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106B1 - 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106B1
KR100776106B1 KR1020060071837A KR20060071837A KR100776106B1 KR 100776106 B1 KR100776106 B1 KR 100776106B1 KR 1020060071837 A KR1020060071837 A KR 1020060071837A KR 20060071837 A KR20060071837 A KR 20060071837A KR 100776106 B1 KR100776106 B1 KR 100776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rtable unit
communication area
request sig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5867A (en
Inventor
겐따로 데시마
가즈히로 나까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to KR102006007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106B1/en
Publication of KR20070015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8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은 자동 로크 및 트리거 로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차량 도어(11 내지 14)를 로크한다. 자동 로크 시스템에서, 전체 차량 구획을 커버하는 넓은 통신 영역(A2e2)이 설정된다. 트리거 로크 시스템에서, 차량(10) 근방의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휴대용 유닛(1)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좁은 통신 영역(A2e1)이 설정된다. 각각의 통신 영역에서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의 반응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는 로크된다. 따라서, 자동 로크 및 트리거 로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때, 휴대용 유닛(1)은 구획 내에 남아있는 것이 방지되고,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는 로크될 수 있다.The vehicle facility control system locks the vehicle doors 11 to 14 by either an automatic lock or a trigger lock system. In the automatic lock system, a wide communication area A2e2 is set which covers the entire vehicle compartment. In the trigger lock system, a narrow communication area A2e1 is set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unit 1 carried by the user near the vehicle 10 is impossible. When no response signal from the portable unit 1 is received in each communication area, each vehicle door 11 to 14 is locked. Thus, when either of the automatic lock and trigger lock system is used, the portable unit 1 is prevented from remaining in the compartment, and each vehicle door 11 to 14 can be locked.

휴대용 유닛, 차량, 차량내 유닛, 내측 송신기, 외측 송신기 Portable unit, vehicle, in-vehicle unit, inner transmitter, outer transmitter

Description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내측 송신기용의 통신 영역을 도시하는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area for an inner transmitter;

도3은 자동 로크 시스템에 따른 도어 로크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showing door lock control in accordance with an automatic lock system.

도4는 트리거 로크 시스템에 따른 도어 로크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showing door lock control according to a trigger lock system;

도5는 도어 로크 제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흐름도.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oor lock control.

도6은 도어 로크 제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흐름도.6 is a flow chart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door lock contro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휴대용 유닛1: portable unit

2e: 내측 송신기2e: inner transmitter

2a 내지 2d: 외측 송신기2a to 2d: outer transmitter

10: 차량10: vehicle

100: 차량내 유닛100: in-vehicle unit

본 발명은 휴대용 유닛과 차량내 유닛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하고 통신 결과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차량 설비를 제어하는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acil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a portable unit and an in-vehicle unit and controlling the vehicle facility mounted on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result.

종래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제2003-269023호는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차량을 이탈할 때 차량 도어를 자동적으로 로크하는 자동 로크 기능을 갖는다. 시스템에서, 자동 로크를 허용하는 거리는 특정 가능하다. "단거리"로 특정될 때, 자동 로크 기능은 차량 장치로부터 휴대용 유닛으로의 LF(저주파)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태 하에서 수행된다. 한편, "장거리"로 특정될 때, 자동 로크 기능은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차량 장치로의 UHF(극초단파)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태 하에서 수행된다.Conventionally,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3-269023 proposes a vehicle facility control system. The system has an automatic lock function that automatically locks the vehicle door when the user leaves the vehicle. In the system, the distance that allows automatic lock is specified. When specified as "short range", the automatic lock function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LF (low frequency) communication from the vehicle apparatus to the portable unit becomes impossible. On the other hand, when specified as "long distance", the automatic lock function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UHF (Ultra High Frequency) communication from the portable unit to the vehicle device becomes impossible.

또한 일본 특허 출원 평10-59131호는 다른 도어 로킹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도어 로킹 시스템에서, 차량의 각각의 도어 노브에 제공된 스위치의 작동은 트리거로써 설정되고, 차량내 장치와 휴대용 송수신기 장치(휴대용 유닛) 사이의 양방향 통신은 작동에 반응하여 수행된다. 정상 반응 신호가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황에서, 차량의 대응하는 도어는 차량 장치를 통해 로크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도어가 로크될 때, 저출력 검증 신호와 고출력 검증 신호가 차량내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차량 구획에서 휴대용 유닛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특별히는, 시스템은 휴대용 유닛의 저출력 검증 신호의 수신 가능 범위가 구획 내의 범위와 사실상 동일하도록 프리셋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출력 검증 신호에 대한 반응이 수신되는 상황에서, 휴대용 유닛이 구획 내에서 분실하였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Als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Hei 10-59131 proposes another door locking system. In such door locking system, the operation of the switch provided on each door knob of the vehicle is set as a trigger,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in-vehicle device and the portable transceiver device (portable unit)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In situations where a normal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the corresponding door of the vehicle is locked through the vehicle device. In such a system, when the door is locked, the low power verification signal and the high power verification signal are output from the in-vehicle device, preventing the portable unit from being lost in the vehicle compartment. More particularly, the system may be preset such that the receivable range of the low power verification signal of the portable un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ange within the compartment. As such, in a situation where a response to the low power verify signal is receiv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unit has been lost in the compartment.

선택적으로, 저출력 검증 신호에 대한 반응이 수신되지 않을 때, 휴대용 유닛으로부터의 반응의 존재를 검증하기 위해 고출력 검증 신호가 계속해서 송신된다. 고출력 검증 신호의 수신 가능 범위는 차량의 부근을 커버하는 소정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프리셋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고출력 검증 신호에 대한 반응이 수신될 때, 휴대용 유닛의 사용자가 차량의 외측에 존재한다는 것을 결정하고, 따라서 도어가 로크된다.Optionally, when no response to the low power verify signal is received, a high power verify signal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verify the presence of the response from the portable unit. The receivable range of the high power verification signal is preset to include a predetermined range covering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s such, when a response to the high power ver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exists outside of the vehicle, and therefore the door is locked.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 로킹 시스템은 자동 로크 및 트리거 로크 시스템을 포함한다. 자동 로크 시스템은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탈할 때 자동적으로 각각의 차량 도어를 로크한다. 트리거 로크 시스템은 차량 도어에 제공된 스위치에서 수행된 사용자 작동에 대한 트리거 설정에 반응하여 작동한다.As mentioned above, the vehicle door locking system includes an automatic lock and a trigger lock system. The automatic lock system automatically locks each vehicle door when the user leaves the vehicle. The trigger lock system operates in response to trigger settings for user actions performed on a switch provided on the vehicle door.

사용자용의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차량 도어가 자동 로크 또는 트리거 로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로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고 차량 도어에 제공된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고 이동할 때, 도어는 자동 로크 시스템에 의해 로크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차량 도어에 제공된 스위치를 작동하는 경우, 차량 도어는 트리거 로크 시스템에 의해 로크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usability of such a system for the user, it is preferred that the vehicle door is lockable by either an automatic lock or trigger lock system. In this case, when the user gets off the vehicle and moves without operating the switch provided on the vehicle door, the door is locked by the automatic locking system. Optional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provided on the vehicle door, the vehicle door is locked by the trigger lock system.

그러나, 차량 도어가 자동 로크 및 트리거 로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로크 가능한 경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소정의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However, if the vehicle door is lockable by either of the automatic lock and the trigger lock system, certain disadvantages may arise, as described below.

일본 특허 출원 평10-591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유닛이 분실되어 구획 내에서 감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도어를 로킹할 때, 차량 구획 쪽으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내측 송신기가 휴대용 유닛이 구획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휴대용 유닛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 영역 내에 구획의 전체 영역을 포함시키기 위한 내측 송신기의 요청 신호의 송신 범위 설정의 어려움에 직면한다. 이는 요청 신호의 송신 범위가 이러한 방식으로 설정될 때 요청 신호의 송신파가 각각의 차량 도어의 윈도우로부터 누출되기 때문이다.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Hei 10-59131, in order to prevent the portable unit from being lost and confined in the compartment, when the vehicle door is locked, an inn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toward the vehicle compartment is provided. It is used to verify whether it exists in a compartment. However, this approach faces the difficulty of setting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request signal of the inner transmitter to include the entire area of the compartment within the communication area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unit. This is because the transmission wave of the request signal leaks from the window of each vehicle door when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request signal is set in this manner.

차량 도어를 로크하기 위한 차량 도어의 스위치를 작동할 때, 사용자는 차량에 비교적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이, 요청 신호의 송신파가 누출될 때,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휴대용 유닛은 누출 요청 신호와 함께 도달할 수 있고, 반응 신호가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용 유닛을 소지하면서, 휴대용 유닛이 구획 내에서 분실하는 것을 지시하는 알람이 발생하고 차량 도어는 로크되지 않을 것 것이다.When operating the switch of the vehicle door to lock the vehicle door, the user is positioned relatively close to the vehicle. As such, when the transmission wave of the request signal leaks, the portable unit carried by the user may arrive with the leak request signal, and the response signal may be returned. Thus, while the user carries the portable unit, an alarm will be issued indicating that the portable unit is lost in the compartment and the vehicle door will not be locked.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차량 도어의 스위치가 작동될 때 사용자는 휴대용 유닛의 반응을 야기하지 않는 크기로 송신 출력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이 의도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구획내에서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한 데드 존 영역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유닛이 데드 존 영역에 위치되더라도, 사용자는 차량에서 하차하여 내측 송신기와의 양방향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 하에서 자동 로크 기능을 수행하여, 휴대용 유닛은 바람직하지 않게는 구 획내에서 감금된다. 선택적으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2690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상태 하에서 자동 로크 기능이 수행된다고 가정하면, 차량의 외부를 커버하는 송신기와의 통신이 불능이 된다. 이러한 경우, 자동 로크 기능이 수행되지 않고 따라서 차량의 도어가 로크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이 남겨질 수 있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it is intended that the user reduces the transmission power level to a size that does not cause a reaction of the portable unit when the switch of the vehicle door is activated. In this case, however, a dead zone area is created in which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is impossible. As such, even when the portable unit is located in the dead zone area, the user gets off the vehicle and performs the automatic lock func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transmitter is impossible, so that the portable unit is undesirably confined in the compartment. Optionally, assuming that the automatic lock function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3-269023,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e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is disabled. In such a case, a situation may arise in which the vehicle may be left without the automatic locking function being performed and therefore the door of the vehicle is not locked.

본 발명은 자동 로크 및 트리거 로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차량 도어는 적절하게 로킹할 수 있는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plant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which each vehicle door can be properly locked by using either an automatic lock or a trigger lock system.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에서, 차량 도어의 로킹을 지시하기 위한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통신은 내측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되는 경우에 비해 크게 세팅된다. 따라서, 자동 로크 시스템에 따라 각각의 차량 도어가 로킹될 때, 시스템은 전체 구획을 커버하는 통신 영역을 세팅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리거 스위치의 사용자 조작에 반응하여 트리거 로크 시스템에 따라 각각의 차량 도어가 로킹될 때,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소지된 휴대용 유닛과 통신 불능이 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통신 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 로크 및 트리거 로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경우에, 차량 도어는 적절하게 로크될 수 있으면서, 휴대용 유닛이 구획 내에서 분실되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vehicular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tuation where the trigger switch for instructing the locking of the vehicle door does not oper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is set larger than when the inner trigger switch is operated. do. Thus, when each vehicle door is locked according to the automatic locking system, the system can be set up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area covering the entire compartment. Optionally, when each vehicle door is locked in accordance with the trigger lock system in response to a user's operation of the trigger switch, the system allow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area with a size sufficient to render it in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unit possessed by the user. . Thus, when either the automatic lock and the trigger lock system are used, the vehicle door can be properly locked, while preventing the portable unit from being lost in the compartment.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차량 설비 제어 방법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작동이 검출될 때 차량 구획 내의 내측 송신기로부터 요청 신호가 송신된다. 차량 도어는 요청 신호에 따라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반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요청 신호는 또한 차량 도어의 로킹 작동이 검출될 때 낮은 출력 수준에서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다. 휴대용 유닛이 로킹 작동에 반응하여 송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반응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때, 다른 요청 신호가 내측 송신기의 요청 신호 대신에 차량 외측에 제공된 외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다. 차량 도어는 외측 송신기의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반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차량내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휴대용 유닛이 ID 코드를 포함하는 반응 신호를 송신하여 차량내 유닛이 휴대용 유닛으로부터의 반응 신호를 수신하여 반응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와 사전 등록된 코드 사이의 비교를 수행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차량 설비(5a 내지 5d)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휴대용 유닛(1)과 차량내 유닛(1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하는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상기 휴대용 유닛으로부터의 반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3)와, 상기 휴대용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영역으로써 차량의 구획을 이용하여 구획 쪽으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내측 송신기(2e)와, 차량 도어(11 내지 14)에 제공되고 상기 차량 도어의 로킹을 위한 지령을 제공하는 트리거 스위치(6a2 내지 6d2)와, 상기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내측 송신기와 상기 휴대용 유닛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영역을 상기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에 비해 크게 설정하는 통신 영역 변경 수단(2e1)과, 상기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는 반응 신호가 상기 통신 영역 변경 수단에 의해 설정된 통신 영역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따라 차량 도어를 로크하는 로크 제어 수단(4, 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차량 도어의 개폐 작동을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6a1 내지 6d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작동이 상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될 때, 상기 통신 영역 변경 수단에 의해 설정된 통신 영역에서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요청 신호에 의해 휴대용 유닛과 양방향 통신을 시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차량 도어의 개폐 작동이 상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 제2 통신 영역에서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양방향 통신의 결과에 따라 도어 로크 제어를 수행하는 자동 로크 시스템에 따라 도어 로크 제어를 우선 수행하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자동 도어 로크 제어를 차단하고, 이를 차단함으로써 자동 도어 로크 제어를 수행하는 동안 트리거 스위치의 작동이 수행될 때, 상기 제2 통신 영역보다 작은 제1 통신 영역 내의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양방향 통신 결과에 따라 도어 로크 제어를 수행하는 트리거 로크 시스템에 따라 도어 로크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통신 영역 변경 수단(2e1)은 제1 통신 영역과 제1 통신 영역보다 큰 제2 통신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통신용 통신 영역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통신 영역 변경 수단(2e1)은 상기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의 출력 수준과 상기 휴대용 유닛의 반응 신호의 수신 감도 수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통신 영역의 크기가 변경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제1 통신 영역으로 통신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우선 양방향 통신을 시도하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반응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제2 통신 영역으로 통신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다시 시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또한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수단(15)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통신 영역이 제1 통신 영역으로 설정되는 상태 하에서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반응 신호가 수신될 때 차량 도어를 로크하지 않고 상기 알람 발생 수단이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통신 영역이 제2 통신 영역으로 설정된 상태 하에서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반응 신호가 수신될 때 미리 정해진 횟수 양방향 통신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양방향 통신의 미리 정해진 횟수로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반응 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될 때, 알람 발생 수단이 알람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휴대용 유닛과의 통신 영역으로써 차량의 외주쪽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외주쪽으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반응 신호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것을 검증하여 외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반응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해지면 차량 도어를 로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수단(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상기 외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반응 신호의 수신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외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종결하고 상기 알람 발생 수단이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상기 휴대용 유닛과의 통신 영역으로써 차량의 외주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외주쪽으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될 때 상기 내측 송신기와 외측 송신기를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유닛과의 양방향 통신을 시도하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상기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반응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와 상기 외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반응 신호가 수신될 때 차량 도어를 로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상기 차량의 엔진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수단(9)과, 사전 등록 코드에 대응하는 반응 신호가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수신될 때 사용자에 의해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지령이 제공되면, 상기 엔진 제어 수단이 엔진을 시동하도록 허가하는 허가 수단(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영역 변경 수단(2e1)은 상기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영역을, 상기 허가 수단에 의한 시동 허가 제어 중에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될 때 설정된 통신 영역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차량 도어(11 내지 14)의 개폐 작동이 검출될 때 차량 구획에 제공된 내측 송신기(2e)로부터 휴대용 유닛(1)이 구획의 외측의 요청 신호를 수신 가능한 출력 수준을 갖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40)와, 상기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반응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의 로킹을 제어하는 단계(S70, S90)를 포함하는 차량 설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로킹 작동이 검출될 때 상기 출력 수준보다 낮은 출력 수준으로 내측 송신기(2e)로부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30)와, 상기 로킹 작동에 반응하여 송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반응 신호가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송신되지 않을 때, 차량의 외측에 제공된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로부터 다른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차량 도어의 로킹 작동이 상기 다른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반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In a vehicle facil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 inner transmitter in a vehicle compartment when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The vehicle door is controlled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 signal. The request signal is also sent from the inner transmitter at a low power level when a lock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When the portable unit does not transmit a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sig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locking operation, another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 outer transmitter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instead of the request signal of the inner transmitter. The vehicle door is controlled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of the outer transmitter.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an in-vehicle unit, the portable unit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D code, so that the in-vehicle unit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portable unit and includes the ID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Vehicle facility control to allow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unit 1 and the in-vehicle unit 100 in a manner of performing a comparison between the code and a pre-registered code and controlling the vehicle facilities 5a to 5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system,
The in-vehicle unit 100 includes a receiver 3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portable unit, and an inn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toward the compartment using a compartment of the vehicle as a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unit. 2e, trigger switches 6a2 to 6d2 provided to the vehicle doors 11 to 14 and providing instructions for locking the vehicle door, and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when the trigger switch is inoperative.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2e1 for setting a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portable units larger than when the trigger switch is operated, and a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a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ner transmitter; Lock control means (4, 7) for locking the vehicle door in a case where it is not received in the communication area set by th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hicle unit 100 further includes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ans 6a1 to 6d1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and the lock control means 4 and 7 are the vehicle door. Whe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is detected by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ng means,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unit is attempted by a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ner transmitter in the communication area set by the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control means 4 and 7 are a result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in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b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ng means. Firstly performs door lock control in accordance with an automatic lock system that performs door lock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control means 4, 7 block the automatic door lock control and, by blocking it, when the trigger switch is operated while performing the automatic door lock control, the lock control means 4, 7 in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smaller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The door lock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rigger lock system which performs the door lock control according to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result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2e1 sets a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for any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larger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2e1 adjusts at least one of an output level of a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ner transmitter and a reception sensitivity level of a response signal of the portable unit to change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area. do.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control means (4, 7) first attempt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setting a communication area to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when the trigger switch is not operated; The lock control means 4, 7 retr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setting the communication area to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when no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hicle unit 100 also includes alarm generating means 15 for generating an alarm to a user; The lock control means 4, 7 cause the alarm generating means to generate an alarm without locking the vehicle door when a rea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ommunication area is set as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control means (4, 7) allow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wo-way communication to be repeatedly performed when a rea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while the communication area is set as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The lock control means 4, 7 generate an alarm when the response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a predetermined number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hicle unit 100 further includes outer transmitters 2a to 2d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vehicle as a communication area with the portable unit; The lock control means 4, 7 verify that the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signal sent from the inner transmitter is not received by the receiver when the trigger switch is not operated, thereby verify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signal sent from the outer transmitter. If reception is no longer possible, lock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hicle unit (100) further comprises alarm generating means (15) for generating an alarm to a user; The lock control means 4, 7 terminates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when the number of times of reception of the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er transmitter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and the alarm generating means To trigger this alarm.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that the in-vehicle unit (100) further includes outer transmitters (2a to 2d)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hicle as a communication area with the portable unit; The lock control means 4, 7 attempt to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unit by using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outer transmitter when the trigger switch is activated, and the lock control means 4, 7 transmit from the inner transmitter. The vehicle door is locked when no response signal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ed request signal and when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hicle unit 100 includes an engine control means 9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of an engine of the vehicle, and a rea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registration code is bidirectional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Further comprising permission means (4) for allowing the engine control means to start the engine if a command for starting the engine is provided by the user when received via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2e1 sets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to the communication area set when the trigger switch is operated during the start permission control by the permission mean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s 11 to 14 is detected, the portable unit 1 has an output level at which the portable unit 1 can receive a request signal outside the compartment from the inner transmitter 2e provided in the vehicle compartment. A vehicle equipment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S40) and controlling the locking of the vehicle door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S70, S90),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rom the inner transmitter 2e at an output level lower than the output level when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S130), and a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sig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locking operation is portable. When not transmitted from the unit, another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is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in response to the other request signal. Control step (S150).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이 도1에 도시된다. 시스템은 휴대용 유닛(1)과 차량(10)에 제공된 차량내 유닛(1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식별(ID) 코드의 비교에 따라 차량(10)의 각각의 도어의 로크 또는 로크 해제 모드를 제어한다. 차량내 유닛(100)은 차량(10)의 보안을 개선시키도록 차량(10)의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허용 또는 금지 모드를 제어한다. A vehicle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hown in FIG. The system enters the lock or unlock mode of each door of the vehicle 10 in accordance with a comparison of identification (ID) codes vi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unit 1 and the in-vehicle unit 100 provided to the vehicle 10. To control. The in-vehicle unit 100 controls a permit or prohibit mode for start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10 to improve the security of the vehicle 10.

휴대용 유닛(1)은 수신기(1a)와 송신기(1b)를 포함한다. 수신기(1a)는 차량내 유닛(100)의 내측 송신기(2e) 또는 외측 송신기(2a 내지 2d) 중 하나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송신기(1b)는 예를 들어, ID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용 유닛 ECU(1c)은 수신기(1a)와 송 신기(1b)에 연결되고 다양한 제어 프로세스 및 작동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휴대용 유닛 ECU(1c)는 수신기(1a)의 수신된 신호에 따른 요청 신호의 존재 유무의 결정, ID 코드 등을 포함하는 반응 신호의 발생 및 대응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송신기(1b)로부터 송신되는 반응 신호의 제어와 같은 작동을 수행한다.The portable unit 1 comprises a receiver 1a and a transmitter 1b. The receiver 1a receives the request signal from either the inner transmitter 2e or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of the in-vehicle unit 10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request signal, the transmitter 1b transmits a request signal including, for example, an ID code. The portable unit ECU 1c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1a and the transmitter 1b and performs various control processes and operations. More specifically, the portable unit ECU 1c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of the receiver 1a, to generate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D code and the like and to respond to the corresponding request signal. It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e control of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차량내 유닛(100)은 차량(10)의 도어(11 내지 14) 각각에 제공된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를 포함하고, 내측 송신기(2e)는 구획 내에 제공된다.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와 내측 송신기(2e)는 각각 차량내 유닛(100)의 로크 제어 수단, 예컨대 비교 ECU(4)로부터 수신된 송신 지령 신호에 따라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The in-vehicle unit 100 includes outer transmitters 2a to 2d provided in each of the doors 11 to 14 of the vehicle 10, and the inner transmitter 2e is provided in the compartment.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and the inner transmitter 2e respectively transmit the request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the lock control means of the in-vehicle unit 100, for example, the comparison ECU 4.

각각의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의 요청 신호의 커버리지 거리는 약 0.7 m 내지 약 1.0 m의 범위로 설정된다. 차량(10)의 주차 동안, 요청 신호의 커버리지 거리에 대응되는 휴대용 유닛(1)과의 통신을 위한 각각의 통신 영역은 차량(10)의 각각의 도어(11 내지 14) 주위에서 주기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휴대용 유닛(11)의 사용자가 차량(10)에 접근하는지 또는 차량에 인접해서 존재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휴대용 유닛(1)과 내측 송신기(2e)에 의한 통신을 위한 통신 영역은 예를 들어, 엔진의 시동 또는 도어의 로킹 시에 차량 구획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휴대용 유닛(1)이 구획 내에 존재하는지 유무를 검출하도록 한다. 내측 송신기(2e)는 예를 들어, 전방 시트를 주로 커버하는 통신 영역을 갖는 전방 시트 전용 내측 송신기와, 예를 들어 후방 시트를 주로 커버하는 통신 영역을 갖는 후방 시트 전용 내측 송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체 구획은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에 대한 두 개의 전용 내측 송신기를 구비한 각각의 통신 영역을 조합함으로써 생성된 전체 통신 영역에 의해 커버된다. The coverage distance of the request signal of each outer transmitter 2a to 2d is set in the range of about 0.7 m to about 1.0 m. During parking of the vehicle 10, each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unit 1 corresponding to the coverage distance of the request signal is formed periodically around each door 11 to 14 of the vehicle 10. . Thu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11 approaches the vehicle 10 or exists adjacent to the vehicle.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y the portable unit 1 and the inner transmitter 2e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vehicle compartment, for example, when starting the engine or locking the door, so that the portable unit 1 is present in the compartment. Check for presence. The inner transmitter 2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front seat dedicated inner transmitter having a communication area mainly covering the front seat and a rear seat dedicated inner transmitter having a communication area mainly covering the rear seat, for example. Can be. In this case, the whole compartment is covered by the whole communication area created by combining each communication area with two dedicated inner transmitters for the front seat and the back seat.

본 실시예에서, 내측 송신기(2e)는 통신 영역 변경 수단, 예컨대 출력 수준 조절 회로(2e1)를 포함한다. 출력 수준 조절 회로(2e1)에 의해, 요청 신호 송신 출력 수준은 가변적 또는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송신기(2e)는 요청 신호의 송신 영역의 크기, 즉 휴대용 유닛(1)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영역의 크기가 조절 가능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transmitter 2e includes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for example, an output level adjusting circuit 2e1. By the output level adjusting circuit 2e1, th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output level can be variable or adjustable. Therefore, the inner transmitter 2e can make the size of the transmission area of the request signal, that is,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unit 1, adjustable.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의 통신 영역(A2a 내지 A2d)은 도2에 각각 도시된다. 내측 송신기(2e)의 출력 수준 조절 회로(2e1)는 두 개의 서브 수준으로 요청 신호 출력 수준을 조절하도록 프리셋된다. 요청 신호 송신 출력 수준의 두 개의 서브 수준은 낮은 출력 수준과 높은 출력 수준이다. 낮은 출력 수준과 높은 출력 수준은 제1 통신 영역(A2e1) 및 제2 통신 영역(A2e2)을 각각 한정하기 위한 것이다. 낮은 출력 수준은 차량 도어의 윈도우를 통해 발생하는 가능한 누출을 최대한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에 중요성을 둠으로써 주로 결정된다. 높은 출력 수준은 구획의 휴대용 유닛(1)에 대한 통신이 달성될 수 없는 데드 존 영역의 가능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에 중요성을 둠으로써 결정된다.The communication areas A2a to A2d of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are respectively shown in FIG. The output level adjusting circuit 2e1 of the inner transmitter 2e is preset to adjust the request signal output level to two sub levels. The two sublevels of the request signal transmit power level are the low power level and the high power level. The low power level and the high power level are for defining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2e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A2e2, respectively. Low power levels are mainly determined by placing importance on preventing the greatest possible leakage through the window of the vehicle door. The high power level is determined by attaching importance to preventing possible occurrence of dead zone areas where communication to the portable unit 1 of the compartment cannot be achieved.

이와 같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신호 송신 출력 수준이 낮은 출력 수준인 경우에, 소정의 데드 존 영역의 발생을 허용하면서 전체 구획을 사실상 커버하는 제1 통신 영역(A2e1)이 형성된다. 부가로, 이러한 통신 영역은 각각의 차량 도어의 윈도우를 통해 차량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신호 송신 출력 수준이 높은 출력 수준인 경우에, 완전하게 구획을 커버하지만 각각의 차량 도어의 윈도우를 통해 차량 외측으로 더 확장되는 제2 통 신 영역(A2e2)이 형성된다. 따라서, 영역(A2e1 및 A2e2)은 각각 차량 구획보다 좁고 넓게 설정된다.Thus, when th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output level is a low output level as shown in Fig. 2, a first communication area A2e1 is formed that substantially covers the entire section while allowing generation of a predetermined dead zone area. In addition, this communication area is prevented from extending out of the vehicle through the window of each vehicle door. In the case where th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power level is a high power level as shown in Fig. 2, a second communication area A2e2 is formed which completely covers the compartment but extends further out of the vehicle through the window of each vehicle door. do. Thus, areas A2e1 and A2e2 are set narrower and wider than vehicle compartments, respectively.

부가로, 구획 내에 제공된 차량내 유닛(100)은 수신기(3)를 포함한다. 수신기(3)는 송신기(2a 내지 2e)로의 송신 신호의 출력 작동과 동기하여 반응 신호 수신 가능 모드로 제어되고, 이로써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 송신된 반응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기(3)에 의해 수신된 반응 신호는 비교 ECU(4)로 출력된다.In addition, the in-vehicle unit 100 provided in the compartment comprises a receiver 3. The receiver 3 is controlled in the response signal reception possible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output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transmitters 2a to 2e, thereby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1.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3 is output to the comparison ECU 4.

비교 ECU(4)는 수신된 반응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와 각각의 차량의 사전 등록된 등록 코드 사이의 매치 관계와 같은 소정의 관계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비교를 수행한다. 그 다음에, "예"(긍정) 또는 "아니오"(부정)인 비교 결과에 따라, 본체 ECU(7)와 함께, 허가 수단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비교 ECU(4)는 예를 들어 각각의 도어의 로크 또는 로크 해제 모드와 엔진의 시동 허가 또는 금지 모드를 제어한다.The comparison ECU 4 performs a comparis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such as a match relationship between the ID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the pre-registered registration code of each vehicle. The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yes" (positive) or "no" (negativ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ECU 7, the comparison ECU 4, which can function as an authorization means, is for example a respective one. Control the lock or unlock mode of the door and the start permit or prohibit mode of the engine.

본체 ECU(7)는 예를 들어, 차량(10)에 장착된 각각의 설비에 전원 공급을 위한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고, 각각의 도어(11 내지 14)에 제공된 로크 제어 유닛(5a 내지 5d)으로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의 로크 또는 로크 해제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본체 ECU(7)에는, 예를 들어, 엔진 시동을 위한 상태를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각각의 센서와 스위치(SW)로부터 입력 신호가 있다. 보다 상세히는, 본체 ECU(7)는 예를 들어, 엔진의 시동 또는 정지를 위한 지령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엔진 스위치, 차량(10)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차량 속도 센서, 트랜스미션(기어 세트)의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프트 위치 센서, 브레이크 페달에서 운전자에 의해 수행되 는 작동 중에 ON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정지 램프 스위치 및 각각의 도어 개폐 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도어 커티시(courtesy) 램프 스위치와 같은 운전자 시트 근방에 제공된 설비의 신호들을 입력한다. The main body ECU 7 controls the on / off operation for supplying power to each facility mounted on the vehicle 10, for example, and the lock control units 5a to 5d provided in the respective doors 11 to 14. ) Outputs a drive signal for controlling the lock or unlock mode of each vehicle door 11 to 14. In the main body ECU 7, for example, there is an input signal from each sensor and switch SW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tate for engine starting has been satisfied.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ECU 7 is, for example, an engine switch operated by a user to provide a command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10, a transmission Shift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shift position of (gear set), stop lamp switch for outputting ON signal during operation performed by the driver in brake pedal, and door courtesy for detecting each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 Input signals from the facility provided near the driver's seat, such as a lamp switch.

엔진의 시동을 위한 상태가 만족되고 전원이 각각의 차량 설비로 공급되는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본체 ECU(7)는 릴레이 회로(8)를 구동하여 배터리(도시 안함)로부터 각각의 차량 설비로 릴레이 회로(8)를 경유하여 전원 공급된다. 차량내 유닛(100)은 또한 차량(10)의 각각의 도어(11 내지 14)에서 각각의 도어(11 내지 14)를 로크 또는 로크 해제하는 로크 제어 유닛(5a 내지 5d)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로크 제어 유닛(5s 내지 5d)은 각각 본체 ECU(7)로부터 송신된 로크 신호/로크 해제 신호에 따라 각각 전후방으로 (왕복식으로) 회전하는 도어 로크 모터(도시 안함)를 포함한다.In a state where the state for starting the engine is satisfied and power is determined to be supplied to each vehicle facility, the main body ECU 7 drives the relay circuit 8 to relay the circuit from the battery (not shown) to each vehicle facility. Power is supplied via (8). The in-vehicle unit 100 also includes lock control units 5a to 5d that lock or unlock each door 11 to 14 at each door 11 to 14 of the vehicle 10. More specifically, the lock control units 5s to 5d each include a door lock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back and forth (return) in accordance with the lock signal / lock relea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ECU 7 respectively. .

도어 개폐 검출 수단, 예컨대 터치 센서(6a1 내지 6d1)는 각각 차량(10)의 도어(11 내지 14)의 도어 핸들(6s 내지 6d)에 제공되어, 휴대용 유닛의 사용자가 각각의 도어 핸들(6s 내지 6d)을 터치함으로써 작동되는 각각의 도어 핸들(6s 내지 6d)을 조작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부가로, 푸시 스위치로 형성된 도어 로크 스위치(6s2 내지 6d2)는 도어 핸들(6s 내지 6d)에 각각 제공된다. 각각의 도어 로크 스위치(6a2 내지 6d2)는 도어(11 내지 14)를 로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도어 핸들(6s 내지 6d)은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용의 무선 안테나로써 작동한다.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for example, touch sensors 6a1 to 6d1, are provided on the door handles 6s to 6d of the doors 11 to 14 of the vehicle 10, respectively, so that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can use each door handle 6s to It can be detected to operate each door handle 6s to 6d operated by touching 6d). In addition, door lock switches 6s2 to 6d2 formed as push switches are provided to the door handles 6s to 6d, respectively. Each door lock switch 6a2 to 6d2 makes it possible to lock the doors 11 to 14. Each door handle 6s to 6d acts as a wireless antenna for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의 휴대용 유닛(1)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작동의 검출은 터치 센서(6a1 내지 6d1)에 의해서만 수행될 필요는 없다. 검출은 사 용자의 측면 쪽으로 각각의 도어 핸들(6s 내지 6d)을 당기는 작동을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대신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의 작동이 로크 해제 버튼의 작동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로크 해제 버튼이 각각의 도어 핸들(6s 내지 6d)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터치 센서(6a1 내지 6d1)와 도어 로크 스위치(6a2 내지 6d2)는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에 제공될 수 있고, 로크 및 로크 해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작동 유닛으로써 할당되어 이용될 수 있다.The detection of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1 of each vehicle door 11 to 14 need not be performed only by the touch sensors 6a1 to 6d1. Detection may instead be performed using a detection mechanism that mechanically detects the operation of pulling each door handle 6s to 6d toward the side of the user. Also optionally, a lock release button can be provided to each door handle 6s to 6d in which the operation of each vehicle door 11 to 14 can be det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lock release button. Also optionally, the touch sensors 6a1 to 6d1 and the door lock switches 6a2 to 6d2 may be provided to the respective vehicle doors 11 to 14, and as respective operation units for performing the lock and unlock operation. Can be allocated and used.

이러한 실시예에서, 엔진 스위치가 작동될 때, 엔진 시동을 위한 허가 및 금지 모드는 차량(10)의 보안을 개선시키기 위해 ID 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된다. 보다 상세히는, 차량내 유닛(100)의 비교 ECU(4)는 엔진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수단, 예컨대 엔진 ECU(9)에 접속되어, ID 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허가 또는 금지용 지령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어 로크 제어의 경우에, 비교 ECU(4)는 엔진을 시동 금지 모드로 설정하도록 엔진 ECU(9)를 지령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engine switch is operated, the permit and prohibit modes for starting the engine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ID codes to improve the security of the vehicle 10. More specifically, the comparison ECU 4 of the in-vehicle unit 100 is connected to engin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engine, for example, the engine ECU 9, for starting the engin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ID code. Outputs a control signal indicating a permit or prohibit command. In the case of door lock control, the comparison ECU 4 commands the engine ECU 9 to set the engine to the start inhibit mode.

차량내 유닛(100)은 또한 알람 장치(15)를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 도어(11 내지 14)를 로킹하는 경우에, 차량내 유닛(100)은 휴대용 유닛(1)이 분실되어 구획 내에 남겨졌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휴대용 유닛(1)이 구획내에서 분실될 때, 차량내 유닛(100)은 알람 장치(15)를 통해 알람을 제공한다. 알람 장치(15)는 오디오, 부저 또는 발광의 형태로 알람을 제공한다.The in-vehicle unit 100 also includes an alarm device 15. Thus, in the case of locking the vehicle doors 11 to 14, the in-vehicle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portable unit 1 has been lost and left in the compartment. When the portable unit 1 is lost in the compartment, the in-vehicle unit 100 provides an alarm via the alarm device 15. The alarm device 15 provides an alarm in the form of audio, buzzer or light emission.

이하에는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의 로크 해제 제어를 간단히 설명한 다.The lock release control of each of the vehicle doors 11 to 14 is briefly described below.

차량(10)이 주차되고 각각의 도어(11 내지 14)가 로크된 상태로 엔진이 작동되지 않을 때, 비교 ECU(4)는 주기적으로, 즉 소정 시간의 경과 단위로 신호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로 지령을 제공한다. 따라서, 비교 ECU(4)는 휴대용 유닛(1)의 사용자가 차량(10)에 접근하였는지 여부, 즉 사용자가 임의의 통신 영역(A2a 내지 A2d)에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When the engine is not operated with the vehicle 10 parked and the respective doors 11 to 14 locked, the comparison ECU 4 performs the signal transmission periodically to perform signal transmission periodically, i. Provide instructions to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Accordingly, the comparison ECU 4 verifies whether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1 has approached the vehicle 10, that is, whether the user is in any communication area A2a to A2d.

이러한 경우,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는 각각 각각의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에 대해 독특한 ID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용 유닛은 각각 ID 코드를 포함하는 반응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휴대용 유닛(1)의 사용자는 차량 도어(11 내지 14) 중 하나에 접근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휴대용 유닛(1)의 사용자가 접근하는 차량 도어(11 내지 14) 중 하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비교 ECU(4)는 시프트된 타이밍을 위해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지령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each transmit a request signal containing a unique ID code for each outer transmitter 2a to 2d, and the portable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 response signal each containing an ID code. do. Thus,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1 can identify access to one of the vehicle doors 11 to 14. Option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position of one of the vehicle doors 11 to 14 that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1 approaches, the comparison ECU 4 sends a request signal to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for the shifted timing. It may be used to provide an instruction for transmitting the.

휴대용 유닛(1)이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의 요청 신호들 중 임의의 하나에 반응하여 반응 신호를 송신할 때, 반응 신호는 차량내 유닛(100)의 수신기(3)에 의해 수신된다. 비교 ECU(4)는 반응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사전 등록된 등록 코드와 매치되는 관계와 같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ID 코드 비교를 수행한다.When the portable unit 1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any one of the request signals of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by the receiver 3 of the in-vehicle unit 100. The comparison ECU 4 performs ID code comparis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D code included in the reaction signal satisfies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such as a relationship matching with a pre-registered registration code.

비교 결과가 "예"인 것으로 비교 ECU(4)가 결정하면, 비교 ECU(4)는 또한 반응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로부터 휴대용 유닛(1)의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 위치에 대응하는 차량 도어(11 내지 14)의 터치 센서(6a1 내지 6d1) 중 하나가 활성화되어, 로크 해제 대기 모드로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를 설정하도록 본체 ECU(7)에 지령(신호)을 제공하도록 한다. If the comparison ECU 4 determines that the comparison result is "yes", the comparison ECU 4 also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1 from the ID code included in the reaction signal. The main body ECU 7 then activates one of the touch sensors 6a1 to 6d1 of the vehicle doors 11 to 14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o set each of the vehicle doors 11 to 14 in the unlocking standby mode. To provide a command (signal).

차량 도어(11 내지 14)의 각각의 도어 핸들(6a 내지 6d)을 터치하는 휴대용 유닛(1)의 사용자가 로크 해제 대기 모드로 설정할 때, 휴대용 유닛(1)의 사용자의 도어 핸들의 작동은 터치 센서(6a1 내지 6d1)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검출 신호는 비교 ECU(3)로 송신된다. 이에 따라, 비교 ECU(4)는 본체 ECU(7)에게 모든 차량 도어(11 내지 14)를 로크 해제하기 위한 지령 신호를 제공한다. 지령 신호에 따라, 본체 ECU(7)는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를 로크 해제하도록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의 로크 제어 유닛(5s 내지 5d)으로 로크 해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1 touching each door handle 6a to 6d of the vehicle doors 11 to 14 sets to the unlocking standby mode,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of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1 is touched. It is detected by the sensors 6a1 to 6d1 and the detection signal is sent to the comparison ECU 3. Accordingly, the comparison ECU 4 provides the main body ECU 7 with a command signal for unlocking all the vehicle doors 11 to 14. According to the command signal, the main body ECU 7 outputs a lock release drive signal to the lock control units 5s to 5d of the respective vehicle doors 11 to 14 to unlock the respective vehicle doors 11 to 14. .

본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는 자동 로크 및 트리거 로크 시스템 중 임의의 것에 의해 로크될 수 있다. 자동 로크 시스템은 차량(10a)으로부터 사용자가 떠날 때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를 자동적으로 로크하고, 트리거 로크 시스템은 도어 로크 스위치(6a2 내지 6d2)의 스위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작동에 따른 트리거 설정에 반응하여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를 로크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vehicle door 11 to 14 can be locked by any of an automatic lock and a trigger lock system. The automatic lock system automatically locks each vehicle door 11 to 14 when the user leaves the vehicle 10a, and the trigger lock system triggers according to user operation performed at the switch of the door lock switches 6a2 to 6d2. Each vehicle door 11 to 14 is locked in response to the setting.

본 실시예에 따른 로크 제어는 도3 및 4에 도시된다. 도3의 흐름도는 자동 로크 시스템(자동 로크형 도어 로크 제어)에 따른 로크 제어를 나타내고, 도4의 흐름도는 트리거 로크 시스템(트리거 로크형 로크 제어)에 따른 로크 제어를 나타낸 다.Lock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in Figs. The flowchart of FIG. 3 shows lock control in accordance with an automatic lock system (automatic lock type door lock control), and the flowchart of FIG. 4 shows lock control in accordance with a trigger lock system (trigger lock type lock control).

휴대용 유닛(1)의 사용자가 차량(10)에서 하차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도3의 단계 S10에서,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가 작동되었는지, 즉 개방 또는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커티시 램프 스위치(도시 안함)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스는 단계 S20으로 진행하고, 그 다음에 차량 도어(11 내지 14)가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결정하는 상황에서만 수행된다. 따라서,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양방향 통신은 차량 도어(11 내지 14)가 로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계 20으로 진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송신기(2e) 또는 휴대용 유닛(1)이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엔진 정지 상황은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양방향 통신의 수행을 허용하는 상태로 부가될 수 있다.In order to detect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1 getting off the vehicle 10, in step S10 of FIG. 3, it is determined whether each vehicle door 11 to 14 has been activated, that is, opened or closed. For example, a signal from a courtesy lamp switch (not shown) may determine whether each vehicle door 11-14 is open or closed. In this determination proces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 and is then only perform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vehicle doors 11 to 14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Thu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can be performed by proceeding to step 20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doors 11 to 14 are lock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ner transmitter 2e or the portable unit 1 from consuming unnecessary power. In this case, the engine stop situation may be added in a state that allows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to be performed.

단계 S20에서, 제1 요청 신호가 내측 송신기(2e)로부터 제1 출력 수준(낮은 출력 수준)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영역이 제1 통신 영역(A2e1)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수신기(3)에서, 반응 신호가 ID 코드 비교 결과가 "예"인 것을 나타낼 때, 휴대용 유닛(1)이 구획내에서 분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 단계 S20에서 반응 신호의 송신에 따라, 단계 S30에서 ID 코드 비교 결과가 "예"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 결과가 "예"이면, 프로세스는 분실 가능성이 있는 휴대용 유닛(1)용의 알람(휴대용 유닛의 분실 가능성을 알람)이 알람 장치(15)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 S110으로 진행한다.In step S20, the first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ner transmitter 2e to the first output level (low output level). Therefore,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is set as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2e1. In this case, when the response signal indicates that the ID code comparison result is "Yes" in the receiver 3,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ortable unit 1 has been lost in the compartment.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signal in step S20, it is determined in step S30 whether to receive the request signal with the ID code comparison result "Yes".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0 in which an alarm for the portable unit 1 which is likely to be lost (alarm for a possible loss of the portable unit) is performed by the alarm device 15.

차량내 유닛(100)의 송신기(2a 내지 2e) 중 각각의 하나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양방향 통신의 통신 절차는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차량내 유닛(100)의 외측 송신기(2a)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의 예시적인 경우를 나타낸다.The communication procedur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each one of the transmitters 2a to 2e of the in-vehicle unit 100 and the portable unit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following description shows an exemplary cas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er transmitter 2a of the in-vehicle unit 100 and the portable unit 1.

휴대용 유닛(1)은 통신의 시작 전까지 슬립 모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외측 송신기(2a)는 휴대용 유닛(1)의 기상을 위한 활성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용 유닛(1)은 활성 요청 신호에 의해 기상하고, 제1 승인 신호(제1 ACK 신호)를 다시 송신한다. 제1 ACK 신호가 수신기(3)에 의해 수신될 때, 차량의 유닛에 대해 유닛과 상이한 ID 코드가 포함되고 휴대용 유닛(1)이 수신된 ID 코드와 동일한 차량 ID 코드를 가지는 상황에서, 외측 송신기(2a)는 제2 ACK 신호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제1 송신 요청 신호를 다시 송신한다. 제1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송신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동일한 차량 ID 코드를 가질 때 휴대용 유닛(1)은 이에 반응하여 제2 ACK 신호를 송신한다.The portable unit 1 remains in the sleep mode until the start of communication. As such, the outer transmitter 2a transmits an activation request signal for wake up of the portable unit 1. The portable unit 1 wakes up with an activ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a first acknowledgment signal (first ACK signal) again. When the first ACK signal is received by the receiver 3, in the situation where the ID code different from the unit is included for the unit of the vehicle and the portable unit 1 has the same vehicle ID code as the received ID code, the outer transmitter (2a) retransmits the first transmiss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second ACK signal. Upon receiving the first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he portable unit 1 responds in response to the same vehicle ID code included in the first transmiss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a second ACK signal.

제2 ACK 신호가 수신기(3)에 의해 수신되면, 외측 송신기(2a)는 송신기의 유닛에 대해 유닛과 상이한 코드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ID 코드를 요청한다. 휴대용 유닛(1)은 제2 송신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코드를 이용함으로써 반응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반응 신호를 포함하는 반응 신호를 송신한다. 외측 송신기(2a)가 활성 요청 신호와 제1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상황에서, 이 에 따라 제1 및 제2 ACK 신호가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 송신되지 않을 때, 휴대용 유닛(1)이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고, 따라서 통신은 종료된다.When the second ACK signal is received by the receiver 3, the outer transmitter 2a transmits a second transmission request signal containing a different code from the unit to the unit of the transmitter and requests an ID code. The portable unit 1 generates a response code by using a code included in the second transmiss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response signal. In the situation where the outer transmitter 2a receives the activation request signal and the first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he portable unit 1 communicates when the first and second ACK signals are not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1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it does not exist in the area, so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 코드는 송신기의 유닛으로 유닛과 상이한 코드를 이용함으로써 생성된다. 따라서, 비교 ECU(4)는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의 신호에 따라 반응 신호가 송신되는 반응 코드를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전술한 통신 프로세스에서, 활성 요청 신호와 제1 및 제2 송신 요청 신호는 각각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요청 신호에 대응되고, 제1 및 제2 ACK 신호와 반응 신호는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 송신되는 반응 신호에 대응된다.As mentioned above, the response code is generated by using a different code from the unit as the unit of the transmitter. Thus, the comparison ECU 4 can reliably identify the response code to which the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one of the transmitters 2a to 2e. In the aforementioned communication process, the active request signal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request signals correspond to request signals transmitted from respective transmitters, and the first and second ACK signals and response signals ar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1. Corresponds to the response signal.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의 유닛에 대해 유닛과 상이한 코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각의 송신기로부터의 요청 신호의 수신 타이밍이 시프트되는 방식으로 휴대용 유닛(1)이 송신기 중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반응하여 반응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검증할 수 있다. 부가로, 내측 송신기(2e)의 요청 신호 송신 타이밍이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의 요청 신호 송신 타이밍과 상이하기 때문에, 전술한 코드는 이용되지 않는다. 이는 구획 내의 휴대용 유닛(1)의 존재를 검증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통신 절차는 차량내 유닛(100)으로부터의 제1 송신 요청 신호의 송신 프로세스와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 대응되는 제2 ACK 신호를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even if a different code from the unit is not used for the unit of the transmitter, the portable unit 1 may be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one of the transmitters in such a manner that the reception timing of the request signal from each transmitter is shifted. It can be verified to transmit a response signal in response. In addition, since th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timing of the inner transmitter 2e is different from th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timing of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the above-described code is not used. This is enough to verify the presence of the portable unit 1 in the compartment. 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communication procedure may omi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irst transmission request signal from the in-vehicle unit 100 and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second ACK signal from the portable unit 1.

통신 절차에 따라,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 ID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비교 ECU(4)는 반응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사전 등록된 등록 코드와 매치되는 관계와 같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소정의 관계가 만족되는 경우에, 비교 결과는 "예"로 결정되고,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비교 결과는 "아니오"로 결정된다.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rocedure, upo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containing the ID code from the portable unit 1, the comparison ECU 4 determines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such as a relationship in which the ID code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matches a pre-registered registration code. Determine whether or not to satisfy. When the predetermined relationship is satisfied, the comparison result is determined as "yes", and when the predetermined relationship is not satisfied, the comparison result is determined as "no".

단계 S30에서 ID 코드 비교가 "예"인 경과를 야기하는 반응 신호가 수신될 때, 단계 S40에서 제2 요청 신호는 내측 송신기(2e)로부터 제2 출력 수준(높은 출력 수준)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용 통신 영역은 차량 구획을 완전히 커버한다. 부가로, 통신 영역은 각각의 차량 도어의 윈도우로부터 누출되는 송신파에 의해 차량(10)의 외측으로 확장된 제2 통신 영역(A2e2)으로 설정된다. 그 다음에, 단계 S50에서 ID 코드 비교 결과가 "예"인 반응 신호가 단계 S40에서 송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When a response signal is generated which causes the elapse of the ID code comparison is "Yes" in step S30, the second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ner transmitter 2e to the second output level (high output level) in step S40. Thus,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completely covers the vehicle compartmen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area is se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A2e2 extended out of the vehicle 10 by the transmission wave leaking from the window of each vehicle door. Then, in step S50, it is determined whether a response signal having an ID code comparison result of "Yes" has bee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ransmitted in step S40.

단계 S40에서 요청 신호가 높은 출력 수준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휴대용 유닛(1)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10)의 근처에 있으면, 단계 S50의 결정 결과는 "예"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스는 반응 신호 수신 횟수가 복수의 소정 횟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S6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의 결정 결과로써, 횟수가 소정의 횟수 미만으로 결정될 때, 단계 S40으로부터의 프로세스가 반복 수행된다.Since th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at a high output level in step S40, if the user carrying the portable unit 1 is near the vehicle 10,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50 may be "Yes". In this ca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0 of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times of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i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ime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0, when the number of times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process from step S40 is repeatedly performed.

휴대용 유닛(1)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10)으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단계 S50에서 반응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다(반응 신호 수신 무효). 이러한 경우, 휴대용 유닛(1)이 차량 외측으로 소지되기 때문에, 프로세스는 차 량(10)의 차량 도어(11 내지 14)가 모두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S70으로 진행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임의의 차량 도어(11 내지 14)가 개방될 때, 프로세스는 차량 도어의 검증의 필요성을 위해 알람장치(15)를 이용함으로써 알람 또는 요청이 발생되는 단계 S80으로 진행한다. 사용자가 차량 도어를 폐쇄할 때, 단계 S70에서, 모든 차량 도어(11 내지 14)가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모든 차량 도어가 폐쇄될 때, 프로세스는 단계 S90으로 진행한다.When the user carrying the portable unit 1 moves away from the vehicle 10, it is determined in step S50 that a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response signal reception invalid). In this case, since the portable unit 1 is carried outside the vehicl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0 in which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the vehicle doors 11 to 14 of the vehicle 10 are closed. In this step, when any vehicle doors 11 to 14 are open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80 where an alarm or request is generated by using the alarm device 15 for the necessity of verification of the vehicle door. When the user closes the vehicle door, in step S70,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the vehicle doors 11 to 14 are closed. When all vehicle doors are clo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0.

단계 S90에서, 각각의 로크 제어 유닛(5a 내지 5d)은 차량 도어(11 내지 14)가 폐쇄되도록 지령한다. 따라서, 모든 차량 도어(11 내지 14)가 폐쇄된 것으로 검증하고, 모든 차량 도어(11 내지 14)는 동시에 로크되고, 임의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는 부주의하게 로크 해제되어 잔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어 로킹 작동과 동시에, 비교 ECU(4)는 엔진 ECU(9)가 엔진을 시동 금지 모드로 설정하도록 지령한다.In step S90, each lock control unit 5a to 5d commands the vehicle doors 11 to 14 to be closed. Thus, it is verified that all vehicle doors 11 to 14 are closed, all vehicle doors 11 to 14 are locked at the same time, and any vehicle doors 11 to 14 are inadvertently unlocked to prevent it from remaining. Can be. Simultaneously with the door locking operation, the comparison ECU 4 instructs the engine ECU 9 to set the engine to the start inhibit mode.

단계 S60의 결정 프로세스에서, 반응 신호 수신 시간의 횟수가 소정의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유닛(1)이 차량(10)에 근접하여 존재하여 유지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는 휴대용 유닛(1)의 위치 체크를 요청하기 위해 알람 장치에 의해 알람이 제공되는 단계 S100으로 진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전술한 상황에서, 이러한 경우는 예를 들어, 휴대용 유닛(1)이 제1 통신 영역(A2e1)의 데드 존 영역에 존재하거나 또는 휴대용 유닛(1)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구획 파장 누출 영역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방향 통신은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의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해 종결된다. 또한, 알람은 휴대용 유닛(1)의 위치를 검증하도록 사용자를 자극한다.In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60, when the number of times of the response signal reception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it is a situation that the portable unit 1 is present and maintained in close proximity to the vehicle 10. Accordingl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0 where an alarm is provided by the alarm device to request the position check of the portable unit 1. More specifically, in the above-described situation,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portable unit 1 is in the dead zone area of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2e1 or the user carrying the portable unit 1 leaks the compartment wavelength. It is thought to be in the realm. In this situatio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terminat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The alarm also prompts the user to verify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unit 1.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 로크형 도어 로크 제어에서, 제1 통신 영역(제1 차량내 통신 영역)(A2e1)에 대해서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양방향 통신 시도 후에 반응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영역(A2e1)보다 넓은 제2 통신 영역(제2 차량내 통신 영역)(A2e2)에 대해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이 재시도된다. 이러한 작동 방식은 차량 구획으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휴대용 유닛(1)의 이동을 추적하기 위해 휴대용 유닛(1)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utomatic lock-type door lock control, a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is set for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first in-vehicle communication area) A2e1. Thus,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a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after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ttempt. In this case, by setting a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for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second in-vehicle communication area) A2e2 that is wider than the first area A2e1.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retried. This mode of operation can monitor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unit 1 to track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unit 1 out of the vehicle compartment.

그러나, 이는 제2 통신 영역(A2e2)에 대해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시도함으로써 휴대용 유닛(1)이 구획내에서 분실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통신 영역(A2e1)을 이용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위한 시도가 생략될 수 있다.However, this indicates whether the portable unit 1 has been lost in the compartment by attempt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setting a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for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A2e2. Can be verified. Thus, the attempt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2e1 can be omitted.

자동 로크형 도어 로크 제어 프로세스 동안, 각각의 도어 로크 스위치(6a2 내지 6d2)가 작동될 때, 도어 로크 제어는 차단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어 로크 스위치(6a2 내지 6d2)의 작동에 반응하여(도4의 단계 S120), 도3에 도시된 자동 로크형 도어 로크 제어가 차단되고, 도4에 도시된 프로세스가 개시된다.During the automatic locked door lock control process, when each door lock switch 6a2 to 6d2 is activated, the door lock control is performed by the blocking process. More specifically,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switches 6a2 to 6d2 (step S120 in Fig. 4), the automatic lock type door lock control shown in Fig. 3 is cut off, and the process shown in Fig. 4 is started.

단계 S130에서, 제1 요청 신호는 내측 송신기(2e)로부터 낮은 출력 수준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용 통신 영역은 제1 통신 영역(A2e1)으로 설정된다. 이는 요청 신호의 송신파가 차량 구획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휴대용 유닛(1)의 사용자가 각각의 도어 로크 스위치(6a2 내지 6d2)를 작동시키기 위해 차량(10) 근처에 있을 때에도, 휴대용 유닛(1)이 내측 송신기(2e)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반응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step S130, the first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ner transmitter 2e at a low output level. Therefore,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is set to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2e1. This prevents the transmission of the request signal from leaking into the vehicle compartment. Thus, even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unit 1 is near the vehicle 10 to operate each door lock switch 6a2 to 6d2, the portable unit 1 responds to the request signal from the inner transmitter 2e.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signal can be prevented.

단계 S130의 요청 신호에 반응에서, 단계 S140에서는 "예"인 ID 코드 비교 결과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 프로세스에서, 비교 결과가 "예"로 결정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용 유닛(1)을 분실하거나 구획 내에 놓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로써, 프로세스는 도3에 도시된 분실 가능성이 있는 휴대용 유닛(1)용의 알람(분실 가능성이 있는 휴대용 유닛용의 알람)이 알람 장치(14)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 S110으로 진행한다.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of step S130, in step S140 it is determined whether an ID code comparison result of "yes" has been received. In this determination process, if the comparison result is determined to be "yes", it is possible that the user has lost or put the portable unit 1 in the compartment. In this wa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0 where an alarm for the potentially missing portable unit 1 (alarm for a potentially missing portable unit) shown in FIG. 3 is performed by the alarm device 14.

ID 비교 결과가 "예"인 반응 신호가 수신되면(반응 신호 수신이 유효), 프로세스는 단계 S15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50에서, 제3 요청 신호가 작동된 도어 핸들(6a 내지 6d)에 대응하는 외측 송신기(2a 내지 2d) 또는 모든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로부터 송신된다. 그 다음에, 단계 S160에서, 단계 S150에서 송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ID 코드 비교 결과가 "예"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If a response signal with the ID comparison result "yes" is received (response signal reception is vali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50. In step S150, the third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or all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door handles 6a to 6d. Next, in step S160, it is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ransmitted in step S150 whether a request signal having an ID code comparison result of "yes" has been received.

단계 S160의 결정 프로세스에서, ID 코드 비교 결과가 "예"인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 각각의 도어 로크 스위치(6a2 내지 6d2)를 작동시킨 사용자가 휴대용 유닛(1)을 소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는 도3의 단계 S70으로 진행한다. ID 코드 비교 결과가 "예"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어 로크 스위치(6a2 내지 6d2)가 휴대용 유닛(1)을 소지하는 정규 운전자 이외의 제3자에 의해 작동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는 자동 로크형 도어 로크 제어 프로세스로 복귀된다. 따라서, 각각의 도어 로크 스위치(6a2 내지 6d2)가 작동되는 경우에, 각각의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양방향 통신에 부가하여 각각의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양방향 통신이 시도된다. 따라서, 휴대용 유닛(1)이 구획내에서 분실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유닛(1)을 소지하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이 휴대용 유닛(1)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아니라 제3자에 의해 수행된 경우에, 차단된 자동 로크형 도어 로크 제어가 다시 시작되고 자동 로크형 도어 로크 제어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160, if it is determined that a request signal with an ID code comparison result of "yes" has been received, it is assumed that the user who has operated the respective door lock switches 6a2 to 6d2 possesses the portable unit 1. do. Thu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0 of FIG. If a request signal with an ID code comparison result of "yes" is not received, the door lock switches 6a2 to 6d2 are likely to be operated by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regular driver who carries the portable unit 1. Thus, the process returns to the automatic locked door lock control process. Thus, when each door lock switch 6a2 to 6d2 is actuated, each outer transmitter 2a to 2d and the portable unit in addition to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each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1) is attempted. Thus, it is not only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 portable unit 1 has been lost in the compartment, but also to verify whether the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by the user who carries the portable unit 1. If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a third party rather than the user possessing the portable unit 1, the blocked automatic locked door lock control can be restarted and the automatic locked door lock control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 로크형 로크 제어 경우의 통신 영역의 크기는 자동 로크형 로크 제어의 경우의 통신 영역보다 작게 설정된다. 보다 상세히는, 전체 구획을 커버하는 제2 통신 영역(A2e2)은 자동 로크형 도어 로크 제어의 경우로 설정된다. 부가로, 차량(10) 근방에 있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된 휴대용 유닛(1)과의 통신을 불가능하게 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제1 통신 영역은 트리거 로크형 로크 제어의 경우로 설정된다. 따라서, 자동 로크 및 트리거 로크 시스템 중 임의의 하나의 경우에서, 휴대용 유닛(1)은 구획내에서 분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는 적절하게 로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area in the trigger lock type lock control is set smaller than the communication area in the case of automatic lock type lock control.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A2e2 covering the entire section is set in the case of automatic locked door lock control.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having a size sufficient to disabl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unit 1 carried by the user near the vehicle 10 is set in the case of trigger lock type lock control. Thus, in any one of the automatic lock and trigger lock systems, the portable unit 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in the compartment, and each vehicle door 11 to 14 can be properly locked.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다수의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t can be modified in many ways.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자동 로크형 차량 도어 로크 제어의 경우에,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양방향 통신은 우선 제1 통신 영역(A2e1)에서 시도된다. 그 다음에, 반응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양방향 통신이 제2 통신 영역(A2e2)에서 재시도된다. 또한 제2 통신 영역(A2e2)에서의 양방향 통신에서,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 반응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는 자동적으로 로크된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case of automatic locked vehicle door lock control,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is first attempt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2e1. Then, if no response signal is receive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is retri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A2e2. Also i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A2e2, each vehicle door 11 to 14 is automatically locked unless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1.

그러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 반응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양방향 통신이 또한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와 휴대용 유닛(1) 사이에서 더 수행되도록 제어가 수행될 수 있고,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는 로크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5에서 도시된 단계 S170과 같이, 요청 신호가 각각의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로 송신된다.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단계 S180에서, ID 코드 비교 결과가 "예"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사용자가 차량(10)에서 하차한 직후에, 각각의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이 수립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반응 신호의 수신 횟수가 단계 S190에서 결정된 소정의 횟수에 도달하기 전에, 사용자는 차량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반응 신호의 수신을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3의 단계 S70에서 S90까지의 프로세스가 수행되어,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를 로킹시킨다.However, as shown in Fig. 5, control can be performed such that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further performed between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and the portable unit 1 when no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1. And each vehicle door 11 to 14 is locked. More specifically, as in step S170 shown in Fig. 5, a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outer transmitter 2a to 2d.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in step S180, it is determined whether a request signal having an ID code comparison result of "yes" has been received. Immediately after the user gets off the vehicle 10,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spectiv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and the portable unit 1. However, in general, before the number of times of reception of the response signal reaches the predetermined number determined in step S190,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vehicle to make it impossible to receive the response signal. In this case, the process from step S70 to S90 in Fig. 3 is performed to lock the respective vehicle doors 11 to 14.

따라서,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는 각각의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양방향 통신에서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의 반응 신호의 수 신 불가의 타이밍에 맞춰서 로킹된다. 이는 휴대용 유닛(1)이 각각의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용의 통신 영역의 외측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검증한 후에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를 로킹할 수 있다.Thus, each vehicle door 11 to 14 is locked in accordance with the unacceptable timing of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portable unit 1 i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spectiv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and the portable unit 1. do. This is because each of the vehicle doors 11 to 14 is verified after verifying that the portable unit 1 is moved by the user out of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respectiv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and the portable unit 1. Can be lock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 로크 시스템에서,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제1 통신 영역(A2e1)의 양방향 통신은 임의로 수행 가능하다. 이는 또한 도5에 도시된 예에 적용 가능하다. 보다 상세히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양방향 통신 또는 제2 통신 영역(A2e2)에서의 각각의 외측 송신기(2a 내지 2d)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양방향 통신에서, 각각의 차량 도어(11 내지 14)는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의 반응 신호 수신이 불가능해지는 상태에서 로크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in the automatic lock syste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2e1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can be arbitrarily performed. This is also applicable to the example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each of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and the portable unit (2) in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r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A2e2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In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1), each vehicle door 11 to 14 can be locked in a state in which reception of a reaction signal from the portable unit 1 becomes impossible.

부가로,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내측 송신기(2e)의 반응 신호 송신 출력 수준은 가변적이어서,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용 통신 영역은 제1 및 제2 통신 영역(A2e1, A2e2)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 설정된다. 그러나, 내측 송신기(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용 통신 영역의 크기는 휴대용 유닛(1)의 수신 감도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power level of the inner transmitter 2e is variable so that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is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areas A2e1. , A2e2). However,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the portable unit 1 may vary depending on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ortable unit 1.

제1 및 제2 통신 영역(A2e1, A2e2)에 대응하는 높은 감도로 휴대용 유닛(1)의 수신 감도를 시프트하기 위해, 각각의 송신기(2a 내지 2e)와 휴대용 유닛(1) 사이의 통신을 위해 전술한 통신 절차에서 이용되는 활성 요청 신호 또는 제1 송신 요청 신호가 이용된다. 보다 상세히는, 내측 송신기(2e)는 두 가지 상이한 형식의 신호를 송신하고, 즉, 이는 휴대용 유닛(1)이 낮은 감도의 수신을 수행하도록 지령 하는 활성 요청 신호(A)[또는 제1 송신 요청 신호(A)]와 휴대용 유닛(1)이 높은 감도의 수신을 수행하도록 지령하는 활성 요청 신호(B)[또는 제1 송신 요청 신호(B)]이다. 따라서, 휴대용 송신기(1)의 수신 감도는 낮은 감도와 높은 감도 중 임의의 하나로 시프트 가능하게 된다.For shif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ortable unit 1 to a high sensitivit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areas A2e1 and A2e2,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respective transmitters 2a to 2e and the portable unit 1 The active request signal or the first transmission request signal used in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procedure is used. More specifically, the inner transmitter 2e transmits two different types of signals, i.e., the active request signal A (or the first transmission request) which commands the portable unit 1 to perform a low sensitivity reception. Signal A] and an active request signal B (or a first transmission request signal B) which instructs the portable unit 1 to perform high sensitivity reception. Therefor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ortable transmitter 1 can be shifted to any one of low sensitivity and high sensitivity.

또한, 내측 송신기(2e)의 요청 신호 송신 출력 수준을 조절하고 휴대용 유닛(1)의 수신 감도를 시프트하는 것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djusting th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output level of the inner transmitter 2e and shif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ortable unit 1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비교 ECU(4)는 엔진의 시동 허가 또는 금지를 위해 엔진 ECU(9)를 지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휴대용 유닛(1)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10) 내에 존재하는 상태가 엔진 시동 상태로써 설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휴대용 유닛(1)으로부터의 ID 코드를 포함하는 반응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내측 송신기(2e)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영역이 제1 통신 영역(A2e1)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휴대용 유닛(1)이 차량 캐빈 외부에 존재하면서, 엔진의 시동을 허가하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parison ECU 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the engine ECU 9 to permit or prohibit starting the engine. This is because the state in which the user carrying the portable unit 1 is present in the vehicle 10 is set as the engine starting stat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transmitter 2e for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ID code from the portable unit 1 is set as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2e1. This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portable unit 1 exists outside the vehicle cabin and permits the starting of the engine.

또한, 차량 도어가 로크될 때, 도어 로크 상태는 예를 들어, 소리 또는 빛을 발생시키도록 차량의 비상등을 켜거나 부저 또는 휴대용 유닛(1)의 라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자동 로크형 도어 로크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로킹을 위한 작동을 수행하지 않아 도어 로크 실패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door is locked, the door lock state can be notified to the user, for example, by turning on the emergency light of the vehicle or providing a light of the buzzer or the portable unit 1 to generate sound or light. This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preventing a door lock failure because the user does not perform an operation for locking, especially when automatic lock type door lock control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자동 로크 및 트리거 로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 를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차량을 적절하게 로킹할 수 있는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facil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ppropriately locking each vehicle by using any one of an automatic lock and a trigger lock system.

Claims (13)

차량내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휴대용 유닛이 ID 코드를 포함하는 반응 신호를 송신하여 차량내 유닛이 휴대용 유닛으로부터의 반응 신호를 수신하여 반응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와 사전 등록된 코드 사이의 비교를 수행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차량 설비(5a 내지 5d)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휴대용 유닛(1)과 차량내 유닛(1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하는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vehicle unit, the portable unit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D code so that the in-vehicle unit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portable unit so that the ID code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and the pre-registered code are included. A vehicle facility control system which permit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unit 1 and the in-vehicle unit 100 in a manner to perform a comparison of and control the vehicle facilities 5a to 5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unit 100, 상기 휴대용 유닛으로부터의 반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3)와,A receiver 3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portable unit, 상기 휴대용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영역으로써 차량의 구획을 이용하여 구획 쪽으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내측 송신기(2e)와,An inner transmitter 2e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toward the compartment using a compartment of the vehicle as a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unit; 차량 도어(11 내지 14)에 제공되고 상기 차량 도어의 로킹을 위한 지령을 제공하는 트리거 스위치(6a2 내지 6d2)와,Trigger switches 6a2 to 6d2 provided in the vehicle doors 11 to 14 and providing instructions for locking the vehicle door; 상기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내측 송신기와 상기 휴대용 유닛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영역을 상기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에 비해 크게 설정하는 통신 영역 변경 수단(2e1)과,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2e1) for setting the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to be larger than when the trigger switch is operated when the trigger switch does not operate; 상기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는 반응 신호가 상기 통신 영역 변경 수단에 의해 설정된 통신 영역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따라 차량 도어를 로크하는 로크 제어 수단(4, 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Lock control means (4, 7) for locking the vehicle door in the event that a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said inner transmitter is not received in the communication area set by said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차량 도어의 개폐 작동을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6a1 내지 6d1)을 더 포함하고,The vehicle in-vehicle unit 100 further comprises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ans 6a1 to 6d1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작동이 상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될 때, 상기 통신 영역 변경 수단에 의해 설정된 통신 영역에서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요청 신호에 의해 휴대용 유닛과 양방향 통신을 시도하는 제어 시스템.The lock control means (4, 7) is a portable unit by a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ner transmitter in the communication area set by the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whe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by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ng means. A control system that attempt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차량 도어의 개폐 작동이 상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 제2 통신 영역에서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양방향 통신의 결과에 따라 도어 로크 제어를 수행하는 자동 로크 시스템에 따라 도어 로크 제어를 우선 수행하고,The lock control means 4, 7 perform door lock control in accordance with a result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in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whe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by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Door lock control according to the automatic lock system,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자동 도어 로크 제어를 차단하고, 이를 차단함으로써 자동 도어 로크 제어를 수행하는 동안 트리거 스위치의 작동이 수행될 때, 상기 제2 통신 영역보다 작은 제1 통신 영역 내의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양방향 통신 결과에 따라 도어 로크 제어를 수행하는 트리거 로크 시스템에 따라 도어 로크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시스템.The lock control means 4, 7 block the automatic door lock control and, by blocking it, when the trigger switch is operated while performing the automatic door lock control, the lock control means 4, 7 in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smaller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A control system that performs door lock control in accordance with a trigger lock system that performs door lock control in accordance with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result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영역 변경 수단(2e1)은 제1 통신 영역과 제1 통 신 영역보다 큰 제2 통신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통신용 통신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 시스템.2. The contr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2e1) sets a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for any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larger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system.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영역 변경 수단(2e1)은 상기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의 출력 수준과 상기 휴대용 유닛의 반응 신호의 수신 감도 수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통신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 시스템.The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2e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2e1) adjusts at least one of an output level of a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ner transmitter and a reception sensitivity level of a response signal of the portable unit. Control system to change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area.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제1 통신 영역으로 통신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우선 양방향 통신을 시도하고,The lock control means 4, 7 first attempt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setting the communication area to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when the trigger switch is not operated,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반응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제2 통신 영역으로 통신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다시 시도하는 제어 시스템.The lock control means (4, 7) retr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setting the communication area to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when no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또한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수단(15)을 포함하고,The in-vehicle unit 100 also includes alarm generating means 15 for generating an alarm to the user,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통신 영역이 제1 통신 영역으로 설정되는 상태 하에서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반응 신호가 수신될 때 차량 도어를 로크하지 않고 상 기 알람 발생 수단이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 시스템.The lock control means 4, 7 control to cause the alarm generating means to generate an alarm without locking the vehicle door when a rea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ommunication area is set as the first communication area. system.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통신 영역이 제2 통신 영역으로 설정된 상태 하에서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반응 신호가 수신될 때 미리 정해진 횟수 양방향 통신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The lock control means (4, 7) causes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o be repeatedly per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n a rea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while the communication area is set as the second communication area,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양방향 통신의 미리 정해진 횟수로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반응 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될 때, 알람 발생 수단이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시스템.And said lock control means (4, 7) cause the alarm generating means to generate an alarm when a response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portable unit a predetermined number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휴대용 유닛과의 통신 영역으로써 차량의 외주쪽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외주쪽으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를 더 포함하고, The in-vehicle unit 100 further includes outer transmitters 2a to 2d which transmit request signal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vehicle as a communication area with the portable unit.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반응 신호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것을 검증하여 외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반응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해지면 차량 도어를 로크하는 제어 시스템.The lock control means 4, 7 verify that the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signal sent from the inner transmitter is not received by the receiver when the trigger switch is not operated, thereby verify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signal sent from the outer transmitter. Control system to lock the vehicle door when reception is not possible.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수단(15)을 더 포함하고,The in-vehicle unit 100 further includes an alarm generating means 15 for generating an alarm to the user,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상기 외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반응 신호의 수신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외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종결하고 상기 알람 발생 수단이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 시스템.The lock control means 4, 7 terminates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when the number of times of reception of the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er transmitter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and the alarm generating means Control system to trigger this alarm.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 상기 휴대용 유닛과의 통신 영역으로써 차량의 외주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외주쪽으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를 더 포함하고,The in-vehicle unit 100 further includes outer transmitters 2a to 2d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hicle as a communication area with the portable unit.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될 때 상기 내측 송신기와 외측 송신기를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유닛과의 양방향 통신을 시도하고,The lock control means 4, 7 attempt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unit by using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outer transmitter when the trigger switch is activated, 상기 로크 제어 수단(4, 7)은 상기 내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반응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와 상기 외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반응 신호가 수신될 때 차량 도어를 로크하는 제어 시스템.The lock control means 4, 7 lock the vehicle door when no response signal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sent from the inner transmitter and when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sent from the outer transmitter. To control system.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 유닛(100)은,The in-vehicle unit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차량의 엔진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수단(9)과,Engine control means 9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ngine of the vehicle; 사전 등록 코드에 대응하는 반응 신호가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수신될 때 사용자에 의해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지령이 제공되면, 상기 엔진 제어 수단이 엔진을 시동하도록 허가하는 허가 수단(4)을 더 포함하고,Permission means for permitting the engine control means to start the engine when a command for starting the engine is provided by the user when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registration code is received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 4) more, 상기 통신 영역 변경 수단(2e1)은 상기 내측 송신기와 휴대용 유닛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영역을, 상기 허가 수단에 의한 시동 허가 제어 중에 트리거 스위치가 작동될 때 설정된 통신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 시스템.And the communication area changing means (2e1) sets a communicatio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tter and the portable unit to a communication area set when a trigger switch is operated during start permission control by the permission means. 차량 도어(11 내지 14)의 개폐 작동이 검출될 때 차량 구획에 제공된 내측 송신기(2e)로부터 휴대용 유닛(1)이 구획의 외측의 요청 신호를 수신 가능한 출력 수준을 갖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40)와, 상기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반응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의 로킹을 제어하는 단계(S70, S90)를 포함하는 차량 설비 제어 방법에 있어서, Whe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s 11 to 14 is detected, the portable unit 1 transmits a request signal having an output level at which the portable unit 1 can receive a request signal outside the compartment from the inner transmitter 2e provided in the vehicle compartment ( And controlling the locking of the vehicle door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S70, S90). 차량 도어의 로킹 작동이 검출될 때 상기 출력 수준보다 낮은 출력 수준으로 내측 송신기(2e)로부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30)와,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rom the inner transmitter 2e at an output level lower than the output level when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S130); 상기 로킹 작동에 반응하여 송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반응 신호가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송신되지 않을 때, 차량의 외측에 제공된 외측 송신기(2a 내지 2d)로부터 다른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차량 도어의 로킹 작동이 상기 다른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휴대용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반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비 제어 방법.When a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sig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locking operation is not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another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uter transmitters 2a to 2d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is controlled. And controlling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in response to the other request signal (S150).
KR1020060071837A 2005-08-01 2006-07-31 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776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837A KR100776106B1 (en) 2005-08-01 2006-07-31 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3296 2005-08-01
KR1020060071837A KR100776106B1 (en) 2005-08-01 2006-07-31 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867A KR20070015867A (en) 2007-02-06
KR100776106B1 true KR100776106B1 (en) 2007-11-15

Family

ID=4163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837A KR100776106B1 (en) 2005-08-01 2006-07-31 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1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606B1 (en) * 2005-09-13 2007-08-1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unit on the vehicle and portable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559A (en) * 2001-06-06 2002-12-16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Keyless entry apparatus
KR20030025870A (en) * 2001-09-21 2003-03-29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Vehicle door lock apparatus
KR20040021550A (en) * 2002-09-04 2004-03-10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Key-less locking system for vehicle, especially motor vehicle
KR20050016212A (en) * 2003-08-08 2005-02-21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Closing device for vehicle
KR20050060026A (en) * 2003-12-15 2005-06-21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ocessing apparatus, portable transmitter, and remote ope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559A (en) * 2001-06-06 2002-12-16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Keyless entry apparatus
KR20030025870A (en) * 2001-09-21 2003-03-29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Vehicle door lock apparatus
KR20040021550A (en) * 2002-09-04 2004-03-10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Key-less locking system for vehicle, especially motor vehicle
KR20050016212A (en) * 2003-08-08 2005-02-21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Closing device for vehicle
KR20050060026A (en) * 2003-12-15 2005-06-21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ocessing apparatus, portable transmitter, and remote oper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867A (en) 200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4904B2 (en) In-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US10212557B2 (en) Position-based limited-response mode operation in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4529762B2 (en) Vehicle door control system
EP3005749B1 (en) Position-based performance of a vehicle function in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76110B1 (en) On-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US8237544B2 (e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825163B1 (en) I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US6552649B1 (en) Vehicle control system
US20060244312A1 (en) Vehicle door control system
JP2007332739A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0817659B1 (en) Vehicle eng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525366B2 (en) Smart keyless device for vehicles
JP2008115653A (en) Locking device for vehicular door
KR100776106B1 (en) 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5336916A (en) In-car appliance remote controller
JP2015113613A (en) Locking-unlock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JP2004225471A (en) Door lock control system
JP2005240314A (en) Smart key system
KR2021011545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amp of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smart 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