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174B1 - 음향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174B1
KR100775174B1 KR1020060019981A KR20060019981A KR100775174B1 KR 100775174 B1 KR100775174 B1 KR 100775174B1 KR 1020060019981 A KR1020060019981 A KR 1020060019981A KR 20060019981 A KR20060019981 A KR 20060019981A KR 100775174 B1 KR100775174 B1 KR 10077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peaker
speaker unit
screw portion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357A (ko
Inventor
권오석
김종우
나태영
최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174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써, 스피커를 장식장에 원하는 부위로 이동하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는 가전기기 등이 안착되는 장식장;과, 상기 장식장의 일측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장식장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에 의해, 스피커를 장식장과 일체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심미적인 통일성 및 외부공간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장식장, 체결부재, 스피커

Description

음향 출력 장치{The acoustic emmiss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파이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에에 따른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장식장 101,122 : 암나사부
102,123 : 마그네트 103 : 가이드 레일
110 : 센터 스피커 120,130 : 프론트 스피커
121 : 슬라이딩 홈 124 : 함몰부
140 : 체결판 150 : 볼트
200 ; 스파이크 210 : 수나사부
220 : 레일부 230 : 몸체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장 타입의 스피커를 장식장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톨 보이 형식으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내지 홈시어터의 스피커는 인클로우져에 진동판의 동작에 의해 음파가 방사되도록 스피커 유닛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유닛은 방사되는 음파에 따라 고주파 음을 방사시키는 트위터 스피커 유닛과 저주파 음을 방사시키는 우퍼 스피커 유닛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인클로우져란 스피커의 유닛을 조립해 넣는 목재, 혹은 플라스틱류 등으로 만든 스피커 케이스를 말하는 것으로, 인클로우져는 캐비닛, 혹은 박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인클로우져는 외형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장식장형 스피커와 톨 보이 타입 스피커로 구분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가정의 실내에는 홈시어터 등의 스피커 또는 텔레이젼 등의 가전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장식장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홈시어터의 경우에는 대부분 톨 보이 타입의 스피커가 장식장과는 분리되어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식장 타입의 스피커의 경우에도 장식장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장식장의 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분리형 스피커의 경우에는 상기 장식장과 일체감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의 공간을 차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상기 분리형 스피커를 상기 장식장에 올려놓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장식장의 상부면에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분리형 스피커가 상기 장식장으로부터 요동하여 쉽게 이탈됨으로써 상기 분리형 스피커가 파손될 우려가 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장식장과 스피커를 일체형으로 설계하여 시각적인 일체감 및 분리형 스피커에 따른 공간부족을 해결하고 분리형 시스템과 동일한 청취를 위해 스피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일체형 스피 커는 가전지기등이 거치되며, 중앙에 센터 스피커가 구비된 장식장과, 상기 장식장의 일측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장식장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장식장과 스피커 유닛을 같이 설계하여 시각적인 일체감 및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식장 스피커 또는 프론트 스피커는 스피커 유닛으로 이름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스파이크는 연결부재로 이름되어 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장에 결합된 상태의 스피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에 대하여 이해를 돕고자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스피커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센터 스피커(110)가 구비된 장식장(100)과, 상기 장식장의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프론트 스피커(120)(130))와, 상기 장식장 스피커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스파이크(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일반적으로 스피커의 스피커 유닛(10)은 외부 프레임(11)이 스피커 유닛(10)의 골격을 이루게 되어 인클로우져(20)에 고정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후면으로 요크(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의 내부에는 도우넛 형상의 마그네트(13)가 내설되며, 상기 마그네트(13)의 주위로 보빈(15)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전면으로 진동판(14)이 설치되어 인클로우져(20)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상기 진동판(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서 에지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에지부(18)는 진동판(14)의 진동 범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진동판(14)의 중심에 더스트 캡(19)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보빈(15)에는 보이스 코일(16)이 권선되어, 마그네트(13)와 요크 및 보이스 코일(16)에 자기회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빈(15)은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과 상기 마그네트(13)의 자장에 의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상기 진동판(14)을 진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프레임(11)과 진동판(14)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댐퍼(17)가 구비되는바, 상기 댐퍼(17)는 보빈(15)과도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14)을 지지하면서, 진동판(14)의 진동범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요크와 마그네트(13)로부터 리드 와이어가 인출되어 상기 스피커 터미널(미도시)과 연결되도록 단자(12)가 외부 프레임(11)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피커 유닛(10)은 단자(12)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음향 기기로부터 요크와 마그네트(13)에 입력되면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13)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회로 내에 놓인 보이스 코일(16)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보빈 (15)이 전후 진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진동판(14)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음압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진동판(14)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음압이 발생하게 되어 음파가 인클로우져의 전방으로 방사된다. 이때 발생되는 음파는 대략 20㎐에서 20㎑ 사이의 값일 때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장식장(100)에는 전면에 상기 센터 스피커(110)가 장착되고, 상부에는 오디오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스피커와는 분리되어 별도의 장식장 스피커(120,130)가 직립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장식장(100)의 좌우측에 설치된 상기 장식장 스피커(120,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스파이크(200)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장식장(100)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200)의 결합방식에 대하여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파이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는 중앙에 센터 스피커(110)가 구비된 장식장(100)과, 상기 장식장의 측면에 직립설치되는 프론트 스피커(120,130)와,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스파이크(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장식장(100)의 상부면에는 오디오 등이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장(100)의 상부면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암나사부(1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장(100)의 좌, 우측면으로 프론트 스피커(120)(130)가 직립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는 장식장형 스피커이고, 상기 장식장(100)과는 자유롭게 분리되어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하단부에는 슬라이딩홈(121) 및 암나사부(12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하단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크(20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스파이크(200)는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와 상기 장식장(100)이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에 의하여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를 통해 음향이 방출될 때 발생되는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파이크(200)는 몸체(230)를 중심으로 일측은 레일부(220)가 형성되고, 타측은 수나사부(2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가 상기 장식장(100)에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하단부에 상기 수나사부(210)이 결합되어진 상태이고, 타측의 상기 레일부(220)은 지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와 장식장이 결합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가 상기 장식장(100)에 결합될 경우에는 상기 스파이크(200)가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에서 각각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200)의 수나사부(210)가 상기 장식장의 암나사부(132)에 스크류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가 상기 장식장(100)의 상단부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하단부에는 전술한 슬라이딩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홈(121)에 상기 스파이크(200)의 레일부(220)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장식장(100)의 상부면에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가 좌,우측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식장형 프론트 스피커(120)(130)가 상기 장식장(100)에 고정됨으로써 톨 보이 타입의 스피커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저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는 중앙에 센터 스피커(110)가 구비된 장식장(100)과, 상기 장식장의 측면에 직립설치되는 장식장형 스피커(120,130)와, 상기 장식장 스피커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스파이크(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는 중앙에 센터 스피커(110)가 구비된 장식장(100)과, 상기 장식장의 측면에 직립 설치되는 프론트 스피커 (120,130)와, 상기 장식장 및 프론트 스피커(120,130)에 내설되는 마그네트(102)(12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저면에는 내부에 마그네트(123)가 내설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123)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장식장(100)의 소정부위에는 또 다른 마그네트(102)가 내설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를 상기 장식장(100)의 상기 마그네트(102)가 내설되어 있는 부위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마그네트(102)(123)의 상호인력에 의하여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와 상기 장식장(100)이 결합고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에에 따른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는 중앙에 센터 스피커(110)가 구비된 장식장(100)과, 상기 장식장의 측면에 직립설치되는 프론트 스피커(120,130)와, 상기 장식장(100)과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측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체결판(140) 및 상기 체결판에 삽입되는 볼트(1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장식장(100) 및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측면에는 상기 볼트(1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장(100)의 상부면에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가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장식장(100)의 측면과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가 서로 일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장(100)과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에 동시에 밀착되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체결판(14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150) 등의 체결수단이 동원되어 상기 체결판를 통 하여 상기 장식장과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가 일체로 고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는 중앙에 센터 스피커(110)가 구비된 장식장(100)과, 상기 장식장의 측면에 직립 설치되는 프론트 스피커(120,130)와, 상기 장식장 및 프론트 스피커(120,130)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03) 및 함몰부(12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장식장(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03)이 배면에서 정면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103)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하부면에는 함몰부(1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상기 함몰부(124)를 따라 상기 장식장(100)의 가이드 레일(103)의 단부로부터 결합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장식장(100)과 프론트 스피커(120,130)의 결합방식에 대해여 상기 마그네트(102)(123), 가이드 레일(103)에 의한 슬라이드 결합 또는 상기 스파이크(200)에 의한 스크류 결합을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추가로 제안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장식장의 상부면에 상기 프론트 스피커가 결합되도록 하여 톨 보이 타입의 스피커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일체형 스피커에 의하여 장식장 타입의 스피커를 장식장과 결합하여 제품의 시각적인 일체화 및 외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피커의 구조와 장식장을 결합하여 장식장형 스피커를 톨 보이 타입의 스피커로도 전환하여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배치하여 다양한 음향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스피커 또는 장식물품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 수평면과 좌측 또는 우측 수직면을 갖는 장식장;
    상기 장식장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면에 밀착 가능한 면을 적어도 하나 가지며 상기 장식장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 유닛;
    상기 장식장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높이는 상기 장식장의 상면 높이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높이를 뺀 값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레일부가 포함되는 음향 출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장의 외주면에는 상기 레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하단면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삽입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의 하단면에는 상기 레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 록 하는 슬라이딩 홈과, 상기 수나사부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장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이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암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이 장식장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장식장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장식장 또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의 하면 및 상기 장식장의 상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스피커 유닛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가 삽입되는 암나사부가 포함되는 음향 출력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장식장의 상부면에 돌출되는 가이드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의 하단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장식장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을 관통하여 상기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장식장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포함되는 음향 출력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스크류 또는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KR1020060019981A 2006-03-02 2006-03-02 음향 출력 장치 KR10077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981A KR100775174B1 (ko) 2006-03-02 2006-03-02 음향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981A KR100775174B1 (ko) 2006-03-02 2006-03-02 음향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357A KR20070090357A (ko) 2007-09-06
KR100775174B1 true KR100775174B1 (ko) 2007-11-12

Family

ID=3868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981A KR100775174B1 (ko) 2006-03-02 2006-03-02 음향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1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0882A (ja) * 1996-01-23 1997-07-31 Sharp Corp ロック装置
KR200206562Y1 (ko) 2000-07-03 2000-12-01 김귀순 모니터 내장형 컴퓨터 책상
KR200400753Y1 (ko) 2005-08-02 2005-11-09 (주) 밸류코리아 홈시어터용 장식장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0882A (ja) * 1996-01-23 1997-07-31 Sharp Corp ロック装置
KR200206562Y1 (ko) 2000-07-03 2000-12-01 김귀순 모니터 내장형 컴퓨터 책상
KR200400753Y1 (ko) 2005-08-02 2005-11-09 (주) 밸류코리아 홈시어터용 장식장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357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0219B2 (en) Loudspeakers and systems
KR101188578B1 (ko) 스피커 시스템
CN107659859B (zh) 音箱及其组合
US9967654B2 (en) Modular loudspeaker for point sound sour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60072776A1 (en) Amplifier and sub-woofer speaker system
WO2016037445A1 (zh) 一种头戴式耳机或音箱的发音组件
CN103796142A (zh) 高低音共用磁路扬声器
CN209573904U (zh) 一种家具支撑脚
US8139805B2 (en) Speaker apparatus
KR101404119B1 (ko) 슬림형 스피커
WO2013103290A1 (en) Adjustable sound bar home theater system
CN103300624B (zh) 一种音乐背椅
KR100775174B1 (ko) 음향 출력 장치
KR101000015B1 (ko) 스피커 구조
KR20110031570A (ko) 스피커
CN105340297A (zh) 助听器兼容的移动扬声器
CN102420956B (zh) 一种电视机扬声器的固定结构
CN210181552U (zh) 触觉传感器、带触觉传感器的触觉系统和影院音频系统
CN112051752A (zh) 智能语音面板
KR20090012381U (ko) 의자 하단에 탈부착이 용이한 진동소자가 구비된 컴퓨터용스피커
CN218683170U (zh) 一种振动喇叭装置及沙发
JP2001268478A (ja) スピーカ内蔵のテレビ台
CN210428120U (zh) 一种智能语音面板
CN203734833U (zh) 高低音共用磁路扬声器
JP2009118120A (ja) マルチウェイスピ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