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424B1 -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 Google Patents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424B1
KR100777424B1 KR1020070067706A KR20070067706A KR100777424B1 KR 100777424 B1 KR100777424 B1 KR 100777424B1 KR 1020070067706 A KR1020070067706 A KR 1020070067706A KR 20070067706 A KR20070067706 A KR 20070067706A KR 100777424 B1 KR100777424 B1 KR 10077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portable terminal
battery
fix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철
Original Assignee
(주)모바일컴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바일컴피아 filed Critical (주)모바일컴피아
Priority to KR102007006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를 개시한다. 일측에 포고핀(pogo pin)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인입되게 형성된 배터리팩 수용부와,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팩을 구비한 개인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는: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내에서 상기 포고핀 주위를 둘러싸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신축성을 가진 제 1 씰링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포고핀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팩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씰링부재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씰링부재에 밀착되는 밀폐용 돌기가 형성된 배터리팩;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Battery sealing structur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본 발명은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부착 가능한 배터리팩이 수용되는 본체의 배터리 수용부를 밀폐하는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핸드폰, 노트북 및 휴대용 개인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충,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인 축전지가 포함된 배터리팩을 본체의 일 측면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배터리팩은 따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인휴대 단말기는 본체와, 배터리팩 수용부와, 배터리팩을 구비한다.
본체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및 인쇄회로기판 등을 구비한다. 인쇄회로기판에는 배터리팩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포고핀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팩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터리팩이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인입되게 형성된 것이다.
배터리팩은 배터리팩 수용부 내에 수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포고핀과 접촉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팩 수용부에는 상기 배터리팩과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포고핀과 맞닿는 영역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포고핀은 관통된 영역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개인휴대 단말기 중에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휴대 단말기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개인휴대 단말기와 달리, 비가 오거나 먼지가 많은 곳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배터리팩과 배터리팩 수용부 사이의 틈새로 수분이 스며들게 되고, 상기 수분은 배터리팩 수용부 내의 관통된 영역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수분이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된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게 되면, 개인휴대 단말기가 오작동을 하거나 심한 경우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개인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팩과 배터리팩 수용부의 결합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결합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결합장치는 배터리팩 하측에 형성된 돌기를 배터리팩 수용부의 하측 홈에 끼우고, 배터리팩 상측은 배터리팩 수용부의 상측에 형성된 탄성력이 있는 잠금부에 배터리팩을 결합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개인휴대 단말기를 지면에 떨어뜨리게 되면, 충격에 의해 잠금부가 일시적으로 해제되면서 배터리팩이 배터리팩 수용부로부터 이탈된다. 만약 지면에 물기나 먼지 등이 많은 경우 배터리팩 수용부를 통해 본체 내부로 물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 내부로 먼지 및 수분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팩이 배터리팩 수용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는: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내에서 상기 포고핀 주위를 둘러싸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신축성을 가진 제 1 씰링부재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포고핀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팩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씰링부재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씰링부재에 밀착되는 밀폐용 돌기가 형성된 배터리팩;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는, 상기 배터리팩이 배터리팩 수용부에 수용되면, 제 1 씰링부재는 밀폐용 돌기와 접촉되고, 밀폐용 돌기가 제 1 씰링부재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개인휴대 단말기에 물, 오일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터리팩과 배터리팩 수용부의 틈으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밀폐용 돌기와 제 1 씰링부재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는, 위치고정부가 제 1 위치 고정홈 또는 제 2 위치고정홈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항상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인휴대 단말기를 지면에 떨어뜨리게 되더라도, 제 1 고정돌기가 이탈방지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팩이 배터리팩 수용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가 적용된 개인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배터리팩 수용부에 형성된 제 1 씰링부재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는 제 1 씰링부재(130)와, 배터리팩(140)을 구비한다.
제 1 씰링부재(130)는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120)내에서 상기 포고핀(112) 주위를 둘러싸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제 1 씰링부재(130)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인쇄회로기판(11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씰링부재(130)의 재질은 신축성이 있고,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팩(140)은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120)내에 수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포고핀(112)과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배터리팩(140)은 밀폐용 돌기(141)를 구비한다.
밀폐용 돌기(141)는 상기 배터리팩(140)의 전면으로부터 폐곡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씰링부재(130)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씰링부재(130)와 밀폐용 돌기(141)의 형상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씰링부재(130)와 밀폐용 돌기(141)의 형상이 유사하지 않아 일부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으면, 접촉되지 않은 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1)를 손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개인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밀폐 구조에 의해 이물질이 차단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개인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배터리팩(140)이 배터리팩 수용부(120)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제 1 씰링부재(130)는 밀폐용 돌기(141)와 접촉되고, 밀폐용 돌기(141)가 제 1 씰링부재(130)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개인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밀폐 구조는, 상기 밀폐용 돌기(141)와 제 1 씰링부재(130)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본체(110)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이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이물질이 본체(110)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체(110)는 전면케이스(110a)와 후면케이스(110b)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120)에는, 결합용 홈(1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결합용 홈(122)은 상기 제 1 씰링부재(130)가 결합되는 것으로, 배터리팩 수용부(1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인입되게 형성된다.
한편, 제 1 씰링부재(130)는 밀폐력과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력과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는 고무, 실리콘 및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씰링부재(130)가 밀폐용 돌기(141)와 접촉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데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인휴대 단말기(100)는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150)를 더 구비하고, 배터리팩(140)에는 이탈방지홈(1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150)와 이탈방지홈(142)은 상기 배터리팩(140)이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에서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와 배터리팩이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6은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의 제 1 고정돌기가 배터리팩의 이탈방지홈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의 제 1 고정돌기가 배터리팩의 이탈방지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150)는 본체(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베이스부(151)와, 조작부(152)와, 제 1 고정돌기(153)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51)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조작부(152)는 상기 베이스부(151)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를 관통하여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조작부(152)는 상기 베이스부(151)로부터 돌출형성되거나, 조작부(152)와 베이스부(151)를 따로 제조하여 결합시킬수 있다.
제 1 고정돌기(153)는 상기 베이스부(151)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120)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 1 고정돌기(153)는, 사용자가 조작부(15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120)내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인휴대 단말기(100)는 커버(170, 도 2 참조)와 제 2 씰링부재(171, 도 2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커버(170, 도 2 참조)는 상기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150)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110a) 내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170, 도 2 참조)는, 상기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150)가 상기 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씰링부재(171, 도 2 참조)는 상기 커버(170), 도 2 참조)와 상기 본체(110a, 도 2 참조)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터리팩(140)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42)은 상기 제 1 고정돌기(153)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152)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고정돌기(153)가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곳이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팩(140)이 배터리팩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1 고정돌기(153)가 이탈방지홈(142)에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팩(140)이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개인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밀폐 구조에는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150)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위치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치고정수단은 고정부재(161)와 위치고정홈(164)들을 구비한다.
고정부재(161)는 결합부(162)와, 위치고정부(163)를 구비한다.
결합부(162)는 상기 베이스부(151) 및 상기 본체(1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것이다. 위치고정부(163)는 상기 결합부(162)로부터 멀어지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결합부(162)는 위치고정부(163)가 상기 베이스부(151) 및 상기 본체(1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한다.
위치고정홈(164)들은 위치고정부(163)가 이동하면서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부(151) 및 상기 본체(110) 중 나머지 하나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 것이다.
도 6에서는 고정부재(161)가 상기 베이스부(151)에 결합되고, 위치고정 홈(164)들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가정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위치고정수단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치고정홈(164)들 중에서 좌측에 형성된 것을 제 1 위치고정홈(165)이라 정의하고, 우측에 형성된 것을 제 2 위치고정홈(166)이라고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부(152)가 좌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배터리팩(140)이 배터리팩 수용부(120)에 수용된다. 이러한 상태는 위치고정부(163)가 제 1 위치고정홈(165)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150)의 위치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조작부(152)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착되면, 위치고정부(163)가 제 2 위치고정홈(166)에 삽입되게 되고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150)의 위치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는, 위치고정부(163)가 제 1 위치 고정홈(165) 또는 제 2 위치고정홈(166)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52)에 상기 고정부재(161)의 탄성력을 이겨낼 정도의 힘보다 큰 힘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위치고정수단은 작은 외력에 의해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15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사용자가 개인휴대 단말기를 지면에 떨어뜨리게 되더라도, 위치고정부(163)가 제 1 위치 고정홈(165) 또는 제 2 위치고정홈(166)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 1 고정돌기(153)가 이탈방지 홈(14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팩(140)이 배터리팩 수용부(12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 1 고정돌기(153) 및 이탈방지홈(142)은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돌기(153) 및 이탈방지홈(142)이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지면, 복수의 제 1 고정돌기(153)들에 의해 배터리팩(140)이 고정되므로 배터리팩(140)과 배터리팩 수용부(120)의 결합력을 강하게 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팩(140)은 제 2 고정돌기(143)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120)에는 수용홈(1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돌기(143)는 배터리팩(140)의 하면에 돌출형성된다. 수용홈(121)은 상기 제 2 고정돌기(143)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인입되게 형성된다.
배터리팩(140)이 배터리팩 수용부(12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 2 고정돌기(143)가 상기 수용홈(121)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팩(140)의 하측이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가 적용된 개인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배터리팩 수용부에 형성된 제 1 씰링부재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개인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에서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와 배터리팩이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6은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의 제 1 고정돌기가 배터리팩의 이탈방지홈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의 제 1 고정돌기가 배터리팩의 이탈방지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개인휴대 단말기 110..본체
111..인쇄회로기판 112..포고핀
120..배터리팩 수용부 121..수용홈
130..제 1 씰링부재 140..배터리팩
141..밀폐용 돌기 142..이탈방지홈
143..제 2 고정돌기 150..고정용 슬라이드 부재
151..베이스부 152..조작부
153..제 1 고정돌기 160..위치고정수단
161..고정부재 162..결합부
163..위치고정부 164..위치고정홈

Claims (9)

  1. 일측에 포고핀(pogo pin)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인입되게 형성된 배터리팩 수용부와,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팩을 구비한 개인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내에서 상기 포고핀 주위를 둘러싸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신축성을 가진 제 1 씰링부재;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포고핀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팩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씰링부재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씰링부재에 밀착되는 밀폐용 돌기가 형성된 배터리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 단말기는,
    상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돌출형성된 조작부과,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로 돌출형성된 제 1 고정돌기를 구비한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팩에는,
    상기 제 1 고정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가 이동됨에 따 라 상기 제 1 고정돌기가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이탈방지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위치고정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이동하면서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위치고정홈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돌기 및 상기 이탈방지홈은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에는,
    상기 제 1 씰링부재가 결합되는 것으로, 그 내측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인입되게 형성된 결합용 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은, 그 하면에 형성된 제 2 고정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에는, 상기 제 2 고정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인입되게 형성된 수용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 단말기는,
    상기 고정용 슬라이드 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된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 2 씰링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9. 삭제
KR1020070067706A 2007-07-05 2007-07-05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KR10077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706A KR100777424B1 (ko) 2007-07-05 2007-07-05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706A KR100777424B1 (ko) 2007-07-05 2007-07-05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424B1 true KR100777424B1 (ko) 2007-11-20

Family

ID=3908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706A KR100777424B1 (ko) 2007-07-05 2007-07-05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4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546A (ko) * 2003-12-30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546A (ko) * 2003-12-30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3975B2 (en) Protective cover, key assembly using the sam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key assembly
US808850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ecured battery
JP4460622B1 (ja) 携帯端末装置
US7989696B2 (en) Hous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7988468B2 (en) Protective cover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090159412A1 (en) Side key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25409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986524B2 (en) Cover relea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361643B2 (en) Battery cover latch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7986530B2 (en) Fixing structure for battery
KR20150071562A (ko) 배터리 팩
US8205310B2 (en) Battery cover latch assembly
US20090258287A1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CN101877948A (zh) 电子装置
US20100328858A1 (en) Cover latch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6975842B2 (en) Mobile phone with battery latch
CN108605062B (zh) 按键模块和移动终端
US8244322B2 (en) Protective cover mechanism
US8445802B2 (en) Button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77424B1 (ko) 개인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밀폐 구조
KR200455693Y1 (ko)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US20100151304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US8531339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254099B2 (en) Housing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3213572U (zh) 电子设备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