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213B1 -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 Google Patents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213B1
KR100777213B1 KR1020060070810A KR20060070810A KR100777213B1 KR 100777213 B1 KR100777213 B1 KR 100777213B1 KR 1020060070810 A KR1020060070810 A KR 1020060070810A KR 20060070810 A KR20060070810 A KR 20060070810A KR 100777213 B1 KR100777213 B1 KR 100777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oiler
main body
heater
hot air
small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순옥
Original Assignee
양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순옥 filed Critical 양순옥
Priority to KR102006007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5The tubes containing an electrically heated intermediate fluid, e.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3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with bare resistanc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운 겨울철에 실내 공간에 설치하여 소형의 전기보일러에 의해 열매체를 가열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열매체를 이용하여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송풍배출구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의 송풍배출구 후면에 구비된 방열부재와, 상기 방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관로를 통하여 상기 방열부재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과, 상기 방열부재의 열전도매체 이송파이프를 통하 가열된 열전도매체를 순환되도록 하는 전기보일러와, 상기 전기보일러의 내부로 공급수를 공급하는 보조급수통과, 상기 전기보일러와 연계되어 상기 전기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풍기, 전기보일러, 히터, 순환펌프

Description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A hot air flag which uses small electric boil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를 보인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를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에 전기보일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소형 전기보일러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소형 전기보일러를 보인 정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의 작동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풍기 10 : 케이스
12 : 흡입구 14 : 송풍배출구
16 : 공기통로 18 : 제어 스위치부
20 : 방열부재 30 : 급기팬
40 : 공급관 50 : 회수관
52 : 에어 배출구 100 : 전기보일러
110 : 본체 111 : 가열공간부
112, 112a : 유입구 113, 115, 117 : 나사부
114, 114a : 배출구 116a, 124 :나사공
118 : 공급관 120 : 덮개판
122 : 고정단 126 : 온도 스위치
129, 136 ,142, 156 : 패킹
130 : 히터 132, 134 : "+, -"단자
140 : 온도센서 150 : 순환펌프
154 : 체결부재 160 : 캡
200 : 보조급수통 300 : 제어부
본 발명은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운 겨울철에 실내 공간에 설치하여 소형의 전기보일러로 열매체를 가열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열매체를 이용하여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난방기는 일반적으로 추운 겨울철에 실내공간에 설치하여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 작업장, 교실,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에 설치하여 난방을 하는데, 기름을 연료로 하는 난방기, 가스를 원료로 하는 난방기, 전기를 이용한 난방기 등이 구비되어 실내의 온도를 상승 또는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기름을 연료로 하는 난방기와 가스를 연료로 하는 난방기는 난방기의 가동시에 연소가스 등이 발생하므로 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관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또한 소음이 심하여 학교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 설치시 학습 및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소음이 적고 작동시에 가스의 배출이 없는 전기를 이용한 난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예로서, 종래의 전기를 이용하는 난방기는 단순히 반사경의 전면에 다수의 히터를 설치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히터에 전기를 인가하면 히터가 발열하게 되고 발열되는 히터의 열이 직접 전방으로 전달됨과 더불어 반사경에 반사되어 복사열과 반사열로써 전방을 따뜻하게 하여 난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 히터를 이용한 난방기는 비교적 열효율이 낮았기 때문에, 다른 예로서 전기온풍기가 개발되었다.
즉, 종래의 전기온풍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팬을 설치하고, 팬에 의해 강제공급하는 공기를 히터에 의해 가열하며,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히터는 둘레면에 나선형의 홈을 구비한 봉 형상의 열선지지체에 열선이 감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주류를 이룬다..
따라서, 열선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열선과 열선지지체가 가열되고, 팬에 의해 강제로 공급되는 공기가 히터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전기온풍기의 전방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전기 히터는 공급된 공기가 직접 히터를 통과하여 공기가 가열되어 난방을 하기 위한 장소에 공급되게 때문에 건조한 공기가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열선지지체가 봉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열선이 이러한 열선지지체에 감기기 때문에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면적이 매우 작아서 단위 시간당 가열 공기량을 대비하면 에너지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온풍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는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된 열전달매체 이송파이프가 그 하측단부에서 전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열저장블럭에 착설되어 상부에 온풍방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하측에 착설된 급기팬에 의해 송풍으로 온풍이 하우징의 상부 온풍방출구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 온풍기가 게재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온풍기는 열전달매체 이송파이프에 의하여 방열핀이 가열됨과 동시에 급기팬의 회전에 따른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방열핀의 사이를 통과하여 온풍배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지만, 이때 방열핀으로 전도되는 열전도율은 실제적으로 방열핀에 완전히 전도되지 않아 각 방열핀의 틈새를 통해 급기덕트의 관로를 빠져나가는 고온의 공기로 실내의 난방효율을 높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열매체 저장부가 크게 되고, 열매체 순환을 위한 장치들이 복잡해지게 되는 문 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 히터를 이용하는 난방기는 난방시 방열핀의 전열로 산소가 타면서 발생되는 냄새로 인해 특히 작업환경이 열악한 밀폐된 좁은 공간일 경우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어 장시간 사용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온풍기의 내부에 소형 전기보일러를 구비하고 상기 소형 전기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키며, 순환되는 온수에 의해 방열핀이 가열됨과 동시에 급기팬을 이용하여 공기가 방열핀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가 송풍배출구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여 소음 및 방열핀의 전열시 냄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최대의 열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송풍배출구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의 내측 송풍배출구 후면에 구비된 방열부재와, 상기 방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통로를 통하여 상기 방열부재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과, 상기 방열재부의 열전도매체 이송파이프를 통하여 가열된 열전도매체를 순환되도록 하는 전기보일러와, 상기 전기보일러와 연계되어 상기 전기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 보일러는 내측에 가열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공간부와 연통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한쌍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끼워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본체 일측을 밀폐하는 덮개판과, 상기 본체의 가열공간부에 위치하며, 양 끝단부가 상기 덮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 -"단자가 구비된 히터와, 상기 본체의 가열공간부에 위치하고, 일측 끝단부는 상기 덮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본체에 덮개판이 구비된 타측에 상기 가열공간부와 연통되게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순환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한쌍의 유입구는 상기 순환펌프의 근접 위치에 서로 대향 되게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유입구에 회수관이 체결되고, 타측 유입구에는 보조급수통과 연계되게 연결관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덮개판의 근접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급관 또는 회수관에 에어 배출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2개를 한쌍으로 하여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되 상기 한쌍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가열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유입구와 서로 연통 되게 구비하고, 상기 순환펌프가 구비된 방향을 향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공급관 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보일러의 유입구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전기보일러의 내부로 공급수를 공급하는 보조급수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의 일측에 단턱진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에 상기 안착부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는 2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보일러는 직렬 또는 병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에 전기보일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온풍기(1)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하단부에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1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송풍배출구(14)가 형성되며, 상기 온풍기(1)의 모든 기능 즉, ON/OFF 스위치, 온도표시 램프, 경고램프 등이 구비된 제어 스위치부(18)가 형성된 케이스(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송풍배출구(14)의 후면 내측에 구비되어 일정 간 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방열핀(24)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방열핀(24)을 관통하여 배열된 열전달매체 이송파이프(22)가 형성된 방열부재(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배출구(12)와 공기통로(16)에 의해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10)의 흡입구(12)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팬(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형 전기보일러(100)는 상기 방열부재(20)의 열전달매체 이송파이프(22) 일측이 전기보일러(100)의 배출구(114)에 연결되는 순환관(40)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열전달매체 이송파이프(22)의 타측은 전기보일러(100)의 유입구(112)에 회수관(50)이 연결되어 고정되어 가열 공급된 열전달매체가 열교환으로 방열되고 방열된 열전달매체를 순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보일러(10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하단부에 거치대(19)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대(19)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보일러(100)가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전기보일러(100)는 상기 온풍기 케이스(10)의 벽면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40) 및 회수관(50) 중 어느 하나의 관에 관로의 내부에 혼입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 배출부재(52))를 설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 배출부재(52)를 상기 회수관(5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보일러(100)의 내부로 공급수를 공급 및 보충시켜 주는 보조 급수통(2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급수통(200)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온풍기(1)의 설치 공간 및 상황에 따라 상기 케이스(1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보일러(100)와 전선(31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전기보일러(100)의 작동과 관련한 신호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종 신호를 상기 제어 스위치부(18)로 전송 및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전기보일러(100)에 대하여 온도, 시간, 경고 등의 정보를 상기 제어 스위치부(18)로 제공하여 표시됨과 동시에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소형 전기보일러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소형 전기보일러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전기보일러(100)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가열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공간부(111)와 연통 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외주면에 나사부(113)(115)가 형성된 한쌍의 유입구(112)(112a)와 배출구(114)가 형성된 본체(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가열공간부(111) 일측에는 단턱지게 안착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16) 방향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공(116a)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타측 끝단부 외주면에는 순환펌프(150)를 설치하기 위한 나사부(117)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유입구(112)(112a)와 배출구(114)는 상기 본체(110)의 안착부(116) 방향의 근접위치에 배출구(114)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5)의 반대 방향 즉, 상기 본체(110)의 나사부(117)가 형성된 근접위치에 형성되어 순환펌프(150)에 근접되도록 상기 유입구(112)(112a)를 형성한다.
아울러, 한쌍의 유입구(112)(112a)는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에서 서로 대향 되게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14)는 다수개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배출구(114)를 2개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에서 보아 상기 유입구(112)(112a)와 배출구(114)(114a)가 서로 각각 대향 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유입구(112)(112a)와 배출구(114)(114a)가 구비된 상태에서 한쌍의 유입구(112)(112a) 중에서 선택하여 하나의 유입구(112)에는 상기 방열부재(20)의 열전도매체 이송파이프(22)에 체결된 회수관(50)의 타측 끝단부가 체결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유입구(112a)에는 상기 보조급수통(200)과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관(210)이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한쌍의 배출구(114)(114a) 중에서 선택하여 어느 하나의 배출구(114)에는 상기 방열부재(20)의 열전도매체 이송파이프(22)에 체결된 공급관(40)이 체결 고정되고, 다른 배출구(114a)는 열전도 매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폐쇄수단인 캡(160)을 이용하여 폐쇄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한쌍의 배출 구(114)(114a)의 기능을 반대로 하여 다른 하나의 배출구(114a)에 공급관(40)을 연결 고정시키고, 상기 다른 일측의 배출구(114)를 캡(160)을 이용하여 폐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한쌍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 유입구(112)(112a)에는 상기 본체(110)의 가열공간부(111)의 순환펌프(150) 쪽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112)(112a)가 서로 연통 되도록 공급관(118)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118)에는 상기 가열공간부(111)로 열전도매체 또는 순환하는 열전도매체가 회수관(50)을 통하여 유입되는 배출공(118a)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공급관(118)에 형성된 배출공(118a)은 상기 순환펌프(150)가 설치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공급되는 열전도매체가 순환펌프(150)로 향하도록 하여 배출구(114)로 배출되는 열전도매체가 순환펌프(150)에서 강하게 분사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에 단열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안착부(116)에 끼워지는 고정단(12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단(122)의 외주면으로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나사공(116a)과 연통되는 나사공(124)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에 나사(126)로 고정되는 덮개판(1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판(120)의 상기 고정단(122)은 중앙부를 프레싱 등에 의해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 상기 덮개판(120)이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위에 온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129)을 개재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가열공간부(111)에 위치되도록 양 끝단부가 상기 덮개판(12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끝단부에 "+, -"단자(132)(134)가 각각 형성된 히터(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130)의 끝단부가 상기 덮개판(12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할 때 상기 덮개판(120)의 관통부위로 열전도매체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패킹(136)이 개재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가열공간부(111)에 위치하고, 일측 끝단부는 상기 덮개판(12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온도센서(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140)의 끝단부가 상기 덮개판(12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때 상기 덮개판(120)의 관통부위로 열전도매체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패킹(142)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 덮개판(120)이 구비된 타측으로 상기 가열공간부(111)에 일부가 끼워지도록 체결부재(154)에 의해 고정되는 순환펌프(1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펌프(150)에는 단턱부(152)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152)를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본체(110)의 나사부(117)에 체결부재(154)를 외부에서 나사 결합하여 상기 순환펌프(150)가 고정되게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110)에 상기 순환펌프(150)가 고정되는 체결부위에는 열 전도매체가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156)이 개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히터(130)의 "+, -"단자(132)(134)와 온도센서(140), 순환펌프(150) 및 온도 스위치(126)는 전선(310)에 의해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기능을 단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풍기(1)를 실내에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급수통(200)을 통해 유입구(112)로 열전도매체를 공급하되 이 열전도매체는 공급관(40), 열전달매체 이송파이프(22), 회수관(50) 그리고 본체(110)의 가열공간부(111)에 충만되게 공급한다.
이때, 공급수를 공급한 후에는 반드시 공급관(40), 열전달매체 이송파이프(22), 회수관(50) 그리고 본체(110)의 가열공간부(111)에 혼입되어 있는 에어를 상기 에어 배출구(52)를 이용하여 빼준다.
이렇게 공급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어 스위치부(18)에서 전기보일러(100)의 가열 온도를 설정하게 되면 이 정보를 받아 제어부(300)에서 히터(130)를 작동시켜 설정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때 공급된 열전도매체가 설정 온도까지 가열되면 온도센서(140)가 감지하여 온도신호를 제어부(300)로 보내고, 이 신호에 의해 제어부(300)에서는 히터(130)의 가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순환펌프(150)을 가동시켜 가열된 열전도매체가 도 7과 같이 배출구(114)를 통해 공급관(40)으로 배출되어 방열부재(20)의 열전도매체 이송파이프(22) 내를 순환하면서 방열핀(24)을 가 열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열전달매체 이송파이프(22) 내를 순환한 열전도매체는 다시 상기 회수관(50)을 통해 전기보일러(100)의 가열공간부(111)로 회수된다.
이렇게 상기 방열부재(20)의 방열핀(24)이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급기팬(30)을 가동시키게 되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통로(16)를 통하여 상기 방열부재(20) 방향으로 공급되고, 상기 방열부재(20)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방열핀(24)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방열핀(24)과 열 교환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온의 공기는 상기 송풍배출구(1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한편, 온풍기(1)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열전도매체의 논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설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온도센서(14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에 의해 제어부(300)에서는 히터(130)의 가동을 정지시키거나 다시 히터(130)를 재가동시켜 설정 온도가 될 때까지 온수를 가열하여 설정 온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열전도매체가 온풍기(1) 내를 순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130)의 용량은 약 2kw ∼ 약 5kw로써, 온풍기의 용량에 따라 본체(110)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히터(130)의 용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130)를 1개 또는 2개 중 어느 하나를 용량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하므로서, 최대의 열효율을 얻을 수 있고, 히터(130) 용량을 조절하여 온풍 기(1)의 용량을 변경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보일러(100) 내부에 설치하는 히터(130)를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40)에서 온도를 감지하지 못하여 히터(130)가 계속 가동되어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바이메탈을 이용한 온도 스위치(126)는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300)로 보내고, 제어부(300)에서는 이 신호에 의해 보일러의 모든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난방하고자 하는 실내 공간의 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전기보일러(100)를 병렬 또는 직렬로 다수개를 연결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소형의 전기보일러를 이용하면서도 실내의 난방효율을 빠른시간 내에 높일 수 있도록한것으로,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하여 열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매체가 순환하면서 방열부재를 발열시킴과 동시에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으로 발생된 고온의 공기가 송풍배출구로 배출되므로 소비 전력은 낮으면서도 실내의 난방 효율은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전기를 이용한 온풍기는 난방시 방열핀의 전열로 산소가 타면서 발생되는 냄새로 인해 밀폐된 공간에서는 장시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의 온풍기는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켜 방열부재의 방열핀과 공기가 열 교환하는 방식으로 하여 냄새가 발생되지 않아 밀폐된 공간에서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온풍기는 열매체를 가열하여 가열된 열매체에 의한 난방을 함으로써 습식난방이 가능하여 실내에 적당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어 건강에도 좋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0)

  1. 하단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송풍배출구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의 내측 송풍배출구 후면에 구비된 방열부재와,
    상기 방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통로를 통하여 상기 방열부재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과,
    상기 방열재부의 열전도매체 이송파이프를 통하여 가열된 열전도매체를 순환되도록 하되, 내측에 가열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공간부와 연통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한쌍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끼워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본체 일측을 밀폐하는 덮개판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가열공간부에 위치하며, 양 끝단부가 상기 덮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 -"단자가 형성된 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가열공간부에 위치하고, 일측 끝단부는 상기 덮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 덮개판이 구비된 타측에 상기 가열공간부와 연통되게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순환펌프로 이루어진 전기보일러와,
    상기 전기보일러와 연계되어 상기 전기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유입구는 상기 순환펌프의 근접 위치에 서로 대향 되게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유입구에 회수관이 체결되고, 타측 유입구에는 보조급수통과 연계되게 연결관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덮개판의 근접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또는 회수관에 에어 배출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2개를 한쌍으로 하여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되 상기 한쌍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가열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유입구와 서로 연통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순환펌프가 구비된 방향을 향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공급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보일러의 유입구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전기보일러의 내부로 공급수를 공급하는 보조급수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단턱진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에 상기 안착부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9.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2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보일러는 직렬 또는 병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KR1020060070810A 2006-07-27 2006-07-27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KR100777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10A KR100777213B1 (ko) 2006-07-27 2006-07-27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10A KR100777213B1 (ko) 2006-07-27 2006-07-27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213B1 true KR100777213B1 (ko) 2007-11-19

Family

ID=3908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810A KR100777213B1 (ko) 2006-07-27 2006-07-27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1948A (zh) * 2018-12-13 2019-04-12 深圳市小孔和他的天使们科技有限公司 加热元件、取暖器加热装置、控温取暖器及智能取暖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059Y1 (ko) 2005-07-11 2005-10-11 서용석 전기 온풍기
KR200414088Y1 (ko) 2006-01-19 2006-04-17 윤광열 전기 온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059Y1 (ko) 2005-07-11 2005-10-11 서용석 전기 온풍기
KR200414088Y1 (ko) 2006-01-19 2006-04-17 윤광열 전기 온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1948A (zh) * 2018-12-13 2019-04-12 深圳市小孔和他的天使们科技有限公司 加热元件、取暖器加热装置、控温取暖器及智能取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7427B1 (en) Space heater and enclosure
KR20180083279A (ko) 냉온방장치
KR20130054525A (ko) 전기온풍기
KR100777213B1 (ko)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풍기
KR101210455B1 (ko) 냉온풍기
KR200434072Y1 (ko) 매트용 보일러
KR102310938B1 (ko) 열 순환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온수방열 온풍장치
KR200426539Y1 (ko) 소형 온수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이동형 라디에타
KR20160044130A (ko)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온풍기
KR100750688B1 (ko) 온풍 공급용 배기연통
KR200231138Y1 (ko) 급속 온풍기
KR200401555Y1 (ko) 온풍 공급용 배기연통
KR200263381Y1 (ko) 전기가열식 온수관을 이용한 절전형 난방장치
KR100777216B1 (ko)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돌 난방장치
CN219797332U (zh) 取暖器
JP2003275273A (ja) 蒸気発生装置
CN221055098U (zh) 具有双风机的暖风机
KR20150121606A (ko) 제습기능을 갖는 냉온수 공급유닛
KR200299750Y1 (ko) 황토온돌침대
KR200373847Y1 (ko) 천장 부착형 난방장치
KR102108682B1 (ko) 이동식 가정용 온수 온풍 난방기
CN216011290U (zh) 一种不易产生水垢且节能的便携式热水暖风机
CN215175439U (zh) 一种带有加湿功能的低温散热器
JPH0120584Y2 (ko)
KR200231937Y1 (ko) 전기식 히트파이프 난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