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871B1 -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871B1
KR100774871B1 KR1020060007036A KR20060007036A KR100774871B1 KR 100774871 B1 KR100774871 B1 KR 100774871B1 KR 1020060007036 A KR1020060007036 A KR 1020060007036A KR 20060007036 A KR20060007036 A KR 20060007036A KR 100774871 B1 KR100774871 B1 KR 100774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isplay panel
image
buffer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421A (ko
Inventor
노재현
배광배
임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87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5Hosiery made essentially of a multi-ply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7Hosiery with an added sole, e.g. sole made of rubber or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일례는 전면 기판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표시 패널 전면에 배치되는 영상 필름 필터 및 상기 영상 표시 패널과 상기 영상 필름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의 전자파 흡수율은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 기판의 전자파 흡수율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필름 필터 사이에 완충부를 배치함으로써 전자파가 보다 감소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Picture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필름 필터(200)의 일례로 도전막 타입의 전자파 차폐막이 포함된 예를 나타낸 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완충부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도 3의 완충부를 공기와 대략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을 때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완충부의 두께가 6mm인 경우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서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에서 영상 표시 패널이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인 경우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영상 표시 패널 120 : 완충부
130 : 영상 필름 필터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 영상 표시 장치는 시각정보 전달 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 정량화, 고 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여기서,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패널과, 이러한 영상 표시 패널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 영상 필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영상 표시 패널은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 EL),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 LED),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 VFD), 전계 방출 영상 표시(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이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 패널은 각각의 영상 표시 패널의 특성에 따라 유해 전자파(EMI)가 발생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에 나타나면, 사람의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영상 표시 패널 중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은 방전 셀 내의 형광체를 고전압에 의해 발광시켜 영상을 표시하므로 다른 영상 표시 패널보다 더 많은 전자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패널 과 영상 필터 사이에 완충부를 배치함으로써, 영상 표시 패널을 통해 발생 되는 전자파(EMI)가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일례는 전면 기판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표시 패널 전면에 배치되는 영상 필름 필터 및 상기 영상 표시 패널과 상기 영상 필름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의 전자파 흡수율은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 기판의 전자파 흡수율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부의 두께는 2mm(미리 미터) 이상 12mm(미리 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부는 영상 표시 패널의 완충부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흡수율이 영상 필름 필터의 완충부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흡수율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부의 전자파 흡수율은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전자파 흡수율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부의 전자파 흡수율은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 기판의 전자파 흡수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부는 영상 필름 필터의 완충부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반사율이 영상 표시 패널의 완충부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반사율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부의 재질은 광 투과성 고분자수지 재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완충부의 재질은 유리 재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부는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필름 필터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고, 완충부에는 소정의 가스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 표시 패널은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패널(100)과 영상 표시 패널(100) 전면에 배치되는 영상 필름 필터(200)를 포함하고, 이러한 영상 표시 패널(100)과 영상 필름 필터(200) 사이에는 완충부(300)가 배치된다.
영상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는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이 합착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만 도시하였으나 이외에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 EL),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 LED),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 VFD), 전계방출영상 표시(Field Emission Display ; F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영상 표시 패널(100)은 각각 그 구동 특성상 전자파가 발생 되고, 이러한 전자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영상 필름 필터(200)가 영상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영상 필름 필터(200)는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빗금친 부분의 접지부와 빗금친 영역 안에 있는 메쉬(Mesh) 타입의 전자파 차폐막이 포함된 영상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 영상 필름 필터(200)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다음의 도 2를 통하여 영상 필름 필터(2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 이후, 영상 표시 패널(100)과 영상 필름 필터(200)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필름 필터(2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의 (a)에서와 같이, 영상 필름 필터(200)의 일례로 도전막 타입의 전자파 차폐막을 포함한 영상 필름 필터(200)는 자외선 차단 및 외부 반사광을 줄이기 위한 반사 방지막(AR Coating, 210)과, 근적외선 차단을 위한 근적외선 차폐막(NIR Coating, 230)과, 전자파 차단을 위한 전자파 차폐막(EMI coating, 250)이 단위 막을 이뤄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영상 필름 필터(200)는 반사방지, 색조절, 전자파 차폐와 같은 기능을 갖는 각 막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와 같은 물질의 기지막(Base Coating, 240a, 240b, 240c)에 부착되어 단위 막을 형성할 수 있고, 각 단위 막은 점착막(270a, 270b)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점착막(270b)에 블랙 프레임(Black Frame, 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단을 위한 전자파 차폐막(EMI coating, 250)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테이프(tape) 또는 도전성 페이스트(paste)를 이용한 버 스 바(bus bar)가 접지되는 접지부(201)를 형성하고 Ag나 ITO와 같은 금속 산화물(203)을 스퍼터링(Sputter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의 도 2에서는 Ag와 ITO에 의해 형성된 전자파 차폐막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형식의 전자파 차폐막이 포함된 영상 필름 필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영상 필름 필터(200)에 대한 설명은 마무리하고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영상 표시 패널(100)과 영상 필름 필터(200) 사이에 완충부(30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영상 표시 패널(100)과 영상 필름 필터(200)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300)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 3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완충부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10은 영상 표시 패널(100)의 전면 기판을 나타내고, 120은 화소(130)를 구획하는 격벽을 나타내고, 130은 영상이 표시되는 기본 단위인 화소를 나타낸다. 그리고 300은 전자파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패널(100)과 영상 필름 필터(200) 사이에는 완충부(300)가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완충부(300)는 전자파를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완충부(300)는 전자파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영상 필름 필터(200)의 완충부(300)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반사율은 영상 표시 패널(100)의 완충부(300)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반사율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영상 필름 필터(200)의 완충부(300)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반사율은 영상 표시 패널(100)의 완충부(300)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반사율보다 더 높은 것이다.
또한 완충부(300)의 전자파 흡수율은 영상 표시 패널(100)의 전면 기판(110)의 전자파 흡수율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완충부의 전자파 흡수율은 영상 표시 패널(100)의 전면 기판(110)의 전자파 흡수율보다 높은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패널(100)의 완충부(300)가 전자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영상 필름 필터(200)의 완충부(300)와 맞닿는 면의 반사율이 영상 표시 패널(100)의 완충부(300)와 맞닿는 면의 반사율보다 더 높게 함으로써, 완충부(300)는 완충부(300)로 진입해 들어오는 전자파의 일부를 흡수하고 일부는 영상 필름 필터(200)와 맞닿는 면에서는 반사된다. 이때 반사되지 않은 일부의 전자파는 영상 필름 필터(200)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반사된 전자파는 완충부(300)에 의해 재흡수된다. 이와 같은 흡수와 반사를 반복하면서 전자파는 차츰 감소 되어 완충부를 통하여 영상 필름 필터(200)로 진입하는 전자파의 양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완충부(300)를 통하여 빠져나오는 전자파의 양이 상당량 감소되고, 이와 같이 감소 된 전자파는 다시 영상 필름 필터(200)를 통하여 더욱 감소되어 종래보다 훨씬 전자파가 감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완충부(300)의 재질은 광 투과성 고분자수지 재질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빛을 투과시키고 전자파만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완충부(300)의 재질은 유리 재질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화 유리 재질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인 필름 필터가 포함된 영상 표시 장치는 외부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가해지는 충격에 매우 약한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일례는 완충부(300)의 재질에 강화 유리 재질이 포함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완충부(300)는 흡수율과 반사율이 공기와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파가 공기와 같은 공간에 투과될 때, 완충부(300)가 공기와 대략 동일한 조건일 경우, 영상 표시 패널(100)과 완충부(300) 사이에서의 공기 흡수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완충부(300)와 영상 필름 필터(200) 사이에서의 반사율도 좋기 때문이다.
이는 공기의 특성상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성분으로 인해 전자파가 잘 흡수되고 산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때의 완충부(300)의 두께(d)는 2mm(미리 미터) 이상 12mm(미리 미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완충부(300)의 전자파 흡수율은 완충부(300)의 두께(d)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완충부를 공기와 대략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을 때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완충부가 공기와 대략 동일한 조건에서 완충부의 두께에 따라 전기장이 저감되는 정도를 영상 표시 전면에서 측정한 것을 표로서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세로 축은 전기장의 방사량을 [㏈](데시벨)로 나타내고, 가로 축은 전자파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세로축과 가로축 평면상에 나타난 그래프는 완충부의 두께에 따른 전기장의 방사량을 영상 표시 패널 전면에서 측정한 측정값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가 없을 때 전기장의 방사량은 전자파의 주파수가 최소일 때, 전기장의 방사량은 대략 16[㏈]가 되고 점차 전자파의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전기장의 방사량도 서서히 증가한다.
또한,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필름 필터 사이에 완충부를 두고, 완충부의 두께를 대략 2mm(미리 미터)정도로 하였을 때에는 전기장의 방사량은 대략 13[㏈]로 감소되고, 점차 전자파의 주파수가 증가하여도 완충부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대략 3[㏈] 내지 4[㏈] 정도의 더 낮은 간격을 유지하며 전기장의 방사량도 서서히 증가됨을 알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필름 필터 사이에 공기와 대략 동일한 완충부를 배치하였을 때, 전자파가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충부의 두께(d)를 점차 늘릴수록 전기장의 방사량은 점차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파가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완충부는 그 두께가 최대 12mm(미리 미터) 정도일 때, 전기장의 방사량이 가장 최소로 되고 그 두께가 15mm(미리 미터) 정도일 때에는 완충부의 두께가 12mm(미리 미터) 정도일 때와 비교하여 오히려 전기장의 방사량이 3[ ㏈] 더 증가하여 전자파 차감 정도가 더 안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유로 완충부의 두께는 2mm(미리 미터) 이상 12mm(미리 미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완충부의 두께가 6mm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완충부의 두께와 그 두께에 의한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완충부의 두께가 6mm인 경우는 12mm의 절반 정도로 얇지만 그에 의한 효과는 완충부의 두께가 12mm일 때와 비교하여 전기장 방사량이 1[㏈] 이하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완충부의 두께가 6mm인 경우 영상 표시 패널 전면에서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치에 대하여 다음의 도 5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완충부의 두께가 6mm인 경우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서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는 영상 표시 패널에 완충부가 없이 영상 필름 필터만을 형성된 경우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서 전자파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5의 (b)는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필름 필터 사이에 완충부가 더 형성되고, 완충부의 두께가 6mm인 경우에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서 전자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에 (a)와 (b)의 그래프에서, 세로 축은 영상 표시 전면에서 측정한 전자파 방사량을 [㏈] 단위로 표시한 것이고, 가로 축은 전자파의 주파수를 표시한 것이고, 510은 전자파 방사량에 대한 표준 규격을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520은 완충부가 없을 때, 전자파 방사량을 측정한 측정값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고, 521은 완충부의 두께가 대략 6mm인 경우에 전자파 방사량을 측정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a)에서는 전자파 방사량이 50[㏈] 이상 되는 경우도 있으나 도 5의 (b)에서는 전자파 방사량이 표준 규격 이하로 저감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자파 저감을 위한 완충부는 전술한 여러 종류의 영상 표시 패널 중 특히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에 적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은 고전압의 각각의 구동 전극에 공급되어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 사이에 벽전하 방전에 의해 구동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와 같이 전자파 방사량이 많은 영상 표시 패널의 경우에 완충부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완충부가 형성된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에 대해 다음의 도 5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에서 영상 표시 패널이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인 경우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은 화상이 영상 표시되는 표시 면인 전면 기판(601)에 스캔 전극(602, Y)과 서스테인 전극(603, Z)이 형성된 전면 패널 및 배면을 이루는 후면 기판(611) 상에 전술한 스캔 전극(602, Y) 및 서스테인 전극(603, Z)과 교차되도록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613, X)이 배열된 후면 패널이 일정거리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결합된다.
전면 패널은 하나의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에서 상호 방전시키고 방전 셀의 발광을 유지하기 위한 스캔 전극(602, Y) 및 서스테인 전극(603, Z), 즉 투명한 ITO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602a, 603a)과 금속재질로 제작된 버스 전극(602b, 603b)으로 구비된 스캔 전극(602, Y) 및 서스테인 전극(603, Z)이 쌍을 이뤄 포함된다. 스캔 전극(602, Y) 및 서스테인 전극(603, Z)은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전극 쌍 간을 절연시켜주는 하나 이상의 상부 유전체 층(604)에 의해 덮혀지고, 상부 유전체 층(6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산화마그네슘(MgO)을 증착한 보호 층(605)이 형성된다.
후면 패널은 복수개의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형성시키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또는 웰 타입)의 격벽(612)이 나란하게 배열된다. 또한, 어드레스 방전을 수행하여 진공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613, X)이 격벽(61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후면 패널의 상측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R, G, B 형광체(614)가 도포된다. 어드레스 전극(613, X)과 형광체(614) 사이에는 어드레스 전극(613, X)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 유전체 층(615)이 형성된다.
여기 도 6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의 일례만을 도시하고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여기 도 6의 구조의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면, 여기 도 6에서는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에는 스캔 전극(602, Y), 서스테인 전극(603, Z), 어드레스 전극(613, X)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플라즈마 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의 전극은 스캔 전극(602, Y), 서스테인 전극(603, Z)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 도 6에서는 전술한 스캔 전극(602, Y)과 서스테인 전극(603, Z)은 각각 투명 전극(a)과 버스 전극(b)으로 이루어지는 것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스캔 전극(602, Y)과 서스테인 전극(603, Z) 중 하나 이상은 버스 전극(b)만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스캔 전극(602, Y)과 서스테인 전극(603, Z)이 전면 패널에 포함되고, 어드레스 전극(613, X)은 후면 패널에 포함되는 것만을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지만, 전면 패널에 모든 전극들이 형성되거나 또는 스캔 전극(602, Y), 서스테인 전극(603, Z), 어드레스 전극(613, X)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이 격벽(612) 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필름 필터 사이에 완충부를 배치함으로써 전자파가 보다 감소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파가 다른 영상 표시 패널에 비해서 많이 나오는 플라즈마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필름 필터 사이에 완충부를 배치함으로써 전자파가 훨씬 더 효과적으로 저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완충부의 재질에 유리 재질이 포함되어 영상 표시 장치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전면 기판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패널과,
    상기 영상 표시 패널 전면에 배치되는 영상 필름 필터 및
    상기 영상 표시 패널과 상기 영상 필름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의 전자파 흡수율은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 기판의 전자파 흡수율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두께는 2mm(미리 미터) 이상 12mm(미리 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상기 완충부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흡수율은 상기 영상 필름 필터의 상기 완충부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흡수율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전자파 흡수율은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 기판의 전자파 흡수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영상 필름 필터의 상기 완충부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반사율이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상기 완충부와 맞닿는 면의 전자파 반사율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재질은 광 투과성 고분자수지 재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재질은 유리 재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영상 표시 패널과 상기 영상 필름 필터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고,
    상기 완충부에는 소정의 가스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은 플라즈마 영상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0060007036A 2006-01-23 2006-01-23 영상 표시 장치 KR100774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036A KR100774871B1 (ko) 2006-01-23 2006-01-23 영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036A KR100774871B1 (ko) 2006-01-23 2006-01-23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421A KR20070077421A (ko) 2007-07-26
KR100774871B1 true KR100774871B1 (ko) 2007-11-08

Family

ID=3850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036A KR100774871B1 (ko) 2006-01-23 2006-01-23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8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7988A (ja) 1997-06-19 1999-03-30 Sumitomo Chem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JPH11163586A (ja) 1997-09-09 1999-06-18 Sumitomo Chem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板
JPH11204986A (ja) 1998-01-13 1999-07-30 Bridgestone Corp 電磁波シールド性光透過窓材
JP2000114772A (ja) 1998-10-08 2000-04-21 Nippon Sheet Glass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1015980A (ja) 1999-06-29 2001-01-19 Daido Steel Co Ltd 広帯域吸収型電磁波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31116A (ja) * 2000-05-18 2001-11-30 Bridgestone Corp 表示パネル
JP2003058064A (ja) 2001-08-13 2003-02-28 Asahi Glass Co Ltd 平面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7988A (ja) 1997-06-19 1999-03-30 Sumitomo Chem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JPH11163586A (ja) 1997-09-09 1999-06-18 Sumitomo Chem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板
JPH11204986A (ja) 1998-01-13 1999-07-30 Bridgestone Corp 電磁波シールド性光透過窓材
JP2000114772A (ja) 1998-10-08 2000-04-21 Nippon Sheet Glass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1015980A (ja) 1999-06-29 2001-01-19 Daido Steel Co Ltd 広帯域吸収型電磁波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31116A (ja) * 2000-05-18 2001-11-30 Bridgestone Corp 表示パネル
JP2003058064A (ja) 2001-08-13 2003-02-28 Asahi Glass Co Ltd 平面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421A (ko)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5897A1 (en) Front filter in plasma display panel
US7710035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omitting an exhaust unit
KR100774871B1 (ko) 영상 표시 장치
JP200616497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2194406A1 (en) Optical filter for display panel
US7928643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incorporating combined heatproof and vibration damping sheet attached to driving circuit substrate
EP2192429A1 (en) 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KR20070104172A (ko) 영상 표시 장치
US20110031883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to reduce emi emission
KR100829256B1 (ko) 디스플레이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7453210B2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improved NIR shielding
KR100747217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표시 장치
KR20040088700A (ko) 전면필터 및 그를 이용한 표시패널모듈
KR100868465B1 (ko) 디스플레이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8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53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1335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8369106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to reduce EMI emission
KR100774959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JP502831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138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5636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7335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3098A (ko) 광투과율이 우수한 직부착 필름 필터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66344A (ko)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