B1 KR 100778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late
finishing
plate
coupled
bas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to KR102006009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앞판 및 뒤판과,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며 앞판과 뒤판 사이에 그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 내측으로 인입된 지점에 결합되는 제 1 수직판 및 제 2 수직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베이스블록을 포함하고, 베이스블록은 제 1 수직판의 함몰부가 다른 베이스블록의 제 2 수직판 돌출부에 결합되고, 제 2 수직판의 함몰부가 또 다른 베이스블록의 제 1 수직판 돌출부에 결합되도록 적층됨으로써, 이웃하는 블록과 치합이 용이한 다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므로 수직방향으로 쌓아 올리는 작업이 편리해지고, 블록 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이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되므로 옹벽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 {Breast wall composed of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베이스블록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상단마감블록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하단마감블록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측단마감블록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각 블록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내부에 흙이 채워진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블록 200 : 상단마감블록
300 : 하단마감블록 400 : 좌측단마감블록
500 : 우측단마감블록 700 : 격리판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블록과 치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또 다른 블록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격리판이 구비되어 어소 및 수초대 조성용 식생공간 확보가 가능한 다수의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사법면 등에는 시멘트를 비롯하여 시트파일, 강관, 콘크리트와 시멘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방벽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방벽에는 옹벽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자연친화적인 환경조성과 미감의 향상이라는 효과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옹벽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과 그리고 시공 후의 각 블록본체 사이에 흙을 투입하여 복토층을 형성하여 수변식물을 식재하거나 잔디 또는 기타 야생초 등의 자생이 가능하며,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적재 가능한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되어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블록을 적층식으로 치합시킨 후, 끈이나 철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각 블록에 관통시킴으로써 각 블록의 결합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블록이 치합되는 방향과 블록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간편하게 옹벽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옹벽은, 정면부에 자연석 또는 자연석 문양의 인조석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며, 경사법면 등에 시공되어 나무와 풀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태환경을 복원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옹벽은 각 블록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각 블록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조립 과정이 복잡하며, 블록에 체결수단 관통구가 형성되어야 하고 체결수단을 별도로 제작해야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옹벽은 폭이나 높이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체결수단 전체를 해체시킨 후 블록을 다시 쌓고 체결수단으로 전체 블록을 또 다시 체결해야 한다는 사용상의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에 있어서, 이웃하는 블록과 치합이 용이한 다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블록 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이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되고,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도록 구성되는 옹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앞판 및 뒤판과,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며 앞판과 뒤판 사이에 그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 내측으로 인입된 지점에 결합되는 제 1 수직판 및 제 2 수직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베이스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베이스블록은 제 1 수직판의 함몰부가 다른 베이스블록의 제 2 수직판 돌출부에 결합되고, 제 2 수직판의 함몰부가 또 다른 베이스블록의 제 1 수직판 돌출부에 결합되도록 적층된다.
제 1 수직판의 상면은 외측으로 하향되는 제 1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 2 수직판의 저면은 제 1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제 2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제 1 수직판과 제 2 수직판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가 각각 마련되고, 안착돌기에 안착되어 제 1 수직판과 제 2 수직판 사이의 공간을 구분하는 격리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단마감앞판 및 상단마감뒤판과,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저면에 돌출부와 치합되는 상단마감함몰부가 형성되어 상단마감앞판과 상단마감뒤판 사이에 결합되는 제 1 상단마감수직판과 제 2 상단마감수직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상단마감수직판은 어느 하나의 베이스블록 제 2 수직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제 2 상단마감수직판은 제 1 상단마감수직판이 결합된 베이스블록의 측방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베이스블록 제 1 수직판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적층되는 다수의 상단마감블록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단마감앞판 및 하단마감뒤판과, 저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면에 함몰부와 치합되는 하단마감돌출부가 형성되어 하단마감앞판과 하단마감뒤판 사이에 결합되는 제 1 하단마감수직판과 제 2 하단마감수직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 1 하단마감수직판은 어느 하나의 베이스블록 제 2 수직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제 2 하단마감수직판은 제 1 하단마감수직판이 결합된 베이스블록의 측방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베이스 블록 제 1 수직판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적층되는 다수의 하단마감블록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측단마감앞판 및 측단마감뒤판과, 상면에 함몰부와 치합되는 측단마감돌출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돌출부와 치합되는 측단마감함몰부가 형성되어, 최 좌측단 및 최 우측단에서 상기 베이스블록과 함께 적층되는 측단마감블록을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을 구성하는 각 블록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각 블록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옹벽의 가운데 부위에 위치하는 베이스블록(100)과, 옹벽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상단마감블록(200)과, 옹벽의 최하단에 결합되는 하단마감블록(300)과, 옹벽의 좌우 측단에 결합되는 좌측단마감블록(400) 및 우측단마감블록(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각 블록의 형상 및 결합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블록(100)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앞판(110) 및 뒤판(120)과, 상면에 돌출부(150)가 형성되고 저면에 함몰부(154)가 형성되며 앞판(110)과 뒤판(120) 사이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 내측으로 인입된 지점에 결합되는 제 1 수직판(130) 및 제 2 수직판(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블록(100)은 제 1 수직판(130)의 함몰부(154)가 다른 베이스블록(100)의 제 2 수직판(140) 돌출부(150)에 결합되고, 제 2 수직판(140)의 함몰부(154)가 또 다른 베이스블록(100)의 제 1 수직판(130) 돌출부(150)에 결합되어, 벽돌 적조방식과 같이 서로 엇갈리도록 적층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베이스블록(100)이 서로 엇갈리도록 적층되면, 수직 하중이 각 베이스블록(100)에 고르게 전달되므로 베이스블록(100) 간의 결합이 해제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적어진다.
또한, 수직으로 적층된 두개의 베이스블록(100)은, 전후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에는 돌출부(150)와 함몰부(154)가 간섭되어 결합위치가 변경되지 아니하지만, 좌우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에는 결합위치가 변경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 1 수직판(130)의 상면은 외측으로 하향구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 2 수직판(140)의 저면 역시 제 1 수직판(13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1 수직판(130)의 상면과 제 2 수직판(140)의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좌우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될 때 두 베이스블록(100)은 경사면을 타고 각각 좌상측과 우하측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베이스블록(100)의 수직방향의 이동은 상측부와 하측부에 결합된 또 다른 블록들에 의해 저지되므로, 베이스블록(100)은 결합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단마감블록(200)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단마감앞판(210) 및 상단마감뒤판(220)과, 상단마감앞판(210)과 상단마감뒤판(220) 사이에 결합되는 제 1 상단마감수직판(230)과 제 2 상단마감수직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상단마감수직판(230)과 제 2 상단마감수직판(240)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저면에 제 1 수직판(130)과 제 2 수직판(140)의 돌출부(150)에 치합되는 상단마감함몰부(254)가 형성된다. 제 1 상단마감수직판(230)은 저면에 형성된 상단마감함몰부(254)가 베이스블록(100)의 제 2 수직판(140)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150)에 치합되도록 결합되고, 제 2 상단마감수직판(240)은 제 1 상단마감수직판(230)이 결합된 베이스블록(100)의 측방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베이스블록(100) 제 1 수직판(13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 2 상단마감수직판(240)의 저면에 형성된 상단마감함몰부(254)는 제 1 수직판(13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150)에 치합되도록 결합된다.
상단마감블록(200)과 베이스블록(100)간의 결합구조는, 베이스블록(100) 간의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단마감블록(300)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단마감앞판(310) 및 하단마감뒤판(320)과, 저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면에 함몰부(154)와 치합되는 하단마감돌출부(350)가 형성되며 하단마감앞판(310)과 하단마감뒤판(320) 사이에 결합되는 제 1 하단마감수직판(330) 및 제 2 하단마감수직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하단마감수직판(330)은 상면에 형성된 상단마감돌출부(350)가 베이스블록(100)의 제 2 수직판(140) 저면에 형성된 함몰부(154)에 치합되도록 결 합되고, 제 2 하단마감수직판(340)은 제 1 하단마감수직판(330)이 결합된 베이스블록(100)의 측방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베이스블록(100) 제 1 수직판(130)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 2 하단마감수직판(340)의 저면에 형성된 하단마감돌출부(350)는 제 1 수직판(130)의 저면에 형성된 함몰부(154)에 치합되도록 결합된다.
좌측단마감블록(400)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좌측단마감앞판(410) 및 우측단마감뒤판(420)과, 상면에 함몰부(154)와 치합되는 좌측단마감돌출부(450)가 형성되고 저면에 돌출부(150)와 치합되는 좌측단마감함몰부(454)가 형성되는 좌측단수직판(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좌측단마감블록(400)은, 베이스블록(100)들이 엇갈리게 적층됨에 따라 옹벽의 좌우측 끝단에 생기게 되는 베이스블록(100) 사이의 빈 공간에 결합된다. 또한 좌측단마감수직판(430)의 상면은 제 2 상단마감수직판(240)의 저면과 치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우측단마감블록(500)은, 우측단마감앞판(510) 및 우측단마감뒤판(520)과 상면에 함몰부(154)와 치합되는 우측단마감돌출부(550)가 형성되고 저면에 돌출부(150)와 치합되는 우측단마감함몰부(554)가 형성되는 우측단마감수직판(5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우측단마감블록(500)은 결합되는 방향만 상이할 뿐 좌측단마감블록(4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상기와 같이 상단마감블록(200)의 상면과 하단마감블록(300)의 하면에는 돌출부나 함몰부가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각 블록들의 조립 이 완성되었을 때 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내부에 흙이 채워진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종단면도이다.
각 블록들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직판 사이에 흙이 담겨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사용자는 옹벽 내부에 흙을 채워 복토층을 형성함으로써, 수변식물을 식재하거나 잔디 또는 기타 야생초 등을 자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수직판(130)과 제 2 수직판(140)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160)가 각각 마련되고, 제 1 수직판(130)과 제 2 수직판(140) 사이의 공간이 상하로 구분되도록 안착돌기(160)에 격리판(700)이 안착된다. 제 1 수직판(130)과 제 2 수직판(140) 사이로 투입된 흙(S)은 격리판(700)의 상부에만 쌓이게 되고, 격리판(700)의 하부는 어소공간 또는 우수용 측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흙(S)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격리판(700)의 안착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공간에만 흙(S)을 채울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을 사용하면, 이웃하는 블록과 치합이 용이한 다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므로 수직방향으로 쌓아 올리는 작업이 편리해지고, 블록 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이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되므로 옹벽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블록은, 수직하중 뿐만 아니라 각 방향의 수평하중에도 큰 내구성을 가지며, 흙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다수 개로 구분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만 복토층이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에 있어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앞판 및 뒤판과,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며 내측 면에는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구조로 상기 앞판과 뒤판 사이 끝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으로 인입된 지점에 결합되는 제 1수직판 및 제 2수직판과, 상기 안착돌기에 안착되어 상기 제 1수직판과 제 2수직판 사이의 공간을 구분하는 격리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베이스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록은, 제 1수직판의 함몰부가 다른 베이스블록의 제 2 수직판 돌출부에 결합되고, 제 2 수직판의 함몰부가 또 다른 베이스블록의 제 1 수직판 돌출부에 결합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판의 상면은 외측으로 하향구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 2 수직판의 저면은 상기 제 1 수직판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단마감앞판 및 상단마감뒤판과,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돌출부와 치합되는 상단마감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단마감앞판과 상단마감뒤판 사이에 결합되는 제 1 상단마감수직판과 제 2 상단마감수직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상단마감수직판은 어느 하나의 베이스블록 제 2 수직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상단마감수직판은 상기 제 1 상단마감수직판이 결합된 베이스블록의 측방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베이스블록 제 1 수직판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적층되는 다수의 상단마감블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단마감앞판 및 하단마감뒤판과, 저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함몰부와 치합되는 하단마감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단마감앞판과 하단마감뒤판 사이에 결합되는 제 1 하단마감수직판과 제 2 하단마감수직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하단마감수직판은 어느 하나의 베이스블록 제 2 수직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하단마감수직판은 제 1 하단마감수직판이 결합된 베이스블록 의 측방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베이스블록 제 1 수직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하단마감블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측단마감앞판 및 측단마감뒤판과, 상면에 상기 함몰부와 치합되는 측단마감돌출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돌출부와 치합되는 측단마감함몰부가 형성되어,
    최좌측단 및 최우측단에서 상기 베이스블록과 함께 적층되는 측단마감블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KR1020060090315A 2006-09-18 2006-09-18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 KR100778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315A KR100778149B1 (ko) 2006-09-18 2006-09-18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315A KR100778149B1 (ko) 2006-09-18 2006-09-18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149B1 true KR100778149B1 (ko) 2007-11-21

Family

ID=3908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315A KR100778149B1 (ko) 2006-09-18 2006-09-18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1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99Y1 (ko) 2001-06-02 2001-10-29 오부영 식재옹벽블럭
KR200300440Y1 (ko) 2002-09-12 2003-01-14 오부영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99Y1 (ko) 2001-06-02 2001-10-29 오부영 식재옹벽블럭
KR200300440Y1 (ko) 2002-09-12 2003-01-14 오부영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320A (en) Retaining wall block
US20090277087A1 (en) The vegetation block frame and the vegetation block
NO168902B (no) Byggesett for fremstilling av bygningskonstruksjoner med i hverandre gripende elementer
US20100303555A1 (en) Concrete block for wall, walls having such blocks, and methods
AU2012312581A1 (en) Wall block system
US7351015B2 (en) Invertible retaining wall block
CN105899733A (zh) 挡土墙砌块及其施工方法
KR200396205Y1 (ko) 친환경 식생블럭
KR101807504B1 (ko)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KR100778149B1 (ko)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는 옹벽
CN211312554U (zh) 一种挡锁砌砖、挡墙、护坡
KR100970303B1 (ko) 옹벽블럭
KR101598148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200303564Y1 (ko) 옹벽식 소파 호안구조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70457B1 (ko) 담장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101204308B1 (ko) 통나무 돌바구니
KR200236283Y1 (ko) 말뚝지주형 식생대
CN110965564A (zh) 一种抗冲刷生态护坡砖、护坡、铺设方法
JPH08105068A (ja) 可逆性を有し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200334296Y1 (ko) 옹벽 블록을 이용한 응벽구조
CA1332288C (en) Interlocking units for the erection of walls, the strengthening of slopes and the building of riverbeds
KR200392141Y1 (ko)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