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011B1 -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011B1
KR100776011B1 KR1020060028141A KR20060028141A KR100776011B1 KR 100776011 B1 KR100776011 B1 KR 100776011B1 KR 1020060028141 A KR1020060028141 A KR 1020060028141A KR 20060028141 A KR20060028141 A KR 20060028141A KR 100776011 B1 KR100776011 B1 KR 100776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resolution
recognition
template
fingerpri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225A (ko
Inventor
김학일
한영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2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0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97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92Image resolution transcoding, e.g. by using client-server archite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의 특징점 기반 SIF 템플릿 및 영상 레벨에서의 지문인식을 위한 해상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기종 지문입력기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해상도로 획득된 지문영상의 인식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의 일 실시 예는 SIF 템플릿으로부터 해상도 정보를 읽어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와의 해상도 변환비를 구하는 제1과정; 해상도 변환비에 따라 상기 템플릿 또는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 보정을 수행하는 제2과정; 및 보정된 템플릿 또는 인식용 지문 영상을 이용하여 지문인식을 수행하는 제3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기종 지문 입력기의 해상도를 보정함으로써 특징점 호환 포맷을 이용한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의 매칭에 있어서 인식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기종 지문 입력기, 호환, 해상도 변환, 해상도 보정, SIF 템플릿

Description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Resolution Transformation Method for Fingerprint Interoperable Recognition between Disparate Fingerprint Sensors}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대 해상도(Relative Resolution) 변환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대 해상도 변환의 실시 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Common) 해상도 변환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해상도 변환의 실시 예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해상도 변화에 따른 특징점의 방향 변화를 나타낸 도.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특징점의 방향 보정을 위한 단위 벡터(Unit Vector) 변환의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문 입력 모듈 200 : 지문 등록 모듈
300 : 변환 제어 모듈 400 : 매칭 모듈
본 발명은 이기종 지문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기종 지문입력기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해상도로 획득된 지문영상의 인식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등록 영상이나 등록 템플릿과 동일한 해상도로 변형하거나 공통의 동일한 해상도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기종간 지문인식을 위해서는 각기 다른 지문센서에서 획득된 지문영상의 다양한 해상도 및 왜곡 차이에 강인한 특징벡터가 필수적이다.
그 중에 널리 알려진 RC(Ridge Count) 방법은 특징점 사이에 존재하는 융선의 개수를 특징 정보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주로 대용량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지문감식을 하기위해 AFIS(Automatic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AFIS의 입력 영상은 주로 잉크를 사용하여 종이에 회전 날인한 지문을 평판 스캐너를 이용하여 고해상도로 스캔한 영상이다.
NEC는 하나의 특징점이 선택되면 그 특징점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4분면을 정의하여 각 사분면의 특징점들 중 선택된 중심의 특징점과 가장 가까운 특징점을 하나씩 선택한 구조체를 정의함으로써 매칭의 국부구조체로 사용하였다.
이 알고리즘의 장점은 잔류지문에도 매칭을 시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특징점의 방향에 예민한 이 구조체는 많은 특징점으로 구성될수록 재현성이 낮다는 것이다.
기준이 되는 특징점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좌표계를 변환한 다음, 기준 특징점으로부터 각 사분면에 이웃한 특징점이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4개의 특징점이 모두 존재할 경우 기준 특징점과 이웃 특징점 사이의 융선 개수를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하게 된다.
IBM은 두 특징점 사이를 화소 5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진 가상의 직선을 사용하여 연결하고 화소 5개 또는 3개를 하나의 세그먼트로 하여 각 세그먼트가 융선인지 골인지를 검사하여 융선 개수 정보를 추출한다.
융선의 흐름이 급격히 변하는 경우 RC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일정한 방향으로 평행한 경우에만 융선 개수 정보를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추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 하겠다.
두 특징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각각의 세그먼트가 융선인지 검사하여 융선 개수 정보를 추출하며, 진행과정 중 단 하나의 융선이라도 평행하지 않으면 해당 특징점 쌍 사이의 융선 개수 정보는 무시하게 된다.
Kovacs-Vajna는 추출한 특징점들 영상의 가운데 위치하는 특징점으로부터 그 레이 레벨(Gray Level)을 프로파일링(Profiling)함으로써 융선의 개수를 측정하여 매칭에 이용했으며, Germain는 세 개의 특징점 쌍을 트리플릿(Triplet)으로 정의하여 이루는 삼각형에 대하여 형성되는 융선의 개수를, Ratha는 한 개의 특징점 주위에 일정한 거리 안에 존재하는 또 다른 이웃 특징점들과 스타(Star)형의 구조체를 정의하여 특징점 사이에 존재하는 융선의 개수를 매칭에 사용하기도 하였다.
Lee는 특징점기반의 알고리즘으로부터 동일 클릭이라고 인증되는 클릭을 찾은 다음 볼록 다각형의 형태가 되도록 다각형(Polygon)을 확장 시켜나간다. 이와 같이 동일 특징점이라고 판단하는 특징점에 대하여 다각형을 확장해 나가서 각 특징점간 연결되는 세그먼트 상에 존재하는 융선의 개수를 카운트 함으로써 특징을 추출한다.
이 알고리즘의 단점은 특징점 기반에서 동일 클릭을 찾기 때문에 해상도 및 센서 종횡비(Aspect Ratio)가 다른 지문 영상에서는 오류를 내포하고 있으며, 확장 기준 클릭에서 멀어질수록 특징점 간의 거리차가 증가하는게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기종 입력기간 지문 인식을 위해서 센서의 특성은 고려하지 않고 단지 회전, 천이, 확대 및 축소에 강건한 특징을 추출하여 이기종간 지문인식을 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또한, SC37에서는 다양한 생체인식 기술과 시스템간의 호환성을 실현하기 위해 생체인식데이타 포맷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ILO(국제노동기구)에서는 호환 포맷의 표준을 따르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테스트를 이미 실시한 바 있다.
NIST에서는 MINEX04(Minutiae Interoperability Exchange Test 2004)라는 컴피티션(Competition)을 마련하여 다른 지문인식 시스템 사이에서 지문에 대한 정보로 특징점 데이터(Minutiae Data)를 이용한 실행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아래 15개의 기관이 등록되어 호환성 테스트를 받고 있다.
데이터 포맷의 표준화에도 불구하고 이기종 입력기들은 다양한 DPI(Dot per Inch)해상도와 영상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보정없는 특징점 레벨에서의 매칭은 현저한 인식률 저하를 가져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매칭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반드시 보정의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의 특징점 기반 SIF 템플릿 및 영상 레벨에서의 지문인식을 위한 해상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기종 지문입력기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해상도로 획득된 지문영상의 인식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은, 지문 등록 모듈에서 지문입력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등록용 지문 영상에 대한 특징점 레벨 SIF 템플릿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변환 제어 모듈 및 매칭 모듈에서 상기 지문입력센서와는 다른 기종의 지문입력센서로부터 입력된 인식용 지문 영상과 상기 지문 등록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을 비교하여 본인 인증을 위한 매칭을 실시하는 지문인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제어 모듈에서, 상기 SIF 템플릿으로부터 해상도 정보 및 특징점 정보를 읽어 상기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와의 해상도 변환비를 구하는 제1과정; 상기 변환 제어 모듈에서, 상기 해상도 변환비에 따라 상기 템플릿 또는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 보정을 수행하는 제2과정; 및 상기 매칭 모듈에서, 상기 보정된 템플릿 또는 보정된 인식용 지문 영상을 이용하여 지문인식을 수행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상도 변환비는 수평 및 수직 해상도 변환비이며, 상기 제2과정 수행 후, 상기 템플릿의 특징점 데이터 또는 인식용 지문 영상의 위치 보정을 행하고, 상기 위치 보정은 템플릿 또는 인식용 지문 영상의 수평 및 수직 좌표값에 수평 및 수직 해상도 변환비를 곱하여 얻어지는 위치보정 좌표값에 의해 행하며, 상기 템플릿의 위치 보정 후, 방향 보정을 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은, 지문 등록 모듈에서 지문입력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등록용 지문 영상에 대한 특징점 레벨 SIF 템플릿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변환 제어 모듈 및 매칭 모듈에서 상기 지문입력센서와는 다른 기종의 지문입력센서로부터 입력된 인식용 지문 영상과 상기 지문 등록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을 비교하여 본인 인증을 위한 매칭을 실시하는 지문인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제어 모듈에서, 상기 SIF 템플릿으로부터 해상도 정보를 읽고, 상기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를 읽어 기 정해진 공통 해상도와의 해상도 변환비를 구하는 제1과정; 상기 변환 제어 모듈에서, 상기 해상도 변환비에 따라 상기 템플릿과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를 상기 공통 해상도로 변환하는 제2과정; 및 상기 매칭 모듈에서, 상기 변환된 템플릿과 인식용 지문 영상으로부터 지문인식을 수행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통 해상도는 500DPI 또는 종횡비(Aspect Ratio) 1인 해상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로, 본 발명은 지문 입력 모듈(100), 지문 등록 모듈(200), 변환 제어 모듈(300), 매칭 모듈(400)로 구성된다.
상기 지문 입력 모듈(100)은 지문입력기인 지문입력센서로부터 인식을 위한 지문 영상이나 등록을 위한 지문 영상을 입력받으며, 지문입력센서는 해상도 특성 이 이미 실험적으로 평가된 지문입력센서이다.
지문 등록 모듈(200)은 상기 지문 입력 모듈(100)을 통해 입력되는 등록용 지문 영상에 대하여 특징점을 추출하며, 이로부터 특징점 레벨 SIF(Standard Interchange Format) 템플릿을 생성하여 지문 등록 모듈(200) 내의 도시하지 않은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
상기 변환 제어 모듈(300)은 상기 지문 등록 모듈(200)에 저장되어 있는 SC37이 제안하는 특징점 레벨 SIF 템플릿으로부터 해상도(Resolution), 영상 크기(Image Size), 특징점(Minutiae) 정보 필드를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템플릿을 구성하는 특징점의 위치와 방향을 보정하고 지문입력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보정한다.
상기 매칭 모듈(400)은 상기 변환 제어 모듈(300)에서 해상도가 보정된 신호로부터 통상의 지문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지문인식 알고리즘은 지문 특징점을 기반으로 ISO/IEC JTC1 SC37에서 제정하고 있는 국제 지문특징점 표준 데이터 포맷[ISO/IEC JTC1/ SC37 N945, Text of FDIS 19794-2, Biometric Data Interchange Formats - Part2 : Finger Minutiae Data]을 준수하는 알고리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등록된 템플릿과 입력된 지문 영상의 해상도 변환과 그에 따른 보정처리를 템플릿대템플릿, 템플릿대영상, 영상대영상, 또는 가상의 공통해상도 500DPI, 영상의 종횡비(Aspect Ratio) 1인 공통 포맷으로의 해상도 변환등 여러가지 다양한 접근 법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해상도 변환이 등록 템플릿과 인식용 지문 영상 사이에 정의되는 상대적 해상도(Relative Resolution) 변환 개념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3b는 등록 템플릿과 인식용 지문영상 모두 기 정해진 해상도로 변환하는 공통(Common) 해상도 변환 개념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a에 따른 해상도 변환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변환 제어 모듈(300)에서 지문 등록 모듈(200)에 저장되어 있는 SIF 템플릿의 필드를 파싱(Parsing)하여 해상도 정보 및 특징점 정보를 도출하여 지문 입력 모듈(100)를 통해 입력되는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와의 해상도 변환비를 구한다(S110).
이후, 상기 변환 제어 모듈(300)에서 상기 해상도 변환비에 따라 상기 템플릿 또는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 보정을 수행하고(S120) , 상기 매칭 모듈(400)에서 상기 변환 제어 모듈(300)에서 해상도가 보정된 템플릿 또는 인식용 지문 영상을 이용하여 지문인식을 수행한다(S130).
도 3b에 따른 해상도 변환은 상기 변환 제어 모듈(300)에서, 지문 등록 모듈(200)에 저장되어 있는 SIF 템플릿으로부터 해상도 정보를 도출하고, 지문 입력 모듈(100)를 통해 입력되는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를 읽어 기 정해진 공통 해 상도와의 해상도 변환비를 구한다(S210). 상기 공통 해상도는 500DPI 또는 종횡비(Aspect Ratio) 1인 해상도이다.
이후, 상기 변환 제어 모듈(300)에서, 상기 해상도 변환비에 따라 상기 템플릿과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를 상기 공통 해상도로 변환하고(S220), 이후, 상기 매칭 모듈(400)에서 상기 변환된 템플릿과 인식용 지문 영상으로부터 지문인식을 수행한다(S23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대 해상도 변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수평해상도 변환비는
Figure 112006021932085-pat00001
(Ax-dpi : 지문입력센서 A의 수평 해상도, Bx-dpi : 지문입력센서 B의 수평 해상도)와 같이 구하고, 수직해상도 변환비는
Figure 112006021932085-pat00002
(Ay-dpi : 지문입력센서 A의 수직 해상도, By-dpi : 지문입력센서 B의 수직 해상도)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대상 지문입력센서의 해상도 즉, 상대적 해상도로의 변환을 위해서는 입력 영상 또는 템플릿의 수평 및 수직 좌표값(x,y)에 수평 및 수직의 해상도 변환비(Rx-dpi, Ry-dpi)를 곱해 줌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즉, 위치 보정 좌표(LC: Location Compensation)는
Figure 112006021932085-pat00003
와 같이 산 출하며, 특징점의 방향성 보정(AC: Angle Compensation)은
Figure 112006021932085-pat00004
에 따라서 원래 방향각
Figure 112006021932085-pat00005
Figure 112006021932085-pat00006
만큼의 보정이 발생한다.
상기 위치 보정 좌표(LC)와 방향성 보정(AC)을 하나의 식으로 통합하면 보정 대상 템플릿에 대한 위치와 방향 보정은
Figure 112006021932085-pat00007
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21932085-pat00008
: 사분면의 인덱스).
이와 같이 산출된 영상 및 템플릿은 매칭 모듈(400)의 통상의 지문인식을 위한 지문인식 알고리즘의 입력으로 인가되어 지문인식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대 해상도 변환의 일 예로, 지문입력센서A의 영상을 지문입력센서B의 DPI에 맞도록 영상의 해상도를 변환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해상도 변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 모든 영상과 템플릿을 공통 해상도 500DPI, 영상의 종횡비(Aspect Ratio) 1인 공통 해상도를 대상으로하여 변환을 수행한 다음 그 결과를 매칭 모듈(400)의 입력으로 인가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지문입력센서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 해상도 모두 500DPI 공통해상도로 변환한 영상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의 수평 및 수직 해상도 변환비는 각각
Figure 112006021932085-pat00009
Figure 112006021932085-pat00010
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해상도 변화에 따른 특징점의 방향 변화를 나타낸 도로, 영상의 종횡비가 1이 아닌 영상을 1로 보정할 경우 나타내는 특징점의 방향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종횡비가 1보다 클경우 각이 커지므로 α=θc- θL만큼 더해지고, 1보다 작을 경우 각이 작아지므로 α=θL- θc 만큼 빼준다. 통상 한 개의 지문으로부터 추출되는 특징점은 수십개가 되며, 그 각각은 위치(x,y)와 방향(
Figure 112006021932085-pat00011
) 정보를 가지는데, θL은 보정전 원래의 특징점이 가지는 방향 정보이고,θc는 보정후의 방향정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특징점의 방향 보정을 위한 단위 벡터(Unit Vector) 변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정전의 각
Figure 112006021932085-pat00012
가 보정 후의 각
Figure 112006021932085-pat00013
로 변할 때
Figure 112006021932085-pat00014
Figure 112006021932085-pat00015
와 같이 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템플릿 레벨에서의 보정은 특징점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며, 특징점은 위치(x,y)와 방향(
Figure 112006021932085-pat00016
) 정보를 가지는 것으로, 도 8에서와 같이 특징점의 위치 정보가 변화되면 방향 정보가 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그 변화되는 정보를 계산하는데 단위 벡터를 사용하며, 도 8은 방향의 변화를 예시한 것이고, 그 구체적인 방향 보정은 도 9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SC37이 제안하는 특징점 레벨 템플릿으로부터 해상도 정보를 도출하고,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와의 해상도 변환비를 구하거나 또는 특징점 레벨 템플릿과 인식용 지문 영상을 기 정해진 공통 해상도로 변환하기 위해 해상도 변환비를 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해상도 변환을 수행한 후, 지문인식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IF(Standard Interchange Format) 템플릿으로부터 해상도, 영상 사이즈, 템플릿 정보를 도출하고, 해상도 특성이 이미 실험적으로 평가된 지문 입력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대상으로 하여 이기종 지문 입력기의 해상도를 보정함으로써 특징점 호환 포맷을 이용한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의 매칭에 있어서 인식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지문 등록 모듈에서 지문입력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등록용 지문 영상에 대한 ISO/IEC JTC1/SC37에서 제안하는 특징점 레벨 SIF(Standard Interchange Format) 템플릿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변환 제어 모듈 및 매칭 모듈에서 상기 지문입력센서와는 다른 기종의 지문입력센서로부터 입력된 인식용 지문 영상과 상기 지문 등록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을 비교하여 본인 인증을 위한 매칭을 실시하는 지문인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제어 모듈에서, 상기 SIF 템플릿으로부터 특징점 및 해상도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와의 해상도 변환비를 구하는 제1과정;
    상기 변환 제어 모듈에서, 상기 해상도 변환비에 따라 상기 템플릿 또는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 보정을 수행하는 제2과정; 및
    상기 매칭 모듈에서, 상기 보정된 템플릿 또는 보정된 인식용 지문 영상을 이용하여 지문인식을 수행하는 제3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변환비는
    수평 및 수직 해상도 변환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 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 수행 후,
    상기 템플릿의 특징점 데이터 또는 인식용 지문 영상의 위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은
    상기 템플릿 또는 인식용 지문 영상의 수평 및 수직 좌표값에 수평 및 수직 해상도 변환비를 곱하여 얻어지는 위치보정 좌표값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의 위치 보정 후, 방향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
  6. 지문 등록 모듈에서 지문입력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등록용 지문 영상에 대한 ISO/IEC JTC1/SC37에서 제안하는 특징점 레벨 SIF(Standard Interchange Format) 템플릿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변환 제어 모듈 및 매칭 모듈에서 상기 지문입력센서와는 다른 기종의 지문입력센서로부터 입력된 인식용 지문 영상과 상기 지문 등록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을 비교하여 본인 인증을 위한 매칭을 실시하는 지문인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제어 모듈에서, 상기 SIF 템플릿으로부터 해상도 정보를 읽고, 상기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를 읽어 기 정해진 공통 해상도와의 해상도 변환비를 구하는 제1과정;
    상기 변환 제어 모듈에서, 상기 해상도 변환비에 따라 상기 템플릿과 인식용 지문 영상의 해상도를 상기 공통 해상도로 변환하는 제2과정; 및
    상기 매칭 모듈에서, 상기 변환된 템플릿과 인식용 지문 영상으로부터 지문인식을 수행하는 제3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해상도는 500DPI 또는 종횡비(Aspect Ratio) 1인 해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 방법.
KR1020060028141A 2006-03-28 2006-03-28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방법 KR100776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141A KR100776011B1 (ko) 2006-03-28 2006-03-28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141A KR100776011B1 (ko) 2006-03-28 2006-03-28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225A KR20070097225A (ko) 2007-10-04
KR100776011B1 true KR100776011B1 (ko) 2007-11-15

Family

ID=3880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141A KR100776011B1 (ko) 2006-03-28 2006-03-28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0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4674A (ja) * 1995-07-31 1997-02-14 Sony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1101391A (ja) 1999-10-04 2001-04-13 Yamatake Corp 指紋照合装置
KR20060002522A (ko) * 2004-07-02 2006-01-09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이기종 지문입력센서를 이용하는 지문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27613A (ko) * 2004-09-23 2006-03-28 (주)니트 젠 지문 특징데이터 추출알고리즘에 있어서의 방향 필터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4674A (ja) * 1995-07-31 1997-02-14 Sony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1101391A (ja) 1999-10-04 2001-04-13 Yamatake Corp 指紋照合装置
KR20060002522A (ko) * 2004-07-02 2006-01-09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이기종 지문입력센서를 이용하는 지문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27613A (ko) * 2004-09-23 2006-03-28 (주)니트 젠 지문 특징데이터 추출알고리즘에 있어서의 방향 필터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225A (ko)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61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orming an image of a biological surface
US8155443B2 (en) Image extracting apparatus, image extrac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68133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of documents, and computer product
US7512257B2 (en) Coding system and method of a fingerprint image
JP5934762B2 (ja) 文字の形状特徴を使用した文字比較による文書改変検知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50094616A (ko) 지문 등록 알고리즘
US7035444B2 (en) System for fingerprint authentication based of ridge shape
KR100816016B1 (ko) 이기종 지문 입력기 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테일러시리즈를 이용한 특징점 변환 방법
WO1991017519A1 (en) Row-by-row segmentation and thresholding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US822921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474504B1 (ja) 手書文字認識システム
JP4348702B2 (ja) 平面4指画像判定装置、平面4指画像判定方法及び平面4指画像判定プログラム
EP0877335B1 (e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KR100776011B1 (ko) 이기종 지문 입력기간 인식의 호환을 위한 해상도 변환방법
WO2006080568A1 (ja) 文字読取り装置、文字読取り方法及び該文字読取り装置に用いられる文字読取り制御プログラム
KR20070048570A (ko) 이미지 분별 장치 및 그 방법
JP2007060417A (ja) 図形認識方法
WO2023028947A1 (zh) 掌静脉非接触式三维建模方法、装置及认证方法
JP200623578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01601B1 (ko) 이기종 지문 인식 시스템의 센서 왜곡 보정 방법
KR100564762B1 (ko) 지문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그 장치
JP2785747B2 (ja) 文字読取装置
WO2007052957A1 (en) Device and method of classifying an image
JP2023166719A (ja) 文字認識処理システム、文字認識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973892B2 (ja) 文字認識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